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 요인 : 건강 신념 모형, 계획된 행동 이론, 통합된 행동 모형에 근거하여

        박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코로나19 및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신체활동 참여 의도 및 행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전통적 건강 신념 모형에 자기 효능감 변인이 추가된 확장된 건강 신념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코로나19 위험 인식과 신체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들의 신체활동 참여에 미친 영향을 조사했다. 이 연구의 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에게서 수집했으며, 이들의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친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해 성별 층화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기술 통계 분석 결과, 중강도 신체활동에는 남학생이 평균적으로 여학생보다 많이 참여하였으나, 고강도 신체활동에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이 참여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대학생의 고강도 신체활동은 남녀 모두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 의해서만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한편, 중강도 신체활동의 경우 남학생은 신체활동에 대한 인지된 장애물에 의해, 여학생은 현재 건강 상태에 따른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연구 2에서는 계획된 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코로나19의 발생 전후 대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신념과 신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발생 이전에 수집된 자료와 마찬가지로 서울대학교 사회대학 또는 경영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3은 통합된 행동 모형을 근거로 행동의 현저성, 지식과 기술, 환경적 제약이 신체활동 참여 의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도-행동 간 차이를 감소시키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3의 자료는 연구 2의 자료와 함께 세 차례에 걸쳐 수집되었다. 먼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신념을 도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체활동 참여에 대한 인식, 의도, 신체활동의 현저성, 그리고 지식과 기술 등에 관한 응답을 수집했다. 약 한 달 후, 신체활동 참여 시간과 환경적 제약에 관한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2의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시간이 절반으로 감소했음에도 행동 의도는 증가했다. 이에 대해 건강 증진, 가족 구성원, 게으름이 영향을 주어 코로나19 발생 이전과는 완전히 달랐다. 연구 3의 결과, 신체활동의 환경적 제약과 지식과 기술은 신체활동 의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체활동에 대한 설명력을 유의하게 높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시대에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행동에 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한 동시에 이에 관한 세 가지 이론의 한계와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COVID-19 and physical activity (PA) on their intention and participation in PA. The extended health belief model with self-efficacy added to the health belief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impact of risk perception of COVID-19 and evaluation of PA on PA participation in study 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Gender-stratif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MPA)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VP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MPA than female students per week, but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VPA than male students on averag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fficacy was the only variable that significantly explained VPA in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perceived barriers of PA significantly affected to MPA among male students, whereas the likelihood of contagion of COVID-19 in current health state significantly affected MPA among female students. Study 2 compared PA beliefs and factors influencing PA particip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this purpose, data were gather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College of Social Science or Business School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y 3 was based on the integrative behavioral model. It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salience, knowledge and skills,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of PA can decrease intention-behavior gap by interaction with intention to PA. Data for study 3 were collected three times with data for study 2. Beliefs about PA were elicited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they were used to obtain answers regarding perceptions of PA, intention, salience of behavior, and knowledge and skills in the second survey. The third survey was conducted about one month after the second survey. In this survey, students were asked about PA behavior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2, the intention to PA has been increased although PA participation time was reduced in half after the emergence of COVID-19. Moreover,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se outcomes are caused by salient beliefs of PA such as improvement of health, family members, and laziness, which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ones before the emergence of COVID-19. The results of study 3 showed that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knowledge and skills of PA significantly improved the explanatory power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intention to PA.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 behavior in the COVID-19 pandemic, at the same time showing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potentials of the three theories of applicability in this pandemic crisis.

      • 치과위생사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에 대응한 감염관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혜린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19, COVID-19, 이하 코로나19) 대유행 가운데 점차 증가하는 코로나19 및 전염성 질환의 교차 감염 예방을 실천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코로나19 관련 지식도,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관련한 인식도, 실천도, 병원 조직 관련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교차 감염의 예방을 실천하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안 마련 및 감염관리 수행도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재직 중인 치과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63부를 회수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도구의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쉐페 검증(Scheffé ad hoc test),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보다 작은 경우는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치과위생사의 평균 연령은 31.44세이고 평균 근무경력은 5.96년이다. 교육 수준은 전문학사가 57.4%로 가장 많았고 근무 기관은 치과 의원이 55.1%로 가장 많았다. 수행업무는 다중응답으로 확인하였으며 진료실 및 수술실이 68.1%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관련 지식도의 평균 점수는 4.23±0.75점, 감염 예방과 관련한 인식도의 평균 점수는 4.45±0.77점, 실천도의 평균 점수는 4.26±0.92점, 병원 조직 관련 요인의 평균 점수는 4.02±1.05점으로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관련한 인식도 평균값이 실천도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관련한 실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 조직 관련 요인(β=0.491, p<0.001) 이었고, 다음으로 인식도(β=0.428, p<0.001), 지식도(β=0.095, p=0.013)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 예방과 관련한 실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 조직 관련 요인이었고, 다음으로 인식도, 지식도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 내 감염관리 지침서와 수칙을 마련하고 보호장구를 충분히 갖추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병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치과위생사의 보호장구 착용 실천도가 낮다면 감염 예방 효율을 높이기 어려울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편리한 보호장구의 개발과 보호장구 착용 시간 확보가 필요하며,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감염관리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병원 내 감염관리 지침서와 수칙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actice of cross-infection prevention of COVID-19 and infectious diseases,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among the global COVID-19 pandemic and the degree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the degree of awareness and practice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OVID-19 inf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acticing the prevention of cross-infection by investigating factors related to hospital organization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infection control measures and improvement of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self-written online questionnaire for 300 dental hygienists in office and 263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tool. In addition,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it ha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Statistical methods include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ad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statistical processing, IBM SPSS Statistics 25 (SPSS Inc., Chicago IL, USA) was used and a p value of less than 0.05 was judged to be significant. Results: The average age of dental hygienis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as 31.44 years old and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was 5.96 years. As for the level of education, professional bachelor's was the most at 57.4%, and dental clinics had the most at 55.1%. The task performed was confirmed by multiple reaction analysis and the operation room was the most at 68.1%.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related to COVID-19 was 4.23±0.75 points, the average score of awareness related to infection prevention was 4.45±0.77 points, the average score of practice degree was 4.26±0.92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of factors related to hospital organization was 4.02±1.05 points. As a point, the average value of awarenes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OVID-19 infectio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practice. In addition,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gree of practice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COVID-19 infection was the organizational factors (β=0.491, p<0.001), followed by the level of awareness (β=0.428, p<0.001), and the level of knowledge (β=0.095, p=0.013). Discussion: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egree of practice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was the organizational factors followed by awareness and knowledge. It will be important to prepare guidelines and rules for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s and to have sufficient protective equipment. However if the dental hygienist's practice of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is low despite the hospital's efforts, it will be difficul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fection prevention. To complement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venient protective equipment and secure time to wear protective equipment and a systematic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 system is needed to increas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management. In addition, it will be important to prepare guidelines and rules for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s.

      • 코로나19 시기의 지적장애아 양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곽종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질적 방법을 통하여 코로나19 시기에 지적장애아를 양육하면서 겪은 다양한 양육 경험과 성찰이 어떠한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코로나19 시기에 양육한 방법, 양육을 하며 겪는 경험 그리고 양육에 대한 성찰이었다. 연구 자료는 코로나19가 국내에 퍼지기 시작한 2020년 2월부터 2021년 5월까지의 양육 경험이 주가 되었다. 일부에서는 코로나19 시기의 양육 경험과 그 이전의 양육 경험을 비교하기 위해 그 이전의 자료도 사용되었다. 주 자료는 연구자의 기억 자료이고 기억 자료를 보조하기 위해 문서, 녹음 자료, 기록, 사진, 동영상 등의 문화적 인공물이 이용되었다. 연구자는 지적장애아의 부모이며 초등교사이다. 연구자는 양육에 적극적인 편이고 자녀와 놀아주는 시간이 다른 부모에 비해 월등히 많은 편으로 자녀 발달에 관심이 매우 많다. 연구 대상은 2014년 9월에 출생한 지적장애 남아이고 3세에 유치원에 다니면서 문제 행동이 관찰되었다. 그 이후 사설발달센터에서 치료를 받았고 4세부터는 통합어린이집에 다니게 되었다. 6세가 되어서 지적장애 판정을 받았고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연구자의 재직 초등학교에 입학하였고 교내에서는 주1회 특수교육지원센터 순회교사의 지도를 받고 있으며 완전통합학급에서 생활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코로나19가 시작되었을 때 활동 반경에 제약이 많았고 집에서 아이와 함께 있는 시간이 많이 늘어났다. 퇴행이 올 것이라는 걱정과는 반대로 아이는 마음의 안정을 찾게 되었다. 하지만 아이와 함께 있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양육자의 스트레스는 쌓여 갔고 어린이집에 다시 다니게 되었다. 둘째, 코로나19 시기에 양육자와 아이가 함께 하는 시간이 늘어감에 따라 그 전보다 훨씬 더 밀접한 관계가 되었고 같이 있는 시간에 한글 익히기와 몸놀이를 많이 하였다. 한글 익히기를 통해 아이가 세상을 좀 더 크게 바라볼 수 있게 되었고 몸놀이는 아이의 근력과 균형 감각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셋째, 코로나19 시기에서 제한적이지만 외부에서 또래와의 관계가 맺어졌다. 공통 관심사를 통한 관계 맺기, 신체 활동을 통한 관계 맺기, 부모의 조력을 통한 관계 맺기 경험이 있었다. 넷째, 코로나19 시기에는 활동 반경에 대한 제약이 있어서 오히려 새로운 시도를 더 많이 하게 되었다. 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일, 세상을 향한 작은 경험 쌓기, 하지 못했던 일이지만 이제 할 수 있는 일들이 있었고 아이의 경험을 확장시켜 나가는 체험을 하였다. 다섯째,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었고 고민 끝에 연구자의 재직 학교에 완전통합학급에 입학하게 되었다. 코로나19 시기지만 아이는 1학년이라서 매일 등교할 수 있었고 코로나19 시기라서 아쉬운 점이 있지만 예상보다 훌륭하게 학교생활에 적응해 나갔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시기에 연구자에게 지적장애아 양육에서 알게 된 깨달음은 다음과 같다. 아이의 안정된 정서, 부모의 조력, 경험 쌓기, 양육자의 굳건한 마음, 양육 환경의 중요성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더 필요한 후속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학령기 지적장애아에 대한 연구와 지적장애아에 관련한 연구자 본인의 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 관광유튜브 콘텐츠 속성이 시청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로 인한 국내관광지를 방문하고 싶어하는 잠재관광객 중심으로

        배성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전세계로확산된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은새로운유형의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에의한호흡기감염질환으로(네이버), 이러한원인불명의감염병은국내관광업계 뿐만아니라경제산업과일상적인삶에심각한타격을주었다. 다른어떤산업보다도커다란충격을받은관광업계에서변화의속도는상당히극적이다. 관광은 본래목적지로의이동이필수적이지만, 코로나19로인해일반적인관광활동이어려워졌다. 따라서 본연구는비대면서비스산업중중요한부분으로대두되는개방형콘텐츠서비스인유튜브플랫폼 을활용하여관광유튜브콘텐츠속성이시청자의행동의도에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검증하고자 한다. 기존의선행연구를통해도출한연구모형을바탕으로연구를진행하기위해편의표본추출방법을 바탕으로관광유튜브를시청한경험이있는시청자263명중불성실한응답자5명의설문지를제외 한총258부의설문지를표본으로추출하였고자료의수집은5월15일부터5월28일까지약2주동안 진행하여배포및회수하였으며, 실증분석을검증하기위해, 관광유튜브콘텐츠속성과시청자들이 시청한후나타난시청만족도와향후방문의도사이에코로나19의영향관계가궁극적으로유튜브 시청자들의관광유튜브콘텐츠시청이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검증하고자하였다. 콘텐츠속성은시청만족도에, 시청만족도와코로나19 및향후방문의도는각각유의한영향관계가 미친다는연구가설을검증하여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통해코로나19 종료를앞두고관광유튜브 콘텐츠를활용한관광마케팅에기여할수있다는의견과함께관광유튜브콘텐츠와코로나19와같 은사회적이슈에관한선행연구는미비한실정이나, 코로나19와관광을접목한상이한주제의선 행연구의연구결과와비슷한내용이있다는것을확인할수있었고, 코로나19로인한시청자들의 잠재적관광욕구가향후실제행동까지유도하는데영향력이있음을제언할수있다.

      • 중국 대학생의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위험인지, 여가태도 및 행동의도의 관계

        왕배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위험인지, 여가태도 및 행동의도의 관계을 규명하여 향후, 코로나19 와 같은 전염병이 발생할 시에 대학생 스포츠 여가활동의 대책을 마련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앞으로 중국을 이끌어갈 대학생들의 여가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여 올바르고 건전한 여가생활을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도 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장쑤성에 소재한 10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5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 코딩 후 분석 및 처리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위험인지와 여가태도의 관계에서 위험인지는 인지적 여가태도, 행동적 여가태도, 정의적 여가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인지와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위험인지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태도와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는 행동적 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의적 태도는 행동적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넷째, 위험인지와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여가태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leisur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o formulate countermeasures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llege students' sports leisure activities in the future when infectious diseases such as the COVID-19 occu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attitude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oward sports leisure and guide the correct and healthy leisure life in the future. A total of 546 subjects (from 10 universities located in Jiangsu Province, China) completed the survey. After data coding,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processed by perform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leisure attitude, risk percep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ognitive leisure attitude, behavioral leisure attitude, and affective leisure attitude. Second, risk perception did not affect action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action inten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discovered that cogni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had a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while affective attitude had a negative (-) effect. Finally, it was found that leisure attitude had no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action intention.

      •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수준 추이분석

        유재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전, 후의 추이비교를 실시하여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2005년부터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이 한국 청소년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매년 수행하는 청소년온라인건강행태조사(2016-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 제12차(2016년)~제16차(2020년)까지 전국의 중고등학생 300,09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변인으로는 청소년 온라인건강행태조사 설문 중 신체활동에 관한 설문 ‘하루60분 이상 중강도 신체활동일수’와 ‘하루20분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일수’를 이용하였고 코로나19 전·후의 추이 비교를 실시하기 위하여 복합표본설계 교차분석 방법을 (Rao-Scott χ2-test)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교 분석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코로나19 시기 전(2016년~2019년)과 비교하여 코로나19 시기 후(2020년)에 두 가지의 신체활동 관련 변인(하루60분 이상 중강도 신체활동 일수, 하루20분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 일수)모두 코로나 19시기 전과 비교하여 코로나19 시기 후 해당 변인 및 항목별로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냈다. 신체활동수준 변인 중 ‘하루60분 이상 중강도 신체활동 일수’는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와 최근(2020)까지 비교하여 ‘신체활동없음’항목은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부터 코로나19 직전 수집연도(2019년)까지 4년 동안 줄곧 35%~36%대를 유지하다 코로나19 후(2020년) 39.1%로 급상승하여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주1일 이상~주3일 이하’항목도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부터 계속 감소 추세를 이어오다 코로나19 후(2020년)에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주4일 이상~주6일 이하’항목과 ‘주7일 이상’항목은 큰 변화가 없었다. 신체활동수준 변인 중 ‘하루20분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 일수’는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와 최근(2020)까지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서 감소세가 뚜렷하였다. 먼저 ‘신체활동없음’ 항목은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부터 2018년까지 23%후반에서 24%초반에 머무르다 코로나19 시기 후 수집연도(2020년)에는 39.3%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주1일 이상~주2일 이하’,‘주3일 이상~주4일 이하’, ‘주5일 이상’항목 모두 코로나19 이전 4개년도(2016년~2019년)의 최저치를 경신하였다.

      • 코로나19가 중국의 대 미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허숭언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는 전세계 여러 나라 경제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쳤다. 세계 2위의 국내총생산(GDP)를 가진 중국도 대외무역업에서 심각한 악영향을 받았다. 특히, 미국에 대한 수출은 미국수요감소 측면뿐만 아니라 노동력, 자금, 기술 등의 공급 측면에서도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이런 배경하에서 코로나19가 중국의 대미 수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미 무역의 추이를 정리하고, 코로나19 전 중국의 대미 수출 현황 및 코로나19 발생 후 중국의 대미 수출 현황의 비교를 통해 코로나19가 중국의 대미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편, 중국의 대미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액, 중국GDP, 중국CPI, 미국GDP, 미국CPI, 위안화 환율을 설정하였고, 이와 함께 중국과 미국의 코로나19 발생 기간을 코로나 더미변수로 추가 설정하였다. 모형 추정에 대해 사용되는 자료는 2002년부터 2020년까지의 분기별 데이터이다. 모형 추정에 앞서 단위근 검정(unit root test) 및 공적분 검정(cointegration test)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오차수정모형(error correction model)을 활용하여 계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의 코로나19 발생기간에는 중국의 대미 수출이 억제된 반면, 미국의 코로나19 발생기간에는 중국의 대미 수출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

        임채원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여성이 지각하는 코로나19 위험이 건강신념과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뷰티 및 헬스케어 산업현장에서 뷰티헬스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현재 서울, 경기, 충청, 전라에 거주하는 20대∼3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9일부터 4월 28까지 31일간 온라인 설문지 총 586부 중 주요 측정항목에 대한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한 57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방법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의 3단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의 결과는 20대가 45.8%, 주거지역은 서울이 69.0%, 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54.7%, 결혼상태는 미혼이 94.8%, 직업은 전문, 기술직이 55.0%, 월평균 뷰티케어 관리비용은 10∼20만 원 미만이 33.6%, 월평균 헬스케어 관리비용은 10만 원 미만이 39.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 건강신념,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수준은 사회적 위험지각 4.19점, 지각된 취약성 4.29점, 화장품사용행동 3.76점 순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이 건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코로나19 위험지각의 신체적 위험지각(=.388, p<. 001), 사회적 위험지각(=.380, p<.001) 순으로 지각된 심각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사회적 위험지각(=.442, p<.001), 신체적 위험지각(=.161, p<.001), 경제적 위험지각(=-.086, p<.05) 순으로 지각된 취약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신체적 위험지각(=.328, p<.001), 사회적 위험지각(=.326, p<.001), 경제적 위험지각(=-.151, p<.001) 순으로 지각된 혜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경제적 위험지각(=.479, p<.001), 신체적 위험지각(=.278, p<.001), 사회적 위험지각(=.070, p<.05) 순으로 지각된 장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30대 직장여성의 건강신념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건강신념의 지각된 장애(=.356, p<.001)만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의 지각된 장애(=.452, p<.001), 지각된 취약성(=-.131, p<. 01) 순으로 헬스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149, p<.01), 지각된 장애(=.126, p<.01), 지각된 취약성(=.114, p<.05) 순으로 화장품사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코로나19 위험지각의 경제적 위험지각(=.397, p<.001), 사회적 위험지각(=.099, p<.05) 순으로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경제적 위험지각(=.406, p<.001), 신체적 위험지각(=.101, p<.05) 순으로 헬스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사회적 위험지각(=.220, p<.001), 경제적 위험지각(=.189, p<.001) 순으로 화장품사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경제적 위험지각(=.227, p<.001), 신체적 위험지각(=-.136, p<.01) 순으로 피부미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심각성은 사회적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 중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심각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신체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혜택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혜택은 사회적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며, 경제적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 중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혜택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혜택은 경제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며, 신체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 중 화장품사용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혜택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혜택은 사회적 위험지각, 경제적 위험지각과 화장품사용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장애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장애는 사회적 위험지각, 경제적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 중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장애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장애는 경제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며, 신체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건강신념과 뷰티헬스케어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신념이 높을수록 뷰티헬스케어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건강신념은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뷰티헬스케어행동을 하는 데 있어서 시간적, 경제적 어려움과 같은 장애 요인를 해소하기 위해 20∼30대 직장여성을 위한 접근성이 높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온라인 플랫폼 등으로 뷰티와 건강을 복합적으로 지원하여 뷰티헬스케어행동을 통해 지각하는 혜택이 높아진다면 이는 동기를 유발함으로써 뷰티헬스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VID-19 risk perceived by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on their health belief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l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that could promote the beauty health behaviors in the actual beauty & health care industrial sit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31 days from March 29th to April 28th 2021, targeting the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currently residing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Total 57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eight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to the major measurement items from 586 questionnaires. As the data-processing methods,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ntents abov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e highest percentages were shown in the 20s(45.8%) for age, Seoul(69.0%) for residential area, graduation from college(54.7%) for level of education, the unmarried(94.8%) for marital status, professional & technical work(55.0%) for occupation, 100,000∼200,000won(33.6%) for monthly average beauty care expenses, and less than 100,000won(39.1%) for monthly average health care expenses. Second, in the level of COVID-19 risk perception, health belief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it was highly shown in the order of social risk perception(4.19), perceived susceptibility(4.29), and cosmetics use behaviors(3.76).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health belief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the physical risk perception(=.388, p<.001) and social risk perception(=.380, p<.001)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severity. The social risk perception(=.442, p<.001), physical risk perception(=.161, p<.001), and economic risk perception(=-.086, p<.05)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The physical risk perception(=.328, p<.001), social risk perception(=.326, p<.001), and economic risk perception(=-.151, p<.001)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benefit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479, p<.001), physical risk perception(=.278, p<.001), and social risk perception(=.070, p<.05)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barriers. Four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health belief on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only the perceived barriers(=.356, p<.001) of health belief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arriers(=.452, p<.001) and perceived susceptibility(=-.131, p<.01) in order of health belief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enefits(=.149, p<.01), perceived barriers(=.126, p<.01), and perceived susceptibility(=.114, p<.05) in order of health belief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smetics use behaviors. Fif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397, p<.001) and social risk perception(=.099, p<.05)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406, p<.001) and physical risk perception(=.101, p<.05)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ealth care behaviors. The social risk perception(=.220, p<.001) and economic risk perception(=.189, p<.001)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smetics use behavior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227, p<.001) and physical risk perception(=-.136, p<.01)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kin beauty care behaviors. Six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the perceived severity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everity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i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enefit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nd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enefit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and also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cosmetics use behaviors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enefit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cosmetics use behaviors, an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cosmetics us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arrier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arri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n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arrier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arri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and also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the COVID-19 risk perception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was higher, the health belief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got higher. And when the health belief was higher, the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lso got higher. Also, the health belief played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us, if the perceived benefits are increased through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by complexly supplying the beauty and health based on the highly-accessible mobile application and online platform for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for relieving the barriers to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such as temporal & economic difficulties, it could be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heath industry through the motivation.

      • 국내관광 선택속성과 코로나19 위험지각, 방문의도의 구조적 관계 : 정부 코로나19 대응평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영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코로나19는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켰으며, 관광의 형태와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질병에 대한 위험지각 역시 관광행동과 관광선택에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정부의 질병 및 위험에 대한 대응평가도 관광객들의 행동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국내 관광지 선택속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파악하고, 코로나19라는 전염성 질병으로 인한 위험지각과 방문의도 간에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하여 잠재적 관광객으로 하여금 장기간 각인되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질병 위험지각이 정부의 코로나19 대응평가와 상호작용하여 관광지 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과 지역관광마케팅 방향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 이상의 내국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21년 10월 4일부터 10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적 관광소비자들은 관광지를 선택함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목적지의 방역수준과 방역관련정보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현재 잠재적 관광객들은 관광지 내 마스크 의무착용과 같은 현지의 방역관리 정책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목적지의 코로나19 확진자 추이와 같은 현지의 방역 정보가 관광지 선택의 기준으로 변화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관광마케터는 잠재적 관광객의 선택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철저한 방역관리와 투명한 방역정보 제공을 기본적인 관광마케팅의 도구로 삼을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관광지 선택속성 중 접근성과 방역수준이 지각된 전염성과 지각된 심각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광지의 선택에 있어서 목적지의 접근성이나 방역수준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관광객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전염의 우려와 감염병 확산에 대한 심각성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추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관광지 접근성과 방역수준에 대한 개선 및 관리를 통하여 잠재적 관광객의 코로나19에 대한 감염 우려와 위험지각이 악화되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셋째,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지각을 전염성과 심각성으로 분류하고 관광지 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전염성과 심각성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관광지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전염성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아질수록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라는 질병 감염에 대한 두려움을 높게 인식할수록 관광활동을 자제하려는 자연적 심리변화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관광객의 유입이 절실한 관광지일수록 철저한 방역관리는 물론이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얻어진 감염확산 감소 효과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고 신속하게 제공하여 잠재적 관광객으로 하여금 심리적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도록 관광마케팅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주목한 지각된 위험과 방문의도의 관계에서 정부 코로나19 대응평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전염성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정부 코로나19 대응평가의 유의한 조절역할이 확인되었다. 그러한 조절효과의 방향성에서는 정부의 대응을 높게 평가하는 경우에 위험지각으로 인해 관광지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정부의 대응을 낮게 평가할수록 질병 전염의 위험지각으로 인해 관광지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더욱 낮아지는 부정적(-) 강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의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이 적절하지 못하고 신뢰할 수 없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에는 질병 감염에 대한 우려인식이 높아지며 관광지 방문을 위험행동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개인이 자신의 삶과 관련된 주요한 질병에 대한 위험성을 지각하면서 미래행동을 계획할 경우에 그 질병을 관리하는 정부라는 주체에 대한 평가와 상호작용하여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으로서, 국가적 재난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행동할 거점인 관광목적지를 직․간접적으로 관리하는 정부를 동일한 주체로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잠재적 관광객들은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 목적지의 방역수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그러한 관광지 방역수준의 중요도는 코로나19 위험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위험지각으로 인하여 관광지 방문의도가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여기에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되면 관광지 방문의도가 감소되는 현상이 더욱 강하게 감소되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한 관광산업 촉진을 위해 잠재적 관광객의 관광지 방문의도가 감소되지 않도록 현재는 물론이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의 상황에서도 감염병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투명하고 신속히 공개하거나 국민의 위험인식을 경청하고 소통하는 등의 재난관리정책을 통하여 국민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재난대응에 대한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COVID-19 has brought changes to many aspects of our lives and is causing many changes in the forms of tourism and the choice of a tourist destination. The perceived risk of diseases is also causing various changes to tourist behavior and choices, and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 to diseases and risks also causes changes to tourist behavior. Thu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hanged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ts and further analyzes the effects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n perceived COVID-19 risk and visit intention. The study also aim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COVID-19 on these influential relationships to understand tourist behavior in relation to diseases and changing environments and provide implications needed by the concerned academic and business circl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300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twenties or older that have lived in the nation for ten days in total from October 4~13, 2021. Collected data was used in an empirical analysis.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and AMOS program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COVID-19 risk, intention to visit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and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 to COVID-19. This was follow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o test the measurement instruments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preliminary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In addi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hypothesis, and inter-group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and significance testing follow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one of the domestic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severity, a subfactor of perceived COVID-19 risk; second, domestic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d no direct impa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tourist destination; third, perceived severity, a subfactor of perceived COVID-19 risk, had significant negative (-) effe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domestic tourist destination; finally,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perceived COVID-19 risk on visit intention. When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COVID-19 were highly evaluated, the higher perception of perceived severity led to the reduced intention to visit a domestic tourist destina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offers the following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for its academic contributions, first, the study divided perceived COVID-19 risk into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contagiousness and tested actual effectiveness and influence, thus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urement items in perceived risk related to COVID-19 and infectious diseases; second, selected attributes were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including the level of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along with the old one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culture and society, and accessibility. In particular, the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level to provide the criteria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ird, the study measured the perceptions of the tourism consumer on the government's responses or the evaluation of its responses to COVID-19 and tested their roles as a moderating variable, thus introducing the government's response and role into the risk of various tourist environments.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domestic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show that accessibility scored the highest importance points at 4.129, which raises a need to reflect the importance that tourism consumers place on accessibility, including transportation and road networks in domestic tourism. The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level also scored high importance points at 4.012, which implies that tourist destinations and facilities should be thorough with their management and responses of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against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second, as the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level, one of the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severity, it is important to open the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level of a tourist destination or facility transparent to the public and demonstrate high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level than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s guidelines; third, the study categorized perceived COVID-19 risk into perceived severity and contagiousness risk and analyzed their effe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tourist destination, finding that a higher perceived severity led to a lower intention to visit a tourist destination. These results show natural psychological changes to refrain from tourist activities according to a higher perception of risk in the spread of the epidemic along with fear for contracting COVID-19. In the post-COVID-19 era, tourist destinations desperate for the inflow of tourists should set a tourism marketing strategy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potential tourist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social distancing on the reduced spread of infection in a transparent and accurate manner as well as thorough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spread of infection at tourist destinations, in particular, makes potential tourists feel the severity first-hand. When successful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generate effects and reduce the severity of infectious spread at tourist destinations,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resulting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level and its effects should be utilized in tourism marketing so that it can attract potential tourists in the post-COVID-19 era; finally, the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COVID-19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visit intention and found that it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everity on visit intention. When the government's responses are highly evaluated, higher perceived severity leads to the reduced intention to visit a domestic tourist destination. When people believe that the government has made proper and reliable responses, they have high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s announcements and severity and tend to reduce risky activities, including the intention to visit a tourist destination. Since the government's responses can have impacts on tourists visits and sales at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the government needs to be careful about its responses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government's COVID-19 policies can, in particular, determine the sales and survival of dining, service, and tourism industries, which raise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make more accurate and effective responses.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의 환경변화와 원격언어재활서비스

        이민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global spread of the COVID-19 virus has changed the say of life of many people, which has also affected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of social distancing, the method of telepractice service is gradually attracting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field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perception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egarding telepractice servic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8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rom Daegu and Gyongbuk, who had experience in speech therap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interview, there are three main themes: ‘Change in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 Telepractice services’, and ‘Prediction and preparation for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after COVID-19’, and 9 sub-themes, 126 concepts were derived. Due to the epidemic of COVID-19,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ere able to find out what changes they experienced in the field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in detai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useful research data amid the growing need for remot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lepractice services.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확산은 많은 사람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켰고 이는 언어재활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거리 두기의 확산으로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방식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 현장의 변화와 원격언어재활서비스에 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언어재활사 8인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참여자는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의 언어치료 경력이 있는 대구·경북의 언어재활사를 선정했다. 면담 후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의 변화’, ‘원격언어재활서비스’, ‘코로나19 이후 언어재활서비스 환경에 대한 예측과 대비’ 총 3개의 대주제와 하위주제 9개, 12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해 언어재활사는 언어재활서비스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는지를 알아보고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염병의 확산으로 원격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유용한 연구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발전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