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시모토갑상선염에서 신호강도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B-모드 초음파의 유용성

        이선정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67

        목적 본 연구는 하시모토갑상선염의 진단 시 신호강도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B-mode 초음파(Acoustic Structure Quantification: ASQ)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정상갑상선과 하시모토갑상선염의 감별진단을 위한 ASQ값의 판정기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하시모토갑상선염 또는 정상 갑상선인 총 186개의 갑상선엽에서 초음파 검사와 ASQ검사를 시행하였다. 정량적 결과인 평균값, 최빈값, 비율, 표준편차, 청색-평균값, 청색-최빈값이 Cm2 히스토그램을 통하여 보고되었다. ROC 분석을 통해 정상갑상선과 하시모토갑상선염의 감별진단을 위한 각각의 ASQ값의 진단능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두 명의 관찰자간의 일치율을 보기 위하여 계층 내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186개의 갑상선엽 중 103개가 하시모토갑상선염, 83개가 정상갑상선이었다. 하시모토갑상선염군과 정상갑상선군간에 ASQ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01). 하시모토갑상선염 환자군에서 ASQ 값은 정상군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ROC curve 아래의 면적은 비율, 청색-평균값, 평균값, 청색-최빈값, 최빈값과 표준편차가 각각 0.936, 0.902, 0.893, 0.855, 0.846, 0.842로 나타났다. 판정기준치는 '비율'이 0.27일 때 민감도 87.38%, 특이도 95.18%로 가장 좋은 진단능력을 보였다. 두 명의 관찰자간의 계층 내 상관계수는 0.86에서 0.94로 상당한 일치율을 보였다. 결론 ASQ는 하시모토갑상선염 진단 시 유용하고 믿을만한 검사방법이다. ASQ는 갑상선의 신호강도를 정량화 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하시모토갑상선염을 감별진단 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Acoustic Structure Quantification (ASQ) values in the diagnosis of Hashimoto’s thyroiditis (HT) using B-mode ultrasonography and to identify a cut-off ASQ level that differentiates HT from normal thyroid tissu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86 thyroid lobes with HT and normal thyroid glands underwent US with ASQ imaging. The quantitative results are reported in the Cm2 histogram with average, mode, ratio, standard deviation (SD), blue-mode, and blue-averag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diagnostic ability of the ASQ values in differentiating HT from normal thyroid tissu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of the ASQ values were obtained between two observers. Results: Of the 186 thyroid lobes, 103(55%) had HT and 83 (45%) were normal thyroid glan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SQ values of HT glands and those of normal glands (p<0.0001). The ASQ values in patients with HT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patients with normal thyroid glands. The area under the ROC curves with regard to the ratio, blue-average, average, blue-mode, mode and SD were: 0.936, 0.902, 0.893, 0.855, 0.846 and 0.842, respectively. The ‘ratio’ cut-off value of 0.27 offered the best diagnostic performance with sensitivity of 87.38% and specificity of 95.18%. The ICC ranged from 0.86 to 0.94, which indicates substantial agreement between the two observers. Conclusions: ASQ is a useful and promising ultrasonographic method for diagnosing HT. ASQ not only would be a helpful tool to quantify thyroid echogenicity, but also would be useful for HT diagnosis.

      • Combined effect of Hashimoto’s thyroiditis and BRAFV600E mutation status on aggressiveness in papillary thyroid cancer

        김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447

        Background: Hashimoto’s thyroiditis (HT) associates with a higher risk for papillary thyroid cancer (PTC). BRAFV600E mutation is the most common genetic alteration responsible for the aggressiv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PTC.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HT and BRAFV600E mutation, and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PT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ir combined association on tumor aggressiveness in PTC. Patients and Methods: A total of 1,780 PTC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at our institution from February 2009 to December 2011 were enrolled. HT was diagnos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amplify exon 15 of the BRAF gene from paraffin-embedded thyroid tumor specimens, followed by direct nucleotide sequencing to detect BRAFV600E mutation. Simple and multiple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 ne the association between HT and BRAFV600E mutation in PTC. Results: HT was present in 11.5% (204/1,780) of PTC patients. HT associated with BRAF wild type, younger age, female gender, no extrathyroidal extension, and less advanced tumor stage in PTC (P<0.0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BRAFV600E mutation (OR=0.493; 95% CI,0.360–0.678) and female gender (OR=7.146; 95% CI, 3.408–18.347) were independent factors of HT in PTC. HT-negative and BRAFV600E mutation positive PTC group associated with aggressive disease (OR=3.069; 95% CI, 1.654–5.916) comparing with HT-positive or BRAF wild-type PTC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HT associated less frequently with BRAFV600E mutation and frequently with female gender in PTC. HT and BRAFV600E mutation status may help to better predict the clinical outcome of PTC patients. 연구배경: Dailey 가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갑상선 유두암과의 연관성을 처음 제시한 이후, 하시모토 갑상선염을 가진 갑상선 유두암 환자에서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갑상선 유두암의 원인인자로서의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BRAFV600E 돌연변이는 갑상선 유두암에서 가장 흔한 유전적 변이로, 공격적인 임상병리학적인 양상과 나쁜 예후와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갑상선 유두암 환자에서 하시모토 갑상선염, BRAFV600E 돌연변이, 그리고 임상병리학적인 특징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이러한 상관관계가 갑상선 유두암의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이 연구에 동의하고 갑상선 유두암으로 갑상선 수술을 시행받은 17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절제된 갑상선 표본의 병리소견으로 진단하였다. 파라핀으로 포매된 갑상선 종양 표본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사용하여 BRAF gene의 exon 15을 증폭하였고, 직접 염기 서열분석법을 이용하여 BRAFV600E 돌연변이를 확인하였다. 갑상선 유두암에서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BRAFV600E 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총 1780 명의 갑상선 유두암 환자 중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204 명 (11.5%)에서 확인되었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BRAFV600E 돌연변이가 없는 경우, 젊은 나이, 여성, 갑상선 피막 침윤이 없는 경우, TNM 종양의 병기가 낮은 경우에서 하시모토 갑상선염과의 연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P<0.05). 다변량 분석에서는 BRAFV600E 돌연변이 (OR=0.493; 95% CI, 0.360–0.678), 여성 (OR=7.146; 95% CI, 3.408–18.347)인 경우가 갑상선 유두암에서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독립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BRAFV600E 돌연변이 여부에 따른 갑상선 유두암의 공격성을 살펴본 결과, BRAFV600E 돌연변이가 있으면서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없는 군에서 BRAFV600E 돌연변이가 없거나,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있는 군에 비교하여 공격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갑상선 유두암 환자에서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있는 경우, BRAFV600E 돌연변이가 낮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여성에서는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BRAFV600E 돌연변이 여부는 갑상선 유두암 환자에서 임상 결과를 예측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갑상선 유두암에 있어서 하시모토 갑상선염 유무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분석

        강동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45

        목적 :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갑상선 유두암 간의 관계는 아직 논쟁 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갑상선 유두암 간의 임상병리학적 관계를 분석하고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갑상선 유두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갑상선 유두암으로 갑상선 수술을 받은 773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들 환자들은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동반된 갑상선 유두암군과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동반되지 않은 갑상선 유두암군으로 나뉘어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773명의 환자들 중,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동반된 군은 773명 중 269명(34.8%) 이었고 대조군은 773명 중 504명(65.2%) 이었다. 이 두 군을 비교하였을 때 age, extent of surgery, serum T3, Free T4, number of tumor, multifocality, tumor size, extrathyroidal extension, lymph node metastasis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서는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동반된 군에서 대조군보다 여성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 value=0.008). Serum TSH level은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동반된 군에서 높았다(p value <0.001). 예후와 관련하여 AMES scoring system에서 하시모토 갑상선염 군이 대조군에 비해 저위험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 value=0.048). 그러나 lymph node metastasis에 대해 multivariate analysis를 시행 하였을 때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못했다. (p value= 0.081, odds ratio = 1.335; 95% CI, 0.965-1.847) 결론 : 임상병리학적 인자들 중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동반된 군에서 여자일 경우와 혈청 TSH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동반된 경우 저위험군에서 더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하시모토 갑상선염이 림프절 전이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이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 요오드 섭취량이 갑상선 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소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2367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경우 평생동안 갑상선호르몬제를 투여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의 일부에서 갑상선호르몬제의 투여없이 저절로 갑상선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됨이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요오드 섭취의 제한만으로도 갑상선기능이 자연적으로 회복됨이 보고되어 과다한 요오드 섭취가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유발과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 유발요인으로 생각되는 요오드의 섭취량에 따른 갑상선기능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군은 본원 내분비내과를 방문하여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처음 진단받은 환자 45예로 하였으며, 모든 환자들은 요오드 섭취량 및 배설량을 평가한 후 갑상선호르몬제의 투여없이 1∼3개월간 갑상선 기능을 추적관찰하였다. 이 중 23예는 내원 초기부터 최종평가때까지 식사요법교육을 통해 요오드 섭취를 1일 100㎍ 이내로 제한하였고, 나머지 22예의 환자들은 요오드 섭취를 제한하지 않고 추적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요오드 섭취를 제한한 군에서는 환자 23예중 18예(78.3%)에서 갑상선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 반면, 요오드 섭취를 제한하지 않은 군에서는 환자 22예중 10예(45.5%)만이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2. 요오드 섭취를 제한한 군에서는 혈청 fT_(4)가 초기 0.80±0.27ng/dL에서 3개월후 0.98±0.21ng/dL으로, 혈청 TSH는 초기 37.95±81.76μIU/mL에서 3개월후 25.66±70.79μIU/mL으로 변화하여 갑상선기능저하증이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요오드 섭취를 제한하지 않은 군에서의 혈청 TSH는 초기 11.25±11.42μIU/mL에서 3개월후 14.27±19.31μIU/mL으로 변화하여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악화되는 것처럼 보이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으며, 혈청 fT_(4)는 초기 0.98±0.17ng/dL에서 3개월후 0.92±0.28ng/dL으로 변화하여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더욱 악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3. 갑상선기능의 변화율은 요오드 섭취 제한군에서 혈청 fT_(4)는 48.50±111.31%정도, 혈청 TSH는 48.82±45.11%정도 갑상선기능저하증이 호전되었으며, 요오드 섭취 비제한군에서는 혈청 fT_(4)는 7.06±23.07%정도, 혈청 TSH는 70.82±274.87%정도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악화되었다. 4. 회복군과 비회복군간의 성별, 나이, 초기 갑상선종의 크기, 혈청 항미소체 항체와 항갑상선글로불린 항체 및 TSH 수용체 항체의 역가, 24시간 방사선 요오드 섭취율, 요오드 섭취량, 요오드 배설량, 초기 혈청 총 T_(3), 총 T_(4), fT_(4), TSH 농도 등은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요오드를 제한한 군에서 요오드 배설량이 회복군에서 3.51±1.62mg/L로 비회복군에서의 1.21±0.39mg/L에 비하여 의미있게 높았으며, 혈청 TSH는 회복군에서 14.28±12.63μIU/mL로 비회복군의 123.14±156.51μIU/mL에 비하여 의미있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의한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에서 갑상선호르몬제의 투여없이 단순히 요오드 섭취의 제한만으로도 대부분 3개월이내에 갑상선 기능이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기 요오드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요오드 섭취를 제한하였을 경우 정상 갑상선기능으로 회복되기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진단당시 갑상선기능의 저하가 심할수록 정상 갑상선기능으로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향후 하시모토 갑상선염으로 인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처음으로 진단하였을 때 즉시 갑상선호르몬제를 투여하는 것보다는 가급적이면 요오드 섭취를 제한하거나, 흑은 요오드 섭취를 제한하지 않더라도 갑상선기능이 회복되는지를 좀 더 관찰한 후 갑상선기능이 회복되지 않을 경우에 한하여 갑상선호르몬제를 투여해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요오드 섭취수준이 높거나,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정토가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요오드 섭취를 제한해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A lifelong thyroid hormone therapy is indicated in all patients who have hypothyroidism due to Hashimoto's thyroiditis.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some patients with hypothyroidism due to Hashimoto's thyroiditis have spontaneous remission with restriction of iodine intake instead of thyroid hormone therapy. We studied 45 patients with hypothyroidism due to Hashimoto's thyroiditis. Twenty three patients were asked to restrict iodine intake to 100㎍ per day and thyroid function was evaluated for 3 months(group 1). The other 22 patients were not restricted of iodine intake(group 2). We investigated the recovery rates of thyroid function with restriction of iodine intake and the predictable factors for recovery from hypothyroidism due to Hashimoto's thyroiditi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group 1, 18(78.3%) of 23 patients recovered to euthyroid after 3 month iodine restriction without thyroid hormone therapy. In group 2, 10(45.5%) of 22 patients recovered to euthyroid after 3 month iodine non-restriction. 2. In group 1, their mean fT_(4)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0.80± 0.27ng/dL to 0.98±0.21ng/dL and their mean TSH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37.95±81.76μIU/mL to 25.66±70.79μIU/mL, They recovered from hypothyroidism. In group 2, their mean fT_(4) concentration decreased from 0.98±0.17ng/dL to 0.92±0.28ng/dL ; They remained to hypothyroidism. 3. In group 1, their mean TSH was 40.82±45.11% increase of thyroid function. In group 2, their mean TSH was 70.82± 274.87% decrease of thyroid function. 4. Iodine excretion of the recovered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recovered patients(3.51±1.62mg/L vs. 1.21±0.39mg/L, p=0.006) and initial TSH concentration of the recovered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n-recovered patients(14.28±12.63μIU/mL vs. 123.14±156.51μIU/mL, p=0.005). In conclusion, 78.3% of patients with hypothyroidism due to Hashimoto's thyroiditis spontaneously recovered to euthyroid with only iodine restriction instead of thyroid hormone replacement. High iodine excretion and low level of serum TSH concentration may be predictong factors of recovery from hypothyroidism due to Hashimoto's thyroiditis.

      • 수술로 치료한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임상고찰

        최성림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2255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urther refine the indications for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Hashimoto's thyroiditis, and also to present the better histopathologic diagnostic modality for Hashimoto's thyroiditis. METHODS : The authors evaluated retrospectively 130 patients with surgically proven Hashimoto's thyroiditis a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in Jeonju and Yonsei hospital in Masan from Jan. 1995 to Feb. 2002. RESULTS :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gun biopsy for the diagnosis of Hashimoto's thyroidit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 of fine needle aspiration (83.3% vs 46.2%, P<0.001). There were 26 cases(13.8%) of coexistent carcinoma of 130 patients. The incidence of carcinoma in men(6 in 9, 66.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women(20 in 121, 16.5%, P<0.05). The incidence of carcinoma in antithyroglobulin antibody negative group(8 in 10, 8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ntibody positive guoup(16 in 111, 14.4%,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carcinoma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lymphadenopathy groups(22.6% vs 20.0%, P=0.681). As for ultrasonographic findings, patients with irregular-marginated dominant nodule or calcific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carcinoma than those without so findings had(P<0.001). As for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lymphocytes infiltration, the incidence of carcinoma in nodular or localized pattern group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diffuse group(24.5% vs 8.3%, P<0.05). CONCLUSION : For histopathologic diagnosis of Hashimoto's thyroiditis, gun biopsy is more sensitive than fine needle aspiration. And the incidence of concurrent carcinoma in patients with Hashimoto's thyroiditis is increased under the circumstances as follows: men, negative antithyroglobulin antibody results on serologic test, ultrasonographic findings such as irregular-marginated dominant nodule, increased vascularity or calcification, and nodular or localized patterns of lymphocytes infiltration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 갑상선암과 갑상선자극호르몬 및 하시모토 갑상선염의 관계

        이지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253

        Background : Several studies showed patients with coexisting Hashimoto’s thyroiditi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had a few recurrences, improved survival rates, good prognosis. On the other hand, Hashimoto’s thyroiditis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with thyroid carcinoma in another data. So,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benign thyroid disease patients and thyroid carcinoma patients. And then, we examined what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yroid carcinoma.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640 patients underwent thyroid operation were examined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7. We divided these patients into 2 groups; group1 - 251 patients with benign thyroid disease and group2 - 389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We compared age, sex, serum TSH levels, autoantobodies, existence of Hashimoto’s thyroiditis, ultrasonographic findings between two groups. And the association factor of thyroid cancer was investigated using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at was adjusted for age, sex, Hashimoto’s thyroditis, increased serum TSH levels, autoantibodies, ultrasonographic findings. Results: Group2 had higher serum TSH levels, positive rate of autoantibodies, and coexistence rate of Hashimoto’s thyroiditis than group1. In addition, group2 patients had smaller nodular sizes, lower echogenecity, higher carcification, irregular margins and more solid components than group1. The risk of diagnosis of malignancy rose in parallel with the serum TSH at presentation (p=0.0009).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ly increased adjusted odds ratios (AORs) for the diagnosis of malignancy in subjects with serum TSH levels more than 1.8mU/L (AOR 2.44(CI 1.01-5.88, p=0.047)) compared with TSH less than 0.4 mU/L. And autoantibodies (AOR 2.19 (CI 1.00-4.79, p=0.050)), microcalcifications (AOR 2.10 (CI 1.11-3.98, p=0.022)), macrocalcification (AOR 5.01 (CI 1.23-20.37, p=0.024)) and irregular margins of nodules in ultrasonographic findings (AOR 1.80 (CI 1.01-3.19, p=0.045)) were also at increased risk. On the other hand, nodule size more than 22mm (AOR 0.15 (CI 0.09-0.26, p <0.0001))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No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Hashimoto’s thyroiditis and thyroid cancer. Conclusions: Our data suggests increased serum TSH levels and presence of autoantibodies but not Hashimoto’s thyroiditi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of thyroid mali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