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팀 유무가 초등학생의 스포츠 가치관 및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

        김윤회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local professional sport tea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rts values perspective and sports participation .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is research set question regarding whether there w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living in a city with professional sports teams and the students living in a place without a professional sports team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 First, local professional sports team will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pective on sports values. Second, local professional sports team will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research was conducted on 610 sixth grade children who live in the Seoul, an area with professional sports teams and 507 sixth grade children who live in the Gapyeong-gun, Yangpyeong-gun, Yeoncheon-gun, an area without professional sports te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ly, local professional sports team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sports values perspective(p<.001). Particularly, the students living in areas with professional sports teams had higher physical, economic, sociable, aesthetic and personal value perspective than the other group, and received meaningful results(p<.01). they also received marginally higher entertaining value perspective than other group, but the results were not meaningful. Secondly, First, local professional sports team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ports participation(p<.001). In particular, the students living with professional sports teams had higher dynamic, cognitive and emotional participation than the other group(p<.01). In conclusion, local professional sports teams make students sociable and make them perceive sports as having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development. It also allows students to recognise the aesthetic of sports and know that they can do economic activities through sports. On the other side, professional sports team didn’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ntertaining sport values perspective. This means that professional sports team have little impact on elementary students in terms of entertainment and play. This is Because the sports themselves have the value of entertaining. Furthermore, local professional sports teams influence dynamic, cognitive and emotional participation. Students strive to acquire knowledge on sports rules, strategies, events and athletes based on their interest in professional sports teams. Also, it can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sport indirectly by watching professional sports games or they can participate directly. In this process, they will play sports with courtesy based on sportsmanship, learn attitude to respect judgement and dream about becoming interested in the player they like. Local professional sports teams are influencing a variety of areas. This study suggests that if the local professional sports team is created and activated in various regions, the elementary student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sports continuously with the right sports values and the ability to establish a framework to become a lifelong sports. 본 연구는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팀의 유무가 초등학생의 스포츠 가치관 및 스포츠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초등학생이 바람직한 스포츠 가치관을 확립하고 지속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생 스포츠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팀의 유무가 초등학생의 스포츠 가치관과 스포츠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가’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스포츠팀 연고 지역인 서울특별시 소재 7개 학교 6학년 학생 610명과 프로스포츠팀 비연고 지역인 경기도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의 6학년 학생 50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검사 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했으며, 설문지는 예비검사를 거쳐 신뢰도를 분석하였고 안면타당도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스포츠 가치관에 있어서 프로스포츠팀 연고지 학생과 비연고지 학생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p<.001), 구체적으로는 신체적, 경제적, 사교적, 심미적, 품성적 가치관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지만(p<.01) 오락적 가치관에서는 연고 지역의 학생이 비연고 지역 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균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얻지 못했다. 둘째, 스포츠 참여에 있어서 프로스포츠팀 연고 지역의 학생과 비연고 지역 학생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p<.001), 구체적으로는 행동적, 인지적, 정의적 참여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p<.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팀은 소속 지역의 초등학생의 스포츠 가치관에 영향을 미치고 구체적으로 경제적, 사교적, 심미적, 품성적, 신체적 스포츠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오락적 가치관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시 말해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팀이 초등학생이 스포츠가 신체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스포츠를 통해 경제 활동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친구들과 사회관계를 원만하게 해 준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또한 스포츠의 아름다움을 알고 스포츠가 품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오락적 가치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팀이 단순한 오락과 유희 측면에서는 초등학생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을 의미한다. 또한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팀은 소속 지역의 초등학생의 스포츠 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행동적, 정의적, 인지적 참여에 영향을 미친다. 초등학생들은 프로스포츠팀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스포츠 종목, 규칙, 전략, 선수 등과 관련된 스포츠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프로스포츠 경기를 관람하며 스포츠에 간접적으로 참여하며 스포츠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스포츠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스포츠맨쉽을 바탕으로 예의를 갖추어 경기를 수행하고, 심판을 존중하는 태도를 배우며,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에 관심을 갖고 그와 같이 되기를 꿈꾼다. 지역 연고 프로스포츠팀은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스포츠 가치관과 스포츠 참여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양한 지역에 그 지역을 기반으로 한 프로스포츠팀이 창설되고 활성화 된다면 초등생들이 올바른 스포츠 가치관을 확립하고 지속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게 되며 나아가 평생 스포츠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실태 분석

        서승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관한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 개발 및 학술적, 실질적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것에 대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현황 및 활동내용, 선호추세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울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 중 현재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40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실태에 대한 세부 항목별 설문지를 작성, 조사하고 응답한 설문 문항을 성별, 학년별, 클럽대회 참가유무별, 지역별로 집단별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문항별 반응에 있어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χ² 검정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가 동기 첫째, 체육관련 활동들을 학교스포츠클럽으로 등록하여 운영하는 것에 대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년(6학년), 클럽대회 참가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체력 향상을 위해 학교스포츠클럽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대회 참가 과정을 통해 개인적인 체력이 향상됨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건강 유지 및 체력단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체력 증진 및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 수단으로써 운동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참가 경로는 많은 학생들이 본인의 의지에 의해 자율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생님(담임 및 체육전담)을 통해 활동에 참가하는 계기가 많지 않아 교사들의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대해 학부모님들의 인식이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계속적인 참가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가할 의사가 있었으며 클럽대회 참가가 학교스포츠클럽의 계속적인 활동에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내용 첫째, 가장 많이 참가하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종목은 줄넘기였으며, 저학년으로 갈수록 줄넘기 종목의 참가 비율이 높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축구 종목의 참가 비율이 높아졌다. 또한 클럽대회 참가경험이 있는 학생은 대회 종목에 집중적으로 참가하고 클럽대회 참가경험이 없는 학생은 다양한 종목에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참가 빈도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주당 3일 이내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청 주관 학교스포츠클럽 대회에 참가하는 6학년의 경우 대회 직전에 집중적으로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주로 참가하는 시간대는 방과 후 오후 시간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장소는 주로 학교 체육관 및 운동장을 이용해 활동에 참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참가하고 싶은 학교스포츠클럽 종목은 축구, 줄넘기, 피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축구, 여학생은 피구, 줄넘기 종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참가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종목과 비교해 볼 때 남학생은 축구, 여학생은 피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청 주관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종목 및 단위학교 종목 선정 시 학생들의 관심종목을 수시로 확인하여 조정, 운영할 필요성이 있었다. 3.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만족도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긍정적인 효과 측면에서 볼 때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남학생의 인성 및 도덕성 발달, 인내심 함양, 민주적 생활태도 형성, 교우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가할 때 주변 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시설의 현대화 및 편리성에 대해서는 만족하고 있으나, 체육시설의 개방은 더 자유롭게 이용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가할 때 지도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체계적인 지도와 긍정적인 관계 유지 면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체계적인 운영, 프로그램의 다양성, 참가자의 능력을 고려한 운영 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스포츠클럽 대회가 개최되는 시기와 방법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나, 대외적으로 표현의 기회가 적었던 5학년 학생들의 경우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종목별 대회를 학년별 대회로 세분화하여 개최할 필요성이 있었다. 여섯째, 학교스포츠클럽 대회 참가에 대한 지원에 대해 적지 않은 학생들이 대회 참가 시 필요용품(유니폼, 체육기구) 및 운영비(교통비, 식비 등)가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에 참가할 때 지도교사의 관리, 감독에 대해서는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장, 교감선생님의 관리, 감독에 대해서는 불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리자의 지속적인 관심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문제점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체육시설의 개선 및 확보의 필요성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더 나은 체육시설에서 활동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 체육활동이 많은 학교스포츠클럽의 경우 체육관 보급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에 대해 현재 클럽대회 참가를 위한 제한적인 경기형 프로그램 중심에서 탈피하여 지역사회, 가정과 연계한 프로그램, 교과활동과 연계한 학습형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해 학교, 교육청, 국가 등 각종 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클럽대회에 직접 참가하는 6학년 학생들의 경우 대회 참가 시에 더 적극적인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위한 교내 스포츠클럽 조직 형태는 종목별 스포츠클럽 조직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운동기능이 다소 떨어지는 4학년의 경우 수준별 스포츠클럽 조직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d understandthe primary school students' current participation rate, contents and preference for the School Sports Club; as well as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Sports Club program by researching it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using analysis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current circumstances for the School Sports Club. The subjects were 400 primary school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School Sports Club in Ulsan metropolitan cit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focused on the students' current participation rate for the School Sports Club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percentage and frequency according to gender, grade, athletic meeting and the local area.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knew that their sports activities are in the School Sports Club. 6th grade students who had done one of the Sports Club athletic meetings knew more about the School Sports Club. Second, they joined the School Sports Club to improve their physical strength and abilities to better prepare for school competitions. Third, the biggest reason they participate in the School Sports Club was to keep their health. They felt the physical exercise is a good way to prevent themselves from the diseases and to improve their physical strength. Fourth, the main root for participating the School Sports Club was their own will. This means teachers needed to inform about the School Sports Club more actively. Parents also had a low awareness on the School Sports Club. Fifth, most of the student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Sports Club continuously and the club school competition gave continuous motivation to them.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the School Sports Club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articipation in the School Sports Club was jump rope. The higher grades participation rate was higher in soccer, while the lower grades were higher in jump rope. In addition, students who didn’t have experience in school competitions participated in various sports. Second, the frequency of the School Sports Club was mostly 3 days a week. 6th graders participated right before the school competition organized by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ird, the School Sports Club was held in the afternoon, after school hours. The meeting place took place at the school’s gymnasium and playground. Fourth, the sports that students wanted to join most were soccer, jump rope, and dodge ball in order. Male students preferred soccer and female students preferred dodge ball and jump rope. This means we need to be flexible when organizing competitions by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 needed to make sur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ll ages and genders. Next, the satisfaction results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on the School Sports Club were as follows: First, the male students saw improvements in their morality, patience, democratic behavior, and create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Secon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and equipments provided in the program. However, they want to be able to use these facilities and equipments more freely. Third, they were very satisfied with their teachers who teach in the program. They can create a positive bond with their teacher through his good teachings. Fourth, they thought positively about the program. Particular, the system is well organized and adaptable to students of various abilities who may want to participate. Fifth,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positively on the time and property of the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However, 5th graders who did not haveas many chances to compete were less satisfied. So we need to change the school competition to adjust for the grades of students rather than events. Sixth,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low supplies and operating expenses in the program. Finally, most students enjoyed their teacher’s ability to manage the program. However, students disliked the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management methods and abili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to vitalize the School Sports Club, the facilities should improve and be made more open to the students. Mor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better suit the various interests and 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Most importantly, we need the support of the schools,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participants to help build a stronger School Sports Club program for future generations.

      • 초등학생의 상담 요구 및 실태 분석

        정미연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해당하는 5, 6학년 학생의 고민, 상담 요구 기타 상담현황을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고민정도에 따라 학교 상담요구에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상담 및 생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료를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수원시 소재 초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고민수준을 살펴보았고 이를 성별, 학년별, 성적별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가족, 학업과 학교부적응, 대인관계 성격 등의 고민 영역에서 성적(상,중,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지만 성별,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생활습관 태도에 관한 고민은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교 상담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았다. 우선 가장 상담하고 싶은 사람에 대한 응답에서 성별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순위에서는 부모님, 친구, 학교선생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 외 상담선생님의 성별에서는 성별 간 차이가 있었으며 원하는 상담 시간에서는 학년별 차이가, 상담의 형태에서는 성별, 학년별 차이가 상담선생님에게 원하는 것에서는 성적에 따른 차이가, 상담선생님의 성향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외 질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생이 인지한 학교 상담현황을 조사하였다. 응답자의 33.1%가 상담 안내를 받았고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21.5%였으며, 이들 중 11.0%가 스스로 상담에 응했고, 25.6%가 친구문제에 대해 상담을 받았다. 또한 이들 중 45.7%가 많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학교 선생님과 상담 경험이 없는 경우 그 이유는 75.8%가 고민거리가 없어서였다. 그리고 전체 응답자의 8.9%만이 학교에 전문상담선생님이 계시다고 답했고, 16.0%만이 학교에 상담실이 있다고 답했다. 넷째, 초등학생의 고민정도에 따른 학교상담요구가 분석되었다. 여기서는 고민정도에 따라 원하는 상담자에서만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즉 고민 상 집단은 형제가, 중과 하 집단에서는 부모님을 가장 많이 원했다. 그 외 학교선생님과 상담하고 싶은 생각, 상담하고 싶은 선생님, 선생님의 성별, 선생님으로부터 원하는 도움 방법, 선생님의 성격, 상담시간, 상담형태, 상담실의 필요성에서는 고민 정도에 따른 차이가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생은 성적이 고민내용과 수준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성별에 따라 학교 상담 요구가 다르며 학년별로 요구하는 상담의 형태, 시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상담에 대한 안내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상담활동도 활발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학교에서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 중 도움이 되었다가 67.9%로 학교에서의 상담활동은 초등학생들에게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에서 효율적인 상담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의 성적, 성별, 학년을 고려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하며 상담활동에 대한 안내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작은 고민문제라도 학교 상담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한다

      •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학생 수준 및 학급 수준 변인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최준섭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급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한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및 학급 수준의 다양한 변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과 경로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8개 지역(서울, 경기, 인천, 대전, 세종, 부산, 충북, 전북)의 초등학교 6학년 71개 학급의 1,670명의 학생과 71명의 담임교사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설문조사 자료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였고, 학생-학급의 2수준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위해 Mplus 7을 사용하였다. 구조 모형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교사경력, 학급규모, 교사성별 간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여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 모형에서 성별을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은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급 수준의 변인은 교사애착, 학급응집성(부 모형 제외), 담임교사경력, 학급규모로 나타났다.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담임교사경력은 관계적 공격성에 대해 각각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급규모의 경우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담임교사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학생 수준의 개인 요인 및 학급 수준의 환경요인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수준이 학급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급 환경 역시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적 공격성은 학생-학급의 2수준에서 분석하는 것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관계적 공격성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등 본 연구의 주요변인들이 비교적 최근부터 주목받기 시작하여 관련 연구들이 부족한 가운데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한 변인들의 구조 관계 모형을 학생 수준과 학급 수준에서 검증하여,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은 개인뿐만 아니라 학급 환경에 밀접한 영향을 받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사회적, 교육적 관심 및 이에 대한 대책 및 개입에 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이해, 건강한 심리정서 발달 및 학교폭력 예방과 개입 등과 관련한 임상 및 상담심리, 학교상담 차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초등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습몰입과 수업만족도 비교

        정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초등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학습몰입과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에 재학 중인 초등영재학생 5, 6학년과 경기도공립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초등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학습몰입을 비교한 결과, 학습몰입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초등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초등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내적인 동기에 의해 스스로 학습 상황 속에 완전히 빠져들어 활동 자체가 보상이 되는 내재적인 동기를 통하여 학습과제에 몰입하는 경험을 더 많이 하며, 학습경험 그 자체로써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초등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수업만족도의 하위 영역인 ‘과학 수업시설 및 환경’ 영역, ‘과학 교육과정’ 영역, ‘과학 교우관계’ 영역에서 초등영재학생의 만족도가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초등영재학생이 학교 과학수업 시설 및 환경, 과학 교육과정, 과학 교우관계에 대하여 일반학생보다 더 만족한다는 것으로,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초등영재학생의 과학수업에 대한 욕구를 잘 충족시켜주고, 만족감을 주며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습몰입과 초등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의 관계에 대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의 학습몰입과 수업만족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초등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더 많은 하위영역에서 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초등영재학생의 학습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초등영재학생의 학습몰입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lesson and the learning flow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 The sampling method of this study was 154 students randomly from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and gifted education centers in Gyeonggi-d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learning flow level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higher learning flow level of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 than the general students.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lesson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less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lesson than the general student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the leaning flow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lesson for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most of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 초등학교 학생들이 기대하는 교사상에 관한 연구

        노현숙 아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요약 초등학교 학생들이 기대하는 교사상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노 현 숙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이 기대하는 교사상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급을 경영하는 담임교사에게 학급경영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과 자질은 무엇인가? 둘째, 담임교사의 신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어떠한가? 셋째, 담임교사의 학습지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어떠한가? 넷째, 담임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어떠한가? 다섯째, 담임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어떠한가? 여섯째, 담임교사의 인간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어떠한가? 연구 방법은 설문지 조사 방법을 실시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군포시에 소재한 6개의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중 581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581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설문지의 내용은 초등학교 학생이 기대하는 교사의 신상,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인간관계의 5개영역에서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성별에 대해서는 여자 선생님을 좋아한다가 높게 나타났고 기대하는 담임교사의 연령으로는 20대와 30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담임교사의 성격으로 명랑하고 유머가 많으신 선생님을 선호하였다. 또한 담임교사의 옷차림으로는 활동에 편리한 옷차림의 교사를 선호하였고 담임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로 학생에 대한 깊은 사랑과 관심이 있는 교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임교사의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공부를 쉽게 이해하도록 지도해 주시는 방법을 선호하며, 숙제는 일주일에 2~3회 내주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임교사의 숙제 지도 방법으로 학생이 숙제를 하지 않았을 때 말로 타이르고 다음에는 꼭 하라고 하는 선생님을 선호하였고 자습시간 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자습시간에 취미활동을 하게 해주시는 선생님을 선호하였다. 셋째, 담임교사의 일기 쓰기 지도방법에 대해 일기 쓰기를 2~3일에 한번씩 쓰도록 하는 것을 선호하고 학생 처벌 방법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잘못했을 때 잘못을 이해시키고 용서해 주시는 교사를 선호하였으며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방법으로는 교사가 모범이 되는 행동을 보여주고 학생들이 본받게 지도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좌석배치를 친한 친구끼리 자유롭게 어느 자리나 앉게 하는 것을 선호하고 담임교사의 청소지도 방법으로는 담임교사가 청소지도를 학생들과 같이 도와가며 청소를 해주시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담임교사의 교과학습지도 외의 지도에 대해서는 취미, 특기에 관심을 갖고 지도해주는 교사를 선호하였다. 또한 담임교사가 학급분위기를 잘 이끌기 위해 재미있는 이야기나 유머로 분위기를 이끌어 주시는 것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담임교사가 가장 고마웠을 때는 내가 공부를 아주 잘 하도록 가르쳐 주시고 이끌어 주셨을 때이고 부모님이 고마움 표시로 선물을 줄 때 작은 선물은 부모님의 정성이니 받아도 된다를 선호하였다. 또한 담임교사와의 상담 방법에 대해서는 담임교사가 학생과 상담을 하고자 할 때 직접면담은 부담스럽게 느껴 간접면담인 가정통신문이나 메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임교사와 부모님과의 관계에서는 서로 친하게 지내며 자주 상의하시는 것을 선호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교사상을 위하여 몇 가지 준비해야 할 요건들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바람직한 교사상 정립을 위하여 현직교사의 연수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현장에서의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문 프로그램에 관한 연수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는 직접적인 교육소비자 집단인 학생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융통성과 복합적인 교사상을 추구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로 인하여 추진하지 못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 과제로 제안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고찰한 교사상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끊임없이 시대는 변화할 것이므로 그 변화하는 시대의 패러다임에 맞는 바람직한 교사상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이 기대하는 교사상에 관한 연구를 해 보았는데 차후 교사들이 보는 초등학교 교사상에 관한 연구도 해볼 필요가 있겠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군포시의 초등학교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전국의 초등학교 학생으로 넓혀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 초등학생 놀이 관련 국내 연구 동향분석(2003-2022)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신여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놀이 관련 국내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이루어진 초등 놀이, 초등 게임 관련된 연구물 중 국내 KCI 등재 및 등재후보지 396편을 선정하여 연구 주제어별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놀이 관련 연구물의 수는 연도별로 약간의 증감은 있으나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초등 게임 관련 연구물의 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초등 놀이 연구의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는 초등학생, 초등학교, 놀이, 역할극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 초등 놀이 연구에서 공출현 빈도가 높은 주제어는 초등학생+프로그램, 초등학교+프로그램, 초등학생+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게임 연구의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는 인터넷 게임, 초등학생, 게임중독 순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 초등 게임 연구에서 공출현 빈도가 높은 주제어는 인터넷 게임+게임중독, 게임중독+부모, 초등학생+ 게임중독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 놀이 연구, 초등 게임 연구를 종합하였을 때, 빈도수가 높은 주제어는 초등학생, 초등학교, 인터넷 게임, 게임중독, 놀이 등이 있었다. 초등 놀이, 게임 연구 종합 분석결과 공출현 빈도가 높은 주제어는 인터넷 게임+게임중독, 초등학생+프로그램, 초등학교+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역할놀이 이외 다양한 놀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대상의 확대 필요성,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놀이 연구의 필요성, 중독 예방 교육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독서치료 사례연구

        최선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통상 아동기를 일컬어 부모님의 도움 아래 아무런 걱정이 없는 행복한 시기라고 말한다. 하지만 오늘날의 초등학생들은 학업 성적에 대한 부담감, 과중한 학원과 개인과외 공부에서 오는 스트레스, 왕따 문제, 외모 불만족, 부모 이혼이나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예외 없이 일상생활 속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다. 이 스트레스는 현실적으로나 교육적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치료(대처)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5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살펴보고, 독서치료를 통해 스트레스의 정도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에 어떤 변화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양식을 이해하고 이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원만히 적응해 나가는 것을 돕기 위한 지도 방안으로서 독서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t-검정하였으며, 검사 비교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로 사용한 스트레스 척도에 대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전 조사에 의하면 가족관계 문제가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업문제, 일상생활문제, 교사관계문제, 친구관계문제, 건강 및 신체 발육 문제, 오락 및 여가활동 문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후 일상생활 속에서 겪게 되는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친구문제, 학업문제, 일상생활 문제, 가족관계 문제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여 독서치료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양식 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여학생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나 결과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능동적인 대처양식이 증가한 결과로 나타났다. 반면, 신비적 대처양식과 수동적 대처양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이 선택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능동적인 대처양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효율 적으로 적용한다면 첫째, 내면에 내재되어 있는 학생 자신의 어려움을 자연스럽게 표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는 자각된 스트레스와 그렇지 못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확연한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한다. 둘째, 예방적·발달적 측면에서 학급전체를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얻는 효과가 클 것이다. 셋째, 사서교사가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고, 책 읽는 습관을 길러주며, 도서관 이용법을 지도하는 등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이행해주는 것으로 인식하게 할 뿐 아니라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학교 현장, 상담기관, 도서관, 사회복지 기관에서 교육과 상담 및 치료 차원에 서 독서치료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Usually, A person's childhood is the period of their life when they are called happy period. However, without an exception, today's schoolchildren are exposed to the stress of everyday life. This stress comes from the burden to school records, and a too heavy institute and individual extracurricular study, school bullying, dissatisfaction of their own look, divorce of parents, or economic hardship, etc. This stress has affected primary school students educationally and realistically. So, the necessity for a program of various medical treatments came to rise. The research of a book was carried out in S elementary school in Kyonggi province, korea for a fourth grader child and watched the grade of stress which they experience and coping style, and intended to find what kind of change in terms of the grade of stress and coping style over stress would have through bibliotherapy program. Especially, it was going to understands an elementary school child's stress and coping style, and verify effect of the bibliotherapy program as a device of helping amicable adoption for the various stress which they experience, and these come to experience.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verifying the effect of a bibliotherapy program, before and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inspection has done about an elementary school child's everyday life stress and coping style. Then after sample t-test of the result, the conclusion which used as the foundation the main results which authorized and were obtained by public prosecutor comparison is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before the bibliotherapy program to the stress measure used with the measurement tool, the family relation problem showed the highest stress, in the next, it appeared in order of a studies problem, an daily life problem, a teacher relation problem, a friend relation problem, health and growth problem, entertainment and leisure problem. After bibliotherapy program' s enforcement, I looked at whether there having been any difference in the stress degree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 who comes to experience in a usual life, and it appeared that there is an affirmative effect with the bibliotherapy program because meaningful reduction on the friend problem, the studies problem, the daily life problem, and the family relation problem has shown. Secondly, although the average of a schoolgirl appeared highly on the whole when seeing the results of an investigation of a stress coping style by the sex, consequently, in research it appeared that the active coping style has increased between both boy and girl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schoolgirls chose the mystical and the passive coping styles were more than boy students, but statistically, it doesn't have meaning. Therefore, we can say that a bibliotherapy program helps an active coping style both boy and girl students. Such a research result has the following current-events points. If the bibliotherapy program is applied effectively First, it can help students to express his inherent inside difficulty naturally. This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b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ling ability with the stress which were aware and not aware. Second, by carrying out the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 whole class, it is expected to have dramatic effect in terms of prevention and development-side. Third, by librarian teacher runs the bibliotherapy program, the duty of school library was from only offering information simply, building reading custom, and guiding library directions etc, but they will be recognizes as carrying outa more active duty and we also can expect to raise a librarian teacher's specialty. Forth, probably, bibliotherapy is variously utilizable at education, consultation, and a medical treatment dimension in the school spot, a consultation organization, a library, and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감성지능 및 학교 생활 적응간의 관계

        안혜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에 따라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한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 요인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인터넷 게임 중독 여부를 가리기 위해 사용한 인터넷 게임 중독 검사는 미국의 Young(1996)이 만든 검사로 김현수(2000)가 번안한 것을 게임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감성지능 진단 검사는 문용린(1997)이 개발한 검사지 중에서 초등학교 고학년용을 사용하였다. 학교 생활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민병수(1991)가 제작하고 민병수(1991), 이훈진(1999)이 사용한 학교 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의 동부, 강남, 성북, 동작 교육청 소속 4개 초등학교 6학년 15학급의 487명(남학생248명, 여학생239명)을 1차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 중독검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게임 중독 진단 결과 연구 대상자 487명 중 15.40%인 75명을 인터넷 게임 중독집단으로 분류하였는데, 남학생(61명)이 여학생(14명)의 4.35배이다. 이 중 8명(1.6%)은 80점 이상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상담과 교육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에 따른 감성지능을 비교한 결과 비중독 집단이 중독 집단보다 감성 지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 지능의 하위요인들과 중독점수와의 상관관계에서도 정서활용, 정서조절, 감정이입, 정서표현, 정서인식 요인의 순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게임 중독에 따른 학교 생활 적응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게임 중독에 따라 중독, 비중독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학교 생활 적응 요인 및 하위 요인을 t-test를 한 결과는 중독 집단의 생활 적응은 비중독 집단의 생활 적응보다 낮다. 학교 생활 적응의 하위요인들과 인터넷 게임 중독점수와의 상관관계에서도 학습활동, 규칙관계, 교우관계, 학교관계, 담임관계의 요인 순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 즉 인터넷 중독이 심화될수록 학습활동, 규칙관계, 교우관계, 학교관계, 담임관계 요인은 부적응이 높다는 것이다. 셋째, 감성지능의 하위척도 중에서 인터넷 게임 중독을 가장 잘 예언하는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정서활용"요인과, "정서조절"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생활 적응 하위척도 중에서 인터넷 게임 중독을 가장 잘 예언하는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학습활동" 요인과 "담임관계"요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터넷 게임 중독 유형과 감성지능 요인 유형별 학교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는 Scheffe 검증 결과 비중독 집단의 높은 감성지능형은 다른 세 집단보다 학교 생활에 더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서울의 4개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위의 결과를 모든 초등학생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울 수도 있다. 인터넷 게임의 과다한 사용의 결과 감성지능이 낮아진 것인지, 감성지능이 낮은 아동이 인터넷 게임 중독이 많이 되는지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인터넷 게임 중독이어서 학교생활 적응이 낮아진 것인지, 학교생활 적응이 낮은 아동이 인터넷 게임 중독이 많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아울러 필요하다 하겠다.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으로의 이행은 더 가속화될 것이라 예상할 때 효과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터넷 중독 예방 교육이 정보화 교육과 병행되어 이루어져야겠고,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인터넷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인권교육의 조절효과-

        장정란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인권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인권의식에 대한 교육이 1학년부터 6학년까지 학년 별 수준에 맞게 다양한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권의식은 인권에 대 해 인식하고, 자신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존중을 바탕으로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태도이다. 초등학생의 인권의식이 높은 수준에 이를 때 스스로 자신의 인권을 자각하며, 타인의 인권존중과 인권실현에 적극적인 태도와 행동을 취하게 되기 때문에 인권의식의 함양이 필요하다.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인권교육 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이 인권의식과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 구 조방정식 모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그들 영향 관 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인권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과 인권교육에 대한 실천 적 함의를 도출하여 초등학생의 인권의식 증진 방안마련에 기초자료를 제 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인 권실태조사 2020」 자료에 응답한 전국 초등학교 4학년 930명, 5학년 938명, 6학년 1,013명 등 총 2,88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 Amos 29.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첫째, 빈도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했다. 둘째,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평 균값,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의 통계량을 분석하며, 수집된 자료의 정규분 포를 확인했다. 셋째,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인구사 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인권교육, 인권의식의 차 이분석을 위해 평균비교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며,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의 사후검증 방법을 활용했다. 넷째, 상 관관계 분석을 통해 4개의 잠재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다섯째, AMOS 29.0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인 권교육, 인권의식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추정치 지수와 표준화 요인적재량을 검토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파악했다. 모형 적 합도는 표본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IFI, CFI(.90 이상)과 모형의 간명 성을 살펴보는 TLI(.90 이상), RMSEA(.05 이하) 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 였다. 여섯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학교생활만족도가 자아존중감을 경유해 인 권의식에 이르는 간접효과를 구하였으며,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은 붓스트 랩의 2,000회 반복추출과정을 통해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AMOS 29.0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 인 권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검 증하였다. 이러한 자료분석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인권의식은 높을 것이다” 의 가설검증 결과에서는 학교생활만족도는 인권의식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 향(β=.183, CR=7.284, p<.001)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 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을 것이다”의 가설검증 결과에서는 학교생 활만족도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β=.369, CR=12.655, p<.001)을 미쳤다. 셋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인권의식은 높 을 것이다”의 가설검증 결과에서는 자아존중감은 인권의식에 통계적 유의수 준의 정(+)적 영향(β=.183, CR=7.194, p<.001)을 보였다. 넷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역할 을 할 것이다”의 가설검증 결과에서는 학교생활만족도는 인권의식에 직접효 과(β=.183, p<.001), 학교생활만족도는 자아존중감에 직접효과(β=.369, p<.001), 자아존중감은 인권의식에 직접효과(β=.183, p<.001)를 나타났다. 또 한 자아존중감의 간접효과(β=.068, p<.001) 및 학교생활만족도에서 자아존중 감을 경유하여 인권의식에 미치는 총효과(β=.250,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관 계에서 인권교육은 조절역할을 할 것이다”의 가설검증 결과에서는 인권교육 (유)집단과 (무)집단 간의 자유모델 분석에서 (유)집단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인권의식에 정(+)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β=.241, p<.001), (무)집단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인권의식에 정(+)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β=.119, p<.001), 이들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 인권교육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인권의식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초등학생, 학교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인권교육, 인권의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