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하지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고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는 학교도서관 운영 시 각종 사안의 심의를 위해 운영했던 학교도서관 관련 위원회를 통합한 것으로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 기구가 될 수 있다.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운영현황 관련 문항,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각 구성 위원들의 기대 역할과 실제 역할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 관련 문항, 그리고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필요성 관련 문항 등으로 구성하였다. 기본적인 기술통계를 중심으로 운영 전반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적인 개선방안을 논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운영 및 구성은 학교도서관진흥법 및 각 지역교육청 학교도서관 계획의 규정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응답자 중 94.9%가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고 필수위원인 위원장, 부위원장, 교사위원, 학부모위원의 구성율은 80% 이상으로 주로 필수위원으로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필수위원이 아닌 외부위원과 학생위원은 선택적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학생위원을 위촉하는 경우가 매우 적어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각 위원들은 각자의 위치 및 전문성에 맞추어 기대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기대역할에 비해 실제 수행하는 역할이 매우 소극적이며 참여와 관심이 적다. 특히 학부모위원, 외부위원과 같은 학교 외 구성원에 비해 위원장, 교사위원과 같은 학교 내 구성원의 역할 수행점수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외부위원을 구성함으로써 학교도서관 운영에 객관적 의견을 반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교 내 구성원의 참여와 관심을 통해 내실화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운영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운영에는 학교장과 교사들의 협조와 관심부족, 복잡한 회의 절차 등 다양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설문조사를 통해 다양한 이용자집단의 의견 수립과 공정한 의사결정을 위해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가 학교도서관 운영에 반드시 필요한 기구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 및 필요성에 관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세 가지 골자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각 위원을 위한 학교도서관 운영 및 자료선정에 관한 교육연수를 실시하고 관련 자료의 배포하는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의사결정에 대한 공정성 및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외부위원 구성을 권장하고 교육청 단위별 협력체계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운영방침 개선 및 지역별로 일관된 규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학교도서관,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to find subjects to be improved, and establish a plan. A questionnaire survey was provided to library staffs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are developed to identify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the performance of the committees’ each member, and the requirement of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and organization of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is administered by the School Libraries Promotion Act and the regulation of the school library plan of each local Ministry of Education. 94.9% of the respondents have organized and operated a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committee. More than 80% of the committee is organized by chairperson, vice chairperson, teacher and parent committee member, and these primary committee members operate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External committee members and students are selectively organized; but, since the case of student’s appointment is very low, it is necessary to be improved. Second, it is important for each member of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to conduct their responsibility based on each member’s position and professionalism. However, their performance is less than the expected role as the school library staff, and each member’s tendency of participation and interest is low. Specifically, it is found that the performance scores of school staff such as member of teacher were lower than those of outside members such as member of parents and external member. It is also important to reflect the objective opinions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library by organizing external committee members. But,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should be enriched to operate through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members in the school. Third,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i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however, it is an essential organization to formulate opinions of diverse user group and to make fair decision in operating school library. There are various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such as lack of coordination and interest from principal and teachers, complicated meeting procedures, etc. However, through the survey, it is concluded that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is essential organization for school library operation in order to establish opinions of various user groups and to make fair decisions.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ducted survey, this study suggested following improvement plans. 1) Provides training education and guideline for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members to operate and select library materials. 2) Recommends the requirement of external committee organization and cooperation system with Ministry of Education to ensure fairness and objectivity for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s decision. 3) Improves the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ttee policy and prepares comprehensive regulations by local districts. keyword: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Steering Commiittee

      • 경기도 학교도서관 운동의 내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시민단체 활동을 중심으로

        정원임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도서관 운동은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전환기를 맞아 교육 환경 개선과 교육개혁에 대한 범국가적인 관심과 열망이 시민단체의 적극적인 사회참여 방법의 하나로 표출된 것이다.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계기가 된 경기도 학교도서관 운동의 내용과 특성을 학교도서관 운동의 지역별 운동 시기인 학교도서관 운동 형성기, 민간 협력 단계인 확산기, 전국적인 조직으로 결실을 보게 된 결산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교도서관 운동이 학교도서관 현장에 끼친 영향을 학교도서관 변화의 추이를 통해 파악 하고자 했다. 시민단체가 국가의 학교도서관 정책에 대한 감시와 비판 등 시민단체 운동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였는지 살펴보고, 시민단체에 의해 주도된 학교도서관 운동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 봄으로서 앞으로의 학교도서관 운동의 가능성과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경기도의 각 지역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시민단체들의 자발적인 학교도서관 운동은 경기도 전체의 학교도서관 운동 연합체로써 발전되었고, 나아가 전국적인 규모의 범국민적인 운동으로 전개 되었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2002년 교육인적자원부의 학교도서관 정책 수립으로 연결되었으며 2003년부터는 전국적으로 교육인적자원부의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이 시작되면서 우리나라의 학교도서관은 양적, 질적으로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였다. 무엇보다 학교도서관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부각시켜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학교도서관을 후원하는 지원 세력을 확보함으로 학교도서관 환경을 개선하고,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가시적인 정책과 시행, 학교 사서 교사 임용 등은 이 운동의 핵심적 성과로써 시민단체가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한 조직적 현장 실천 운동의 좋은 사례를 남겼다. 시민단체에서는 그간 중단되었던 학교도서관 운동에 대해 다시 한 번 점검 해 보면서 변화된 학교도서관 현장이 가지고 있는 현안 문제점들을 찾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역할과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계에서도 현장 지향적인 입장과 자세로 학교도서관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전문적인 지도력과 현장 실천력을 통해 적극적으로 학교도서관 운동에 참여해야 할 시기임을 제언한다. In the era of information society, the whole nations' interest and thirst for the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and education reform have been expressed in an active way of society participation as a form of school library movement. This study divided the substances and traits of school library movement which served as a momentum for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enterprise. There are three stages. First is a formative period in which the movement was conducted at each local area, second is a spreading period in which private organizations cooperated, and third is a settlement term in which it formed a nationwide organization. By observing the change of school library, this study grasps the influence of this movement to the field of school library and inquires into how the civic groups watched and criticized nation's school library policy. By figuring out the accomplishments and limits of civic groups led school library movement, this study tries to fine the possibility and strategy of future school library movement. Civic groups's spontaneous school library movements at each Gyeong-Gi area formed a union of a whole Gyeong-Gi province, and furthermore, developed to be a nationwide movement. With the help of these activit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brought forth school library policy in 2002. And as the Ministry launched nationwid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in 2003, school libraries in Korea advanced rapidly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met another era. Above all things, civic groups brought into relie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chool library and secured supportive force. These effort paved the way for school library to improve its environment and do the proper duty. And government's effective policies and appointment of school librarian teacher were the core achievements of this movement and these made good instance of spot movement, led by civic groups and supported by government. Civic groups ought to check once more about the school library movement which has been suspended meanwhile. It should find out pending issues and try to find a new role and plan to solve them.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field and library field also need to be concerned about school library movement in spot-oriented attitude and ought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is movement with professional leadership and executive faculty.

      • 학교도서관의 학부모 자원봉사자 활동에 관한 분석적 연구 :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윤명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도서관의 학부모 봉사자 현황을 파악하여 활동실태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학부모 도서관 봉사자의 구체적인 활동실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내용의 결과를 크게 다섯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광역시 205개 초등학교 중 33개교를 제외한 나머지 172개교에서 학부모 도서관 봉사자가 활동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 학교의 평균 활동 규모는 42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주 활동시간 대는 가장 이용자가 많은 오후만 봉사한다는 응답이 55.6%로 과반을 넘었다. 그리고 일일평균 봉사활동 시간은 평균 3시간 정도이며, 한달에 2.3일 도서관에서 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도서관 봉사자가 활동을 신청하게 되는 계기로는 자녀를 도서관으로 유도하여 책과 친근하게 하고 독서습관을 길러주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58.4%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가장 낮은 비율이긴 했으나 봉사활동시간 확인서의 발급은 자원봉사센터에서 마일리지 통장에 적립하여 줌으로 해서 향후 이용가치로 보았을 때, 앞으로 자원봉사를 지원하게 되는 또 하나의 매력으로 부상하지 않을까 기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 학부모 도서관 자원봉사자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명칭의 정착이 가장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명칭이 지역마다, 관공서마다, 학교마다 다 제각각으로 통일되지 못했다는 것은 이 조직이 아직 뿌리를 내리지 못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따라서 학부모 도서관 봉사자가 특히 초등학교에 안정적으로 정착이 되려면 적어도 ‘녹색어머니회’처럼 그 명칭부터 하나로 통일되어야 하겠다. 셋째, 학부모 도서관 봉사자가 가장 많은 학년은 단연 1학년과 2학년 학부모로 두 학년을 합하면 58.2%로 반 이상을 차지했다. 그리고 도서관담당 (사서)교사의 입장에서 이들 학부모 도서관 봉사자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학교도서관 업무지원 시스템인 DLS 작동의 미숙 및 전문성 결여(37.6%)를 꼽았으며, 지각 등 전반적인 봉사의식의 결여(24.7%)도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이 조사되었다. 반면 학부모 봉사자의 가장 큰 기여도는 누가 무엇이라 해도 부족한 인적자원을 대체하여 학교도서관의 원활한 운영(84.7%)임을 1순위로 꼽아 역시 우리학교도서관에서 지금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가 무엇인가를 알 수 있게 하는 단면이기도 했다. 넷째, 대구광역시 초등학교도서관의 평균 규모는 교실 크기를 기준으로 2.2칸 정도 되었으며, 평균 장서량은 11,300권을 넘어서고 있었다. 초등학교도서관의 대부분의 이용자는 당연히 학교의 실지 주인인 학생이겠지만 최근에는 평생교육과 학습의 장으로 학교가 개방되는 추세여서 학부모는 물론 지역주민의 이용도 일부학교는 활발히 이루어고 있었다. 그러나 좀 더 크고 넓게 학교도서관 문이 지역의 중심문화센터로 열리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 학교도서관의 위치가 관건일 것이며,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전담인력의 확보라 하겠다. 그 연후에 일반이용자도 자료를 풍부히 활용할 수 있게끔 일반서적도 보충되어야 할 것이며, 지역주민 역시 이용자이자 봉사자로 도서관 운영에 참여를 할 때 비로소 진정한 지역의 열린 문화센터화로의 면모가 갖추어 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21세기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자를 육성하기 위해서 학교도서관이 해야 할 일은 많고 무겁다. 그리고 그 중요성이 인정되었기에 학교도서관 활성화 5개년 사업이 발원되고 지금 그 마무리 단계에 온 것이다. 하지만 도서관의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은 누구라 할 것 없이 전문적인 전담인력의 배치가 시급함을 알고 있다. 따라서 하루빨리 전담인력이 배치되고 사서(교사)가 보다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라도 학부모 도서관 봉사자의 활성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21세기의 스스로 학습하는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학생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와 학부모 도서관 봉사자의 양축의 장단이 부드럽고 활기차게 맞물릴 때 수레는 신나서 달리게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realities of parents voluntary workers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gu by understanding the present situation of them, and to present the ways which can be used for revitalization of school libraries by analyzing the specific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Therefore, the following 5 major findings can be got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1. 180 schools out of 205 elementary schools in Daegu, except for the other 25 schools, have parents volunteer workers in their libraries. Also, according to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it says that these schools have 42 volunteer workers on average, and more than half, 55.6%, of the people polled answered "Volunteering only at afternoons when the library has the most users" for the question of the main working hours. And average volunteering hours were about 3 hours a day, and 2 or 3 days a month. 2. The question on the motivation for applying for parents volunteering in libraries had "to introduce the children to libraries for making them have a habit of reading books by their getting familiar with books" as the most-got answers(58.4%). Also, it can be anticipated that laying aside mileages on the mileage books for confirmation of volunteer works can be one attract for potential volunteer workers to apply for volunteering in the future, seen from the usefulness in the future. But, it can be found that the most urgent matter for getting parents volunteer workers for libraries with a stability was above all, a fixed name. The fact that the names for the volunteer works differs according to the region, the public office, and the school means that this system has not took hold. Therefore, for making parents volunteer workers in libraries continue volunteering with a stability, the first thing which should be done is making a new name uniting the different names. 3. School libraries had parents who had a lst-grader-child or a 2nd-grader-child as their main volunteer workers, and the two kinds of workers occupied 58.2%, more than the half. And the most serious problems of these parents volunteer workers in libraries, pointed by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library(librarians), were the poor working of DLS, the system for supporting the works in school libraries and the lack of the specialty(37.6%), and the general lack of the awareness for volunteering which can be seen from a late, etc. also occupied a high rank relatively. On the other hand, 84.7% of people who were polled chose "contributing to a smooth manage of a school library by filling up the vacancies" for the most contributing thing which parents volunteer workers brings, and it also indicated the most urgent matter which should be solved in the school library. 4. An average siz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Daegu was about 2.2 times of the size of a classroom and they had more than 11,300 books on average. The main users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are of course, the students who are the actual owners of the school, but, these days, because of the tendency of opening schools as a place for a lifelong education and learning, some schools already had many residents in the neighborhood as well as parents for their library users. But, for being the central place of culture in the local area, the urgent elements are the location and professional manpower of library. After fulfilling these elements it is needed to enlarge the reading materials for general visitors in libraries. And the general library user should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of library not only as a user, but also as a volunteer worker, then the library becomes really the opened cultural center in the local area. In conclusion, there are too many things to have to do for the college library to raise leading and creative learners for preparing of 21th century. And it is acknowledged the mission of library, that made to begin the project of activation of library in 5 years and it is now almost finished. However, people, who knows what is really fundamental problem of library in korea, demand to posit the educated librarian in school and local library. To Posit the specialized manpower in library and to achieve the librarians their own task,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volunteer system in library. The 21th century is the times to combinate the two side, the one is librarians and the others parents of students. If this combination is well mobilized, can run the vehicles of librarian and parents of students in harmony.

      •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에 관한 연구 : 김해지역을 중심으로

        남정숙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로서 향후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방문 또는 전화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도서관 지원의 개념, 유형을 조사하고 경남지역 및 김해도서관의 학교도서관지원센터 지원 현황과 김해시 지자체의 학교도서관 지원체계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 현황, 학교도서관 운영 현황, 학교도서관 지원 현황, 학교도서관 지원의 유용성 인식중심으로 조사하고 지원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조사내용을 좀 더 보완하기 위해 김해시청 교육도시육성과에 근무하는 전담인력과 김해도서관 지원센터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 및 전화 면담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웹 설문과 e-mail, 직접배포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설문분석은 기술통계량의 빈도분석을 기본으로 하여 필요할 경우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김해지역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지원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인적자원, 자료, 프로그램, 예산 및 행정체계 일원화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인력자원 측면에서는 지원기관의 업무의 과중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학교도서관 지원전담팀에 주제 전문 강사진도 체계를 갖춰서 합류시켜 새로 구성하거나 전담인력을 늘려서 배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은 상급기관에 요청하여 전문 인력 배치가 조속히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전담인력이 배치되지 않은 학교도서관을 위해서는 학부모 도우미 연수 기회 확대하여 실시하고 담당교사가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 수업을 경감시키거나 담임보직 대신 교과 전담 업무를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자료 측면에서는 학교도서관에 순회문고나 이동문고(꿈나르미 북버스)를 이용하여 단체로 대출하거나 도서관을 간접적으로 이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온라인종합목록을 제공함으로써 교과관련도서를 학교도서관이 구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경상남도교육청 통합공공도서관] 정보시스템의 상호대차를 이용하여 자료 확충 문제를 해결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전담인력이 배치된 학교도서관은 일부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데, 필요할 경우 모든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일방적인 프로그램의 제시보다는 협력의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실시될 수 있도록 지원기관은 학교도서관과 협의체를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점진적으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지역의 학교도서관과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사서협의체를 구성한다면 보다 높은 수준에서의 도서관 협력도 가능할 것이다. 넷째, 예산 및 행정일원화 측면에서는 학교도서관에 일관성 있게 충분한 예산이 편성된다면 사서의 전문성 발휘로 이용자의 만족도가 상승하고 학교도서관 이미지가 제고될 것이다. 지원기관의 독서동아리(캠프) 중복지원은 예산의 낭비를 초래함을 지적하였다. 학교도서관 예산 확보를 위해서는 상급기관에 지속적인 예산지원을 요구하고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장서 구축을 위한 학교의 자체적인 자료구입비와 운영비 등에 대한 예산 비율을 권장사항이 아닌 필수사항으로 정착화 시켜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school library activation project in the future by look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chool library support which is done by the domestic public library centered on the Gimhae city area and finding the problems in the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literature search, questionnaire survey, visit or telephone interview.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type of the library support, and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School Library Support Center in Gyeongsangnamdo and Gimhae library, and the school library support system in Gimhae City.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staffs, school library operation status, school library support status, and the usefulness of school library support. Based on the survey, research in respect of the problems in support and improvements was done. In order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survey, the study conducted a additional questionnaire and telephone interviews to the dedicated staff working at the Gimhae City Office of Education City Development Division and the librarian of Gimhae Library Support Center.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web questionnaire, e-mail, direct distribution, etc. and the questionnaire analysis was based on frequency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f necessa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problems that were derived from the support process for activating the Gimhae school library in terms of library staff, library materials, programs, budget and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system. First, in order to settle the heavy workload of the support organizations in the aspect of library staff, it is suggested that organized instructor should be joined in school library special support team so that the team is newly consisted or more personnel is disposed. The school library emphasized the need to ask senior institutions to make arrangements for professional staffing at an early stage. In the case of school libraries where no dedicated library staff are assigned, it is suggested that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parents' assistants be extended. If teacher is in charge of work, class needs to be reduced or subject specific work needs to be assigned instead of taking charge of homeroom teacher. Second, on the library materials side, the study proposed to borrow books in a body, or utilize library indirectly by using traveling library or moving library. Also the study proposed to provide the school library with the books related to the curriculum by providing the online union cataloging, and to solve the problem of library materials expansion by using internal borrowing and lending of the information system of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Public Library]. Third, in the aspect of the program, the school library where the dedicated workforce is located does not receive some programs, so the study suggests that it should provide support services to all school libraries if necessary. In order to be able to carry out the program in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rather than the presentation of one-sided program, the support organization suggested that a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y forming a Library Association with the school library. Gradually, it will be possible to cooperate with libraries at a higher level if Librarian Consultative Group is formed while expanding the network of school libraries centering around the public library.Fourth, in terms of budget and administrative unification, if the enough budget is consistently provided to the school library, the librarian's expertise will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and enhance the image of the school library. It is pointed out that the redundancy support of the reading clubs (camps) of the support institutions leads to a waste of the budget. In order to secure the budget for the school library, the people in charge should strive to demand and secure sustained budget support. In particular, the ratio of the library budget for the school's own purchase for the collection of books and operating expenditure should be set as a necessity, not a recommendation.

      • 학교도서관이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중학교 중심으로

        오경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6년부터 중학교 자유학기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모든 학생들에게 공평한 학습 환경과 문화공간을 제공하는 학교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사람들이 청소년 시기부터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이해하고, 나아갈 방향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자유학기제가 중학생들의 미래 진로 설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은 자명하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지역 중학교 4곳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학교도서관이 자유학기제 중심 활동인 진로 탐색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면적으로 확대 시행되는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에 학교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을 제고하고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운영 개선 방향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경기도 지역 두 곳의 학교를 선정하고 네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12월 16일, 20일에 예비연구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비연구를 바탕으로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4개 학교, 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종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진로 프로그램 지원이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로 관련 독서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 효과로 볼 수 있는 학생들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쳤고, 진로 관련 동아리 활동은 진로 호기심과 학교도서관의 장소적 기능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서 협력 수업과 진로 관련 도서 제공 보다는 진로 관련 독서프로그램 및 진로 관련 동아리 활동이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둘째, 사서 역할 인식은 학교도서관 인식인 이용성, 필요성, 여가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 탐색 수업 효과의 하나인 진로지식과도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장소적 기능이 학교도서관 인식 및 진로 탐색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도서관의 장소적 기능에 대한 인식은 학교도서관 인식 중 필요성, 여가성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진로 탐색 수업 효과 중에서 진로지식, 진로 호기심, 사회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 개인 특성의 영향으로, 남학생은 진로 호기심, 학교도서관 장소적 기능, 학교도서관 필요성인식에서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수준의 영향으로는 진로 탐색 수업 효과인 사회성과 학교도서관 인식인 여가성에서 경제수준 ‘상’인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및 사서의 역할 인식이 자유학기제 진로 탐색 수업 효과 및 학교도서관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밝힘으로써, 학교도서관과 사서역할이 진로 탐색 수업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As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s has been implemented nationwide since 2016,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school library, which provides a fair learning environment and cultural space to students, is attracting attention. The free semester system should influence positively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search, because people usually begin to understand their talents and aptitudes by themselves and to establish their future directions in their adolesc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chool library on the class activities for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which is the heart of the system, by a questionnaire survey in 4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Furthermore, We propose an enhanced role of school libraries and librarians for the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chool libraries for their revitalization. Before the main study, we conducted a pilot study with four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in two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ilot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91 students in four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s the main stud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mong various programs in school library for supporting the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reading program for career search influenced the students’ sociality, and the students’ club activities for career search influenced the students’ career-related curiosity and their awareness on school library as a place. Therefore, the reading program and the club activities influenced the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rather than the school library cooperative instruction and collection development for career search. Second,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role of school librarian affected usability, necessity and leisure identity which were types of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Furthermore, it also affected career-related knowledge which was a type of impact of career search activities. Third, the perception on the school library as a place affected not only necessity and leisure identity which were types of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but also career-related knowledge, career-related curiosity and sociality which were types of impact of career search activities. Fourth,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ores on career-related curiosity, perception on the school library as a place and necessity of school library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economic level, higher economic level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sociality and leisure identity than other groups. As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ve impact of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librarians on the career search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by a series of statistical tests, it has significance.

      •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효과성 연구

        김보람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사서교사의 증가로 인한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한 현 시점에서,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을 통한 학교도서관 활성화 및 사서교사, 교과교사의 역할 제고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탐색하고자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시범학교 및 연구학교로 부분 시행 후 2016년도부터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하에서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교사 및 학생 측면의 실행양상과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 향후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에서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 실행 시, 학생의 학습에 효과가 있는 요인들을 염두에 두고 수업을 계획, 실행할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 경험이 있는 전국의 중학교 교사들에게 설문 요청한 결과 83명의 설문지를 통해 73명의 표본을 얻었고, 광주광역시의 학생 130명의 설문지를 통해 112명의 표본을 얻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에서 수업형태별 사서교사, 교과교사 간의 실행내용의 차이와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 영역에 따라 실행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둘째,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형태에 따라 교사는 전문성, 창의성 측면, 학생은 동기유발, 자주성, 상호작용, 창의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수업형태에 따라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 문항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교사와 학생 모두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통계방법은,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형태에 따른 효과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했고, 수업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사용했다. 이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1.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에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 간의 실행 내용의 차이를 보면, 도서관활용교육은 사서교사가 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프로그램을, 교과교사는 교과 관련 학교도서관 활용학습을 더 많이 하였다. 진로교육에서는 2가지 항목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사서교사가 ‘사서 및 사서교사 직업 체험’과 ‘학업정보탐색·입시정보탐색·직업정보탐색 활동’을 더 많이 하였다. 독서교육에서는 ‘권장도서 읽기 지도’ 항목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고, 교과교사가 더 많이 실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서교사가 진로교육에서 정보탐색과 관련해서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확대에 따라 권장도서 읽기 지도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독서교육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2.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은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 영역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사와 학생의 수업의 빈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독서교육,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순으로 높았다. 앞으로 자유학기제 수업이 확대되면, 도서관 활용교육, 독서교육, 진로교육 영역 등 3가지 영역들이 보다 활발히 확대,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3.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수업형태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창의성,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효과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효과성을 알 수 있으며, 좋은 수업의 조건인 전달, 구성, 관계, 그리고 결과 요건을 모두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태도’부문의 평균이 다른 요소에 비해 높은 것을 통해 교사는 학습자의 이해 및 요구를 중시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진행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업의 계획, 진행 시 성실한 태도 및 자신감을 가지고 수업에 임함으로써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형태에 따른 학생의 동기유발, 자주성, 상호작용, 창의성,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효과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으며, ‘상호작용’ 영역에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것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인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과 관련해서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5.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형태에 따라 지식, 수행, 태도, 창의성이 교사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수업형태는 진로교육에서, 효과성의 요소는 창의성에서 높았다. 3가지 수업형태 모두 창의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앞으로 교사들이 창의성을 잘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준다면 교사들의 만족도가 증가될 것으로 본다.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실행양상을 통해 사서교사, 교과교사 간의 실행내용의 차이와 도서관활용교육, 진로교육, 독서교육에 따른 효과성과 만족도를 밝힌 연구로서, 향후 자유학기제에 따른 학교도서관 연계 수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독서프로그램이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하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도서관은 교육적 지원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학교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학교 교육과정과 통합한 교수활동 및 독서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독서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학교 교육활동의 주체인 교사의 협조와 인식은 중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을 직접 교수하기 때문에 그들의 교육사상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사가 학교도서관을 교수-학습활동의 중심지로 인식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독서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그 현상을 조사함으로써 학교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이 교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유형에 따른 차이를 밝혀내어 학교도서관에서 통제 가능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요인들은 학교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계획과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진행에 앞서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예비연구로 경기도의 현직교사 두 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24일부터 30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예비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9개 초등학교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독서프로그램이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교과연계 도움역할, 학교도서관 일반적인식, 교육지원 역할 요인 인식이 더 높았다. 둘째, 독서프로그램 참여 장소에 따라 교사의 인식차이가 있었다. 도서관에서 교과연계 프로그램을 참여한 교사의 경우 독서흥미유발 역할, 교과연계도움역할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독서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용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의 경우 학교도서관 일반적 인식, 문화여가역할, 교육지원 역할에 대한 인식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이용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능과 역할을 이해했다고 보인다. 독서 흥미유발 프로그램과 교과연계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의 차이점은 교과연계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의 경우, 독서흥미유발역할과 교과연계 도움역할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독서 흥미유발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의 경우, 교과연계 도움역할에서 단 한 항목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독서흥미 유발역할에 눈에 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독서프로그램 운영자의 전문성의 기준을 사서교사와 사서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사서교사가 운영자인 경우 학교도서관 일반적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식된 독서프로그램의 운영 빈도는 교사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와 같이 독서프로그램이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독서프로그램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개발 및 운영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은 학교교육을 지원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연계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증진시켜야 한다. 둘째, 독서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서교사는 교사와 협력해야 한다. 사서교사와 교사의 협의·협력을 통해 독서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개발된 독서프로그램의 활용방법이나 이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진행과정상 소통을 통해 요구를 파악 할 수 있으며, 각 급 학교 특성에 맞는 적합한 독서프로그램이 개발될 것이며 이용정도도 올라갈 것이다. 셋째, 독서프로그램의 접근성을 높여야한다. 독서프로그램은 언제 어디서든 활용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야한다. 교사들은 독서프로그램에 관심은 있으나 바쁜 업무로 인해 이를 활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 담당자인 사서교사의 적극성이 요구된다. 학교도서관을 총괄하여 운영하고 있는 사서교사는 항상 교육적 목표의식을 갖고 학교도서관이 교육적인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사서교사는 교사들과 소통해야 한다. 모든 관계의 시작은 소통이다. 사서교사는 학교 내에서 교육적으로 또한 사회적으로도 끊임없이 노력하여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실제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이 사서교사의 필요성과 소통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사서교사는 끊임없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사 혹은 외부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이를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독서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었고, 나아가 독서프로그램 통제요인을 파악하여 교사인식 개선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chool libraries offer curriculum-integrated teaching activities and reading programs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 of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Teachers are the subj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Their perceptions and cooperation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reading program’s operations. As teachers directly interact with students, their thoughts and perceptions on education have a direct effect on the students. This study seeks to reveal what factors are controllable by the school library. This is accomplished by investigating the teachers’ perception in the differences of school libraries by different types of their reading programs. The study also investigates what factors of the reading program influence on teachers’ perceptions revealing the differences to help teachers actively take part in using the school library by placing them at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urthermore, these factors anticipate the application of these programs to vitalize the use of the reading programs and their school libraries. The feasibility of the study was explored from July 24, 2018 to July 30, 2018 through in 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2 in-the-field teachers in Gyeonggi-do as preliminary research. Feasibility was examined through this preliminary research and was also used to generalize results. A survey of 2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9 different schools in Gyeongi-do was used to measu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hool library through the reading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reading program had a higher perception of the subject-related assisting role,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 educational supporting role. Second, the teachers’ perceptions differed depending on where reading program participation took place. Those who were in the reading interest arousing role and subject-related assisting role who participated in the subject-related program had a higher perception of the library.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different reading programs.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library support program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in their general perception, the culture and leisure rol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support role of the school library. This reflects their understanding of the library’s function through the use of the library support program. The difference of teachers who experienced reading interest arousing program and subject-related program was as follows: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subject-related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reading interest arousing role and subject-related assisting role, whereas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reading interest arousing program on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ne category of the subject-related assisting rol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ding interest arousing role. Fourth, the general perception level of the school library was higher when a librarian teacher operated the program resulting from analyzing the reading program operator’s expertise standard divided into the roles into librarian teacher and librarian. Fifth, the perceived reading program operating frequency did not affect the teacher’s percep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 through the reading program, the following 4 improvements are suggested, First, a read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with relevance to the curriculum.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characterized by the school education sup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ducational role of the school library by developing and operating a reading program that is linked to the curriculum. Second, librarians need to collaborate with the teacher to develop a reading program. Once a reading program is developed through the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of the two parties, understanding and the utilization method of the developed program will be high and the needs of the program will become known through communication processing. These needs include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program suitable for respective schools and an increase in program use. Third, the program accessibility should be increased. Reading program accessibility should be increased for it to be used everywhere at any time. Teachers are interested in the reading program, however, face difficulty utilizing it due to their workload. Therefore, accessibility needs to be increased by developing a diverse reading program that could be adapted anywhere at any time. Fourth, as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chool library, the librarian’s initiative is required. The library has overall control of the school library; hence he/she needs to devote their educational role by always having an educational purpose. The librarian needs to communicate with other teachers for this reason. All relationships start through communication. The librarian needs to put forth an endless effort to sustain the relationship within the school both educationally and socially. Through a survey, it was noted that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ed of the library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 librarian should always actively take part in communication, develop a reading program and learn the requirements of teachers or external sour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eachers’ school library perception differences through the different reading program types which were made. It suggests that the teacher perception improved by investigating the reading program controlling factor.

      •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교과연계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배경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ole of school libraries is also being redefined as the paradigm of education changes. Accordingly, the Education Ministry has proposed the promotion of convergence and connection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such as "improving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skill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linked to school curriculum," as one of the tasks under the third basic plan for promoting school libraries. As the Education Ministry said, the site of the school library is now in a period of qualitative change to expand human resources and be reborn as a Academic support center, the main purpose of the school library. Therefore, the school library now calls for the sharing of various cases to make the use of the school library a daily basis for convergence and connection cooperation classes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cooperation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by presenting examples of curriculum-linked cooperative instruction for all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ing a survey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one class in fourth and sixth grade. Through this research, the study aims to provide a measure for the qualitative leap forward and activation of school libraries.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nge in information literacy through the cooperation classes in the school library,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operation classes in the school library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use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after the cooperation class also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84.8 perc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library's cooperation class recognizes that it helps in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solving tasks. First of all, teachers' perceptions have changed the most. The negative reaction shown by teachers before the cooperative instructio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cooperative instruction, which resulted in the number of cooperative instruction conducted in the school library, the average participation rate per first class, the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subjects. Second, school library cooperation instruction have given teachers confidence and positive influence on class innovation. Third,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use rate and satisfaction in school libraries. In order to proceed and activate the desirable school library cooperation instruction, librarians (teachers) should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books that the school library has, should have a textbook and a teacher's guide, and need various and rich publications that fit the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pose librarians (teachers) to enable coope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to be implemented, and to change the perception among officials that coope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can only be conducted by librarians. 인공지능시대의 도래와 함께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역할도 재정립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을 통해 ‘교과 수업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으로 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신장’ 등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과융합・연계수업 추진을 과제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교육부가 밝힌 바와 같이 이제 학교도서관 현장은 인적 자원을 확대하고 학교도서관 본연의 목적인 교수-학습지원 센터로 거듭나야 하는 질적 변화의 시기로 접어든 것이다. 따라서 지금 학교도서관 현장에는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과융합・연계 협력수업, 정보활용교육을 일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사례 공유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S초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교과연계 협력수업의 사례를 제시하고, 이 가운데 4학년과 6학년 각 1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 진단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이 질적으로 도약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을 통한 정보활용능력 변화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초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수업 후의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84.8%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이 정보활용능력과 과제해결 등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초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시행한 교과연계 협력수업의 사례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교사들의 인식이 가장 크게 달라졌다. 협력수업 전 교사들이 보였던 부정적인 반응은 협력수업을 진행한 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진행 횟수, 1학급당 평균 참여 비율과 참여 교사 비율 증가 및 교과목도 다양화되는 효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교사들에게 수업 혁신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율과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바람직한 학교도서관 협력수업 진행과 활성화를 위해 사서(교사)는 학교 교육과정과 학교도서관이 갖춘 장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고, 학교도서관에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비치하여야 하며, 교육과정에 맞는 다양하고 풍부한 출판물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사서(교사)의 적극적인 제안이 필요하며,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사서교사만 할 수 있다’는 관계자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 고등학교 구분에 따른 학교도서관 이용특성과 요구분석

        주민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서울지역 고등학교 중 일반고, 특성화고, 혁신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이용특성을 조사·분석하고 고등학교 구분별로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학교도서관 이용특성을 비교한 결과 학교구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혁신학교가 일반고와 특성화고에 비해 도서관 이용빈도가 높고, 읽고 싶은 책이나 자료를 얻는 곳으로 학교도서관을 활용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또, 혁신학교 학생들은 학교도서관의 역할, 자기주도 학습 효과, 학습성취 지원 효과 등 학교도서관 인식도에서 일반고, 특성화고 학생들에 비해 긍정적 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혁신학교가 일반고·특성화고와 다른 수업운영방식의 특징과 연계된다고 보여진다.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주제를 선정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중시하는 수업추구 방식이 학습자 중심의 배움을 일으키고 학교도서관이 교수-학습 지원센터로서의 역할을 어느정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교도서관 전담인력 유·무에 따른 이용특성 비교결과 전담인력이 있는 경우 학교도서관 이용빈도가 더 높고 도서정보나 학습과제등 관련정보를 얻기위해 선호하는 장소로 인터넷 다음으로 학교도서관을 선호하였다. 또, 전담인력이 있는 학교의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의 효과나 유익성에 대해 높은 인지도를 보이지만, 반면, 학교도서관이 다양한 종류의 자료를 제공하고, 자료를 찾고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가르쳐 주는 정도에서 효과성이 전담인력과 상관관계가 없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사서(교사)는 학생들에게 독서활동 경험과 단순한 기능의 정보탐색의 역할에서 벗어나 더 전문성을 가지고 심층적 정보활용, 체계적으로 지식을 축적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것이다. 학교도서관 이용자 요구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 자료와 관련하여 모든 유형의 학교가 다양한 자료 구비와 필요한 도서나 자료의 최신성과 신속성을 요구하고 있다. 도서관 활용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일반고와 특성화고에 비해 혁신학교의 필요지수가 더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에서 학교도서관이 제 역할을 담당하고 이용자로부터 필요성을 인식하게 할 수 있도록 중점을 두어 개선할 사항에 대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종류의 장서구비와 최신화를 위한 예산 책정이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 전담인력 배치와 전담인력의 전문성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고등학교의 특성으로 인하여 진학·입시 관련 장서와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필요한 정보를 즉시 얻을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춘 도서관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일반고는 입시위주의 학습환경에서 다양한 스펙을 쌓기 위한 프로그램을 희망하면서도 학업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이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학교도서관 시설 구축, 프로그램 다양화, 학습과 독서를 병행할 수 있는 환경 구축등이 요구된다. 다섯째, 특성화고에서 중점을 두어야 하는 부분은 학교도서관에서 휴식도 취하고 취업을 위한 정보제공이나 스펙을 쌓기 위한 프로그램 지원 받기를 희망했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을 쉼과 문화가 있는 공간으로 시설구축 및 취업상담과 정보활용교육 활성화 One-Stop 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혁신학교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학생중심의 교육활동 확대를 위한 도서관 연계수업 활성화이다. 교과와 관련한 주제중심의 정보활용교육을 통해 학습과제를 해결하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지식의 폭이 확대되고 축적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원의 장으로 학교도서관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