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로시설 여성노인을 위한 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서인영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양로시설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신체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이 신체적, 정서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 두 곳의 양로시설에 입소되어 있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으로 실험군 32명, 대조군35명 총 67명이었다. 실험처치인 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10주 동안 주 3회, 1회 40-50분간 실시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스트레칭, 관절가동범위운동, 의자를 이용한 하지근력강화운동 및 아리랑체조로 구성하였다. 준비운동, 본 운동, 마무리 운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운동강도와 1회 운동시간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시행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은 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 실시 전에 측정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신체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은 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측정하였다. 신체기능은 균형, 4m 걸음, 의자에서 일어나기 5회를 포함한 간편형 신체기능평가(SPPB)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수정한 한글판 수정 바텔지수(K-MBI)를 사용하였으며, 우울은 한국어로 표준화 한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F-GD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3월 1일부터 2010년 5월 1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 13.0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사전 동질성은 χ²-test, Independent t-test로, 가설검정은 공분산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 :&#985168;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신체기능의 점수가 높을 것이다.&#985169;를 확인하기 위해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신체기능 평균점수는 사전 7.22±1.91점에서 사후 9.81±1.91점으로 향상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F=19.847, p<.001) 가설1은 지지되었다. 가설2 :&#985168;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점수가 높을 것이다.&#985169;를 확인하기 위해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일상생활수행능력 평균점수는 사전 84.90±10.06점에서 95.19±4.83점으로 향상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F=8.885, p=.004) 가설2는 지지되었다. 가설3 :&#985168;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의 점수가 낮을 것이다.&#985169;를 확인하기 위해 검증한 결과 실험군의 우울 평균점수는 사전 6.19±3.12점에서 사후 3.63±2.09점으로 감소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F=5.977, p=.017) 가설3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10주 동안 시행된 하지근력강화운동 프로그램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신체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우울은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신체기능이 저하된 노인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장애의 예방이나 기능을 향상시켜 신체활동의 증가와 사회적 활동 참여에 도움을 주고 정서적인 안정을 주는 등의 노인이 살아가는 삶의 질을 높이는 간호중재 방안으로 제시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for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The design of research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 - post test design. The subject was 3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5 in the control group. The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40-50minutes, three times each week for 10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were measured before conducting program. Measuring variables such as physical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onducting program. Physical function was measured as timed 4-meter walking, repeated chair stands, and a set of balance tests. The instruments used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were: K-MBI(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and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01 2010 to May 14 2010.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3.0 program, yield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ies, percentiles, χ²-test,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Experimental group to which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showed meaningful physical function increase than that of control group(F=19.847, p<.001). 2. Experimental group to which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showed meaningfu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rease than that of control group(F=8.885, p=.004). 3. Experimental group to which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showed meaningful depression decrease than that of control group(F=5.997, p=.017).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performance in physical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crease depress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Furthermore the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can enhance life satisfaction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 과제지향 접근법과 하지 근력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최영인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between the task­oriented approach and strengthening exercise on walking with stroke patients.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Twent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TG) and a lower extremity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LEG). All TTG group participated in the task­oriented training for 4 weeks and LEG group were exercised using the N-K table and elastic band. Step test (ST),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Six-Minute Walk Test (6MW) were initially contrasted within both groups after 4 weeks follow-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four weeks follow-up test, the TTG has shown some increasement of the step test, but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baseline. There was no change in LEG group. Second, in TUG test, test timing was reduc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each groups,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groups. Thir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gram, 6MW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stance with both groups. In comparison with each group, TTG has shown more remarkable differences than 6MW in inter-group. Lastly, ST showe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G and 6MW. However, there were minimal correlation between TUG and 6MW. In summary, the TTG has not shown remarkable difference but showed more positive effect than the LEG on ST, and TUG. Especially, it was very effective way to improve walking endurance for stroke patients. Although Walking ability of the TTG is better than LE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o it is not reasonable to claim that it is more effective intervention than other method. Therefore, This study needs more time and more stroke patient's participation to carry out it's object. Also, It seems to be better to study more ``-program than just experiment two intervention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walking endurance with stroke patients.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지향 접근법과 하지 근력강화 운동이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두 집단 검사 전-검사 후 설계(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방법을 선택하였고, 연구조건에 합당한 20명의 대상자를 과제지향 훈련군 10명,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 10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4주 동안 과제지향 훈련 및 하지 근력강화 운동을 하였고, 중재 전·후 각각 스텝 검사, Timed Up & Go(TUG) 검사, 6분 걷기 검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텝 검사에서 과제지향 훈련군은 스텝 횟수가 증가하였지만 유의성은 없었고,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은 중재 전·후 변동이 없었다. 둘째, TUG 검사에서 과제지향 훈련군과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 모두 중재 전·후 완료시간이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셋째, 6분 걷기 검사는 과제지향 훈련군(p<.01)과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p<.05) 모두 중재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단 간 비교에서는 11미터 증가한 과제지향 훈련군이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넷째, 스텝 검사와 TUG 검사 및 6분 걷기 검사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마비측 하지의 안정성을 의미하는 스텝 검사는 TUG 검사 및 6분 걷기 검사와 중정도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p<.05), TUG 검사는 6분 걷기 검사와 낮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과제지향 접근법은 하지 근력강화 운동 보다 스텝 검사와 TUG 검사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6분 걷기 검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보행지구력 향상에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과제지향 훈련군의 보행능력은 하지 근력강화 운동군에 비해 수치상 증가하였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인 중재방법임을 주장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추후에는 보다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오랜 기간 동안의 연구가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보행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인 두 중재방법을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요추질환 환자의 수술 후 운동요법이 통증, 하지근력 및 일상생활활동장애에 미치는 효과

        이영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요추질환으로 입원률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연령층이 증가할수록 유병률 또한 급등하는 것으로 조사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요추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인 요통, 하지방사통, 신경성 간헐적 파행으로 일상생활활동 장애를 보이는데 수술 후에도 증상들은 남아 있어 정상적인 생활로의 복귀에 많은 문제점을 보인다. 이런 문제는 운동 프로그램을 조기에 적용할수록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임상에서 대표적인 요추질환인 요추간판탈출증, 요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운동요법인 하지근력강화운동인 발목펌프운동, 대퇴사두근힘주기, 하지굴곡운동을 통해서 수술 후 통증, 하지근력, 일상생활활동 장애정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검정하여 임상간호현장에서 요추질환 수술환자를 위한 간호중재방법의 하나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대전소재 C대학병원에 입원한 선정기준에 적합한 요추질환 수술 환자로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 18명, 대조군 19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대조군은 2010년11월~2010년 12월, 실험군은 2011년2월~2011년 3월 이었다. 실험처치는 수술 후 1일째부터 수술 후 4주까지 운동요법인 하지근력강화운동을 적용 후 결과의 평가척도는 통증 점수(도표평정척도(graphic rating scale)), 하지근력 (좌·우 대퇴둘레, 좌·우 대퇴사두근의 근력, 좌·우 햄스트링의 근력), 일상생활활동 장애정도(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전창훈 등, 2005)도구)로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특성, 통증, 하지근력, 일상생활활동장애에 대한 실험 전의 동질성 검사는 t-test, x²-test와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통증, 하지근력, 일상생활활동장애에 대한 수술 전, 수술 후 1주, 수술 후 2주, 수술 후 4주의 비교는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시기별 사후분석은 Bonferroni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일반적인 특성, 질병관련 특성, 수술 전 통증 정도, 하지근력 정도, 일상생활활동 장애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어(p>0.05) 두 그룹은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 1. 요추질환 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부가설 1-1. 요추질환 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요통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부가설 1-2. 요추질환 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하지방사통 정도가 낮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3. ‘가설 2. 요추질환 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하지근력의 감소가 적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부가설 2-1. 요추질환 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퇴둘레의 감소가 적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부가설 2-2. 요추질환 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대퇴사두근 근력의 감소가 적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 ‘부가설 2-3. 요추질환 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햄스트링근근력의 감소가 적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4. '가설 3. 요추질환 수술 후 운동요법을 시행한 실험군은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일상생활활동 장애정도가 낮을 것이다.' 는 기각되었다. 결론적으로 수술 후 운동요법 적용 후 통증과 일상생활 활동장애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지근력을 유지 하는데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간호현장에서 운동요법이 요추질환 수술 환자에게 통합적 건강증진의 중재로서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서 유용하게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운동방법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익히고 따라 할 수 있으며, 특수한 장비나 기구가 필요하지 않고 연령층 상관없이 누구든 할 수 있으므로 수술 환자 뿐 아니라 요통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한 운동요법으로써 가정에서 지역사회에서 적용 가능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운동요법의 적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표본을 가지고 더 장기적 추적 관찰을 할 것과 운동요법의 빈도와 횟수를 연장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는 반복연구를 시행해 볼 것을 제언한다. Rapidly increasing lumbar spinal disease admission ratio have been concerned highly. Symptoms of lumbar spinal disease include low back pain, sciatica, 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 and even last long after surgery are known that such problems decreases when applying exercise programs at an early stage after surgery. Therefore after Lumbar spinal operated patients were provided with daily legs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e until post-operation one day to post-operation four wee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ain level and the muscle strength of legs level and dis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y level. Design of the this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research case were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8 patients and control group with 19 patients with lumbar spinal disease who admitted and underwent operations in C university school hospital in Daejon. The collec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method , t-test, x²-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peated Measures ANOVA, Bonferroni test with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becaus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rgery 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pain level of pre-operation and the muscle strength of legs level of pre-operation and dis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y level of pre-oper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the pretest. 2. The first assumption: The assumption that the pai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com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 Sub-assumption 1-1 : The assumption that the low back pai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com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 Sub-assumption 1-2 : The assumption that the sciatica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com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 3. The second assumption: The assumption that decrease in the muscular strength of lower limbs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Sub-assumption 2-1 : The assumption that decrease in circumference of thigh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Sub-assumption 2-2 : The assumption that decrease in the muscular strength of quadriceps femoris muscle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Sub-assumption 2-3 : The assumption that decrease in the muscular strength of hamstrings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4. The third assumption: The assumption that dis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 In conclusion, the legs muscular strengthening exercise after surgery has positive effects in helping to build up muscular strength, even though no significant influence on decreasing in the level of pain or improving that of disability of daily living activity. Accordingly, this exercise as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can apply to the diverse treatments of nursing intervention in nursing clinics. The exercise can be practiced with no bounds of time and place and with no medical equipment. In fact, it is considered that this exercise can be broadly applicable to those who are suffer from low back pain, or even to a surgical patient. Finally, it is suggested to re-evaluate the effect of this exercise in the long-term follow up results of many samples.

      • 8주간의 하지근력 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정샛별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의 하지근력 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뇌졸중환자의 이해와 치료적 중재의 효율성을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R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발병일 기준 6개월이 경과한 환자 14명을 하지근력강화군 7명과 일반치료군 7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하지근력강화군에게는 병원에서 시행하는 물리치료 외에 8주간의 하지근력 강화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일반치료군 대상자들에게는 추가적인 중재를 하지 않았다. 중재 전 후 BBS, 기능적 팔 뻗기 검사(FRT), Timed Up & Go(TUG) 검사 그리고 6분 걷기 검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RT에서 하지근력강화군의 팔 뻗기 범위의 평균이 12.8㎝에서 19.4㎝로 유의한 차이(p=.018, p<0.05)가 있었고 일반치료군의 평균은 13.6㎝에서 18.1㎝로 변화는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p=.242, p>0.05)는 없었으며,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BBS 검사에서 하지근력강화군의 점수는 증가하였지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727, p>0.05) 일반치료군의 점수는 중재 전 후 점수의 변화가 없었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TUG 검사에서 하지근력강화군의 평균소요 시간은 44.3초에서 39.5초(p=.064, p>0.05)로 일반치료군 에서는 27.8 초에서 28.8초(p=.761, p>0.05)로 완료 시간의 변화가 있었으나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넷째, 6분 걷기 검사에서는 하지근력강화군, 일반치료군 모두 전 후 완료 거리가 감소하였고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FRT와 BBS, TUG 및 6분 걷기 검사 간의 상관관계에서 균형을 평가하기 위한 BBS와 FRT 사이에서 높은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보행을 평가하기 위한 TUG 와 6분 걷기 검사 간에는 높은 음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BBS 는 TUG 그리고 6분 걷기 검사에서 중정도의 상관관계(p<0.05)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8주간의 하지근력 강화운동은 균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형능력의 향상은 보행 능력의 향상과도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치료적 중재 시 하지근력 운동을 포함한 복합적 접근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효과적인 회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of lower extremity for 8 weeks on the balancing and gait in stroke patients to provide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understandings of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1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hemiplegia from stroke in over past 6 months. 14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7 control group and 7 study group. The subjects in the study group received not only physical therapy but also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of lower extremity for 8 weeks. However, no additional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FRT, BBS, TUG, and 6MW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comparis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RT in the study group. The range of arm extension increased from 12.8㎝ to 19.4㎝ in the study group(p=.018, p<0.05) which was significant. However, the one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ce even though it also increased from 13.6㎝ to 18.1㎝(p=.242,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 scores in BBS showed increase in the study group but without significance(p=.727, p>0.05). The scores in the control group showed no chang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well. Third, there were changes in the time of completion for TUG test. The time in the study group decreased from 44.3 sec to 39.5 sec(p=.064, p>0.05) and the one in the control group increased from 27.8 sec to 28.8 sec(p=.761,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nor between the two groups. Forth, both groups showed decrease in the completion dista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6MWT but without significanc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astly, there was substantial amount of positive correlated(p<0.01) between BBS and FRT which were to evaluate the balance among the tests of FRT, BBS, TUG, and 6MWT. On the other hand, substantial amount of negative correlated(p<0.01) was observed between TUG and 6MWT which were to assess the gait. BBS showed middle degree of correlated(p<0.05) in TUG and 6MWT. In conclusion, the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of lower extremity for 8 weeks appears to show positive effects in the enhancement of balancing ability. Also,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enhancement of balancing ability has cor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gait as well.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plex approach i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stroke patients including the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of lower extremity will help the effective recovery of balancing and gait of stroke patients. Key words : strok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balance, gait

      • 인라인스케이트 운동이 지적장애학생의 하지근력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재석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line skate activity on the low limb muscle strength and body equilibrium abilities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gistered in J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Korea who did not have any experiences of inline skate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 one of two group of experimental or control 10 each cell.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IsoMed 2000 to measure muscle strength and Stick test and Cureton balance test to measure the equilibrium skills for the subjects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by using SPSS version 18.0 to measure t-test and Effect S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low limb muscle strength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ronger than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quilibrium abilities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scores of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low limb muscle strength and balance abilitie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be increased by participating on the inline skate activity program. 본 연구는 인라인스케이트 운동이 지적장애학생의 하지근력 및 평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G특수학교와 J특수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중 인라인스케이트를 타 본 경험이 없는 학생들로 20명을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하지근력 측정을 위해 등속성 근력 측정 장비인 IsoMed 2000을 사용하였으며, 평형성 측정을 위해 Stick test, Cureton 평형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versio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Effect Size 를 실시하였다 이와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하지근력은 인라인스케이트 운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라인스케이트 운동은 지적장애학생의 하지근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평형성은 인라인스케이트 운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라인스케이트 운동은 지적장애학생의 평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인라인스케이트 운동은 지적장애학생에게 하지근력과 평형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인라인스케이트 운동을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뇌졸중 환자의 하지근력에 따른 심폐능력의 차이

        신형민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부천시 소재의 병원에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지근력에 따른 심폐능력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심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 뇌졸중 환자의 심폐능력에 관련한 재활 프로그램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일반적인 신경계 물리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14명을 선정하였다. 검사방법은 운동부하 심폐기능 검사와 등속성 운동 장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심폐능력은 트레드밀(T-2100, USA, GE)과 호흡대사분석기(Quark CPET, Italy, cosmed srl)로 측정하였으며 심전도와 생체징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수정된 하버 프로토콜을 이용하였으며, 경사 0도에서 0.5 mph 속도로 시작하고 0.1 mph씩 속도를 증가시켜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최고속도를 정하였다. 그 다음 2분 동안은 경사 없이 트레드밀을 걸었으며, 2분이 지난 후 경사를 4도 증가시켜 2분마다 2도씩 증가시켰다. 검사를 통해 최고산소섭취량(VO2peak), 안정 시 산소섭취량(VO2rest), 운동 시 최고 심박수(HRpeak), 안정 시 일회호흡량(TV), 검사 시 트레드밀 운동시간(Exercise duration), METS, 호흡교환율(R)을 측정하였다. 미국 스포츠 의학회(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규정에 의해 심전도상 ST분절 1.0 mm 이상 상승, 보행에 불안정성이 관찰되거나 중단 사유에 해당되는 심장 대상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검사를 중단하였다. 등속성 장비를 이용한 무릎관절 굽힘근 및 폄근의 근력 측정은 운동부하 심폐기능 검사가 끝난 당일 약 25분 이상의 휴식 후에 시행하였다. 무릎 관절 굽힘근 및 폄근의 근력 측정은 Biodex medical systems 830-210(SHIRLEY, N.Y)을 이용하여 체중당 최고 토크를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IBM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운동부하 심폐기능검사, 무릎 굽힘 및 폄근의 근력 검사를 시행하여 자료 처리에 사용된 각 측정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또한 각 대상자별 하지근력, 뒤넙다리근과 넙다리네갈래근 근력의 비율, 근육량에 따른 심폐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와 단순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고,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α=.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비측 무릎의 폄근 및 굽힘근 근력이 클수록 심폐능력은 증가하였다(R2=0.513, R2=0.315),(p<.05). 2. 비마비측 무릎의 폄근 및 굽힘근 근력이 클수록 심폐능력은 증가하였다(R2=0.507, R2=0.329),(p<.05). 3. 마비측 무릎 굽힘근 및 폄근의 근력 비율이 높을수록 심폐능력은 증가하지 않았다(R2=0.016). 4. 비마비측 무릎 굽힘근 및 폄근의 근력 비율이 높을수록 심폐능력은 증가하지 않았다(R2=0.048). 5. 근육량이 많을수록 심폐능력은 증가하지 않았다(R2=0.012).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마비측, 비마비측 무릎 굽힘근과 폄근의 체중당 최고 토크가 클수록 심폐능력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하지근력 뿐만 아니라 비마측 하지근력도 심폐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마비측과 비마비측 모두에서 굽힘근 보다 폄근 근력이 심폐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근력운동은 뇌졸중 후 자의적인 움직임과 보행이 어려운 환자들에게 심폐능력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거나 대체안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신경계 물리치료 프로그램에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 바른체형운동이 정신장애인의 자세, 하지근력, 폐활량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우경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Upright Body Type Excercise Program on posture, muscle strength of leg, lung capacity and depress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ho have been 5 or more neck pain index 19 mental disorders that are at B mental health center located in P City for 8 weeks third a week, was carried out the Upright Body Type Excercise Program of 60 minutes. Among of 19 people exercise group is 10 persons, control group is 9 persons after 12 week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1. Change of the posture 1)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angle Degree of change in the cervical spine angle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76.00±9.48° to 104.00±15.62°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Control group was increase from 92.56±18.15° to 92.57±15.17°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Change of pelvis inclination Degree of change in the pelvis inclination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3.60±2.12° to 3.30±2.75°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1). Control group was increase from 11.44±4.19° to 10.11±5.69°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Change of muscle strength of leg 1) Change of hip flexor Degree of change in the left hip flexor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105.12±18.58 N to 153.56± 42.94 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And degree of change in the right hip flexor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114.92±22.74 N to 148.38±39.45 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Left hip flexor in control group has shown a increase from 147.67±43.46 N to 156.11±25.25 N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Right hip flexor in control group has shown a decrease from 160.56±41.33 N to 158.00±24.65 N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2) Change of knee extensor Degree of change the left knee extensor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93.28±25.66 N to 120.86±23.21 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And degree of change the right knee extensor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87.60±23.48 N to 121.28±35.41 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5). Left left knee extensor in control group has shown a increase from 128.78±28.15 N to 130.42±27.09 N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Right knee extensor in control group has shown a decrease from 114.89±18.78 N to 113.71±23.40 N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3) Change of ankle dorsiflexion Degree of change the left Ankle dorsiflexion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86.96±25.55 N to 95.94±22.40 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And degree of change the right Ankle dorsiflex has shown a increase from 86.50±27.02 N to 97.10±19.56 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Left left Ankle dorsiflexion in control group has shown a decrease from 112.78±35.44 N to 111.98±24.24 N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Right ankle dorsiflexion in control group has shown a increase from 106.36±23.89 N to 108.33±20.24 N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3. Change of lung capacity Degree of change the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1 seconds)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2.31±0.55 l/min to 2.57±0.53 l/mi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gree of change the FVC(Forced Vital Capacity) has shown a decrease from 2.70±0.25 l/min to 2.79±0.64 l/mi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gree of change the PEF(Peak Expiratory Flow) has shown a increase from 204.90±85.10 l/min to 284.30±89.75 l/mi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And degree of change the FEV1/FVC has shown a increase from 81.90±14.07% to 92.30±7.65%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Degree of change the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1 seconds)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2.17±0.66 l/min to 2.32±0.68 l/min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gree of change the FVC(Forced Vital Capacity) has shown a decrease from 2.74±0.73 l/min to 2.61±0.59 l/min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degree of change the PEF(Peak Expiratory Flow) has shown a increase from 212.22±119.98 l/min to 248.78±143.88 l/min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degree of change the FEV1/FVC has shown a increase from 81.00±17.07% to 88.33±12.09%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Change of depression The change of melancholy feel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because of limitations of sampling size due to the peculiaritie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 of statistical validation exists clearly, intended to better understand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attendees, qualitative analyzing(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parallel. It was conducted a deep interview only person accepted among program participants, thematic analysis, subject analysis tasks to be subdivided by classifying by considering the semantic units of what participants expressed, was thus carried out. It found that the degree of melancholy feeling of mental disorders who participated in the Upright Body Typed Exercise Program was reduced. The course of the experience of change in depression appered the three subjects and six sub-themes such as "the start of the change", "in 본 연구는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세와 하지근력, 폐활량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경북 P시의 정신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중 주관적 통증지수(VAS)를 활용하여 목 통증지수가 5 이상인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연구 참가동의서를 받은 19명을 선정하여 10명은 운동군, 9명은 통제군으로 분류하여 12주간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의 변화 1) 목각도의 변화 운동군의 자세변화를 살펴본 결과 목각도는 실시 전 76.00±9.48°에서 실시 후 104.00±15.62°으로 28°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통제군의 자세변화를 살펴본 결과 목각도는 실시 전 92.56±18.15°에서 실시 후 92.57±15.17°으로 0.01°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골반기울기의 변화 운동군의 골반기울기는 실시 전 13.60±2.12°에서 실시 후 3.30±2.75°으로 10.3°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통제군의 자세변화를 살펴본 결과 골반기울기는 실시 전 11.44±4.19° 에서 실시 후 10.11±5.69°으로 1.33°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하지근력의 변화 1) 고관절 외전근력의 변화 운동군의 고관절 외전근력은 왼쪽이 실시 전 105.12±18.58 N에서 실시 후 153.56±42.94 N로 48.44 N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오른쪽은 실시 전 114.92±22.74 N에서 실시 후 148.38±39.45 N로 33.46 N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통제군의 고관절 외전근력은 왼쪽이 실시 전 147.67±43.46 N에서 실시 후 156.11±25.25 N로 8.44 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른쪽은 실시 전 160.56±41.33 N에서 실시 후 158.00±24.65 N로 2.56 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슬관절 신전근력의 변화 운동군의 슬관절 신전근력은 왼쪽이 실시 전 93.28±25.66 N에서 실시 후 120.86±23.21 N로 27.58 N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오른쪽 슬관절 신전근력은 실시 전 87.60±23.48 N에서 실시 후 121.28±35.41 N로 33.68 N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통제군의 슬관절 신전근력은 왼쪽이 실시 전 128.78±28.15 N에서 실시 후 130.42±27.09 N로 1.64 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오른쪽 슬관절 신전근력은 실시 전 114.89±18.78 N에서 실시 후 113.71±23.40 N로 1.18 N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족관절 배측굴곡근력의 변화 운동군의 족관절 배측굴곡근력은 왼쪽이 실시 전 86.96±25.55 N에서 실시 후 95.94±22.40 N로 8.98 N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오른쪽도 실시 전 86.50±27.02 N에서 실시 후 97.10±19.56 N로 10.6 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통제군의 족관절 배측굴곡근력은 왼쪽이 실시 전 112.78±35.44 N에서 실시 후 111.98±24.24 N로 0.80 N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오른쪽도 실시 전 106.36±23.89 N에서 실시 후 108.33±20.24 N로 1.97 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폐활량의 변화 운동군의 폐활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FEV1(노력호기량)은 실시 전 2.31±0.55 l/min에서 실시 후 2.57±0.53 l/min로 0.26 l/mi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FVC(노력폐활량)은 실시 전 2.70±0.25 l/min에서 실시 후 2.79±0.64 l/min로 0.09 l/mi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EF(최대호기속도)는 실시 전 204.90±85.10 l/min에서 실시 후 284.30±89.75 l/min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FEV1/FVC는 실시 전 81.90±14.07%에서 실시 후 92.30±7.65%로 10.4%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통제군의 폐활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FEV1(노력호기량)은 실시 전 2.17±0.66 l/min에서 실시 후 2.32±0.68 l/min로 0.15 l/mi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FVC(노력폐활량)은 실시 전 2.74±0.73 l/min에서 실시 후 2.61±0.59 l/min로 0.13 l/min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EF(최대호기속도)는 실시 전 212.22±119.98 l/min에서 실시 후 248.78±143.88 l/min로 36.56 l/mi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FEV1/FVC는 실시 전 81.00±17.07%에서 실시 후 88.33±12.09%로 8.33%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우울감 1) 우울감의 변화 운동군의 우울감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시 전 2.45±0.92에서 실시 후 2.15±0.57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통제군의 우울감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시 전 2.29±1.02에서 실시 후 2.10±0.83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우울감의 질적분석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특수성으로 인한 표본 수의 한계로 인해 통계적 검증의 한계가 명확히 존재함을 고려하여 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질적분석(qualitative research)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 중 동

      •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경험에 따른 척추형태와 균형 및 하지근력의 차이

        강민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99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경험에 따른 척추형태와 균형 및 하지근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으로 인터뷰를 통해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88명을 선정하였고, 1년간 1회 이상 낙상 시 낙상경험 노인그룹(fallers), 1년간 한 번도 낙상하지 않으면 낙상무경험 노인그룹(non fallers)으로 나누었다. Formetric 4D를 이용하여 척추형태를 측정하였고, Bio-rescue를 이용하여 균형을 측정하였으며, Digital MMT를 이용하여 하지근력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두 그룹간의 비교와 각 측정값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두 그룹 간 척추형태 비교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trunk imbalance와 surface rotation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그룹 간 균형 비교는 눈 뜬 상태와 감은 상태 모두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그룹 간 하지근력 비교는 모든 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척추형태와 균형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척추변형이 클수록 균형능력은 감소한다. 척추형태와 하지근력간의 상관관계는 부분적으로 척추변형이 클수록 하지 근력이 약해진다. 균형과 하지근력간의 상관관계는 하지근력이 강해질수록 균형능력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연구와 같이 균형과 하지근력은 낙상의 주요인이며,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척추변형은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낙상의 주요인은 아니지만, 주요인이 되는 균형과 하지근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낙상요인, 낙상예방 등 낙상에 관련된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늘어나는 노인인구에 맞게 앞으로 많은 노인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하지 근력 강화운동이 경직성 편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과 근 두께에 미치는 효과

        곽경옥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er limb strength training on gross motor function and muscle thickn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ive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a who can walk independently. The subjects received 30 minutes of lower limb strength training for 3 times per a week during 8 weeks. Gross motor function measured using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and muscle thickness were measured by Ultrasonography. The GMFM and muscle thicknes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comparison a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GMFM score in dimensions D and E(p<.05). In comparison a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thickness of lower limb muscle in the paretic side(p<.05). In comparison a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subject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thickness of lower limb muscle except of medial gastrocnemius in the non-paretic side(p<.05). Ther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imensions of D and E of GMFM and muscle thickness(p>.05). In conclusion, lower limb strength training o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a was improved in gross motor function and muscle thick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lower limb strength training may be given the opportunity to improve gross motor function and muscle thickness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a. 본 연구의 목적은 경직성 편마비 아동의 하지 근력 강화운동이 대동작 기능과 근 두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천안시 소재의 G병원을 이용하는 경직성 편마비 아동 5명으로, 대동작 기능 분류시스템 1, 2 단계에 해당되며 독립보행이 가능하였다. 연구 방법은 8주간의 하지 근력 강화운동 후 대동작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대동작 기능 평가를 사용하였고, 근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Accuvix XQ를 사용하였다. 하지 근력 강화운동 전․후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비모수 통계프로그램인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사용하였고, 대동작 기능과 근 두께 간의 상관관계는 Spearman's rank order correlat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직성 편마비 아동에게 하지 근력 강화운동 후 대동작 기능 평가 항목 D와 E 영역의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경직성 편마비 아동에게 하지 근력 강화운동 후 마비측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대퇴이두근, 내측비복근 두께는 증가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셋째, 경직성 편마비 아동에게 하지 근력 강화운동이 적용되지 않은 비마비측의 대퇴직근, 외측광근, 대퇴이두근 두께는 증가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5), 내측비복근 두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넷째, 경직성 편마비 아동에게 하지 근력 강화운동 후 대동작 기능 평가와 근 두께 간의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경직성 편마비 아동의 하지 근력 강화운동은 대동작 기능과 근 두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경직성 편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과 근 두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