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랭크 스텔라의 後期作品 硏究 : 1970년대 이후 부조회화를 중심으로

        윤수진 慶尙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article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Frank Philip Stella's late1970s paintings, who turned abstract painting into a 'thing in the world' rathe than pictures or signs of thoughts or emotions, also began his three-dimednsional relief paintings, composed of planes and geometrical components, by excluding the illusions, and finally gave birth to the relief painting in 1970s. The austere early black paintings associated with his first public showing had given way to a series of colorful shaped canvases that initially featured polygons and later emphasized protractor-derived curves. In all these efforts, Stella maintained a stylistic consistency that assured him a central place among the Post-Painterly Abstractionists, who kept their works free of any incident that might compromise the flatness of the picture plane. In fact, the narrow strips that he placed next to each other were parallel and undeviating in their two-dimensionality. His oeuvre was about as close to Euclidean geometry as American paint ing got in those days. In chapter 1, the author tried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his early painting and the source of his art by lighting up the formation of modernism and its development. In chapter 2 of this article, the author tried not only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his early paint ins and the role of Shaped Canvas, which is a precursor of Relief painting but also to inquire the motive of a new form of expression, called Relief painting which has a combined characteristics of paint ins and sculpture. In the late 1970s, stella's painting style went to a dramatic change, which is post-painterly abstraction. This abstraction has been analyzed by closely inspecting his real intention and contention and, therefore, the author tried to make up a tool to assa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ate 70's paintings. In chapter 3, analysis was made after dividing his Relief-painting into two spaces, a realistic space and a phantom space. This enabled to find out the process of overcoming limitation in two-dimentionality and to replace the flat fictional space with realistic space. In chapter 4, the author tried to find out a reason to invent a new form of expression, Relief-painting, which has a combined characteristics of painting and sculpture. In those early days, the work itself was logical and rational, where he actualized his thoughts into the painting with forming his own conviction in art. Stella soon tired of styles of his conviction as a modernist while keeping on doing such paintings. It was anything remotely suggestive of Abstract Expressionist bravura or improvisation. Anything, indeed, that alluded to an overt expression of emotion as categorically disallowed. In the mid-1970s, Stella began further expressive investigations, adding surface brushwork, thus differentiating some planes texturally from others, and introducing looping forms taken from french curves In 1970, he began his three-dimensional relief paintings. He began to produce works which emphasised the picture-as-object, rather than the picture as a representation of something, be it something in the physical world, or something in the artist's emotional world. Around this time he said that a picture was "a flat surface with paint on it - nothing more". Frank Stella's work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styles. Abstract expressionist paintings of his student days gave way to minimalist work that soon incorporated shaped canvases and eventually stressed color and curved motifs. By the 1980s his minimalist aesthetic had been replaced by dynamic mixed media pieces. Shaped paintings developed into wall constructions with large, projecting, multiple components and lively brush stroke patterns, By the 1990s, much of Stella's work was fully three-dimensional. He broke the stereotypes that should be flat and He is a print maker of the subjects and styles of his paintings. Moreover, it is impressive enough to warrant the hope that larger commissions will come Stella's way, grant ins him the opportunity to prove in material form. What is worth remembering, however, is the unmistakable derivation of the design from preceding paintings and sculptures.

      • 프랭크 스텔라의 회화 작품 연구 : 변형캔버스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본 프랭크 스텔라의 회화작품

        이재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99

        예술사적 영역에서 기존의 경향을 배제하고, 새로운 시각적 표현의 시대를 예고하는 작품들로서 반동적이고 생소한 예술에 대해 전후를 살펴 볼 때, 이를 정상적인 변화의 과정으로 보는 관대한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와 미래의 관계에 있어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의 작품에 의해 더욱 고무되어졌으며, 20세기 현대미술에서 프랭크 스텔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상용어가 되었으며, 브로드웨이(Broardway) 남쪽 Corner 10th Street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것처럼, 거리에서조차도 그의 이름을 발견할 수 있다. 현대미술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프랭크 스텔라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를 평면을 기본으로 한 여러 줄무늬 연작을 작업했으며, 초기 줄무늬 작품들은 체계미술(Systemic Painting)이라는 범위 안에서 구조성(構造性)을 지닌 조형의 이미지로서 등장하는 각 연작(連作)마다 많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단일 회화 개념과 변형 캔버스의 다양한 변화와 확장으로 전개되었다. 이후 스텔라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작품에서 벗어나 형태와 텍스츄어를 대비시키는 불규칙과 다색형 작품과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한 부조(浮彫)작품을 제작하여 모더니즘에서 나타나는 표현의 억압과 정신적인 빈곤의 내적인 갈등을 극복한다. 그는 캔버스 예술이 갖는 환영주의(Illusionism)를 보전하는 방법으로 평면성과 3차원적 존재가 동시에 나타나는 금속부조작품을 제작하는데 이 작품 속에는 초기 줄무늬 회화가 가지지 않았던 현란한 흥분과 힘(Energy)이 있다. 금속부조작품의 규모는 점차 건설적인 양식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점점 입체를 향해 비집고 나온 그의 작업 경향은 마침내 벽을 벗어난 독립된 환조작품으로 선보여진다. 그의 회화의 범주, 즉 평면성은 유지하되 그 틀 속에 어떤 내용을 어떤 재료로써 표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러 형태를 주조적으로 축적(蓄積)하여 그려나가는 부조회화라는 새로운 해석을 통해 새로운 현대미술의 실험적인 모색을 하게 된 것이다. The history of the arts sees newly emerging unfamiliar and reactio- nary works, which sweep away the existing trend and predicts a new artistic revolution, from a tolerant perspective as a desirable phenomenon that naturally appear in the context of the past and future such a tendency was more encouraged by the painting of Frank Stella(1936-), who is discussed in this study. the word of Stella becomes one of usual terms used everywhere the modern art of the 20th century is argued. His name can be discovered even on the street, being carved on the 10th street in southern Broadway Frank Stella, who made an outstanding contribution to modern art, produced a series of striped plain paintings in the late 1950s and the 1960s. His early striped paintings projected a structural plastic image within the range of systemic painting. Even though there were plenty of differences between the series of works, they took root in the same, single concept of painting, showing multiple changes and extention of shaped canvas, From then on, Stella was absorbed in irregular polygonal paintings and relief paintings, instead of logical and reasonable works. The former used a contrast between form and texture and the latter employed different materials, by which he got over the inner conflicts associated with mental poverty and oppressed expression of modernism. In an effort to pre- serve the illusionism of canvas arts, metal relief painting was created by him, in which plainness coexisted with a three-dimensional existence. In this work, we can detect great excitement and energy that couldn't be found in his early striped paintings. In scale, the metal relief paintings gradually developed into more constructive mode, and his moving toward dimension design made his work go across the barrier and seen as a separate sculpture in the round. He had his sights set on more than just thinking over which content and materials should be used in the given plane framework, namely the given category of painting. He made a new interpretation of painting, turning his eyes into relief painting utilizing an accumulation of multiple different forms in structural way, and thereby successfully got out of the bounds of the 20th century's abstract painting.

      •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작품 연구 : 1970∼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김지현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32367

        예술사적 영역에서 기존의 경향을 배제하고, 새로운 視覺的 표현의 시대를 예고하는 작품들로서 反動的이고 생소한 예술에 대해 前後를 살펴 볼 때, 이를 정상적인 변화의 과정으로 보는 관대한 시각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와 미래의 관계에 있어 바람직한 현상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의 작품에 의해 더욱 고무되어졌으며, 20세기 현대미술에서 프랭크 스텔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상용어가 되었으며, 브로드웨이(Broardway) 남쪽 Corner 10th Street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것처럼, 거리에서조차도 그의 이름을 발견할 수 있다. 現代美術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프랭크 스텔라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를 평면을 기본으로 한 여러 줄무늬 연작을 작업했으며, 초기 줄무늬 작품들은 체계미술(Systemic Painting)이라는 범위 안에서 構造性을 지닌 조형의 이미지로서 등장하여 각 連作마다 많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단일 회화 개념과 쉐이프트 캔버스의 다양한 변화와 확장으로 전개되었다. 이후 스텔라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작품에서 벗어나 형태와 텍스츄어를 대비시키는 不規則 多角形 작품과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한 浮彫작품을 제작하여 모더니즘에서 나타나는 표현의 억압과 정신적인 빈곤의 내적인 갈등을 극복한다. 그는 캔버스 예술이 갖는 환영주의(Illusionism)를 보전하는 방법으로 평면성과 3차원적 존재가 동시에 나타나는 金屬浮彫作品을 제작하는데 이 작품 속에는 초기 줄무늬 회화가 가지지 않았던 현란한 흥분과 힘(Energy)이 있다. 金屬浮彫作品의 규모는 점차 건설적인 양식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점점 입체를 향해 비집고 나온 그의 작업 경향은 마침내 벽을 벗어난 독립된 丸彫 작품으로 선보여진다. 그는 회화의 범주, 즉 平面性은 유지하되 그 틀 속에 어떤 내용을 어떤 재료로써 표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러 형태를 구조적으로 蓄積하여 그려나가는 浮彫繪畵라는 새로운 해석을 통해 새로운 현대미술의 실험적인 모색을 하게 된 것이다. The history of the arts sees newly emerging unfamiliar and reactio- nary works, which sweep away the existing trend and predicts a new artistic revolution, from a tolerant perspective as a desirable phenomenon that naturally appear in the context of the past and future. Such a tendency was more encouraged by the paintings of Frank Stella(1936-), who is discussed in this study. The word of Stella becomes one of usual terms used everywhere the modern art of the 20th century is argued. His name can be discovered even on the street, being carved on the 10th street in southern Broadway. Frank Stella, who made an outstanding contribution to modern art, produced a series of striped plain paintings in the late 1950s and the 1960s. His early striped paintings projected a structural plastic image within the range of systemic painting. Even though there were plenty of differences between the series of works, they took root in the same, single concept of painting, showing multiple changes and extention of shaped canvas. From then on, Stella was absorbed in irregular polygonal paintings and relief paintings, instead of logical and reasonable works. The former used a contrast between form and texture and the latter employed different materials, by which he got over the inner conflicts associated with mental poverty and oppressed expression of modernism. In an effort to pre- serve the illusionism of canvas arts, metal relief painting was created by him, in which plainness coexisted with a three-dimensional existence. In this work, we can detect great excitement and energy that couldn't be found in his early striped paintings. In scale, the metal relief paintings gradually developed into more constructive mode, and his moving toward dimension design made his work go across the barrier and seen as a separate sculpture in the round. He had his sights set on more than just thinking over which content and materials should be used in the given plane framework, namely the given category of painting. He made a new interpretation of painting, turning his eyes into relief painting utilizing an accumulation of multiple different forms in structural way, and thereby successfully got out of the bounds of the 20th century's abstract painting.

      •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회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김경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32367

        현대인들은 사회발전에 따라 풍요롭고 다양한 삶을 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새로운 예술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진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관심은 인간 복지에 본질적으로 필요한, 의상에도 반영되어 물리적 용어로 정의될 수 있는 목적만 중요시하는 의상이 아닌 다양한 의상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현대의 의상은 개인의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감정적,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문화와 예술의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기본적 차원이 아닌 생활조형물로서의 현대의 의상은 문화의 한면을 표현하는 가장 적합한 수단으로서, 인간의 내적세계를 표출하는 예술의 한부분으로까지 여겨지고 있으며 예술운동의 전체적인 정신을 반영하는 창작물이 되었다. 그러므로 의상은 예술의 심미적 표현기능과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으며, 예술은 의상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의상에 영향을 준 그 시대의 미적가치는 다른 예술에도 같은 조형의지로 작용하므로 의상과 예술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서로 교류하게 되는 것이다. 많은 예술 분야 중 회화작품도 의상과 동시대의 미의식을 공유해 왔으며, 특히 색과 형을 중심으로 한 조형이라는 점에서 의상과 유사점이 많기 때문에 그동안 의상디자인에 활용한 예도 많았던 예술분야이다.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는 1958년 추상표현주의가 확립된 시기에 회화의 본질적 문제를 다루는 줄무늬 회화로 회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보여주며 미술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면서 발전해나간 작가이다. 그의 회화는 미니멀적인 표현에서 맥시멀적인 표현양식으로 끊임없이 변신하였으며 따라서 시각적으로 평면, 부조, 환조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텔라 작품의 표현기법을 의상에 접목시켜 의상의 표현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와 그것을 토대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세계의 배경이 되었고 현대미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20세기 미국미술의 변화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스텔라 회화의 전개과정과 예술정신을 알아보고 색채와 형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회화와 의상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와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스텔라 작품 중 1960년대의 줄무늬 작품에서 3점, 1970년대의 부조회화에서 3점, 1986년 작품 1점을 각각 모티브로, 스텔라 회화의 색채와 기하학적이고 부조적 형태를 의상에 도입하여 총 8점의 작품을 실물 제작하였다. 소재는 실크를 주로 사용하였고 합성피혁와 광택이 나는 폴리에스텔소재도 사용하였다. 다양한 색상표현을 위해 부분적으로 침염과 현드페인팅을 이용하였으며 스폰지를 사용하여 입체적 형태를 유지시키기도 하였다. 주된 제작기법으로는 패치워크와 아플리케를 사용하였고 누빔기법으로 부조적 질감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이 시각적으로 색면추상이나 미니멀적인 단순함과 추상표현주의적인 자유로운 표현이 공존하며, 평면에서 입체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들로 변화하므로 의상에 응용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넓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텔라 회화에서 나타나는 부조적이고 입체적인 형태를 인체 특유의 조형성과 결합시킴으로써 독특한 조형미가 표출될 수 있었다. 셋째, 스텔라 작품의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표현함에 있어서 패치워크와 아플리케를 이용함으로써 의상에 자유롭게 시각적 조형성을 나타낼 수 있었고, 이러한 기법들이 회화를 의상에 도입할때 잘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텔라 회화에서 보여지는 표현적 붓터치를 핸드페인팅으로 의상에 그대로 재현하여 회화를 응용한 작품으로서의 독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넷째, 미적 감각의 표현으로서 순수예술과 의상과의 상호관련성 및 의상의 예술로서의 표현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Modern man has become pursuing an enriched and varied life as the society develops. In accordance, people has much more interest in the creative new area of art. This interest of modern man reflected on the fashion too, which is essential to human welfare, thus various forms of design not merely focusing on the purpose of production that can be defined in the physical terminology have appeared. In modern fashion, various social, psychological, emotional and intellectual desires of people should be satisfied and cultural, artistic aspects emphasized. Therefore, fashion not in a mere basic dimension but as a necessary formation of living and also most proper tool to represent one aspect of culture is being regarded as one part of art expressing the inner world of man and a creation reflecting the general spirit of artistic movement. In this regard, fashion can be said it has a certain connection with the aesthetical function of art, which in turn contributes a lot to fashion. Since aesthetic values of one era influencing fashion act on the other fields of art as the same formative will, fashion and art have a close relation with each other and interchange. Among many fields of art, painting has shared the aesthetic sense of the same age with fashion, especially much similarity in formation mainly with colour and form, and has been applied to fashion design in many cases. Frank Stella (1936~ ) is an artist who showed a possibility of interpreting painting totally new with his striped works of dealing with the essential problems of it in 1958 when abstract expressionism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since then has developed his works as electrifying the world of fine art. His works have continuously changed from minimal expression to maximal one in various ways of visualizing like plane, relief and carving. In this study, such expressional techniques of Stella have been grafted on fashion to present new possibilities of expression in fashion. At first, this study has paralled theoretical study through referential investigation and actual production of work based on the theor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world of Frank Stella's work,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s American art that has played an important in the contemporary art were examined, while developmental process and artistic spirit of Stella's work investigated mainly around color and form. And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fashion was looked at.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Stella's works, i.e., three striped works of the 1960s, 3 relief works of the 1970s, and one piece of 1986 were sampled as a motive to made total 8 works of fashion by employing his peculiar colours and geometrical relief forms. The material was mainly silk but leatheret and glossy polyester also used. For diverse color expression, gradual dyeing and hand-painting were partly used, and sometimes solid forms were maintained with sponge. Making was mainly done through patchwork and applique´, sometimes relief quality of texture was attained through quilting. And the conseque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Frank Stella's work, color-plane abstraction, minimal simplicity and abstract expressional freedom coexist together, and the world is always changing from one-dimension to that of three, so the range of applying them to fashion is very wide. Second, by combining the relief or cubic forms in Stella's painting with the peculiar formativity of human body, unique formative beauty can be produced. Third, in applying Stella's various colours and forms, free visual formativity can be accomplished through patchwork and applique, and those techniques are proper to employ in fashion. Also when reviving those expressional brush touches of Stella's work through hand -painting, originality of work as applying painting can be maximized. Fourth, when employing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pure art as an expression of aesthetic sense and fashion, or artistic sense of painting in fashion it is revealed that the latter can be another formative art with abundant creativity.

      • 프랭크스텔라 Frank Stella의 흑색회화 연구 : 사물성을 중심으로

        김현지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67

        본 논문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1936~ )가 1958~1960년에 제작한 23점의 흑색회화 연작에 나타난 사물성에 관한 연구이다. 프랭크 스텔라는 전통적인 형식주의에서 평면성을 그 존재의 전제조건으로 하였던 회화가 자체의 논리 속에서 해체의 위기를 맞이한 1950년 대 말 미국의 화단에 등단하였다. 당시 20대의 젊은 청년이었던 그는 미국 미술을 이끌어가던 추상표현주의라는 큰 물줄기를 표현을 절제한 모더니즘으로 돌리는데 크게 기여했으며, 이어 등장할 미니멀리즘을 이끌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제스퍼 존스 Jasper Johns의 작품에서 모티브를 얻어 제작된 스텔라의 흑색회화는 두 가지의 상반된 반응을 유도했다. 작품의 내용은 물론 작업을 최소화한 현상은 회화예술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던 형식주의적 모더니즘의 이상을 실현한 것으로 평가되는 반면, 두꺼운 캔버스 틀(deep Canvas Stretcher)로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조건은 미니멀리즘을 예고한 것으로 일컬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스퍼 존스의 영향 이후 나타난 스텔라의 작품경향을 통해 그것이 어떻게 흑색회화로 전개되어 가는가를 살펴보고, 흑색회화 연작을 분석하면서 이에 나타나는 사물성의 특징에 대해 연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Ⅱ장에서는 스텔라가 미술계에 출현하기 전인 1950년대의 미국미술 상황을 뉴욕학파 제1세대와 2세대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스텔라의 생애를 중심으로 그의 전반적인 작품세계와 주요활동들에 관해 개괄적으로 정리 · 분석하였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스텔라의 흑색회화 이전 작품들을 형성기와 과도기 회화로 나누어 분석하면서 흑색회화가 어떤 과정을 거쳐 탄생하게 되었는지 그 전개과정에 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흑색회화 연작을 직선패턴 회화와 다이아몬드패턴 회화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작품분석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흑색회화에서 나타나는 사물성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스텔라의 흑색회화는 평면이라는 회화의 범주 안에서 형식주의적 모더니즘의 이상을 실현함과 동시에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사물성은 미니멀리즘을 예고하게 되는 이중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텔라와 미니멀 작가들 양자는 모더니즘 논리의 수용에서 출발하기는 했으나 스텔라는 회화적인 해결책을 추구했던 반면, 후자는 스텔라의 사물성에 영향을 받으면서 비회화적인 미술을 이끌어 가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스텔라는 그의 흑색회화를 통해 추상표현주의의 전통을 이어가면서도 그만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했으며, 미니멀 작가들에게 새로운 미술을 제시하면서도 미니멀리즘의 범주에 자신을 포함시키지 않는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창조해냈다. This thesis is studied for the objecthood of Black Painting Series consisting of 23 works by Frank Stella from 1958 to 1960. Frank Stella has appeared in the painting circles at the end of 1950's when the existence of painting was at stake within its logic itself. Until then, only the flatness from traditional formalism had been a prior condition for the existence of the traditional painting. This young man aged 20 at that time later comes to be evaluated as the artist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having changed the main stream in the name of Abstract Expressionism that have been ruling American painting circles at that time into Minimalism that minimizes expression. Stella's Black painting series that was motivated from the work of Jasper Johns induced two reactions contrary to each other. It was because the trend of his minimizing work as well as its contents is deemed to realize the idea of formalistic modernism which pursued the nature of painting, whereas the condition of the works placed in the middle of painting and sculpture using deep Canvas Stretcher is deemed to forecast Minimalism.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trend shown in the works of Stella since influenced by Johns, and understand his works through by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the Black paintings, and finally analyzed the objecthood of that. Chapter II investigates the situation of painting by the 1st and 2nd generation of New York school before Stella wasn’t shown in 1950’s America and focuses on his painting during his whole life. Chapter III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the Black paintings through analysis of his early and transitional paintings which were worked before the Black series. Chapter Ⅳ analyzes the Black painting series which were divided into Rectilinear-Pattern Paintings and Diamond-Pattern Paintings. Chapter Ⅴ explores the objecthood which appears in the Black serie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Black painting of Stella realized the idea of formalistic modernism in a category of the flatness and objecthood of his works implied a duality which foresaw the Minimalism. Starting from an acceptance of the modernism, he pursued a painterly way while the formalist affected by his objecthood led a non-painterly art. He maintained the traditional painting and created his unique art simultaneously. Even though he didn't want to belong with the category of the Minimalism, he proposed a new trend to the minimalist and built his own original art through the Black Paintings.

      •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의 작품 연구 :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이행

        금춘화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367

        본 연구는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1936~)가 모더니스트에서 포스트모더니스트로의 이행을 한 1970년대 이후에 발표된 그의 작품들을 위주로 스텔라가 현대회화 변천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텔라의 작품세계는 축소판 현대회화 변천사라고 해도 좋을 만큼 그 변화를 직접 반영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스텔라는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에는 평면을 기본으로 한 여러 줄무늬 시리즈를 작업했다. 이 시기의 스텔라는 제2세대 뉴욕 추상표현주의 작가들 중에서 평면성을 집중적으로 탐구한 대표적인 모더니스트 화가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후 그는 규칙적이고 단일적인 작품에서 벗어나 불규칙적인 형태와 이질적인 텍스츄어를 대비시키는 다각형 작품과 부조작품을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전이는 후기 스텔라 작업을 포스트모더니즘적 성향이라 할 수 있는 요소이다. 1960년대의 시각적 순수성으로의 정점은 1970년대의 뉴욕화단에서 여러 갈래로 다원화되는 상황 하에 있었다. 현대사회가 후기산업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새로운 시각이 요구되어 이상적인 모더니즘이 다원주의로 변화하는 포스트모더니즘시기로 접어들게 된다. 스텔라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자신의 회화에 대한 스스로의 비판을 통해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 동안 배제되어 왔던 회화와 시각적 환영간의 관계를 불가피한 필연성으로 수용하여 스텔라 작품에서 공간감이 나타난다. 화면의 평면성을 유지하면서 이루어 낼 수 있는 3차원의 실제적 공간에 대한 탐구로 부조작품을 제작한다. 3차원적인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평면예술의 한계를 벗어나려는 시도를 보여 준 것이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더욱 복합적인 공간개념을 도입한 시리즈가 제작되었다. 금속부조작품은 점점 입체적인 모습을 띄게 되었으며 마침내 벽을 벗어난 독립된 환조작품으로 등장하게 된다. 초기의 작품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현란함과 힘을 보여주는 조형적인 장식성이 더해졌다. 이와 같이 스텔라는 추상회화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해 끊임없이 탐구하여 부조회화라는 새로운 해석을 통해 평면성 속에서 나타낼 수 있는 입체성을 실험하였다. 회화의 평면성은 유지하되 그 틀 속에서 서로 대립된 이질적인 요소를 공존하게 하여 조형언어를 확장시키고 시각적 형식에서 의미의 영역으로 전이하는 등 여러 요소를 구조적으로 구축하여 부조회화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스텔라의 이런 노력은 현대미술에서 모더니즘으로부터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행하고 마무리하여 자리 매김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osition which frank Stella(1936~) hold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by examining his works since the 1970s, during which he was shifting from a modernist to a postmodernist. For his art world reflects the changes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so immediately as to be rightfully called as a epitome of it.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60's, Stella presented the series of stripe painting series based on two-dimensional surface. During this period, he was one of the leading modernist artists who were intensively exploring the flatness among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New York School Abstract Expressionists. After that, he parted from the regular and monotone works and started to create polygons and reliefs contrasting irregular forms and heterogeneous textures. This transition provided Stella's later works with postmodern elements. The apex of visual purity in the 1960's was about to diverge in many directions in New York art world of the 1970's. The movement of the contemporary society into the late industrial one required new perspective and, thus, idealistic modernism gave way to the pluralism, that is, postmoderism. In this historical situation and with self-criticism on his own paintings, Stella introduced the sense of space in his works by approving the inevitable relation between painting and optical illusion. He produced reliefs by way of making the three-dimensional real space on the one hand and preserving the flatness of picture screen, on the other. By adding three-dimensional factors, he showed the attempt to get beyond the limit of two-dimensional art. His new series of works in the 1980's contained more complex notions of space. The metallic relief works became more and more three-dimensional, ultimately to appear as full round, free-standing ones independent from the wall. He also added plastic decorativeness full of gorgeousness and power to his works. In this way, by inquiring into the possibility and limitedness of abstract painting constantly and with the a new interpretation of relief painting, he experimented to express three-dimensionality in the flatness. He opened the new field of relief painting by constructing various elements structurally; he maintained the flatness of painting but made heterogeneous elements co-exist in the very frame of it and, consequently, expanded the realm of formative language and developed it from visual form to the level of meaning. This endeavors of Stella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ey not only motivated the movement from modernism to postmoderism but also completed and exemplified it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에 있어서 토톨로지 구조의 형성과 해체

        홍지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35

        본 연구는 기표 분석(Analysis of Signifier)을 통해 1959년부터 1980년대 초반 사이에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에 있어 '토톨로지 구조 (Tautological Structure)'가 형성, 해체되는 과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표 분석을 통해 드러난 스텔라 작품 변화의 특성은, 그것이 1) 토톨로지 형성과 정착기, 2) 토톨로지 이완기, 3)토톨로지 해체기로 나눌 수 있는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을 밟는다는 것이다. 즉, 1960년대 초에 제작된 스텔라의 초기 작품들이 차이를 최소화하고 엄밀성, 명확성, 동일성(identity)을 부각시키는 토톨로지 구조를 갖는 반면,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의 작품들은 전술한 초기 작품들의 구조적 특성을 간직하면서도 점차 차이(difference)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1970년대 후반 이래의 후기 작품은 차이를 보다 극대화시킨 탈 중심의 해체 구조(decentered disintegration), 다시 말해 反토톨로지 구조(anti-tautological structure)를 갖고 있다. 이처럼, '토톨로지 구조의 형성과 해체'로 요약될 수 있는 스텔라 작품의 구조변화는 1960년대 중반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기존의 그린 버그식 회화 규범이 1960년대 후반부터 점차 영향력을 상실하고 퇴조하는 현상과 밀접히 관련된다. 스텔라 작품에 있어 토톨로지 구조의 붕괴는, 그것을 지지하던 기존 체계의 붕괴에 직면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불가피한 결과라는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으로, 스텔라 작품의 구조변화는 동시대 사회, 문화적 상황이라는 보다 큰 맥락에서 그 함의를 검토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스텔라 작품의 구조 변화는 '모더니즘의 붕괴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도래'로 지칭되는 사회, 문화적 격변을 반영하는 전형적인 사례의 하나로 해석된다. 요컨대 동일성, 합리성을 중시하는 스텔라 초기 작품에서 탈피해 차이와 불확실성을 부각시킨 스텔라 후기 작품은 동일성보다는 차이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개된 동시대 사고 체계의 변화와 밀접한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tautological structure in the Frank Stella's work from 1959 to 1980 years by the analysis of signifier. A characteristic of Stella's work change is that it has the gradual progress which condensed into three periods -1) the formation and fixation period of tautological structure 2) the relaxation period of tautological structure and 3) the dissolution period of tautological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early works of stella in the early 1960s has the structure which minimize differences in one hand, and maximize strictness, clearness, and identity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tella's work from mid 1960s to mid 1970s extend differences gradually, while keeping a characteristic of prior work. And the stella's work after late 1970s has the decentered disintegration, namely anti-tautological structure which maximize differences.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tautological structure' in the Stella's work c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fact that the Greenberg's modernist canon has loss the power gradually after late 1960s. That is to say, the dissolution of tautological structure in the late stella's work could be interpreted as the inevitable product which is produced in the searching for a new canon of painting.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change of stella's work in the late 20th Century is also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broader context,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Here, it is interpreted as the one of typical example which reflect a social and cultural convulsion designated as a 'Coming of Postmodernism'. In short, the late Stella's work which emphasize differences and unclearness, while diverging from early Stella's work which stress identity and rationality could be interpreted that it has the homology with the change of way of thinking in the late 20th century Society

      • 현대판화의 개념 확장에 관한 연구 : Frank Stella의 판화를 중심으로

        이정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33

        20세기 초에 과학기술의 발달은 예술에 있어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사진술이 현대회화사에 끼친 영향은 익히 알려진 바이며, 사진 이후의 다양한 시각매체들의 출현은 현대미술에 있어서 장르 간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각 장르들의 고유한 특성들의 혼합을 통해 다원화된 시각적 체험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예술전반에서의 영역의 확장과 장르 간의 경계의 무너짐은 판화의 영역에서도 보이게 된다. 전통 오리지널 판화에서는 간접성, 복수성, 고유성을 가져야만 판화로 인정했으나 이러한 고정관념은 창조적 조형작업을 위한 표현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시각매체나 재료에도 제한을 두지 않는 오늘날의 현대작가들에 의하여 그 매체나 표현방법이 개방, 확대되었다. 이들 작가들은 전통적인 판화에서의 크기의 제약이나 재료, 기법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인 실험과 시도를 하였고, 도구의 발달과 기술의 발전은 이를 뒷받침해주었다. 이러한 미술사의 그리고 판화사의 흐름 속에서 순수예술로서의 판화개념을 정리해 보고, 오리지널 판화의 소극적 개념에서 나아가 다양한 개념 확장의 형성배경을 함께 살펴볼 필요성을 느꼈다. 현대 판화의 흐름을 확연히 보여주는 작가로 프랑크 스텔라가 있다. 미니멀을 이끈 선구자 중 한 사람으로 회화에 대한 뚜렷한 문제제기와 목적의식에 근거한 작업을 다루었던 스텔라는 회화 연작과 관계되는 판화연작을 남기고 있는데, 이들 작품에서 그는 전통적인 판화의 기법을 탐구하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판화의 표현성의 확장을 꾀하였다. 본 논문은 스텔라의 판화 작품에서 보여지는 복제성과 간접성에 대한 도전, 영역간의 침투현상을 살펴봄으로써, 전통적인 판화 개념이 어떻게 변화되고 그 영역을 넓혔는지 앞으로의 판화가 어떠한 지형도를 그리게 될 것인지를 타진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대 판화의 개념 확장을 살펴보기 위해서 제 2장에서는 전통적인 판화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판화란 '판을 매개로 찍혀진 그림'을 말하며, 작업 과정의 특성상 간접적 복수예술이다. 종교적 필요성에서 유래한 초기 판화는 예술적 가치보다는 역사 혹은 문화사의 기록수단이나 보조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지만, 20세기에 들어 과학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기록수단이나 보조자료로서의 역할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제 3장에서는 스텔라가 판화 작업을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6, 70년대 미국판화계의 경향과 작가들의 작업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1920년에 일어난 대공황 이후 취해진 「공공 미술품 계획」(Public Works of Art Project)과 「연방미술계획」(Federal Art Project)같은 정부 차원에서의 문화 정책은 미술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고, 특히 저렴한 가격으로 미술을 보급시킬 수 있었던 판화는 대중적인 호응을 얻게 된다. 제 4장에서는 스텔라의 판화작품을 다루었다. 스텔라의 판화 작업은 회화 작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는데, 스텔라는 모든 회화 연작에 부응하는 판화를 남기고 있다. 판화 작업은 대개 회화 작업과 동일한 제목을 지니며, 작품의 구성과 탐구의 영역이 거의 동일하다. <줄무늬 회화시기>와 <다색구조시기> 중 <불규칙 다각형 시기>에는 회화 작품을 정직하게 석판화와 실크스크린으로 옮기는 단순한 작업이기에 이를 '초기 판화'로 구분하고, 스텔라의 판화에 있어 변화가 나타나는 1974년을 '자기중심적인 다면체' 시기로, 1977년에서 현재까지를 '최근의 판화'로 구분하여 스텔라의 판화작품을 분석하였다. 제 5장에서는 스텔라 회화와 판화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의 판화의 특성을 탐구하였다. 스텔라의 회화 작업과 판화작업은 동일한 제목, 동일한 구성, 동일한 탐구주제를 보여주지만, 그 기법과 표현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스텔라의 판화는 그의 회화상의 범위를 요점화시키는 한편 확대시켰고, 그의 판화작품은 그의 예술세계에서 확실한 지표로서 서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판화계 내에는 다양한 움직임이 존재한다.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판화기법을 고수하고 그에 충실하고자 하며, 다른 한편에서는 비디오와 컴퓨터를 이용한 판화작업까지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양극의 움직임이 존재하는 현재의 상황에서 스텔라의 작업은 앞으로의 판화 개념을 정립을 위한 좋은 연구대상이었다. 현대의 각 예술분야에서 탈장르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과, 첨단 정보 매체의 발달로 인한 정보의 대중의 공유라는 현실을 생각하여 볼 때 더 이상 판화는 전통적인 개념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판화의 개념 또는 영역의 확장은 불가결한 것이라 여겨진다. Like other genres of modern art, it becomes harder to distinguish the printmaking from other fields of fine arts due to the obscurity of value concept and debates on a permitted limit. Moreover, it is entering upon a comprehensive and flexible form through experimental operations. Modern printing requires a high level of techniques compared with other genres, and it has been hardly spread because a lot of barriers exist in the productive process. However, it has broaden its field of expression as much as other genres of fine art with varied and creative trials using newly developed techniques and materials. Breaking from conventional and superficial method that has hindered a creative technique, it gets free from its intrinsic limits of expression. There are many printmakers who expand the concept of modern printmaking and Frank Stella is of the number. I researched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world of Frank Stella's print makings according to the substantial phase and the technical one. Starting from the simple structure of the shaped canvas, Frank Stella constructed complex and various dimension information, color and matiere. In his works, painting, sculpture architecture and print making are harmonized with each other, keeping its own characteristics. Since the middle of the '70's, print making has been his favorite media to enlarge his vision of space and formation. In spite of the negative dispute about the propriety of the print making as a pure art, Frank Stella has bravely enlarged the boundaries of the print making. Besides, he gave us a new horizon in the possibility of print making by his consistent challenge and experiments.

      • 프랭크 스텔라의 쉐이프트 캔버스가 미니멀리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양수영 호남대학교 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32319

        어느 한 시대의 예술은 그 시대의 사회상과 문화의 양상을 반영하고 당 시대 사람들의 사상과 심리를 투영한다. 이 말은 한 시대의 예술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과 아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20세기를 살아왔고 21세기의 문턱에 이미 한발을 들여놓고 있다. 지나간 세기들의 미술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는 다가올 다음 세기의 미술은 더욱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1930년대 미술가들에 의해 추상적인 회화 언어의 가능성이 탐구되면서 추상 미술의 확고한 기반을 마련한 미국 미술계는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를 통해 그들만의 독자적인 양식을 선보이게 되었다. 그러나 추상표현주의는 곧 매너리즘에 빠지게 되었으며 1950년대의 진지한 미술가들과 비평가들은 추상표현주의 개념들을 계승하여 1960년대의 형식주의 미술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서 추상표현주의의 무분별한 행위성(行爲性)이나 수사적(修辭的)인 내용에 대한 반동적인 성향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두 가지의 흐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첫 번째는 H. 로젠버그의 주도로 다다(dada)를 잇는 반 미학적(反 美學的) 해프닝과 팝(pop)류(類)의 형상적(figurative)이고 환영적(illusive)인 특성에 관심을 두는 흐름인 반면, C. 그린버그가 이끄는 또 다른 흐름은 철저한 자기 비판의 과정을 거쳐 최소한의 언어만으로 자기를 한정짓는 이른바 환원(還元)적 경향을 띠고 있었다. 특히 그린버그의 의도로 탄생한 탈-회화적 추상(脫-繪畵的 抽象)(post-painterly abstraction)은 추상표현주의의 회화적 성향을 거부한 채 물질적 개방성과 선(線)적 명료성을 그 특징으로 취하면서 전후 미국 추상미술의 흐름을 주도해 나가고 있었다. 서구의 근대 미술이 재현적 어휘를 상실하면서 형식주의의 길을 걸을 때 그 필연적으로 맞이하는 결과는 이젤 회화의 종말이었다. 이와 같은 양식상의 위기에서 현대 미술은 무엇이 진정한 오브제(object)인가를 고민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 예술 작품은 스스로를 사물화 하기에 이르렀다.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 역시 기본적으로는 C. 그린버그가 이끄는 환원(還元)적 경향을 띤 후자의 흐름 속에 포함시킬 수 있다. 스텔라의 작품 세계는 그 다양한 변모에 따라 <줄무늬와 쉐이프트 캔버스 시기>, <불규칙 다각형과 분도기 시리즈 시기>, <부조 회화의 시기>, <입체와 붓질 회화의 시기>의 네가지 시기로 구분되어진다. 스텔라는 현대주의 회화(modernist painting)를 종착점으로 쇠퇴의 길을 걷고 있던 형식주의 회화의 명맥을 실제성(literalness)이라는 개념의 도입으로 되살려 놓았다. 그는 묘사된 형태(depicted shape)와 실제적 형태(literal shape)가 일치하는 개념인 쉐이프트 캔버스(shaped canvas)를 출현시켰다. 다시 말하자면, 그의 사고의 바탕은 캔버스의 형태는 회화의 형태와 일치하여야 하고 회화의 표면은 캔버스의 실제성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스텔라의 개념은 1960년대의 미니멀리즘(minimalism) 작가들의 작품 제작 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60년대 중반까지 이어지는 <검정색 회화(Black Painting)>에 의해 모더니즘 미술의 새로운 활로를 제시한 쉐이프트 캔버스는 "순수 시각적 패턴"을 오브제 화하여 그것으로 그의 회화 존재의 완전성을 입증하였고 캔버스의 형태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회화사에서 매우 큰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고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쉐이프트 캔버스가 고도의 산업 사회로 급속하게 변모해 가던 1960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당시 미술계를 장악하고 있던 미니멀리즘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고찰하여 새로운 미술 영역의 개척에 새로운 발판으로서의 가능성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 가늠해 보고자 한다. Art of an era reflects the aspects of its societies and culture, and also represents the ideas and mentality of the contemporary people. It indicates that art of an age is deeply associated with peoples life in the period. Having sent the 20th century off and already taken steps into the 21st century, we might not be able to grasp the next coming centuries art withou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ast centuries. American artists, who firmed up their ground of Abstract Art owing to the 1930s exploration for the possibility of abstract painting language, learned to present their own original mode through Abstract Expressionism. As the Abstract Expressionism, however, fell into mannerism not long after, earnest artists and critics in the 1950s succeeded to its concepts and set up the fundamental for Formalism in the 1960s. Turning into the 1960s, reactionary trends began to rise against random actionism or rhetorical contents of Abstract Expressionism. Those are classified into two trends: led by H. Rosenberg, one focuses on anti-aesthetic happenings succeeding to Dada and figurative and illusive features in pop kinds. The other, led by C. Greenberg, has so-called reduction tendency that confines itself by minimum languages via thorough self-criticizing process. Especially Post-Painterly Abstraction, born by Greenberg's intention, led the American Abstract Art after the World War II, featuring its material openness and lineal clearness also with resistance against the painterly propensity of Abstract Expressionism. The western Modern Art lost its representing medium and followed Formalism, and consequently brought an end to easel painting. In response to such crisis in its forms, Modern Art began to contemplate the true Object and finally the arts came to objectify themselves. Frank Stella himself basically belongs to the latter trend of C. Greenberg's reduction tendency. The world of Stella's works is classified into four periods according to its various features: <Band and Shaped Canvas period>, <Irregular polygons and protractor series period>, <Relief Painting period>, <Brushy Surface period>. Stella brought the life back to Formative Painting, on the verge of declining with Modernist Painting as its final destination,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Literalness. He showed Shaped Canvas, of which notion is the accordance between Depicted Shape and Literal Shape. In other words, his fundamental philosophy is that the shape of canvas should be in consonance with that of painting and the surface of painting must be able to prove its literalness. Such concept has influenced substantially over the 1960s Minimalists in their works. Shaped Canvas, which suggested a new way of Modern Art through <Black Painting> to the mid 196Os,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painting history in that it proved the perfection of the painting existence by objectifying pure visual pattern and suggested new direction for the shape of support. Overall this thesis analyzes the influence by Shaped Canvas over the 1960s fast-moving social atmosphere for high-leveled industrialization and over Minimalism prevalent at that time. In so doing, this study aims at prospecting the possibility of Shaped Canvas as a stepping-stone for pioneering new artistic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