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도시 오픈스페이스(Open Space)의 물리적 요소에 따른 보행만족도 변화 : -서울시내 3개 주요 광장을 중심으로-

        이하정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has firstly started from the simple question in a view of a pedestrian that we want to walk or stay somewhere which is unconsciously and unintentionally perceived and determined. A Gwanghwamun Square, built under the municipal urban environmental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has been used for various cultural events, social/political gatherings by particular interest groups, and sometimes pan-national gathering purpose. Seoul Square and Cheonggye Square, being operated and managed under Seoul municipal government as well as Gwanghwamun Square, have been specially recognized by citizens featured with its location, historical background, social recognition and other multiple factors despite it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As our daily place excluding its extraordinary nature of these squares,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 question that those squares are where we want to walk and stay and they are places to naturally lead the steps of pedestrians. It was remarkable that these places seem isolated rather than being harmonized as a public space excluding significant events such as peaceful gatherings or world cup cheering. Therefore, I thought its main cause is coming from internal/external physical characteristics featuring Gwanghwamun Square and finally hypothesized that walkability of the pedestrian is influenced by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in open space with a logic of the research as follow. Firstly, advanced research on pedestrian’s walkability will be studied, and key factor securing walkability of urban open space will be comprehended. Secondly, phys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walk space and environment will be comprehended and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be verified by this research will be extracted. Thirdly, numeric value will be surveyed by applying the extrac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n Seoul Square, Cheonggye Square, and Gwanghwamun Square. The survey will be conducted by Google Map, Naver Map, and site visiting. Fourthly, walkability on three squares will be verified by question survey and their walkability will be comprehended by analyzing survey result with advanced research case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verified physical characteristics can be further considered for urban planning at the initial stage. Keywords: Open Space, Square Plaza, Walkabilit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alk Space 본 연구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지각하고 결정지어지는 ‘이 길을 걷고 싶은가’ 또는 ‘이 곳에 머물고 싶은가’ 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된 광화문 광장에서는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기도 하고, 때로는 특정 이해집단의 사회․정치적 집회의 장소로 쓰이며, 범국민적인 화합의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광화문광장과 함께 서울시 관리 하에 운영되는 서울광장과 청계광장 역시 그 규모와 형태는 다르지만 광장의 위치, 역사적 배경, 기타 사회적 인식 등 다양한 요소들로 인하여 서울시민들에게 특별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광장이 지닌 이러한 특수성을 배제하고, 우리의 일상의 장소로 생각하였을 때, 과연 이 광장이 정말 가고 싶은 장소인지 머물고 싶은 장소인지, 보행자의 발걸음을 자연스럽게 이끌게 하는 곳인지 의문이 들었다. 국민적 화합을 도모하는 평화적 시위, 월드컵응원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광화문광장은 ‘화합’보다는 ‘격리’의 모습으로 비추어지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개인의 경험에 비추어, 이러한 원인을 광화문광장을 구성하는 내외부 물리요소라고 생각하였고, 이에 오픈스페이스는 보행환경의 특정 물리적요소가 보행자의 보행성(walkability)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세우고 다음과 같이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보행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는 데 어떤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한다. 둘째, 보행공간 및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본 연구의 대상에 적용할 물리요소를 선별한다. 셋째, 선별된 물리요소를 서울광장, 청계광장, 광화문광장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조사한다. 조사는 구글맵, 네이버지도, 현장방문조사를 통해 수행한다. 넷째, 3개 광장을 대상으로 보행자 설문을 통하여 대상지의 보행선호도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선행연구사례와 비교분석하여 보행성 확보여부를 파악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보행성을 확보하여 보행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보행공간 물리요소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도시계획 초기단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주제어: 오픈스페이스, 광장, 보행성, 보행공간의 물리적요소

      • 유튜브를 활용한 한국언어문화 교육 방안 : 현지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하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learner participation for foreign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tructivism. To this end, we reviewed various Korean language education plans and presented examples of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YouTube as one of the useful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nhance learner participation. For foreign learners who are learning Korean, not all learners can learn in Korea where Korean is spoken.Even if you haven't been to Korea using Korea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media gives learners the opportunity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Korean culture indirectly through the media as an educational tool. 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 materials that are closer to reality than the media, foreign learners can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quickly by learning Korean through the media. The use of YouTube in this study consists of five stages: selecting a topic, watching YouTube videos related to the subject, performing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tasks related to the subject, sharing impressions after the experience, and editing and uploading videos about class activities. For example, in the first stage, 'kimchi' is selected as the subject of Korean culture food. In the second stage, you can see the origin of Kimchi or cooking YouTube videos related to Kimchi. Afterwards, in the third stage, students are given a task such as eating or cooking kimchi directly. In the fourth step, learners will feel free to interview each other regarding kimchi in the next class, or interview with one-on-one questions and answers. In addition, learners learn vocabulary (eg cabbage kimchi, yeolmu kimchi, kimchi stew, spicy, salty). The last step is to edit the video (insert Korean subtitles) and upload it based on the class activity.All course progress is filmed and uploaded to YouTube for final editing. All course progress, including learners' faces, tone, and gestures, are filmed and uploaded to YouTube for final editing. Through this, learners can raise their attitude and participation more actively, and most importantly, if they use the video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s their teaching materials, the greatest advantage is that they will be able to do the Korean language. In fact, when the learner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videos, the learning attitud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Likewise, if all learners participate in the video directly, they will naturally have an interest in Korean and a leading learning attitude,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be expected to have a great expectation effect on improving Korean language ability. YouTube is a medium that can communicate in real time and can flexibly respond to technological changes, making it a very useful educational medium in that it can enable a new form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addition, it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outcomes through learner participation in that learners participate in the classroom, video editing is performed by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immediate feedback is possible.

      • 브로콜리분말을 첨가한 쌀식빵의 품질 특성

        이하정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브로콜리분말의 첨가가 쌀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쌀식빵 반죽의 pH, 발효팽창력, 식빵의 높이와 부피, 비용적, 색도, texture를 측정하고 쌀식빵의 외관을 관찰하였으며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pH는 대조군(BR 0)이 5.62 이었으며, 브로콜리분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효 팽창력은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효 120분 후에는 대조군이 158.7로 가장 높았고, 브로콜리분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효 팽창력은 유의적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150분 경과 후 대조군(BR 0)과 모든 브로콜리분말 첨가군이 높이가 줄어들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쌀식빵의 높이는 대조군(BR 0)이 가장 높았고, 6% 브로콜리분말 첨가군(BR 6)이 가장 낮았으며 브로콜리분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부피는 대조군(BR 0)이 859.83, 2%(BR 2), 4%(BR 4), 6%(BR 6) 브로콜리분말 첨가군이 각각 769.33, 703.83, 592.50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용적은 대조군(BR 0)이 1.7로 가장 높았고 6% 브로콜리분말 첨가군(BR 6)이 1.2로 가장 낮아, 브로콜리분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쌀식빵의 색도는 crumb(내부)에서는 브로콜리분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명도(lightess)와 적색도(redness)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황색도(yellowness)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crust(껍질)에서는 브로콜리분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황색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브로콜리분말을 첨가한 쌀식빵을 4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경도(hardness)는 브로콜리분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저장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나 저장 3일차를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탄력성(springness)은 대조군과 브로콜리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 3일차를 제외하고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응집력(cohesiveness)에서는 대조군(BR 0)에 비해 브로콜리분말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2%(BR 2), 6%(BR 6) 브로콜리분말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시간이 경과하면서 1일차를 제외하고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부착성(adhesiveness)은 대조군(BR 0)에 비해 브로콜리분말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는 2일째를 제외하고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검성(gumminess)은 브로콜리 분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하면서 대조군(BR 0)과 브로콜리분말 첨가군이 모두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씹힘성(chewiness)은 브로콜리분말 비율의 증가와 저장기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나 2% 브로콜리분말 첨가군(BR 2)을 제외하면 유의적인 차의는 없었다. 관능검사에서는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내부색(crumb color), 풍미(flavor), 맛 모두 4% 브로콜리분말 첨가군(BR 4)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2% 브로콜리분말 첨가군(BR 2) 이였으며 6% 브로콜리분말 첨가군(BR 6)은 가장 낮았다. 부드러움(soft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2% 브로콜리분말 첨가군(BR 2)이 가장 높았으며 6% 브로콜리분말 첨가군(BR 6)이 가장 낮았다. 쌀식빵의 품질특성에 가장 적합한 브로콜리분말의 첨가량은 4%이며, 6% 이상의 브로콜리분말을 첨가하였을 경우 쌀식빵의 품질과 관능적 기호도가 현저히 떨어졌다.

      • 이혼가정 아동 대상 국내 미술치료연구 동향 분석

        이하정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48 art therapy studies for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published in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from 2002 to 2021, and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categorized by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art therapy structures and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rt therapy studies by year for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has been published within 1 to 5 cases every year except for 2005, and it has continued for the last 20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ata type of study, 29 master's theses(60.4%), one doctoral thesis(2.1%), and 18 academic journal theses(37.5%) have been published, and 80% of the degree theses has published in art therapy majo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subjects in the analysis target studies, 18 studies (37.5%) were conducted on boys accounting for the highest percentage by gender. And, by age, 26 studies (54.2%) were conducted on lower-grade children accounting for the majority. Single mother-child families accounted for the most at 47.4% by family type.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tudies (59.2%) did not specify the elapsed period after parental divorce. Third, as a result of research methods trend analysis, 36 studies (75.0%) were using the case study method, specifically, followed by 23 individual case studies (47.9%), 13 group case studies (27.1%), and 6 group experimental studies (12.5%). As for the status of use by type of inspection tool, 27 studies (56.3%) using both projective inspection tools and objective inspection tools accounted for the majority. In each item, a projective inspection tool that was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was House-Tree-Person picture test (HTP, K-HTP), and an objective inspection tool that was the most performed was Self-Esteem Inventory(SEI). Four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art therapy structures and programs trends, by therapy type, individual art therapy had the most with 26 studies (54.2%), followed by group art therapy with 15(31.2%) and family art therapy with 6(12.5%), so family art therapy accounted for a relatively small proportion. In the case of group art therapy involving family art therap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people in the group, the greater par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two people, generally, it was performed on groups of 6 or fewer. In the art therapy environment, welfare institutions occupied the highest ratio. In most of the analysis studies, the period of art therapy was more than three months and less than six months(54.2%), and the total number of art therapy sessions was 16 to 20 sessions(39.6%). And in most cases,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once a week, and the duration of one session was more than 60 minutes and less than 80 minut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art therapy goals, the area of self-growth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By art medium, the paper medium was used most frequently, drawing paper was found to be used the most in paper medium, and painting area took up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expression method. In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rt therapy research trends for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as above, and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material to related art therapists and researchers, and used in the clinical field and development of art therapy research in the future. 2002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20년 동안 국내에서 발행된 이혼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연구 48편을 대상으로 발행 편수, 연구대상, 연구방법, 미술치료 구조와 프로그램 동향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가정 아동 대상 미술치료연구의 연도별 발행 편수는 2005년을 제외하고는 매해 1편에서 5편 이내로 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자료유형별 분석 결과 석사학위 논문 29편(60.4%), 박사학위 논문 1편(2.1%), 학술지 논문이 18편(37.5%)이었고, 학위 논문 중에서 미술치료 전공자의 논문 편수가 80%를 차지하였다. 둘째, 분석대상 논문의 연구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연구대상의 성별 및 연령은 남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8편(37.5%)으로 가장 많았고, 저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6편(54.2%)으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가족 유형은 주 양육자가 엄마인 모자가정이 47.4%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부모 이혼 후 경과 기간은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59.2%로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 동향 분석 결과, 연구설계 유형은 사례연구가 36편(75.0%)으로 가장 많았고, 개인 사례연구가 23편(47.9%), 집단 사례연구 13편(27.1%), 집단 실험연구 6편(12.5%) 순으로 나타났다. 검사 도구 유형별 사용 현황은 투사적 검사 도구와 객관적 검사 도구를 함께 사용한 연구가 27편(56.3%)으로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각 항목에서 투사적 검사 도구는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 K-HTP)가 가장 많이 시행되었고, 객관적 검사 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SEI)가 가장 많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술치료 구조와 프로그램 동향 분석 결과, 치료 형태는 개인 미술치료 형태가 26편(54.2%)으로 가장 많았고, 집단미술치료 15편(31.2%), 가족 미술치료 6편(12.5%) 순으로 나타나 가족 미술치료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가족 미술치료연구를 포함한 집단미술치료연구에 나타난 인원수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2명인 집단의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수의 연구가 6명 이하의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술치료 환경은 복지 기관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술치료 기간은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인 경우가 54.2%로 과반수를 차지했고, 총회기 수는 16∼20회기인 연구가 39.6%로 가장 많았다. 주당 시행 횟수는 주 1회가, 1회기 진행시간은 60분 이상 80분 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치료 목표 동향 분석 결과 자기 성장 영역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술 매체는 종이 매체에서 도화지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고, 표현방법은 그리기 영역이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이혼가정 아동 대상 국내 미술치료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관련 미술치료사와 연구자들에게 기초 자료로 제공되어 향후 임상현장과 미술치료연구의 발전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독서프로그램이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하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도서관은 교육적 지원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학교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학교 교육과정과 통합한 교수활동 및 독서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독서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학교 교육활동의 주체인 교사의 협조와 인식은 중요하다. 교사는 학생들을 직접 교수하기 때문에 그들의 교육사상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사가 학교도서관을 교수-학습활동의 중심지로 인식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독서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그 현상을 조사함으로써 학교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이 교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유형에 따른 차이를 밝혀내어 학교도서관에서 통제 가능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요인들은 학교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계획과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진행에 앞서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예비연구로 경기도의 현직교사 두 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24일부터 30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예비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9개 초등학교 교사 230명을 대상으로 독서프로그램이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해 교과연계 도움역할, 학교도서관 일반적인식, 교육지원 역할 요인 인식이 더 높았다. 둘째, 독서프로그램 참여 장소에 따라 교사의 인식차이가 있었다. 도서관에서 교과연계 프로그램을 참여한 교사의 경우 독서흥미유발 역할, 교과연계도움역할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독서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이용지원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의 경우 학교도서관 일반적 인식, 문화여가역할, 교육지원 역할에 대한 인식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이용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능과 역할을 이해했다고 보인다. 독서 흥미유발 프로그램과 교과연계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의 차이점은 교과연계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의 경우, 독서흥미유발역할과 교과연계 도움역할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독서 흥미유발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의 경우, 교과연계 도움역할에서 단 한 항목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독서흥미 유발역할에 눈에 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독서프로그램 운영자의 전문성의 기준을 사서교사와 사서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사서교사가 운영자인 경우 학교도서관 일반적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식된 독서프로그램의 운영 빈도는 교사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와 같이 독서프로그램이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독서프로그램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개발 및 운영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은 학교교육을 지원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연계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을 증진시켜야 한다. 둘째, 독서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서교사는 교사와 협력해야 한다. 사서교사와 교사의 협의·협력을 통해 독서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개발된 독서프로그램의 활용방법이나 이해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진행과정상 소통을 통해 요구를 파악 할 수 있으며, 각 급 학교 특성에 맞는 적합한 독서프로그램이 개발될 것이며 이용정도도 올라갈 것이다. 셋째, 독서프로그램의 접근성을 높여야한다. 독서프로그램은 언제 어디서든 활용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야한다. 교사들은 독서프로그램에 관심은 있으나 바쁜 업무로 인해 이를 활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 담당자인 사서교사의 적극성이 요구된다. 학교도서관을 총괄하여 운영하고 있는 사서교사는 항상 교육적 목표의식을 갖고 학교도서관이 교육적인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사서교사는 교사들과 소통해야 한다. 모든 관계의 시작은 소통이다. 사서교사는 학교 내에서 교육적으로 또한 사회적으로도 끊임없이 노력하여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실제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이 사서교사의 필요성과 소통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사서교사는 끊임없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교사 혹은 외부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이를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독서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었고, 나아가 독서프로그램 통제요인을 파악하여 교사인식 개선 방안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chool libraries offer curriculum-integrated teaching activities and reading programs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 of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Teachers are the subj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Their perceptions and cooperation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reading program’s operations. As teachers directly interact with students, their thoughts and perceptions on education have a direct effect on the students. This study seeks to reveal what factors are controllable by the school library. This is accomplished by investigating the teachers’ perception in the differences of school libraries by different types of their reading programs. The study also investigates what factors of the reading program influence on teachers’ perceptions revealing the differences to help teachers actively take part in using the school library by placing them at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urthermore, these factors anticipate the application of these programs to vitalize the use of the reading programs and their school libraries. The feasibility of the study was explored from July 24, 2018 to July 30, 2018 through in 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2 in-the-field teachers in Gyeonggi-do as preliminary research. Feasibility was examined through this preliminary research and was also used to generalize results. A survey of 2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9 different schools in Gyeongi-do was used to measu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hool library through the reading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reading program had a higher perception of the subject-related assisting role,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 educational supporting role. Second, the teachers’ perceptions differed depending on where reading program participation took place. Those who were in the reading interest arousing role and subject-related assisting role who participated in the subject-related program had a higher perception of the library.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different reading programs.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library support program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in their general perception, the culture and leisure rol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support role of the school library. This reflects their understanding of the library’s function through the use of the library support program. The difference of teachers who experienced reading interest arousing program and subject-related program was as follows: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subject-related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reading interest arousing role and subject-related assisting role, whereas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reading interest arousing program onl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ne category of the subject-related assisting role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ding interest arousing role. Fourth, the general perception level of the school library was higher when a librarian teacher operated the program resulting from analyzing the reading program operator’s expertise standard divided into the roles into librarian teacher and librarian. Fifth, the perceived reading program operating frequency did not affect the teacher’s percep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y through the reading program, the following 4 improvements are suggested, First, a read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with relevance to the curriculum.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characterized by the school education sup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ducational role of the school library by developing and operating a reading program that is linked to the curriculum. Second, librarians need to collaborate with the teacher to develop a reading program. Once a reading program is developed through the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of the two parties, understanding and the utilization method of the developed program will be high and the needs of the program will become known through communication processing. These needs include the development of a reading program suitable for respective schools and an increase in program use. Third, the program accessibility should be increased. Reading program accessibility should be increased for it to be used everywhere at any time. Teachers are interested in the reading program, however, face difficulty utilizing it due to their workload. Therefore, accessibility needs to be increased by developing a diverse reading program that could be adapted anywhere at any time. Fourth, as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chool library, the librarian’s initiative is required. The library has overall control of the school library; hence he/she needs to devote their educational role by always having an educational purpose. The librarian needs to communicate with other teachers for this reason. All relationships start through communication. The librarian needs to put forth an endless effort to sustain the relationship within the school both educationally and socially. Through a survey, it was noted that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ed of the library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 librarian should always actively take part in communication, develop a reading program and learn the requirements of teachers or external sour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teachers’ school library perception differences through the different reading program types which were made. It suggests that the teacher perception improved by investigating the reading program controlling factor.

      • 키스 해링(Keith Haring)의 회화를 응용한 튜블러자카드 니트웨어 디자인

        이하정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래 편물은 방한용으로 이용되었으나,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중요한 의복의 종류로 자리 잡게 되었다. 편물은 특성상 실용적이고, 재생이 가능하고 활동이 편하여 현재 스포츠웨어나 레저웨어 분야에서는 가장 중요한 조직으로 분류되고 있다. 편직에 이용되는 원사는 시간을 거듭함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고, 앞으로도 무한한 개발 가능성이 있다. 경제발전과 급속한 사회발달은 생활수준의 향상을 가져왔고 아울러 빠르고 변화가능성이 다분한 유목민적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었다. 주5일근무제로 여가활용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의복도 원초적 신체보호의 차원을 넘어서 상황적응성 등 점점 더 많은 기능을 필요로 하고, 레저와 스포츠뿐만 아니라 문화생활 등을 위한 다목적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스 해링 작품의 만화기법적인 간결하고 함축적인 기호와 같은 상징성을 이용하여 튜블러자카드 니트 조직에 접목하고 명시적 특성을 갖는 형광사를 이용하여 재미있고 명시적 기능과 활동성을 갖춘 여성복 캐주얼 니트웨어를 디자인하고, 이로써 소통적이고 대중적인 작품을 추구하였던 키스 해링의 의도를 반영한 심미성와 기능성을 갖는 의상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니트패션의 표현영역과 활용도를 높임으로서 현대인들의 감성적 요구에 부합되는 새로운 시장개척의 방향을 제안하고, 니트웨어의 디자인과 고효율적 니트웨어를 디자인하여 고부가가치의 니트웨어 산업에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국내외문헌과 논문, 학술연구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하여 키스 해링의 생애와 예술적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고 작품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작품의 조형적인 형태와 색을 해링의 특징적인 기준에 따라 분석·분류하여 작품의 특징적 조형성과 색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컴퓨터 니트에 대한 일반적 개념을 알아보고 연구에 적용할 튜블러자카드 조직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면이 모두 이용 가능한 튜블러자카트 니트조직의 특성을 알수 있었다. 이에 다양한 자카드조직이 디자인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형광사의 기능적 특징과 튜블러자카드 조직의 형태적 특징을 살려 색의 면적 대비를 통한 리버시블이 가능한 여성캐주얼 니트웨어 총 8벌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링의 작품의 특징은 방대한 작품 수 그리고, 내러티브를 포함한 상징적이며 함축적인 만화적 선을 갖는 모티프로 요약되는데, 이러한 특징은 디자인 구현에 있어 변형 재조합에 아주 적합하여 응용잠재력에 있어 무한한 개발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해링의 작품은 흑백, 원색, 형광안료로 대표되는 이미지 색을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대중과의 소통성을 중요시한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며, 이와 같은 색채적 특징은 특수형광사를 사용함으로써 작가의 의도를 그대로 반영한 명시성을 갖는 디자인모티프에 아주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튜블러 자카드의 형태안정성과 양면의 사용이 가능한 조직의 특성을 이용하여 색의 면적비에 따른 명시성의 증감효과를 갖는 리버시블 웨어로 제작하였다. 이는 다변화적인 생활패턴과 다양한 기호를 가진 현대인들의 의복으로서 매우 적합한 조직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폴리사와 울 혼방사를 이용한 편직에서 합수의 조절로 편지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편지표면에 요철의 부조적 입체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재질 표현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기법적인 연구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키스 해링의 작품적 특징을 활용하여, 명시성과 리버시블의 두 가지 기능이 더하여진 니트웨어를 디자인한 선례로서 미래 패션산업에 가치있는 제시안이 되길 기대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패션에 있어 예술을 생활로 끌어들이고, 예술작품을 단순차용 그 이상으로 기능을 접목시킨 차원 높은 디자인을 개발하여 독창성과 심미성, 기능성을 겸비한다면 ‘예술과 과학을 입는다’라는 개념으로서 고부가가치 니트웨어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Knitted fabric was initially used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d but has reinforced its position as one of important type of clothing over the time. Knitted fabric is practical and convenient for movement so that it is currently classified as the most important texture in the area of sports wear or leisure wear. Yarn used for knitting has developed in various aspects over the time and has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in the future. Rapi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has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brought nomadic life style with high possibility of change and mobility. As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has been highlighted with 5 working day system, more functions are required from clothing such as adaptability to the situation beyond original functions such as protection of body. Development of multi-purpose design is required for cultural life as well as leisure and sports activities. This thesis applied cartoon-like simple and implicit symbol of Keith Haring works to tubular jacquard knit, designed woman casual knit wear with fun, explicit and activities using fluorescent yarns with explicit features, and proposed the apparel design with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reflecting the intention of Keith Haring who pursued the communicating and popular works. This thesis aimed to propose the directions for new market pioneering that meets the emotional requirements of modern people by raising the level of utilization and expression area of knit fashion, and to present the constructive directions for high value-added knit wear by designing highly effective knit wear.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examined the lifetime and artistic background of Keith Haring and collected his works through searching of Internet, scholastic publications or thesis. Formative types and colors of works collected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 standards of Haring and characteristic formativeness and color of works were extracted. Next, through examination on general concept of computer knit and the feature of tubular jacquard texture to be applied to this study, the feature of tubular jacquard knit texture, of which both sides can be used, were identified. With this, I examined the actual cases when jacquard texture was applied in design. Based on this, I designed a total of 8 sets of woman casual reversible knit wear through comparison of areas of color, using the functional feature of fluorescent yarn and formative feature of tubular jacquard.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shown below: First of all, the feature of his works can be summarized into motif that has symbolic and implicit cartoon-like lines including narratives as well as enormous number of works. Such feature is very suitable for variation and recombination in realization of design and has unlimited potentials for development. Second, image colors can be extracted such as black and white, original color and fluorescent paints,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of artist who put focus on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Such color feature is very suitable for design motif that has explicitness of reflecting the intention of artist through use of special fluorescent yarn. Third, I made it as reversible wear that has effects of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explicitness according to color area ratio using the feature of textures allowing use of both sides as well as form stability of tubular jacquard. This texture is very suitable as the clothing for modern people who have various symbols and multi-varied life patterns. Fourth,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fabric with controlling of ply in fabric using poly yarn and wool union yarn, I could obtain good results of study in terms of technique that can express various materials with embossed dynamic effects of unevenness on flat surface. I expect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proposal for future fashion industry as a precedent of designing knit wear with 2 more functions of explicitness and reversible using the feature of Keith Haring. Based on this, high value-added knit wear can be manufactured with concept of “Wear Arts and Science” if arts can be utilized in daily life for modern fashion, design is developed with better function after utilization of arts works so that they can have originality,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 MZ세대 남성헤어커트 시술 후 불만족에 의한 보상처리와 재방문의도

        이하정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헤어서비스산업은 자신의 외모와 스타일을 위해 적극 투자하는 남성들이 늘고 있다. 뷰티시장은 이러한‘그루밍족’의 등장을 환영하고 있고 이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한 중요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태이며 그중에서도 여러 기업과 서비스 업계는 소비의 중심축인 MZ세대에 주목하고 있다. 헤어미용서비스 특성상 고객접점에서 일어나는 서비스 실패를 완전히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서비스 실패에 따른 고객 불만족 발생 시 적절한 보상처리를 통해 불만을 해소시켜 재방문율을 높이는 것은 미용실의 매출 증대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자 고객 서비스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실 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MZ세대 남성을 대상으로 헤어커트 시술 후 불만족 한 경우 불만족 보상처리가 미용실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헤어서비스 불만족 차원은 물적 서비스 불만족, 헤어 스타일링 완성도 불만족,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가격 서비스 불만족, 헤어커트 시술 불만족으로 나타났고, 불만족 보상처리 차원은 인적응대 보상처리, 지급 보상처리, 환불 보상처리, 재시술 보상처리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서비스 불만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헤어 스타일링 완성도 불만족, 가격 서비스 불만족,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헤어커트 시술 불만족이 낮을수록 해당 미용실에 대한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는 관계임이 밝혀졌다. 셋째, 헤어서비스 불만족이 불만족 보상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과 헤어 스타일링 완성도 불만족이 낮을수록‘인적응대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가격 서비스 불만족, 헤어커트 시술 불만족이 낮을수록 ‘지급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과 가격 서비스 불만족이 낮을수록‘재시술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고, 물적 서비스 불만족이 높아질수록‘재시술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이 낮을수록‘환불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불만족 보상처리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인적응대 보상처리, 환불 보상처리, 재시술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질수록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는 관계임이 나타났다. 다섯째, 헤어서비스 불만족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불만족 보상처리의 매개효과를 조사한 결과‘인적응대 보상처리’는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헤어 스타일링 완성도 불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시술 보상처리’는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가격 서비스 불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불 보상처리’는 인적응대 서비스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자면 MZ세대 남성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헤어커트 기술 교육과 상담, 응대, 가격 서비스 등에 관한 전문적인 서비스 교육이 필요하며, 남성헤어커트 시술 후 불만족 발생 시 상황에 맞는 적절한 해결책 제시를 통해 고객의 불만족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불만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미용실 경영전략 및 헤어미용서비스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진다면 고객 만족과 미용실의 매출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in the personal care services industr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n to invest in their looks and styles. The beauty market welcomes these‘Grooming men’and the importance of marketing strategy to satisfy their needs has been highlighted. Especially, many enterprises and services are focusing on MZ generation, who are centered on consuming. Becaus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care service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prevent any service failure that may happen in customer interaction. Therefore, when it comes to customer dissatisfaction following a service failure, the key factor to increase sales of beauty salons will be the proper compensation to solve dissatisfaction and maximize revisitation rate. Based on this idea, the research identifies the effect of compensating dis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revisit, after hair cutting service targeted on MZ generation m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 of hair service dissatisfaction was classified as dissatisfactions at material service, hair styling completeness, customer response, price, and haircut procedure. Also, the dimension of compensating dissatisfaction was classified as compensations by customer response, payment, refund, and reoperation. Second,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hair service dis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revisit show that the intention increased as the dissatisfactions at hair styling completeness, price, customer response, and haircut procedure were low. Third,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hair service dissatisfaction on compensating dissatisfaction are as follows. ‘Compensation by customer response’ was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and hair styling completeness were low. Also, ‘Compensation by payment’ was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price, and haircut procedure were low. In the mean time, ‘Compensation by reoperation’ was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and price were low and it was also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 at material service was high. Finally, ‘Compensation by refund’ was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 at customer response was low. Fourth, as the effect of compensation for dissatisfaction on intention to revisit, higher intention was examined when the compensations by customer response, refund, and reoperation were more satisfying. Fifth, as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compensation for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service dis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Compensation by customer response’ had a complet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and hair styling completeness, and with intention to revisit. ‘Compensation by reoperation’ had a complet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and price, and with intention to revisit. ‘Compensation by refund’ had a complet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 response service and intention to revisit. In conclusion, a professional education on services such as advanced haircut skills, consultation, customer response, and price is required to induce MZ generation men’s revisitation. Most importantly, a proper solution that fits to a situation is required to effectively solve customer dissatisfaction. The research identified the ways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satisfac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the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further used in the field of personal care service marketing and practical management strategy. Further researches based on this will be beneficial for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sales of hair salons.

      • 전문 영어교과서와 일반 영어교과서에 관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이하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문 영어교과서와 일반 영어교과서에 관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영어교과서와 특수 목적 영어(ESP: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분류에 해당하는 전문 영어 교과서에 대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교재 평가표를 통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특성화고등학교의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영어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서 이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과서 개발과 제작 및 교사들의 교과서 선정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요구와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일반 영어교과서와 전문 영어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경기도 성남시 소재의 S경영 고등학교 2, 3학년, 6개 학급 149명을 대상으로 교과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t-검정과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생들의 일반 영어 교과서와 전문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는 기술적 품질과 실용성을 제외한 일반적 인상, 동기유발, 교육적 분석, 전공분야와의 연계성(교과내용)에 대한 만족도에서 전문 영어 교과서의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학년별로 결과를 보면 2학년은 교과서의 전공분야와의 연계성(교과내용)을 제외한 요인에서 일반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3학년은 모든 교과서의 만족도 요인이 전문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입시를 준비하기 보다는 취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학습자 배경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특성화 고등학교가 취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학교의 정의적 특징과 부합하는 결과이다. 둘째, 각 교과서의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상관관계분석 결과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나왔으며 2학년 집단을 분석한 결과 일반 영어 교과서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3학년 집단의 경우 일반 영어 교과서와 전문 영어 교과서 모두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관련성을 낮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영어 교과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전반적으로 영어 학습에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자들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 그들이 선호하는 학습 방법과 활동 유형, 그리고 외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고려해야 한다는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의 영어 교과서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을 수 있는 시사점과 필요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들 중 교과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제 2언어로 영어를 배우는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그들의 학교 특성과 수준, 적성에 맞는 교과서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3학년의 경우 전문 영어 교과서에 관한 만족도가 높지만 2학년의 경우 일반 영어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가 전문 영어 교과서에 대한만족도 보다 높게 나온 것을 보면 이것은 학생이 전문 영어 교과서를 낯설게 느껴진다는 의견을 반영해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두 가지 교과서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통해 한 언어를 배우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과연 두 교과서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맞는 것인가라는 부분에 있어 논의가 필요할 것이고 이런 점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교과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는 특성화 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영어 교과서에 갖고 있는 인식과 생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학습에 있어서 교재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교사가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가 가지고 있는 영어 교과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는 것도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절한 영어 교과서 자료가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 교육과정이 여러 번 바뀌는 동안 변화하는 추세에 발맞춰 영어 과목에 대한 교육과정도 바뀌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이 고등학생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일반 고등학생들의 기준으로 바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일반 고등학교와는 다른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에 맞게 별도의 영어과 교육개정과 교과서 개발, 선정 및 검토가 심도 있게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언을 통해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 영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교과서 개발, 제작 및 선정에 대한 교과서 제작자들과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