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연희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ptimism and self-efficacy on older elementary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2 boy and gir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Yangsan. The measuring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Optimism scale , Self-efficacy Scale,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programs. Cronbach's a coefficient was produced in order to verify reliability of each scale. In additon, Parsons'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optimism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older elementary student's optimism i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and self-efficacy. Second ,correlational analyses also showed that older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i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and optimism Third, In the correlation of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 two factors - optimism and self-efficacy- optimism and self-efficacy was thought to explain affirmative affection to recognizable school adjustment . Finally,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언플러그드 인공지능 교육이 초등 고학년의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명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사회 어느 분야를 보더라도 인공지능 기술이 전혀 적용되지 않는 분야는 찾아보기 어렵다. 지금보다 더욱 발전한 인공지능이 더욱 폭넓게 널리 퍼져 있을 미래 사회에서 인간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능력은 인공지능을 인류에게 유용하게,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이다.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플러그드 인공지능 교육이 AI 리터러시에 갖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AI 리터러시 향상’을 목표로 8차시의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경기도 소재 N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 23명의 학생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대조군 24명의 학생에게 같은 내용을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교육으로 적용하였다. AI 리터러시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두 집단에 각각 실시하여 AI 리터러시 향상 정도를 비교 분석한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언플러그드 교육 프로그램은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하는 데 무리가 없었으며 다양한 학급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로 다른 교육 환경을 가진 학생들은 대부분 교육 활동에 흥미를 보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3주에 걸친 교육이 끝났을 때 인공지능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AI 리터러시를 향상하는 데 언플러그드 교육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 사전-사후 AI 리터러시에 대한 검사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AI 리터러시가 향상되었으며 그 정도가 ICT를 활용한 교육을 실시한 대조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언플러그드 인공지능 교육은 AI 리터러시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In today's society, it is difficult to find a field where n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pplied. Conversely, AI technology can now be applied in almost all fields. In the future society where more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spread more widely than now, the most important new ability required of humans is AI literacy that can use artificial intelligence usefully and safely for manki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cultivate thi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an unplugged environment on AI literacy, an unplugged education program for the 8th class was devis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AI literacy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wo 5th grade classes at 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23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ame contents were applied to 24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s education us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I literacy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 each of the two group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egree of AI literacy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unplugged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not difficult to apply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and was applicable to various class environments. Most of the students with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showed interest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ir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ncreased when the three-week education was ove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unplugged educa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AI literacy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 and post-AI literacy 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AI ​​liter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and the control group that conducted education using IC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conducted in an unplugged environment was effective in improving AI literacy.

      • 초등학교 고학년의 인지적 및 정서적 실행기능 발달과 부모 양육 태도

        문효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cool executive fun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and parenting, with 1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5th, and 6th grades as the subjects. To understand the cool executive function and hot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subjects to perform the Flanker task, Digit span task, and the Iowa gambling task. Additionally, an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children. We also administer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Lim Ho-chan, 2010) to parents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order to examine parenting attitud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oop effect of the Flanker task, measuring inhibition control among cognitive executive function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age. Moreover, there was no age-related difference in the Digit span task measuring working memory. Conversely, 4th grade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the 6th grade students on the Iowa gambling task that measured hot executive function. In addition, there were no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 questionnaire that measured attention, shifting, planning and organizing,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adjustment deficits. Second,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 and sub-types of parenting attitudes. High expectations of parent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ficits in attention, shifting, planning and organizing,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control as well as inhibition control and working memory. This finding means that parental high expectation is the parenting attitude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executive functions of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parental expressions of suppor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working memory and shifting ability, and high involvement and punishmen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working memory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control deficits. Finally, parental pressure for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hot executive functioning ability.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 5, 6학년 101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인지적 실행기능과 정서적 실행기능의 발달과 부모 양육 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아동의 인지적 실행기능과 정서적 실행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플랭커 과제(Flanker Task), 숫자 따라하기, 아이오와 도박 과제(Iowa Gambling Task)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 양육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에 참가한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 양육 태도 척도(임호찬, 2010)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실행기능 가운데에서 억제통제를 측정하는 플랭커 과제의 스트룹 효과는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작업기억을 측정하는 숫자 따라하기에서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정서적 실행기능을 측정하는 아이오와 도박 과제에서는 4학년이 6학년에 비해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이외에 주의집중, 전환, 계획 및 조직화, 행동 및 정서조절의 결함을 측정하는 실행기능 결함 질문지에서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실행기능과 부모 양육 태도의 하위 유형 간에 관계가 나타났다. 부모의 과잉기대는 억제통제와 작업기억 뿐 아니라 주의집중, 전환, 계획 및 조직화, 행동 및 정서조절의 결함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이는 부모의 과잉기대가 초등학교 4, 5, 6학년의 실행기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양육태도임을 의미한다. 이밖에도 부모의 지지표현은 작업기억과 전환능력의 결함과 상관이 높았고 간섭과 처벌은 작업기억과 행동 및 정서조절 결함과 상관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성취압력은 정서적 실행기능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교 고학년의 또래관계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관계와 사회불안

        고은아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또래관계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관계와 사회불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351명을 선정하였고, 연구 도구는 한국형 부모-자녀관계 척도,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 또래관계기술 척도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별에 대한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어머니를 더 친밀하게 지각하고 아버지를 엄격하게 지각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또래관계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4학년이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5학년에서 6학년으로 연령이 증가할 때 사회불안을 더 느낀다고 나타났다. 또한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는 막내가 어머니를 더 친밀하게 지각하였고, 또래관계기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사회불안이 낮고, 부모-자녀관계가 긍정적일수록 또래관계기술이 높았다. 또한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또래관계기술이 낮고, 사회불안이 낮을수록 또래관계기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아동의 성별에 따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이 어머니와 친밀한 관계를 가지고 아버지를 존경하고 헌신적으로 지각할수록 또래관계기술이 높았다. 그러나 아동이 사회상황에서 회피하거나 불안이 높을 땐 또래관계기술이 낮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와 낮은 사회불안이 또래관계기술의 향상의 토대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ocial anxiety that affect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peer relational skills. For the research subjects, 351 4th, 5th and 6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do were recruited. As for research tools, Korean vers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cal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peer relational skill scale were employ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edi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difference by gender, female students felt friendlier with mother, and considered father strict more than their counterpart did. Girls were revealed to have higher peer relational skills than boys.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by grade, 4th graders perceived parent-child relationship positively, and students felt more social anxiety when going from 5th to 6th grade. The difference by birth order showed that the youngest felt mother friendlier and had higher peer relational skills. Second, the more positiv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lower the social anxiety and the higher the peer relational skill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ose with higher social anxiety showed lower peer relational skills, while children showing lower social anxiety had higher peer relational skills.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peer relational skills according to gender. Children who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mother and who respect father and consider him devoted showed higher peer relational skills. However, when children avoided social situations or showed high anxiety, their peer relational skills decreased. In conclusion, this research implies that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low social anxiety can improve peer relational skills.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관한 분석

        박승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이 길이, 들이, 넓이를 어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전략을 학년별로 분석한 후, 학년 간에 나타난 어림 측정 전략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영역별로 알아봄으로써, 아동들의 어림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길이를 어림할 때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대하여 1-1. 5, 6학년 학생들의 길이에 대한 어림 측정 전략은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1-2. 또 5, 6학년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어림 측정 전략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 들이를 어림할 때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대하여 2-1. 5, 6학년 학생들의 들이에 대한 어림 측정 전략은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2-2. 또 5, 6학년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어림 측정 전략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3. 넓이를 어림할 때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대하여 3-1. 5, 6학년 학생들의 넓이에 대한 어림 측정 전략은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3-2. 또 5, 6학년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어림 측정 전략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연구를 위하여 부산에 있는 J초등학교 5, 6학년 각 학년에서 임의로 한 학급씩 선정하여 각 학년별 수학 성취 수준이 상․중․하인 아동 6명씩 총 3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속성과 대상은 이름이 붙어 있으나 측정값은 알지 못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아동들이 학교에서 접할 수 있는 대상들을 바탕으로 길이, 들이, 넓이 각 영역별 4문항씩 총 12문항을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였다. 예비검사를 통해 검사 도구 및 검사 문항을 일부 수정한 후, 본 검사인 실기검사를 통해 아동들의 문항별 진술과 면담, 관찰 등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두 학년 모두 길이를 어림할 때 기준척도 전략, 분해/재구성 전략, 눈어림 순으로 많이 사용하였으며, 정형과 비정형의 문제 유형에 따라 5학년은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차이가 있었으나 6학년은 없었다. 2) 들이를 어림할 때, 5학년 아동들은 높이로 어림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6학년은 부피공식을 이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6학년의 부피 공식을 제외하고는 높이, 기준척도 전략, 분해/재구성 전략, (밑면의 지름)×(높이), 무게, 눈어림의 방법이 두 학년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두 학년 모두 문제 유형에 따른 전략의 차이는 없었다. 3) 넓이를 어림할 때 넓이 공식과 기준척도 전략, 분해/재구성 전략, 길이로 어림하기가 5, 6학년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다. 그 중 넓이 공식을 이용한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는데 특히, 비정형인 모양의 넓이를 어림할 때에는 아동 자신이 알고 있는 공식을 적용하기 위해 비정형을 정형인 모양으로 변형하여 넓이를 어림하였다. 4) 들이 어림 측정 전략의 입체도형의 부피공식(6-가, 나 단계)과 넓이 어림 측정 전략의 원 넓이 공식(6-나 단계)은 이것을 학습한 6학년에서만 나타났으며, 이 두 전략을 제외하고는 각 영역별로 학년에 관계없이 어림 측정 전략의 유형이 같았다. 5) 측정 영역별로 어림 측정 전략이 다양하지 못하고, 어림 상황에 따라 어림 전략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해 각 영역별 어림 전략에 대한 지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6) 어림 측정 전략이 길이, 들이, 넓이 영역 순으로 좀더 다양하고 유연하게 사용되었으며, 참값±10% 이내의 정답률에 있어서는 길이, 넓이, 들이 영역 순으로 높았다. 특히, 들이와 넓이의 참값±10% 이내의 정답률은 심각하게 저조하였다. 7) 사용한 어림 전략의 다양성에서는 5학년이 높았지만, 정답률(참값±10% 이내)에 있어서는 6학년이 5학년보다 더 높았다. 이는 6학년 아동들이 들이와 넓이 어림에서 공식을 이용한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측정 영역별로 2개 이상의 전략을 사용하는 아동의 수가 5학년에 비해 적었다. 어림 전략의 다양한 사용과 정답률과는 관계가 없었다. 8) 들이를 어림할 때 5학년 아동들과 6학년 하 수준의 아동들이 높이로 어림하거나, 넓이를 어림할 때 일부의 아동들이 길이로 어림하는 등의 잘못된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들이와 넓이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다양한 측정 경험이 요구된다. 9) 들이나 넓이를 어림할 때 공식을 많이 사용하여 어림 능력이 연산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또한 그것이 주로 지필 계산으로 이루어져 어림 측정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이는 측정 지도가 계산 위주로 이루어지는 우리 교육 현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상 수준으로 갈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10) 하 수준의 아동들은 중 수준과 상 수준에 비해서 어림 방법이 명확하지 않고, 감각적으로 어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단위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 전혀 엉뚱한 방법으로 어림하는 경우가 있었다. 11) 하 수준의 일부 아동들은 자기 표현력 부족으로 실기 검사지만으로는 어림 측정 방법을 제대로 알 수가 없어 사후 면담은 어림 측정 전략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12)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접하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수치와 어림 활동을 관련시켜 어림 측정 감각이 정착화되도록 해야 한다.

      •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가공식품섭취빈도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연구

        구남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아동기는 신체적, 정신적 성장 및 발달과 함께 교육과 인격형성의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의 영양불량이나 과다로 인한 영양 불균형 또는 건강장애는 신체적 성장, 발육뿐 아니라 정서적, 지적 발달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런데 최근 식품산업의 발전과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으로 가공식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아동 및 청소년들이 가공식품, 편의식품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등 영양섭취 불균형이 두드러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섭취빈도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 5개 초등학교의 5, 6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남 ․ 녀 학생 총 39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모두 대체적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이 높고, 학업성취도가 낮은 그룹에서 컴퓨터를 더 오래, 자주 사용하고 있었고, TV시청시간이 길었으며, 식습관이 좋지 않은 편이었고 특히, 아침결식률이 높았다. 또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특성이 낮고,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남녀 모두 식품섭취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채소반찬류의 섭취가 높았으며, 남학생 보다 여학생에서 가공식품섭취빈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좋은 식습관을 가지고 식품군에 따른 다양한 음식들을 골고루 섭취하며, 가공식품의 섭취를 줄이도록 아침식사의 중요성, 식품군과 급원식품, 식품첨가물의 유해성 및 가공식품의 문제점 등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고 바람직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지속적인 교육이 시행되어야 하며, 급식에서도 되도록 가공식품의 사용을 자제하도록 하고, 학생들의 채소류섭취 증진을 위한 다양한 조리방법 적용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가정통신문을 통하여 가족구성원의 협조를 구하여 영양교육의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와 동시에 학생들의 컴퓨터나 TV사용에 있어서 부모의 적절한 개입이 요구되는 등 학생들의 바른 생활습관 정립을 위한 노력도 함께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부모 참여 성교육 프로그램 효과

        엄진숙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성교육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생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교육 프로그램과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각각 수행한 후 그 효과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 안양 일부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BMI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김가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안양 지역 소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643명을 대상으로 BMI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조사하여 신장과 체중, 식습관 및 생활습관과 BMI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향후 아동기 학생들의 균형 잡힌 영양섭취를 유도하고 올바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을 만들기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643명중 남학생 324명(50.4%), 여학생 319명(49.6%)이었으며, 학년에 따라 4학년 186명(28.9%), 5학년 201명(31.3%), 6학년 256명(39.8%)이었다. BMI 분포는 정상체중이 523명(81.3%)으로 가장 많았으며, 저체중 33명(5.1%), 과체중 62명(9.6%), 비만 25명(3.9%)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BMI에서 정상체중 학생들 중 83.6%가 하루 3번 식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체중(9.1%)에서 과체중(6.5%), 비만(16.0%)으로 갈수록 하루 4번 이상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규칙적인 식사습관이 과체중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BMI에 따른 주당 식사 횟수를 조사한 결과 BMI가 낮을수록 아침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였다(p<0.05). 아침 결식 이유의 주된 이유는 저체중 학생의 60%가 ‘식욕이 없어서’, 정상체중과 과체중, 비만 학생에서는 ‘시간이 없어서’가 가장 주된 이유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저녁 식사 시기는 BMI와 관계없이 모두 저녁 7-8시 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간식 섭취 시간 또한 BMI와 관계없이 점식식사 이후-저녁식사 이전이 가장 많았다. 1회 식사 소요 시간에 대해 저체중(42.4%)은 20분 이상 걸리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정상체중(31.7%)은 15-20분미만, 과체중(43.5%)과 비만(36.0%)은 10-15분이 가장 많았다(p<0.05). 1회 식사량에 대한 조사에서는 비만(20.0%)에서 ‘배불러도 더 먹음’의 빈도가 저체중(3.0%), 정상체중(2.5%), 과체중(3.2%)에 비해 매우 많았다(p<0.05). 1회 식사에 관한 식습관 조사에서 식품 골고루 섭취 정도는 모두 보통으로 BMI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식사 중 물 섭취량은 모든 조사대상에서 1컵 이상 마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식사 시 다른 행동 유무는 BMI가 높을수록 식사 중 다른 행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외식 횟수에 대한 결과에서 BMI가 높을수록 외식 횟수가 많았고, 주당 간식횟수는 BMI와 관계없이 비슷한 횟수로 조사되었다. 주당 야식 섭취 횟수는 저체중이 가장 야식을 많이 먹고, 과체중이 가장 야식을 적게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BMI에 따라 선호하는 식품군은 저체중은 과일류가 가장 많았고, 그 이외의 그룹에서는 고기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BMI에 따른 각 식품별(밥 이외의 탄수화물, 육류, 생선 및 해조류, 채소류, 과일, 우유 및 유제품, 인스턴트식품, 패스트푸드) 주간 섭취 횟수를 조사해 보았을 때, BMI에 관계없이 학생들의 각 식품 주간 섭취 횟수는 비슷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상자의 생활습관을 조사해 본 결과, 첫 번째 운동 횟수에 대한 결과로 비만 학생에서 운동 횟수가 다른 그룹에 비해 적었고,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체중과 과체중 운동시간은 전체적으로 1시간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하루 총 걷는 시간과 BMI와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등하교 방법은 모든 학생에서 도보 이용이 가장 많았다. 여가활동 시간은 BMI가 증가할수록 여가시간이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루 총 물 섭취량은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비만 모두 1L가 가장 많았으며, 하루 음료 섭취량에 대한 조사 결과는 모두 하루에 물보다 다른 음료를 더 많이 먹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BMI에 따른 일일 수면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2007년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남·여학생 모두 평균 이상의 신장과 체중으로 나타났으며, 식습관과 생활습관조사 결과 몇몇 문항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이 나타났다.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정규 영양교육 시간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영양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생들 눈높이에 맞고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이나 생활양식에 따라 실질적인 영양프로그램도 꾸준히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세계 전래동화 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함형준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강조되고 있는 다문화수용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전래동화 기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전래동화가 가진 다문화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세계 전래동화를 활용한 다문화수용성 제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역량 중 다문화적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심미적 감성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 중점을 두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목표로 설계하였다. 우리나라 체류외국인과 결혼이민자 수를 고려하여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각 나라별로 이야기의 구조, 주제, 교훈 등이 유사하며 문화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각 나라의 대표 전래동화를 선정하였다. 이어 다문화수용성의 구성요소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총 12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인식-내면화-행동’의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활동주제는 각 단계에 맞게 ‘세계 전래동화 비교, 분석을 통해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찾기’,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의 감정 이해하고 공감하기’, ‘차별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소재의 E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12차시로 적용하였을 때,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다문화수용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5). 프로그램이 미친 효과를 깊이 있게 분석하기 위하여 활동지와 소감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질적 효과성 평가도 병행하였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타인의 감정 이해, 차별에 대한 반성과 다짐, 행동 변화와 실천 의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학생 스스로도 자신의 인식이 개선되었음을 느끼며 반성과 다짐 등을 통해 공언하는 모습을 보였다.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은 교육현장에 여러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수용성 교육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으며, 창의적 체험활동 또는 교과 수업에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학생 수준에 맞는 적합한 활동을 통해 전래동화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기에, 이 연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traditional fairy tales in order to emphasiz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Korean society enters into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earcher developed a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World Traditional Fairy Tales based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al values of traditional fairy tales.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Aesthetic Emotional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which can be said as multicultural element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number of foreign people living in Korea and the number of marriage immigrants, Korea, China, Japan, Vietnam, and Thailand were chosen as the subject countries. Then, the representative storytelling fairy tales of those countries which reflect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have similarities in the structure of the story, themes and lessons were selected. A training program composed of total 12 units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promote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which are componen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developed program was composed of 3 stages such as ‘Recognition - Internalization – Behavior’ and themes of the activities were ‘Finding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cultur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world traditional fairy tales’, ‘To understand and empathize emotions of others through various activities’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actively cope with discriminations’. When the developed program with 12 units was applied to the a Grade 6 class of E Elementary School in Seongdong-gu, Seoul,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p<.05).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tudents, we used the activity report and the reviews to do qualitative evalu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changes in the percep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the understanding of others’ feelings, the regret and commitment regarding discrimination, the change of behavior and the will to practice. Students, themselves, felt that their own perceptions had improved and made an open declaration that they regretted their discriminating actions and made an commitment not to engage in discriminatio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education field, suggesting that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is possible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r curriculum. In addition, it has proven that educational programs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are effective through the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effectiv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