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미술에 나타난 페미니즘과 포스트페미니즘의 진화(進化) 연구 : 본인작품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미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Feminism first appeared in art history when Art news published Linda Nochlin’s essay "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in 1971. At that time, female artists appealed women’s right in a form of anger, demonstration, movement, revelation, and defiance against the society where women did not get equal chances, which were completely projected into artworks. This militant inclination gave rise to the phenomenon of denying feminism as well as criticism claiming that feminism represents reverse discrimination and female chauvinism. Women’s art varied in a wider range of ideas beyond women’s liberation movement according to the times. Reflecting this tendency, post-feminism regards women and human rights with a more mature attitude as an evolved form of feminism. This article will look through feminism and post-feminism represented from 1960s to 1990s and in contemporary art, analyzing the essence of exploring women that both thoughts have. The features and path of feminism in a new direction or evolved feminism changing with the times are also identified in this research. Moreover, this dissertation will demonstrate what contextual issues of feminism my work involves and analyze part of my work connected to the evolved ideology of feminism. Sensibility of feminism art can be found in my work, Red Bosom, with expressing ways of emphasizing certain body parts and criticism on female sensibility. Intrinsic value projected into images of the work representing myself as a female involves reflection on women that women themselves have beyond deconstruction of femininity, challenging taboos. In this respect, it can be found that my work expresses humanity where women look at themselves beyond female sensibility which is viewed as feministic. This article consequently aims to grasp analysis on women’s art and femininity of my work. This dissertation addresses multi-faceted status of feminism and its concept through gender sensibility in art history. The limit and the tendency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that feminism art had are addressed in this research, analyzing critical attitudes of early feminism from 1960’s to 1970’s in art history. This further leads to exploring features of feminism art or post-feminism evolved by maturation of social sensibility for the past 20 years. Aiming to analyze how my work is dealing with the theme of female and its attitude toward feminism, this article demonstrates evolved status of women’s art. Analysis on feminism is presented first, followed by identifying post-feminism and its developing process of characteristics in this dissertation, displaying evolved post-feminism works matured in art two artists and critical reviews are examined to support the analysis. Women’s body and its post-feministic features treated in artworks through body in works of Jenny Saville are explored first. Ways of dealing with femininity, social sensibility and attitudes toward femininity are then determined through Renee Cox. Amelia Jones’s article "Every man knows where and how beauty gives him pleasure" is also studied to analyze an anti-aesthetic attitude that feminism art has, exploring roles and values of criticism based on social sensibility; aesthetic validity in the aspect of women’s art is identified. As a consequence of this research, I could find out how feminism incorporating social sensibility has developed, the kind of humanism that this evolution pursues, and aesthetic value of humanism reflected in contemporary art. This allowed me to further confirm faith as an artist that my artworks aim to reach forward to and the beauty of humanity that my art works aim to express. 1971년 린다 노클린이 <아트뉴스(Artnews)> 지에 ‘왜 이제껏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었는가?’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하면서 페미니즘이 미술사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당시 여성 미술가들은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사회에 대한 반발을 분노, 시위나 운동, 폭로, 반항 등의 형태로 여성 인권을 호소했고 고스란히 작품에 투영되었다. 이런 페미니즘의 전투적인 성향이 남성과 다른 점을 강조하여 분리한다거나 오히려 역차별, 여성 우월성을 띤다는 비판과 함께 페미니즘을 거부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시대 변화에 따라 여성 미술은 해방운동을 넘어서 좀 더 발전된 생각들로 다양하게 퍼져나갔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포스트페미니즘은 페미니즘의 진화된 형태로써 한층 성숙해진 태도로 여성과 인권을 바라본다. 본 논문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 그리고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페미니즘과 포스트페미니즘에 대해 살펴보고, 두 영역이 가지고 있는 여성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는 본질과 사회 흐름에 따라 변해가고 있는 새로운 방향의 여성 미술, 즉 진화된 포스트페미니즘 미술의 특성과 흐름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품이 어떠한 맥락의 페미니즘을 담고 있는지 탐구하고, 포스트 페미니즘의 진화된 사상과 맞닿아 있는 영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인의 작품 <붉은 가슴> 연작에 등장하는 특정 신체를 강조하는 표현 방식과 여성 인식에 관한 비판을 통해 페미니즘 미술의 의식을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여성인 본인 자신을 재현하고 작품 이미지에 투영시킨 내재적 의미가 과거 페미니즘 미술에서 다루던 여성성 해체, 금기에 대한 폭로 이상의 여성 스스로 갖고 있는 여성에 관한 성찰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본인 작품이 페미니즘적 태도로 보이는 여성 의식을 넘어서 여성으로서 여성 자체를 바라보는 인간애를 표현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여성 미술에 대한 분석과 진화된 특성, 그리고 본인 작품의 여성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자는 젠더의식을 통한 페미니즘의 개념과 미술사에서 비춰진 다각도의 상태를 모색해 보았다. 또한, 1960년대부터 70년대까지의 미술사에 나타났던 초기 페미니즘의 비판적 태도를 분석하여 페미니즘 미술이 가졌던 해방운동성향과 그 한계를 알아보았다. 이는 나아가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이후 사회의식의 성숙으로 진화된 페미니즘, 즉 포스트페미니즘 미술의 특징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중심으로 본인 작품에서 여성이라는 주제를 어떤 방식, 태도로 다루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진화된 여성 미술을 관찰하려 한다. 우선 페미니즘 미술을 분석한 뒤 본격적으로 포스트 페미니즘은 무엇인지 그 발전과정과 특성을 알아보고, 미술 속에서 성숙해진 진화된 포스트페미니즘 미술을 찾아보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두 명의 작가와 비평문을 분석하였다. 제니 사빌(Jenny Saville)의 작품 속 신체를 통해 미술작품에서 다루는 여성의 몸과 그 안에 담긴 포스트 페미니즘적 특징을 탐구하고, 르네 콕스(Renee Cox)를 살펴보고 여성성을 다루는 방식과 사회인식, 태도를 탐구해 보겠다. 그리고 아멜리아 존스(Amelia Jones)의 『어디에서 어떻게 아름다움이 즐거움을 주는지 모든 사람은 알고 있다.』를 통해 포스트 페미니즘 미술이 갖는 반미학적 태도를 분석하여 사회인식에 의한 비평의 역할과 중요성, 그리고 여성 미술 관점의 미적 타당성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본 연구자는 사회의식을 내재한 페미니즘 미술이 어떤 성장을 이루었고, 나아가 그 진화가 추구하는 휴머니즘, 즉 인간애가 동시대 미술에서 비춰진 미학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인의 작업이 지향하는 예술 신념과 작품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인간다움의 미를 탐구할 수 있었다.

      • 페미니즘 시각으로 본 미술 속의 여성상에 관한 연구 : 인상주의와 상징주의, 표현주의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미정 水原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여성의 특질을 갖추고 있는 것이란 의미의 라틴어 페미나(femina)에서 파생한 페미니즘(Feminism)은 1890년대 우머니즘(womanism)에 대신하여, 남녀평등 이론이나 여성의 권리운동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페미니즘은 여성을 취급하는 사회적 방식이 어딘가 잘못되었다는 사고에서 출발하여 여성 억압의 원인과 규모를 분석하려는 19세기 자유 계몽주의적 자각에서 태동하였다. 그동안 잃어버린 여성의 주체성을 찾아서 궁극적으로는 여성 해방의 문제를 해결하고, 편협한 사회가치나 개념을 부각시키려는 사회변혁운동은 정치학뿐 아니라 오늘날에는 문학, 예술, 종교, 매체 등의 모든 문화에 적용되고 있다. 여성에 대한 억압은 사회생활 뿐 아니라, 예술에 있어서도 당연시 되어서 거의 20세기 무렵까지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수동적이고 비현실적이며 순종적인 것으로 표현하여 여성상을 고착화 시켜왔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모든 이미지는 관찰자의 의도로 사물을 보는 방법을 구체화 한 것으로 이미지가 예술 작품으로 제시되었을 때 감상자는 예술에 관하여 배운 갖가지 선입관 -미, 진리, 재능, 운명, 형태, 기호, 지위 등- 에 의하여 영향 받는다. 따라서 예술에 나타난 근대적 의식을 형성해온 서구 철학의 가장 일반적 전통들과 그에 부응한 제도권 미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본질에 관한 문제로서 특히 여성의 신체 이미지가 페미니즘 미술사의 주요 쟁점으로 다뤄지기 시작했던 것이다. 미술사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는 여신, 성모 마리아, 귀부인에 이어 창부, 팜므 파탈(femme fatale)등으로서 이는 단순히 여성과 남성의 해부학적 구별을 넘어서서 남성의 욕망과 연관되어 얻어진 이미지라는 의미에서 모순적이다. 여성의 신체가 자아상의 핵심에 존재한다는 의미에서 신체 이미지는 페미니스트에게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였던 것이다. 1930년대 미국 여성미술가들에 의해 여성도 남성과 같은 화가가 될 수 있다는 소극적인 움직임으로 출발하였다. 1971년 미국 미술사학자 린다 노클린(Linda Nochlin) 의 논문 「왜 이제까지 위대한 여성 미술가가 없었는가?(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으로 시작한 제1세대 페미니즘 미술사 연구는 무명 여성 미술가들을 발굴하여 재조명하고 그들의 업적을 드러내는데 주력하였다. 또한 1982년 영국의 진보적 페미니즘 작가 그리젤다 폴록(Griselda Pollock)의 논문 「시각과 차이:미술 여성 그리고 페미니즘(Vision and Difference:Feminity Feminism and the Histories of Art)」 에서는 여성미술가들의 작품은 물론이고 남성미술가들의 작품을 사회의 관습, 제도, 교육, 이데올로기와 관련시켜 부르주아적 자유주의와 마르크스적 접근방법에 비판을 가하고 있다. 미술사 연구에서 중요한 점은 다양한 요소로 이루어진 역사들의 상호 작용, 즉 여성 미술가의 특별한 역사와 미술과의 관계, 미술계의 이데올로기, 가족성별간의 지배관계 등을 해체론적인 접근 방법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여기에 캐롤 던컨(Carol Dunkun)은 「20세기 초 전위 회화와 남성 우위 현상」 (1973)에서 관람자에게 미치는 여성 이미지의 효과와 그것들이 문화와 이데올로기를 형성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 논하고 있다. 특히 20세기 초 전위적 예술가들이 그린, 여성 누드의 경우 수동적이고 나약한 누드 이미지는 여성을 성적으로 정복하려는 남성의 육욕적 에너르기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전위 예술의 보편적인 이상으로서 구현되고 있는 사회적, 창조적 자유는 실제로 남성을 위한 자유이며, 다른 자의 지배 위에 성립된 자유라고 하는 것이다. 이렇듯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에 강한 의의를 제기하며, 사회적 주체로서의 여성 존재를 인식하고, 확립하기 위한 페미니즘은 단순히 사회 운동 뿐만 아니라, 예술적 가치 판단을 새롭게 성립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는 역사적으로 근대적 의식이 태동하면서 주체적이고 개인적인 삶을 추구했던 실험적 시기였고, 오랜 사회적 관습으로 빛바랜 여성 의식이 싹트기 시작했던 과도기적 시기였고, 미술사에서도 그에 못지않은 다양한 사조별로 개성있는 작가와 작품이 나타났으며, 여성 미술가들도 등장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통해 이 시기의 미술작품 속에서 표현 되어지는 여성이미지의 변화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페미니즘 의식이 태동한 19세기 후기, 모더니즘의 시작이라고 평가되어지는 인상주의 미술에서부터 추상 미술이 싹틀 무립인 20세기 초기의 상징주의, 표현주의 회화를 중심으로 바쁘게 진행된 그들의 작품 속에서 표출되어진 여성이미지가 사회적 변화에 의한 여성관의 자각이나 의식의 변화에 따른 페미니즘 미술에 근간이 되는 점을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Feminism, derived from Latin femina that means to have feminine character, began to be used as a word which indicates the theory of the equality of the sexes or campaign for women's rights instead of womanism in 1890s. feminine right Feminism originated from the thought that the social methods to deal with women were wrong and from illuminative consciousness of the 19 century that analyzes the cause and scope of suppression of women. A campaign for social changes that, seeking for lost women's independence, ultimately solves the problem of women liberation and highlights a narrow-minded social value or concept applies not only politics but also all the culture such as literature, art, religion, media, etc. The question can be discovered that in art, until nearly the 20th century, the image of women was represented to be negative, unrealistic and obedient. All the images were what the method of seeing objects on the basis of the intent of an observer was embodied, and an appreciator is influenced by various preconceptions he/she has on art - beauty, truth, talent, faith, type, symbol, position, etc. when the image was proposed as a piece of artistic work. Accordingly, the most general tradition of Western philosophy represented in art which has formed the modern consciousness and the image of female bodies that meets such tradition as problems about the essence of female image represented in art began to be dealt with as main issues in feminist art history. The female image, represented in art history, includes Goddess, the Virgin Mary, a lady, a prostitute, femme fatale, etc., which is contradictory in that these are images obtained in relation to the desire of a man in excess of the anatomical division between a woman and a man. The physical image was an important problem to be solved to feminists in that the body of a woman who exists in the center of a self image. Feminism began by American female artists in 1930s from a negative campaign that a woman can be an artist as much as a man can. Beginning from a thesis 「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1971), of Linda Nochlin, an American scholar in art history, the study on art history of the first-generation feminism focused on seeking unknown female artists and bringing their accomplishments to light. Moreover, in a thesis 「Vision and Difference: Feminity Feminism and the Histories of Art」 (1982), of Griselda Pollock, an advanced English feminist, the works by male artists as well as those by female artists were involved in the social custom, institution, education and ideology and criticized for bourgeois liberalism and Marxian approaches. The important point in the study on art history if to find out, by an anatomical approach, the interaction of the history comprising various elements: the relation between the special history of a female artist and art, the ideology of the artistic world, the ruling relation between family gender, etc. Carol Dunkun, in his 「Avant-garde pictures and male superior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1973), discusses about the effect of female images on a spectator and what kind of role they played in forming culture and ideology. Especially, he maintains that female nude pictures painted by avant-garde artists in the early 20th century represent passive female bodies, and soft female nude images show the male desire to conquer the female sexually. Furthermore, he stressed that the social and creative freedom the avant-garde seeks is actually the freedom for a man and created under the control of a man. Like this, feminism strongly contesting man-centered ideology and for recognizing and establishing female existence is notable in that it can newly establish not only a social campaign but also artistic value. The perio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was an experimental period during which a subjective and individual life was sought as modern consciousness begins. Also it was a transitional period during which female consciousness hidden due to long social customs was born, peculiar writers and works by various trends of thought appeared in art history and female artists also appeared. Through such historical background, we can find the change of female images, represented in artistic pieces of work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this thesis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 on consciousness of a view of womanhoo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andfeminist art according to changes of consciousness of the female images represented in the pieces of work of impressionism, symbolism and expressionism which appeared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19th century when feminism was born to the early 20th century when expressionist art considered to the beginning of modernism and abstract art began to develop.

      • 페미니즘 알기의 의미 : 10-20대 여성들의 ‘TERF’지지 입장을 중심으로

        송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한국의 트랜스젠더 배제 페미니즘(TERF)의 입장을 지지하는 10-20대 여성들에게 페미니스트 지식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밝혔다. 또한 페미니즘 알기의 과정이 어떤 조건 하에서 유예되거나, 지속되어 나가고 있는지도 살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트랜스젠더 배제 페미니즘을 ‘생물학적 여성’만이 여성운동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보고, 그 운동의 성과를 ‘생물학적 여성’들끼리만 나누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정의할 때, 연구 참여자들이 트랜스젠더 배제 페미니즘의 입장을 취하게 되는 구체적 맥락은 다음과 같다. 우선 디지털 공간에서 페미니즘 활동을 하는 여성들은 페미니즘 이슈에 대한 빠른 대응과 그것을 위한 신속한 ‘입장’취하기를 요구받고 있었다. 또한 일상적인 범죄 공포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혹은 능력주의를 지지하며 ‘생물학적’여성들만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요청하게 되고, 이로 인해 트랜스젠더 배제 페미니즘 입장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생존이나 범죄에의 불안이 트랜스젠더 여성에 대한 혐오와 연결되며 그들과의 분리를 추동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웠다. 이들에게 페미니즘은 자신의 성차별을 설명하는 유용한 도구였고, 디지털 공간을 통해 페미니즘 정보를 접하고 있으나, 그 과정에서 트랜스젠더 여성에 관한 언설들 또한 별다른 의심 없이 수용하며 자신의 차별적 상황을 설명하는 언어로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트랜스젠더 배제 페미니즘 입장을 지지하는 여성들이 자신의 입장을 벗어나는 다른 여성의 경험들을 더 알지 않으려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로, 백래시와 디지털 페미니즘 논쟁에 효과적이고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서, 여성들은 하나의 간명한 ‘논리’나 ‘답’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성차별에 대해 문제제기 할 수 있는 공식적 제도가 부재한 상황은 여성들끼리 페미니즘에 대해 말하고, 여성들 간 위치의 차이를 만드는 구조를 논의하고 사유할 기회 자체를 제약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페미니즘 실천은 개별적 운동으로 제한되고, 페미니즘 지식은 개인적 성차별의 경험을 설명하는 간명한 언어가 되고 있었다. 활동한 모든 일들을 스펙으로 정리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페미니즘 지식은 경험에 대한 해석과는 연동되지 않는 물화된 지식이 되기도 했다. 그리고 또래 집단 내 관계 불안이 있는 상황에서 ‘생물학적’여성의 경험과 그것을 설명할 수 있는 지식은 관계 맺기와 주목의 자원으로서 유용한 언어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신자유주의 경쟁 속에서 구조적 성차별로 인해 청년 여성들의 삶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상황은 이러한 알기의 과정에 수반되는 피로를 더욱 증가시키기도 한다. 이에 더해 디지털 공간에서 제시되는 ‘완벽한 페미니스트’ 규준은 여성들에게 알기의 과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은 단일한 입장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 혼란과 모순을 겪고 있었다. 그러한 혼란에도 불구하고 알기가 지속될 수 있는 조건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민감한 이야기를 하더라도 관계에 지장이 가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 신뢰관계에 있는 경우 여성들 간 입장 차를 말하고 드러내기가 가능했고, 그 과정에서 다른 조건에 있는 여성들을 이해하게 되기도 했다. 특히 페미니즘 수업은 소셜 미디어 외에는 페미니즘을 접하기 힘든 환경에 놓인 10대 여성들에게 터놓고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창구가 되었다. 이상의 논의는 그간 디지털 공간에서만 주로 주목되어 왔던 트랜스젠더 배제 페미니즘의 입장을 지지하는 10-20대 여성들의 경험을 탐구하고, 그러한 경험들이 페미니즘 지식 추구와 알기에 미치는 영향을 포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이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입장을 고수하는 이들이 아니며, 입장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에서도 끝없는 모순과 혼란에 직면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의 디지털 공간의 언설들만을 두고 평가하는 것은 그들이 처한 알기의 조건들을 제약하는 현실을 바꿀 수 없다. 그들의 주장 자체를 비판하기에 앞서 여성들이 처한 상황과 알기의 과정을 유예 혹은 중단시키는 요인들을 밝히고 그것을 바꾸어 나갈 것이 요청되는 이유이다. This study revealed the meaning of feminist knowledge for women in their teens and 20s who support the standpoint of 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m(TERF). In addi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under what conditions the feminism knowing is being deferred or sustain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hen defining 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m as a standpoint that only biological women can be the subject of the women's movement and that the achievement of the women’s movement should be divided among biological women, the specific context in which study participants support the standpoint of 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m is as follows: First of all, women who engage in feminism in digital space were being asked to respond quickly to feminist issues and take a quick 'standpoint' for them. Also,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everyday fear of crime, or supporting meritocracy, they ask for space made up of only "biological" women, and support the standpoint of TERF. However, it was hard to say that anxiety about survival or crime was linked to hatred of transgender women and that they were promoting separation. For them, feminism was useful tool to explain their own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y were accessing that information through digital space. But in that process, they also accept the utterances about transgender women without much doubt. The reasons why women who support TERF standpoint would not be more aware of other women's experiences outside their standpoint were: First of all, in situations where women have to respond effectively and quickly to backlash and digital feminism debates, they need a clear 'logic' or 'answer'. Also, the absence of a formal system to raise the issue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trained the opportunity for women to discuss about the structure that made the difference in status among women. For them, feminist activism was limited to individual movements, and feminist knowledge was becoming a concise language that explained the experience of personal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all the activities into specification and giving meaning for ‘spec’, feminism knowledge became materialized knowledge that was not linked to interpretation of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a 'biological' women and the knowledge to explain it were useful language as a source of relationship building and attention in the peer-to-peer relationships. Finally, the increasing instability in young women's lives due to structural gender discrimination in neoliberal competition increases the fatigue that accompanies this process of knowing. In addition, the "perfect feminist" standard presented in digital space has also served as a limiting factor for women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knowing. However,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experiencing confusion and contradic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maintaining a single standpoint. This study examined which conditions enabled knowing despite such confusion. It was possible to talk and reveal the difference for the women who were in a strong relationship. In the process, they came to understand women in different conditions. Feminism classes, in particular, have become an opportunities to openly share experiences with teenage women who are hard to encounter feminism except social media. The above discuss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experiences of women in their teens and 20s who support the standpoint of TERF, which has been largely noted in digital space, and captures the effects of such experiences on feminist knowledge pursuit and knowing.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reveal that they are not people who stick to their standpoints with firm beliefs, and face endless contradictions and confus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maintaining their standpoints. Therefore, evaluating only their digital space rhetoric cannot change the reality that constrains the process of knowing. This is why it is asked to reveal the factors that deferred or suspend the process of knowing that women face before criticizing their claims themselves.

      • 현대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연구 : 나희덕, 김선우 시인을 중심으로

        정원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Ecofeminism that links feminism with ecology pursues the emancipation of women and nature. It is interested in problems about the oppression of women and nature on the side of the concept of “nature”. Ecofeminism which is emerged as reflection of environmental crisis is aiming at the change of attitude to women and nature. The assertion that women are more close to nature than men and she has specific ability indulges in dualism again, also it makes a mistake that men is excluded in survival responsibility on the earth. Ecofeminism is turned into reality in a variety of ways and stands up against the current sociopolitical systm. Also, it is becoming a model of liberation movement for the weak like women. Na Hee-Duk reflects life by using balanced poetic diction of self-reflection and temperance on the basis of sensory images, with lack and abundance in the world arranged side by side via medium of the earth and motherhood. And Kim Sun-Woo shows self-reflection in a way of experiencing in a body the life of circulation and co-prosperity, with nature and mankind arranged side by side via bodily imagination of the moon and womb.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consider Na Hee-Duk’s poems in terms of healing, introspection and the imagination which is filled with the earth and motherhood and with time and feeling. Also, I will investigate Kim Sun-Woo’s poems in terms of images shown in the moon and womb and imagination filled with circulation and co-prosperity by experiencing bodily. In this study, based on a prose and five collections of poems Na Hee-Duk wrote and three collections of poems Kim Sun-Woo wrote, I will investigate the poetic world two poets are building and then give consideration to ecofeministic characteristics. In chapter Ⅲ, I look into womanlike imagination which is a basis of poetic world of two poets. Na Hee-Duk gives the breast to nature and shows imagination that human being returns to soil via image of the ground and women , and she does via mercy and sacrifice through experiencing bodily and positive recognition and infinite motherhood which are warm and abundant. Kim Sun-Woo shows actively that femaleness is intensely linked to life by expressing lively experience , intuition and imagination via the image of the moon and womb. Unique Voluptuousness is considered a link between femaleness and motherhood as the nature of healthy and unartificial life. As Kim Sun-Woo paints human colors on motherhood which were regarded as the sublime and absolute being, she proves that femaleness and motherhood are not separate things. Especially, her poems show concretely the women life as independent human being via space of womb and imagination of the moon. In chapter Ⅳ, I look into imagination filled with the daily routines in the realistic life. As Na Hee-Duk learns from experience new emotions of life which can’t be recognized during the day and her emotional experience deepens more and more, she continues at the work of writing as a woman ,longing for communication between nature and the human world. Kim Sun-Woo observes how women conserve living creatures on earth in terms 0of experience and united image of nature and human beings, and she strives to raise newly the peaceful bond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which has been home to our mother of mother of mother. So, she gives new meaning to a paltry thing in the world she drag into poetic materials in terms of her own imagination , and she explores her own new poetic world via unification of nature and human being. In chapter Ⅴ, I will investigate ecofeministic aesthetics in poetic philosophy of two poets. Na Hee-Duk introspects that view of the world of healing and self-reflection trained by silence makes her realize that ontological pain of life is another name of hope, and is another name of self-reflection. Throuth this prosess, her poems get more and more close to the low, the wet and hungry. This shows accurately that the most essential theme in her poetic world is the world of sacrifice and salvation. Kim Sun-Woo opens voluntarily her heart to the world through the world view of mutual circularity and co-prosperity, and she weaves finely latitude and longitude of life composed of light and darkness. She reaches things in our daily lives from not people but nature oriented standpoint in the order of nature fully revealing the very nature of all creatures. She aims to round, warm and circular life which is not suppression and victim, domination and violence but mother slapping on the back. Basic arguments of ecofeminism say that motherlike nature and human being share each other’s feeling, embrace with each other and find the original form of life, breaking away from dichotomous relationship based on reason until now. Our present assignment is that we try to recover an endangered ecosystem and pursue a mental switchover via fundamental oneness between women and nature which are treated as passive and unrepressed until now. Also, preserving more peacefully and beautifully the living space on which nature and mankind get along with each other is an inevitable homework. 에콜로지와 페미니즘의 결합인 에코페미니즘은 자연과 여성을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억압적이고 이분법적인 문명화와 기계화의 틀로부터의 해방을 추구한다. 에코페미니즘은 <자연>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여성과 자연의 합일성과 탈억압적 사유를 반영한다. 환경위기의 반성에서 비롯된 에코페미니즘은 자연과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과 태도를 바꾸는 것이다. 여성이 남성보다 자연에 가깝고 특별한 능력이 있어 우월할 수 있다는 주장은 다시 과거의 이분법적인 논리에 빠지는 것이며 남성을 에코페미니즘이라는 논리에 끼워맞추어 본래의 생존의 책임 관계 망에서 남성을 제외하는 실수를 범하는 것이다. 에코페미니즘은 여성과 같이 타자로 분류된 자연의 해방을 부르짖으며 현재의 사회·정치 제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서구 문명에 저항하며 새로운 세기를 위한 에코페미니즘적 관계지향을 향해 다양한 목적들을 실천하고 있다. 나희덕의 시는 대지와 모성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결핍과 충만의 세계관을 병치시키면서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반성과 절제의 균형 잡힌 시어로 삶을 성찰한다. 그리고 김선우는 달과 자궁 등 몸의 상상력을 통해 자연과의 합일 이미지를 병치시키면서 순환과 상생의 삶을 몸으로 체험하는 방식으로 자기성찰을 드러낸다. 본고에서는 나희덕의 시를 대지와 모성, 시간과 감각의 상상력과 치유와 성찰의 측면에서 고찰하고, 김선우의 시를 달과 자궁의 이미지와 체험을 통한 순환과 상생의 상상력의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할 텍스트는 나희덕은 다섯 권의 시집과 산문집을 기본 텍스트로 하고, 김선우는 세 권의 시집을 기본 텍스트로 하여 두 시인의 시가 구축하고 있는 시 세계를 규명하고, 이를 시에 적용하여 에코페미니즘적 특성을 고찰할 것이다. 제 Ⅲ장에서는 두 시인의 시세계의 바탕이 되고 있는 여성적 상상력에 대해 살펴본다. 나희덕은 대지와 모성 이미지를 통해, 몸으로 겪는 베품과 희생, 그리고 따뜻하고 풍요로운 긍정의 인식과 무한한 모성애를 통해 자연에게 젖을 물리고 흙으로 되돌아가는 대지적 상상력을 표출한다. 김선우는 달과 자궁의 이미지를 통해, 경험과 직관과 상상력을 활달하게 구사하며 여성성과 생명성의 강한 연관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낸다. 또한 김선우 특유의 관능미는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생명의 본성으로서 여성성과 모성성의 연결고리를 이룬다. 김선우의 시는 자궁의 공간과 달의 상상력을 통해 주체로서의 여성적 삶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제 Ⅳ장에서는 현실의 삶 속에서 체험하는 일상적 상상력에 대해 살펴본다. 나희덕은 저녁, 소리 등 시간과 감각의 이미지를 통해 낮동안 인식할 수 없었던 새로운 삶의 정서를 체득하고, 이러한 정서적 체험이 깊어갈수록 나희덕은 자연과 세계와의 소통을 갈구하며 여성으로서의 글쓰기를 지속한다. 김선우는 일상적 체험과 자연과의 합일 이미지를 통해, 여성으로서 자연의 생명체를 어떻게 보존하는지 살피고, 우리의 어머니들의 터전이 되어 왔던 자연과의 평화로운 유대감을 새롭게 부각시키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자연의 하찮은 사물들을 시적 대상으로 끌어들여 자신만의 상상력으로 그것들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자연과의 합일을 통해 새로운 모색의 길을 탐색한다. 제 Ⅴ장에서는 두 시인의 시정신 속에 깃들어 있는 생태적 상상력에 대해 살펴본다. 나희덕은 침묵으로 단련된 치유와 성찰의 세계관을 통해, 삶의 존재론적 고통은 희망의 다른 이름이며, 반성의 다른 이름임을 성찰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녀의 시는 낮은 자들에게, 젖은 자들에게, 주린 자들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서게 된다. 이것이 바로 나희덕 시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인 희생과 구원의 세계이다. 김선우는 자연과 인간의 상호 순환성과 상생의 세계관을 통해, 세계를 향하여 스스로 마음을 열고 빛이자 어둠인 삶의 씨줄과 날줄을 촘촘이 엮어간다. 저마다의 본성에 충실한 자연의 질서 속에서 인간 중심주의가 아닌 자연의 시각으로 사물에게로 다가간다. 억압과 희생과 지배와 폭력이 아닌 등을 다독이는 어머니의 시선으로 둥글고 따뜻한 순환의 삶을 지향한다. 에코페미니즘의 기본적 담론은 지금까지의 이성에 근거한 이분법적 관계에서 벗어나 여성을 닮은 자연과 인간이 서로 교감하고 보듬으며 삶의 원형을 찾아가는 것을 근원으로 삼고 있다. 우리의 과제는 그동안 수동적이고 피지배적인 위치에 놓여 있던 여성과 자연이 근원적인 합일을 통해 위기에 처한 생태계를 회복시키며 정신적 전환을 꾀하는 것이다. 자연과 인간이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삶의 공간을 조금 더 평화롭게 아름답게 유지하는 것 또한 우리에게 놓인 피할 수 없는 과제이다.

      • 페미니즘 정치학의 급진적 재구성 : 한국 'TERF'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효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이 연구는 2017년 이후 한국 사회에서 가시화되기 시작한 ‘여성 우선’ 페미니즘 실천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 트랜스젠더/퀴어에 대한 타자화를 통해 본질주의적 ‘여성’ 범주와 페미니즘-정체성 정치가 구축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현재 온라인에서는 TERF(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t)라 일컬어지기도 하는 ‘여성 우선’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여성’ 의제에만 집중하는 페미니즘이 가장 급진적이고 근본적인(radical) 정치학이라 정의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페미니스트들이 ‘여성’을 최우선으로 여겨야 하며 여기에 퀴어, 장애, 인종 등 다른 소수자 정치학의 이슈를 가져오는 것은 부당한 일이라고 주장한다. ‘젠더’를 가장 주요한 억압으로 상정하고, 다른 요소들과의 교차 없이 홀로 작동한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젠더 본질주의에 기반한 시각은 전혀 급진적이지 않으며 가부장제의 핵심을 근본적으로 건드리지도 않는다. ‘여성’만이 페미니즘에 대한 소유권을 독점적으로 주장할 수 있는 것 또한 아니다. ‘급진적인’ 페미니스트 정치란 어떠해야 하는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보는 연구의 주된 문제의식은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출발했다. TERF 혹은 ‘여성 우선’ 페미니스트들의 담론적 실천을 면밀히 살피면서도 이를 비판적으로 분석해내기 위해, 연구 방법으로는 인터넷 민속지학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활용하였으며 흑인 페미니스트들이 제시한 ‘교차성’ 이론과 ‘젠더’에 관한 버틀러의 작업을 주된 이론적 자원으로 삼았다. 참여 관찰 및 자료의 수집은 트위터를 비롯해 유튜브 채널, 온라인 여초 커뮤니티, ‘워마드’ 등 여러 온라인 공간을 통해 이루어졌다. ‘여성 우선’ 정치를 주장하는 일군의 페미니스트 집단이 트랜스젠더에 대한 상상적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가장 주요한 출발점으로 작용한 것은 ‘젠더’ 개념에 대한 해석이다. TERF의 담론 구조 안에서 젠더는 ‘여성성’을 뜻하는 사회·문화적 성 또는 성 역할 고정관념 정도로 단순하게 받아들여졌으며 그에 따라 젠더를 해체하는 것이 페미니스트 투쟁의 목표인 것처럼 이야기되었다. ‘탈코르셋’ 운동을 통해 여성에게 억압이 되는 모든 종류의 ‘여성성’을 벗어던지고자 하는 이들은 오직 생물학적 성(sex)만이 여성임을 규정하거나 성별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염색체, 성기 등 이른바 ‘과학적인’ 근거 외에 여성을 정의하려는 모든 시도들은 젠더의 일환으로서 여성혐오적이며 페미니즘의 기치에 어긋나는 것으로 간주된다. 나아가 이들은 여성(female body)으로 태어나 차별과 피해를 경험했을 때라야만 ‘여성’일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생물학적 ‘사실’과 피해 경험만이 여성임을 나타내는 유일한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특히 mtf/트랜스여성의 ‘여성성’ 실천이 ‘진짜 여성’들이 벗어나고자 하는 ‘코르셋’을 다시 주워 입는 행위로 읽히게 되면서 트랜스젠더로 인해 젠더 억압이 강화된다는 비판이 등장하기도 했다. 트랜스젠더의 존재 자체가 여성혐오이자 가부장제의 산물이라는 왜곡된 인식은 이러한 해석으로부터 도출된다. 한편, TERF의 담론적 실천은 젠더 이분법을 공고히 하려는 다른 사회적 실천과 조우하는 과정 에서 더욱 가시화되었다. 국내 보수 개신교의 반동성애 담론을 살핀 결과, 성평등(gender equality)에 반대하고 양성평등(sex equality)을 주장하는 과정에서 TERF와 마찬가지로 ‘젠더’를 가장 문제적인 대상으로 지목하고 있었다. 여성과 남성 이외에 또 다른 성별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고 보는 입장에 따라 트랜스젠더는 비정상적이며 여성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존재로 간주되었다. 심지어 보수 개신교회는 트랜스젠더를 적대시하는 일부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의 작업을 차용하였고, 불안한 감정에 내몰린 여성들은 보수 개신교의 선전물에 무비판적으로 동의를 보내기도 했다. 기존의 권력 관계와 불평등한 사회 질서를 굳건히 하려는 보수 집단의 실천이 사회 변혁을 꿈꾸는 페미니스트 실천과 만난다는 것은 대단히 모순적일뿐더러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젠더 본질주의의 관점에서 생물학적 여성의 인권만을 “챙긴다”고 하는 페미니즘은 그 아이러니를 현실화했다. 이는 우리가 ‘여성 우선’ 페미니스트들과 그들의 타자화 실천에 대해 비판적으로 개입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이 연구는 여성으로 지정받아 태어난 사람만이 ‘여성’이고 페미니스트가 될 수 있으며 페미니즘은 그런 ‘여성’의 문제를 우선으로 다뤄야 한다는 인식, 그리고 이것이 가장 ‘급진적인’ 정치학이라는 일부 페미니스트들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페미니즘 내부의 성찰을 촉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여성으로 태어나 여성이 되고 남성으로 태어나 남성이 된다는 근본적인 아이디어 자체를 문제 삼지 않는 페미니즘은 제아무리 섹스와 젠더를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한계에 직면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이성애를 자연화할 뿐만 아니라 지배적인 젠더 규범을 따르지 않는 이들에게서 삶의 가능성을 박탈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페미니즘이 ‘급진적인’ 정치학이 되기 위해서는 섹스와 젠더 개념을 재고해야 하고, 공통의 피해 경험을 가정하는 정체성 정치로부터 벗어나 열린 범주로서의 ‘여성’과 그 내부의 차이에 주목해야 하며, 교차성의 관점에서 ‘나’의 피해자적 위치와 가해자적 위치를 동시에 고민하는 방식으로 연대의 정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 페미니즘 소설 교육 방안 연구 : 박완서의 「엄마의 말뚝」 연작을 중심으로

        장진화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본고는 박완서의「엄마의 말뚝」연작을 중심으로 한 중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페미니즘 소설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중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페미니즘 소설을 교수·학습 하는 것에는 큰 의미가 있다. 학습자들이 소설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페미니즘의 문제의식에 대하여 고민해볼 수 있으며, 이를 가치화 및 내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의 페미니즘은 단순히 성별에 관한 이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항 대립의 논리 가운데 발생하는 다양한 타자들에 관한 이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페미니즘은 ‘남성성’을 인식의 중심으로 삼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이분법적 사고 하에, ‘남성성’에 대립되는 것으로 파악되어 배제 되어온 수많은 ‘여성성’의 자리에 주목하고, 또 그 차별의 관계에 주목하는 일종의 새로운 인식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학습자들은 페미니즘 소설을 통해 삶의 보다 다양한 모습을 파편적인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시각에서 구체적으로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작게는 여성과 남성은 물론이거니와 한 부모 가정, 조손 가정, 북한 이탈주민 가정, 다문화 가정, 성소수자 가정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학습자들이 공존하는 학교 공간에 대한 이해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크게는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페미니즘 소설 교육의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중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페미니즘 소설 교육은 거의 전무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학습 자료인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페미니즘 소설의 수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수록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학습 활동 등이 페미니즘이 아닌 다른 차원에 초점을 맞추어 교수·학습 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박완서의 경우 페미니즘 소설의 한 단계를 뚜렷이 보여주는 작가로 평가 받고 있으며, 그의 소설「엄마의 말뚝」연작은 페미니즘의 다양한 문제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서는 전쟁으로 인한 분단의 아픔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이는 아직은 페미니즘이 조심스럽게 다루어질 수밖에 없는 교육 현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페미니즘 소설 교육의 이러한 실정은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본질적인 부분을 간과하는 것임에 유념할 수밖에 없다. 또한, 학습자들이 페미니즘 소설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는 인식의 틀의 확장과 세계에의 깊은 이해를 차단하고, 다양한 삶의 가치를 내면화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자아와 타인 그리고 세계의 관계에의 성찰까지도 차단할 수 있음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는 박완서의 연작 소설「엄마의 말뚝」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의 페미니즘 소설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먼저「엄마의 말뚝」연작을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분석하여 국어 교과에서의 페미니즘 소설 교육의 요소와 의의를 살펴볼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의 페미니즘 교육에 대한 하나의 방편을 제시하는 것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devising a feminism novel education method in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field centering on Park Wan-soe's「Mother's Stake」series. Teaching and learning feminism novel in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scene is very meaningful. It is because the learners can naturally think about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feminism through the novel and can value and internalize that. Feminism at this time can be understood not to be confined solely to issues of gender but to include issues of the various types of others arising from the logic of various binomial conflicts. Feminism focuses on the position of 'Femininity'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viewpoint of 'Masculinity' and is excluded from the viewpoint of 'Masculinity' under the dichotomy of patriarchal ideology, because it can play a role in some kind of new epistemology. In other words, through the feminist novels, learners can understand more various aspects of life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In a narrow range, it can be expect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space where various types of learners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grandparent families, North Korean defectors,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x-minority families live, as well as women and men. Furthermore, it also can be expected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across society. However, in spite of this significance of feminist novel education, feminist novel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field rarely occurs. There are not many feminist novels in text books, and even if feminist novels are included, learning activities are often taught with a focus on other dimensions than feminism. For example, although Park Wan-soe is regarded as a writer who clearly shows a stage of feminist novels, and her novel「Mother's Stake」series is regarded as a monumental work that can examine the various consciousness of feminism, most textbooks focus only on the pain of division caused by war. This seems to reflect the educational field that feminism has yet to deal with carefully. However, this reality of feminism novel education overlooks the most essential part of understanding texts. It blocks the introspection of relationships by blocking the expansion of the framework of perception that learners are expected to acquire through feminist fiction, deep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internalizing the value of various lives.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feminist novel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through the Park Wan-soe's「Mother's Stake」serie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Mother's Stake」series from the viewpoint of feminism and examine the elements and significance of feminist nove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 and suggest concrete teaching, learning plan. It would be meaningful to suggest a way to educate feminism novel in the school field.

      • 낭만주의와 페미니즘 : 독일 낭만주의 '다시 읽기'

        김성현 연세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943

        여성 해방 과정의 첫 번째 단계에서 두 번째 단계로의 이행은,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것에서 ‘여성적인 것’의 다름과 가치를 인정하는 것으로의 이행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고유한 여성적 특성 그리고 특수한 여성적 사유형식에 관한 이념은 계몽주의적 사유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계몽주의적 사유에서 ‘여성적인 것’은 ‘부정적인 것’, ‘결핍’, ‘부재’로 존재한다. ‘여성적인 것’에 대한 계몽주의의 이러한 관념은 낭만주의에 이르러 긍정적인 가치를 얻게 되었다. 낭만주의 시대는 ‘여성성’에 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여성들이 자신들의 자의식을 실천적으로 보여주던 시기였다. 낭만주의 여성들이 문학 살롱들을 이끌고 ‘낭만적 사교’에 참여했음이 그 일례이다. 낭만주의는 이러한 여성들의 살롱 내에서의 활동 이외에도 여성 작가들이 활발히 활동하던 시기였다. 즉 그 동안 ‘제도 문학’ 내에서 여성의 작품은 ‘작품’으로 인정받지 못하던 상황에서 여성들의 문화적 생산 활동으로서의 여성들의 ‘글쓰기(텍스트)’가 증가하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여성의 문체가 기존의 규범적 문체와 대비되면서 여성 문체의 고유성이 부각되었다. 낭만주의는 여성들에게서, 남성의 발전 과정에서의 남성들을 위한 조정기능 뿐만이 아니라 그 스스로도 발전 능력이 있는 존재 그리고 시문학적 구상들을 지닌 가치 있는 개인들을 발견해 내었다. 즉 ‘시적 삶에 관한 이념 Idee vom poetischen Leben’의 구체화로 여성들을 보았던 것이다. 낭만주의는 ‘여성성’에 관한 많은 긍정적 담론들이 논의되었고 여성작가들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와 작품 활동을 했다는 역사적 조건 외에도 코르넬리아 클링어 Cornelia Klinger의 지적처럼 ‘합리성 비판’이라는 페미니즘과의 관련성을 갖고 있다. 합리적 이성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여성’이라는 이름으로 배제시키고 여성적인 것을 언제나 열등성과 연결시키는 계몽주의적 합리성 원칙에 대해 비판하고 여성, 여성적인 것을 이성의 속박에 대항하는 원리로 상정하고 여성, 여성적인 것에서 긍정성을 끌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낭만주의는 페미니즘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낭만주의를 페미니즘의 출발시기로 보고 페미니즘이라는 분석 틀로 낭만주의를 읽어보고자 한다. 그러나 페미니즘은 다양한 이론적 근거들을 가지고 있는 바, 여기서는 프랑스의 후기구조주의적 페미니즘의 이론들을 본 논문의 페미니즘 비평의 틀로 삼고자 한다. 남성과 다른 여성의 성별 특성을 긍정적으로 인정하는 낭만주의는 후기구조의적 페미니즘과 ‘성 차이’의 인정이라는 공통된 기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계몽주의적 사유에서 자연은 인간(남성) 주체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것 그리고 엄격하게 통제하지 못하면 위험으로 다가올 수 있기에 통제해야만 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바, 자연과 동일시되는 객체로서의 여성 또한 자유의지를 가진 남성 주체에 의해 통제될 수 있으며 또한 통제되어야만 하는 대상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낭만주의는 계몽주의적 사유와 마찬가지로 여성을 ‘자연’과 동일시하지만 계몽주의와는 달리 여성을 부정적인 통제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으로 재평가한다. 계몽주의는 남성을 이성, 인식, 객관적 관찰 능력이 있는 주체로 내세우고 자연과학의 발달을 강조함으로써, 이를 여성 지배와 자연 지배의 타당성에 대한 근거로 삼는다. 따라서 낭만주의의 ‘자연’, ‘여성성’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평가는 바로 계몽주의적 사유에 대한 비판이다. 후기구조주의적 페미니즘 역시 계몽주의의 이성중심적 사유에서 여성, ‘여성성’의 왜곡, 평가절하, 배제의 원인을 찾고 여성, ‘여성성’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한다. 후기구조주의적 페미니즘은 서구의 이성중심적 체계가 만들어낸 문화자연, 남성여성, 정신몸 등으로 위계화된 이원론에 대해 비판하면서, 특히 여성의 몸에 근거하여 ‘여성적 글쓰기’의 특성들을 말한다. 특히 엘렌 식수와 뤼스 이리가라이가 말하는 ‘여성적 글쓰기’는 억압적이고 규정적인 전통적 글쓰기 방식에 대한 저항 및 비판인 동시에 문학사에서 폄하되고 배제되던 여성작가들의 텍스트들에 대한 긍정적 평가의 근거를 제시해준다. 다시 말하자면 ‘여성적 글쓰기’는 남성적인 것에 맞서는 문화적 전통, 언어, 장르 그리고 양식을 만들어 내는 한 특정한 방식인 셈이다. 루친데에 대한 실제 페미니즘 비평은 슐레겔의 여성성 구상이 계몽주의적 여성성 구상과는 다른 새로운 것이며 여성성 구상이 내용뿐만 아니라 형식에서도 드러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루친데의 ‘열린 형식’은 인과성의 플롯을 강조하고 닫혀진 결말로 이끄는 전통적 서사원리를 벗어나 있다는 점에서 ‘여성적 글쓰기’와의 유사성을 보여준다. 즉 삶과 예술의 통일로서의 글쓰기를 추구하는 슐레겔과 ‘삶을 글쓰기 Leben Schreiben’를 추구하는 ‘여성적 글쓰기’는 전통적 서사 원리를 거부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맞닿아 있는 것이다. 낭만주의 여성들의 글쓰기, 특히 편지 텍스트들은 ‘여성적 글쓰기’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감상성’의 글쓰기를 보여준다. 남성작가와 여성작가를 모두 포함하는 낭만주의 텍스트들에 대한 분석에서 삶과 작품의 통일이라는 낭만주의의 예술이론과 여성의 경험을 강조하면서 ‘삶을 글쓰기’를 주장하는 ‘여성적 글쓰기’와의 친화성을 보게 된다. 낭만주의와 페미니즘은 평가 절하되고 배제되던 ‘타자’를 긍정한다. 이는 대립적인 이분법과 획일성을 거부하고 ‘차이’를 인정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낭만주의와 페미니즘은 언제나 하나의 이름, 하나의 진실을 내세우고 여기에 권리와 정당성을 줌으로써 다른 사실들, 다양성을 배제하는 계몽주의적 사유를 비판한다. ‘비판적 사유’로서의 낭만주의와 페미니즘은 우리에게 ‘바깥 사유’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여전히 시의성을 지니고 있다.

      • 페미니즘 실천으로서의 성평등 교육 : 초등 교사들의 경험과 협상

        이예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As spotted in the 2018 petition for mandatory feminism education, the society’s interest and request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have recently increased. However, specific regulations or standards related to gender equality education are absent in the curriculum. As a result, the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chools currently rely on individual teachers' perspectives and wills and is conducted at their discretion by some able teachers. Therefo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conduct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unravel the difficulties and negotiations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cours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young women who became to self-identify themselves as feminists through the feminism reboot, giving meaning to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a part of feminist practice. They realized the need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from the problems they encountered at school sites. The participants have been attempting new content and methods of gender equality because the school’s exist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was not enough or inadequate to solve these problems. Their gender equality educa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First, it starts by making students unfamiliar with gender stereotypes and dichotomy that they took for granted, gradually going on to recognizing gender inequality in reality. Second, empowering boys who don't conform to normative masculinity and girls. These contents are taught through formal classe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but also through indirect and micro-practices such as life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Practices to transform the school culture which functions as a potential curriculum into a more gender-equal direction and efforts to expand gender equality education into the family can also be seen as par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short, gender equality education, in reality, consists of various aspects of practices that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r textbooks. The following feminist pedagogy is being implemented in elementary gender equality education as a combination of the teacher’s feminist ref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First, the teacher needs to be wary of injecting correctness in one direction, and aim for an educational method where students realize by themselves through questions and conversations. Second, allow such realization to happen through specific experiences and activities, as well as providing the experience of viewing the world in the object’s place. Third, use everyday experiences as a resource for learning. Fourth, the teacher needs to indirectly educate by embodying feminist values through their own body and behaviour. Fifth, allow students to naturally acquire gender-equal perspectives and attitudes by composing a gender-equal classroom environment and culture. In the course of provid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various tensions and difficulties, which stem from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context in which current gender equality education lies. Social factors such as a narrow understanding of the gender equality concept, backlash against feminism, aversion of sexual minorities and conservative gender discourses that do not view students as sexual subjects have influences on site. Meanwhile, the lack of regulations and standards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the lack of an institutional safety net to protect teachers who conduct gender equality education is operating as an institutional factor against gender equality education. Accordingly, teachers experience the following difficulties in provid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First, they experience the gap between what you want to say and what you can say, struggling to coordinate the “fine line” between. Second, gender equality education is considered 'unnecessary, excessive, biased’ education within schools, and teachers who provide gender equality education are often considered ‘sensitive, overreacting’ people. This negative perception not only leads to psychological atrophy but also practical sanctions on gender equality education. It also makes it difficult for teachers who provide gender equality education to reveal their interests in schools and to collaborate or interact with each other-thus gender equality education is only conducted in their respective classrooms as an ‘individual practice.’ Third, individual teachers have to anticipate and respond to expected complaints or external attacks when provid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eachers are using the following strategies to continue gender equality education. First, instead of directly exposing feminism, they try to include feminist perspectives in moderate terms and ways of speech. Second, in the case of 'sensitive' topics, rather than directly explaining them, the teacher takes a strategy of indirectly educating them within acceptable lines, such as showing related photos or pictures and reading fairy tales. Third, make additional efforts to build trust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ellow teachers to gain bargaining power and the right to speak. These strategies can be seen as efforts to create and expand gaps to continue gender equality education under various limitations and constraint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result shows that despite the need and value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here is no institutional basis for stable implementation. The reality is that teachers must overcome difficulties arising from institutional and social contexts through individual negotiations. Thus, institutional intervention and long term policymaking are required for gender equality education to be more stable and qualitatively developed. 2018년 21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며 진행되었던 페미니즘 교육 의무화 청원에서 알 수 있듯, 최근 성평등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청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 상 성평등 교육과 관련된 구체적인 규정이나 기준이 부재하다. 그 결과 현재 학교 성평등 교육의 내용과 실시 여부는 개별 교사들의 관점과 의지에 의존해 있으며 일부 뜻 있는 교사들에 한해 재량껏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평등 교육을 하고 있는 초등 교사들의 경험을 토대로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성평등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고, 성평등 교육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협상을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들은 2010년대 후반 페미니즘 재부상의 흐름 속에서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로 정체화 하게 된 청년 여성들로서 성평등 교육을 페미니즘 실천의 일환으로 의미화하고 있었다. 이들은 학교 현장에서 접하는 문제들로부터 성평등 교육의 필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학교 양성평등교육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에 불충분하거나, 부적합하다고 느끼며 새로운 내용과 방식의 성평등 교육을 시도해 오고 있었다. 이들이 수행하고 있는 성평등 교육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학생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던 성별 고정관념, 젠더 이분법을 낯설게 바라보게 하는 데에서 출발해 점차 젠더불평등한 현실을 인지하게 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둘째로는 여학생들과 규범적 남성성에 부합하지 않는 남학생들이 임파워 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내용들은 페미니즘적 관점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바탕으로 수업을 통해 교육되기도 하지만, 생활지도와 학급경영 등 수업 이외의 측면에서의 간접적, 미시적 실천들을 통해 교육되기도 한다. 또한 잠재적 교육과정으로 기능하는 학교 문화를 보다 성평등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실천들과, 성평등 교육을 가정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노력 역시 성평등 교육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즉 현실에서의 성평등 교육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상의 내용들로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측면의 실천들로 이루어져 있다. 교사들의 페미니즘적 성찰과 초등 교육의 특성이 결합하며 초등학교 성평등 교육에서는 다음과 같은 페미니스트 페다고지가 구현되고 있다. 첫째로 교사가 일방향적으로 올바름을 주입하는 것을 경계하고, 질문과 대화를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깨달아가는 교육 방식을 지향한다. 둘째로는 구체적인 체험과 활동을 통해 이러한 깨달음이 일어나는 것을 돕고, 학생들이 타자의 위치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셋째, 일상의 경험을 학습의 자원으로 활용한다. 넷째, 교사가 페미니즘적 가치를 스스로의 몸과 행동을 통해 체현함으로써 간접적으로 교육한다. 다섯째, 성평등한 교실 환경과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그 안에서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성평등한 관점과 태도를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성평등 교육을 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은 여러 가지 긴장과 곤경을 경험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의 성평등 교육이 놓여 있는 사회적, 제도적 맥락에서 기인한다. 성평등 개념에 대한 협소한 이해,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쉬, 성소수자 혐오와 학생들을 성적 주체로 보지 않는 보수적 성담론과 같은 사회적 요인들은 학교 현장에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한편 성평등 교육에 대한 규정과 기준이 부재하고, 성평등 교육을 수행하는 교사들을 보호해 줄 제도적 안전망이 부재하다는 점은 성평등 교육을 어렵게 하는 제도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성평등 교육을 할 때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경험한다. 첫째, ‘말하고 싶은 것’과 ‘말할 수 있는 것 사이’의 간극을 경험하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둘째, 학교 내에서 성평등 교육은 ‘불필요한, 과한, 편파적인’ 교육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성평등 교육을 하는 교사들은 ‘예민한, 유난스러운’ 사람으로 여겨지곤 한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심리적 위축을 낳을 뿐 아니라, 성평등 교육에 대한 실질적 제재로 이어지기도 한다. 또한 이는 성평등 교육을 하는 교사들이 학교 내에서 자신의 관심사를 드러내고 함께 협업하거나 교류하기 어렵게 만들며, 성평등 교육이 각자의 교실에서 ‘개별적 실천’으로만 이루어지게 만든다. 셋째로는, 성평등 교육을 할 때 예상되는 민원이나 외부의 공격을 개별 교사들이 스스로 예상하고 대처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성평등 교육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첫째, 페미니즘을 전면에 드러내기보다는 온건한 용어나 말하기 방식을 활용하면서도, 그 안에 페미니즘적인 관점을 담아내고자 노력한다. 둘째, ‘민감한’ 주제들의 경우 교사가 직접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관련된 사진이나 그림을 보여주고 동화책을 읽어주는 등 허용되는 선 안에서 간접적으로 교육하는 전략을 취한다. 셋째, 학부모 및 동료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신뢰를 쌓고 협상력과 발언권을 획득하기 위해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이러한 전략들은 여러 가지 한계와 제약 속에서도 성평등 교육을 지속하기 위한 틈새를 만들고 확장해 나가기 위한 노력이라 볼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평등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에도 불구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제도적, 사회적 맥락으로부터 초래되는 어려움들을 교사들이 개별적 협상을 통해 돌파해 나가야 하는 현실인 것이다. 따라서 성평등 교육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질적으로도 심화되기 위해서는 제도적 개입과 중장기적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 페미니즘의 역사적 맥락에서 본 한국 여성 스포츠

        최영금 한국체육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943

        이 연구는 한국 여성 스포츠가 페미니즘 이론과 시대적인 특징에 따라 역사적으로 변해온 과정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근대 이후 한국 체육사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여성체육이 어떻게 한국 체육을 이끄는 선두적인 위치에 서게 되었는가를 페미니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채택하여 근대 초기부터 여성 체육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페미니즘 이론서와 푸코의 저서를 참고하고 여성 체육 현상을 해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여성들이 스포츠에 참가하기 시작한 시대는 여성 신체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담론이 퍼져나갔다. 근대 초기부터 1960년대는 학교체육과 신여성들의 주도로 체조, 육상, 구기 종목에서 부분적으로 여성들의 참가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언론사 주최의 경기대회가 개최되고 여성체육 담론이 확산되었고 페미니즘 1물결의 계몽주의 사상과 자유주의 이념이 스포츠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1960년 이후 여성 스포츠는 전국체전을 기반으로 한 여성 체육의 성장을 바탕으로 실업팀이 창단되었고 농구, 탁구, 구기 종목이 세계무대에서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여성 스포츠는 남성보다, 다른 사회분야보다 더 주목받으며 대중적 관심을 받았으며 페미니즘 2물결과 함께 여성 스포츠인들은 국위선양을 바탕으로 페미니즘을 상징적으로 실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1990년 이후 여성 스포츠는 페미니즘 3물결의 영향을 받으며 다변화 되었다. 여성들은 올림픽에서 계속적인 성과를 거두었고 투기 종목이 여성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며 여성의 스포츠 참가 영역이 확장되었다. 그러나 여성 체육이 세계 정상에 오르는 성과를 보이는 반면 여전히 여성 지도자는 양적으로 수가 적었으며 상위 권력기관에서 참여도는 낮았다. 한편 푸코의 이론으로 재해석한 결과 한국에서 여성 스포츠 구조는 여성의 역할이나 억압이 일반 페미니즘으로 이해되기보다는 다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 체육의 권력은 남성이나 여성의 일방적인 소유나 행사하는 권력이 아닌 다양한 관계망 속에서 이루어지며 역담론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스포츠는 더 이상 남성의 영역이 아니다. 이제 여성 스포츠는 남성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스포츠 자체에 대한 도전을 시작해야 한다. 여성성을 확대하면서도 스포츠의 본질인 경쟁과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방안, 다른 형태의 미의 도전 방법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앞으로 여성 스포츠는 권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가부장적 구조 아래에서 해방을 요구하는 것을 넘어서서 전복적이고 개방적인 구조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의 철학적 배경과 老子철학의 상관관계 연구

        최인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본 고는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의 철학적 배경을 살피고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에코페미니즘적 시각에서 재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필자는 도덕경의 내용을 크게 넷으로 분류하여 탈(脫)중심의 원리, 여성적 원리, 자연적 원리, 평화적 원리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것이 에코페미니즘에서 말하는 원리와 일치함을 주장한다. 현대 페미니즘 담론의 하나인 에코페미니즘의 사상적 원류를 고대 동양의 사유에서 찾아 그 당위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근대 이후 야기된 총체적인 문제들이 근본적으로 근대 서양철학 안에 있음을 인식하고 그 한계를 벗어난 새로운 페러다임의 설정 가능성을 에코페미니즘에서 찾고자 하는데 동의한다. 데카르트(Descartes) 이후 근대 세계는 인간과 자연, 여성과 남성, 서구와 비서구 등의 이분법적 인식 체계의 틀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분리와 대립은 지구 위에 인류 문명에 엄청난 인식론적·윤리적 위기를 불러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커다란 오류를 일으키게 되었다. 인간의 주체성은 스스로 절대화되었고 신(神)과 자연, 그리고 상호 주관적인 세계는 평가절하 되었다. 여기서 가장 극단적인 것은 타자(他者)의 자아를 배제시켜 버렸다는 점이다. 이때부터 자연은 도구적 존재로 사유의 존재와 대립하게 되었다. 서양 철학의 형이상학에서는 정신과 육체 그리고 문명과 자연을 분리·대립시켜 왔다. 이러한 철학적 전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항대립의 체계에 대하여 데리다(Derrida)는 그 대립이 평화적인 공존이 아니라 두 항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가치론적인 혹은 논리적인 방식 등으로 지배하여 더 우위를 점하는 관계에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68혁명"이후 다원주의적 의미를 폭발시킨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도는 근대의 가부장제적인 획일적 구조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 들어 여성성(女性性)을 바탕으로 각 분야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새로운 페미니즘 담론이 무성하다. 기존의 급진적 페미니즘,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여성의 성적 차이를 부인하고 결혼, 가족 등 전통적인 가치를 부인하고 있는 것과는 크게 다른 양상이다. 에코페미니즘(Ecofeminism)이란 용어는 생태학(Ecology)과 페미니즘(Feminism)의 합성어로 생태론이 인간중심주의에 물음을 제기한 것이라면 페미니즘은 남성중심주의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에코페미니즘은 생태학 중에서도 심층 생태학과 급진적-문화적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에코페미니즘은 심층생태학에서 말하는 원자론, 위계주의, 이원론에 페미니즘적인 시각을 갖고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하고 있는 것이다. 에코페미니즘은 여성의 억압과 생태계의 위기를 다같이 가부장적 남성문화의 산물로 보고, 지금까지 서구 근대가 무시했던 부분을 생태·여성적 시각으로 다시 보는 것이다. 그래서 획일화되고 비생명화 되어 가는 사회 구조에 다양성과 관계성 그리고 생명성을 불어넣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자연과 여성은 "에코페미니즘"이라는 전략적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공동 전선의 장을 구축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 문명의 현 단계에서 생태학과 페미니즘의 협업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알아보고 에코페미니즘을 통하여 서구 근대의 진보신화와 발전 이데올로기로 인해 소외되어 왔던 주변부의 주체들이 타자화 되지 않으며 더불어 함께 상생(相生)할 수 있는 길은 없는 것인지를 도덕경(道德經)을 통해 알아본다. 노자(老子)의 철학 체계 안에서 有와 無는 존재적으로 선후나 차등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층차에서 공존한다. 이것은 노자가 자연을 대상으로 사고한 결과 도출해 낸 노자 철학의 핵심 구조이다. 이 세계는 하나의 세계관, 하나의 중심주의로 획일화 될 수 없다. 드러나는 세계인 有와 가려진 세계, 좀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가능성의 세계인 無가 상대적 관계 속에서 서로의 가치를 인정하며 조화롭게 운행될 때 진정한 道가 실현되는 것이다. 에코페미니즘의 여러 갈래들이 한 목소리를 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노자 철학과의 일치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덕경(道德經)에 비해 에코페미니즘에 관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체계적으로 상관 관계를 밝히는데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크게 보아 상대적 관계성을 인정하고 자연과 여성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는 데에는 일치한다. 필자는 에코페미니즘과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을 통하여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상생(相生)의 길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consider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ecofeminism and thus reconstructing philosophy of Lao-tse from the point of view of ecofeminism. I will classify the contents of Lao-tse philosophy into four major principles (deviation from the center, feminism, naturalism, and peacefulness) which, I will also argue, ar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ecofeminism. In other words, I will back up and justify the philosophical essence or root of ecofeminism, one of the modern discussions of feminism, by showing that ecofeminism is based on the Oriental Philosophy. I also agree that almost every problem and trouble has thus far been brought about within the area, and the standpoint of the Western Philosophy, and t! hat we need to seek to establish new paradigm on the basis of ecofeminism. Since the time of Descartes, Human beings in the modern world have come to have a tendency to think of things in two parts: human and nature, male and female, the West and the Non-West, and so forth. This trend of thought has caused lots of great crises in both ethics and thought process of mankind, and then troubled the world. The subjectivity of human has been fortified and considered as absolute one; not only the Creator and nature but also things mutually subjective have been depreciated. One of the most extreme fallacies here is that mankind has excluded self of the other. From that time on, nature as an instrumental being is confronted with mankind as a thinking being. In the Western metaphysical philosophy, spirit and ! body as well as civilization and nature have been separated from, and confronted with each other. As Derrida once pointed out, in the status where two things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the confrontation is by no means the peaceful coexistence but the dominance over other thing with lower value and logic. Since "68 Revolution", the appearance of postmodernnism advocating pluralism has made great changes in the existing standardized social structure based on modern patriarchal system. Nowadays, there are lots of active discussions as regards the new feminism that all sorts of problems are to be treated upon the basis of feminism. The new feminism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adical feminism and socialistic feminism, both of which negate not merely the sexual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an but also such traditional values as marriage, family and what not. The term "Ecofeminism" is the compound word of Ecology and Feminism. As you are aware, ecology is to the doubt about the human-oriented trend what feminism is to the doubt about the man-oriented tendency. Ecofeminism has come into being on the basis of deep-structured ecology and radical-cultural feminism. Ecofeminism takes a feministic view of atomic theory, rank, and dualism in deep-structured ecology and takes a dim view of patrilineal society. Ecofeminism looks upon both suppression of women and crisis of ecosystem as the results of the man-oriented patrilineal society and takes a ecological and feministic view of what was looked down on by the modern Western society. We can say that ecofeminism is for putting! variety, relation, and animation into the uniform and non-living structure of the modern society. In ecofeminism, nature and female are able to connect strategically with each other, and present a united front. Moreover, we will treat the influence and effect ecology and feminism have on the present stage of human civilization, and using Lao-tse philosophy we will also seek for the ways for the peripheral beings, which have so far been neglected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ideology for growth of the Western society, to coexist. Within the system of Lao-tse philosophy, existence and nonexistence exist neither priorly nor posteriorly but coexist in the same stage. This idea is the core of Lao-tse philosophy as a result of his speculation about nature. This world cannot be uniformed using just one view of the world or just one key ideology. Truth will be fulfilled when existence, the visible world goes hand in hand with nonexistence, the invisible world, more precisely speaking, the world of possibility. On account of the various voice of ecofeminism, it is true that we find difficulty in matching ecofeminism with Lao-tse philosophy. And it is because the study of ecofeminism lacks at the present time contrary to that of Lao-tse philosophy. Consequently, we have difficulty in fi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ecofeminism and Lao-tse philosophy. On the whole, however, they a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admit things correlative and newly appreciate nature and female. In this study, using ecofeminism and Lao-tse philosophy I have sought for ways for human beings to co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