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톨스토이 삶에 나타난 상실과 애도에 관한 정신분석적 탐색

        김선례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itial object relations of Tolstoy and how he mourned the loss of the object according to each period of his life.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explored psychoanalytically the loss and mourning in his lif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revealed that Tolstoy had difficulties in firmly establishing a good internal object due to his mother's death at 23 months, based on Melanie Klein's paranoid-schizoid position and depressive position theory. In other words, he could not cohesively integrate sex, love, and hatred against the object, and his initial object relations were broken or split by psychological stimuli such as separation or loss from his mother’s so early death.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loss and mourning according to each period of Tolstoy’s life, based on Klein's perspective in which the mourning is a process of restoring a good internal object which had been destroyed and lost in the infantile depressive position, as well as the person who has recently lost. His initial object relations, which were highly sensitive and vulnerable to separation or loss from the object, was found to have subsequently affected mourning of loss in his later life. The loss and mourning of each period of Tolstoy 's life were as follows. First, Tolstoy seems to have been able to resume the infantile development without serious developmental collapse through maternal care of the two surrogates, although he had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good internal object due to his mother's death in infancy. However, this implies difficulties in his successful mourning the loss of an object in his later life. Second, Tolstoy began to perceive himself as a poor orphan by the subsequent death of his father and grandmother in childhood. This seems to have been a reaction to mourning of his boyhood, in which he felt a sense of persecution from the outward as he regressed from the depressive position to the paranoid-schizoid position. Third, Tolstoy had to go through solitary adolescence in a strange place along with a new guardian, after the death of his aunt who was a guardian in childhood. Her death was the fourth loss he had experienced in his childhood. In adolescence he indulged in Emile and sex, and in youth he idealized Rousseau, indulged in gambling as well as sex, and completed three autobiographical novels(Childhood, Boyhood, Youth), which are all the mourning reaction of his adolescence and youth. The three novels in particular are the products of the reparation impulse that emerged in the process of mourning. He seems to have restored objects which he lost in his childhood and to have created a happy childhood in his three works. Fourth, Tolstoy seems to have mourned the objects which lost in his childhood in War and Peace and the two brothers who died in their youth in Anna Karenina, which he published in adulthood. War and Peace and Anna Karenina, the two great novels of Russian literature in the nineteenth century, are the products of a reparation impulse, like three autobiographical novels. In his two works, he attempted to restore the objects which he lost in his childhood and the two brothers who died in their youth. On the other hand, the fear of death that Tolstoy confronted at Arzamas after he finished War and Peace, and thereafter the depression that has been going on for over a decade until the completion of Anna Karenina seems to imply a spiritual crisis as well as a psychological crisis. It means the encounter with the divine what Bion calls O, and his depression over the next decade seems to have been a spiritual struggle to integrate and assimilate the encounter into his mind. Fifth, Tolstoy seems to have mourned the loss of his past life in A Confession and the loss of maternal icon in the Kreutzer Sonata. Both works were the product of a reparation impulse too, and he attempted to restore his past life and maternal icon in them. In particular, A Confession can be seen as the spiritual product that he integrated and assimilated the divine, O into his mind which he had experienced before. His conversion manifested in A Confession, represents the transient but transcendent achievement as a transcendent⋅spiritual experience, and his conversion experience seems to have brought him a transformation of life from a excellent novelist to a great thinker or a spiritual lead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children and adolescents mourn, they seem to mourn differently from adults. They try to preserve the lost object inside through fantasies and symbolic behaviors rather than leaving it. Second, they are able to mourn and leave the lost object only after a trial mourning in adolescence. In other words, a developmental and trial mourning takes places in adolescence which was naturally accompanied by leaving the loss of the past and the first love object in childhood. Third, mourning has an adaptive and creative aspect. The realization of the reparation impulse that emerges in the mourning process implies an opportunity for transformation of creative life through it. Finally, Tolstoy's life shows greatness and extraordinariness in that he not only achieved great literary achievement in spite of the loss and mourning, but he constantly struggled to embody the divine, O. 본 연구는 톨스토이의 초기 대상관계와 그의 생애 시기별 발생한 대상 상실을 그가 어떻게 애도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톨스토이의 삶에 나타난 상실과 애도를 정신분석적으로 고찰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Klein의 편집-분열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 이론에 기초하여 톨스토이의 초기 대상관계를 살펴본 결과, 톨스토이는 23개월에 발생한 어머니 죽음으로 내면에 좋은 내적 대상을 확고하게 확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톨스토이의 어머니 죽음은 대상에 대한 성, 사랑, 증오를 응집성 있게 통합하는 데 영향을 주어, 분리나 상실과 같은 심리적 자극에 의해 쉽게 균열되거나 분열되는 초기 대상관계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애도를, 최근에 상실한 사람과 함께 유아기 우울적 자리에서 파괴되고 상실된 좋은 내적 대상을 내면에 다시 회복해 내는 과정으로 본 Klein의 관점에서 톨스토이의 생애 시기별 발생한 상실과 애도를 살펴보았다. 대상과의 분리나 상실에 매우 민감하고 취약한 톨스토이의 초기 대상관계는 이후 그의 삶에서 발생한 상실을 애도해 내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톨스토이의 생애 시기별 상실과 애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첫째, 톨스토이는 유아기에 어머니의 죽음으로 좋은 내적 대상을 확고하게 확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두 대리모의 모성적 돌봄으로 심각한 발달적 붕괴 없이 유아기 발달을 재개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톨스토이가 이후 삶에서 대상 상실을 성공적으로 애도하는 데 어려움을 시사한다. 둘째, 톨스토이는 아동기에 아버지와 할머니의 연이은 죽음으로 자신을 가엾은 고아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아동기 애도 반응으로 톨스토이가 우울적 자리에서 편집-분열적 자리로 퇴행하여 외부 세계로부터 박해감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셋째, 톨스토이는 청소년기에 후견인이었던 고모의 죽음으로 새로운 후견인을 따라 낯선 곳에서 외로운 청소년기를 보냈다. 고모의 죽음은 톨스토이가 어린 시절 겪는 네 번째 죽음이었다. 톨스토이는 청소년기에 『에밀』과 성에 몰두하고, 청년기에는 루소를 이상화하고 성뿐만 아니라 도박에 탐닉하며 자전소설 삼부작(『유년시절』, 『소년시절』, 『청년시절』)을 완성했다. 이것은 톨스토이의 청소년기와 청년기 애도 반응이다. 자전소설 삼부작은 애도 과정에서 출현한 보상충동의 산물로서, 톨스토이는 세 작품 속에서 자신이 어린 시절 상실한 대상들을 복원하여 행복한 어린 시절을 창조했다. 넷째, 톨스토이는 성인기에 발표한 『전쟁과 평화』에서는 어린 시절 상실한 대상들을, 『안나 카레니나』에서는 젊은 시절 세상을 떠난 두 형의 죽음을 애도한 것으로 보인다. 자전소설 삼부작과 마찬가지로,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전쟁과 평화』와 『안나 카레니나』는 보상충동의 산물로서, 톨스토이는 이 두 작품에서 어린 시절 상실한 대상들과 젊은 시절 세상을 떠난 두 형을 회복해 내고자 시도했다. 한편, 『전쟁과 평화』를 완성하고 떠난 여행지 아르자마스에서 톨스토이가 직면한 죽음의 공포와 그 이후 『안나 카레니나』를 완간할 때까지 십여 년간 톨스토이가 겪은 우울증은 심리적 위기뿐만 아니라 영적인 위기를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톨스토이가 아르자마스에서 직면한 죽음의 공포는 Bion의 용어로 O, 즉 신성과의 만남을 의미하며, 이후 십여 년간 톨스토이가 겪은 우울증은 그 만남을 그의 정신 안으로 통합시키고 동화시키려는 영적인 분투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톨스토이는 노년기에 발표한 『참회록』에서 자신의 지나온 삶을, 『크로이체르 소나타』에서는 모성 상의 상실을 애도한 것으로 보여진다. 『참회록』과 『크로이체르 소나타』 두 작품은 보상충동의 산물로서, 톨스토이는 두 작품에서 자신의 지나온 삶과 모성 상을 회복해 내고자 시도했다. 특히, 『참회록』은 톨스토이가 경험한 O를 그의 정신 안으로 통합시키고 동화시킨 영적인 산물로 볼 수 있다. 『참회록』 속에 나타난 톨스토이의 회심은 초월적ᆞ⋅영적 경험으로 일시적이지만 초월성의 성취를 나타내며, 그 경험은 톨스토이에게 소설가에서 사상가 또는 영적 지도자로 삶의 변형을 가져다준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교육과 상담 분야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아동과 청소년의 애도는 성인의 애도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아동과 청소년들은 대상을 떠나 보내기 보다는 오히려 대상을 환상과 상징적 행위를 통해 내면에 보존하려고 애쓴다. 두 번째는 대상을 떠나 보내는 애도는 청소년기에 시험적 애도가 이루어진 후에야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청소년기는 어린 시절과 최초의 사랑 대상에 대한 상실을 자연스럽게 동반하기 때문에 발달적으로 시험적 애도가 이루어진다. 세 번째는 애도가 지닌 적응적이고 창조적인 측면이다. 애도 과정에서 출현하는 보상충동의 실현은 창조적 삶의 변형을 위한 기회로써 애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끝으로 톨스토이의 삶이 보여주는 위대함과 비범함이다. 톨스토이는 상실과 애도의 삶 속에서 위대한 문학적 성취를 이루어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불우한 삶에 찾아온 O, 즉 신성을 구현하고자 끊임없이 고군분투했다. 노년의 그의 영적 삶은 그러한 추구를 여실히 보여준다.

      • 톨스토이의 자유교육 사상 연구

        양수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19세기 러시아를 대표하는 지성이자 세계적인 문학가 톨스토이의 삶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인류애의 실천’이다. 그는 다량의 문학작품을 통해 인류에게 가치 있는 예술적 자산을 남김과 동시에, 학교를 설립하고 교육 활동을 전개하여 민중을 자유로 이끄는 교육가로서의 삶을 살았다. 그는 전형적인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넓은 영지를 상속받았으며 평생토록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지식인의 양심을다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며 민중의 ‘자유’ 획득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실천해 나갔다. 이러한 그의 행보는 당시 러시아의 시대적 상황과 관련이 깊다. 로마노프 왕조의 후반기에 해당하던 19세기 러시아는 전제정치로 인한 민중들의 불만이 최고조에 이르렀으며 계급적 모순을 타파하기 위한 노력과 근대화의 물결이 함께하던 변혁 의 시기였다. 톨스토이는 이러한 시류 속에서 진정한 삶의 자유가 사라진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자신이 원하는 이상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교육의 패러다임이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그는 어렸을 적 경험했던 강압적인 가정교사의 교육에 대해 회고하는 글을 자전적 소설로 풀어내기도 했으며, 대학 시절에는 자유가 억압된 대학의 분위기에 비판을 서슴지 않으며 대학을 중퇴하기도 하였다. 당시 러시아는 유럽의 문화를섬기는 문화 사대주의가 교육에까지 만연하여 프랑스어 교육에 열을 올리거나 독일식 교육방법을 그대로 도입하는 등 교육에서의 자주성을 찾아보기 어려웠고, 교육의 내용과 방법 또한 억압적이고 강제적인 측면이 많아 교육이 자유로운 인격 형성에 기여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또한, 국교였던 러시아 정교회는 권력과 결탁하여 민중을 지배계급의 입장에 유리하게끔 교화시키려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러시아 국민 그 누구도 진정으로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지 못했으며, 톨스토이는 이와 같은 상황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톨스토이는 러시아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아이디어를 ‘자연주의’와 ‘자유주의’ 사상으로부터 얻었다.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핵심은 태초에 자유로웠던 인간의 본성을 지켜주기 위해 일체의 인위를 부정하고 학습자의 성장발달에 맞 는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다. 자유주의 사상의 핵심은 ‘자율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합리적 이성을 가진 개개인의 자유 의지가 억압되지 않고 보장받는 것이다. 톨스토이가 보기에 19세기 러시아에서 행해지는 교육 대부분은 아동의 발달과정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험이 아닌 이론 위주의 지식전달에 치우쳐 민중들의삶을 자유롭게 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개선하고자 그는 자 연법칙에 따른 인간의 성장과 자유로운 인간 정신의 발현을 돕는 교육 활동을 전개해 나가게 된다. 톨스토이는 자유로운 인간 형성을 목표로 자신만의 교육관을 정립하였고 이를토대로 학교를 설립하고 교과서를 집필하는 등 자신의 교육적 이상을 실천해 나갔다. 그가 생각한 자유교육의 핵심은 다음의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민중의 자유를 위한 교육이다. 그는 소박하고 근면한 삶을 사는 민중이야말로 진리추구에 적합한 대상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생각에 힘입어 국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농민을 위해 학교를 세우고 교육을 실천하였다. 당시 농민들의 교육상황은 열악하여 제대로 읽고 쓰는 것조차 배우기가 힘들었다. 교육기관에 다닌다 하더라도 지배계급의 논리에 맞는 내용을 전달받는 것에 그쳤던 현실을 고려해 본다면, 톨스토이의 교육적 실천은 대단히 의미 있는 것이었다. 두 번째, 일상 속 자유를 위한 교육이다. 그는 민중들이 실제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삶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되기를 바랐다. 그는 삶의 ‘일상성’에 주목하여 현실의 삶에서 진정한 자유의 의미를 경험하는 교육을 했다. 그 과정에서 학교는 삶을 연습하는 공간이 되어 개개인이 마주한 삶의 모순과 갈등을 실험적으로 해결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삶이 곧 교육이 되고 교육을 통해 삶이 나아지기를바랐던 톨스토이의 생각은 실제 삶을 윤택하게 하는 교육으로 실현되었다. 세 번째,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다. 톨스토이는 학교를 떠난 이후에도 개개인이 자유를 지켜나가기를 바랐고, 그러기 위해서 학습자 스스로 무언가를 배울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독서와 글쓰기를 자 기교육의 대표적인 2가지 방법으로 소개하며 자아 성찰적 삶의 태도가 갖는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그는 삶의 자유를 지켜내는 노력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때 진정한 영혼의 해방을 누릴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있었고, 자기교육을 통한자유의 실현을 자유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생각하였다. 네 번째, 창조적 영감을 길러주는 교육이다. 그는 교육만이 가지는 특별한 기능을 인간의 창조성 함양이라고 보았다. 남들과는 다른 생각으로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는 선구자적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야말로 동물의 사육이나 여타의 훈련과는 다 른 교육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톨스토이는 인간의 창조성을 극대화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육의 방법으로 예술교육을 꼽았으며, 예술을 통한 개성의 표현과 자아의 발견을 창조교육의 결정체로 여겼다. 톨스토이 자유교육의 마지막 핵심은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교육이다. 톨스토이는 인간이 진정으로 자유롭기 위해서는 영적인 자유, 즉 영혼의 자유를 획득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돕는 것이 신앙이며 교육을 통해 참된 신앙과 진리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가 가진 교육사상의 기저를 이루고 있었다. 실제 톨스토이는 성서를 재구성하여『톨스토이 바이블』이라는 책을 편찬하였고, 기성교회의 성서해석을 비판하며 진실된 삶으로 향하는 방법을 대중에게 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톨스토이의 교육사상은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 그가 세운 톨스토이 학교에서 실현되었다. 톨스토이는 자신의 영지에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자유교육의 이상을 실천하였으며 그 명맥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러시아 전 역에 100여 개 이상의 톨스토이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톨스토이 학교의 교육목적은 자유로운 영혼의 신장에 있었다. 따라서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의 선정도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다. 그는 교육받는 과정에서 교육목적이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것을 가장 이상적으로 보았으며 형식적으로 교육을 옭아매는 일체의 규율이나 규칙에서 최대한 벗어나고자 하였다. 학교에는 교과서도 시간표도 지정된 자리도 없었다는 톨스토이의 기록과 학교의 현판이 ‘마음대로 오고 가기’였다는 사실은 톨스토이 학교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교육의 목적 에 대해서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톨스토이 학교의 교육 내용은 미리 정해지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았으며 학생의요구와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정되기도 하였다. 톨스토이 학교가 지닌 교육 내용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의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 번째, 톨스토이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 실제적인 내용을가르쳤다. 그는 자신의 저서 『인생의 길』에서 교육 전반에 대한 주의사항을 언급하며 학생에게 명제나 규칙 등을 제시하여 학습의 흥미를 떨어뜨리거나 학생의 삶 과 관련 없는 일체의 내용을 가르치는 것을 피하라고 말한다.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원리보다는 구체적인 사례와 실제 활동들이 학생들에게 더욱 유의미하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교육 내용에 대한 관심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예술과 관련된 교과를 중시하여 미술, 음악, 시 등을 교육과정에서 상당히 비중 있게 다루었다. 톨스토이는 예술교육을 통해 인간이 가진 고유의 창조성을 계발하는 교육에 관심이 많았으며 특정계층만이 누릴 수 있었던 문화예술의 경험을 일반 민중에게까지 전하고 싶어 했다. 이러한 이유로 예술교육의 방법과 주제를 자유롭게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교육하였으며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그림 그리기와 작곡 활동을 장려하여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창작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세 번째, 교육에서 성경의 내용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톨스토이 학교에서는 성서를 공부하는 시간이 따로 정해져 있었으며, 다른 과목들은 통합적으로 가르쳐진 데비하여 종교와 성경에 관련한 부분은 독자적으로 가르쳐졌다. 실제 톨스토이가 집필한 교과서에서는 성경의 내용을 비롯한 기독교 정착의 역사와 교회 관련 내용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것들을 읽고 쓰는 교육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톨스토이가 교육의 목적으로 생각한 자유의 궁극적인 형태가 영적인 자유였음을 상기시키는 동시에 톨스토이 세계관의 중요한 기저를 차지했던 신앙이 교육의 내용에도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톨스토이는 자신의 교육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문학작품 쓰기와 독서, 노동(노작)을 강조했다. 각각의 방법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톨스토이에게 작품을 창작한다는 것은 일상의 경험을 예술로 승화 시키는 활동이었다. 일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이 느꼈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무한한 가능성을 얻게 된다. 자신의 언어로 세상과 소통하며 글을 쓴다는 것은 학생들의 순수함과 진정성을 세상에 알릴 기회이기도 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체의 형식이나 규율에 얽매이지 않는 것이 핵심이었다. 톨스토이는 글쓰기 자체가 갖는 가치와 기능에 대하여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학생들이 더욱 풍부하고 자유로운 영혼을 갖춰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희망을 품 고 있었다. 두 번째는 교육방법은 독서이다. 그는 양질의 독서가 삶에서 갖는 영향력을 언급하며 다독보다는 정독을 통해 이성을 계발해 나가기를 권했다. 그는 민중의 계몽을위해 직접 문학작품을 창작하여 읽을거리를 생산하기도 하였으며 무비판적인 독서를 경계하고 양서를 읽음으로써 지적인 자유를 획득하기를 바랐다. 마지막 교육방법은 노동(노작)이다. 이것은 톨스토이가 자신의 교육관에 대한 사상적 배경을 루소의 ‘자연주의’에 두고 있는 것으로부터 기인한다. ‘자연주의’ 교육사상이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설정하고 있는 ‘자연인’의 모습이 현실에서는 땀 흘려 일하는 농민과 닮아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에게 ‘노동’은 인간을 행복하게해주는 가장 단순하고도 자연스러운 방법이었다. 학생들에게 노동이 주는 숭고한경험의 기회를 배제하고 있던 당시의 교육 정책을 비판하며 톨스토이는 노동을 통해 자유에 대해 탐구할 수 있는 장을 열어주었다.

      • 톨스토이의 초기 일기 연구 : 1847년 부터 - 1856년까지

        정한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톨스토이는 자신이 살던 당대에서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작가이자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톨스토이의 문학과 그 사상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이 다루어졌고, 이러한 연구들은 그 의미와 가치를 충분히 획득하였다. 톨스토이의 작품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칠 수 있게 된 톨스토이의 글쓰기 시작은 언제였으며 어디서부터인가? 톨스토이의 일기는 이에 대한 해답을 준다. 톨스토이는 창작활동을 시작하기 전 1847년 18세부터 카잔의 한 병실에서 일기를 쓰기 시작하여 이미 위대한 작가가 된 후에도 그리고 죽기 직전인 1910년까지 60여년이 넘는 세월동안 내내 일기를 썼다. 톨스토이의 일기는 일상의 기록일 뿐 만 아니라 자기완성을 위한 실험실이었고, 문학적인 글쓰기를 위한 실습장이었으며, 자신의 정신적 세계를 규명하고 사상을 발전시켜 나가는 일종의 공간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톨스토이의 일기 중 1847년에서 1856년까지의 초기 일기를 중심으로 초기 일기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고 비교하고 종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톨스토이 전체 일기를 일기의 연속성을 기준으로 하여 초기와 중기 그리고 후기로 나누었다. 초기 일기는 톨스토이가 군대에 입대하기 전과 입대 한 후 급격한 변화가 나타난다. 군대에 들어가기 전 일기는 단 한 사람 톨스토이 자신에 집중되어있다. 자기 자신의 내적인 상태를 분석하고 자신을 통제하기 위해 규칙을 제정한다. 또한 생활을 정리하기 위해 계획표를 짜고, 도덕적인 자기완성을 위해 프랭클린 일지를 쓴다. 이러한 일기의 형식과 내용은 형을 따라 카프카스로 이동하여 군대에 입대하면서 변화가 시작된다. 자기 자신에 집중되어 있던 일기는 이제 외부세계를 향하게 된다. 주변 사람과 사건 그리고 풍경에 대한 묘사가 시작되고, 외부세계와 읽은 책에 대한 인상과 느낌이 기록되기 시작한다. 무엇보다도 군대에 들어간 후 일기에는 톨스토이 창작 활동의 시작을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일기에는 톨스토이가 어떻게 창작 활동을 시작하는지 그 과정을 알 수 있고 더불어 문학적인 기법과 문체에 대한 고민을 찾아 볼 수도 있다. 또한 그의 정신적이고 사상적인 세계가 어떻게 시작되고 발전되는 가를 볼 수 있다. 톨스토이의 일기를 이해하는 것은 인간 톨스토이와 그의 작품을 이해하는 가장 기본적인 과정이 되어야 하고 특히 톨스토이의 초기 일기는 젊은 톨스토이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Лев Николаевич Толстой – один из величайших русских писателей и мыслителей. Его деятельность оказала влияние на людей того поколения и продолжает оказывать влияние в наши дни. Произведения Л.Н. Толстого и его философия много раз становились объектом исследований, которые впоследствии подтвердили свою значимость и ценность. Однако где и когда берет свое начало творчество Л.Н.Толстого, повлиявшее на множество людей во всем мире? Ответ на этот вопрос мы можем найти в его дневниках. Л.Н. начинает вести свои дневниковые записи еще до начала своей творческ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в 1847 году в больничной палате одной из больниц Казани и продолжает их до самой смерти, уже состоявшись как писатель, до 1910 года. Таким образом, Л.Н. вел дневники более 60 лет. В дневниках он писал не только о мелких повседневных происшествиях, но дневники были его лабораторией, где он работал над собой, его черновиками литературного творчества, местом, где развивалась его философия. Цель нашей работы – проанализировать, сравнить и обобщить форму и содержание дневников Л.Н. Толстого 1847-1856гг (далее дневники раннего периода). Для этого, прежде всего, все дневниковые записи нами были разделены на дневники раннего, среднего и позднего периода. Из дневников раннего периода мы видим, какие стремительные изменения произошли с автором после поступления на службу в армию. До службы Толстой был сосредоточен только на самом себе. Он анализировал свой внутренний мир, устанавливал правила для контроля над самим собой, составлял расписание, чтобы упорядочить свой образ жизни и вел дневник Франклина для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своего морального облика. Форма и содержание дневников меняются, когда Толстой едет по зову брата на Кавказ и поступает на военную службу. Теперь его записи перестают быть сосредоточенными только на нем самом и выходят во внешний мир. Он начинает писать о людях, которые его окружают, о событиях, появляются описания пейзажей, Толстой записывает свои впечатления и ощущения от внешнего мира и прочитанных книг. Именно в дневниках того периода мы видим начало творческ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писателя. В этот период Толстой размышляет над творческим процессом, техническими литературными приемами и стилем. А также в дневниках нашли отражение начало и развитие его духовного мира и философского мировоззрения. Понимание дневников Толстого – ключ к пониманию Толстого как человека, пониманию его произведений. Ранние же дневники Толстого позволяют понять молодого Толстого.

      • 톨스토이의『나의 신앙은 어디에 있는가?』연구 : 레프 톨스토이의 신앙론 해제

        홍창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금까지 톨스토이의 신앙에 관한 논제들을 하나씩 해제하면서 그의 신앙이 어떤 것인지, 나아가 그는 어떤 신앙을 참된 신앙이라고 생각했는지 파악해보았다. 톨스토이는 『나의 신앙』을 집필하면서 자기 신앙이 어떤 신앙인지 스스로 정리해보는 계기를 가졌고, 이 책으로써 일반 신앙인들에게 그리스도 가르침의 실천을 강조하고자 했다. 결국 톨스토이가 믿는 것은 예수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가르침이었음임을 알 수 있다. 톨스토이는 자신의 책 마지막 장에서 다음과 같이 쓴다. 나는 믿는다.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바로 이에 나의 신앙이 있다. 나는 믿는다. 모든 사람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천할 때, 오직 그때에만 이 땅에서의 나의 행복이 가능하리라는 것을. 나는 믿는다. 이 가르침이 쉽고 기쁘게 실천 가능하다는 것을. 나는 믿는다. 그 가르침이 실천될 때까지, 모두가 실천하지 않는 중에 내가 있더라도, 나에겐 여전히, 피할 수 없는 사망으로부터 나 자신의 구원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이 가르침을 실행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이는 마치 어떤 이에게 불타고 있는 집에서 구원의 문을 찾는 일 말고는 달리 어찌할 도리가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나는 믿는다. 세상의 가르침에 따르면 나의 삶은 고통스러울 것이며 그래서 오직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른 삶만이 내게 이 세상에서의 행복을, 생의 아버지가 나에게 숙명으로 예비한 그 복을 줄 것을. 나는 믿는다. 이 가르침이 온 인류에게 행복을 선사하고, 나를 필연적 사망에서 구원할 것을, 그리고 여기서 최고의 복을 줄 것을. 그래서 난 이를 실천하지 아니할 수 없다. (c.453) 필자는 논문의 서론에서 톨스토이가 『나의 신앙』을 쓰게 된 동기와 이 책의 의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톨스토이 자신에게도 이 책은 향후 종교적 작품세계에 대한 일종의 참고서로써 상당한 의의가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는 이 책으로 톨스토이가 생각한 영혼의 구원에 이르는 길을 가늠할 수 있고, 나아가 그의 신앙의 요체를 파악할 수 있다. 본론에서 다룬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톨스토이는 신약성경 복음서의 산상수훈 부분에서 자신의 기독론을 확립했음을 알 수 있었다. 기독론은 톨스토이의 신앙론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톨스토이의 모든 작품에서 나타나는 주제인 ‘악을 선으로 갚아라.’는 주장의 출처인 것이다. 그밖에도 이 부분에서 톨스토이는 그리스도의 5계명을 재해석하여, 이를테면 교회에 의해 의도적으로 마태복음 5장 22절에 삽입된 구절인 ‘이유 없이’와 같이, 그 허위의 부분을 제거한 진정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내놓았다. 둘째, 톨스토이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빛을 가리는 ‘교회의 가르침’을 폭로한다. 그는 믿음 중심 교의에 도전하여 실천 중심 교의로 회귀할 것을 제안하였고, 전혀 그리스도적이지 못한 교회의 여러 기만, 이를테면 교회의 의례적 측면들을 비판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톨스토이는 교회가 죽었다고 선언한다. 셋째, 톨스토이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대비되는 ‘세상의 가르침’도 파헤쳐 낸다. 그는 세속적 가치관을 물질관, 노동관, 국가관으로 분류하여, 그 그릇된 가치들을 이신론적 관점에 비추어, 세상의 의롭지 못함을 논리적으로 비판한다. 그러한 잘못된 가치관을 갖게 만든 인류의 죄의 근원을 톨스토이는 신학적 개념인 원죄에서 찾는데 이에 따른 죄들, 이를테면 전쟁과 사형을 하게 만드는 세상의 유혹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톨스토이는 결국 국가를 부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마지막으로, 톨스토이는 또 다른 기독교의 가르침인 내세론을 부정하고 ‘영생’, ‘천국’, ‘부활’ 등 기존 내세론의 신학적 관념들을 새롭게 해석한다. 다시 말해, 톨스토이는 내세를 인정하지 않았고 그가 말한 소위 영생이란 이 땅에서 신과 합일되는 삶이라고 주장했다. 지상에서의 신과의 합일이 바로 톨스토이가 생각한 구원의 길이었다. 이상 살펴본 대로 톨스토이는 『나의 신앙』에서 ‘세상’과 ‘교회’의 문제점을 비판해 인류가 나아갈 방향을 마치 선지자처럼 제시했다. 그가 예언한 세상은 현 시대에 이르러 더 현실화되었으며, 따라서 톨스토이의 주장은 오늘날 여전히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아직도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이들의 영혼에 도덕적 메시지를 전파하고 있는데, 실제로 그의 종교적 저작들이 지금도 탐독되고 있다는 사실은 그의 제언이 오늘날에도 유효함을 반증하는 것이다.

      • 톨스토이의 도덕관과 사랑관에 기반한 발레 <안나 카레니나> 연구

        한나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charact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allet movements in Christian Spuck's ballet Anna Karenina(2014) based on Tolstoy's viewpoint of love and moral sense inherent in the novel.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reviewed Tolstoy's life and creative world based on literature materials and examined his viewpoint of love and moral sense in the novel Anna Karenina. Love of characters in the ballet Anna Karenina was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olstoy's moral sense to estim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characters and examine their ballet movem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of the ballet Anna Karenina was based on the DVD of the performance by the National Ballet Company in November, 2017.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olstoy's viewpoint of love and moral sense inherent in the novel show that there were three types of love in terms of nature. They are love in pursuit of desire, devoted love, and ideal love. Tolstoy placed the greatest value in "ideal love" to control desire and love oneself and further others. In the novel, the author tried to convey a message through Levin that one should lead a good and nice life while thinking of death all the time. In the ballet Anna Karenina, the choreographer Spuck combined classical ballet movements with modern ones according to the original story line and stroke harmony between dramatic music and splendid costumes, embodying a dramatic ballet. In the ballet, there are three types of love. The first one is aesthetic love. Undergoing rapid psychological changes, the heroine Anna expresses her inner world including joy, sadness, and despair in her dance in detail. When she dances with her husband Karenin, she expresses her cold heart with firm and controlled movements. When she dances with Vronsky, she expresses the feelings of love with light and pleasant movements as if she became a little girl again. In scenes where she is overwhelmed with jealousy and obsession and in pain, she expresses her confused state inside in a concentrated manner. The second type is Dolly's devoted love. She is in pain due to Stiva's affair and has constant conflicts with her husband. Her dance reflects her sad and lonely feelings, and his dance reflects his pretense and bravado. In the scene where she forgives him, her pain of sublimating her sadness is melted in her dance. The last type is ideal love between Kitty and Levin. As Tolstoy's alter ego, Levin is a moral character that seeks after life values. The writer's messages are found in scenes where he cuts grass, dances in the country, and marries Kitty. The dances of the two characters show harmony between modern and classical movements and reflect their free and innocent nature not bound by the formality. Tolstoy is a writer of great literature representing Russia. Of his numerous works, Anna Karenina is considered as one of his three masterpieces and contains his thoughts and contemplation as a reborn thinker. Based on this work, Spuck's ballet Anna Karenina has the moral values that the writer sought after inherent in it and depicts the personalitie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characters vividly, presenting a ballet that feels like a play. This study on "Moral Love in the Ballet Anna Karenina" investigates Spuck's ballet Anna Karenina based on Tolstoy's moral standards. It adopts a methodology of combining the ballet with Tolstoy's literary work, holding semantic values to present a new viewpoint for the analysis of the ballet and applicative value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ballet. 본 연구는 크리스티안 슈푹의 발레 작품 <안나 카레니나, Anna Karenina>(2014)를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에 내재된 톨스토이의 사랑관과 도덕적 관점에 기반하여 발레에 등장하는 인물의 심리변화 및 발레 동작과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를 근거로 하여 톨스토이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고찰하였고, 소설 「안나 카레니나」에 담겨 있는 톨스토이의 사랑관과 도덕관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발레 <안나 카레니나>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사랑을 톨스토이의 도덕적 관점에 기준하여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캐릭터의 심리변화를 유추하고 발레 동작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발레 <안나 카레니나>를 분석하기 위한 영상물은 2017년 11월 국립발레단에서 공연한 DVD 영상자료를 근거로 하였다. 소설 「안나 카레니나」에 내재된 톨스토이의 사랑관과 도덕관에 따른 사랑의 성격은 욕망을 추구하는 사랑과 헌신하는 사랑, 그리고 이상적인 사랑으로 압축되었다. 이 중 톨스토이가 가장 가치를 두는 사랑은 욕망을 절제하고 자신과 나아가 다른 사람까지 사랑하는 ‘이상적인 사랑’이다. 또 소설에서 레빈을 통해 톨스토이가 전하고자 한 메시지는 항상 죽음을 생각하며 착하고 선하게 살아가는 삶이었다. 발레 <안나 카레니나>에서 안무가 슈푹은 원작의 스토리 라인을 따라 발레 동작에서 클래식과 모던함을 접목시키고 극적인 음악과 화려한 의상을 조합하여 드라마틱한 발레를 구현하였다. 발레작품의 세 가지 유형의 사랑에서 첫 번째 유형은 ‘미(美)적인 사랑’이다. 발레에서 여주인공 안나는 급격한 심적 변화를 겪으며 춤에 기쁨, 슬픔, 절망 등의 내면세계를 세밀하게 표현하고 있다. 남편 카레닌과 춤을 출 때 안나는 단호하고 절제된 동작으로 차가운 마음을 표현하고, 브론스키와 춤을 출 때는 마치 소녀로 돌아간 듯이 가볍고 경쾌한 동작으로 사랑의 감정을 표현한다. 안나가 질투와 집착에 휩싸여 고통 속에 있는 장면에서는 혼돈의 내면 상태를 밀도 있게 표현하고 있다. 두 번째 유형은 돌리의 ‘헌신적인 사랑’이다. 돌리는 스티바의 외도로 고통 속에 있으며 항상 남편과 갈등을 겪는다. 돌리의 춤에는 슬픔과 외로움의 감정이 있고, 스티바의 춤엔 가식과 허세가 있다. 돌리가 스티바를 용서하는 장면엔 슬픔을 승화시키는 돌리의 고통이 녹아있다. 마지막 유형은 키티와 레빈의 ‘이상적인 사랑’이다. 레빈은 톨스토이의 분신으로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도덕적인 인물이다. 레빈의 풀베기 장면과 시골에서의 춤 그리고 키티와의 결혼식 장면에는 톨스토이의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모던하고 클래식한 동작이 어우러진 두 사람의 춤에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스러움과 순수함이 있다. 톨스토이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대문호이다. 그의 수많은 저술 속에서 「안나 카레니나」는 3대 걸작에 속하며 사상가로 거듭나는 톨스토이의 생각과 고민이 고스란히 담긴 작품이다. 이러한 소설을 발레 작품으로 구현한 슈푹의 발레<안나 카레니나>에는 톨스토이가 지향하는 도덕적 가치관이 내재되어 있고, 등장인물의 성격이나 심리변화가 생생하게 묘사되어 연극 같은 발레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슈푹의 발레 <안나 카레니나>를 톨스토이의 도덕적 기준에 의거하여 탐색한 ‘발레 <안나 카레니나>에 나타난 도덕적 사랑’에 대한 연구는 톨스토이 문학 작품과 발레 작품을 접목시켜 탐색한 연구로서, 발레 작품 분석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이론적 가치와 발레 작품의 이해를 높이는 응용적 가치를 지닐 것으로 사료된다.

      • 톨스토이 서사의 다층적 심미성

        최인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톨스토이의 문학성은 주제와 시학, 그리고 그에 못지않은 심미적 특성 간의 융합에서 비롯된다. 개체의 자율성과 보편성의 관념화라는 주제론적 대립과 삶의 진폭을 형상화한 독립모티프, 그리고 인식패러다임의 변화를 형상화한 서술기법 및 심미적 아름다움을 자아내는 서정적 풍경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융합되어 톨스토이의 문학성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톨스토이의 주요한 사상성에 대해 다각도로 검토한 후, 서술구조와 기법이 작품의 형이상학적 명제와 그의 예술적 심미성을 어떻게 창출하고 있는지에 관해 분석하였다. 우선, 주제론에서는 개체성과 보편성이라는 대립명제의 충돌과 융합에 대해 살펴보았다. 삶은 행위 그 자체로 시대적 보편률과 종교적 교리로 규정지을 수 없다고 판단했던 톨스토이는 개체의 자율성을 동경하였다. 하지만 이와 정반대로 톨스토이는 ‘푸른 막대기’의 이상처럼 삶의 법칙과 도덕적 보편률을 정립하여 조화로운 공동체를 구성하고자 하는 열망 또한 간직하였다. 두 대립명제의 융합은 ??전쟁과 평화??와 ??안나 카레니나??에 이르러 이루어진다. 보편적 세계의 원리가 개체에게도 의미가 있을 때 정당화될 수 있다고 판단했던 톨스토이는 보편성에 대한 추구를 개체의 자율성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하지만 두 대립 명제 사이의 갈등은 그의 말년에 이르러서도 지속된다. 극도로 혼란스런 방황을 겪은 후 집필한 ??참회록?? 이후, 개체의 자율성보다 조화로운 세계를 위한 관념을 창출하는 것이 더욱 가치 있는 일이라 판단했던 톨스토이는 예술가로서의 삶을 포기한 채 구도자의 길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마음 한편에 뚜렷하게 자리 잡고 있었던 또 다른 욕망을 결코 지울 수 없었다. 예술론을 창작하던 시기에 집필한 ??신부 세르게이??와 ??하지 무라트??는 이러한 그의 내적 갈등을 뚜렷하게 드러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개체성과 보편성에 대한 갈등은 민중과 죽음에 관한 그의 관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톨스토이는 민중을 비종결적 세계의 주체이자, 중심과 주변의 통섭을 가능하게 하는 카니발의 주체로 형상화하였다. 하지만 톨스토이는 민중을 긍정적으로만 묘사하지 않았다. 그는 민중에게 내재된 우매함과 저열함에 대해서도 직시하였으며, 이러한 양면성이 역사의 변증법적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추동력이라 판단하였다. 죽음 역시 마찬가지였다. 아르자마스의 공포를 경험하기 전, 톨스토이는 죽음을 보편적 질서로의 회귀로 형상화하였다. 하지만 공포 이후 그는 죽음을 개체의 자율성을 인식하는 순간으로, 자신의 실존적 가치를 구원하는 순간으로 형상화하였다. 톨스토이의 이러한 사상성은 그의 독특한 주제구성 기법과 서술기법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우선 주제구성 기법과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상징적 의미체계로서의 독립모티프와 상충과 상보라는 이중적 의미구조를 가진 서정적 독립모티프, 그리고 보편적 세계와 범속한 현실을 대비적으로 구현하는 음악과 현상과 본질의 간극을 폭로하는 웃음 및 관념론을 형성해나가는 대위적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서술기법과 관련하여서는 서술흐름의 전환 기법으로 서술되지 않은 서술과 서술템포의 변주에 대해, 그리고 인식패러디임의 전환 기법으로 에피파니 및 낯설게 하기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톨스토이는 에피파니를 초월적 질서의 현현으로 파악하기보다는 사변적 명제에 관한 주인공들의 오랜 사유가 자기 인식의 상징적 매개물로 재정립되어 명백하게 나타나는 순간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인식패러다임의 전환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톨스토이의 예술적 다산성은 개체의 자율성과 보편성의 관념화라는 두 대립명제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그가 새로운 소설 장르와 기법을 통해 심미적 자율성을 창출하고자 했던 것도 이러한 그의 이원론적 세계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작품의 다층적 관념성과 더불어 시학 및 서정적 심미성에 대한 고찰은 톨스토이의 문학세계와 그의 작품이 창출하는 문학성의 본질을 파악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 톨스토이의 『바보 이반』에 나타난 교육 사상 고찰

        황유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 현대 사회의 교육은 지식위주의 주입식교육, 사회적 지위확보를 위한 교육의 도구화, 물질만능주의, 이기주의 등의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참된 삶의 가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톨스토이의 교육 사상은 현대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톨스토이의 『바보 이반』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에 나타난 톨스토이의 교육 사상을 고찰하고, 교육 사상이 21세기 한국 교육에 주는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톨스토이의 생애와 작품세계 그리고 교육활동을 살펴보았으며, 『바보 이반』을 이해하기 위하여 저술배경, 등장인물의 특징, 주제의식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톨스토이의 『바보 이반』에 나타난 교육 사상을 고찰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면, 우선 선(善)한 인간을 만드는 것이 교육의 본질임을 깨닫게 하며 평화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여 평화로운 마음을 가지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땀 흘려 일하여 결과를 얻는 육체적 노동의 중요성과 학교 교육의 테두리에서 벗어난 일반 시민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더불어 종교가 주는 마음의 치유와 이웃에 대한 사랑과 희생을 강조하는 종교적 가르침을 통해 영성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톨스토이의 교육 사상이 가지는 한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그의 교육 사상이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다원화되어있는 현대 사회에서 보편적인 교육 사상으로 받아들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인간을 선한 존재로 보고 있어 지나치게 낙관적이고 이상적이다. 다음으로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 지위확보의 중요한 수단인 지식교육을 경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가져야 할 참된 가치와 그의 실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톨스토이의 교육 사상은 현대 교육의 부작용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성의 회복을 위하여 톨스토이의 교육, 그의 교육 사상이 우리 사회에 주는 의의에 대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톨스토이의 종교체험과 개성화과정

        김성혜 협성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에 살아가고 있는 지금, 우리는 어느 시대보다 급격하게 성장과 발전을 이룬 변화된 환경 속에서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이들이 정신적 고뇌와 마음의 질병으로부터 오는 고통을 호소한다. 겉으로 드러나는 외부의 삶에만 관심을 가질수록 내면의 고통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이 때 우리는 이러한 고뇌와 고통을 해결하기 위하여 더욱 외적인 일에 매달리려고 한다. 그러나 세상이 요구하는 일에만 매달려 적당히 타협하려 할 때 우리는 정신적인 고난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따른 사람들의 고통에 대하여 융의 종교체험과 개성화 과정은 우리에게 한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인간은 하나님을 만나는 종교체험을 통해서 그의 삶이 변화된다. 자신의 의지적인 노력을 포기했을 때 비로소 하나님을 체험하고 더 이상 예전의 모습이 아닌 새로운 모습으로서의 삶, 즉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고 그 사랑을 이웃에게 나누는 삶을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간이 신적인 존재인 자기(image of God)를 만나게 되는 것은 개성화 과정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자기를 실현하는 개성화는 내면의 분열을 외적인 방법으로만 해결하려고 했던 것을 포기하고,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여 내 안의 자기(self)를 실현하게 된다. 그 후 우리의 삶은 변화되어 새로운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교체험과 개성화 과정을 볼 때, 특별히 톨스토이의 삶을 통한 종교체험과 개성화 과정은 우리에게 본보기가 될 수 있겠다. 그는 실존적 위기와 내면의 분열을 경험하면서 불우한 유년 시절을 보냈지만, 삶의 막다른 골목에서 하나님을 체험하고 내면의 통합을 이루었다. 그 후 그의 삶은 변화되었고,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 하나님의 사랑을 이웃에게 펼치려고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이렇게 그는 변화되어 자신의 옛 모습을 버리고 새로운 존재로 다시 태어났다. 톨스토이의 삶은 이제 더 이상 자신만의 삶이 아니라 이웃을 위한 그리스도를 닮은 삶이 되었다. 그는 자기, 즉 신적인 존재를 실현한 후에 자기를 비우게 된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종교체험의 목적인 자기의 비움과 개성화 과정의 목적인 자기의 실현이 관계선상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인간이 하나님을 체험하고, 내면의 분열을 통합하여 자기(self)를 실현했을 때 자기의 비움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자기를 비울 때야 비로소 내 안에 하나님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자기를 실현하는 것과 자기를 비우는 것은 우리가 이루어야 할 목표이며, 우리의 삶에 주어지는 한 과제이다. 그리고 이것은 한 번에 이루어지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에서 계속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각자에게 자기실현과 자기비움이 이루어질 때, ‘자기’만이 아닌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한 이런 이해들은 사회에 보이지 않는 정신적 고통들을 해결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3

      • 이광수의 톨스토이 수용과 번역 양상 고찰

        김미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 논문은 이광수의 번역에 대한 인식과 방법을 살펴보고 근대 한국문학을 촉발시킨 톨스토이의 수용과 관련하여 그 번역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이광수와 톨스토이에 주목한 것은 우선 이광수가 ‘문학’이라는 개념이 번역을 통해 자리 잡았음을 지적했기 때문이다. 또한 근대 한국문학에 번역문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한 바 있다. 이 시기에 번역은 ‘근대성’과 ‘문명’을 학습하는 데 핵심적인 것이었고, 그 영향은 문학, 사회 등 넓은 범위에 영향을 끼쳤다. 근대 초기 한국문학에 러시아 문학의 소개가 가장 많았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작가로 톨스토이가 위치해 있다. 이광수 역시 자신의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로 톨스토이를 꼽는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의 본론에서는 이광수의 번역관을 분석한 뒤 이광수에게 톨스토이의 영향이 끼치게 된 배경에서부터 번역 행위로 나아가는 흐름에 따라 고찰하였다. 이 논문의 2장에서는 「문학이란 何오」를 중심으로 ‘문학’의 개념어가 정립되고, ‘조선문학’에 대한 정의로 도달되는 과정 그리고 ‘조선문학’의 실천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광수는 서양의 ‘literature’의 역어로써 ‘문학’을 정의하며, 번역으로 성립된 ‘문학’은 그간 사용하였던 문학에 대한 관념을 뒤틀고 근대적 의미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서양에서 쓰이는 개념으로 번역된 ‘문학’은 재래 사용하던 의미에서 벗어나 근대적 성격을 띤 ‘조선문학’을 규명하기에 이른다. 이어 이광수는 ‘조선문학’의 발전에 ‘번역문학’이 한 축을 담당함을 언급한다. 본 장에서는 이광수의 번역에 대한 의식과 관점을 중심에 두고, ‘번역문학’이 조선의 문학보급과 조선문의 근대화를 촉진시키는데 큰 역할 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논문의 3장에서는 톨스토이 초기 수용에 관한 부분을 다루었다. 최초의 근대적 잡지라 평가되는 『소년』을 중심으로 톨스토이에 대한 작품과 사상소개에 대한 면을 고찰하였다. 최남선의 톨스토이 수용과 번역은 이광수의 톨스토이에 대한 의식 형성에 기반이 된 것으로 전제한다. 『소년』의 편집인 최남선이 톨스토이를 각별하게 다룬 것은 일차적으로 자신의 사상적 취향에 따른 것이겠지만 동시에 톨스토이의 작품을 배우고자 하는 최남선의 열망과 ‘근대문학의 모범’을 민중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계몽의 의지가 담겨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최남선은 『소년』에서 톨스토이를 ‘그리스도 이후의 최대 인격’이라 지적하는데 이는 이광수가 톨스토이를 회고하는 부분과 흡사하다. 최남선과 이광수에게 톨스토이는 ‘예수’에 비할 수 있는 존재였으며, 최남선과 이광수의 이와 같은 언급은 문학적 수용 이상의 지점을 설정해야 하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4장에서는 이광수가 쓴 톨스토이를 주제로 한 논설을 통해 이광수가 근대 한국에서 대표적인 톨스토이안으로 불리는 점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최남선과 일본의 톨스토이 유행에 의해 형성된 근대 한국의 초기 톨스토이 형상을 바탕으로 홍명희, 김억 등 다른 작가들에게 다양한 모습으로 수용된 톨스토이의 형상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광수의 톨스토이 수용의 특수성을 고찰하였다. 이어 이광수가 톨스토이의 작품을 직접 번역한 『어둠의 힘』을 중심으로 작품의 구성과 내용 뿐 아니라 에크리튀르(&eacute;criture)의 구성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문자사용의 비율, 통사 구조, 사유 방식에 따른 어휘 및 구문 양상을 기준으로 번역과 번역자의 사상적 굴절을 추적하였다. 근대적 지식으로서의 톨스토이가 신문·잡지의 매체를 통해 생산되고 유통된 공간에 대한 접근은 학술운동의 흐름과 번역자 개인의 실천을 통한 상호작용에 따른 구조적 접근을 요청한다. 이를 위하여 세 과정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이광수의 톨스토이 수용과 번역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 현대 미용예술과 톨스토이 예술사상의 융합적 해석

        정수향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인간의 본성과 개별적 성향을 다면적 측면에서 정서적 감염을 탐구했던 톨스토이 저서들을 통한 예술론과 인체 조형의 특징을 통해 대중과의 라포형성을 가지고 있는 미용예술의 관계를 고찰하여 이들의 관계에서 융합적 해석을 갖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중을 통한 응용예술인 미용예술을 미학적 관점으로 해석하여 미용 현장에서 기술적 완성과 더불어 예술의 융합적 해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했으며 톨스토이의 예술과 현대 미용예술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Google Scholar,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서적 및 국내 외 문헌, 기타 자료 등을 중심으로 총 156개의 자료를 살펴보았다. 그 중 본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단행본 31권과 선행논문 83개를 수집하여 총 114개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톨스토이의 전통적 예술의 비판과 현대 미용예술의 관계는 정형화된 예술이 아닌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현대 예술의 경향과 미용예술에서도 현대예술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이 모티브로 활용되고 있다. 둘째, 톨스토이의 민중예술로의 승화는 친 귀족적 예술에서 친 민중적 예술로 변화하게 되었다. 현대 미용예술은 생활 가운데서 인체를 소재로 아름다움을 만들어내는 미용의 특수성과 그 목적성이 같으며 헤어 디자인의 조형적 요소를 통해 외형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톨스토이의 예술의 대중화는 교육과 예술을 민중들의 자녀들도 향유할 수 있도록 1859년에 학교를 설립하여 미술, 음악, 시 등을 가르치면서 대중화를 이루어냈다. 실용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응용예술로써의 미용예술은 기술을 통하여 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어 내고 있다. 넷째, 톨스토이 예술론의 중심적 사상인 사람과 상호작용을 상징하는 ‘감염’과 미용예술에서 디자이너와 고객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라포형성’을 대응할 수 있다. 톨스토이는 예술을 매개로 예술가와 인간과의 정서적 감염으로 인한 상호작용으로 하나가 된다고 하였고, 현대 미용예술에서는 뷰티 디자인을 매개로 디자이너와 고객과의 라포 형성으로 인한 상호작용으로 하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용예술은 인간의 미적감성과 실용성을 접목시킨 응용예술로써 기술력과 감성이 조화롭게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인체의 아름다움을 만다는 행위인 미용은 디자이너의 기술과 창의적인 감성이 외형적으로 표현되는 예술활동이다. 디자이너의 미적 감각과 예술적 감성을 톨스토이 예술사상을 통해 다면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현대 미용예술과 톨스토이 예술론을 접목시킨 질적 연구 방법으로 다소 주관적인 관점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객관화 할 수 있는 양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인문학과 미용예술학을 융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rt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human modeling through the writings of Leo Tolstoy who examined human nature and individual dispositions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e goal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beauty art which has rapport with the general public and perform convergent analysis in such relationships.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convergent analysis of art through the achievement of technical completeness by analyzing beauty art through the general public from an aesthetic viewpoint. In terms of a research metho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a literature review. With regard to Leo Tolstoy’s art and modern beauty art, a total of 156 papers were examined, using Google Scholar, RISS, books, domestic & foreign literature and other data. Among them, 114 papers (31: separate volumes, 83: previous paper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relations between criticism and modern beauty art of Leo Tolstoy’s traditional art, the works influenced by modern art are used as motives in modern art and beauty art where diverse possibilities, not standardized art, exist. Second, sublimation into Leo Tolstoy’s popular art has brought a shift from pro-aristocratic art to pro-mass art. In modern beauty art, the purpose and specificity of beauty are the same, using a human body for beauty. They are expressed through the formative elements of hair design. Third, in terms of the popularization of Leo Tolstoy’s art, a school was founded in 1859, and art, music, poem and others were taught to offer people and children an opportunity to enjoy art and education. As applied art with practical aspects, beauty art has resolved daily issues and created new design. Fourth, it is able to build rapport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designers and customers in beauty art with ‘infection’ which symbolizes interactions with people, an ideology in Leo Tolstoy’s art theory. He insisted that artists are united with people through interactions with emotional infection, taking art as a mediator. In modern beauty art, designers are united with customers by building lapport, taking beauty design as a mediator. In beauty a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nsitivity and techniques in harmony, taking it as applied art with aesthetic sensitivity and practicality. Hairstyling is an art activity which visually expresses a designer’s skills and creativity. This study approached such aesthetic sensitivity and artistry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rough Leo Tolstoy’s art theor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with a relatively subjective viewpoint as a qualitative study which added Leo Tolstoy’s art theory to modern beauty art.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would be quantitative studies whose results can be objectified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further studies on humanities and beauty ar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