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히스토리마케팅 전략과 지역공동체의 발전 : 독일 하이델베르크시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주화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939

        Though the beginning of local autonomy age is important in itself,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and economical independence by planning the development strategy suitable for individual locals. Therefore, the local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begin to be highlighted as essential elements to reinforce local competitiveness. A strategy of new local development should express the local-specific uniqueness and requires more complex concerning about not only economical effects but also social/cultural effects. Thus, each municipalities should sufficiently study its area in advance, and consider the locality to represent it through various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The history-marketing through local records may be an effective alternative of local promotion because its marketing effect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other cities, in that it is based on local history. This is an strategy to facilitate the locally historical/cultural and social/economical development and simultaneously provide the information of local history by reorganizing multiple features of the area on the basis of local records. As this strategy is based on the facts and faith, is can provide amusement, impression and trust to people. Furthermore, this trust elevates a local positive image and makes it possible to gain creative contents based on local history. In particular, this may be a very desirable strategy in that it has a continuous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local identity as well as economical activation of the area in the future. This thesis introduces Heidelberg, German known as a successful case of history-marketing. Heidelberg build a reputation around the world with the history-marketing, a local promotion strategy, which well activates the urban records-management of German. Behind this successful resul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local records containing local history and cultural features has played a big role. Viewed from the case of Heidelberg, the history-marketing ultimately provides the positive image for the area and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identity by allowing the residents to feel sense of belonging. In a word, the successful case of Heidelberg suggests tha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local records containing the local-specific identity is essential for multiple local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stablishment of local records-management agency to paly it role should be implemented as soon as possible. 지방자치시대의 출발은 그 자체만으로 중대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별지역에 맞는 발전전략을 세워 경제적인 자립과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이다. 이에 따라 지역의 역사ㆍ문화자원은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요소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새로운 지역개발에 대한 전략은 지역만의 독특함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경제적 효과 이외에 사회ㆍ문화적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어야 하는 등 좀더 복합적인 차원의 고민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지자체는 지역에 대한 충분한 연구를 선행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역사ㆍ문화자원들 속에서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지역성을 모색해야 한다. 지방기록물을 통한 히스토리마케팅은 지역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에서 타도시와의 차별화된 마케팅효과를 불러오기 때문에 효과적인 지역홍보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는 지방기록물을 바탕으로 지역의 다양한 모습을 재구성함으로써 지역사에 대한 정보제공과 동시에 지역의 역사ㆍ문화적, 사회ㆍ경제적 발전을 도모하는 전략이다. 또한 사실에 입각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재미와 감동, 신뢰를 줄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신뢰는 긍정적인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하며, 지역사에 기반한 창조적인 콘텐츠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것은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의 보존을 중시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함은 물론 차후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굉장히 매력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리마케팅의 성공사례로 잘 알려진 독일 하이델베르크시를 소개하였다. 독일 도시기록물관리의 전통을 잘 살린 하이델베르크시는 히스토리마케팅이라는 지역홍보 전략으로 전 세계에 그 이름을 알리고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결과 뒤에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특성을 담은 지방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큰 몫을 해왔다. 하이델베르크시의 사례를 통해 본 히스토리마케팅은 궁극적으로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안겨 주었고, 지역민들에게 소속감을 갖게 하여 지역정체성확립에 일조했다. 또한 지역민들의 고용 및 직업창출, 기업 유치 등의 다양한 경제적 이득을 가져왔다. 한마디로 정리해보면, 하이델베르크시의 성공 사례는 지역만의 정체성이 담긴 지방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다양한 지역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것임을 시사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국내에도 그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이 하루 빨리 이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내용분석과 비교

        진귀남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89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giving help and instruction to today’s christians and churches of theological and faith aspects. Chapter 2 is focused on advent reason of Heidelberg catechism. Of historical research area of this chapter are made up of Luther’s Religious reformation, Heidelberg dispute and Fridriech III’s ideology. This chapter reveals theological back grounds of the catechism were for unity of the sacraments and the church’s theology, and acceptance of Calvin’s view of spiritual presence of Christ. Chapter 3 is for structural analysis of the catechism. The study on chapter 3 clarified similar structure of the catechism and Book of Romans, and contents analysis found all substances of the catechism were selected from Bible. In chapter 4, by comparing reformational creeds which were Luther’s catechism and Calvin’s, it was proved Heidelberg catechism’s superiority. By reasons of its more complementary editing and better specific questions and answers. Through out compared by Wesleyan method, it was discovered most likely Wesley’s theological ideology. Holistic view from comparing and analyzing above processes, Heidelberg catechism is proven as suitable material for church’s education. Therefore, Church community should use Heidelberg catechism more actively for more desirable catechism study.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 나타난 '선한 행위' : 레비나스 타자윤리와 관련하여

        김성애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687

        The study aims at discussing on the significances of the Good Conducts in Heidelberg Catechism in relation to Lévinas Ethics of 'the others', and then suggesting the significances for the Korean Christianity. More detailed objectives and related contents are as followed. First, the study looks into the significants of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From here the historic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n term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described, and the concepts of the Good Conducts is mentioned as well. And relation to the Good Conducts, the meaning of gratitude, belief, holy spirit, Lord's prayer and the Ten Commandmen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discussed. Lastly, the Good Conduct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ocially poor and weak in the Heidelberg Catechism. Ursinus has mentioned that the Good Conducts comes out the true beliefs, follows God's Laws, and they are all about the glory of God. Therefore, the Good Conducts for the socially poor and weak should be what Christian is to obey God's command of serving the poor and weak.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Good Conducts in the Lévinas' ethic of 'the others'. From here the features, 'the others', and the concept of God in the Lévinas Ethics are mentioned. He asserts that the ethic should be giving up 'oneself' in the point of view 'the others'. The others has the face of the poor, weak, a widow, an orphan, and orders us, as our Lord. The accountability on the others implies 'the love of our neighbor' in the Bible. It expresses the love of suffering people. Third, the Study discusses on the significants of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related to Lévinas' Ethic. What we believe should be done in our lives. “Not everyone who says to me, 'Lord, Lord', will enter the kingdom of heaven, but the one who does the will of my Father who is in heaven(Matthew 7:21).” This word would be deeply related to care the others in the Lévinas' ethic, and also it could be in the center of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others' in Lévinas' philosophy command on the Good Conducts, but in there, there should be assurance of God's existence, obey, and the beliefs of God. Lastly, the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for the Korean Christianity regarding the Good Conducts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Lévinas' ethic. Korean society in the super individualism neglects the socially weak, and churches in the society passes over those individualism in silence. In the society and the church, the awareness of community would be buried under the capitalistic economy. In such a phase, necessity of Christianity Role should be strongly come to the fire, which could recover on the awareness of community in the society and the church.. So it should be necessary to the ethical conducts for the poor and weak, as a code of conduct for Korean Christianity. Therefore the Korean Christianity should look for new significants in Jesus' Commands, that you shall love your God and your neighbor as yourself.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의 선한 행위의 의미를 레비나스 타자 윤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그것이 한국 기독교에 주는 과제를 시사하는 목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과 그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선한 행위의 의미를 살펴본다. 여기서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역사적 배경, 성격 및 구조가 다루어진다. 또한, 선한 행위의 개념과 감사, 믿음, 성령, 주기도문, 십계명에서의 선한행위 의미를 찾는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약자를 중심으로 한 선한 행위를 논한다. 우르시누스는 선한 행위는 참된 믿음에서 나오는 하나님의 율법을 따르되,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는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약자 중심의 선한 행위는 중생한 인간이 사회적 약자를 섬기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 차원에서 선한 행위의 내용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레비나스 윤리학의 성격을 알아본다. 동시에 레비나스의 타자 및 신의 개념을 살펴본다. 레비나스는 타인의 관점에서 자기를 버리는 것이 윤리적이라는 것이다. 타자는 가난한 자와 나그네, 과부와 고아의 얼굴을 하며, 우리에게 명령하면서 우리 주인의 모습을 한다. 타인에 대한 책임성은 성경에서의 ‘이웃사랑’, 특히 고통 받는 타자를 사랑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선한 행위에서 본 레비나스 타자 윤리의 의미를 논한다. 우리가 믿는다고 하는 것은 삶 속에서의 행함을 말한다고 할 것이다. “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마 7:21).” 이러한 예수님의 말씀은 레비나스의 윤리관에 담긴 ‘타자’의 돌봄이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의 선행의 중요한 핵심으로 자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가 기독교인의 선한 행실을 온전히 실천하도록 명령하지만, 거기에는 반드시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확신과 순종이 믿음으로 입증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에서의 선한 행위가 한국 기독교에 주는 과제를 논한다. 초개인주의 시대 속에 있는 지금의 사회는 점차 소외되는 사회적 약자를 방치하고 있고, 그 안에서 교회는 신앙 공동체적인 사명보다는 구성원 개개인의 이기심에 따른 계약 관계의 형성을 묵과하고 있다. 이렇게 점차 경제적 자본주의 논리 속에 매몰되어 공동체 의식과 이웃이 상실된 우리의 사회와 교회에서, 공동체와 이웃의 회복을 위한 기독교의 역할은 절실히 필요하다. 그래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윤리적 행위가 이 시대의 한국 기독교의 행동 강령으로 자리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독교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의 새 계명이 가지는 의미를 새롭게 찾아야 한다.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찬성례전의 비교분석과 적용연구

        신영섭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655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 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찬성례전의 부분에 관하여 객관성을 가지고 연구한 것이다. 논자가 한국교회 성찬의 문제점으로 성찬준비와 교육부재와 성찬의 횟수와 시기, 말씀과 성찬성례의 불균형 등을 언급하였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혁주의 입장을 취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찬성례전의 비교 분석과 적용점을 찾아서 한국교회의 성찬성례전의 갱신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하여 우리가 더욱이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은 성찬이 예배의 형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있지만 정작 한국교회의 예배에서의 위치는 매우 초라하다는 사실이다. 논자는 한국교회 예배는 성찬 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의미를 살려서 바람직한 성찬이 예배 속에 이루어져 한국회 예배에 성찬에 대한 필요성과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오늘날 한국교회 예배에서 시행되는 성찬에 대한 목회자의 신학과 교육의 부재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한 관점에서 한국교회 예배에 있어서 성찬에 대해 살피며 예배 시 성찬의 나아가야 될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함이 본 논문의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그리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성찬성례전을 비교 분석하고 조명하여 한국교회의 성찬성례전의 갱신 방향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인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가 작성될 당시 종교적,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 대하여 연구하여 올바른 성찬에 대한 신학적, 실천적 개념을 비교 분석을 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교회와 목회자들과 성도에게 직면한 성찬성례전의 문제점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우르시누스 신학에 있어서 '성자와 중보자 사이의 구별'에 대한 이해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해설에 나타난 신학적 이해

        김진서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620

        개혁신학을 꽃피었던 17세기 당시 웨스터민스터 성직자들은 신론중심의 사고에서 정통적인 삼위일체론과 특별히 성자와 중보자의 구별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였고 이것이 진리임을 확고히 붙들었었다. 그리고 후배들에게 반드시 수정해서는 안된다 라고 이구동성으로 고백을 하였다. 우르시누스도 그러한 심정으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에서 펜을 들었을 것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그 위대한 신학유산을 신교로 대표하는 미국장로 교회가 받아 들일 수 없었고 수정을 하게 된 것이다. 더구나 그 미국교회의 신학을 받아들인 우리로서는 그 시작부터 미국과 다르게 되었으니 문제가 더욱더 크게 된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 당시 신사참배의 문제를 거기서 풀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에 나타난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 : 어거스트의 삼위일체론으로부터 받은 영향

        이권형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583

        처음 서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신론을 파괴함으로 신·구약의 통일성을 파괴하고 교리를 배제한 많은 교회들이 삼위일체에 대한 중요한 원리를 잊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많은 믿음의 선조들이 역사적으로 삼위일체를 어떻게 정립하고 정리했는지를 알아보고, 그중에서도 개혁 신학자 증의 한 사람인 자카리아스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논문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우르시누스의 생애와 신학적 배경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리고 우르시누스가 작성한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의 역사적인 위치와 해설집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었다. 마지막 목적으로는 우르시누스를 연구하던 가운데 우르시누스는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을 논하면서 그의 영향을 받은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본론에서 충분히 다루었다고 생각함으로 결론에서는 본론의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정리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이 가장 큰 목적이었기에 우르시누스의 생애와 신학적 배경을 다루었다. 처음 우르시누스는 루터파의 제자인 멜랑톤의 영향을 받아 루터파였으나, 개혁신학자들과의 왕성한 교류를 통하여 또한 루터파와 칼빈파의 성찬론에 대한 논쟁 가운데 칼빈파의 편을 들면서 칼빈주의자와 같은 개혁신학자가 되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우르시누스의 저작인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를 논하였는데, 많은 사람들은 하이텔베르그 신앙고백서를 올레비아누스와 같이 집필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원저자인 우르시누스가 집필한 것과 올레비아누스의 많은 도움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집필된 우르시누스의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는 지금까지도 개신교의 역사에 있어서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논하였다.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은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난 것을 논하였는데,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은 신론의 전반적인 이해와 삼위일체론에 대한 해석을 정경의 예증으로 풀어나간 것을 논하였다. 우르시누스는 삼위일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해서는 성경에는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성경의 말씀과 유사하기 때문에 사용해도 된다는 허용적인 입장과 또한 성경 말쯤에 분명한 이해를 돕기 매문에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논하였다. 그리고 이단들에게 말하기를 삼위일체라는 용어보다 삼위일체 하나님을 더욱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말이 있다면 그 단어를 사용해도 된다는 것이 우르시누스의 입장이라고 논하였다. 그리고 특징적인 각 위격의 존재에는 질서가 있다는 것을 논하면서, 이러한 질서의 순서는 성부, 성자, 성령에 대해서 존재의 순서가 아닌 존재 방식에 따른 순서만 있을 뿐이라고 논하였다. 그리고 삼위일체 교리는 누구라도 삼위일체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는 구원 받을 수 없다는 성경의 증거를 논했다. 마지막으로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과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의 특징과 핵심을 논하면서 우르시누스가 어거스턴의 삼위일체론의 영향을 받아 삼위 하나님의 사역 방식과 계시적인 차원,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조 등이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어거스틴의 삼위일체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해서 말할 때, 세 하나님에 대해서 말할 수 없고, 하나님이든 여호와 하나님이든, 하나님은 한 하나님에 대해서 말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삼위일체는 한 하나님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곧 한 분 하나님이시다. " 따라서 하나님의 속성에 대해서도 말할 때도 유일한 한 분 하나님의 속성으로서 말하는 것이다. 어거스틴의 이런 미묘한 입장은 성경의 문자적 모든 말씀들을 버리지 않으려는 정신에서 생긴 것임을 알 필요가 있다. 그의 가르침이 비성경적 사색에서 일괄되어 나온 것이 아니라, 성경의 보든 말씀들과 모순되지 않으면서 여러 이단적인 사고를 벗어 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존재론적인 사고나 그의 인식론적인 기본 입장들이 뒤섞여서 산출된 성경해석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삼위일체에 대한 역사적인 흐름 가운데 어거스턴과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을 다루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삼위하나님은 늘 함께 동시적(simul)으로 역사하시는 통일적 경륜적 삼위일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우르시누스의 삼위일체론은 어거스턴의 삼위일체론 이해에 대한 범주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론에서 다루었던 것처럼 역사적으로 수많은 이단들이 삼위일체에 대한 오류를 범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어거스턴의 삼위일체론을 수많은 개혁신학자들이 그의 이론을 따르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르시누스 역시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범주를 벗어나고 있지 않은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회들이 삼위일체론에 대한 역사적인 이해가 없이 많은 오류에 빠져서 설명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신학은 발견이나 발전을 의미하지 않는다. 성경적 개념들은 스스로부터나 지금 시점으로부터 개념을 창출하거나 해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더 이상 지금의 많은 교회들이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오류에 빠지지 말고, 올바른 성경해석으로 그리고 역사적인 해석법의 입장으로 교리를 이해하고 가르치는 것이 많은 성도들과 교회들에게 유익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칼빈과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의 율법이해

        이재근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1582

        Richard A. Muller has formulated an important the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Reformation Reformed theology and the Reformer himself. He argues that although the theologians of the post-Reformation period used a scholastic methodology to clarify Reformed theological system, they remained in essential agreement with the first generation of Reformed thought in content. It is so called the ‘Muller Thesis.’ This study is written to support the ‘Muller Thesis.’ Especi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law in John Calvin as the Reformer and the law in the Heidelberg Catechism as the representative document of the early Reformed scholasticism. My purpose is to demonstrate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does not transform or distort the Calvin’s theology, but supports it, especially in the field of the law. In the first part, I introduced the history of arguments concerning the ‘Muller Thesis.’ Through this process, I showed the position, meaning and importance of my thesis in the Reformation studies. Researching into the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law in the second part, I have speculated on the origin of his theology and its applied usage in his Institutes. Calvin understood the position of the law in the Bibl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covenant and he perfectly showed its biblical, soteriological, and real meaning. He did not think that the law as an Old Testament and the gospel as a New Testament were different or contradicted each other. As a result, he had asserted that the law is still efficient for converted believers and had declared this law is the norm guiding Christians to the holy way. It is the third use of the law that Calvin considers the principal use of the law. Through the third part of this study, readers can see expositions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almost succeeds Calvin’s covenant principles. The Catechism stresses the believer’s voluntary obedience of the law that is playing a role in his life. Like Calvin, the Heidelberg Catechism understands the law in whole structure of the redemption of Christ and the covenant of grace.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little discrepancies in content between both sides. However, these have discontinuity of emphasis in detail. In the theological structure, while Calvin comments all uses of the law collectively in the specific area of the Institutes(Ⅱ.7-9), the Catechism takes the divided arrangement. For the purpose of stressing the third use of the law and weaving the subject of the ‘law as the expression of gratitude,’ the Heidelberg Catechism included the first use of the law in the part of ‘Misery,’ and after explaining almost all doctrinal items in the second part of ‘Deliverance.’ It is not until the third part of ‘Gratitude’ that it exposes the Decalogue according to principles of the third use of the law. The second use is passed over. It’s intent is clear. “Believers live on thanksgiving in consequence of Christ’s redemptive work, the law of the ten commandments as a normative guide for the grateful life exists, and the prayer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gratitude God wants us to do.”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idelberg Catechism succeeded the Calvin’s principle of the law almost completely. However, the Catechism expanded some motifs superior to Calvin’s understanding. Especially, its expanded motifs, such as comfort, gratitude, and prayer are very distinguished. Therefore, there is no so called ‘distortion,’ or ‘modification,’ between Calvin and the Heidelberg Catec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