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신비밀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허원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새로운 통신수단의 보급은 ‘양날의 칼’과도 같았다. 먼 거리에 있는 당사자들에게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었지만, 동시에 이를 이용한 범죄를 양산(量産)하는 문제를 낳았다. 수사기관은 이러한 범죄를 억제하고자 기술적 수사기법으로 도청을 활용하기 시작하였으나, 도청의 은밀성에 현혹된 국가기관들은 이를 이용한 불법행위를 일삼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규제는 우리 형사소송법에 근거가 없어, 헌법상 기본권인 통신비밀의 보호는 요원(遙遠)하였다. 이러한 규범적 요청에 대한 입법적 대처로 1993. 12. 27. 「통신비밀보호법」이 제정되었으나, 잔존하는 문제점들로 인하여 2014년까지 20여 차례의 개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혁에도 불구하고, 통신비밀보호법에 대한 개정요구는 현재진행형이며, 급격한 통신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도전도 받고 있다. 당면한 문제들에 대하여, 통신비밀보호법은 공익을 위한 감청의 필요성과 이로 인하여 침해될 수 있는 헌법상의 기본권이 조화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19대 국회에 제출된 통신비밀보호법 전부 및 일부개정 법률안을 살펴보고, 허가요건 및 절차의 강화, 감청의 총연장기간 제한, 긴급감청 폐지, 통지제도 개선, 위치정보추적자료의 제공요청, 전기통신사업자의 감청장비 구비의무, 통신 및 대화내용 공개에 대한 위법성조각사유 신설 등 7가지의 주요한 쟁점을 선별·검토하였다. 또한 통신환경의 변화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새로운 문제점을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문제가 표출된 최근 ‘카카오톡(Kakaotalk)' 논란과 패킷감청 허용문제를 검토하였다. 이상의 쟁점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정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감청제도 자체에 관해서는, 감청의 허가요건과 절차를 강화하고 있는 안은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이었으나, 허가절차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그리고 긴급감청의 문제점은 재긴급감청을 제한하는 등의 개선책으로 해결되어야지, 폐지할 것은 아니다. 또한 통지제도에서는 통지시기를 개선하는 방향은 바람직하고, 통지유예 제도도 역시 폐지보다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향이 옳다. 개정안에는 없으나, 통지의 상대방에 관한 규정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감청제도 자체 외에 정책적인 판단이 요구되는 부분에서, 먼저 전기통신사업자에게 감청장비 구비의무를 부여하여 휴대전화에 대한 감청을 허용하는 안은 감청제도의 운용현실과 개정안 자체의 문제점을 고려하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또한 위치정보추적자료의 제공요청이 감청에 준하여 규율될 수도 없다. 그리고 통신내용 공개행위에 대한 위법성조각사유를 신설한다면, ‘취득의 적법성’, ‘진실성’, ‘중대한 공익성’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통신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쟁점은 최신 통신매체의 특성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매체들을 통한 통신내용은 휘발성이 약하기 때문에 실시간 감시의 필요성은 낮아지고 있는 반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상대방의 증가로 제3자의 사생활의 침해 위험은 오히려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카카오톡(Kakaotalk)' 논란도 표면적으로는 해석상 문제였으나, 근본적으로는 새로운 통신수단에 대한 감청을 허용할 것인가의 문제이며, 이로 인하여 침해되는 기본권 보호가 문제되는 것이다. 앞으로의 입법에서 이러한 점들이 반영되어야 하며, 패킷감청은 여기에 더하여 감청 집행단계에서 대상과 범위의 특정에 기술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 당분간 패킷감청은 접어두어야 할 것이다.

      • 통신비밀의 보호와 제한에 대한 헌법적 고찰 : 감청을 중심으로

        김나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Protection and Restriction on Communication Secrets - Focused on the Wiretapping - While the nation has gone through a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information from many diverse fields is collecting, exchanging and affecting our daily lives much in various ways. Under these circumstances, a term which is call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ecame general. Especially in these days, the popularization of telephone and Internet caus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upheaval, and electronic devices like smart-phone and mobile computing atmosphere lead its explosive changes once again.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ciety, the number of newly evolved crimes are increasing and its techniques tend to became more diverse. Furthermore, a terrorism and serious levels of organized crimes are proliferating as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se days. Each nation provides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crimes or terrorism prevention; as seeking some kinds of legal mechanism that protect associated problems like privacy or personal information damages. Consequently, there are some new methods for the criminal investigation to handle prompt changes of social phenomena or its crime trends and the power or authority of investigation agencies tend to become more strengthen. However, all the state institutions cannot infringe upon its substance and cannot exceed the limit of restriction in the fundamental rights which are guaranteed to be in the Constitution. For these reasons, there should be some kind of sufficient control systems to prevent investigation agencies by abusing or misusing the criminal investigation methods and to guarantee th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moreover, those control systems should work practically and precisely. However, the underlay of maintenance law and a legislation system are not yet sufficient, active enough to improve. The wiretapping has been accepted by an inevitable method for criminal investigations or crime prevention when other methods are not qualified enough to use. Korea had conducted the extensive wiretapping for crime prevention or national security by intelligence agencies or investigation agencies without any clear legal basis or proper control systems.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s a law which created on a basis of unsavory experiences of our society happened in Analog Communication Era. The Act not only includes self-reflection on the illegal interception committed secretly but also considers practical demands for the necessity of wiretapping for the intelligence and criminal investigation for national interest. The wiretapping on the telecommunication has lawfully practiced following enactment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1994. However, now the Act needs to have an overall reappraisal because it still has anachronistic contents. Due to the evolving of technologies and its crucial reality, ensur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communications secrets getting harder and harder to protect as it i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This harsh fact is the current address of Korea, as known as `Digital Powered Nation'. A series of events happened in last two years, revealed specific loopholes in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mainly in regard of the Internet wiretapping. For instance, it does not only search and confiscate e-mail storage in a hard disk but also monitoring the Internet line in real time which is a new technique, so-called `Deep Packet Inspection', emerged as a serious and contradictory problem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was amended after all, then completed telecommunication followe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o find digital evidences. Moreov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also amended by including enhanced requirements of e-mail search and seizure. To sum up, all affairs and issue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argets and techniques of wiretapping are evolving from the traditional analogue methods to the digital environments. However, Korean legislation of law could not reflect this actuality to a real case. First, the existing of traditional wiretapping like an eavesdropping is reproducing its way; gradually tapping the Internet connection of a targeted line and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cooperation wholly conduct to inspect and collect all the information and recombine all the necessary information. Thus,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does not overcome an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analogue technology and the digital technology, which cannot be coped with the new digital technology environments. Secondly, under current control of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ts dichotomous structure of wiretapping and confiscation does not mean very much in the digital communications' era. The criteria of analogue division has become meaningless in the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because of its technical properties which makes no difference between the tapping and the confiscating. In addition,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data collected through wiretapping or search and confiscation under the non-volatile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other words, there are no essential differences about corresponding a discriminatory control on the digital communications via wiretapping and search and confiscation. However, identical legislation were applied to completely different digit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in the analogue communications' era and it can easily jeopardize the safety of the fundamental rights. Drastic changes in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emerging communication medium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NS) and web and mobile messaging services are obviously showing the limit of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herefore, the statutes should be urgently amended as a reflection of this convergence and integration era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ies. This treatise is primarily composed social issues and its legal factors to overcome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s defects in analogue environmental limits and properly reflected newly developed features of digital technologies. Especially,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changes which are mainly formed with the Internet like digital communications are mainly discussed. This may propose the measures to improve and apply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constitutionally under the constant developing technology environments.

      • 통신비밀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도·감청을 중심으로

        이정희 용인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를 달리고 있는 오늘날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일반인들의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으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러한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의 잘못된 이용으로 인한 피해사례를 우리는 언론매체를 통하여 종종 접하게 된다. 특히, 최근 ‘안기부 X파일사건’의 공개는 최근 가장 큰 사회적 문제로써 그동안 상인에 의해 자행되던 도, 감청관련문제들이 국가기관에 의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에 온 국민들을 경악하게 하였고 우리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통신의 자유가 유명무실한 것은 아닌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관련자 처벌은 가능한가라는 의구심을 갖게 하였다. 그렇다면 통신의 자유란 무엇인가? 통신의 자유란 말 그대로 통신을 자유롭게 이용하고 국가나 타인에 의해 그 비밀이 침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헌법 제17조에서 “모든 국민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침해받지 아니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권도 절대적 기본권은 아니므로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해 국가의 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취지에 따라 우리나라에선 1993년 12월 27일 법률 제4650호로 통신비밀보호법을 제정하였다. 1994년 6월부터 시행되어 온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의 당시 입법자는 한편으로는 범죄수사와 국가안보를 위한 정보 수집을 용이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합법적 요건을 갖추지 못한 도청을 금지하며 시민의 프라이버시를 제도적 틀 속에서 보호하려 한 것이었다. 그러나 법제정 이후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어 수차례 개정작업을 하게 되었고 지난 2005년 5월 26일 (법률 제7503호) 제11차 개정을 하였다. 이처럼 그동안 학계와 입법자들의 노력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기관과 사인에 의한 국민의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는 큰 효과를 보고 있지 못하다. 특히,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의 제정은 그 동안 형사소송법상 통신제한조치에 관한 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그 법적 근거와 그로 인한 기본권 침해문제의 커다란 논란을 이루게 되었는데 그 법적 근거를 마련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통신제한조치의 효율적인 통제를 통해 효과적이고 합헌적인 법으로서 통신제한조치를 자리매김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통신제한조치의 법적 규제에 관한 외국의 입법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의 통신제한조치에 대한 법적 규제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하여 현행 통신제한조치제도의 개선을 위한 형사법적인 대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Scientific technology in the twenty first century developed information technology(abbreviated as IT)as rapidly as it excels in our imagination. We often hear damages by wrong usage of such a developed IT through the media. Especially ' The X-files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released lately was the biggest social issue. All of people was astonished at the fact that a wiretap committed by merchants is being done by the national agency. So, people wondered if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guaranteed under the constitution is in name only and if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is guaranteed, the persons concerned are punished. So, what is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It means that we use communication freely and the secret isn't violated by the nation or others. It is prescribed in the article of 17 of the constitution that "All of peoples aren't violated the secret and freedom in private life". But this fundamental human right isn't an absolute one because it can be restricted when necessary by a law for keeping order for the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welfare according to the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By these reasons our country made the communication secrets protection law as No. 4650 of a law on Dec. 27, 1993. Legislators of the current 'the Communication Secrets Protection Law' which has being been in force since Jun. 1994 made this law in two respects. That is, one is to make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for the criminal investigation and the national security easy. The other is to restrict a wiretap which doesn't have legal conditions and tries to protect national privacy in the institutional frame. However, after the establishment of law, many problems appeared and it was revised many times. It was amended the eleventh times on May 26, 2005 (No. 7503 of Law). In spite of these efforts of academic circles and legislators all the while, the prevention for people's privacy was invaded by the national agency or an individual isn't getting good results. As there is no the regulation related to the restrictive measures for communication o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the serious disputation has been being between the legal grounds and the invasion of fundamental right, But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cation Secrets Protection Law served as a chance to provide the legal grounds. However, it is necessary that the study to define the restrictive measures for communication as the effective and constitutional forced criminal technique through the efficient control. Therefore, in this thesis after I looked into legislative examples related to the legal controls for the restrictive measures for communication in foreign countries and through that, by consider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legal controls on the restrictive measures for communication in our country, I'd like to help this search for the criminal alternative plans for improvement of the current restrictive measures for communication.

      • 통신비밀의 보호범위와 한계에 관한 헌법상 연구 : 통신비밀보호법을 중심으로

        이진구 성균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다변화된 현대 사회에서 통신비밀 및 개인정보의 보호 필요성에 더하여 이에 대한 통제의 필요성도 증가함에 따라 사회일반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그런데 통신비밀보호법, 전기통신사업법 등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제는 최근의 변화된 통신환경에 대한 대응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우리 통신비밀보호법은 1993년에 제정된 이래로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쳤음에도 그 핵심적인 내용에는 커다란 변화가 없어 전체적으로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통신비밀보호법제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변화된 통신환경 속에서 바람직한 통신비밀의 보호방안을 고민하였다. 이의 일환으로서 첨단과학기술사회, 정보사회에서 통신비밀을 포함한 사생활의 자유의 새로운 침해가능성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법제도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분류를 하고 난 다음에, 개개 법규정의 위헌 여부 및 다른 법규정들을 통한 보호가능성 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먼저, 오늘날 고도화된 지식정보사회에서 통신비밀보호의 문제를 개관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통신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인접분야의 기술적 발전은 통신비밀을 보다 비밀리에 침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어서 새로운 형태의 통신비밀 침해의 양태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변화와 기술적 발전에 대응한 통신비밀보호법제의 정비는 오늘날 당위적으로 요구되는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통신’ 및 ‘통신비밀’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는 등 통신비밀보호법제를 개선 및 정비해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어서 우리 헌법상 통신비밀보호의 근거와 구체적인 보호법제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와 관련이 있는 통신비밀의 의미와 법적 성격 그리고 보호연혁 등에 관련된 이론적 기초를 검토하였다. 우리 헌법상 통신비밀보호의 헌법적 근거와 구성에 대한 학계와 헌법재판소의 논의를 비교적 최근의 자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중요한 것은 ‘통신비밀의 한계와 제한’의 문제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기본권 제한이론의 연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신비밀을 둘러싼 제반환경이 격변하고 있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우리 헌법상 통신비밀의 자유를 제한함에 있어서 이를 정당화할 수 있는 기준을 재구축하는 작업은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본권 제한의 전통적인 법리를 면밀히 정리하여 정당화가 가능한 통신비밀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해당 요소와 그 양태에 대하여 형식적·내용상·실질적 기준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오늘날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문제와 관련하여 통신비밀의 보호문제에 있어서도 새로운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현행 법제상 통신비밀의 보호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법률들을 개관하고자 하였다. 즉, ‘통신의 비밀 불가침’ 혹은 ‘통신의 자유’의 보호영역은 「헌법」 제18조에 의하여 보장되고 있는데, 이러한 통신비밀의 불가침은 헌법뿐만이 아닌 「통신비밀보호법」 등과 같은 법률로 구체화되어 보호되고 있다. 다만, 통신의 비밀과 자유라는 기본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전파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국가보안법」, 「전기통신사업법」, 「통신비밀보호법」 등의 ‘법률로써’ 제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별 법률의 내용을 개관함으로써 우리 통신비밀보호법제의 현황을 전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통신비밀보호법제의 바람직한 개선방향에 대하여 고민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그동안 우리 통신비밀보호법제를 둘러싸고 부각되어 온 쟁점들과 실제 국회에서 이와 관련하여 제출되었던 제19대 국회에서의 다양한 개정법률안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통신비밀보호와 관련한 새로운 과제로서 개인정보보호법제와 통신비밀보호법제의 관계정립의 문제, 테러의 위협에 대비한 통신비밀제한의 문제 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향후 통신비밀보호법제의 개선을 위한 논의를 진행함에 있어서 일정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가장 최근의 개정논의들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결과들이라는 점에서 이 논문의 쟁점과 최근의 개정 논의가 내포하고 있는 주요내용들을 제시 및 분석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선방향에 관련한 나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통신비밀의 제한에 있어서 일반 원리라 할 수 있는 비례의 원칙과 목적구속의 원칙 그리고 적법절차의 원칙과 영장주의 등이 관계되는 문제들로서 통신비밀보호법제상 제한원리에 기반하여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에 대한 개정의견들 중 주요한 쟁점에 대한 나름의 판단을 제시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먼저, 과잉금지의 원칙과의 관계에서 기본권 제한에 관한 법률상 근거는 법치국가적 요구인 ‘규범명확성의 원칙’과 ‘목적구속의 원칙’에 일치해야만 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적법절차의 원칙 내지 영장주의의 관점에서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통신자료도 일종의 개인정보로서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상 개인정보의 이용과 보호에 관련된 원칙들에 따라 규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굳이 영장주의를 법문상 새롭게 도입하지 않더라도 이용자의 정보자기결정권을 적법하게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해석론적 관점에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해볼 수 있다는 것을 사견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감청설비의 도입과 관련한 문제와 국가안보영역에서 통신비밀보호의 문제 그리고 긴급통신제한조치의 문제 등에 관련된 법제정비 방향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을 중심으로 우리 헌법상 통신비밀의 보호범위와 한계의 문제를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최근 통신비밀보호법제는 사회적·기술적·법률적인 환경변화를 마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비밀보호법을 둘러싼 다양한 개정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은 이상의 연구내용에서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신비밀이라는 기본권을 보호하는 것과 이를 제한하는 문제에 대한 결론 도출이 쉽지 않음은 그 만큼 이 주제가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가 아무쪼록 향후 통신비밀보호법제의 정비에 있어서 하나의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기를 소망하는 바이다.

      • 통신의 자유와 영장주의에 대한 헌법상 연구

        한웅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today's highly develope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eed for information protection for communication secrecy is increasing more than ever.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collecting information is also increasing more than ever to cope with and prevent risk factors such as crimes manifested in various forms and motives and terrorist threats to the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order. This thesis aims to analyze whether laws such as the Current Communications Secret Protection Act and the Counterterrorism Act are functioning harmoniously between the two constitutional values above, and to suggest a constitutional-friendly system. In particular, as a procedure for the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it attempted to address the problem of the above communication secret legislation from the viewpoint of doctrine of warrants prescribed by the Constitution, and to present its own solution. To this end, the emphasis was placed on revealing the value of communication confidentiality, especially through relations with other liberal rights, based on the concept of confidentiality of communication and constitutional theory stipulated in Article 18 of the Constitutio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fidentiality of communication, which is based on the trust of individual communication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will continue to expand its scope of protection. In addition, it outlined the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system stipulated in Article 12, Paragraph 3 and Article 16 of the Constitution, and specifically dealt with the provisions and discussions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particular, since the warrants of seizure and search as an objective warrant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nfidentiality of communications, this section has been dealt with in detail compared to other types of warrants.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foreign cases for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nd warrantism were examined in a comparative manne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e reviewed the doctrine of warrants system,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due process in Article 4 of the Amendment, and looked for how warrantism has retreated and recover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terception laws and its development process. In the case of Germany, the relevant laws to which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is applied,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surveillance system under the German Criminal Procedure Act, were reviewed. Based on the theory of secrecy of communications and rule of warrant and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e solutions suggested are as follows. It was judged that it was inevitable to clarify and expand the legal interests and scope of protection for the confidentiality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confidentiality. In addition, in relation to information, the Constitution recognizes the right to make decisions about one's own information along with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 confidentiality, and therefore, in discussing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 confidentiality,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self-information should be dealt with from the viewpoint of strengthening. For this reas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Communication Confidentiality Protection Act", which are in the position of general law on personal information, was analyzed, and it was tried to enrich the discussion by comparing them with the German "Federal Data Protection Act". In addition, under the awareness that the doctrine of warrants must be strengthened for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 secrets in an information-knowledged society, an alternative to strengthening rule of warrant for criminal investigations and overall national security as well as communication devices under the 「Communication Secret Protection Act」 was proposed. Here, as a representative communication monitoring measure, the criticism of the 「Communication Confidentiality Protection Act」 for interception and confirmation of communication facts, as well as the notification of the period and target of the communication surveillance measure, presented an alternative from a constitutional-friendly perspective. In addition, for the 「Act on Terrorism Prevention」, to reinforce warrant requirement principle, we proposed measures to restrict communication for each suspect, and briefly suggested the committee and the National Assembly control measures for the control of the measures to restrict communication through this Act. 통신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에서 통신비밀보호의 필요성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형태와 동기에서 발현되는 범죄와 국가의 안보 및 공공의 질서에 위협이 되는 테러와 같은 위험요인에 대한 대처와 예방을 위해 정보수집의 필요성 역시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현행 「통신비밀보호법」,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등의 법률이 위 두 가지의 헌법적 가치 사이에서 조화롭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헌법친화적인 제도의 보완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국민의 기본권보호를 위한 절차로서 헌법이 규정한 영장주의의 관점에서 위 통신비밀법제에 내포되어 있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다루고 있다. 우선, 헌법 제18조가 규정하고 있는 통신비밀보호의 개념과 헌법상 이론을 바탕으로, 특히 다른 자유권과의 관계를 통해 통신비밀보호의 가치를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나아가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 의사소통의 신뢰를 본질로 하는 통신비밀보호가 앞으로도 그 보호범위를 확장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헌법 제12조 제3항과 제16조에서 규정된 영장제도를 개괄하면서, 구체적으로「형사소송법」 상의 규정과 논의를 다루었다. 특히, 대물적 영장으로서 압수 및 수색의 영장은 통신비밀보호와 긴밀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다른 영장의 종류에 비해 상세히 다루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통신비밀보호와 영장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외국의 사례를 비교법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미국의 경우 수정헌법 4조의 적법절차 논의를 중심으로 영장주의제도를 개괄해보고 정보수집 및 감청에 관한 법률과 그 발전과정을 통해 영장주의가 어떻게 후퇴하고 회복해 왔는지를 찾아보았다. 독일의 경우에도 독일「형사소송법」상의 통신감시제도를 비롯하여 영장주의가 적용되는 관련 법률을 검토하였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등장하는 새로운 문제들에 대응하면서 통신비밀보호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통신비밀보호가 추구하는 법익을 명확하게 하는 한편, 그 보호범위를 점차 확대해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통신비밀보호는 자유권의 보호와 매우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바 무엇보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의 관련성에 주목해야 한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헌법재판소에 의하여 기본권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법」을 통하여 그 구체적인 보호와 개인정보의 이용이 규율되고 있다. 정보통신사회에서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각종 개인정보들이 전송되고 수신되며 또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 및 공공의 기관에 수집 및 저장된다. 따라서 이러한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정보는 당연히 개인정보성을 인정받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통신비밀보호법」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통신제한조치를 하는 경우 대상자에 대한 통지를 강화하는 것과 영장주의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신기기에 포함된 데이터들은 개인정보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원거리에서 통신기기에 접속하여 통신기기에 담겨 있는 개인정보를 모니터링하는 행위에 대해서도 당연히 영장주의가 적용되어야 한다. 감청 또는 통신사실확인조치와 관련하여서도 그러한 조치의 내용, 범위, 기한, 통지 등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을 적용하여 규율해야 한다. 「테러방지법」과 관련하여서도 이러한 요청은 마찬가지이다. 영장주의의 헌법적 요청이 수용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통신제한조치의 통제를 위한 방안으로 국회 정보위원회에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보고하는 절차를 마련하는 방안, ‘국가테러대책위원회’에 민간전문가나 전문기관의 참여를 인정하고 그 독립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방안, 통신제한조치를 법원에 신청하는 경우에는 피의자별로 통신제한조치를 하는 방안, 감청의 대상자에게 그 사실을 통지하기 어려운 사유가 있다면 횟수의 제한을 두거나 기간의 제한을 두어 통지를 유예하도록 하는 방안 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 現行 通信秘密保護法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유효훈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Science technology, in particular,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radically developed in modern society. While the number of people using telephone, teletex, fax and PC(private computer) communicati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it resulted in development of devices which enables intrusion of personal lives. As more active protection of a personal life is required, i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of modern society. In particular, though bugging is considered to be illegal due to its' character of invading secrets of personal lives, for there is a possibility of utilizing it by the police to secure evidence of crime and preserve it, there are cases in which inspection using electronic surveillance is inevitable to effectively control crime which is gradually organized and complicated. If the government institution in charge of crime investigation and controlling is not allowed to use high-tech equipment in investigation of crime, it will place crime organizations which commit crime with high-tech equipment outside of criminal law coverage. However, if a institution in charge of investigation is permitted to use bugging inordinately, it contradicts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which guarantee the boundary of personal lives and the secret of communication. Therefore, a firm legal control on bugging is required. This study explores the Act on Protection of the Secrecy of Correspondence which focuses on these purpose and investigates the purpose of enactment, contents and correlation with the constitutional law. It also introduce foreign cases on protection of the secrecy of correspondence. In addition, this considers the present condition and issues of the existing regulation and make suggestions on the weak points of the existing Act on Protection of the Secrecy of Correspondence. Through these effort, this study wishes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Act on Protection of the Secrecy of Correspondence.

      • 탐정 입법화의 법제 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개별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률을 중심으로

        엄민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0

        Although the use of the term “detective” has been allow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redit Information Act, actual detective work is still limited. Thi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a detective system is being reviewed in Korea as part of discussions to address the blind spots of public power. COVID-19 has also affected the number of crimes. While face-to-face crime is declining, non-face-to-face crime is gradually increasing. In particular, non-face-to-face crimes such as messenger phishing and digital sex crimes are rapidly increasing.The delay in the legislative initiative of these detective laws and systems is leading to reckless and illegal crimes such as illegal secret agency operation, crimes that cause invasion of privacy, and misuse and ab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errand centers. 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detective law and system, restrictions and regulations on the scope and authority of the detective's activities are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mend each individual law. Detective legislation is essential to stipulate the work area and authority of detectives, personal information regulation, and enable practical operation of detective work. Through this, a usable system of public power can be established. In Korea, discussions are underway on legislation and operational plans for the criminal system. However, there are those who support the introduction of the detective system and those who oppose it. Opinions in favor of introducing a detective system emphasize the positive aspects tha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function for the police. This means that detectives can help in the search for missing persons or in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victims. Opposition to the criminal system, on the other hand, is concerned about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crimes such as invasion of privacy an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s the aspect of these crimes shifts from face-to-face crime to non-face-to-face crime, we are seeking ways to minimize the blind spots of traditional public power and effectively operate the detective system. Therefore, the scope of work and legal regulations of the detective must be clearly defin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Use of Location Information,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the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se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Detective laws and systems should be legislated in consideration of interactions with the law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탐정’이란 용어의 사용이 허용되었지만, 실질적인 탐정업무는 개인정보보호법 및 통신비밀보호법 등 개별법에 의해 여전히 제한되고 있다. 이는 공권력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논의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탐정제도의 도입과 운영이 검토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탐정 법과 제도의 입법 발의 지연으로 인해 불법적인 ‘흥신소’ 운영에서는 사생활 침해 등의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불법 심부름센터에서는 개인정보 오·남용과 같은 무분별하고 불법적인 범죄가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탐정 법과 제도를 마련하는 과정에서는 탐정의 활동 범위와 권한 등을 제한하고 규제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더욱이, 각각의 개별법을 개정하여 탐정제도에 적합하고 현실적인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탐정의 업무영역과 권한, 개인정보 등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마련하고, 탐정업무의 실질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탐정 입법화가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공권력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효과적으로 탐정제도를 운영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국내에서 탐정제도에 대한 입법화와 운영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탐정제도 도입을 찬성하는 입장과 반대하는 입장이 모두 존재하고 있다. 탐정제도 도입을 찬성하는 의견은 경찰의 보조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이는 실종자 수색이나 피해자의 권익 보호 등에 탐정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말한다. 한편, 탐정제도에 대한 반대 의견은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유출 등 2차 범죄의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범죄의 양상이 대면 범죄에서 비대면 범죄로 전환되면서 전통적인 공권력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탐정제도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탐정의 업무영역과 법적 규정을 명확히 정의하고, 개인정보보호법,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통신비밀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변호사법 등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독자적으로 탐정의 법과 제도를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 기본권 보장 강화를 위한 통신수사 개선방안 연구 : 통신비밀보호법 개정방향을 중심으로

        박상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가는 범죄수사를 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법적 근거 없이 국민의 사적인 영역에 침범해서는 안 되고, 통신자료 및 통신사실을 확인하는 등의 통신제한 조치를 실시할 경우에는 명확한 법 규정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국민의 기본권은 국가안전보장이나 질서유지 그리고 공공복리라는 이유로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지만, 어느 하나의 법익만을 실현하더라도 다른 법익들을 경시해서는 안 되며, 법익보호의 기능과 효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규범조화적인 해결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국민의 기본권 제한과 보호라는 법의 이중적 역할과 기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범죄수사를 하는 경우 통신제한조치는 범죄와 관련된 내용만 정확하게 감청대상으로 진행해야 한다. 물론, 범죄와 무관한 제3의 대상자 및 감청대상 범위 외의 통신제한조치는 사생활의 비밀침해라는 문제가 상존하기 때문에 범죄의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는데 일부분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또한 현재 통신제한조치는 특정 피의자의 특정 통신회선을 통해서 일정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모든 통신 내용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감청대상 통신수단이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감시대상 피의자뿐만 아니라 제3의 대상자의 통신내용들이 불필요하게 감청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주요 안보선진국가에서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제한을 위해 국가안보 및 공공복리를 위한 예외적인 경우를 상정하고, 원칙과 예외를 구분하여 명확하게 규정하는 등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연합(EU)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국제사이버범죄조약에서는 통신정보 보관지침에서 통신수사를 위해 통신데이터를 수집 및 보관하고 처리하고자 할 경우 즉, 보관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관할 기관의 처리절차와 요건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통신감청은 대표적으로 전기통신프라이버시법(ECPA), 해외정보감시법(FISA) 등에서 요건과 절차에 대한 원칙과 예외 규정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으며, 영국은 테러리즘법(TA)과 수사권한법(IPA), 독일은 G10법 및 연방형사청법(BKA), 일본은 범죄수사를 위한 통신감청에 관한 법률에서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즉, 미국, 독일, 영국 그리고 일본과 같이 주요 안보선진국가에서의 통신제한조치는 주로 일반형사범죄와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범죄를 구분하여 그 요건과 절차를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통신비밀보호법상 범죄수사를 위해 통신제한조치를 할 경우 기본권 보장과 제한이라는 한계 때문에 최근 헌법재판소에서 관련법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에 내려졌고, 개정법안이 현재 국회에 계류 중에 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문에서는 범죄수사상 통신제한조치를 할 경우 침해되는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일반적인 과잉금지 원칙의 기준과 범위 즉, 통신제한조치 목적의 정당성과 수단의 적합성, 침해의 최소성, 법익균형성 등의 요건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범죄수사라는 필수불가결한 국가의 역할 충족과 이로 인해 침해되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 강화를 위해서라도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을 통해 통신제한조치의 기준과 범위 방법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만 한다.

      • 通信秘密保護法上의 監聽에 관한 硏究

        노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87

        Each Country throughout the world needs to find a scientific investigation in case of a sophisticated crime. For example, 'The monitoring on Telecommunications Security Protection Act' which enables to make a scientific investigation was enacted in South Korea. The monitoring is an act that potentially infringes an one's fundamental right. Hence, I found the concept and legitimacy of a monitoring on a legal basis. In addition, I researched the problems of the present system and existing, then reforms. Most studies have been researched by investigating literature which is on a basis of analytical law methodology. It's true that the monitoring system is necessary to prevent crime, arrest criminals, execute penalties and so on. On the other hand, it always implies strong possibility to disturb one's freedom and right. Furthermore, it's much more serious that one doesn't perceive infringes his or her fundamental right about the telecommunications secr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need to perceive the current management objectively and find ways to reform its problems. It will contribute to prevention of one's freedom and right restriction if matter should occur from now on. Expecting a demand to reform the telecommunications security protection act, I anticipate taking an important role when we are discu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