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중학교『국어』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 연구 : 통합적 문법 교육을 중심으로

        최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471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작된 14종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①, ②가 통합적 문법 교육을 잘 실현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서는 학습자가 문법이라는 학습 내용과 만나는 통로이자 학습의 매개체이다. 따라서 철저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논의가 어떠한 형태로 실현되었는지 확인하고, 통합형 교과서와 독립형 교과서로 분류하였다. 문법 교육에서‘통합’의 개념은 적절한 수준에서의 ‘분절-통합의 균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합적 문법 교육은 문법을 교육하는 데 있어서 다른 영역의 것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이 침체된 교실 수업 상황에 학습자의 흥미를 존중하는 문법 교육 내용의 재구조화를 가져 올 것이며, 통합적 문법 교육을 토대로 문법 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한다면 문법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기존 교육과정의 형식을 탈피하여 새로운 시도를 많이 하고 있었다. 특히 통합적 문법 교육의 기반이 되는 학년군이나 학교급을 고려하는 통합의 방안과 문법과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통합, 읽기와 쓰기의 통합 등 성취 기준 수준의 통합, 아울러 내용 요소 차원의 통합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2013년부터 사용된 14종의 중학교 국어교과서 ①, ②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교과서의‘음운’관련 단원과‘품사’관련 단원을 거시적으로 분류하여 대단원의 통합 양상을‘영역 간 통합 단원’, ‘영역 내 통합 단원’, ‘독립 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소단원 구성이 각 영역의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제시하는지, 단독으로 제시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후 미시적 분류로 본문의 제시 방법이 설명 단독의 설명구조인지, 활동을 포함한 설명 구조인지, 학습활동만으로 학습하는 구조인지 분류하였다. 그 다음 학습 활동의 통합 유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보충학습에서의 통합 유형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합적 문법 교육이 잘 실현되고 있는 통합형 교과서와 문법 영역만을 위주로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독립형 교과서로 분류할 수 있었다. 통합형 교과서는 비교적 영역과 내용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문제 해결 방식에 있어서 적절한 곤란도로 학습자의 의욕을 높이고, 탐구력 신장과 창의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또한 언어 자료도 비교적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맥락에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 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한 교과서로 적합해 보였다. 반면에 독립형 교과서는 영역과 내용이 연관성이 없는 형식적인 통합에 그치거나 전혀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암기에 의존하여 해결할 수 있는 단답형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언어 자료 역시 단편적이고 탈맥락적인 자료들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연구에 그쳤다면, 본 연구는 2013년에 사용된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①, ②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을 실제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교과서의 문법 영역의 실현 양상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형태의 통합적 문법 교육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지 못한 점과 중학교 교과서 ①, ②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교육과정이 해를 거듭하며 개정되고 있고, 내년부터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③, ④도 교육 현장에 적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통합적 문법 교육’의 방향성을 밝히고, 현행 교과서의 문법 영역 실현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 통합적 문법 교육의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독서와 문법Ⅰ,Ⅱ’과목을 중심으로-

        성현영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471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suggesting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integrated composi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nt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For this, it is to analys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of <Reading & Grammar I,Ⅱ> subject in the critical aspect, and to suggest the education content that can be possible to integrate <Reading> and <Grammar> as the improvement measure according to that. Despite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since the grammar education was composed of knowledge and theory focused education content, it was performed as the independent to the practical life or it was criticized that the choice rate of grammar subject in school site was low.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research considered that the goal of Korean education was that the <grammar> performance with connection to the function of language use could contribute on the accomplishment of goal of Kore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use of learners. Especially,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which was less interested before is meaningful in the perspective that it must be based on grammar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bout the text. Like this, before finding the integration possibility of <Reading> and <Grammar>,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was accomplished as the principles of learner centrality, function centrality, and integration centrality with taking the perspective of totality oriented in integrated linguistics and total language education. And for ensuring the necessity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t was surveyed that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has a meaning in the position of Korean education, grammar education, teacher, and learner. It was analyzed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of <Reading & Grammar I, II> in the critical perspective for integrated composi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e understanding about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s a result, since the basis of the standard for the textbook composition and curriculum, the integration composition was not clearly accomplished. Also, the integration aspect of <Reading> and <Grammar> in the learning goal and unit composition was superficial and just parallel listed, and the content of learning activities seemed not to reflect on the element of integrated content dutifully.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ent structure and composition needs to be re-organized for organic connection of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According to this, it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asure for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subject. Here, the education content for possibl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was divided into essence,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and practice. It was selected the unit composition and learning activity content that could be learned in school site practically with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is. Even though the integration measure of <Reading> and <Grammar> did not show the aspect of true integration completel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hat it is to provide more effective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s, and in addition to this, it is to prepare the basis for true integration further through this research.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구성에 따른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서와 문법Ⅰ,Ⅱ>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문법 교육은 그 필요성과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지식이나 이론 위주의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 실생활과 별개로 이루어지거나 학교 현장에서 문법 교과의 선택률이 낮다는 등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국어 교육의 목표가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있다는 점과 관련하여 <문법>이 언어 사용 기능과 연계되어 이루어진다면 국어 교육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텍스트에 대한 의미의 이해를 위해 문법 교육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동안 관심이 덜 했던 <독서>와 <문법>의 통합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이처럼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성을 찾아보기에 앞서 통합적 문법 교육은 통합 언어학과 총체적 언어 교육에서 총체성을 지향한다는 관점을 취하면서 학습자 중심성, 기능 중심성, 통합 중심성의 원리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통합적 문법 교육의 당위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국어 교육, 문법 교육, 교사, 학습자 입장에서 통합적 문법 교육이 의의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구성을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Ⅰ,Ⅱ>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구성이 어떤 기준으로 통합된 것인지 그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통합 구성도 분명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 학습 목표나 단원 구성에서 <독서>와 <문법>의 통합 양상이 표면적이고 병렬적 나열에 그쳤고 학습 활동의 내용도 통합적 내용 요소를 뽑아내 충실하게 반영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독서>와 <문법>의 통합이 유기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서 내용 체계나 구성에 있어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독서>와 <문법> 과목의 통합을 위해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한 교육 내용을 본질, 이해와 탐구, 실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이 통합되어 실제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습될 수 있는 단원 구성과 학습 활동 내용을 선정해 보았다. 이렇게 <독서>와 <문법>의 통합 방안이 진정한 통합의 양상을 완벽하게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 내용을 제공해주고 더 나아가 진정한 통합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통합적 문법 교육 방안 연구 : 7학년에서 9학년을 중심으로

        김기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33471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이 이상적인 문법 교육이라 상정하고 효과적인 통합적 문법 교육을 이루기 위해 멀티미디어를 활용해 보고자 한다. 멀티미디어를 교수ㆍ학습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제를 구현해 내어 궁극적으로 통합적 문법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문법 교육을 둘러싼 여러 담론들 즉, 부정적 입장, 독자적 입장, 통합적 입장, 포괄적 입장을 고찰하며 각 담론들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 중 독자적 입장은 문법에 대해 지나치게 국어학적인 입장을 취하고, 교육의 주체가 되어야 할 학생들의 상황이라든가 교육적 필요성을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았다. 포괄적 입장은 문법의 독자적 가치와 실용적 측면을 둘 다 고려하다 보니 학습 내용의 중복을 초래하였고 학습자에게 양적 부담감을 안겨 주었다. 이어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살폈다. 특기할 만한 것은 각 영역 간의 유기적 통합과 실제적 활용을 강조했다는 점이다. 문법이 국어과 내에 한 영역이라는 것을 떠올릴 때 문법 역시 국어과의 목표를 향하도록 해야 한다. 여러 이유들을 종합해 볼 때, 문법 교육이 각 기능 영역과 통합되어 일상 생활에서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듣고, 말하고,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문법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즉 통합적인 문법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문법 지식의 기저성과 전이성,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 등이 통합적 문법 교육에서의 화두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 통합적 문법 교육을 하기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에 멀티미디어가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3장에서는 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의 개념과 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의 유형을 살폈다. 수업이라는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뛰어 넘고 통합적인 문법 수업을 이루는 데 복합적인 매체인 문자, 그래픽, 음성, 동영상 등의 다양한 정보를 통합 처리하여 보고, 듣고, 느낄 수 있고, 기기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의 역할이 클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한 원리를 상정하였는데, 학습 자료의 실제성 강화의 원리, 문법 지식의 전이성 강화의 원리, 상호작용 강화의 원리, 자기 주도적 학습의 원리를 끌어낼 수 있었다. 개정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과 각 기능 영역의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문법과 기능 영역의 연계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중학교 즉, 7학년부터 9학년까지로 제한을 두어 그 통합 양상을 구현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통합적 문법 교육의 교수ㆍ학습을 실제적으로 구현해냈다. 3장에서의 개정 교육과정을 통한 문법 영역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의 연계성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문법과 듣기, 문법과 말하기, 문법과 읽기, 문법과 쓰기의 통합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무엇보다 실제적이고 국어 활동이 다채롭게 결합된 형태의 언어 자료를 제시하는 것, 학습자가 스스로 능동적인 학습을 하는 것, 인터넷을 이용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구안하였다. 통합적 문법 교육에서는 교사가 조언자, 조력자로서 자리해야 한다. 학습자가 교수ㆍ학습의 주체가 되어 문법 지식을 활용해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하도록 세심하게 그 과정을 지켜봐야 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역할이 더 막중하다 할 수 있겠다.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가 문법 교육의 내용을 재구성하는 것에만 초점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수ㆍ학습안을 구체적으로 보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가 교사들에게는 실제 수업 현장에서 통합적 문법 교육이 필요함을 느끼고 직접 실행해 보도록 하는 데 용기를 주고, 학습자들에게는 문법 지식을 활용해 듣고, 말하고, 읽고, 쓸 수 있는 활동의 장을 열어 줄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postulates that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s the ideal method of grammar education and tries to utilize multimedia in a way to achieve effectiv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t aims to use multimedia in a practical manner in the teaching-learning field. This is to successfully allow the eventual realization of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refore, Chapter Ⅱ has reviewed some stances on the grammar education: negative, segregational, integral, and comprehensive viewpoints, and then raised questions on each viewpoint. Among them, the segregated viewpoints take an excessive linguistic position and didn’t consider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being the principal agent of education. Also, the comprehensive viewpoints considered both the independent values and practicality of grammar, resulting in repeti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excessive quantitative burden on learners. Subsequently, this study analyze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t is notable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d integration of skills and their practical use. Considering that grammar is one skill of the language, grammar education also needs to comply with the ai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utting all the reasons together, the purpose of grammar education should be integrating the grammar with other skills and helping learners listen, speak, read, and write in their daily usage. In brie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s strongly required. The major talking points in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re the foundational and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speak the language.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n the real-life classroom. Therefore, multimedia can be its effective means, and Chapter Ⅲ defined the concept of multimedia in education and examined what types of multimedia could be used for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Multimedia will be able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education because it enables us to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nd to interact, such looking, listening and feeling, with the machine that processes multiple information such as characters, graphics, audio, and videos, which are necessary for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n, this study drew some principles for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 principle of reinforcing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 principle of reinforcing the transition of grammar knowledge, the principle of reinforcing the interaction, and the principle of encouraging learners’ self-study. It has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grammar skills and functional skills,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kills in the Revised Curriculum, and then presented its integral aspects by limiting on middle schools, or 7th to 9th grades. Chapter Ⅳ presented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using multimedia, based on Chapter Ⅲ. On the foundation of what we investigated in Chapter Ⅲ, it has constructed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lans for grammar-listening, grammar-speaking, grammar-reading, and grammar-writing classes. Above all, these plans focused on presenting materials that include integrated forms of practical and colorful language activities, helping students study actively and communicate freely through the Internet. In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 teacher should act as an advisor and helper. The teacher’s role is of great importance as he/she should be watching carefully the process that learners, as the main agent of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practic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using their grammatical knowledge. Considering that the previous studies on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have only dealt with reconstructing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practically presenting the teaching-learning plans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grated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will be able to encourage teachers to recognize the needs for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nd practice it in their classroom, and also help students practic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ith the aid of their knowledge on grammar.

      • 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한 학습 활동 구성의 실제 : 2010년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장신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455

        This study is to examine existing theories about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nd to analyze a grammar unit of the 2010 revised textbook.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for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nd to supplement this education. I've focused on suggesting and improving specific ways to teach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s the way to teach language skills , such 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literature all togeth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grammar in the practical use of language. Teachers have taught the existing grammar education independently, so students have avoided learning grammar and have regarded grammar as just something needed for a lesson or a test. Consequent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grammar is very important for fluency and accuracy in the practical use of language. Grammar educ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practical use of language closely. The 2007 revised National Korean curriculum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teach grammar and other parts together. As a result, the 2010 revised text book was released, and 7th grade students are only studying with this book. Therefore, I have analyzed the structure and grammar units of 23kinds of 'Korean' and 'Practical Korean' text books, and I have tried to find the specific way to teach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at is regarded as just an alternative of teaching grammar. The learning activities evaluated the levels and degrees of integration as good, average, or bad based on the standard table. And I've classified the learning activities into ‘mutual equal type’, ‘complementary type’, ‘mutual independent type’, ‘inherent grammar type’ and ‘auxiliary grammar type’ and looked into each specific feature. Most text books follow the 2007 revised National Korean curriculum well, so the separation between 'Korean' and 'Practical Korean' has been reduced and the units in each text book have become the same. 'Korean'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whereas 'Practical Korean' focuses on the application and use. And the text books are developed to encourage learners have interest in Korean by using various and specific language materials. But the way to teach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still isn't good, so I have tried to find a better way by classifying expression (speaking, wring), comprehension (listening, reading), and literature in order to show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with other parts. As a result, I've found that above all, the teacher's ability is important to teach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nd as we can use language by understanding grammar, I've found a possible way to effectively teac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The better way the researcher suggested hasn't been applied in the practical teaching and the integration of parts is a little bit unnatural because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7th grade students level. The existing studies have just suggested the model of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but this study suggests a specific way to mak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better by analyzing the text book according to the curriculum. Education has changed, and next year, the new text book that applies the 2009 revised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released. I expect this study will improve the existing Korean education system and will be used as a guide to make a good text book to help language learners study easily.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에 관한 기존 이론을 검토하고, 2010년 개정 교과서의 문법 단원을 분석하여 통합적 문법 교육을 하기 위한 실제 학습 활동을 제시하고 보완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합적 문법 교육은 문법의 실제 언어생활에의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언어 기능 영역 즉,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영역과 문학 영역을 함께 교육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문법 교육은 독자적으로 진행되어 문법 기피 현상을 초래하고, 문법 수업과 시험만을 위한 영역과 과목으로 전락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법이 언어생활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뒷받침해 주는 중요한 영역임을 인식하고, 문법 교육이 실제 언어생활과 가깝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설파하였다. 또한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도 문법과 타 영역을 통합하여 교육할 것을 명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물이 바로 2010년 개정 교과서이고, 현재 7학년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23종의 ‘국어’와 ‘생활 국어’ 교과서의 문법 단원과 학습 활동의 구성을 분석하여 그간 대안으로만 그쳤던 통합적 문법 교육의 구체적인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학습 활동은 통합의 수준과 정도를 준거 표에 근거하여 ‘상’, ‘중’, ‘하’의 세 단계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학습 활동을 통합 방식의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상호대등형’, ‘상호보완 형’, ‘상호독립 형’, ‘문법내재 형’, ‘문법보조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구체적인 특징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여 기존의 ‘국어’와 ‘생활 국어’ 간 내용의 분절 성을 극복하고 단원을 통일하였다. ‘국어’는 내용의 이해에, ‘생활 국어’는 실제 언어생활에의 적용과 활용에 중점을 두었고, 다양하고 구체적인 언어 자료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사고를 자극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통합적 문법 교육의 방법은 여전히 미진한 상태로 타 영역과의 통합 가능성 제시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표현 영역(말하기 &#8228; 쓰기), 이해 영역(듣기 &#8228; 읽기), 문학 영역으로 분류하여 보완된 형태의 활동을 구상하였다. 그 결과로 통합적 문법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역량이 강조되고, 언어생활의 밑바탕에 문법이 존재하고 있는 것과 같이 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한 실마리는 어디든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제시한 보완된 형태의 학습 활동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보지 못한 점과, 7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각 영역을 통합한 학습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이 통합적 문법 교육의 모형을 제시하는 전망에 그쳤다면,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반영한 실제 교과서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활동으로 보완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은 나날이 변화하여 새로워지고 있고, 내년부터는 최근에 고시된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어 새로운 교과서가 출판될 것이다. 본 연구가 현재의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에게 조금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지침이 되길 기대한다.

      • 문법과 화법의 통합 방안 연구

        고유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455

        그동안 국어 교과는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기존 교육 내용을 선별하고 하위 영역 간에 공통되는 교육 내용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교육과정의 흐름 아래 학습자의 언어생활에 유의미한 문법 교육을 중시하는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통합적 문법 교육은 주로 문법과 작문, 문법과 독서의 통합을 연구하였는데, 문법과 화법의 통합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법과 화법 두 영역의 통합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법과 화법의 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통합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국어과에서 논의되는 통합적 국어 교육은 ‘기능 영역 간’의 통합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이어서 문법 및 문학 영역에서도 통합 연구를 하여 ‘전 영역 간’의 통합적 국어 교육으로 논의가 확장되었다. 통합적 문법 교육은 문법 교육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에서 출발한 것으로, 문법 중심의 통합을 모색하는 교육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논의는 교육과정에도 반영되어 통합 교육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법과 화법의 통합 교육은 문자 언어 중심의 국어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실제적인 문법 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활동 중심의 화법 교육을 보완할 수 있다는 데에서 의의를 지닌다. 3장에서는 교과서의 통합 양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국어Ⅰ>, <국어Ⅱ>의 대단원에서 통합된 영역들을 분석하여 문법과 화법 두 영역이 통합된 대단원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단원의 목표 및 활동을 분석하여 단원의 목표가 두 영역의 성취기준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였는지, 학습 목표가 성취기준을 ‘나열형’으로 기술하였는지 ‘결합형’으로 기술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어서 활동에서 유기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성취기준을 반영한 학습 목표 대부분이 비효율적으로 통합되었고, 기술된 목표는 전부 ‘나열형’이었다. 반면, 유기적인 활동은 교과서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그 정도가 0개에서 5개까지 격차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영역 통합 단원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과정, 교과서 제작자, 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4장에서는 문법과 화법의 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문법과 화법의 교육 내용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두 영역의 내용 체계는 기능 영역 간의 내용 체계에 비하여 이질적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어Ⅰ>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두 영역의 성취기준이 어떻게 통합되는 게 바람직할지 논의하였다. 4장 2절에서는 화법 능력의 구분 및 언어 단위 크기에 따라 화법과 통합할 수 있는 문법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화법 능력은 ‘언어적 능력’, ‘관계 능력’, ‘자기 점검 및 조정 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세 유형의 능력에서 모두 문법 지식이 필요함을 기술하였다. 언어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는 문법 지식을 음운, 단어, 문장, 담화 차원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이 모두 화법 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 통합적 소통을 위한 문법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 국어 문법교육과 한국어 문법교육의 접점 찾기를 통하여

        오원진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439

        이 연구의 목적은 소통 현상이나 텍스트(담화)에 대한 언어 지식이 실제의 언어 사용이라는 ‘실용’과 상생할 수 있는 문법 교수-학습에 대한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문장’ 차원의 자료를 중심으로 문법 요소의 천착에 주된 관심을 기울였던 기존 국어교육의 문법 교수-학습은 이제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의 기저 능력 향상에 대한 고민으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 그리고 문법적 지식 그 자체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학습자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고, 삶의 지평을 넓힐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구조와 특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정립한 국어교육의 문법 교수-학습과 의사소통의 맥락과 언어 사용 능력 향상을 중시한 한국어교육의 문법 교수-학습이라는 두 인접 학문의 접점 찾기를 시도해 보았다. 이에 따라 ‘삶의 지평’을 접점의 종속 변인으로, ‘통합적 소통’을 접점의 독립 변인으로 설정하여 통합적 소통을 위해 필요한 문법능력을 ‘의사소통 현상에서 화자와 청자의 역동적 되먹임이 정확하고 적합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언어문화 적응 및 내면화를 위한 기저 능력’으로 재개념화하였다. 그리고 재개념화한 문법능력의 발현을 위한 문법 교수-학습 연구를 위해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문법 교육과정 내용 및 문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설계 양상, 교수-학습 방법 등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통의 기저 지식 및 삶과 연관된 문법능력, 화자와 청자의 역동적인 되먹임, 언어문화 적응 및 내면화를 위한 기저 능력, 텍스트 중심의 문법 탐구 역량 등을 강화하기 위한 국어교육 문법 교수-학습 모형을 한국어교육의 문법 교수-학습 보완 모형을 변형·적용하고 최근 국어 문법교육의 성과를 첨가하여 구안하였다. 이렇게 제안한 ‘통합적 소통을 위한 문법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은 교수-학습의 단계를 ‘제시(Presentation)–시범(Modeling)–연습(Practice)-통합(Integration)-평가(Evaluation)’의 5단계로 나누었다. 각 단계 중 ‘제시’, ‘시범’, ‘연습’ 단계는 텍스트와 관련된 문법 지식 탐구를 중심으로, ‘통합’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탐구한 문법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삶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문법 교수-학습은 ‘교사 및 학습자’, ‘교수-학습 맥락’과 ‘평가’, 그리고 ‘텍스트’가 상호 융합되어 문법 교실의 활력을 추동하도록 해야 하고, 교수-학습이라는 전체 시스템 안에서 여러 교수-학습 변인의 섭동을 유발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 미진하게나마 시도했던 텍스트와 학습자의 삶이 역동적으로 소통하는 통합적 소통을 위한 문법교육에 대한 천착과 연구가 마중물이 되어 ‘지금-여기’의 국어교육에서 좀 더 발전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paradigm of grammar teaching-learning in which communication phenomena or linguistic knowledge of texts (discourse) can be compatible with “practicality” of actual use of language and to prepare its concrete methods. The existing grammar teaching-learning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which emphasizes delving into grammatical elements centering on the data in terms of “sentence” should focus on the emphasizing the enhancement of the basic communication ability centering on “texts.” And it should not stay in grammatical knowledge itself but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learners’ “lives,” and by extension, it should promote “autonomy” of the learners and broaden the horizons of their lives. In this context, this thesis attempted to find the contact point of the two adjacent disciplines of the teaching-learning of national language grammar education which studies systematically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grammar teaching-lear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and the enhancement of language use ability. Accordingly, the “horizon of life”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integrated communica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grammatical ability needed for integrated communication was reconceptualized as “the adaptability of language culture that helps the dynamic feedback of the speaker and the hearer to be done accurately and suitably. And for the grammar teaching-learning research to develop the reconceptualized grammar ability, the contents of grammar curriculums, the teaching-learning design aspects of grammar curriculum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etc.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by transforming and apply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teaching-learning supplementary model,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grammar teaching-learning model to reinforce the basic knowledge of communication, life-related grammar ability, dynamic feedback of the speaker and the hearer, adaptability to language culture, and text-oriented grammar inquiry capabilities was designed. The teaching-learning stages of “the grammar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for integrated communication” proposed in this way was divided into 5 stages: presentation, modeling, practice, integration, and evaluation. Of these stages, the “presentation,” “modeling,” and “practice” stages center on the inquiry into grammar knowledge related to texts, and the “integration” stage center on the activities that can expand the horizons of the learners’ lives based on the grammar knowledge explored in the previous stages. The grammar teaching-learning should give an impetus to the vitalization of grammar class through mutual integration of “teacher &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contexts” and “evaluation” and “texts,” and should lead to perturbation of various teaching-learning variables within the overall system of teaching-learning. Accordingly, I expect that delving into, and research on, the grammar education for integrated communication where texts communicate with the learners’ lives dynamically which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ore with much to be desired will become priming water to develop more expansive discussions from the “here and now” national language education.

      • 통합적 문법 교육의 교과서 실현 양상 연구 : 2011 개정 <국어 I,II>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능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439

        본 연구는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국어 Ⅰ,Ⅱ> 교과서의 문법 영역 단 원 구성 및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발전적인 통합적 문법 교육의 실현을 위한 단원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법 영역은 국어 생활의 정확성과 효과성 및 건전함을 뒷받침해 주는 중요한 영역이 다. 이에, 새롭게 등장한 <국어 Ⅰ,Ⅱ> 문법 영역의 내용 성취 기준이 교과서에는 어떤 방 식으로 서술되어 있는지, 문법 교육이 실제 국어 생활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살아있는 통 합적 지식으로 전달되고 있는지를 진단해 보아야 하며, 문법 교육의 위기를 불식시키기 위 해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문법 영역의 통합을 이뤄내야 하는지에 대해 연구해볼 가치가 충 분히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Ⅱ장에서는 문법 교육의 성격과 방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통합에 대한 근거와 <국어 Ⅰ,Ⅱ>의 교육과정 전반에 대해 살 펴보았다. 더 나아가, 통합적 문법 교육의 배경과 궁극적인 목표를 짚어봄으로써, 학교 문 법 교육 및 교과서 문법 영역의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통합적 문법 교육은 문법 지식이 실제 언어 생활에서 언어 사용 상황에 실제적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학습자의 의 사소통 능력에 기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학습 에 참여하는 문법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의미 구성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2011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내용 성취 기준, 교수?학 습 방법 및 평가에 근거하여 문법 영역 관련 단원 구성이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점검해 본다. 고등학교 <국어 Ⅰ,Ⅱ> 검정 교과서 4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국어 Ⅰ, Ⅱ>의 여섯 가지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내용을 <국어 Ⅰ> 내용 성취 기준(음 운, 어휘, 표기 관련) 적용 단원과 <국어 Ⅱ> 내용 성취 기준(문장과 담화, 국어의 변천, 한글 제자 원리 관련)적용 단원으로 나누었다. 또한, 문법 영역 단원의 구성을 크게 ‘영역 간 통합, 영역 내 통합, 독립 단원’으로 분류 하며, 소단원 내의 통합 양상이 대단원과는 다를 수 있기에 ‘통합, 단독’으로 나눠보았다. 학습목표가 소단원의 성취기준을 얼마만큼 반영하고 있는지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문이 설명(제재) 또는 활동 구조의 테두리 안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을 기초로 하 여, ‘설명구조, 설명 구조(활동 포함), 활동 구조’로 구분 지어 보았고, 마지막으로 본문 활 동 및 학습 활동, 확장 학습에 실려 있는 각 활동의 통합 영역 및 양상이 다양함을 고려하 여, 통합 영역을 밝히면서 ‘통합, 단독’으로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을 바탕으로 하여, <국어 Ⅰ,Ⅱ> 검정 교과서 4종의 통합적 문법 교육 실현 양상을 종합한 결과를 정리하고, 이를 반영하여 통합적 문법 교육으로서의 <국어 Ⅰ, Ⅱ>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어 Ⅰ,Ⅱ> 교과서의 문법 영역 단원에서 영역을 통합하 여 제시한 활동 비율은 <국어 Ⅰ>이 54.41%, <국어 Ⅱ>가 52.28%로, 이를 평균한 수치는 53.34%로 산출되었다. 이는 통합 활동이 전체 활동의 절반을 가까스로 넘은 수치였다. 그리고 <국어 Ⅰ,Ⅱ>의 통합 영역별 활동 평균 비율은 듣기?말하기 7%, 읽기 66.5%, 쓰기 19.5%, 문학 9.5%였으며, 통합 활동이 제시되었다 하더라도 그 활동은 읽기 영역에 주로 몰리고 있는 양상을 보여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본 이념으로 내세운 ‘유기적 통 합’이 실제 영역 간 혹은 과목 간을 연계하는 데 있어서는 고루 적용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어 Ⅰ,Ⅱ> 교과서 문법 영역 단원의 통합 실현 양상 및 그 결과를 종합하여, 문법 교육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국어 Ⅰ,Ⅱ> 로 자리하기 위 한 구성 방안을 제시해 보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언어 상황을 묘사하는 텍스트 또는 그림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과 함께 문법 영역 내용 성취 기준 및 내용 요소로 교과서의 단원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많은 학습 량이 압축되어 있는 성취 기준의 분산 배치를 통한 학습량 축소를 꾀해야 하며, 통합적 문 법 교육 실현을 위한 학습활동의 예를 교수?학습 차원에서 구성해 보았다. 본고는 <국어 Ⅰ,Ⅱ>교과서 문법 영역의 단원 분석과 통합적 문법 교육의 실현을 위한 교과서 구성 방안을 연구해 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기에 그 효과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 지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대한 논의는 후속 과제로 남기도록 하겠다.

      • 높임 표현의 통합적 국어 교육 방안 연구 –듣기·말하기와의 영역 간 통합을 중심으로

        정윤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4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the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are being used in the field for the purpose of meeting the goal of ‘enhancing the abilities to use Korean language,’ which is also the 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le focusing on the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ies for the integr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honorifics in the domain of grammar and the domains of listening and speaking. To meet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classes while taking the applications in real life scenarios into account, rather than the previous learning/teaching methods focused on the transfer of knowledge. Especially, grammar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ound to be limited to mere test of knowledge and memory for the sake of evaluation.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help the student realize that the knowledge in Korean language that they learn at school is not only for the sake of tests but to help them in real life. The integrated education which has been introduced under this context is to focus on ‘the transfer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by learners, who are assisted to obtain the abilities to solve real-life problems utilizing the knowledge that they learned from their school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strategie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gramma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 85 -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set the honorifics as one of the examples. Honorific expressions are a grammatical element that can be used in conversational situ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it with the domains of listening and speaking. By analyzing the revised 2015 curriculum and text books, the researcher learned that, while honorifics are frequently used by Korean speakers, they were not established as a separated content element. Instead, it was classified as one of grammatical elements, which limited th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utilize their knowledge. For thi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it could be integrated along with language manners among the content elements for listening and speaking to form class sessions. Further, the researcher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integrated Korean language classes utilizing honorific expressions in listening and speaking situations. With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reality and limitations in classroom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trategies for the honorifics in Korean language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made suggestions on the strategies for integrated grammar educations for honorifics in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highlighted the fact that honorifics, which reflected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have been neglected and, instead of blindly criticizing that they were not successfully implemen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awareness and experience of teachers about integrated education and honorifics, providing realistic directions for integr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honorifics. 본 연구는 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국어 사용 능력 신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장에서 다뤄지고 있는 통합적 국어 교육의 실태와 한계를 파악하고 그중에서도 문법 영역의 높임 표현과 듣기·말하기의 통합 가능성 탐색에 중점을 둔 연구이다. 국어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식 습득 위주의 교수·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실생활에의 적용을 염두에 두고 수업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어교육에서의 문법 교육은 평가를 위한 단순 암기의 지식 교육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서 배운 국어 지식이 더 이상 평가의 용도로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닌 실제 사용할 때 도움이 되는 지식임을 경험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등장한 통합 교육은 학습자의 ‘지식의 전이 및 활용’을 초점으로 하고 학습자가 배운 지식을 적용하여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도록 도움을 주는 교육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국어 문법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먼저 통합 교육이 무엇인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것의 한 예로 문법 영역인 높임 표현을 설정하였다. 높임 표현은 담화적 상황에서 실현되는 경향이 강한 문법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듣기·말하기 영역과 통합 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2015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높임 표현이 국어 사용의 상황에서 빈번하게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단독 내용 요소로 설정된 것이 아니라, 문법 요소의 하나로서 설정되어 학습자가 배운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적다는 것을 포착하였다. 이를 위해 듣기·말하기 영역의 내용 요소에서 언어 예절과 통합하여 수업을 구성할 수 있다고 보았고, 더 나아가 듣기·말하기의 상황에서 높임표현을 활용하여 통합적 국어 수업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높임 표현의 통합적 국어 교육 방안을 제언하기 위하여 교육현장의 현실적인 여건과 한계를 설문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해 알아보고 높임표현의 통합적 문법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두 가지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의 특질을 반영하는 높임 표현이 교육적으로 등한시 되었다는 점을 역설하고 현장에서 이를 제대로 실현하지 못한다는 점을 무조건적으로 비판하기보다는 통합 교육 및 높임 표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구체적으로 조사함으로써 현실적으로 높임 표현의 통합적 국어 교육이 가능한 방향성을 제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텍스트 중심 통합적 문법교육의 실행 방안 연구 : ‘문법 요소’의 내용 범주를 중심으로

        성선영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3439

        이 연구는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매개로 한 통합적 교수-학습 방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소통적 관점이란 문법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면서 기존의 문법교육의 내용 요소를 텍스트를 통해 교육하고자 하는 관점이다. 소통적 관점을 실현하기 위한 매개체로 텍스트를 선정한 이유는 텍스트가 ‘소통’이라는 점을 잘 실현할 수 있는 매개체라고 파악했기 때문이다. 즉 소통적 관점으로 텍스트 중심 통합적 문법교육을 실행한다는 것은 텍스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법을 탐구하고 국어 활동과 통합 가능하다. 더불어 문법교육에서 텍스트를 활용하는 일은 빈번하지만 텍스트를 매개로 국어 활동과의 통합을 이루고자 한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일반적으로 문법이란 어떠한 맥락 속에서 다른 국어적 요소와 상호작용하여 의사소통을 위한 의미를 형성하도록 도움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문법이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드러내 주는 것이 바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텍스트란 텍스트 본연이 갖고 있는 내용 맥락과 함께 의사소통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 맥락, 그리고 이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 아래에서 의사소통의 기능을 하는 소통 매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통을 중심에 두고 문법을 교수-학습하는 것은 국어 기능 영역의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학과의 관계성을 드러내는 교육과 함께 타 영역과의 연계성을 드러내는 문법교육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관계성은 더 나아가 총체성에 이르러 학습자에게 문법에 관한 지식을 알려줌과 동시에 문법 외의 다른 국어 기능 영역도 교수-학습 가능해진다. 이는 학습자가 국어 생활이 단지 국어라는 한 영역 내에 한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삶 자체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임을 깨우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 중심 통합적 문법 교육을 통해 문법 지식이 국어 활동에 있어서 기저 지식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 교육 방법이라는 점을 교수-학습 과정안을 통해 실현하였다. 학습자 입장에서는 문법 지식과 국어 활동의 내용 요소를 완벽하게 습득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법교육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텍스트 중심의 통합적 문법 교육이 활발하게 연구되어 발전한다면 다양한 교과와의 협의를 통해 범교과적으로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을 행하여 텍스트를 삶을 반영하는 매개체로 교수-학습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grammar eduction from the communicative perspective and to find a text-based teaching-learning method to realize this communicative perspective effectively. Communicative perspective is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grammar education and to educate content elements of existing grammar education, based on a text. Why text was chosen to realize the communicative perspective is it was thought that this was a medium to realize 'communication' well. In other words, text-based integrative grammar education has significance, since this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grammar which is markedly revealed in a text and can be integrated with Korean language activities. Moreo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o by putting effort into integrating grammar education with Korean language activities through a text, although it is frequent that text is used in grammar education. In general, grammar is to help in forming a meaning for communication by interacting with other elements of Korean language in some context. 'Text' displays that grammar is interacting in this context. Text is a medium for communic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tent context that text originally has, the situational context that communication is directly made,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is. Therefore, teaching and learning grammar focusing on communication facilitates not only education to reveal the relationship with hear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language function domain but also grammar education to reveal the connection with other domains. Furthermore, this relationship delivers knowledge about grammar to leaners comprehensively and facilitates teaching-learning of other Korean language function domains in addition to grammar. This helps leaners realize that Korean language life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e in life, not only being limited to Korean language domains. For this, in this research, text-based integrative grammar education was implemented as a method of education to show that grammatical knowledge serves as base knowledge in Korean language activities, through a teaching-learning plan. Maybe, this grammar education would be hard for learners, since they should acquire grammatical knowledge and content elements of Korean language activities perfectly. However,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cross-curricular text-based education through discussion with various subjects and teach and learn a text as a medium to reflect life, if text-based integrative grammar education is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 통합적 문법 교육 관점의 반영 양상에 대한 연구

        김새빛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439

        본 연구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 신장을 지향하는 이론적 문법 교육 관점인 ‘통합적 문법 교육’의 반영 양상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국어 교육 안에서의 문법 교육은 기본적으로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 신장과 관련된 교육관을 견지한다. 이처럼 국어 사용을 강조하는 관점에서는 문법을 방법적 지식으로 강조하는 만큼 다양한 국어 활동들과의 ‘통합 교육’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문법 교육’과 ‘통합 교육’을 핵심어로, 문법 교육의 ‘목표-내용-방법’ 등에 대한 관점의 교육과정상 통시적 변화 양상을 확인한 후,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문법 교육관의 공시적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제1차~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까지의 ‘목표-내용-방법’ 등에 반영된 문법 교육관의 변천 과정을 살펴본 결과, 제4차 국어과 교육과정까지는 국어 사용의 기능 신장을 지향하는 국어 교육이 일관되게 구조주의 철학을 배경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독자적 관점’이든 ‘통합적 관점’이든 문법 교육관에 대한 고려가 큰 의미가 없었음을 확인했다. 하지만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이르러 기능 영역을 바라보는 관점이 의미 구성 과정과 문제 해결 전략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구조주의 관점의 문법 교육과는 그 결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제6차~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까지 ‘문법’의 실질적 교육 내용은 ‘독자적 관점’의 교육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함으로써 기능과 문법 영역의 정체성 차이가 더욱 확연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기에 제6차 국어과 교육과정부터 목표 중심의 통합 교육을 꾀했으나 관점이 다른 국어과 영역 간의 매개가 부재한 상태에서 유기적인 목표 통합을 이루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였다.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담화·텍스트에 대한 기능주의 관점을 드러낸 문법 성취기준들이 나타나면서 ‘통합적 문법 교육’ 관점에서 해석되는 맥락과 문법을 밀접하게 연계하려는 시도를 확인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시도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부터 다소 정책상의 성격을 지닌 선택 과목 통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적으로 발전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이르러서는 구조주의와 기능주의 관점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루고 있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따른 몇몇 교과서에서는 담화·텍스트 중심으로 언어 형식의 기능을 의미 있게 부각한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후의 국어 사용의 기능을 강조하는 문법 교육은 국어 사용이 진공 속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만큼 맥락 혹은 담화·텍스트를 어떤 관점에서 받아들이고 어떻게 활용할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이러한 연구는 문법 교육의 ‘목표-내용-방법’ 등에 관한 관점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반영 양상을 통시적·공시적 시각에서 분석함으로써 국어 사용과 연계된 문법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숙고케 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