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 비교 연구

        조효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PPCF’의 목표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 그리고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 각각의 체육목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총 465명과 광주교대, 서울교대, 공주교대, 전주교대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생 총 1071명, 계 1536명을 표집 하였다. 측정 도구는 “체육목표 인식 검사 설문지”로서 Jewett & Mullan(1997) 등이 체계화한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 : PPCF)을 조미혜(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남자의 경우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과별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과에서는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 목표 인식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예능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인문 교과에서는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연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는 자신의 운동 기능이 상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자신의 운동 기능이 중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서, 자신의 운동 기능이 하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심리적 안정성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을 좋아하는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인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을 좋아하지 않는 집단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과의 중요성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의사소통,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집단 상호 작용 개념을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이라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 물체 조작, 의사소통의 개념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 교직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생리적 효율성, 물체 조작 개념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왔고, 대체적으로 인문 교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낮게 나왔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생리적 효율성 개념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중요하지 않다고 답한 초등교사는 없었다.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대체적으로 경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학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에 있어 3학년, 4학년, 2학년, 1학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의 체육목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중요함, 보통, 중요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An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purpose that Jewett and Mullan(1977) evolve of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PPCF).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6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Gyeonggido and Jeonlanamdo and 1071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wang-Ju, Seoul, Kong-Ju and Jeon-Ju were participated in this work.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Joe, Mi Hye's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education object recogni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ubprogram with T-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f the SPSS/P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by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2.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ed on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and teaching career. 3.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depended on sex, grade,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초등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실패내성과의 관계

        정현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실패내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은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실패내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업적 실패내성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H 초등학교 3, 6학년 47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WIN(Ver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에 따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발휘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고학년에 비해 저학년에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카리스마,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성별(남, 여)에 따른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인식 차이는 전체적으로는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인식 정도가 더 높았다. 학생들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정도를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고학년에 비해 저학년이 인식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았다. 또한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평균값으로 보았을 때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았다. 학생들은 학업적 실패내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행동, 감정, 과제수준선호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학년(고, 저)에 따른 학업적 실패내성은 그 차이가 확실하게 나타났으며 고학년보다 저학년이 더 높았으며 그 차이가 가장 큰 것은 감정 변인이었다.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초등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 통계적으로 높은 유의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위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인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과제난이도는 카리스마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고, 자기조절효능감은 지적자극, 자신감은 개별적 배려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회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와 지적자극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업적 실패내성 사이에는 유의수준이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과제수준선호는 카리스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었고, 감정은 개별적 배려, 행동은 카리스마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학업적 실패내성 간의 회귀분석 결과 학업적 실패내성은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와 지적자극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발휘는 학년별, 성별에 따라 그 정도를 다르게 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적 실패내성을 높이기 위해 저학년 보다는 고학년에 교사의 노력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본다. 또한 카리스마와 지적자극에 대한 리더십은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에 대한 리더십은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분석

        옥성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oday's fast-paced society, people who live in the society to adapt to change is inevitable. In order to adapt to these chang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but the psychological tension or stress can be generated.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re being made to interact closely. Teachers and students in school have a profound influence. Values ​​in the formation of a critical period in teaching student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stress in an unstable state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when teaching a negative impact on leave in and receive education students and their parents, further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crisis can lead to.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duce job stress and promote th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to increase public education, a foundation of strength is to provide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chieve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eive the level of perceived job stres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s there any difference?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eive lower job stress factors, depending on the variables is there any differen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study, Incheon and Gyeonggi-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argeted sampling was carried out, 306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data processing program, i-STATistics were assessed b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question were calculated,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one-way AN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 comparison of average results by area, teaching and learning was the highest related factors, guidance related factors, factors related to personnel system, responsible for work-related factors, factors related to human relations, the external environment related factors (in descending order). Second,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a detailed comparison of domain-specific average results relat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y the use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area was the highest, the heavy workload and responsibilities with respect to the relevant area was the highest. HR system-related areas associated with the promotion was the highest scoring. In the related area of ​​human relations and with regard to relationships with parents was the highest, teaching and learning basic academic-related areas of students under the guidance and was the highest with respect, guidance for parents in areas with a strong self-assertion was the highest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In conclus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tress level as a whole, not high, but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realms showed a high level, school size was smaller high stress levels. It reduces the stress of elementary teachers to focus on tutoring student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y means that we must be diligent and caring.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그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변화가 불가피하다. 이런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심리적인 긴장이나 스트레스가 발생될 수 있다. 초등학교는 담임교사와 학생들 간의 밀접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담임교사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의 성격이나 가치관 형성에 있어 중요한 시기에 있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직무갈등과 인간관계 및 내‧외부환경 그리고 내적인 심리상태 등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심리적 건강을 찾지 못하고 불안정한 상태에서 교육활동에 임하게 되면 교육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되어 피교육자인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나아가 국가경쟁력에도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초등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줄여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고 공교육력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받는 직무스트레스 지각 수준은 배경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교사가 받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하위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하였으며, 총 306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자료의 처리는 통계 처리 프로그램인 i-STATistic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독립 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영역별로 평균비교를 한 결과, 교수-학습 관련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생활지도 관련 요인, 인사 체계 관련 요인, 담당 업무 관련 요인, 인간관계 관련 요인, 외부 환경 관련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세부 영역별 평균비교를 한 결과, 외부 환경 관련 영역에서는 교통시설 이용과 관련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담당 업무 관련 영역에서는 과중한 업무량과 관련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사 체계 관련 영역에서는 승진점수 획득과 관련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인간관계 관련 영역에서는 학부모와의 관계와 관련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수-학습 관련 영역에서는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도와 관련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지도 관련 영역에서는 자기주장이 강한 학부모와의 관계와 관련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전체적으로 높지 않았으나, 교수-학습영역에 있어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고,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 이는 초등교사의 스트레스를 줄여 학생들의 학습지도에 집중하게 하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적인 노력과 배려가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구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실태,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해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가 실천하는 자기장학 실태는 어떠하며, 그 효과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350명을 무선표집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자 303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빈도분석, (chi-square)검정,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e coding)과정을 거쳐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실태, 요구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은 높았다.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을 96.7% 수준에서 이해하고 있었고, 경력이 높을수록 이해가 높았다. 초등교사의 97.7%가 수업개선을 위해서 자기장학이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중간경력 교사와 ‘대학원 재학, 졸업’한 교사는 자기장학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기장학의 효과에 대해서는 78.6% 수준에서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고, 직급과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인식하였다. 초등교사는 자기장학을 ‘교사 자신의 교수활동에 대한 자기반성과 자기 수정을 위해(36.3%)’, ‘수업개선을 위한 필요와 요구를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보기 위해(30.7%)’, ‘자기의 개인적인 발전을 위해(26.1%)’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장학을 시작한 시점의 경우, ‘현직 발령 후 바로 시작(34.7%)’, ‘경력 3~5년(29.0%)’, ‘경력 9년 이후(17.2%)’, ‘경력 6~8년(12.2%)’ 순으로 나타났고, 경력이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기장학 시작시점이 빨랐다. 자기장학 영역은 ‘수업방법 개선(50.8%)’, ‘수업활동 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38.2%)’, ‘수업에 대한 열의(6.0%)’, ‘수업매체 활용(4.0%)’, ‘수업환경(1.0%)’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 장학을 시작한 동기는 ‘스스로의 수업개선 의지(78.5%)’, ‘동료교사 및 교육전문가의 조언(13.0%)’,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실시(7.8%)’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가 실제로 자기장학의 여러 방법들을 실천하는 정도는 저조한 편이나, 이것이 수업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과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가 실천하는 자기장학 실천방법으로는 ‘연수, 워크샵, 특강, 세미나 등 참석’, ‘시범학교 및 시범수업 참관’, ‘매체(전문서적, 방송, 인터넷 등) 활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원수강’, ‘멘토 및 컨설턴트(동료, 선배, 전문가) 요청 활동’에 대해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 네 차원에서 초등교사가 요구한 것이 있었다. 교사차원에서는 ‘수업전문성을 위한 자율성과 자기발전의지, 의욕의 고취’를 요구했고, 학교 차원에서는 ‘각종 자기장학 활동에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시간적․심리적 지원’을 요구했다. 그리고 교육지원청 차원에서는 ‘잡무경감조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국가 차원에서는 ‘다양한 현직교육을 위한 시간적․물리적 지원 확대’와 ‘학급당 인원 감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 初等敎師의 敎授-學習 情報化 實態 分析을 통한 情報通信技術敎育 活性化 方案 硏究 : 江原道地域을 中心으로

        이정우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부와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육 정보화에 대한 열의와 관심은 높다. 그렇지만 체제적이고 종합적인 초등교사 교수-학습 정보화 실태를 분석하는 도구와 이러한 실태 분석을 통하여 초등교사의 교수-학습 활동 진행 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교육활성화 방안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수-학습 정보화 실태를 분석하고 초등교사의 교수-학습 활동에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정보화(물리적 요인) 실태 분석과 이에 대한 대책은? 둘째, 초등교사 교원 정보화(인적 요인) 실태 분석과 이에 대한 대책은? 셋째, 초등교사 교수-학습 정보화(교수-학습적 요인) 실태 분석과 이에 대한 대책은? 본 연구 조사 대상은 강원도교육청 관내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사 365명 이였으며, 연구 방법은 초등교사 교수-학습 정보화 실태 분석 설문지를 제작하여 설문 조사와 설문 조사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빈도 수에 의하여 백분율로 계산하고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성별, 근무 지역, 직위, 담당 학년, 연령, 경력, 학교 규모별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요인 측면 분석 결과, 초등학교 정보화가 학교 단위로 진행되었다. 인터넷 접속 환경은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급 당 학생수가 많고 학급 당 인터넷 접속 가능한 컴퓨터 수가 부족하여 학생들이 언제든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이 부족하였다. 둘째, 인적 요인 측면 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교원 정보화에 있어 정보통신기술 소양 영역 연수 시간은 증가되고 있지만, 각 교과에서 학생들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 관련된 정보통신기술 활용 영역의 연수가 부족하였다. 셋째, 교수-학습적 요인 측면 분석 결과, 초등교사 교수-학습 정보화에 있어 학교 단위 교육 정보화 진행과 초등교사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 연수 부족으로 초등교사 교수-학습 정보화가 활성화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물리적 요인 측면에서, 초등학교 정보화가 교실 단위 정보화로 개선되어야 한다. 둘째, 정보통신기술 교수-학습 주체인 교사와 관련된 인적 요인 측면에서, 교원 정보 소양 연수에 있어 정보통신기술 교수-학습 활용 교육에 대한 연수 기회를 확대하고, 각 교과에서 정보통신기술 교수-학습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학생ㆍ학부모와 지역 사회 상호 교류 형태에 있어서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교사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초등교사가 정보통신기술을 교수-학습 활동에 활용하는 교수-학습적 요인측면에서, 초등교사 교수-학습 정보화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교사는 교수-학습 활동을 진행할 때 구성주의 이론에 따라 학생 중심, 교사 보조적ㆍ촉진적이라는 학생에 대한 입장 변화가 있어야 정보통신기술교육이 교수-학습 활용에 있어 문제 해결 능력 신장에 효과적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일반 수업 시간 활용과 더불어 학교 재량 시간이나 특별 활동 시간, 클럽 활동 시간, 방과 후 교육 활동 시간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이 확대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교수-학습 활동에 교육용 컨텐츠 사용하는 형태를 다양한 교과에 적용해야 하고, 평소 학습 평가에 대한 반영 비율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사가 정보통신기술교육을 교수-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요인 측면에서 교실 단위 학교 정보화와 인적 요인 측면에서 정보 통신기술 활용 영역 연수와 관련된 초등교사 교원 정보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수-학습적 요인 측면에서 초등교사 교수-학습 정보화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실태 분석을 통한 문제점 진단 및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보통신기술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초등교사 의식 변화와 교수-학습 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강화와 문제 해결 능력 산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Government and Elementary School, It is very Interest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t need to be study in An Analysis Tools and Research Systematically, Complex on Elementary School Teacher Situation of Teaching-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Study on Active Plans of ICT Education In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 Situation of Teaching-Learning to the Information Age in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three proposals as follows. First, what is an Analysis and counterplan of Elementary School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Physical item)? Second, what is an Analysis and counterpla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refresher cours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Humanity item)? Third, an Analysis and counterplan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Learning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Teaching-Learning item)? For the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365 teachers were selected from kangwon province. For data analysis, frequence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crosstab analysis was conducted for some items by sex, geographic region, position, the grade, the age, the career, elementary School Scale.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chool information awareness(physical item), it was progressed school unit information. Although it was improved internet interface access, it was fail to want it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ical Environment to be diminish student per classroom, computer per classroom for freely use in study. Second, as a resul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information awareness(humanity item), although it was increased an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acher literacy course, it was fail to make use of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acher application course on active teaching-studying introduce. Third, as a result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learning information awareness(teaching-learning item), it was fail to be introduce actively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because of the school unit information progress and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acher literacy course. The result of application is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precede from the school unit information to the school unit information for humanity information to effectively in elementary school if it realized successfully teaching-learning, for teachers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econd, ti should be need to changing in par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iteracy course that it diverse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acher and student literacy course and increa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o understand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case on each subject and to concern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on communication of parent, local area. Third, it should be need to practically diagnose and analyze the improvement of teaching learning in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education. It should be nn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studying method of problem solving ability for student and to be increase or activ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education introduce and research if we concern with application method to diverse in normal classroom, clup classroom, out-of-school time. It should be need to change the diverse subject and application metho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aching-studying application educa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to be increase usually the evaluation percentage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 education. A analysis of present elementary school teacher teaching-learning should be diagnose systematically and complex the condition of physical item, humanity item, teaching-learning item.

      • 초등교사의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예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파견연수는 2년의 긴 호흡으로 현직교사에게 학습과 연구의 기회를 보장한다는 점에서 그 정책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견연수의 실상을 들여다보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초등체육전공 파견교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초등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주관적 경험을 그들의 시각에서 해석하여 그들의 경험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교사들은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초등교사들의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 경험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체육 전공 석사과정을 경험한 현직교사 3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자료 수집 방법은 심층면담으로 연구참여자 각각에 대해 약 2시간씩 3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이와 더불어 연구자의 연구노트, 연구참여자의 개인적 기록물 등을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 각각의 경험을 살펴보면 A교사의 파견 경험은 도전, 연습, 확장, 고난, 성찰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B교사의 파견 경험은 열망, 혼란, 도전, 발전, 도약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C교사의 파견 경험은 탐색, 습득, 각성, 비판, 회의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이들의 파견 경험을 삼차원적 탐구 공간 위에서 파악한 결과 그들의 파견교사 지원 동기는 체육교육 전문성 신장 의지, 학위 취득 욕구, 개인적 욕구로 함축되었다. 그들의 파견 경험에 영향을 미친 내적 요인은 지원 동기, 학문적 관심, 개인적 경험 및 성향이었고 외적 요인은 대학원 교육과정의 특성, 지도교수 및 전공 선택, 연구실의 특성 등이었다. 세 연구참여자는 파견 경험을 통해 연구 및 업무 능력 신장, 개인적 변화, 체육수업 및 철학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세 연구참여자의 체육 전공 파견 경험의 공통적 의미는 '연구의 문외한에서 교사연구자로', '넓어지고, 깊어지고', '기대와 현실의 불일치, 그로부터 나아가기', '도약을 향한 작은 날갯짓'이었다. 본 연구는 파견연수에 관심이 있거나 이와 관련된 교사 및 교육 관련자 등에게 파견연수에 대한 생생한 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파견연수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초등교사의 과학 PCK 공유를 위한 학교 내 교사협력의 역할과 과학 교수지향의 의미

        신채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학교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역할과 능력의 중요성이 알려지면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는 교사와 내용 전문가를 구분 짓는 교사의 고유한 지식 영역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자, 교사가 갖춰야 할 실천적 지식이다.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의 기초가 되는 PCK를 학교 내에서 어떻게 신장시킬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많은 연구자들은 교사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인 교사협력을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는 지속적인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교사의 과학 PCK가 학습의 사회적 상호작용인 교사협력을 매개로 공유될 때 협력에 참여하는 초등교사의 PCK는 어떻게 변화하며, 이는 그의 과학수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과학수업 전문성이 있다고 인정받는 한 경력 초등교사 A를 주요 연구 참여자로 하여 수행된 일련의 사례연구를 통해 학교 내 교사협력이 초등교사의 과학 PCK 공유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은 PCK 구성 요소 중 무엇을 중심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를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PCK 구성 요소 중 하나인 과학 교수지향(science teaching orientation)을 중심으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을 이해함으로써 과학 교수지향이 갖는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총 세 명이며, 이들이 자발적으로 시작한 학교 내 교사협력 사례(A교사와 B교사, A교사와 C교사) 관찰과 그들의 과학수업 관찰 그리고 교사면담이 주요 자료원으로 수집,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나타나는 교사협력의 실질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을 특징짓는 PCK 요소로서 과학 교수지향의 의미는 무엇인지, 초등교사의 과학 PCK 공유와 발달에 있어 교사협력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1에서부터 연구3까지 총 세 개의 연구가 순차적, 발전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1에서는 과학수업을 위해 교사협력을 실천하는 두 초등교사(A와 B)의 5학년‘물체의 운동’수업과 그들의 협력 과정을 관찰하고, 사전 및 사후 면담을 하였다. 또한 학생 활동 자료, 수업 관찰 일지 등 여러 유형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교사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상적인 교사협력 상황에서 초등교사들 사이의 PCK 공유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연구2는 연구1의 결과를 통해 제기된 물음인 ‘과학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해 PCK 요소 중 무엇이 초등교사들 사이에서 공유되어야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PCK와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을 특징짓는 핵심적 PCK 요소로 과학 교수지향을 가정하고, 연구1의 참여자였던 초등 경력 교사 A의 과학 교수지향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의 과학 교수지향은 이를 구성하는 세 가지 신념­과학 교수의 목적과 목표에 관한 신념, 과학의 본성에 관한 신념,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신념(Friedrichsen, Driel, & Abell, 2011)­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세 가지 신념과 이것들의 복합체인 A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이 다른 PCK 요소들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및 사후 면담을 수행하고 5학년 ‘물체의 운동’과 6학년 ‘빛과 렌즈’ 수업을 관찰하였다. 또한 교사의 과학수업을 위한 PCK를 명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CoRe(Content Representation) 응답지를 이용하였다. 연구3에서는 연구2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과학수업을 특징짓는 과학 교수지향이 교사협력을 통해 공유될 때 동료 교사의 과학 교수지향과 과학수업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보았다. 6학년‘전기의 이용’수업을 위한 A교사와 C교사의 교사협력을 통해 C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을 구성하는 세 가지 신념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가 그의 과학수업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두 교사의 교사협력 과정과 과학수업 관찰, 교사 면담이 자료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1의 결과, 초등교사들은 그들의 독특한 교직문화인 ‘동일시’를 바탕으로 교사협력을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교사 A의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신뢰 즉, 믿을 수 있는 동료의 존재에 대한 ‘동료성’이 교사협력을 촉진하고 지속시켰다. 하지만 교사협력에 대한 인식 차이와 교사의 수업에 대한 학교 내 개인주의와 불간섭주의는 높은 수준의 교사협력과 PCK 요소의 공유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부족한 협력 시간은 수업내용, 학생 활동 방법, 탐구 지도 전략 등과 같이 과학 교수학습을 위한 일반 교육학 지식과 PCK 요소 중에서 과학 교수 전략 지식처럼 단위 수업 실천을 위한 즉시적인 지식의 공유만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A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을 구성하는 세 가지 신념을 분석한 결과, 이것들이‘탐구의 경험’이라는 하나의 과학 교수지향으로 수렴되며, A교사는 이러한 세 가지 신념 및 과학 교수지향을 바탕으로 다른 PCK 요소들을 선정, 조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의 과학수업을 특징짓는 핵심적인 PCK 요소는 과학 교수지향이며, 따라서 교사의 과학수업은 과학 교수지향을 바탕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음이 드러났다. 과학수업 전문성을 인정받는 초등 경력 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은 특히 초등 과학 교과의 성격과 목표 등에 기초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3의 결과, 학교 내 교사협력은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지향과 과학수업의 변화를 매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때, 동료 교사에 대한 신뢰인‘동료성’은 교사협력을 촉진, 유지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교사협력을 통한 과학 교수지향과 다른 PCK 요소의 공유는 동료 교사의 과학 교수지향의 세 가지 신념 및 과학수업의 변화를 이끌었다. 이를 통해 과학 교수지향은 교사의 교수 행위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PCK 요소임을 재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PCK의 공유와 과학수업의 변화를 위한 초등학교 내 교사협력의 역할과 PCK 요소 중 과학 교수지향이 갖는 의미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수지향은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을 특징짓는 핵심적인 PCK 요소이므로,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을 교사의 PCK로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노력은 과학 교수지향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영향을 주는 동일시, 개인주의, 불간섭주의 등 초등 교직문화의 오랜 전통은 ‘동료성’을 바탕으로 하는 학교 내 교사협력을 통해서 극복될 수 있다. 셋째, PCK 요소들이 과학 교수지향과 어떤 관련을 맺으며 수업에 적용되는가를 이해하지 못 한 체 특정 PCK 요소를 단순 수용하는 것은 과학학습 지도를 위한 PCK 요소의 선정과 조직, 과학학습 지도를 위한 교사의 적절한 역할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넷째, 초등교사의 개인적 PCK(pPCK)와 실천적 PCK(ePCK)는 교사협력을 매개로 공유된 PCK(sPCK)로 전해지고, 이를 동료 교사가 수용하고 자신의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교사의 pPCK 및 ePCK로 변화하는 순환적 과정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초등교사의 과학 PCK의 공유와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학교 내 교사협력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s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s and ability in science classes became known, many stud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tise in science classes were conduct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s a unique knowledge that separates teachers from content experts, and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evaluating teachers’ expertise and practical knowledge that teachers should have.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develop PCK in school, which is the basis of expertise in scien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y researchers have suggested teacher collaboration, a soci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s a continuous way to support teachers’ professionalism. However, little amount of studies has been conducted on how PCK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collaboration changes and how it affects their science classes when they share their science PCK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which is a social interaction of learning.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examines the role of teacher collaboration within school in the sharing of science PCK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main components of PCK that can help to understand the scien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ries of case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 main research participant, teacher ‘A’ who is recognized for having expertise in science classes.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uncover the meaning of science teaching orientation (STO) by observ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classes focusing on STO,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PCK. There was a total of three participants in this study. Observations of voluntary teacher collaboration within school (teacher A and B, teacher A and C), observations of their science classes, and teacher interview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the main data sources of this stud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aspects of teacher collaboration within school, to identify the meaning of STO as a PCK component that characterizes the scien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explore the role of teacher collaboration in the sharing and development of science PCK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ly, a total of three studies from Study 1 to 3 was conducted sequentially and progressively. In Study 1, the fifth-grade ‘movement of objects’ classes and teacher collaboration process were observed and pre- and post-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and B) who practiced teacher collaboration for science classes. Study 1 also collected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class observation journals. Using the collected data, factors affecting teacher collabora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PCK sharing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veryday teacher collaboration situations were examined. Study 2 was conducted in attempt to answer a question raised as a result of Study 1: Which PCK components should be shared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class expertise? Based on literature on PCK, STO was assumed as a key component of PCK that characteriz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classes, Thus, the STO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 who had participated in Study 1, was analyzed in depth. His STO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hree beliefs-belief about the goals and purposes of science teaching, belief about the nature of science, belief abou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Friedrichsen, Driel, & Abell, 201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beliefs and the STO of teacher A, a complex of these beliefs, was analyzed. This was accomplished through conducting pre- and post-interviews and observing the fifth-grade ‘motion of objects’ and sixth-grade ‘Light and lens’ classes. In addition, CoRe (content representation) response sheet was used to explicitly identify his PCK for science classes. In Study 3,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2, the change of the colleague’s STO and science classes when a teacher shares his STO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was examined.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between A and C for the sixth-grade ‘use of electricity’ class, changes in the three beliefs constituting C’s STO and how these changes were revealed in his science classes were analyzed. This was done through collecting data from observations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science classes, and teacher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three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Study 1,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gan teacher collaboration based on their unique teaching culture of ‘identification’. In this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trust in teacher A’s expertise of science classes, that is, ‘collegiality’ in the presence of trusted colleague, promoted and sustained teacher collaboration. Howev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the individualism and non-interventionism over teachers’ classes in school have been identified as factors that hindered high level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sharing of PCK components. In addition, insufficient time for teacher collaboration limited the sharing to general pedagogy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such as class contents, student activity method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inquiry, and immediate knowledge for a unit class such as the science teaching strategy knowledge among many PCK components. In Study 2,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beliefs constituting teacher A’s STO, it was found that these converge into one STO of ‘experience of inquiry’, and that teacher A selected and organized other PCK components based on these three beliefs and his one STO. This revealed that the key PCK component that characterizes a teacher’s science class is STO, and therefore, the teacher’s science class needs to be understood based on his STO. It was also found that STO of an experienced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is recognized for his expertise in science teaching, is based on the nature and goals of the elementary science subject. Result of Study 3 showed that teacher collaboration can play a role in mediating the change of STO and scien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this change, ‘collegiality’, which is the trust in a colleague, was an important factor in promoting and maintaining teacher collaboration. The sharing of STO and other PCK components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led to changes in the science teaching and three beliefs of the STO of a fellow teacher. This reaffirmed that STO is a key PCK component that influences teachers’ decision-making related to their practi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ole of teacher collaboration in sharing science PCK and changing scie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implications of STO, a PCK component, are as follows. First, as STO is a key PCK component that characterizes the scien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fforts to understand and expl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teachers’ PCK need to be centered on STO. Second, the long-standing tradi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culture, such as identification, individualism, and non-interventionism, which influence the scien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be overcome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within school based on ‘collegiality’. Third, the simple accommodation of a specific PCK component without understanding how it relates to STO and is applied to classes can make selecting and organizing other PCK components and performing the proper role of teachers in science teaching difficult. Fourth, the personal PCK (pPCK) and enacted PCK (ePCK)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ransmitted as shared PCK (sPCK) through teacher collaboration, and a cyclical process of a fellow teacher accommodating pPCK and ePCK by applying these into his classes was obser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eacher collaboration within schools, which can help to share and develop science PCK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초등교사의 교직사회화 유형 및 교육철학관과 리더십 역량과의 관계 분석

        김의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스스로가 지각하는 교직사회화 유형과 교육철학관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교사 리더십 역량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교직사회화 유형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교육철학관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의 교직사회화 유형과 교육철학관에 따라 리더십 역량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로 교사의 교직사회화 유형, 교육철학관에 따른 주요 쟁점, 리더십 역량 등에 관한 학술지 및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얻었다. 또한 조사연구는 설문지를 활용하였는데 서울시 공립초등학교 교사 43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얻은 자료를 근거로 SPSSWIN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F검증과 교차분석과 x2검증,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교사, 11~20년 사이의 경력 교사, 대학원 졸업교사나 부장교사의 승진지향과 직업적 좌절 단계에 대한 인식정도가 강하게 나타났다. 실제 교직사회화 분포에서도 대 부분의 교사들이 성장, 성숙단계에 있는 가운데, 남교사, 대학원 졸업 교사의 직업적 좌절 단계와 승진지향 단계 분포 비율이 상대적으로 배우 높았다. 둘째, 교육철학관 분포를 보면 본질주의가 가장 적고, 진보주의와 실존주의가 같은 34%, 절충주의가 23%를 차지하였다. 교육철학관에 따른 리더십 역량은 절충주의의 리더십 평균이 가장 높았다. 셋째, 초등교사의 리더십 역량은 어느 정도는 갖추고 있으나 충분하지는 않은 수준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대인관계 역량의 평균이 가장 높고, 관리역량, 개념적 역량의 순이었다. 리더십 약점 영역은 개념 역량이 가장 많았고, 특히 생존과 성장 단계에서 그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교사의 교직사회화 단계는 경력과 어느 정도 관련은 있으나 결정적인 변인은 아니며 복합․역동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초등교사의 교육철학관은 하나의 분명한 교육철학관을 견지하기보다는 주어진 교육 현실에 절충적 태도로 교육에 임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리더십 역량에 긍정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리더십 역량의 특성은 교사 개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기에 교사 스스로 리더십 역량의 상대적인 약점 영역을 찾아 이를 함양시키기 위한 노력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었다.

      •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 타당화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인식을 중심으로

        정진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을 탐색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은 타당한가? 연구 문제에 따라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초등교사의 리더십과 구성주의 리더십의 의미와 성격을 알아보고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개념을 확립하였으며, 관련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질문지를 구안하였다. 예비 검사에서는 충북 지역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가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여 6개 요인의 46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본 검사에서는 서울, 경기, 충북, 세종, 강원, 전남 지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의 29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을 구성 문항을 고려하여 ‘학급공동체 조성’, ‘삶의 맥락을 고려한 교수·학습’, ‘학습자 권한위임’, ‘인지갈등 유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 ‘상호교호적 의미구성’으로 명명하였다. 최종 문항을 바탕으로 AMOS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모형 적합도, 집중 및 판별 타당도, 공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모두 해당 기준을 만족하여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학급공동체 조성’ 요인은 교사가 기존의 학급을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는 공동체로 조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삶의 맥락을 고려한 교수·학습’ 요인은 교사가 학습자의 삶과 경험을 고려하여 교수·학습을 설계하고 실천해야 함을 의미한다. ‘학습자 권한위임’은 교사는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자신이 가진 권한을 위임해야 함을 의미한다. ‘인지갈등 유발’ 요인은 교사가 학습자의 인지갈등을 유발함으로써 인지 도식을 발달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 요인은 교사는 학습자가 학습의 과정에서 수동적인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닌 적극적인 의미구성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길러줘야 함을 의미한다. ‘상호교호적 의미구성’ 요인은 교사는 학습자에게 구성원 간 상호교호적 과정을 통해 공동의 의미구성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함을 의미한다. 초등교사의 리더십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경영 분야의 리더십 이론을 무비판적으로 활용하거나 학교장의 리더십 측정 도구를 일부 변형하여 교사의 리더십을 측정하는 등 초등교사가 발휘하는 리더십의 성격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교육 활동 가운데 어떻게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안내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이론이라 할 수 있는 구성주의에 근거한 구성주의 리더십이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활동을 통해 리더십을 발휘하는 초등교사의 성격에 부합한다고 보고 이를 적용하여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을 제안하고 그 요인을 탐색 및 타당화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밝혀진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리더십 요인은 초등교사가 교육 활동 가운데 구성주의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원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