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에 관한 사례연구

        이성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understanding of coordinators working for student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for study and guidance at the South Korean educational arena.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coordinator's roles, adaptation and growth process as an instructor. As of July, 2013, the total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settled in South Korea has reached 25,431. More school-age young defectors are arriving as family defectors' entry are increasing these days. It is estimated about 2,500 North Korean born defector students are living in South Korea as of July, 2013. In September 2009 under the auspices of Ministry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established Educational Support Center for North Korean Born Youth. In 2011 Coordinators in full charge of those North Korean born students have been recruited for supporting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Duties and roles include student-parental counselling, academic support, guidance for campus life and cultural exchange including irregularity case managements. These coordinators are all North Korean born and already qualified teachers from North Korea. 60 hours of training at NK Teacher Academy and mastery of secondary languages like Chinese are essential requirements before being stationed at the South Korean schools. It is expected these North Korean born coordinators should have deeper understandings towards those young North Korean born students so that they would provide with far better support. Unlike regular South Korean teachers NK coordinators experienced teaching North Korean students under the same educational system and life style which relatively similar to those North Korean born youth has enjoyed. Research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number of specialized coordinators for North Korean students, selected and disposed at schools, is 14 -excluding 1 from originally from South Korea -as of October 2013. Being former teachers in North Korea, they had a social position and honor as a ‘professional revolutionist’ with a responsibility of North Korean education. After their entry to South Korea, they intended an educators’ life in South Korea with their former career, expecting to get recognition and acquire a fair social position, pride, and job security, although they had already taken lower jobs. Their conditions of employment and roles vary depending on each school, but it is common that they are carrying out a function of connecting South and North Koreans in and out of schools, not just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they support students’ learning; guide students’ school lives with counseling and advise; consult North Korean parents of the students; and run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other local institutes. Second, the conditions of employment and positions as an educator at school did not actually meet the coordinators’ expectation at first. However they were complementing their feeling of loss from their work with sense of duty to help out North Korean students’ prompt settlement and growth in a right way. They are having difficulty with unclear responsibilities and performances, especially with using NICE or EDUPI, work portal sites. They are also suffering for difference of educational cultures and languages in co-working relations, students, and administration. Particularly, as there is nothing prepared for students who do not know Korean language with third country background, it is hard for them to prepare all the education guidance and materials by themselves in other language. Furthermore, they have distress in consulting and home visit, because the students and parents reluctant to disclose their identities. They are trying really hard to overcome difficulties by asking for help to co-working coordinators or other teachers. With all the above difficulties, they are growing to achieve their goal in teaching through the coordinator project, supporting North Korean students in study and daily life with a sense of duty to raise human resources for post-unification. Third, specialized coordinators for defecting students from North Korea are getting recognition of North Korean students as a successful role model in South Korea, and they are carrying out positive function of motivating North Korean students in study and daily life, and the coordinators are keeping hope to become a member and a true citizen of South Korean society, and create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ns for mutual assistance. The project on coordinators were launched with a purpose to relieve North Korean student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security for better adaptation in school life, and to consider employment chance of former North Korean teachers and explore their potential ability. However considering the result that was found from this research, it is important not only for a microscopic reason of practical use of assistant teachers for supporting North Korean students, but also for a macroscopic reason of support on human resources that can ready for post-unification era with understanding in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al culture and system. For these purposes, the coordinator project needs improvement towards a change into a future-oriented system on unification education, and a new training project preparing integrated education for post-unification era. 본 논문은 남한 학교현장에서 탈북학생들의 학습지원 및 생활지도를 수행하고 있는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 사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들이 겪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고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기반을 두어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 사업의 의의와 방향을 도출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입국유형이 ‘가족동반화’ 됨으로써 학령기 탈북학생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는데, 2012년 12월 현재 1,992명의 탈북학생들이 남한에 입국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교육개발원은 2009년 9월 교육부의 지정을 받아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를 신설하여, 2011년 탈북학생들이 심리적·정서적 불안현상을 극복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기초학습, 학교생활지도, 문화체험, 학생 및 학부모 상담, 사례관리 등을 전담할 수 있는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를 선발·배치하게 되었다.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들은 북한교사출신자로서 NK교사 아카데미 연수과정 60시간을 이수하고, 제3국 언어(중국어)가 가능한 선발조건을 충족시키고 학교현장에 채용된 자들이다. 이들은 일반교사와는 달리 북한에서의 교사경력과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북한 교육체계 하에서 상대적으로 비슷한 교육경험과 생활문화를 누려온 탈북학생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직·간접적으로 더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현장에 선발·배치된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들은 2013년 10월 현재 전국 14명(남한출신 1명 미포함)이다. 북한교사출신들인 이들은 북한에서 북한교육을 전담한 ‘직업적 혁명가’로서 사회적 지위와 명예를 갖고 있었지만, 남한 입국 후 하향전직으로 생업에 종사하였다. 그러나 북한에서의 교사경력을 되살려 남한에서 교육자로서의 삶을 지향하고 있었기에 교사로서의 당당한 지위와 자부심, 그리고 고용안정을 기대하면서 탈북학생들에게 직·간접적 도움을 주고자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에 지원하게 되었다. 이들의 근무조건과 역할은 학교현장에 따라 상이하지만 탈북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고, 상담 및 조언 등을 통한 생활지도를 하며, 탈북학부모들을 상담하고, 지역지원기관과도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단순히 탈북학생 지원만이 아닌 남한 사람과 북한 사람을 연결시켜주는 학내·외적 의 매개자요 교량자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들의 실제 학교현장에서의 근무조건과 교수자로서의 지위 등은 처음 기대치에 어긋났다. 그러나 탈북학생의 조속한 정착과 올바른 성장을 위한다는 사명감과 자부심으로 직무에서 오는 상실감을 채워나가고 있었다. 또한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들은 불명확한 업무분장 및 수행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교육행정전산시스템인 교사용 업무포털사이트 나이스 및 에듀파이를 사용하는데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동료교사 관계에 있어서도 남북한의 교육문화와 언어차이는 물론 행정용어, 학생지도용어 등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학습·생활지도에 있어서 한국어를 모르는 제3국 출신 탈북학생들을 위한 학습지도안 및 학습지가 없어서 매번 직접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탈북학생 및 학부모들은 신분 노출을 꺼려해서 상담과 가정방문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들은 학교현장에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동료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 또는 동료교사들에게 도움을 청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들은 동향인인 탈북학생의 학습과 생활지도를 통해 통일 후의 인재를 길러낸다는 소명의식을 갖고 북한에서 못다 한 교사로서의 꿈을 남한에서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를 통해 이뤄내고자 하루하루 성장해 나가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 제도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들은 북한교사출신으로서 탈북학생들에게 남한에서 성공한 역할모델로 받아들여지고 있었으며, 탈북학생들의 학습력과 생활적응력을 높여주는 등 학교현장에서의 높은 순기능을 하고 있었다. 둘째,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 제도는 북한교사출신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성장에 기여한다. 셋째,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는 북한교사출신들 간의 유대를 돈독히 하고, 탈북학생 및 학부모와의 관계망도 만드는 등 탈북자들의 자조그룹 형성을 주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 제도는 남북교육통합의 시험장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는 학교현장에 있는 탈북학생들이 심리적·정서적 불안현상을 극복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북한교사출신자의 고용 기회를 제고하여 잠재능력을 계발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에서 시작된 사업이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발견한 성과를 고려해 볼 때 앞으로는 탈북학생의 학습지원 및 생활지도를 위한 보조교사로서의 활용이라는 미시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향후 통일시대의 교육을 준비하고 대비하는 인력이라는 거시적 측면에서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북한과 남한의 교육문화와 체계를 이해하며 실행해 나갈 수 있는 교사로서의 역량을 십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탈북학생전담코디네이터 사업의 개선을 통해서 통일교육을 위한 미래 지향적 제도로의 변화를 꾀하여, 통일시대의 통합교육을 준비하는 새로운 인재양성을 지향하는 사업으로 새롭게 진화되어야 한다.

      • 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the degre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reer values, and career maturity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by making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values as influence factors includi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an object of 400 male and female students at the third grade of 4 middle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K city, this researcher explained the research objective and method of questionnaire, etc. in detail to the teachers in charge of career by visiting the middle schools. This study was to use a method that the teachers in charge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during class and collect them prepared by the students. As a result, this study was to use total 316 copies of questionnaires except for the improper materials among the collected materials as final analysis materials. As to the data processing, the reliability was calculated by using SPSS WIN 21.0 program. Furthermore, it calculated the mean, frequency analysis,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reer values, and career maturity was marked as 4.03, 3.33, and 3.83 in order. This study has shown over three points as mean score from five points in Likert's scale. Taking a look at gender,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for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3.79 and 4.20 each, the career values 3.39 and 3.39 each, and the career maturity 3.72 and 3.91 each. Consequently,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maturity for the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general.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reer values,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difference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form of gender and school.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reer values by gender and object area, and in the career maturity by existence of parents' employment, average monthly income, and level of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executing Pearson correlation among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career values, and career matur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values on the career maturity, this study has shown the positive correlation. Fourth,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method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value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areer maturit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mothers' employment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in the stage three we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Fifth, when the independency as sub-variable of career maturity was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amily area, sub-variabl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y gender and region as socio-demographic variable, and the explanation power was total 29.2%. Six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career values on the career maturity, the male students were affected by the mothers' employment, fathers' level of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region, and mothers' employment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o conclude, as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mothers' employment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When the family area as sub-factor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as high, the male students had high explanation power of attitude for the work as sub-factor of career maturity.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had the highest high explanation power for the independency. Accordingly,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with the family area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uld be important variable which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For this reason, it needs to combine with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career values as well as to inspire the continuous and variou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practice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family and social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that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und their future career. To achieve this, it requires the activation of healthy and right career choice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of industry-academic education system for the career prepar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program, and customized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suited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 진로성숙도 정도가 어느 정도이며, 또한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포함하여 양성평등의식과 직업가치관을 영향요인으로 하여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은 D시, K시에 소재하는 4개 중학교의 3학년 남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중학교를 방문하여 진로담당교사에게 연구의 취지와 설문지 조사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한 후, 담당교사가 수업 시간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나누어 주고 학생들이 설문지를 작성한 후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 부적절한 자료를 제외한 총 316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평균, 빈도분석,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 t-검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 진로성숙도 정도는 각각 4.03, 3.33, 3.83으로서, 5점 Likert 척도의 평균 점수인 3점 이상으로 나타났고,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학생과 여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각각 3.79, 4.20, 직업가치관은 각각 3.39, 3.39, 진로성숙도는 각각 3.72, 3.91로서 전반적으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양성평등의식,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 진로성숙도의 차이검증 결과, 성별, 학교형태에서 양성평등의식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업가치관은 성별과 대상지역별, 진로성숙도는 부모의 취업유무, 월평균 수입, 학력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양성평등의식과 직업가치관, 진로성숙도 간의 pearson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중학생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한 결과, 3단계에서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어머니의 취업과 양성평등의식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인 계획성, 자기이해,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을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인,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한 결과, 계획성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서 아버지 학력과 양성평등의식, 자기이해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서 학교형태와 양성평등의식, 일에 대한 태도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서 어머니의 취업과 양성평등의식, 독립성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서 지역과 양성평등의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학생의 남녀성별로 본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성평등의식, 직업가치관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어머니의 취업, 아버지의 학력, 양성평등의식이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은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지역, 어머니의 취업과 양성평등의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의 취업과 양성평등의식이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성평등의식의 하위요인인 가정영역이 높을 때 남학생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일에 대한 태도에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독립성이 가장 높은 설명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학생에게 있어서 가정영역에서 가지는 양성평등의식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중학생들이 장래의 직업을 찾아가는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정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의 실천과 학교 및 사회교육을 통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양성평등의식 고취와 더불어 직업가치관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겸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진로교육과 진로상담프로그램의 개발, 중학생에 맞는 맞춤형 진로상담과 교육을 통하여 중학생들이 건강하고 바른 진로선택과 진로 준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산학의 교육제도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중국 허난성 비장애고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와의 관계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 이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비장애고등학생의 공감능력, 장애학생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수준을 살펴보고, 비장애고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비장애고등학생이 학교에서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허난성에 소재한 2개 지역 4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비장애고등학생 530명을 임의표집 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문항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선택된 521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Pearson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과 Bootstrapping 검정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비장애고등학생의 공감능력, 장애학생 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의 수준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고등학생의 공감능력, 장애학생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장애학생 수용태도 수준은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하위영역 중 개인생활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학생 수용태도에서 학교생활 영역에서만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비장애고등학생의 변인에 따른 공감능력, 장애학생 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의 수준차이를 살펴보면,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은 장애인을 접한 경험에 따라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장애인과 만난 경험이 있는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공감능력, 장애학생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감능력, 장애학생 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수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비장애고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은 각각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장애학생 수용태도 수준 역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비장애고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장애고등학생의 공감능력은 자아존중감과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장애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공감능력과 장애학생 수용태도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이 비장애고등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통해 비장애고등학생들이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사회적 통합이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中學校 統一敎育의 改善 方案에 관한 硏究 : 濟州道 中學生의 統一意識을 中心으로

        김순협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통일환경 속에서 제주도 중학생들의 통일의식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통일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통일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주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3학년 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그 반응 결과를 SPSS 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이를 토대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통일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영역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문제에 관한 의식 조사에서 학생들은 통일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 대해 약 절반 정도의 학생만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고, 통일의 방식에 대해서는 절대 다수의 학생들이 점진적이고 평화적인 합의 통일 방식을 원하고 있다. 통일국가의 미래상과 관련해서는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하여 확실한 신뢰를 갖고 있지만, 통일 이후의 삶의 변화에 대해서는 삶의 질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북한에 관한 의식 조사에서 학생들은 북한에 대한 관심과 실상에 대한 인지도가 비교적 낮고, 일상 생활과 밀접히 관련이 있는 분야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북한에 대해서는 상당히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남북한 주민의 동질성도 비교적 높을 것이라고 응답하고 있고, 정부의 대북포용정책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셋째, 통일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에서 학생들은 통일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고, 도덕을 제외한 다른 과목에서는 통일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 현재 실시되고 있는 통일교육은 대다수의 학교에서 교과서 위주의 교사 설명 방식에 의존하고 있으나, 학생들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학생 중심의 토론 방식 수업을 원하고 있다. 한편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참여의식이 가장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고, 민족공동체의식 함양 교육과 통일의 필요성 교육을 통일교육에서 가장 강조해야 할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통일의식의 형성을 위해 앞으로 지향해야 할 통일교육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접근방식에서 좀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접근이 바람직하다. 통일의 당위성만을 강조하기보다는 통일 이후의 사회가 우리에게 더 많은 이득과 혜택이있다는 확신을 심어주는 통일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학생들로 하여금 통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덕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의 통일교육을 모든 교과로 확대하여 북한 및 통일 문제를 각 교과의 특성에 맞게 다루는 범교과적인 접근 또한 필요하다. 둘째, 통일교육의 내용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일상 생활 속에서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있는 생활 문화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또 통일의 과정과 통일 이후의 삶의 과정에서 남북은 여러 가지 견해나 조건의 차이로 다양한 갈등이 발생할 소지가 많기 때문에, 남북한 주민들이 상호 이해와 존중을 도모할 수 있는 민족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통일교육이 필요하다. 한편 한반도의 통일문제가 민족 내부의 문제이자 국제 문제라는 구조의 이중성 측면을 이해시켜 통일문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 주어야 한다. 셋째, 통일교육의 방법과 관련해서는 다양하고 개방적인 교육방법을 적용해 건전하고 합리적인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매체의 활용을 통한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과 과외 활동을 통한 통일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의 성과는 역량 있는 교사의 질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일문제와 통일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과 사명감 그리고 학교측의 의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aimed to seek the improvement plans of unification education to build up students' desirable thoughts of unifi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awareness for unification in recent radically changing environment for Korean unification. For this study, 480 middle school third graders in Jeju have been asked and their answers are analysed through SPSS WIN program. The result can be analyzed into three fields. First, in the survey of the awareness for unification issues, about half of the students have positive interest in need of unification and most of them want gradual and peaceful unification with the consent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About the future of unified Korea, the students have a firm belief in democratic system, but they have anxious opinions about the quality of life after unification. Second, in the survey of awareness for North Korea, the students have rather low interest in the overall situations of North Korea and show very high interest in the parts related to the everyday life. They have positive attitude to the people in North Korea and homogeneity of South and North Koreans, and furthermore they agree to the government's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Third, in the survey of attitude to unification education, the students have negative opin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ongoing unification education. They have little experience of unification education outside moral studies and in that class even textbooks and teacher's explanations are the only method of teaching. However, the students prefer the student-centered discussion method using multi-media. To activate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students understand very well the importance of their positive participation, and they are fully aware of the nat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and need of unification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improvement plans of unification education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more concrete and realistic approach to need of unification is recommended. Th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move the focus from the emphasis on what should be to what can be and will be good for them after the unification. Besides, unification issues should be dealt in all subjects by appropriate design for each subject. Second, the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about the life culture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in students' everyday life. Specific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national community consciousness of two Koreas for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of opinions or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or after the unification. And students can build up balanced thoughts about the unification as not only a national problem but an international issue. Third, about the teaching method of unification education, various and open method should be applied to build up balanced and rational thinking abilities. Multimedia and the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 along with extra activities are recommendable for activating the unification education. Last, as the successful unification educ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teachers, teachers should be the experts in the unification issue and the support of schools is also the key to success.

      • 서울지역 고등학생의 가공식품 섭취실태 및 식품첨가물 인식 수준과 영양교육의 필요성

        오혜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식품 가공 및 외식산업의 발달, 배달음식의 발달로 바쁜 현대사회에서는 복잡한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가공식품의 섭취가 증가하였다. 특히나, 성장기 학생, 수험생 등 오랜 시간 학교에 있고, 하교 후 학원을 가기 바쁜 학생들의 섭취가 증가하였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식품에 대한 영양정보에 대해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이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가공식품에 접근하였고, 그에 대한 섭취실태와 구매행동을 통해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고등학생 586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사항, 가공식품 섭취실태, 구매행동, 식품첨가물 인지도, 식품첨가물 교육여부, 만족도, 희망하는 교육 및 교육매체 유형을 분석하였다. 반 이상의 학생들이 하루 평균 만원 정도 가공식품을 구매하는데 사용하였고, 1일 2회 이상 가공식품을 섭취하였다. 학교에 오랜 시간 있다 보니, 학교에 있는 동안 반 이상의 학생이 학교 매점에서 가공식품 구매 및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중 절반 이상의 학생 384명(65.5%)가 가공식품의 식품첨가물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식품첨가물에 대한 영양교육을 받은 학생은 102명(17.4%)밖에 되지 않았다. 지금까지의 학생들을 식품첨가물에 대한 영양교육을 받은 적이 없어 활용하지 못하였지만, 영양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 결과를 보면 만족 53명(52.0%)로 매우 높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육을 받음으로써 식품첨가물에 관해 인지하고, 잘 활용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면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에게 효율적으로 영양교육을 하기 위해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고 접근성이 높은 매체 조사결과를 토대로 유튜브, sns등 뉴미디어를 통해 온라인 매체로 제작한다면 영양교육에 대한 선호도, 교육의 효율성까지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 modern society that is busy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food processing and restaurant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delivery food, the intake of processed foods that can be eaten conveniently without going through complicated cooking processes has increased. In particular, the intake of students who are in school for a long time, such as growing students and test takers, and who are busy going to academies after school increased. Most adolescents are not well aware of nutritional information about food and lack general knowledge about it. In this study, we approached processed foods that high school students could easily access, and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was identified through the intake status and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586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analyzed general information, processed food intake status, purchase behavior, food additive awareness, food additive education status, satisfaction, desired type of education and education media.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used it to purchase processed food on average of 10,000 won a day, and consumed processed food more than twice a day. As they were at school for a long tim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purchased and consumed processed food at the school cafeteria while they were at school. More than half of the study subjects, 384 students (65.5%) were aware of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but only 102 students (17.4%)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on food additives. Students so far have not been able to use nutritional education on food additives because they have not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but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have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show a very high result of 53 people (52.0%). Through this, it shows a positive aspect that by receiving education, food additives can be recognized and used well. In order to efficiently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o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if it is produced as an online medium through new media such as YouTube and SNS based on the results of a media survey with high students' preference and accessibility,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the preference for nutrition education and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기술·가정 교과서 제도 단원에 나타난 수학과 작도 관련 소재의 분석·비교 및 학생·교사의 인식 조사

        기미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의 수학교육의 문제점은 수학을 엄밀성과 이론적 형식을 강조하는 논리체계로만 가르치는 경향이 있어 학생들은 수학을 현실과는 거리가 먼 의미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에 대한 한 대안으로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수업이 강조되고 있다. 수학적 연결성이란 초·중등 교육과정에서 다른 주제영역에서 수학적 개념의 통합을 의미하며, 이는 수학 내에서 다른 내용들 사이의 관계를 인식하는 내적인 연결(internal connections)과 수학과 다른 교육과정 또는 다른 학문과의 관계를 인식하는 외적인 연결(external connections)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적인 연결 중 타교과와의 연결성을 고려한 수학 지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타교과 중 과학과 미술, 음악 등의 교과와의 연결성을 연구한 사례들은 있으나 기술·가정과 수학 사이의 연결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실제 두 교과 사이에 수학의 작도 단원과 기술·가정의 제도 단원이 연결되어 있는데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과의 작도와 기술·가정과의 제도 내용 사이의 상호 연결성을 살펴보고, 학생들과 교사들이 이 연결성을 인식하고 있는지 인식 정도와 실제 학생들이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연결성을 고려하는 방안으로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제에 대한 반응을 알아봄으로써 작도 지도에 있어 연결성을 고려한 작도 지도에 관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수학과의 작도 단원과 기술·가정과의 제도 단원 사이의 내용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으며, 교수접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2. 학생과 수학교사들의 작도와 제도의 연결성 인식은 어떠한가? 2-1 학생들의 작도 학습에 있어 연결성 인식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2-2 학생들의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제에 대한 반응은 어떠한가? 2-3 수학 교사들의 작도 교수에 있어 연결성 인식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2-4 수학 교사들의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제에 대한 반응은 어떠한가? 3. 학생들이 작도와 제도를 연결시킬 수 있는가? 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 교과서와 기술·가정 교과서 각각 임의의 2종씩 택하여 연결된 내용 및 지도목표, 교수목표 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7학년 학생과 7학년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작성해 현 교수·학습에 있어 작도와 제도 사이의 연결성 인식 정도,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제에 대한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다. 세 번째 연구문제에 대해 실제 학생들이 제도와 작도를 잘 연결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과서 문제와 유사한 일반 작도 문항 검사지와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항 검사지를 제작해 시험을 보고 그 성취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에서는 '평면도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사용하는 용구도 작도는 눈금없는 자와 컴퍼스 만을 사용하는데 반해 제도는 다양한 제도 용구를 사용함으로서 용어와 사용하는 용구 사이에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내용에 있어 작도에 각의 이등분선 작도, 선분의 수직이등분선 작도, 주어진 각과 크기가 같은 각 작도, 평행선 작도, 삼각형 작도, 90°의 삼등분선 작도 등이 평면도법에도 관련되어 나오고 있었다. 지도목표와 교수접근 사이에 차이점이 있었는데 작도는 원리 중심으로 도형의 성질을 아는데 초점이 맞춰져 교수되는데 반해 제도는 방법 중심으로 교수되고 있었다. 내용면에 있어 학생들이 작도에 사용할만한 소재들이 있었고, 기술·가정은 실생활 적용을 중시하는 과목으로 두 과목 사이의 연결성을 고려했을 때, 학생들이 작도에 대해 유용성과 흥미를 느낄 수 있으리라 짐작되었다. 둘째, 작도 수업에 있어 교사는 유용성을 고려한 작도 교육의 필요를 느끼는데 비해 많은 교사들이 그렇게 수업을 하지 못하고 있었고 학생들도 작도 수업을 통해 작도의 유용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작도와 제도가 연관이 있는 것에 대해 약 60% 이상의 학생들이 인식을 하고 있고 교사도 80%가 넘는 교사가 인식하고 있었다. 작도를 좀 더 의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제도와의 연결성을 고려해 보자는데 약 80%의 교사가 찬성을 하고 약 60%의 교사가 제도 문제를 수학 수업에 알맞은 형태로 변형해 제시해주는 것이 좋다고 답했다.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제에 대해 21.7%의 학생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데 비해 약 36%의 학생들이 '이러한 문제를 접한 후 제도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것이다'라 답했다. 정의적인 측면에서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제에 대한 반응을 본 결과, 유용성을 느끼는지 면에서 긍정적 반응이 39.4%, 부정적 반응이 25.4%이고 흥미를 느끼는지에 대해서는 긍정적 반응이 31.5%, 부정적 반응이 30.7%였다. 정의적인 면에서 특히 흥미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문장제 문제에 대해 어렵다고 느끼는 학생들의 선입견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교사들의 경우 83.5%가 좋은 시도라고 반응하고 약 85%의 교사가 학생들에게 작도에 대해 유용성과 흥미를 느끼게 해주어 이러한 문제를 사용해 볼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이며, 이러한 문제를 통해 학생들은 작도에 대해 제도와 연결성을 생각하게 됨으로서 작도를 실생활과 관련해 좀더 의미있게 받아드리리라 생각된다. 셋째, 실제 학생들이 작도와 제도를 연결해 생각하고 응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반 작도 문항 검사지와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항 검사지로 시험 본 결과, 3.37의 평균차로 유의미한 성취도의 차이가 나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항지에 대한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왔다. NCTM과 7차 교육과정에서는 타교과나 실생활과의 외적 연결성을 고려하는 수업에 대해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타교과 중 기술·가정과의 제도 단원과 수학과의 작도 단원 사이의 연결성을 많은 학생들과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고 연결성을 고려하는 작도 수업에 대해 작도의 유용성을 느끼고 흥미를 느끼는데 있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결성을 고려할 때, 학생들은 작도가 실생활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느끼고 의미있게 받아들이며 더 나아가 수학을 실생활과 동떨어진 교과가 아닌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기본 원리로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수학의 실용성을 느낌으로 수학을 배우는데 있어 동기부여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수학의 여러 단원들과 타교과 또는 실생활과의 연결성을 고려한 수학 지도방안이 필요하고 그 한 방안으로 타교과나 실생활과의 연결성이 고려된 문제들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 작도 문제를 제안하고 이 문제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았다. 이에 대해 제도에 기초한 실생활적인 작도 문제를 가지고 실제 작도 수업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도방안의 연구와 이렇게 지도하였을 때, 학생들이 작도에 대해 단순 순서 암기 이상으로 작도를 풀어야 될 문제로 받아들이고 작도에 대한 유용성과 흥미를 느끼며, 작도를 실생활에 잘 적용할 수 있는지 혹은 작도에 대한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One of the major problems with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is to emphasize its theoretic aspect too much. Thus it looks so strict to students that they consider it as distant from everyday life and far from meaningful in real life. A solution to this prejudice is to bring out mathematical connections in classrooms. Mathematical connections mean mathematical concepts are incorporated with other subjects in educational procedures. I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in terms of the subject which is connected with math: internal connections and external connections. The former is the connections within mathematics. In turn the latter is th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or other educational procedures. In this thesis, we can see the external connections with other subject in junior high school: home and technology. There have been few reports that show the external connections between math and home and technology compared with some with other subjects like music, art or science. In fact it seems that the construction in math and drawing in home and technology are related in meaningful way. This thesis will focus on three questions as below. 1. How are the content of construction in math and that of drawing in home and technology related? 2. How much do the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the connections between construction and drawing? 3. Can students connect construction with drawing in solving problems in classes and real life? First, comparing construction with drawing, we can find some differences. In the subject of home and technology, they use the term, ichnography for construction. As to tools that are used in each class, people use only a ruler and a compass for mathematical construction. But for drawing people use various tools. If you study what is covered in each class, several things from construction are also found in drawing class: the construction of bisector of an angle, perpendicular bisector of a line, parallel lines, triangles, and so on. In regards to teaching approaches, construction classes are taught on the theoretical basis while drawing classes are taught on the practical basis. Second, 60% of students and 80% of teachers accept that construction and drawing are connected. However many teachers answer whereas they know they should increase the usefulness of construction through classes, they do not realize that in real classes. Students answer they do not feel the necessity of construction in math classes. 80% of teachers agree with the suggestion that teachers apply the connection between construction and drawing to their math classes. 60% of teachers say the test questions from drawing should be transformed into suitable questions to math classes. About the question of construction which is useful in real life and connected to drawing at the same time, 21.7% of students say they do not like it and it does not help them solve problems in real life. 36% of students say this kind of questions will help them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drawing. 83.5% of teachers respond this try based on the connection of the two is good and 85% of them say they will use this kind of question in the math class because it can give the usefulness and interest to students. In general teachers like this try to use the connection because students will think construction and drawing are connected and construction is useful in their daily lives. Third, students were given two tests. One consists of common construction questions and the other is made up of construction questions based on drawing and real life. The test results show the average score from the test based on drawing and applied to real life is lower than from the other test. 7th curriculum has encouraged teachers to make classes connected to other subjects or real life. This paper shows that many teachers and students realize that construction unit in mathematics and drawing section in home and technology are connected. It can be said that classes using the connections of two subjects more appeal to students. In addition this positive response can lead to more meaningful change of their thinking: mathematics is not a subject isolated from real life, but a subject based on principles which we can see every day in their lives. Teachers should study more to find out specific ways to bring practical construction lessons to math classes. Then this effort can make students know that construction questions are interesting, practical, and applied to their daily lives in meaningful way.

      • 한국정부초청장학생사업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아프리카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창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한국정부초청장학생 사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이론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11개의 독립변수에 관하여 관련 장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t검증, F검증, 회귀분석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분석과 t검정 및 F검증결과, 설문의 응답자들은 대체로 남성임을 보여주어 아프리카의 남성위주의 사회의 모습이 한국정부초청장학생의 선발과정에서도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성별에 따라 각 질문에 대한 응답이 다른 것을 보여주었는데, 남자들이 여자보다 높은 수준의 응답을 보여주었다. 게다가 국가별 평균차이 검증을 통해 대체적으로 케냐가 다른 아프리카의 국가에 비해 전공과목에 대한 영어강의를 더 희망하며, 다른 응답에서도 대체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응답을 보여주었다. 이는 케냐가 현재 아프리카에서 발전된 국가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회귀분석 결과, ‘근대경제발전경험’, ‘한국 국가위상’, ‘ICT 기술활용’, ‘교육수준’이 한국정부초청장학생사업의 만족도에 유미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유의미한 영향요인들의 영향력의 정도는 ‘교육수준’, ‘ICT 기술활용’, ‘근대경제발전경험’, ‘한국 국가위상’,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 외에 ‘한국 국민성 이해’, ‘자기비전과 전공연계’, ‘전공영어강의과목 확대’, ‘튜터제도’, ‘상호협력 이해’, ‘기술공유’, ‘역할분담’과 같은 변수들은 사업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곧 아프리카 장학생들이 한국정부초청장학생사업의 참여를 통하여 아프리카 국가들이 우리나라의 과거 경제발전 성공경험은 물론 그를 통한 한국국가위상이 높아지고 전자정부 기술을 포함하여 ICT기술활용의 우수성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교육수준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오늘날의 한국정부초청장학생사업은 적어도 아프리카 장학생들을 더 많이 유치하고 그들을 통하여 동 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4가지 분야의 실효성 제고 노력을 더욱 더 경주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노력은 기존의 정부초청장학생사업 선도국가들과 경쟁해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한국만이 가진 독특한 경험과 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동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요인이 될 수 있음도 시사한다. 아울러 지금까지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한국정부초청장학생사업을 통하여 한국의 근대발전경험을 장학생 국가들과 실질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주어야 한다. 현재 GKS사업의 장학생들은 입국 후 한국의 발전현장을 일률적으로 방문하게 하고 있는데 이를 지양하여 기존의 간단한 오리엔테이션위주의 기초 교육에서 더 나아가 장학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커리큘럼을 개설, 자립정신과 현장을 연결하는 실제적인 교육을 시행하여야 하며 이러한 경우 대기업 중심의 보여 주기식 교육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한국의 중소기업과 연결하여 한국산업계를 근저에서 받치고 있는 기업들과 연계한 실무교육을 시행하여 아프리카국가들의 국가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주어야 한다. 둘째 한국의 국가위상에 대하여 긍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는 아프리카국가들이 자국의 국가위상을 고양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직면하고 있는, 경제발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인 의존주의, 패배주의, 막연한 기대주의를 제거하고 자주적인 국가발전을 이룰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도 1960년대의 만연한 식민지사관으로 인한 ODA사업 수혜국에서 “잘살아보세”와 “하면 된다”라는 정신개조운동을 통하여 전쟁의 폐허에서 부흥·발전하여 ODA사업 공여국으로 전환한 경험을 상호 공유하게 해야 한다. 이로써 한국정부초청장학생들이 단순히 전공교육만을 받아 학위취득 후 이론 교육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이론과 정신 그리고 현장경험을 융합한 통합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셋째 한국의 ICT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GKS사업 장학생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운영해야 한다. 이 같은 네트워크를 한국과 수혜국간의 정보 네트워크로 활용함으로써 영국의 CSC(Commonwealth Scholarship Commission)가 추진하고 있는 영연방국가들과의 식민지적 지역 네트워크 한계성을 극복하여 전 세계 저개발 국가들을 아우르는 정보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아프리카 장학생들이 수학하게 되는 한국대학들이 개설·운영하고 있는 전공과목들에 추가하여 저 개발 국가와 연계한 과목들을 개설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과 수혜국간의 이론과 실습을 공유한 특별 커리큘럼을 설치함으로써 기존 KOICA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2년제 봉사프로그램의 약점을 보완하여 줄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분석과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면담조사결과 적극적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what elements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Global Korea Scholarship(GKS) programs. Relevant materials and previous survey reviews produced 11 independent variables which were used in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ith scholarship students.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and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d F-test, respondents were answered mostly by men; this reflects Africa's androcentrism and this androcentric inclination appeared in the procedures of recruiting African scholarship students. As well, the answers given by men were more specific and different from those of women. Students from Kenya, in the verification of average difference, expressed much stronger preference for English-spoken classes for their majors than other African students of different nationalities. And these Kenyan students showed less satisfaction in overall variables than the other students. Kenya's higher economic development level than other African counterparts and its status in Africa might be the causes of stronger preference for English-spoken classes and lower satisfaction. In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modern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Korea'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utilization of ICT technologies and level of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s upon the satisfaction about GKS. The level of education was most influential component followed by the utilization of ICT technologies, modern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and Korea'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In the meantime, the other variables such as understanding about Korean mentality and individual vision vs. major and expansion of English-spoken classes, tutoring, understanding about mutual cooperation, sharing of technologies and role allocation were not significantly meaningful satisfaction components in the statistics. These analysis results disclose that the African scholarship students are outstandingly influenced by Korea's past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uplifted national status, e-government technologies, excellent utilization of ICT infrastructure and higher education levels. As a result, GKS needs to advance the above four components' effectiveness so that Korea can recruit more African scholarship students and develop the program's effects. These efforts contain and represent Korea's own unique experiences as well as characteristics which Korea can use as sustainable growth engines to compete and gain the upper hand over other leading government scholarship program managing countries. The present study can draw below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GKS need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African scholarship recipient countries to practically share Korea's modern economic development experiences with Korea. Upon arrival in Korea, international scholarship students are usually given opportunities to visit and see industrialized places as part of regular visit programs. This monotonous visit program and quick orientation event need to be replaced by detailed curriculum and programs for self-dependence development and on-the-site,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Instead of showing the scholarship students around international conglomerates, giving opportunities for them to access and experience working-level knowledge at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ill help them raise their home countries' position in the world market. Second, African countries that have positive sentiments about Korea should come out of reliance-dominated mentalities, defeatism, and illusory opportunities and become more self-dependent so that they can achieve economic development. For this, GKS needs to encourage and help the African students share Korea's determined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movements started in the 1960s. In those days, colonized attitudes and frustrated mindsets were rampant among the people and the whole country was covered by ashes of war and had to be aided by 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 country could develop and prosper and finally became ODA-donor.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 experiences were based on the whole nation's mental transformation and slogans like Let's escape from poverty and We can do it. These experiences should be shared with African students. That is to say, converged, integrated education opportunities including theory, changes of mentality and on-the-site experiences are needed for the government scholarship students who are exposed only to theory-dominated major studies and degrees and , in due time, returning to their home land. Thirdly, Korea's ICT-based GKS students' global networks need to be established and managed. This suggested, Korea vs. recipient countries' organization can play a role as excellent tool to construct information infrastructure encompassing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LDCs), unlike UK's CSC(Commonwealth Scholarship Commission)which is operating its colonized territories-centered international students' networks. Fourthly, Korean institutes where African scholarship students are studying should add least developed countries' development-relevant subject which includes both theory and practice to existing major subjects in order for both institutes and students to manage special curriculum and strengthen the weakness of KOICA's current 2-year volunteer programs. Lastly, there are some other less statistically influential components found in the process of analysis but, as a result of interview investigation, which deserve positive review. Among them is the less activated opening of English-spoken class for scholarship students within universit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recommendable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GKS recipient countries where students can learn and practic

      •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 개발

        김주연 부산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이 행복 수업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을 통해 생길 수 있는 긍정적 변화를 염두에 두고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 을 개발하여 이를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행복 수업은 정서적 행복감만을 느끼는 수업이 아니라, 행복이 무엇인지 알고 실천하는 학습의 과정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긍정심리학 기반의 행복 학습을 위한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내적, 외적 타당 화를 거쳤으며, 이후 최종 수업설계 모형을 확정하였다. 초기 수업 설계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긍정심리학과 주요 변인을 확인하였다. 그리로 이를 개념적으로 구조화하여 행복 수업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행복 수업모형의 수업설계 원리와 수업의 절차를 분석하였으며 이 과 정을 거쳐 행복 수업의 초기 모형을 ‘수업의 구성요소’, ‘개념모형’, ‘절차모형’으로 제시 하였다. 초기 모형의 내적 타당화를 위해서는 전문가 타당화와 사용성 평가를 거쳤다. 전문가 타당화를 위해 총 10명의 전문가가 3차례에 걸쳐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검증하였다. 전 문가 타당화를 거친 수업설계 모형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 특수교사 5명이 사 용성 평가에 참여하였다. 이후 수업설계 모형의 외적 타당화를 위해 현장 적용 평가 실 시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특수교사 1인과 2학급 소속 7명의 지적장애학생이 참여 하였다. 다음으로 교수자 반응 평가를 실시하여 교사의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 정도를 알아보았고 행복 수업에 참여한 지적장애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면담을 통해 행복 수업 후 학생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긍정심리학 기 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을 적용한 행복학습 후 지적장애학생 7명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 도가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면담 분석 결과,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의미 발견’, ‘수 업을 경험하며 가지게 된 행복에 대한 관심’, ‘친구의 감정에 대한 이해’, ‘일상생활에서 초기 모형의 내적 타당화를 위해서는 전문가 타당화와 사용성 평가를 거쳤다. 전문가 타당화를 위해 총 10명의 전문가가 3차례에 걸쳐 초기 수업설계 모형을 검증하였다. 전 문가 타당화를 거친 수업설계 모형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 특수교사 5명이 사 용성 평가에 참여하였다. 이후 수업설계 모형의 외적 타당화를 위해 현장 적용 평가 실 시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특수교사 1인과 2학급 소속 7명의 지적장애학생이 참여 하였다. 다음으로 교수자 반응 평가를 실시하여 교사의 수업설계 모형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 정도를 알아보았고 행복 수업에 참여한 지적장애학생의 사전-사후 검사, 면담을 통해 행복 수업 후 학생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긍정심리학 기 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을 적용한 행복학습 후 지적장애학생 7명의 행복감과 삶의 만족 도가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면담 분석 결과,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의미 발견’, ‘수 업을 경험하며 가지게 된 행복에 대한 관심’, ‘친구의 감정에 대한 이해’,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최종 수업설계 모형은 5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설계 원리, 26개의 상세 지침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지적장애학생의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은 지적장애학 생의 행복 수업을 설계할 때 ‘긍정심리학의 핵심 요소’, ‘지적장애학생의 행복 역량 개 발’, ‘생활 맥락 중심’, ‘안정적 환경’, ‘과정 중심 평가’를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 다섯 가지 구성요소는 회기적, 유기적으로 순환하고 있다. 또한 긍정심리학의 핵심 요소 인 강점의 인식과 정서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활용하여 지적장애학생의 행복 역량을 개 발하기 위해 수업에서 제공되는 맥락이 일상생활 중심이어야 한다는 점과 행복 수업 시 간에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행복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관점 바꾸기와 몰입하기, 관계 증진 활동을 한다. 교사는 지적장애학생이 행복 학습을 하는 동안 나타나는 변화와 성장 과정을 관찰하고 수집하여 적극적인 피드백을 학생에 게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학생의 긍정심리학 기반 행복 수업설계 모형은 수업의 성취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과정 중심 평가를 계획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수 업의 설계 원리는 구성요소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돕는 다. 상세 지침은 설계 원리를 어떻게 활용하고 적용해야하는지 알려주는 구체적인 지침 의 역할을 한다. 최종 절차모형은 크게 3단계로 나누어지며 단계별로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절차 모형은 크게 분석, 설계 및 개발, 실행 및 평가의 세 단계의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분석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학습자(지적장애학생), 교수자 분석이 이루어진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학습 목표가 재구성되고 수업 평가 설계와 행복 수업설계 및 개발 단계로 나뉜다. 실행 및 평가 단계에서 행복 수업의 실행과 지적장애학생의 과정 중심 평가, 교 수자를 위한 수업설계 평가가 이루어진다. 수업설계 평가는 분석과 설계 및 개발단계를 다시 거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들이 행복 수업을 실제 수업에서 손쉽고 용이 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행복 수업을 계획하는 수업설계 지도안을 절차모형에 따라 개발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업설계 모형의 의미와 실행, 적용의 필요성, 기대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행복 수업을 제도적 변화 없이 즉 시 실시할 수 있다는 데 장점이 있으며 지적장애학생이 스스로의 행복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였으며, 행복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삶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했다 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행복 수업모형은 다양한 교과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수 업설계 모형의 이론적 지식 기반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초등학생의 생활습관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서효민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우리사회는 경제성장과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민의 일상생활은 편리해졌지만 그 환경과 비례하여 우리 아동들의 생활습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컴퓨터의 보급 및 TV 등으로 좌식 생활이 많아지고, 실외 놀이 문화보단 실내 놀이 문화가 발달하여 과거에 비해 운동량이 매우 감소하였으며 학교 교과과정에서 체육시간의 축소 및 체육활동 공간의 협소화로 인하여 비 활동성 생활형태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와 생활습관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 소재의 0초등학교 재학 중인 215명(남학생 108명, 여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생활습관을 조사하고 체력검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0.0을 활용하여 t 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생활습관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생활습관의 하위요인 중 운동생활습관은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의 생활습관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운동생활습관은 체지방률, 심폐지구력, 근력, 유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의 생활습관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식생활습관은 체지방률, 심폐지구력, 근력,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력은 평생 건강의 밑거름이며,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 및 체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생활습관의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만을 예방하고, 균형 잡힌 신체발달을 위해서는 자신의 몸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올바른 식생활과 개개인이 자신에 맞는 운동 강도의 스포츠를 장기간 지속적이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생활화 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s weakening and promoting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lifestyle survey of the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identify the factors through lifestyle and physical enhancement of guarantee the growth in the next healthy and wanted to work with the stamina of defectors to schools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of children, and active, improving your stamina for a variety of programs and development going to help in coaching methods. Chung-ju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material of A elementary school student be subject to sampling, were selected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the collaboration of purpose and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for each student fully explain and agreed upon recently conducted a survey by the union. In a reply from the lack of coherence, the omission on their destination in the recalled on cramped, the reliability, including that there was no reason to be some except the questionnaire a total of boys data analysis used in the girls. In this study is an evaluation on Health Related Fitness, according to method of assessment of measured as follows.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le strength, flexibility is an evaluation of the three factors to measure and Body Composition, was assessed a paps by examining the reasons for rate tables on physical water supply because of their body fat. The data collected spss correlation analysis, implementation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duced this acquired by utilizing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differences in lifestyle but what we can figure, sports lifestyle appeared, girls, and higher than male students of lower on the lifestyle factors. Second, male lifestyle are physical exercise in the effect on lifestyle is body fat percentage, his heart and lung endurance, strength, flexibility in any meaningful to rub off on appeared. Third, the girl's life and the physical fitness habit in dietary habit is the effect on body fat percentage, his heart and lung endurance, strength, flexibility were shown to affect. Taken together, physical strength is the foundation for lifetime health and on results, growth period,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health and strength of the formation of a healthy lifestyle by something important. Prevent obesity, and accurate picture to physical condition is caught and physic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