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언어치료사의 자폐범주성장애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정재은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언어치료사의 자폐범주성장애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정재은 지도교수 : 황상심 언어치료청각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의 자폐범주성장애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언어치료사의 근무처, 학력, 경력, 자격급수 등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고 전국의 일반·통합학교, 장애인복지관, 병원, 언어치료실, 장애전담어린이집 등에 근무하고 있는 언어치료사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8.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언어치료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차이검증은 Pearson 카이제곱과 Fisher 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치료사의 자폐범주성장애에 대한 교육정도를 살펴 본 결과 언어치료사의 학사와 석사의 학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력에 따른 임상실습기관의 차이가 유의함을 보였다. 둘째, 언어치료사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중재 및 평가 실제를 살펴본 결과 언어치료사의 근무처에 따른 중재 아동 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 차이는 장애전담 어린이집, 특수학교와 언어치료실 간에 특히 유의하였다. 또한 언어평가 방법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셋째, 언어치료사의 자폐범주성장애 진단에 대한 지식정도를 살펴 본 결과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결함, 행동이나 관심이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특성, 의사소통기술에 결함, 통각에 대해 과잉 또는 과소 반응, 대근육과 소 근육 발달이 고르지 못 하며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다고 응답 하였으며, 평가와 중재에 대한 자신감은 조금확실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언어치료 서비스영역에 대한 자신감은 전체항목에 대해 약간의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아직 진단을 받지 않은 아동의 증상을 알아채는 영역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언어치료사들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중재에 있어서 추가적인 임상경험과 교육을 통하여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치료서비스에 신뢰성을 높이고 언어치료분야의 전문가들을 위한 지속적인 자폐범주성장애 관련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 명품브랜드의 감성마케팅을 위한 화예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재은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감성마케팅의 전략에 화예디자인의 적용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토대로 하여 현대사회인의 감성을 기반으로 하여 명품브랜드와 고객 간의 만족도를 위하여 화예디자인이 활용된 사례를 연구해 본다. 연구의 과정은 화훼상품의 사례조사와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설문지를 토대로 사는 지역과 연령,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각기 어떤 선호도를 나타내어지는 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지를 토대로 하여 각각의 브랜드에 부합하는 화예디자인의 이미지를 찾아내는 프로세스를 토대로 플로리스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맞는 디자인을 뽑아낼 수 있는지 알게 되었다. 사례조사를 통해서 현재 화훼상품에 대한 만족도가 크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큰 만족도는 감사의 마음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색다른 디자인과 다양한 품목들이 만족도를 크게 부여한다는 것을 나타냈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화훼시장 분야에 확장과 발전에 대하여 기대하여 볼 수 있다. 앞으로 끊임없는 새로운 디자인과 다양한 품목의 연출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계획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floral & art design within emotion marketing and the study of examples of floral & art design and the satisfaction between luxury brands and customers. The research process is a case study of floral products and applications and it investigates tendency of preference depending on area, age, sex, and income level within the survey. Through the case study, this research shows people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floral products. This high level of satisfaction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gratification. Also, this research shows how florists approach and create floral art design which matches the brand identity, based on the survey which shows the process of discovering floral design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individual brand. Unusual designs and various items buil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Based on this research, we can expect expansion and development in Korea's horticultural industries. In the future, constant new art designs and various types of floral presentation are necessary with along with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ning.

      • 역사와 지리 통합 단원 구성 방안 연구 : 일제 강점기 서울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재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과는 학문의 목적 및 특성상 통합하여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간의 통합 시도는 영역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병렬적인 나열 수준에 머무른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사회과 내에서의 통합에 대해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점차 사회과에서는 통합에 대해 소극적이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게 되었다. 그러나 사회과에 있어서의 통합은 보다 폭넓은 시각의 형성과 각 영역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사회과 내에서도 가장 통합이 필요한 역사와 지리를 연계하여 통합 단원을 구성해보고자 하였다. 역사와 지리의 주요 관심사인 시간과 공간적 맥락을 연구하는 것은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고, 지리적 장소나 환경에 대한 인식은 역사 해석에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여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와 지리의 통합 필요성을 인식하여 본 연구에서는 역사와 지리를 통합한 단원을 마련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사회과 내에서 영역 간의 통합을 꾀한 구체적인 실천안이 제시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2009 개정 한국사 교과서에서 일제 강점기와 관련한 단원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교과서 분석 결과 일제 강점기의 근대화 과정과 그에 따른 생활상에 대한 설명이 미흡하고, 식민 지배 정책 중 도시 개조와 관련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식민 지배와 경성부’라는 주제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내용을 선정, 단원을 구성하였다. 또한, 경성부의 경관과 현재 서울의 경관을 연관 지어 과거의 역사가 현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도록 단원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셋째, 텍스트 서술 뿐 아니라 읽기 자료, 탐구 활동도 단원 구성에서 제시해 보았으며, 내용 뿐 아니라 방법적 측면에 있어서도 역사와 지리를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역사와 지리의 통합적 인식을 통해 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역사적 사고력과 판단력의 신장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또한, 역사와 지리 통합 단원을 구성해 봄으로써, 통합된 지식을 어떠한 방식으로 학습에 적용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보고자 하였다. The integration movement in social studies has been a challenging process with difficulties in overcoming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discipline. Still, the purpose of social studies subject is more effectively served when the issues and discussions are integrated with broader perspectives of many dimensions of social studies.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n integrated unit of History and Geography on the topic of transition of cityscape and social life in Seoul under Japanese Colonization and aims to effectively amplify students' understandings on the topic. This study is conducted in three phase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ecedent studies on constructing integrative units in social studies and analyzed chapters on Japanese Colonial Period in 2009 revised Korean History textbook. Secondly, as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reveals that the descriptions of change in social life and transition in urban landscape as a result of modernization and Japan's city reform polici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constructed a chapter under the topic of "the Colonial Period and Kyungsungbu(京城府)." Connections were made between the cityscape of Kyungsungbu in the past and that of today's Seoul so that students can convey the idea of history as a continuously influencing factor of our present life. Thirdly, reading materials and students' activities are insert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Much effort was put into developing strategies so that the contents of History and Geography are organically integrated in the activities as well as in the texts.

      • Weak and Strong Forms of b-irresolute Function

        정재은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약한 -irresolute 함수와 강한 -irresolute 함수의 기본적인 성질과 다른 함수들과의 관계, 위상적 성질인 피복성 및 분리공리를 다음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한다. 첫째로,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에 있어서의 -open, -closed, -regular의 정의와 성질들과 그에 따른 정리들을 알아본다. 둘째로, 약하고 강한 -irresolute 함수와 -연속 함수들과의 관계를 예제를 이용하여 살펴보고, 약한 -irresolute 함수의 성질들을 알아본다. 셋째로, 강한 -irresolute 함수의 약한 -irresolute 함수, -irresolute 함수, graph function 와의 관계와 -, - 공간에서의 성질들을 조사한다. 넷째로, 강한 -irresolute 함수의 강한 -regular 함수, -irresolute 함수, -open 함수, -연속 함수 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강한 -irresolute 성과 피복성과의 관계를 조사한다.

      • 환경의식, 설득 커뮤니케이션과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변화

        정재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과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는 친환경 제품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유해물질이 포함된 의류는 성인 보다 아이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 의류는 피부에 장시간 접촉하게 되므로, 부모들은 자녀를 위해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의류제품을 구매해야 한다. 학계에서는 친환경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는 반면, 친환경 유아동복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설득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부모가 친환경 유아동복을 구매하도록 설득하고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와 태도변화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세 가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네 가지의 실험 자극물을 통해 설득 커뮤니케이션이 부모의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태도변화를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설득 커뮤니케이션에 따라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환경의식의 하위변수는 환경보호인식, 환경지식, 건강의식으로 구성하고 환경의식에 따른 설득 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환경의식, 정보 전달자, 주장의 질이 설득 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가 친환경 제품 사용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유아동복 주 구매자인 부모에게 설득적 메시지를 전하고 이에 따른 설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친환경 유아동복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본 조사에 들어가기 전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실험 자극물을 조작한대로 연구 참여자가 인지하는지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환경보호인식, 환경지식, 건강의식에 대한 문항은 신뢰도 분석을 통해 문항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본 조사는 만 0세부터 12세까지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총 225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4.0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환경보호인식, 환경지식, 건강의식에 관한 문항의 신뢰도 분석 결과, 신뢰도 계수(Cronbach’s α) .7 이상으로 문항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설득 커뮤니케이션이 부모의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변화를 일으키는지 살펴본 결과 설득 전과 비교했을 때 주장의 질이 높을 경우 설득 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 전달자와 관계없이 주장의 질에 의해 부모의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태도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설득의 중심 경로를 이용하여 태도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환경보호인식, 환경지식, 건강의식에 따른 설득 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를 살펴본 결과, 건강의식이 설득 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환경지식이 높을수록 부모가 친환경 유아동복을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의식과 환경지식이 높을수록 부모의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환경보호인식은 설득 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경의식, 정보 전달자, 주장의 질이 설득 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환경보호인식, 건강의식, 주장의 질에 의한 주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환경보호인식, 건강의식에 따라 설득 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나타나며, 부모는 주장의 질에 의해 설득 후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즉 부모의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변화가 중심 경로를 통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환경보호인식과 정보 전달자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환경지식과 정보 전달자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가 친환경 유아동복을 구매에 있어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설계를 통해 부모의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대한 태도에 가장 효과적인 설득 커뮤니케이션 요인을 알아보고 친환경 유아동복을 판매할 때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친환경 유아동복 구매에 필요성을 인지하도록 부모에게 설득적 메시지를 전하고, 이에 따른 설득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친환경 유아동복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 남북이산가족 교류 성사요인 분석

        정재은 북한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이산가족 교류 성사요인을 시대별로 분석하여 향후 이산가족 교류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산가족 교류는 남북 사이의 합의와 더불어 이행과정의 실무적 절차에 대한 양측의 긴밀한 협의와 동의가 있을 때 성사된다. 이에 본 논문은 남북 간 이산가족 의제와 협의 배경, 협의 과정에서 북한 측의 관심 사항의 변화 등을 추적, 분석하여 향후 재개될 남북 대화 시 이산가족 교류를 위한 접근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북한당국과의 이산가족교류 협의·추진 과정을 시대별로 분석하고, 각종 회담에서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협의과정과 주요 쟁점사항을 회담기록 자료와 정부에서 발표한 해설자료 등을 활용하여 검토하였다. 북한 측의 입장은 북한 정부의 각종 성명과 매체에 보도된 내용을 맥락적으로 해석하였다. 그 결과 시대별 이산가족 문제가 논의된 배경과 상황에 따라 남북이 주요하게 다루는 쟁점과 접근방식이 변화해온 것을 확인하였다. 이산가족교류의 근간으로 인식되어 온 상호주의적 접근도 시기별로 다르게 적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1980년대 이산가족 방문단과 예술공연단 교환문제는 남한의 고향방문단 교환과 북한의 예술공연단 교환 제의가 상호주의적 입장에서 논의되었다. 1990년대 초, 노부모방문단 교환 논의에서 북한의 요구로 대두된 리인모 노인 송환문제가, 송환 이후에는 남한의 납북자 송환요청으로 이어졌다. 동 문제는 2000년대 이후 이산가족방문단, 비전향 장기수 문제, 납북자 문제 논의로 확대되었다. 1990년대 말에는 북한의 비료지원 요청에 대해 남한은 이를 이산가족문제와 연계할 것을 제안하여, 이산가족 교류 논의가 이산가족교류의 범위를 넘어 대북인도지원과 연결되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정립된 남한의 인도지원에 따른 이산가족 교류는 2000년대 이후 적용된 상호주의의 주요 틀이 되었다. 이산가족 교류성사에 있어서 이산가족의 특성이 교류의지와 연결된다는 점도 분석하였다. 남한 이산가족의 주요 특징은 사망자 비율 증가, 생존자의 고령화, 재북가족의 사망으로 인한 남한 이산가족과의 가족관계 변화로 보았다. 이러한 이산가족의 특성이 교류의지의 약화로 연결된다는 점을 분석하여 향후 가족과의 교류에만 집중할 경우, 남북간 이산가족 교류 동력이 약해질 것을 예측하였다. 이산가족 교류는 인도적 문제이지만 남북 간 정치적 상황에 종속되어 성사가 좌우되어 왔다. 이러한 큰 흐름 속에서 각 시대별로 이산가족 문제 논의는 느리게나마 진전이 있어왔다. 진화하는 이산가족 교류 논의와 형식, 그리고 교류환경의 변화는 향후 교류추진 시 과거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북한과의 교류 추진 시 작더라도 실질적 교류를 놓치지 않기 위한 다양한 교류방식이 필요하며 보다 궁극적으로는 이산가족 교류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또한 이산가족 문제는 가족만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분단이라는 구조적 폭력과 인권이라는 보편적 권리의 침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산가족 문제를 남북 주민 간 통합을 위한 문화적 소통의 매개체로서 확대하여 한반도 분단과 남북 통합의 방안으로 적극적으로 확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the exchange visit of separated families by period and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exchange in the future. The exchange of separated families has been established when there is close consultation and consent between both sides on the practical procedure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as well as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This paper closely tracks and analyzes the agenda, background of consultations, and changes in North Korean interests during the consultation process. Through this, It is tried to derive an approach of direction to the exchange visit of separated families in the future Inter-Korean Dialogue. First, the process of consultation and promotion on the exchange of separated families with the both Korean authorities is analyzed by period. The consultation process and major issues on separated families at various meetings between the two Koreas were reviewed with the record reference of the talks and the commentary released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identify North Korea's demands and positions related to the exchange process, including the talks, it tried to take a balanced approach by referring to various statements of North Korea and the contents reported on the North Korean media.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issues and approaches that the two Koreas positioned themselves for separated families have changed depending on the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over the years. Also, it is found that the reciprocal approach, deciding the direction of exchange of separated families has been applied differently from time to time. In the 1980s, the issue of exchange visits of separated families and art performance groups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reciprocity. In the early 1990s, the issue of repatriation of Lee In-mo, requested by North Korea in the discussion of exchanges visit of the elderly was followed by a repatriation request of abductees from South Korea after his repatriation. Since the 2000s, the issues have been extended to the separated family visitor group, unconverted long-term political prisoners, and the abductees. In the late 1990s, South Korea proposed to link fertilizer aid to the North with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And the discussions on exchanges visit of separated families began to b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beyond the scope of exchange with separated families. The exchange of separated families in the linkage of humanitarian aid to the North has been the main framework of reciprocity approach since the 2000s. It analyz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ed families are linked to their will of exchange visi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outh Korean separated families are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deaths, the aging of survivors, and the changes in family relations with the South Korean family due to the deaths of North Korean families. It is also predicted that if the focus is only on exchange visit with the family in the future, the dynamism of the separated family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will be weaken. The exchange of separated families is a humanitarian issue, but it has been dependent on the political situ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changes of discussion points have been progressed gradually and reflected the times and situations. It also requires different approach according to the evolving format of visits and discussion and changes in the environments.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approach should be proposed so as not to miss practical exchanges even when starting exchanges with North Korea, and ultimately, to transform the paradigm of exchanges of separated families. Also, it is emphasized that the problem of the separated family is not only for the family, but it must be approached from the universal perspective of human rights in the structural violence of division, and it is a problem with Inter-Korean ethnic justification. Lastly, it is proposed to expand the problem of separated families as a medium of cultural exchange for integ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and expand it as a way to integrate the two Koreas.

      • 통합사회인지진로이론적 관점에서 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만족 모형

        정재은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통합사회인지진로이론적 관점에서 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만족 모형 본 연구는 학업에서 직업세계로 곧바로 입문하게 되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 및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인 요인들을 바탕으로 사회인지진로이론 통합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인지진로이론에 주관적 안녕감을 결합한 Lent & Brown(2008)의 통합모형을 바탕으로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 학생들의 학업만족 및 삶의 만족에 대한 그릿(grit), 긍정정서, 취업장벽대처효능감, 결과기대, 학업목표, 취업장벽에 대한 인식, 사회적 지지 변인의 예측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공립 상업계 특성화고 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개인 내적 변인인 긍정정서와 그릿 모두 진로특정 사회인지변인들인 취업장벽대처효능감, 결과기대 및 학업목표를 매개하여 학업 및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이 지각하는 취업장벽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지지 모두 학업만족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삶의 만족에는 간접적인 영향만이 확인되었다. 셋째, 취업장벽대처효능감 및 결과기대는 모두 학업 목표를 매개하여 학업 및 삶의 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릿, 긍정정서 등의 개인의 성격 및 정서적 특질, 취업장벽대처효능감, 결과기대, 학업목표 등의 진로 관련 개인의 인지적 요인, 취업장벽에 대한 인식, 사회적 지지 등의 개인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개입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주요어: 통합된 사회인지진로이론모형, 삶의 만족, 학업만족, 상업계 특성화고등학생 ABSTRACT Test of Integrated Social Cognitive Model of Career Satisfac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Jeong, Jae-Eun Department of Teaching & Counsel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Seoul Supervised by Professor Yun-Jeong Shin,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a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of work and life satisfaction(Lent & Brown, 2008) with commer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hypothesized model in this study consisted of seven variables which effect on academic and life satisfaction: grit, positive affect, job market barrier cop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cademic goals, barriers in job market and social supports. A total of 560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procedure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and AMOS 22.0. The model offered a good fit for the data, yielding that 16 of 17 individual path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grit and positive affect had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job market barrier cop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academic goals. Second, job market barriers and social supports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academic satisfaction, but had only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job market barrier cop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had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academic goal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Specially, the current results implied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effects of individuals’ personal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grit, positive affect and the career-domain specific factors, such as job market barrier cop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on satisfaction with school and overall life when educators or practitioners designed the tailored intervention plan. * Key words: integrated model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life satisfaction, academic satisfaction, commercial highschool students

      • 한국 중소기업의 스마트기술 수용과 글로벌공급사슬혁신 및 성과에 관한 연구

        정재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acceptance of smart technologies in Korea SME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rminants of technology acceptance, smart technology acceptance, global supply chain innovation performance, and export performance. Recently, the world is busy with preparations for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leading companies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e World Economic Forum in 2016 announced that the world has been already fac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means that the global supply chain paradigm will change for all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ing industries around the world. Korea has also introduced a 'Manufacturing Innovation 3.0' strategy in 2014 to prepar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hange of international paradigm. However, the level of smart technology acceptance by Korean SMEs has not yet reached the level that is compatible with the change of international paradigm. In this respects,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mote the acceptance of smart technologies and suggest a need of more practical policy for securing international market competitiveness of Korean SMEs through innovation of global supply chain structure. To construct the research model, the TOE framework, the Diffusion of Innovation(DOI) theory,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ere referenced, and the Balanced Score Card(BSC) model was used to derive the global supply chain innovation performance variable. In order to supplement the exploratory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technology acceptance and global supply chain innovation performance variables, the export performance variable is applied as an additional outcome variable.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were utilized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n Korean SMEs which has been adopting smart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the empi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the technology stability variable of technological factor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novation technology acceptance among determinants of TOE framework in analysis of sample Korean SMEs. And the level of innovative technology accepta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global supply chain innovation performance and export performance. In addition, global supply chain innovation performance significantly affected export performance. In additional analysis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classification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belongs to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group belongs to non-manufacturing industry. In another analysis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overnment support variabl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using the government subsidies and the group adopting the smart technology using only the own fund was also found. It means the determinants of smart technology acceptance are different by industry and by acceptance method. However, in every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smart technology acceptance positively affects the global supply chain innovation performanc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smart technology acceptance and global supply chain innovation performance has been proved empiric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SMEs need to be more active and positive in accepting smart technologies so that they can gain more competitive edg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n addition, they imply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prepare more practical policies to support S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