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에서의 인성 중심 동요 지도를 위한 CD-ROM 멀티미디어 교수 자료 개발과 활용 방안

        곽진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바른 인성 함양을 위한 동요지도를 멀티미디어 자료로 개발하 여 초등학생에게 직접 반영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동요에 대한 초등학생의 생각을 알아보고, 인성지도에 적합한 동요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제작을 위해 2년에 걸쳐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합창 공연, 무용 공연, 인터뷰와 같은 다양한 영상 자료를 포함하여 CD-ROM으로 완성하였다. 또한 이를 근거로 초등학교 교내 동요 방송을 운영하고,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여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동요를 쉽게 지도할 수 있도록 적용하면서 수정 보완하였다. 그리하여 초등학교 2학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재량활동 시간을 통해 교수-학습안을 운영하였고, 학급내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가정에서도 연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궁극적으로, 멀티미디어로 제작된 동요지도를 통해 초등학생의 인성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아동과 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정범모(1995)의 인성검사를 통한 초등학생의 사전·사후검사로 본 연구가 인성중심의 동요지도를 위한 좋은 멀티미디어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TV나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환경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단순히 동요를 들려주는 것만으로는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도 없고 다양한 활동들을 이끌어낼 수도 없다. 따라서 어린이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있는 아나운서나 연예인의 동요 소개나 격려의 인사말 등 다양한 영상 자료를 통해 동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즐거움을 주고자 노력했다. 둘째, 컴퓨터를 자주 활용할 때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성 부족 측면은 동요의 좋은 노랫말 선정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고운 생각을 지니고 바른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인성 함양을 위한 활동 과제를 제시하였는데, 반복적으로 활용하여도 다양한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학급별로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 및 학습 활동지를 제작하였다. 셋째, 제작된 인성중심 동요지도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에 대해 학생들의 반응은 대부분이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특히, ‘이세상의 모든 것 다 주고 싶어’와 ‘아빠’를 통해 가족의 소중함과 사랑을 느끼게 되었다는 것이 높게 평가되었다. 그리고, 실제 2학년 학생들의 인성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한 결과 인성의 특성 영역들이 현저히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제작된 인성중심 동요지도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반응에서도 ‘이 세상 모든 것 다 주고 싶어’를 가장 좋아했고, ‘노랫말이 좋아서’를 이유로 꼽았다. 무엇보다, 학부모들은 제작된 인성중심 동요지도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가장 좋은 점으로 ‘쉽게 들을 수 있다’는 것과 ‘교육적’이라는 것에 선호했다. 마지막으로, 제작된 인성중심 동요지도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안내된 인성 관련 활동 과제의 보다 심화된 활동들은 각 학급, 다양한 학년에서 재량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배운 노래를 부르며 다시 한번 노랫말의 의미를 되새겨 볼 수도 있고, 제시한 활동 과제에 대하여 담임 선생님과 함께, 짝 또는 모둠 친구와 함께 깊이 있게 고민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천해 봄으로써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 初等學生의 進路 認識에 관한 硏究

        임균택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진로 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진로 인식 수준에 관한 경향을 성별, 부모 학력별,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여 초등학교 진로 교육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의 자아 인식 능력, 흥미, 적성 등에 대한 진로 인식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학생의 일과 직업의 세계에 대한 관심도는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넷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의사 결정 및 설계에 대한 인식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종합하여 이론적 기저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교육 개발원에서 개발한 연구 자료를 토대로 라중경이 발표한 '진로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수정하여 경기도 소재 및 서울특별시 소재의 5개 초등학교에 재학하는 6학년 학생 50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으며, 임의비중법에 의해 응답된 각 문항의 결과는 응답자의 사례수에 따라 백분율로 산출하고,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 대상자의 배경 변인에 따라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이해에 대한 인식 능력을 알아보면 가정, 학교, 사회에서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정도에서 66.7%는 자신을 소중한 사람이라고 응답을 하였으며 이는 지역별로 p<.05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자신의 능력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2.9%가 "2-3가지 이상은 잘하는 것이 있다"고 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신의 능력에 대해서 더 많은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고 이는 성별, 부모 학력별, 지역별 모두 p<.05 수준에 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신의 흥미 분야에 대해서 88.8%의 학생들이 "알고 있다"고 응답을 하였으나 서울 지역 학생들은 "잘 알고 있다"에, 경기도 지역의 학생들은 "어느 정도 잘 알고 있다"에 더 많은 응답을 하여 지역별로 p<.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자신의 능력과 소질에 따른 장래 직업의 선정에 관한 생각에서는 여학생(89.1%)이 남학생(79.7%)보다 더 많이 생각하는 걸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생들의 일과 직업의 세계에 대한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학교 수업을 통해 장래 직업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는 학생이 71.2%로 많은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성별로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직업의 귀천에 대해서는 성별에서 p<.05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직업에 귀하고 천한 것이 조금 있다"에 남자(29.7%)보다 여자(42.2%)가 더 많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좋은 직업에 대한 생각에서 56.1%가 소질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을 선호하고 있으며 특히 "돈과 인기를 얻는 직업"에 남자 (8.2%)보다 여자(16.7%)가 더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성별에서 p<.001 수준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미래의 좋은 직업에 대한 생각에서 51.6% 가 첨단 정보 산업직을 선호하고 있으며 성별에서 p<.001, 부모 학력별에서 p<.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생들의 진로 교육에 대한 인식을 요약하면 학교에서 진로 교육의 실시 여부에 대해 53.3%의 학생들이 "실시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하였으며 진로 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67.3%가 "적성, 소질 개발에 필요한 교육"을 원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남학생이 59.5%, 여학생은 74.4%로 p<.001수준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미래의 일(직업)을 하려는 이유에서 성별에서는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부모 학력별, 지역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장래 직업에 대해 생각한 계기에서 지역별에서는 p<.05 수준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 선택시 부모의 의견과 다를 때에 대한 행동에서 성별과 부모 학력별에서는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지역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한 연구자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자아 인식 능력은 전반적으로 경기도 지역보다는 서울 지역에서,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여학생이 자신의 진로 인식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일과 직업에 대한 관심도에서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자신의 미래 직업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에서의 진로 교육이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학교에서 해 주기를 바라는 진로 교육의 내용으로 적성 소질을 개발할 수 있는 내용을 선호하고 있고 대부분의 진로 상담은 부모와 상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많은 학생들이 진로 선택의 이유로 취미와 소질 개발을 들고 있으며 자기 스스로의 능력과 소질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 at providing basic data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for the path of future in elementary school, to know the level of cognition in six grade of elementary school.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established research subjects illustrate that how do students perceive self-recognition, the interesting degree of business and occupation, and cognition of future path, and how it is different as the student's sex and resident area, and parent's school career. To solve above subject, 'questionnaires about perception of future path' made by Rha, Joong Kyung were partly modified, they were distributed to 500 students in six grade of elementary school,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withdrawn data computeri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of each question were produced as percentage by frequency of respondence. And to know the difference among group, questionnaires were demonstrated by Chi-Square test as background variation of respondents. Through above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66.7% of respondents regard themselves as important persons, but 21.3% of them not so important. Second, 88.8% of students answer that they know about their interesting realms. Especially students in Seoul mainly replies "I know very well about it"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somewhat know", Third, it is positive that 71.2% of students think about the future occupation through school class. And 56.1% of students prefer the occupation that is possible to display their talent, especially female students(16.7%) more than male(8.2%) prefer occupation accompanying with wealth and honor. Fourth, it appears that 67.3% of respondents, male pupil(59.5%) and female J pupil(74.4%), want to take a education of future path that is necessary to develop their aptitude and nature, which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level of p<.001. The following are some conclusions of researcher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students in Seoul,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having high career parent surpass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male students and low career parent in ability of self-recognition in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more school career of parent is high, the more their pupils positively are interested in future occupation at level of interest of work and occupation. Third, students want the school to educate the contents developing their aptitude and talent, and mainly consult with their parent about the issue of future path. Fourth, a number of students choose the realm of developing their own taste and talent for choice of future path, and have many thought of their own ability and aptitude.

      •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가와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손승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은 다양한 환경요인으로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는 시간이 줄어 다른 사람을 배려하기 보다는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사고가 만연해 있다. 초등학교 시기는 신체적 성장은 물론, 가정 밖에서 접하게 되는 또래 친구, 학교, 지역사회, 대중매체, 기타 다양한 사회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사회성이 발달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학교체육에서 스포츠 활동은 여러 가지 경기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사회화 경험을 제공해 줌으로써 유능한 사회인으로서의 사회적 성격을 육성하게 되고 평생체육으로서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확대를 위한 방법으로 지역의 실정을 고려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방안이 제시되어 실시되고 있으나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활동의 참가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가와 사회성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학교 현장에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를 비롯한 학교체육의 활성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6년 전라남도 N시에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를 운영하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을 대상으로 표본 집단을 설정하고 할당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7개교 총 56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수집 후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설문이 누락된 설문은 분석에서 제외한 후 총 527명의 유효 표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작되고 사용된 설문지를 연구 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성 발달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사회성 하위요인인 협동성이 높고, 남학생은 여학생 보다 자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에 따른 사회성의 차이는 도시지역의 학생이 읍면지역의 학생보다 사회성 발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성적과 건강정도에 따른 사회성 정도는 상위 그룹의 학생이 하위 그룹의 학생보다 사회성 발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가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상위규모의 리그에 참가하는 빈도가 높았고 여학생은 교내리그에 참가한 빈도가 높았다. 또한 학년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가 정도에서는 5학년이 6학년보다 단체종목에 참가하는 경우가 많았고 5학년의 경우는 교내리그, 6학년의 경우는 지역 및 시도리그에 참가한 경우가 많았다. 거주지역에 따라 도시지역의 학생이 읍면지역의 학생보다 리그에 참가하는 기간이 길었으며 학업성적과 건강정도가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리그에 참가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참가와 사회성 발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스포츠클럽 리그에 참가한 학생이 참가하지 않은 학생보다 사회성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사회성 발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가규모에 따라 교내리그에 참가한 학생보다 상위 규모인 지역 및 시도리그에 참가한 학생의 사회성(협동성, 자주성, 사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구자숙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스마트폰과의 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부모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의존도를 낮추는 대처능력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초등학생에 미치는 악영향에대해 분석함으로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충청, 전라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는 2022년 6월1일부터 8월31일까지 92일에 걸쳐, 초등학교 및 학원을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42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예비조사 40부와 본 조사 360부를 회수 하였으며 부적절한 30부를 제외한 330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25.0과 AMO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은 스마트폰과의존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거부, 강요, 비일관성은 스마트폰과의존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은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은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은 거부, 강요, 비일관성은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통제력은 스마트폰과의존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논문의 의의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스마트폰과의존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basic data necessary for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on the influence of par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smartphone depend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reliminary surveys of 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Chungcheong-do, and Jeolla-do, and this survey was conducted over 92 days from June 1 to August 31, 2022. A total of 42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of which 40 preliminary surveys and 360 copies of the main survey were collected, and 330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30 inappropriate copies. The data analysis method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rmness,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al provision, which are sub-factors of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e, and rejection, coercion, and inconsistency, which are sub-factors of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warmth,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al provision. Third, the sub-factors of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self-control and self-esteem.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smartphone dependence.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arenting attitude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I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in the effect of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martphone dependence, and based on this, it presente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s.

      • 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기대 차이

        임영선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사의 역할이나 바람직한 교사상의 모습은 시대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므로 현시점에서 교사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기대 차이를 연구하여 그에 알맞은 교사상을 규명하고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교사의 학습 지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셋째, 교사의 생활 지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넷째, 교사의 학급 경영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다섯째, 교사와의 인간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의 기대는 학년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학년, 4학년, 6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표집 방법은 원주시내 전체 초등학교 중에서 2개교를 임의 표집하되, 각 학교의 표집 인원은 2학년, 4학년, 6학년 학생 수를 고려하여 각 학년별로 120명씩 총 720명을 임의 표집 하였다. 그 중에서 자료수집에 필요한 응답을 충실하게 하지 못한 각 학년별 40명씩을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로 통계적 부분에 사용한 최종 대상자는 600명(2학년 남녀 200명, 4학년 남녀 200명, 6학년 남녀 20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학년별 기대에 따른 바람직한 교사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 조사방법을 시도하였다. 질문지는 크게 교사의 개인적 특성 영역, 학습지도 영역, 생활지도 영역, 학급경영 영역, 인간관계 영역 등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교사의 개인적 영역으로는 성별, 연령, 성격(다정하고 친절한 정도), 자질(사랑의 정도), 옷차림(유행의 정도)으로 나누었으며, 학습지도 영역으로는 학습지도 방법(학생 중심의 정도), 학습지도 내용, 과제부여 방법, 과제 미처리 시 지도방법, 성적 중시의 정도로 나누었으며, 생활 지도 영역으로는 지향해야 할 인간상, 쉬는 시간의 활용(자율성의 정도), 학급일의 의사 결정 시 학생 위주의 정도, 학생 잘못의 처리방법 중 체벌의 허용정도, 자리 배치 방법으로 나누었으며, 학급경영 영역으로는 환경구성 내용, 담임재량시간의 운영에 아동의 흥미 반영 정도, 일기장 검사 방법, 학습장 검사 방법, 부모님과의 연락 방법으로 나누었으며, 인간관계 영역으로는 고민거리 의논 상대, 선생님과의 대화 내용, 학생과의 대화 시 중요시해야 하는 사항, 선생님과의 상담 기회, 선생님과 부모님과의 관계(친밀감의 정도)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각 질문응답 문항은 성격에 따라 명명척도와 서열척도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서열척도 문항은 5단계 평정척도로 응답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질문 문항 중 명명척도로 응답하게 한 문항에서는 카이제곱 검증(χ^(2) test)을, 서열 척도로 응답하게 한 문항에서는 일원 변량분석(F검증)을 통하여 분석하고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기대의 측면에서 볼 때 교사에 대한 성별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χ^(2)=10.678, p=.030), 교사의 연령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χ^(2)=58.978, p=.000). 또한 교사의 성격에 있어서 다정하고 친절한 정도에는 학년간 차이가 없었다(F=2.543, p=.079) 아울러 교사의 자질에 있어서 사랑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F=5.791, p=.003), 교사의 옷차림에 있어서 유행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F=24.981, p=.000). 둘째, 교사의 학습지도에 대한 기대의 측면에서 볼 때 학습지도 방법에서 학생 중심의 정도는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F=4.077, p=.017), 학습지도 내용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36.943, p=.000). 또한 과제부여 방법에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X^(2)=43.191, p=.000), 과제 미처리시 지도방법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X^(2)=23.460, p=.001), 성적 중시의 정도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F=43.739, p=.000). 셋째, 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기대의 측면에서 볼 때 지향해야 할 인간상에는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χ^(2)=58.901, p=.000), 쉬는 시간의 활용에 있어서 자율성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F=10.617, p=.000), 또한 학급 일의 의사 결정 시 학생 위주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F=3.292, p=.038),학생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처리 방법 중 체벌의 허용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7.116, p=.001). 그리고 자리배치 방법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를 보였다(χ^(2)=17.399, p=.008). 넷째, 교사의 학급 경영에 대한 기대의 측면을 볼 때 환경구성 내용에 있어서는 학년간 차이를 보였으나((χ^(2)=110.913, p=.000), 담임재량시간이나 특별활동시간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학생의 흥미 반영 정도에는 학년간 차이가 없었다(F=.396, p=.673). 그리고 일기장 검사방법에 있어서는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X^(2)=20.050, p=.003), 학습장의 경우에도 학년간의 차이가 있었다(χ^(2)=15.705, p=.003). 또한 부모님과의 연락 방법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5.872, p=.014). 다섯째, 교사와의 인간관계에 대한 기대의 측면에서 볼 때 고민거리 의논 상대에는 학년간 차이가 있었으며(χ^(2)=15.733, 0=.015), 선생님과의 대화 내용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26.052, p=.004), 또한 학생과의 대화 시 중요시해야 할 사항에 있어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χ^(2)=62.567, p=.000), 선생님과의 상담 기회에서도 학년간 차이가 있었다(χ^(2)=25.717, p=.000). 그리고 선생님과 부모님과의 관계에 있어 친밀감의 정도에도 학년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4.105, p=.000). 따라서 진정한 교육을 위하여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 사이에는 교육적인 대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들은 시대별, 사회별, 학년별 학생 집단간의 기대하는 교사상과 그 역할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그것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융통성과 복합적인 교사상을 추구하는데 계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 data needed to perform teachers roles and examining into the image of desirable teachers through studying the expectation difference of teachers at the present situation supposing that teachers roles or the image of desirable teacher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imes. On the basis of the aim, I set up subjects as follows. First, Does a teachers individuality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Secondarily, what difference by grades does the expect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by Teachers teaching have? Thirdly, what difference by grades does the expect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by teachers life guide have? Fourthly, what difference by grades does the expect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by teachers class operation? Fifthly, what difference by grades does the expectation of the primary school students by human relations to teachers? The study sampled students in the 2nd grade, 4th grade and 6th grade of primary schools located in Wonju-city, Kangwon-do, Korea. The method sampled selected 2 primary schools at discretion of primary schools in Wonju-city, that is, choosing total 720 students each 120 of the grade in consideration of numbers of 2nd, 4th and 6th. Of them, I excepted 40 students who did not respond sincerely. The final sample was 600 students (each 200 of 2nd , 4th and 6th grade female and male students). The study used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teachers desirable role that students expected. The questionnaire was formed of the teachers individuality, teaching, guiding school life, class operation, human relations, etc. as about 5 areas. The individuality was divided into sex, age, character (tenderness degree), quality (affection degree) and dress, the teaching was divided into the method (how much focused on students), contents, the method how to set a task, the method of teaching in a case that a student did not finished the given task and how much taking a serious view of a students academic records, the guiding life area was divided into the image of model student, rest hours (the degree of self-controlling), how much focusing on students when deciding the class affairs, how much permitting corporal punishment to a students fault and the way to place seats, the class operation area was divided into contents of environmental composition, how much reflecting students interesting during the class teachers discretional hours, the way to examine students diaries, the way to inspect students notebooks, the method to contact students parents, the human relations was divided into taking companions when having troubles, contents talking with teacher, matters of importance when talking with students, counseling opportunity with teacher and the relation of parent and teacher (Intimacy degree). Each questionnaire item had to be responded according to the measure of clearing or ranks and the ranks had 5 levels.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PROGRAM. The items for the measure of clearing passed χ^(2) test and the items for the measure of ranks passed F inspection. And they was examined whether the difference among groups was or no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x of teacher had difference by grades the expectation for teachers individuality (χ^(2)=10.678, p=.030), the age of teacher has difference by grades (χ^(2)=58.978, p=.000), the tenderness of teacher did not have difference among grades(F=2,543, p=.079), the affection of teacher had difference among grades(F=5.791, p=.003), the dress of teacher had difference among grades(F=24.981, p=.000) according to the degree of a new fashion. Secondarily, in the aspect of teaching, the degree to focus on student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F=4.077, p=.017), the contents of teaching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36.943, p=.000), the method to set a task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43.191, p=.000), the method to teach when student did not finish the given task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23.460, p=.001), the degree that teacher had a serious view of students academic record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43.739, p=.000). Thirdly, in the aspect of teachers life guide, the image of model student did not have difference among grades (χ^(2)=58.901, p=.000), the self-controlling during rest hour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F=10.617, p=.000), the degree to focus on student when deciding the class matter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F=3.292, p=.038), the method of corporal punishment when student made fault matter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F=7.116, p=.001) and the method to place seats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17.399, p=.008). Fourthly, in the aspect of teachers class operation, the environment composition had difference among grades (χ^(2)=110.913, p=.000), the operation of Teachers discretional hours or extracurricular hours did not have difference among grades (F=.396, p=.673), the method to examine students diaries had difference among grade(X^(2)=20.050, p=.003), the notebooks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15.705, p=.003) and the way to contact parent had difference among grade(χ^(2)=15.872, p=.014) Fifthly, in the aspect of teachers human relations, the talking companion when student had troubles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15.733, p=.015), the contents of talking with teacher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26.052, p=.004), the matters of importance when talking with student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62.567, p=.000), the counseling opportunity with teacher had difference among grades(χ^(2)=25.717, p=.000), and the degree of intimacy between teacher and parent had difference among grades(F=34.105, p=.000). Therefore, to pursue the real edu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an educational convers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nd teacher and parent has to be made, teacher has to positively accommodate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image of teacher and the role by times, societies and school grades and make effort to pursue the adaptability and complexity of teachers image to immediately cope with the situation.

      •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관련된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유은일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placed increasingly in integrated educational settings and the number of schools participating in such integration programs are increasing as well. To achieve success in integrated education settings, it is most vital that non-disabled children can perceive disabilities with receptive and positive attitude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ich factors are associated with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 toward disabilities. Major variables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s acceptance of disabilities can be categorized into demographic variables, integrated education variables, education regarding disabilities variables, and other variables.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such variable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807 students from third to sixth grade and the scale used to measure the attitude of non-disabled students towards disabilities was the "I would like to build friendships like this with friends with disabilities" scaled previously us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of Korea in 1997.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SPSS 18.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nd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religion showed no such differences. Second, integrated education variables such as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age at first exposure to integrated education, degree of integrated educ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Third, education regarding disabilities variab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Forth, variables of whether there is a presence of a family member with disabilities and whether one has experience of volunteering at a disability related center which were categorized as 'other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Lastly, comparison of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each variables on the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showed that grade had the greatest contribution, followed by the presence of a family member with disabilities, length of integrated education, gender, volunteer experience at disability related centers in such order.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for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ixth grade students and students with more than four years of integrated education. Also, education regarding disabilities should be started early in preschool or kindergarten to help children understand and respect friends with disabil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given to volunteer opportunities to establish close and direct interaction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order for them to cultivate their attitudes respectful towards those with disabilities. 장애학생의 교육환경은 통합교육으로 바뀌고 있으며, 통합교육을 시도하는 학교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비장애아동의 장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수용적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관련된 주요 요인들을 밝히고자 한다. 장애수용태도와 관련이 되는 요인을 크게 인구학적 변인, 통합교육변인, 장애이해교육 변인, 기타 변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요인들의 상대적 연관성의 수준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는 광진구, 강동구, 송파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33개 학급을 임의 표집하였으며, 3-6학년 학생 807명을 대상으로 장애수용태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빈도와 백분율),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변인인 성별,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학년 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가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학년 학생들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통합교육 변인인 통합교육 경험 유무, 통합교육 최초경험시기, 통합교육 경험 정도에 따라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을 경험한 학생이 장애수용태도가 긍정적 이었으며, 통합교육 경험 시기는 빠를수록 장애수용태도가 긍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최초경험시기가 늦으면 장애수용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 경험시기가 취학 전인 경우에는 장애수용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 시기가 이르면 이를수록 편견 없이 장애를 이해하고, 장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다른 결과이다. 유치원/어린이집에서부터 장애친구를 이해하고 존중하고, 배려하며 장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장애이해교육 변인인 장애이해교육 경험 유무는 장애이해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이 교육을 받은 학생보다 장애수용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지만 장애이해교육을 받은 학생의 장애수용태도가 긍정적이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보인다. 장애이해교육을 했다는 것에만 의의를 두지 말고, 그 내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내용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통합교육 경험 정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의 차이는 통합교육 경험이 1-3년까지는 오래 통합교육을 경험한 학생의 장애수용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4년 이상 경험 한 학생은 장애수용태도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친구와 4년 이상 함께 지내는 아이들에 대해서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필요한 지원을 해줄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기타 변인으로 장애친인척 여부와 장애관련 봉사활동 경험 여부에 따라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인간적이고 직접적인 접촉은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고등학생들에게만 봉사활동을 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초등학생들에게도 봉사활동 의 기회를 주어 장애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장애인을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게 하면서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수용태도 관련 요인들의 상대적 연관성의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관련성이 가장 높은 변인은 학년이며, 그 다음으로 장애친인척 여부, 통합교육 경험 기간, 성별, 장애관련봉사활동 경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6학년 학생들과 4년 이상의 통합교육 경험을 한 학생들에 대해서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필요로 하는 지원을 해주어야한다. 또한 취학 전인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부터 장애친구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장애이해교육을 제도화하고 초등학생들에게 장애인과의 인간적이고 직접적인 접촉을 할 수 있는 봉사활동의 기회를 주어 장애인을 수용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길러주어야 한다.

      •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학생 수준 및 학급 수준 변인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최준섭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급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한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및 학급 수준의 다양한 변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과 경로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8개 지역(서울, 경기, 인천, 대전, 세종, 부산, 충북, 전북)의 초등학교 6학년 71개 학급의 1,670명의 학생과 71명의 담임교사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설문조사 자료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였고, 학생-학급의 2수준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위해 Mplus 7을 사용하였다. 구조 모형의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교사경력, 학급규모, 교사성별 간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여 변인 간의 구조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 모형에서 성별을 통제하고 분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은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급 수준의 변인은 교사애착, 학급응집성(부 모형 제외), 담임교사경력, 학급규모로 나타났다.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담임교사경력은 관계적 공격성에 대해 각각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급규모의 경우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담임교사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학생 수준의 개인 요인 및 학급 수준의 환경요인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본 결과,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수준이 학급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급 환경 역시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적 공격성은 학생-학급의 2수준에서 분석하는 것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관계적 공격성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 등 본 연구의 주요변인들이 비교적 최근부터 주목받기 시작하여 관련 연구들이 부족한 가운데 특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한 변인들의 구조 관계 모형을 학생 수준과 학급 수준에서 검증하여,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은 개인뿐만 아니라 학급 환경에 밀접한 영향을 받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사회적, 교육적 관심 및 이에 대한 대책 및 개입에 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이해, 건강한 심리정서 발달 및 학교폭력 예방과 개입 등과 관련한 임상 및 상담심리, 학교상담 차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초등학생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강명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초등학생 시기는 가족을 벗어나 또래와 어울리면서 사회성을 발달시키고 성취감을 경험하는 중요한 시기다. 그러나 지금의 초등학생들에게는 사회성과 성취감을 발달시키는 데 많은 방해요인이 있다. 즉, 맞벌이 부모가 증가하면서 부모들은 자녀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초등학생들은 사교육을 받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또래와 어울릴 시간이 부족하다. 또한 초등학생의 일부는 또래로부터 언어폭력, 집단 따돌림, 스토킹, 신체 폭행, 사이버 괴롭힘을 당하거나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한 채 학교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초등학생 시기에 또래로부터 지속적으로 거부 또는 괴롭힘을 당하면 좌절하고 낙담하게 되어 사회성 발달은 물론 학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에게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좌절과 낙담 상황에서도 자기 자신을 격려하고 극복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학생을 위한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자기격려의 구성요소는 인지적 자기격려, 행동적 자기격려, 정서적 자기격려이며, 사회적 관심의 구성요소는 행동과 태도이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예비연구에서 발견된 한계점을 보완하여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 증진 프로그램 개발 모형은 각 구성요소에 맞는 활동에 초점을 두었으며,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을 증진시키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지역 초등학교 6학년 30명이며 이들은 모두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표시하였다. 이들은 미성년자이므로 학부모에게도 동의를 받았다. 그런 다음 이들을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였고 이들에게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프로그램 실시 기간은 2017년 6월 13부터 7월 7일까지이며, 이 기간 동안 실험집단(15명: 남 8명, 여 7명)에게 프로그램을 주 3회 50분, 총 12회기로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반면, 통제집단(15명: 남 8명, 여 7명)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유지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1개월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여 양적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 검사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 검사의 점수는 사전검사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추후검사 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은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이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을 증진시키는 교육적 환경 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위해 Adler 개인심리학의 학문적 성과를 배경으로 초등학생의 열등감 해소, 잠재력 발견하기, 자기 자신을 격려하기, 사회적 관심 및 또래와 사회적 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생에게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한 것도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K지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를 전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른 지역과 다른 연령의 대상 집단에 실시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자는 초등학생에게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 증진 12회기 프로그램을 1회 실시하여 1개월 후의 추후 검사에도 효과가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장기적으로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의 정도를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자기격려와 사회적 관심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rogram for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its effect. The elementary school age is an important time to develop sociality and to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while getting along with peers away from the family. But for curr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are many obstacle factors in developing sociality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That is, as parents spend less time with their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nd more time in receiving private education as the number of dual-earner parents increas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 not have time to socialize with their peers. Also, so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harassed by their peers by way of language violence, bullying, stalking, physical assault, and cyber bullying, and spend their time in school without forming a sense of intimacy. In this way, when students are constantly denied or harassed from their pe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ge, they become frustrated and discouraged, which affects their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academic work. Therefo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s required in which to enhance their social interest and to encourage themselves even in a situation of frustration and discouragement. Accordingly, an effort was made in this research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used for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enhanc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preceding studies on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have been examined, and based on the result components of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have been derived. The components of self-encouragement are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nd components of social interest are behavior and attitude. We constituted a program based on these components and implemented a preliminary research before we constituted the present program by complementing limitations discover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focus of the development model for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enhancement program was placed on activities that fit each component, and the ultimate goal wa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enhancement. The target of this research was 30 6th 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that is located in K region, and all of the target students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voluntarily. Since they are minors, their participation was also agreed to by their parents. Then, 15 students each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nd they were subjected to a pre-test on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As a result, homogeneity of the target students was secured. The period of the program implementation was from June 13, 2017 to July 7, 2017. During this period, we conducted the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50 minut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o the experimental group (15 students: 8 male and 7 female). In contrast, no corresponding program was implemented to the control group (15 students: 8 male and 7 female). After conducting the program, a post-test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target. In addition, after 1 month, a follow-up tes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 of the program is maintained. As for method of data analysis, quantitative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cores of self-encouragement test and social interest tes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trast, the scores of self-encouragement test and social interest test fo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score of the pre-test. In the result of the follow-up test, it was confirmed that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aintained. This suggests that our program had the expected effect on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enhanc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at it raised the need f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enhance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at it developed a program that can be used to solve the inferiority sen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scover their potential, promote their self-encouragement, enhance their social interest, and improve their social relationship vis-a-vis their peers agains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nd verified its effect.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is research ascertained the importance of the parents’ and teachers’ role as an element that affect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was aim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 region,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scertain whether an identical outcome will result in subsequent researches that are implemented with different age groups of other region as target. Second, in this research, the result of a 12-session program conducted once h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enhancement was maintained even in a follow-up taken one month later. Still, it seems that there will be certain limitation in maintaining the effect in a long-term.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give opportunities for continuous and varied programs of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interest enhancemen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ividual psychology, self-encouragement, social interest

      • 초등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관계 연구

        박옥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에 따른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초등학생의 학년에 따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초등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수준에 따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소재 6개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조망수용능력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은 Selman과 Byrne(1974)의 사회적 조망수용 과제를 번안하여 질문지로 재구성하였고, 친구간 갈등해결전략 측정을 위해 McGill친구관계 질문지 갈등해결방식을 이은해, 고윤주, 오원정(2000)이 번안한 내용을 기초로 연구대상의 아동에 맞게 적절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X^(2)검정, t검정,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 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년에 따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1은 입증되었다. 학년에 따른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지배(1학년), 회피(2, 3, 4학년), 절충 및 협력(5, 6학년)의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2는 입증되었다. 성별에 따른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절충 및 협력전략과 지배전략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절충 및 협력의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지배전략은 남아보다 적게 사용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수준에 따른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3은 입증되었다. 조망수용능력 수준이 높은 집단은 절충 및 협력의 갈등해결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조망수용능력 수준이 낮은 집단은 지배의 갈등해결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생의 학년에 따른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은 지배(1학년), 회피(2, 3, 4학년), 절충 및 협력(5, 6학년)의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학년이 높아지면서 인지능력과 타인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조망수용능력이 발달하여, 지배전략 보다는 회피나 절충 및 협력의 갈등해결전략을 점차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에서 여아는 절충 및 협력의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남아는 지배의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아동의 성에 따른 사회화 과정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초등학생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상대방의 관심에 주의를 기울이는 절충 및 협력의 갈등해결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조망수용능력 수준이 낮은 아동들은 자신의 욕구에 더 관심을 두는 지배의 갈등해결전략은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조망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보다 효과적인 갈등해결전략을 사용하며, 조망수용능력이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래들과 관계를 증대시키고 바람직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관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사회인지 측면의 조망수용능력 등의 사회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노력과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in the peer relationship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hypotheses were set up as follows: Hypothesis 1.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elementary student's grade. Hypothesis 2.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elementary student's gender. Hypothesis 3.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elementary student's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re were two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he subjects were from first grade to sixth grade students at six elementary schools in P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SSWIN(X^(2)-test, T-test, one way ANOVA). Through these analyses,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s: Hypothesis 1 was proved. Ther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elementary student's grade. The dominating strategy was the most favorable for the 1st graders. The avoiding strategy was the most favorable for the 2nd, 3rd, 4th graders. The compromising-integrating strategy was the most favorable for the 5th, 6th graders. Hypothesis 2 was proved. Ther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elementary student's gender. Ther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ccording to sex. Girls were reported to use the compromising -integrating strategy more and the dominating strategy fewer than boys. Hypothesis 3 was proved. Ther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peer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tudent's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level. It was shown that the high level of the elementary student's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was correlated to the compromising- integrating strategy and the low level of elementary student's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was related to the dominating strateg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tudent's grade. Second,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tudent's gender. Third,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tudent's soci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level.

      • 아바타가 학급 홈페이지 몰입 및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성원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는 교육에 있어서도 기존의 전통적 면대면 수업과는 다른 방식의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에 현장에서는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기존의 소양 교육 위주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반성으로 다양한 ICT 활용 교육이 시도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의 일종인 학급 홈페이지를 자발적으로 구축하여 학생, 학부모와의 대화 채널로 활용하거나 학습지도나 생활지도를 사이버 공간으로까지 확장하여 실시하는 교사들이 늘어가고 있다. 학급 홈페이지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이버 공간의 부정적 측면을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연습의 장으로, 교사와 동료 학생, 부모님과의 의사교환의 장으로, 학습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업적 온라인 커뮤니티에 비해 몰입 요소가 부족하여 쉽게 식상해 하곤 한다. 이러한 점에서 학급 홈페이지의 구축 목적을 충분히 도달하기 위해서는 몰입 요소가 필요하며, 이러한 몰입요소로 아바타를 활용하게 되었다. 한편, 초등학생들은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과 정보통신윤리교육의 부재로 인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자아의 확장을 통한 긍정적 사이버 자아를 형성하지 못하고 각종 사이버 범죄나 사이버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되기도 한다. 하지만 아바타의 등장으로 기금까지의 사이버 자아 형성과는 다른 양상을 띄게 되었는데, 아바타는 현실 공간의 신체와 같은 역할을 하며 익명과 실명의 중간적 성질을 가지므로 건전한 사이버 자아를 형성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의도로 시작된 본 연구는 학급 홈페이지에 아바타를 접목하여 활용함으로써 학급 홈페이지에의 몰입 요소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와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급 홈페이지에 아바타를 활용하는 실험 집단과 아바타를 활용하지 않는 비교 집단을 구성하여 7주간 학교와 가정에서 학급 홈페이지를 사용하도록 한 후 몰입도와 사이버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실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홈페이지에서의 아바타 활용 유무에 따른 몰입도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급 홈페이지의 교육적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한 몰입 요소로써 아바타가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몰입도의 하위 차원인 집중, 자연스러운 수행, 내재적 동기에 대하여 아바타가 미친 영향을 분석해 보면, 집중과 내재적 동기에 대하여서는 아바타 활용 유무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자연스러운 수행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연스러운 수행 차원에서는 아바타를 활용한다고 해서 학급 홈페이지에서의 각종 활동들을 더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아바타의 유무보다는 웹페이지의 인터페이스나 도움말의 유무, 사용자의 ICT 활용 능력에 좌우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별은 몰입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는데, 이것은 초등학생들이 아바타를 활용함으로서 얻게 되는 학급 홈페이지에의 몰입도가 남녀 학생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초등학생들은 청소년기의 초기 단계로 아직 성인들만큼 아바타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는 않는 걸로 생각되며 남녀 학생들이 아바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학급 홈페이지에서의 아바타 활용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급 홈페이지에서 아바타를 활용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이버 자아개념의 하위 차원인 자아정체감, 자기의식, 자존감에 대하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자기의식과 자존감에 대하여서는 아바타 활용 유무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자아정체감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은 아바타를 활용함으로써 학급 홈페이지와 사이버 공간 속의 자신에 대해 상황적 요인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자신을 지각하게 되고 자기 자신을 좋아하게 되는 경향이 생긴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아바타를 활용한다고 해서 일관되고 동질적이거나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독특한 사이버 자아를 구축하지는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성별은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것은 학급 홈페이지에서의 아바타 활용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개념에는 남녀 학생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성별에 따른 몰입도에서와 마찬가지 결과로써, 초등학생들이 청소년기의 초기 단계에 속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독특한 사이버 자아를 구축하는 데에는 다른 많은 변수들이 작용하고 있으며 더 많은 시간과 경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학급 홈페이지의 구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몰입 요소로써 아바타가 충분히 작용할 수 있다는 것과 아바타의 활용이 초등학생들의 긍정적 사이버 자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t is demanding to grope studying method of way that knowledge information social arrival is different from class if is existent traditional face-to-face confrontation is in education. The importance about ICT practical use education rose in spot hereupon and various ICT practical use education is tried by self-examination about existent computer grounding education. Teachers who construct class homepage that is kind of on line community voluntarily and utilize this to conversation channel with a student, students' parents or extend studying guidance or educational guidance to cyber space and enforce are being on the increase. Class homepage can solved negative of cyber space in some degree naturally with on-line community, to place of practice about on line community to students, teacher and a colleague student, can be utilized to place of opinion exchange with parents and to place of studying. However, immersion constituent used to be surfeited easily because is lacking than commercial on-line community. In terms of is such, construction purpose of class homepage to reach enough immersion element need and used avatar on these immersion constituent. In the meantime, elementary students are revealed. shieldlessly various cyber crimes or cyber violence without forming affirmative cyber self through self's extension from cyber space by anonymousness of cyber space and absenc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moral principle education. However, had aspect that is different from cyber self formation until now by avatar's entrance on the stage, avatar was thought to help to act role such as body of actuality space and form wholesome cyber self because have middle nature of anonymity and autonym. This research that is begun by these intention wished to recognize about whether can do function as immersion element to class homepage and whether cause some effect to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by using avatar on class homepage. For this, after do to use class homepage school and home for 7 weeks composing testing group which use avatar on class homepage and comparison group which do not use. avatar, execute immersion degree and cyber self concept examination and analyzed result.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research and experiment result, conclusion that get is as following. First, It was expose that it is in immersion degree by that use avatar and that do not in class homepage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avatar can do function enough as immersion element to achieve enough educational purpose of class homepage. If avatar analyzes effect that reach about concentration, effortless performance of skills, internal motivation that is low position of immersion degree, express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at use and that do not avatar about concentration. and internal motivation but significant difference did not appear about effortless performance of skills. Even though effortless performance of skills uses avatar, can not achieve various activitys in class homepage more naturally. This is thought that is tended to influence in web page's interface or utilization of help, user's ICT practical use ability than avatar's utilization. Distinction of sex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 in immersion degree, this shows that immersion degree to class homepage which get as that elementary students use avatar is no difference between a man and woman student. Difference is thought that is not to ideas which elementary students are thought that do not receive avatar seriously as adults vet as childhood of juvenescence and man and woman students have about avatar. Second, It was expose that it is to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by that use avatar in class homepage and that do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could confirm that can cause affirmative effect in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formation by using avatar in class homepage. If analyze result about Ego Identity, Self-Consciousness, Self-Esteem that is low position of cyber self concept, express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at use avatar and do not about Self-Consciousness and Self-Esteem but significant difference did not. appear about Ego Identity. Elementary students show that tendency that feel own continuously independently of situation about own of class homepage and cyber space substance and like myself using avatar occurs. However. it is been consistent even though. use avatar and copper qualitative be or confirm that. do not construct peculiar cyber self who is differentiated with other person can. However, confirmed that do not construct peculiar and consistent cyber self who is differentiated with other person even though use avatar. Also, distinction of sex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 to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This shows that it is no difference between a man and woman student to elementary student's cyber self concept by that use avatar in class homepage and that do not. Elementary students of this are thought as same result with immersion degree by distinction of sex that more times and experience need other much variables are acting to construct only own peculiar cyber self because belong in childhood of juvenescence. This is as same result with immersion degree by distinction of sex, Elementary students are thought that more times and experience need other much variables are acting to construct only own peculiar cyber self because belong in childhood of juvenescence. Through these conclusion, I could know that avatar acts enough as immersion element to achieve construction purpose of class homepage and that use avatar helps in affirmative cyber self formation of elementar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