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7世紀 全北地域 聚落의 考古學的 硏究

        조성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북지역의 취락은 금강상류ㆍ금강하류ㆍ만경강유역권ㆍ동진강유역권ㆍ고창권역ㆍ섬진강유역권에 분포하는데, 주로 하천과 가까운 구릉지 및 충적평야에 입지한다. 분포양상은 서부지역 88%, 동부지역 12%로 서부지역에 가장 집중되어 있는데, 취락의 選地는 당시 자연경관, 기후, 생업방식, 집단의 관념 등 여러 요소가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만경강유역권과 고창권역의 취락은 밀집도가 가장 높고 규모가 커서 마한 소국의 거점으로 비정할 수 있고, 그 가운데 전주 동산동, 익산 사덕ㆍ장신리, 고창 봉산리 황산 유적은 중심취락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외 일반취락은 중심취락의 주변에 형성된 소ㆍ중규모 취락을 일컫는다. 취락의 변화양상은 4단계로 전개되는데 조기(기원전 4세기∼기원후 1세기)는 재지의 마한문화를 바탕으로 형성되고 전기(기원후 2세기∼3세기 전후)를 거쳐 중기(3세기 전반∼4세기 후반)에는 방형의 주거구조로 대표되는 전형적인 주거문화가 정착한다. 후기(5세기 전반∼6세기 전반)에는 백제와 가야의 물질문화가 유입되고 6세기 중반 이후 소멸기에 접어 든다. 5세기 전반부터 蓋, 杯 등의 백제토기가 주거지에서 확인되는데 백제의 영역화가 금강이남의 전북지역까지 도달한 증거로 설명된다. 5세기 후반에는 회청색경질토기의 비중이 늘고 토기의 제작기법이 변화하며 주거지는 부뚜막의 축조재료가 석재로 바뀌고 구들이 시설되는 등 내부구조의 변화가 나타난다. 서부지역의 주거지에서 간헐적으로 확인되는 가야계 유물은 교류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보이고, 동부지역의 가야계 주거문화는 5세기 이후 급변한 정세 속에 가야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6세기 중반 이후 익산 광암리 일원을 중심으로 백제 취락이 확산되는데 금강 하구에 백제계 석축묘가 축조된 이후 백제 정치문화의 중심지가 익산지역으로 재편되는 것과 관계있는 현상으로 보인다. 고창권역은 영산강유역과 밀접한 관계 속에 독자적인 마한문화가 형성되고 상당히 늦은 시기까지 지속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settlements in Jeonbuk province were distributed in the upper and lower Geumgang River, Mangyeonggang River basin, Dongjingang River basin, Gochang region and Seomjingang River basin, being densely located in hilly areas and alluvial plains close to rivers. As for the distribution pattern, most settlements were concentrated in the western area, with 88% of them in the western and 12% in the eastern area. It is thought that various factors such as natural scenery, climate, means of livelihood, and group notions at that time were at play as factors in selecting the location of settlements. As the settlements in the Mangyeonggang River basin and Gochang region showed the highest density and the largest scale, they might be regarded as bases for Mahan statelet. Among them, the remains of Dongsan-dong in Jeonju, SadeokㆍJangsin-ri in Iksan, and Hwangsan-ri in Bongsan-ri of Gochang could be classified as those of leading settlements, while other general settlements might be small and medium-sized villages formed surrounding the leading ones. The settlements were transformed through four stages of pattern: the early stage (4th century BCE∼1st century CE) was formed on the basis of local Mahan culture, and a typical residential culture represented by a square-type residential structure began to take root from the former (around the 2nd∼3rd century CE) to the mid stage (1st half of the 3rd∼latter half of the 4th century CE). In the latter stage (first half of the 5th∼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 materialistic culture was introduced from Baekje and Gaya and after the mid-6th century, settlements began to extinct. Starting from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Baekje earthenware such as lids and cups have been identified in residential areas, which evidences that the territorialization of Baekje reached the Jeonbuk province to the south of the Geumgang River. In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the internal structure of dwellings was changed, as the proportion of grayish blue hardened earthenware increase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earthenware changed, the construction material of kitchenette changed to stone, and the hypocaust was installed for heating, etc. The Gaya relics, which were intermittently discovered in residential areas of the western region, seem to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exchanges, and the residential culture in the eastern region is believed to have been directly influenced by Gaya amid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since the 5th century. Since the mid-6th century, Baekje settlements had spread around Gwangam-ri in Iksan, which is presumed to have been related to reorganization of the center of Baekje's political culture into Iksan area since Baekje-style stone tombs were built at the estuary of the Geumgang River. In Gochang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independent Mahan culture was formed in close relationship with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continued until a very late period.

      • 영산강 상류역 원삼국-삼국시대 취락 연대의 재검토

        전세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에서는 호남지방 취락유적의 편년 상향현상에 문제를 제기하고 그러한 원인이 C14연대의 무분별한 수용, 타날기법 도입시기에 대한 인식의 차이, 잘못된 편년의 반복적인 재생산에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영산강상류에 한정하여 취락의 편년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담양 태목리유적을 표준유적으로 설정하여 토기의 형식분류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네 단계를 설정할 수 있었다. 이를 영산강상류 취락유적에 대입하여 각 유적의 단계를 설정하였으며 절대연대측정자료를 분석하여 취락의 역연대를 추정하였다. 검토결과 영산강상류의 취락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4-6세기대의 자료가 2-6세기대로 편년이 상향된 것으로 보이며 점유시기 또한 실제보다 길게 설정된 경우가 많았다. 호남지방 원삼국-삼국시대 취락유적은 본고에서 다루는 범위 내에서 네 단계로 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원삼국-삼국시대 호남지방 취락의 입지는 ‘구릉상부→구릉하부→평지’로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고의 편년과 검토에 따르면 ‘충적지→구릉지→충적지(일부 구릉지)’로의 변화를 추정해볼 수 있다. The present paper raises the question about chronology of the settlements in the Honam district and the problem which originated from imprudent acceptance of 14C dating,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beginning of Paddling Techniques and reproduction of the wrong chronology. Therefore we tried to offer a new chronology of the settlements from the region of Upper Youngsan River. Through establishment of site standards, form classification of pottery and acquired results from Taemok-ri archaeological site could be identified four phases. Our study shows that if we can recognise established phases of the settlements by absolute dating should be possible to presumed date of settlements. Аfter thorough review of all settlements in Upper Younsan River we can conclude that the settlements from the 2-6 century should be re-dating in 4-6 century as the period of the sites occupancy is not so long as previously thought. Chronologically, the existence of the settlements in the Honam district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is changed to four phases. Among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s is the observation that the location of the settlements during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has known as “upper hills - lower hills - alluvial plain” but must change as “alluvial plain – hills - alluvial plain (some hills)”, according the analysis of this study.

      • 담양 태목리취락의 변천 연구

        강귀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영산강유역의 고대사회는 역사기록의 부재로 인해 사회적 실상에 대한 접근은 고고학적 자료에 큰 비중을 두게 하였다. 그러나 그 동안의 연구는 분묘 중심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경향으로 인해 결과론적인 해석에 치우치게 되었다. 이러한 분묘자료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좋은 자료가 주거지를 중심으로 한 취락연구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영산강유역 상류권 중 담양지역에 대단위 취락지가 조사된 태목리유적에 대해 유구와 유물의 변화상을 살피고 취락의 변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태목리유적 주거지의 구조적 변화상을 4기로 구분하여 변화양상 및 시기별 변천에 대한 의미를 검토하였다. Ⅰ기는 취락의 형성기로 2세기 중엽∼말에 해당한다. 주거지의 구조는 평면형태가 원형과 말각방형으로 나타난다. 노시설의 경우 무시설식과 부뚜막식이 확인되고, 기둥시설은 무주식과 벽주식의 형태로 나타난다. 유물은 경질무문토기 기종들 위주에 타날문토기가 소수 확인된다. 유구는 주구토광묘와 주거지, 수혈유구 일부가 확인된다. 공간적인 배치는 개별주거지의 밀집도가 떨어지며, 주로 유적의 북동쪽에 분포하고 있다. Ⅱ기는 취락의 발전기로 3세기대에 해당한다. 주거지의 구조는 이전의 원형과 말각방형의 비중이 줄어들고, 장방형과 방형이 크게 증가한다. 일부 주거지에서는 돌출형 출입시설이 확인되고 있다. 노시설은 북벽에 치우쳐서 부뚜막시설이 설치되고 있다. 기둥시설은 방형의 무주식 주거구조와 벽주식이 주를 이루며, 후반부에 와서는 벽주식+사주식의 구조도 소수 보이고 있다. 유구는 Ⅰ기와 동일하지만 주거지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밀집도가 높아진다. 분묘의 경우 주구의 형태가 점차 제형화 되면서 장축길이가 20m까지 확대되고 그 수는 증가하게 된다. 매장시설은 목관이 중심에 위치하면서 옹관이 주구 주변에 배장되는 목관고분으로 발전하게 된다. 공간적인 배치는 분묘의 경우 주로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거군은 유적의 남쪽에 분포한다. Ⅲ기는 취락의 성행기로 4세기대에 해당한다. 주거지의 구조에서 평면형태는 방형을 위주로 하고, 장방형의 비중도 높게 나타난다. 노시설은 부뚜막식이 대부분이며, 부뚜막에 연도부를 설치한 구들구조도 증가한다. 유구는 주거지, 분묘뿐만 아니라 환호, 지상건물지, 토기가마가 새롭게 조영된다. 분묘는 제형의 주구가 50m 가까이 대형화 되면서 주구를 공유하거나 연접되어 나타난다. 공간배치는 분묘구역과 주거구역 사이에 환호를 설치하여 북쪽은 분묘공간으로, 남쪽에는 주거공간으로 구분된다. 주거군은 다시 환호 내부의 주거군과 환호 바깥쪽의 주거군으로 나누어진다. 환호 내부에는 지상건물지와 토기가마가 배치되고 있다. Ⅳ기는 취락의 쇠퇴기로 5세기 전반에 해당한다. 주거지의 구조는 평면형태의 경우 대부분 방형으로 확인되고 있다. 기둥시설은 벽주식 보다는 사주식과 무주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노시설은 부뚜막시설이 확인된다. 유구는 Ⅲ기와 비슷하나 가마는 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주거지의 수는 크게 줄어들고 분묘는 새롭게 조영되기 보다는 이전 시기에 조영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태목리취락 변천에 대해서는 Ⅰ기에 취락의 형성배경, Ⅱ․Ⅲ기의 취락 규모의 확대, Ⅳ기 취락의 쇠퇴에 대한 요인을 살펴보았다. Ⅰ기 취락의 형성배경에는 지정학적으로 영산강유역과 섬진강유역을 연결 하는 내륙 교통로에 위치하는데, 이러한 지리적 특징은 문화교류의 주요거점이라는 점이 취락형성의 중요한 배경이 될 수 있다. Ⅱ․Ⅲ기 취락의 발전은 교류를 통해 취락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였는데 이는 곧 태목리취락을 위시로 한 정치체가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았다. Ⅳ기 취락의 쇠퇴는 사회적인 분위기, 분묘의 변화상, 주변지역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5세기대가 되면 영산강유역은 지역별로 통합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고, 동부지역은 가야세력의 영향이 확대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태목리취락은 섬진강유역과의 교류활동이 어려워 졌거나, 다른 정치체와 통합됨으로써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취락 구조 검토

        신동민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recent increases in the Midwest and the Neolithic village site for the structural review. First of all, before starting the review of the structure, the same temporality of residence within the village preferentially be investigated. Therefore, I comprehensive review of the pottery chronology and AMS period, as well as residential and internal facilities, entrances, direction, and residential placement. Chapter III, a review of how the previous review was conducted on the structure of the village site. And Chapter 4 have been studied in the form of housing and settlement structure changes within the village. For research results the pottery chronology in the periodization reflects a total of three stages. Ⅰ stage is divided into islands and inland. Operate a total of 20 residence of the island, from an early period, and the advent of a complex form of housing. Residence from two to four and configure one of the smaller groups, the structure seems to be placed in a column. Inland seems simple form of the square of the housing and operate a total of 10 residential. Two to four dwelling constitutes one of the smaller groups, the irregular placement. Stage Ⅱ Although the overall simple form of residential square, Island appears in the form of two excavated and residential placement continues to appear in a line. On the other hand, a simple square of residence appears from the coast inland. And the placement of a row of irregularly placed and displayed together. Inland continues, revealing the shape of the previous period. but, late times appears a small-scale settlement consisting of 1-2 dwelling. Ⅲ stage, except the island, a small village in the surrounding area has emerged. The island is a large-scale settlement and residential forms varies. Small group consists of two or three residences, and several small group gathered to form large group. And several large group are believed to be in the configuration of one of the settlements. On the other hand, addition Chungcheong inland areas and the central inland area were examined. All settlement has emerged from the mid-stage Ⅱ. First the Chungcheong region, a small-scale settlement with one or two dwellings. In particular, the large rectangular residential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hungcheong has emerged. Midwest region inland of the coast in the late stage Ⅱ, there appeared a large rectangular housing. Next, central Inland Midwest Inland showing a similar form of housing and residence alone or two is a small-scale settlement. Because of this, seems to be closely related and the dismantling of a large-scale settlement in the inland Midwest in the late stage Ⅱ. Finally, we review the composition of the tool assemblage to estimate the livelihood approach. And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hange the structure of the settlement. As a result, the large-scale settlement of the stage Ⅰ is various tool assemblage . Therefore seems to be with the way the various livelihood. Stage Ⅱ is maintained a large-scale settlement, but Settlement in the late period is miniaturization. Tool assemblage of fewer categories than the previous period, and the reduction in the quantity of tools and reduced diversity. The portion of agriculture is lower so that the portion of food processing tool is still high but the portion of collection·agricultural tool is low. So, the term of settlement is shorter than previous period. Especially, in the later age, tool assemblages is very poor in small villages. For that reason, There is close connection between simplification of occupation and miniaturization of settlement. In the Ⅲ stage, Only a large-scale settlement is found in island, but There is different structure than previous period. In island, various type of residential that easily find in surround area become common. Then sporadic placement of 2~3 unit in the structure of settlement seemed to be main stream. Those caused by the weaken of affinity. There is wide range of tool assemblage so that it seems livelihood of diversity is high. This is because the islands adjacent to the coast is easy to obtain a large amount of marine resources and land resources and rich marine resources is plentiful. As a result, the surrounding areas at this time many facilities such as shell mounds and outdoor hearth being confirmed.

      • 남강유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 연구

        최샛별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남강유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의 공간구조와 성격을 파악하여 남강유역 취락의 관계와 위계 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Ⅲ장에서는 장기존속취락을 중심으로 자연·지리적 요건에 따라 남강유역을 4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였고, 각 권역 별 취락유적의 구성 현황을 검토하였다. 또한 존속시기, 취락의 규모, 생산시설, 복합성 등의 요건으로 본고의 중심취락을 정의하였고, 그에 따라 A, C, D권역의 중심취락이 설정되었다. 나머지 주변취락들도 구성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복합형취락, 장의형취락, 일반형취락, 구릉형취락이 그것이다. Ⅳ장에서는 유형별 취락의 구조와 성격을 파악하고 Ⅴ장에서는 남강유역 취락의 상호관계를 검토하였다. 먼저 권역 내 취락 관계망을 검토했는데 각 권역별 취락유형의 조합과 그 시기적 변천을 살펴보았고 권역 간 공간구성, 의례행위의 유사성을 검토하여 친연성을 파악해보았다. 같은 강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취락망인만큼 모든 권역이 유사점이 많으나 C권역의 대평리유적과 D권역 취락유적들이 특히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앞서 검토한 시기적 변천에서 후기 후반의 시점에 대평리유적은 급격히 쇠퇴하는 반면 D권역은 건재한 모습을 보이고 사천만에서는 이금동유적이라는 대규모 취락이 형성되는 등 대평리집단의 해체와 이동에 대한 추측을 제기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hierarchy among the ancient settlements from the late Bronze Age located at the Nam-river area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settlements’ spa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the Nam-river area was divided into four zones (Zone A to D) according to their natural and geographic environment, centering on a longtime residence at each zone, for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each settlement (chapter 3). The central settlement wa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ir time of continuation, the scale, production facilities and complexity. The remaining surrounding settlements were also categorized into four—complex type, mortuary type, general type and hill type settlement, considering their structure. Although the hill type settlements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other rest sitting on the alluvial area in terms of their location, period, size and composition, being categorized under different criteria not of function and characters, they were also subject to analysis because it does not seem adequate to exclude the type completely due to their complex features. Chapter 4 analyz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ettlement type, and the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e settlements were examined in chapter 5. The settlement network within the zone was examined first, with respect to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settlement types and their change with time. It also compared their spatial composition as well as similarities in ritual behavior to identify affinity between the settlements. The settlements share considerable resemblance probably due to their proximity jointly laid along the same river. Among them the Daepyeong-ri site in Zone C and the settlement in Zone D revealed a particular close relationship more than the 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round the later years of the late Bronze Age, Daepyeong-ri site encountered a sudden slack, while Zone D stood still, witnessing a new formation of a large-scale settlement, Igeum-dong site near the Sacheon bay. This has led to the assumption of a probable dismantlement and relocation of the Daepyeong-ri community around the time.

      • 3~6세기 대구 봉무동취락의 변천과 성격

        이창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의 목적은 봉무동취락의 시기별 변천과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공간적 범위는 봉무동취락유적과 그 인근의 유적을 포함한다. 시간적 범위는 기원후 3∼6세기이며 1기(기원후 3세기∼4세기)와 2기(기원후 5세기∼6세기)로 토기자료를 토대로 세분하였다. 연구방법은 시기별 봉무동취락의 구성요소 분석, 인근 유적 분석, 지리적·지형적 특성 분석, 고대 교통로 분석, 외부 유입 유물 분석 등이다. 분석 결과 봉무동취락 1기의 성격은 수혈식주거지와 제철유구 등의 자료에 근거하여 거주와 철기 생산 기능을 하던 자연취락이었다고 판단되며, 봉무동취락 2기에는 굴립주건물지로 이루어진 대규모 창고시설에 근거하여 봉무동취락의 성격이 물류 저장 중심 취락의 기능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 봉부동취락의 성격 변화는 5세기 후반에 조성된 불로동고분군 출토 외부유입유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신라의 지방지배와 관련되어 일어난 변동으로 판단된다. This thesis aims to trace the changes in Bongmu-dong Settlement over time and its natures. Spatial span include Bongmu-dong Settlement Site and its neighbouring sites. Temporal span ranges from 3rd Century AD to 6th Century AD. The time span has been subdivided into Stage I (from 3rd Century to 4th Century AD) and Stage 2(from 5th Century to 6th Century AD) based on pottery chronology. The methodologies adopted are as follows: settlement component analysis, reviewing its neighbouring sites, geographical and geomorphological analysis, analysis of ancient transportation routes, analysis of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from outside, and so on. The analysis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During Stage I Bongmu-dong Settlement had been a small village producing iron as shown small number of pit dwelling sites, remains of iron-processing facilities, and so on. In contrast For Stage 2 Bongmu-dong Settlement became a logistic center not only storing resources in massive storage facilities but also distributing them. The drastic changes in nature of settlement from small iron-making village to a logistic center might be related to the reforms in the local rule of Silla Kingdom as shown the objects from outside, which had been excavated from Bullo-dong Tumulus Clusters dated to the second half of 5th Century AD.

      • 영산강 유역 원삼국-삼국시대 취락 유형의 변천

        한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 연구는 원삼국-삼국시대 영산강 유역 고대 취락의 형성과 변화를 통하여 사회 변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축적된 취락 유적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GIS 공간 기법을 활용하여 취락 자료를 분석하였다. 취락의 구성요소와 규모를 기준으로 삼아 유형을 설정한 후 GIS의 입지 분석으로 각 단계 및 유형별 입지 변천을 살펴보며 계획성의 지표가 되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유역과 권역 내부의 거점 취락을 파악하는 데에는 네트워크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본 영산강 유역의 사회는 1기와 2기로 구분해볼 수 있다. 1기는 네트워크가 전체적으로 확장되는 시기이며, 2기는 네트워크가 축소, 분석되는 시기이다. 거점 추출을 통하여 보았을 때, 1기에서는 계획성이 드러난 거점이 명확하게 보이지만, 2기에서는 네트워크의 분산으로 명확한 거점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입지적 요소에 초점을 두고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취락의 시기별 변화 및 지역 간 상호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정리하였으며 가시적이고 수치화된 접근 방법으로 사회 변동을 살펴보았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study analyses social changes through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ancient settlements in the basin of Yeongsan River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Kingdoms Period. First, the database of the accumulated settlement sites was established, and the data of settlement history was analyzed using the GIS technique. After setting the type based on the scale of settlement, the spatial analysis of GIS examined the change of location by each stage and type to derive the factors that are indicators of planning. Since then, the network analysis method has been used to identify the settlement type of the basin and the base within the area. Through network analysis, the society of the basin of Yeongsan River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hase is when the network is expanded overall, and the second phase is when the network is reduced and analyzed. From the hub extrac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clear base in the second phase due to the distribution of the network, although the first phase clearly shows the planned base. The study focused on spatial factors and used network analysis to examine the changing times and interrelationships between settlement types. For this purpose,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that a large amount of data has been collected and compiled and examined social changes with a visible and numerical approach.

      • 錦江 中?下流地域 靑銅器時代 中期 聚落 硏究

        강명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Songgukri type of culture in the middle of Bronze Age is the period that society’s complexity increased, and rapid social changes appeared such as a differentiation of the space and function within a settlement occurred. During this period,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Guem river area was a center of Songgukri type of culture and identifies various types of settlements, but previous studies only analyzed on the settlement type and scale separately. So,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we would derive a better result by applying both factors in the analysis of the settlement site.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settlement site and studied houses, pits, tombs, and etc. that can be found in settlements and focuses on dividing settlements as a main settlement and sub-settlements and verifying it.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we divided the downstream area of the Geum River as five river system regions and studied distributions and surroundings of Songgukri type of settlements. The settlement locations were generally at the top of low hills or upper part of low hills near the river, and this geographical environment has been found the same even though the natural environment of each site was different. In chapter 3, we look at the location and type of the settlement and analyze data about dwellings and tombs. In addition, we summarize the classification of the settlement and features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ion. As a result, we thought the most importantly considered conditions for the settlement location were an accessibility of water and views of surrounding area, and we assumed that was why settlements were located at the top or upper part of low hills. Dwellings identified in the settlement area of the midstream of the Geum river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center of Songgukri type culture were mostly found each type’s A, and these A type dwellings are assumed as the Songgukri’s original form, and higher rates of other types of dwelling are found toward the ou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Ⅰ and Ⅱ type is considered reflecting all aspects of hierarchy and regional difference since relatively type II are mainly seen in the central area. In terms of Songgukri’s tombs, we look at primarily materials of tombs; Stone cist tombs are identified mostly in almost all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Geum river area, and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re identified around the northern Jeonbuk area. The numbers of jar coffin tombs and pit tombs are few, but those are identified in all regions. These results are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but there are some different results such a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We separated the pit tombs from existing pit tombs with stone covers in this paper in particularly reviewing only on the graves identified in the settlement site results. For future study, we recommend to review the existing remains of tombs to complement the study. Settlements are categorized as complex settlement eternally, special settlement, general settlement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mains and as large settlement, medium settlement, small settlement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the remains In chapter 4, we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of Bronze period settlement. We checked how many different regions appear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Geum river area by setting a connection between settlements based on the surrounding geographic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we used to divide as a main settlement and sub-settlements in previous chapter. As a result, there are seven regions from A to G, but its sizes were not the same. Region C and E were identified as relatively larger than other regions. Also region G which is located in Samchoen is not the largest regions as two previously mentioned regions, but it is considered as the largest in the northern Jeonbuk area. We als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of Bronze period settlement and its change over time by comparing with earlier Bronze period’s positions of settlement, dwelling, types of settlements. In this paper, throughout the study of Songgukri type culture settlements in midstream and downstream of Geum river, we verified the then society’s complexity was increased unlike previous time and concluded that regional groups with the cultural homogeneity as Songgukri, having a padding field as a living, had close relationships. 청동기시대 중기의 송국리 유형 문화는 사회 복합도가 증가하고 취락 내에서는 공간과 기능의 분화가 발생하는 등 급격한 사회변화가 나타나던 시기로 이때의 금강 중·하류 지역은 송국리 유형 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취락 유적들이 확인되고 있는데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취락에 대한 유형의 분석과 규모를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에만 그쳤다. 따라서 양자를 모두 적용하여 취락 유적을 분석한다면 조금 더 명확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취락 유적을 분석하고 취락의 내부에서 확인되는 주거지, 수혈, 분묘 등을 함께 연구하여 취락 유적을 중심취락과 하위취락으로 나누고 이를 검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금강 중·하류 지역을 5개 수계지역으로 구분하고 송국리 유형 취락의 분포와 주변환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취락은 대체로 하천의 인근에 위치한 낮은 구릉의 정상이나 구릉 상단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형적인 환경은 각 유적이 위치한 지역의 자연환경이 다르더라도 동일하게 확인되고 있다. 3장에서는 취락의 입지와 유형을 살펴보고 주거지와 분묘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취락의 유형별 분류와 함께 분포에 따른 특징 등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입지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것은 수계에 대한 접근성과 주변 지역에 대한 조망권으로 생각되며 주로 낮은 구릉의 정상이나 상단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취락에서 확인되는 주거지의 경우 송국리 유형 문화의 중심지역으로 생각되는 금강의 중류지역에서는 대부분 각 형식의 A형만이 확인되어 A형식의 주거지들이 송국리식 주거지의 원형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외각으로 갈수록 다른 형식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된다. Ⅰ형식과 Ⅱ형식 사이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Ⅱ형식이 중심 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는 양상으로 볼 때 이러한 분포 양상은 위계와 지역적인 차이를 모두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송국리식 분묘에 관해서는 취락에서 확인된 묘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석관묘는 금강 중·하류의 거의 전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고 석개토광묘는 전북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옹관묘와 토광묘는 확인되는 수량은 적지만 역시 전 지역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와 대부분이 비슷한 결과로 확인되지만 석개토광묘와 같이 일부 다른 결과도 나타나는데 이는 본고에서 기존의 석개토광묘에서 토광묘를 분리하였고 특히 취락유적에서 확인된 분묘만을 대상으로 검토를 진행한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기존의 분묘유적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여 향후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장에서는 중기 취락의 성격에 대해 확인하였다. 앞장의 각 지역에서 중심취락과 하위취락으로 구분한 내용에 따라 이를 주변의 지리적인 환경에 따라 적용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취락 사이의 연결 구조를 설정하고 금강 중·하류 지역에서 몇 개의 권역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A부터 G까지 총 7개의 권역이 확인되고 있는데 다만 권역 사이에 동일한 규모로 확인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C 권역이나 E 권역과 같이 규모가 큰 것으로 생각되는 권역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삼천에 위치하는 G 권역은 앞의 두 권역과 같이 가장 큰 규모의 중심권은 아니지만 다른 권역 보다는 큰 규모가 확인되고 있어 전북 북부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권역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기취락이 가지는 특징적인 점과 전기의 취락과의 입지, 주거지, 취락의 형태 등의 비교를 통하여 중기 취락의 특징과 변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결국 본고에서는 금강 중·하류 지역 송국리 유형 문화 단계의 취락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사회가 이전 시기와는 다르게 사회 복합도가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전을 생업의 기반으로 하는 송국리 유형 문화의 특징으로 이러한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던 집단이 일정한 지역별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였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