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객실승무원의 LMX, T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 직업존중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조효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객실 승무원의 LMX, T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직업 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객실 승무원의 리더와 멤버의 구성원 간 교환관계의 질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직업존중감에 따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혀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인적자원관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구성개념(LMX, TMX, 직업존중감, 직무만족)을 선정하고, 현재 국제선을 타는 객실 승무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246부를 회수하였고, 부적절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하여 240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문항들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타당성과 신뢰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고, 객실 승무원의 LMX와 직무만족, TMX와 직무만족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직업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가설검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 승무원의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의 하위요인 중에서 정서적 애착, 충성도, 공헌의욕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객실 승무원의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에서 정서적 애착, 충성도, 공헌의욕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질 것이다. 둘째, 객실 승무원의 팀-구성원의 교환관계(TMX)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객실 승무원의 팀-구성원의 교환관계(TMX)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질 것이다. 셋째, 리더-구성원의 교환관계(L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 존중감에 의해 조절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직업존중감은 조절변수가 아닌 독립변수로 나타났다. 즉, 객실 승무원의 직업존중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질 것이다. 넷째, 팀-구성원의 교환관계(TMX)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존중감에 의해 조절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직업존중감은 조절변수가 아닌 독립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객실 승무원의 리더와 팀 멤버 구성원 간 교환 관계의 질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향상되는 유의적인 효과가 발생하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와 객실승무조직의 활성화로 인하여 객실 승무원들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bin crew 's LMX, TMX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ccupational 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how the quality of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cabin crew leader and the members of the cabin crew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And suggest some possible implic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our construction concept (LMX, TMX, occupational esteem, job satisfaction) were select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50 cabin crew members currently on international flights. Of these, 246 were retrieved and 240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6 inappropriate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responden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each item before testing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all the items were found to have sufficient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job satisfaction, TMX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abin crew.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 related esteem. Therefore,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attachment, loyalty, and desire for contribu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ch are sub - factors of LMX. That is, the higher the emotional attachment, loyalty, and the desire to contribut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will be in the LMX of the cabin crew leader. Second, TMX of cabin crew memb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t is, the higher the TMX of the cabin crew member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ir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influence of leader - member exchange (LMX) on job satisfaction could be controlled by job - esteem. As a result, occupational esteem was not an adjustment variable but an independent variabl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occupational esteem of the cabin crew,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Fourth, the effect of team-member exchange (TMX) on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by job-esteem. As a result, occupational esteem was not an adjustment variable but an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quality of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cabin crew leader and the members of the cabin crew,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better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rew due to the more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activation of the organization .

      • Torsional Resistance of Heat-Treated Nickel Titanium Endodontic Instruments depending on Temperature Conditions : 열처리된 니켈 티타늄 근관 파일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비틀림 저항성 차이에 대한 연구

        조효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열처리된 니켈 티타늄 근관 파일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비틀림 저항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4개의 열처리된 일회용 니켈 티타늄 근관파일인 OneShape(OS), OneCurve(OC), WaveOne Gold(WOG), Hyflex EDM(HFE)을 사용하였다. 각 군은 두 개의 온도에 따른 소그룹(상온, 체온)으로 분리되었으며 각 그룹당 최대 토크, 인성 그리고 비틀림 각도를 측정하였다. 온도에 따른 전동 근관 파일의 상전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차주사 열량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 분석은 이원변량분석법을 진행하여 세 가지의 결과들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였으며, 온도 군별로 t검정을 추가로 진행하였다. 또한 파절된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비틀림 저항에 의한 파절 인지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원변량분석법을 시행한 결과 네 군 공동히 각 온도 변화에 따른 비틀림 저항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각 파일의 종류에 따라 비틀림 저항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HFE 그룹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최대 토크, 인성, 비틀림 각도를 보였다(p<0.05). 상기의 결과에서 실온과 체온사이의 온도변화에 따른 니켈 티타늄 파일의 비틀림 저항성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중독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효진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운동중독과 생활만족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통계학적특성과 운동참여수준에 따라 운동중독과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배드민턴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자기평가 기입법을 이용하여 30대에서 50대까지 400명의 표본을 추출한 결과 남자 182명, 여자 182명, 총 364명을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는 운동중독, 운동참여수준, 인구통계학적 특성, 생활만족도 등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절차와 자료처리는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eted quest ionnaire)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회수한 자료는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dow 14.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목적에 따라 전산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통계기법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따르고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초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나타난 운동중독결과 차이에서 보면, 세 가지 하부 요인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운동중독 결과를 보였고, 연령별로는 긍정적 중독요인에서는 연령별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정적 중독요인에서는 40대가 다른 연령대 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고, 연령대 보다 더 높은 결과를 보였고, 금단현상요인에서는 30대가 가장 높은 운동중독 결과를 보였다. 2) 운동참여수준에 따른 운동중독은 차이가 있었다. 참여기간별 운동중독에서 긍정적 중독은 2년 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 중독에서도 2년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또 금단현상에서는 2년 이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참여빈도별 운동중독에서 긍정적 중독과 부정적 중독, 금단현상에서 모두 거의 매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여시간별 운동중독에서는 긍정적 중독과 부정적 중독, 금단 현상에서 모두 2시간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특성변인요인들에 따라 나타난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보면, 신체·환경적 생활만족도와 사회적 생활만족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생활만족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별로는 신체적 만족도 요인에서는 40대와 50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만족도에서는 3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만족도에서도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운동참여수준에 따른 생활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참여기간별 생활만족도에서 신체적 만족도와 심리적 만족도에서 2년 이상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만족도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빈도별 생활만족도에서는 신체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에서 주1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만족도에서는 주2-3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여시간별 생활만족도에서는 신체·환경적 만족도와 사회적 만족도에서 2시간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만족도에서는 1시간 30분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운동중독 3개 요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신체·환경적 만족도 종속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중독과 금단현상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중독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운동중독 3개 요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사회적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놓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중독과 금단현상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정적중독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리적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부정적중독과 금단현상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긍정적중독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health nu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amateur badminton club's participants. In addition, this was to promote more healthy amateur badminton clubs through analyzing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 exercise addic tiun and life satisfaction of amateur badminton club's participants.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by using a basic statistical method, a total of 364 amateur badminton Club's participants in Busan were selected: a total of 182 males and 182 females, aged from in their thirties to in their fifties. The survey procedures and data processing were done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computerized by SPSS window 14.0 Version. All data were administered by using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respect of gender, males showed their high exercise-holic phenomen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Regarding withdraw symptom, those in their thirties showed higher exercise-holic phenomenon. 2) In exercise participation, there were big differences: those with over two years experience amateurs showed significantly their positive exercise-holic phenomenon and negative withdraw symptom was higher than other amateurs. More interestingly, everyday particioants showed their positive and negative withdraw symptom were higher. In addition, those playing more two hours a day showed significantly their highest negative exercise-holic in every part. 3) In the respect of their life satisfaction, female participants showed their higher satisfaction in every part than males. Even in the psychological part, fema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fe satisfaction. 4) In the exercise particip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subjects. 5) By administering regression analysis for physical satisfaction, interestingly positive intoxication and withdraw symptom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addition, regarding social satisfaction, positive intoxica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and negative intoxic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In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rea, negative intoxication and withdraw symptom were positively influenced and positive intoxic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 비교 연구

        조효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PPCF’의 목표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 그리고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 각각의 체육목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총 465명과 광주교대, 서울교대, 공주교대, 전주교대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생 총 1071명, 계 1536명을 표집 하였다. 측정 도구는 “체육목표 인식 검사 설문지”로서 Jewett & Mullan(1997) 등이 체계화한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 : PPCF)을 조미혜(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남자의 경우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과별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과에서는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 목표 인식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예능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인문 교과에서는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연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는 자신의 운동 기능이 상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자신의 운동 기능이 중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서, 자신의 운동 기능이 하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심리적 안정성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을 좋아하는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인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을 좋아하지 않는 집단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과의 중요성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의사소통,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집단 상호 작용 개념을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이라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 물체 조작, 의사소통의 개념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 교직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생리적 효율성, 물체 조작 개념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왔고, 대체적으로 인문 교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낮게 나왔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생리적 효율성 개념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중요하지 않다고 답한 초등교사는 없었다.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대체적으로 경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학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에 있어 3학년, 4학년, 2학년, 1학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의 체육목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중요함, 보통, 중요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An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purpose that Jewett and Mullan(1977) evolve of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PPCF).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6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Gyeonggido and Jeonlanamdo and 1071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wang-Ju, Seoul, Kong-Ju and Jeon-Ju were participated in this work.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Joe, Mi Hye's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education object recogni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ubprogram with T-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f the SPSS/P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by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2.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ed on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and teaching career. 3.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depended on sex, grade,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Highly Sensitive Ultrathin Image Sensor Inspired by Tapetum Lucidum

        조효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High sensitivity imaging under the both bright and dim light condition is an important feature required in many emerging applications of the machine vision such as unmanned vehicles, aerial drones, etc. In nature, owing to the unique optics of tapetum lucidum, the eye of cats is well-known for maintaining excellent sensitivity regardless of varying light intensities. Here, we propose a bioinspired imaging device that enables the high sensitivity imaging under both dim and bright illumination. Inspired by the scotopic vision of the cat, the proposed imaging device comprises of an ultrathin hemispherical photodetector array integrated with underlying artificial tapetum. The image sensor in hemispherical geometry, which is a common retinal structure for biological eyes, can achieve minimum optical aberration by using a simple configuration of lens. Submicron thickness of silicon enables the hemispherical structure without performance degradation. Patterned inverse opal structure is used as the artificial tapetum, which increases the light absorption by reflecting the transmitted light back to the photodiode. Theoretical optical analysis and experimental validations proved this novel feature of the proposed imaging device. 고양이의 눈은 휘판 구조와 외부의 조도에 따른 동공 반응으로 인해 어두운 환경에서부터 밝은 환경까지 높은 감도로 빛을 인지합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 모방 방식을 통해 낮은 조도와 어두운 조도 모두에서 고감도의 이미징이 가능한 이미지 센서를 제시했습니다. 고양이의 암소시로부터 영감을 받아 제작한 이 이미지 센서는 초박막의 반구 형태의 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인공 휘판 구조와 결합된 형태입니다. 반구 형태는 자연의 망막 구조와 같은 것으로 광 수차가 적은 이미징을 가능하게 합니다. 나노 두께의 실리콘은 이미지 센서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반구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합니다. 인공 휘판 구조는 패터닝 된 인버스 오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조는 광 다이오드에 흡수되지 않고 통과한 빛이 다시 광 다이오드로 반사되어 빛의 흡수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이론적인 분석과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습니다. 고양이의 눈에서 영감을 받은 인공 시각 시스템은 향후 기존의 이미징 시스템과는 차별점을 둔 새로운 이미지 센서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대학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종단적 변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조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새로운 삶을 시작하며 자신과 삶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하는 대학생들에게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확인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경험하는 삶의 의미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며 변화하는지,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에 따라 구분된 집단의 정신건강 상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종단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6개월마다 3번에 걸쳐 삶의 의미 및 개인의 특성 및 정신건강 변인이 포함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총 1,087명(남자 606명, 여자 48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각각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잠재성장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학생들의 의미추구는 13개월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의미발견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둘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어떠한 순서로 변해가는지 확인하기 위한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진행하여 두 변인 간 인과관계를 확인한 결과, 1차 시점의 의미발견이 2차 시점의 의미추구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2차 시점의 의미발견이 3차 시점에 의미추구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삶의 의미추구 및 발견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요인이 아닌 자율성, 유능성, 반추와 같은 긍정적 개인특성 요인이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개인차에 따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변화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하여 집단을 구분한 결과, 5개의 집단이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변화에 따른 개인차를 잘 설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집단을 ‘부적응적 의미추구형(높은 추구-낮은 발견)’, ‘의미성취형(낮은 추구-높은 발견)’, ‘중간형(중간 추구-중간 발견)’, ‘적응적 의미추구형(높은 추구-높은 발견)’, ‘무관심형(낮은 추구-낮은 발견)’으로 명명하였다. 5개의 집단의 정신건강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의미성취형(낮은 추구-높은 발견)’과 ‘적응적 의미추구형(높은 추구-높은 발견)’이 긍정적 정신건강 특성 및 개인적 자원을 가장 많이 가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부적응적 의미추구형(높은 추구-낮은 발견)’과 ‘무관심형(낮은 추구-낮은 발견)’이 정신건강 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여 상담 및 교육적 개입이 필요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들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변화하는 양상을 확인하고, 의미발견이 의미추구를 이끄는 자원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의미를 추구하고 발견해가는 과정은 상이 할 수 있다는 점과 집단에 따라 정신건강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how finding a meaning of life effects on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who generally start thinking about who they are and how to live a new way of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oth ‘presence of meaning’, a feeling of having a meaning, and ‘search for meaning’, a effort to find the meaning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However,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have not been consistent.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which factors impact on change, and how the mental health effect on process in the longitudinal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ree times every six months. Out of the collected data, the data of a total of 1,087 students(606 male and 481 female students) was analyzed. The proces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change over time through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Second, a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how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change in which order to see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prediction factor affecting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this study examined factors facilitating the meaning in life. Fourth, groups were divided through change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depending on individuals, and this study examined which characteristics each group has in terms of mental health(stress, emo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individual factors(basic psychological need, self-compassion, and reflection). The main results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search for meaning was found to be a stable factor which does not change over time, and presence of meaning showed the trend of increase. Second, the analysis o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found that the presence of meaning at the 1st ti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arch for meaning at the 2nd time, and the presence of meaning at the 2nd ti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arch for meaning at the 3rd time. Third, the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found that rather than negative factors such as stress, positive factors such as autonomy, competency, and reflection had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the analysis led to the finding that five groups explains well the individual differences depending on change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presence of meaning, and each group was named, ‘maladaptive meaning-seeking type(high search-low presence)’, ‘meaning achievement type(low search-high presence)’, ‘middle type(middle search-middle presence)’, ‘adaptive meaning-search type(high search-high presence)’, and ‘indifferent type(low search-low presence)’. In addition, identifying the metal health of each group found that ‘meaning achievement type(low search-high presence)’ and ‘adaptive meaning-search type(high search-high presence)’ had the most positive mental health and resources, and ‘maladaptive meaning-seeking type(high search-low presence)’ and ‘indifferent type(low search-low presence)’ had difficulties in terms of mental health and needed counseling and clinical interven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value of the meaning in life which help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 and grow through the search for meaning in their lives and the presence of meaning can be a resource which leads to search for meaning. The group the has mental issues needs clinical intervention with counseling and implication.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and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 Text model-based EFL writing instructions in genre approach :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장르 중심 쓰기 교수 효과

        조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based on genre approach in the EFL context as compared with that of process-oriented writing instructions. The framework for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was designed based on Feez’s (1998) five-stage cycle of teaching/learning in the genre approach. The framework for process-oriented writing instructions was also designed based on the recursive process model of writing instruction (Flower & Hayes, 1981; Hyland, 2003b; Tribble, 1996). Both frameworks were implemented over a period of sixteen weeks for two types of essays in university EFL courses (seven weeks for comparison-contrast essays and another seven weeks for argumentative essay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wo types of writing instructions on (a) the quality of writing, both holistic and analytic, (b) the rhetoric moves and the use of linguistic featur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4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se students were enrolled in two divisions of an identical English course which aimed to develop the student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n an academic setting. One class of eight students received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new instruction framework. The other class of six students received process-oriented writing instructions for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he 14-week period of writing instruction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practicing critical analyses of expert and novice models of comparison-contrast and argumentative essays. The comparison group also wrote the two types of essays following the recursive model of writing process.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ook the identical pre- and post-treatment writing tests before and after the writing instructions for each essay type. In addition to the writing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completed pre- and post-treatment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student perceptions toward the use of text models in writing instructions prior to and after the instruc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in the quality of the writing, that is, on the holistic scores and analytic scores of ‘ideas and discussion’ and ‘rhetorical features’ for both essay types.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hetorical moves and the use of linguistic features for the two types of essay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gained meaningfully higher holistic scores for both text types. However, the score changes of the comparison group were not very noteworthy. When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the score chang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rgumentative essays, but not for comparison-contrast essays. Second, the writing qua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llustrated notable improvements in ‘idea and discussion’ and ‘rhetorical features.’ Unlike concerns expressed in previous studies that text models may constrain L2 writers to follow rigid conventions of the target text types and focus too much on form (Macbeth, 2010; Leki, 2003),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content and organization scores of the student writings for both text typ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 for both aspects for argumentative essays, but not very remarkable for comparison-contrast essays. For ‘language control,’ another writing aspect of analytic scores, neither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writing instructions for either text type. Third, regarding the rhetorical moves for comparison-contrast essays, most students in both groups were unable to write proper comparison-contrast essays before the writing instructions, bu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positive improvements in the post-treatment comparison-contrast essays with the inclusion of all required moves. For argumentative essays, though a majority of the students were able to write an argumentative essay with most of the obligatory moves before the writing instructions, the students were able to display positive effects of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in the post-treatment argumentative essays. Furthermore, unlike earlier concerns regarding the use of text models in writing instructions, the students did not simply imitate what had been provided in the text models, but showed successful organization of the moves to achieve effective meaning construction. In terms of linguistic feature usag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linguistic features for both text types; ye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not notable for either text type.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linguistic features revealed that the high frequency of linguistic features shown in the post-treatment essay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not due to simple noticing of linguistic features that were used in the text models. The experimental group was able to make proper use of the linguistic features for creation of more meaningful writings in the post-treatment writings. Finally, pre- and post-treatment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examine how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to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After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ir enjoyment in writing in English increased while they realized that writing in English itself was not as easy as they considered before the writing instructions. Considering the actual use of of text models,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ir reference to novice model essays increased in frequency after going through the writing instructions. Although the students provided high scores on the questionnaire scale regarding the use of expert model essays prior to the writing instructions, the post-treatment questionnaire response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became increasingly aware that they did not refer to expert model essays as much as they had perceived. Moreover, the stude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owards the helpfulness of both the expert and novice models after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were given. Students notably expressed a more positive response towards the helpfulness of novice models after the writing instructions. Although the students had already responded positively toward the helpfulness of expert models prior to the writing instructions, the change in perception regarding expert models wa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he students responded that both expert models and novice models helped them improve content and linguistic knowledge; the students responded that expert models were more helpful for gaining organization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holistic and analytic score analyses and the rhetorical moves and linguistic features analyses revealed that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omparison-contrast and argumentative essay writings. The favorable responses of the questionnaires also illustrate that student writers in the EFL context perceive text models and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to be greatly helpful. It can be expected that EFL writers will benefit from the text model-based writing instructions. 본 연구는 장르 중심 쓰기 지도법의 모델 텍스트 분석 단계에서 모델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교수법을 고안하고, 이 교수법을 사용하여 한국 EFL학생들의 작문 수업을 진행한 후 영어 쓰기 능력 향상 및 글의 수사학적 및 언어적 특성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르 중심 접근법에 따라 설계된 Feez(1998)의 교수/학습 절차를 바탕으로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지도 모형을 고안하여 비교/대조 글(comparison-contrast essay)과 논설문(argumentative essay) 쓰기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의 실험 전·후 작문을 총괄적 및 분석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외에도,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가 각각 다른 유형의 글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특성과 언어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학생들의 실험 전·후 작문의 이동마디(move) 및 언어형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법을 통해 작문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모델 텍스트의 사용과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법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도 병행하였다. 본 실험의 연구 대상은 교양 영어 수업을 듣는 14명의 대학생들로, 각각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나누어 14주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중, 실험 집단은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법을 바탕으로 전문가 및 학생이 쓴 모델 텍스트 각각 두 가지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목표 유형 글을 학습하였다. 이러한 교수법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해 비교 집단을 대상으로는 과정 중심 접근법에 따른 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학생들은 실험 전·후 동일한 주제에 대해 목표 유형의 글을 썼고,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실험 전·후에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모델 텍스트를 활용하여 작문 교육을 받은 집단은 각각 7주의 학습 후에 비교/대조 글과 논설문 모두에서 총괄적 점수와 내용 및 구성 점수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과정 중심 접근법을 바탕으로 학습한 집단도 두 유형의 글 모두의 총괄적 점수와 내용 및 구성 점수가 학습전보다 높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분석적 평가영역 중 언어구사력 점수는 두 집단 모두에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이후 유형별 글의 이동마디 분석 결과,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대부분 비교/대조 글과 논설문의 필수 이동마디를 효과적으로 작성하여 목표 유형 글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집단의 경우 역시 이동마디 구성에 발전을 보였지만 실험 집단에 비해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언어적 특성 분석 결과, 실험 집단 경우 목표 유형 글에서 흔히 사용되는 언어 형태 사용 빈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목표 글 유형에 적절한 언어형태 사용 빈도수도 높아졌다. 반면, 비교 집단의 경우 언어형태 사용의 빈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지지 않았으며, 해당 언어형태 사용의 적절성도 떨어지는 편이었다. 마지막으로, 실험 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 결과,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법을 통해 작문 지도를 받은 후 영어 글쓰기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지만 학생 자신의 작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문 수업 이후 영어로 글을 쓴다는 것의 난이도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모델 텍스트의 실제 적용에 관한 질문의 경우, 작문 수업 이후 학생이 쓴 모델 텍스트의 유용성을 인지하고 더 많이 참고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전문가가 쓴 모델텍스트는 도리어 많이 참고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실험 집단의 학생들은 모델 텍스트 제시와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작문 수업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더 많은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 이전에는 전문가 및 학생의 모델 텍스트를 통한 쓰기교육이 내용 및 언어 지식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는 예상은 부분적이었으나 14주의 작문 수업 이후에는 많은 학생이 전문가 및 학생의 모델 텍스트 모두가 내용 및 언어 지식 학습에 있어 유용하다고 응답하였고, 전문가 모델 텍스트 분석이 특히 구성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한국인 EFL 대학생의 경우, 영어 매개 언어를 통한 과목 이수가 늘어남에 따라 영어로 학문적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는데, 작성해야 하는 목표 유형 글들의 언어 외적 문맥과 목표, 그리고 예상되는 독자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영어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글의 구성 및 언어형태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또 새로운 유형 글의 다양한 특성을 배울 수 있도록, 목표 유형 글을 대표하는 모델 텍스트의 분석이 작문 교육의 중심 요소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유형의 영어 작문을 써야 할 부담을 안고 있는 한국 EFL학생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작문 학습을 돕기 위하여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장르 중심 쓰기 교수법을 고안하였고, 다양한 분석을 통하여 이 교수법이 학생들의 작문 지도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검증하게 되었다. 이동마디 분석 결과,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법이 학생들의 두 가지 유형의 글쓰기에 모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 분석 결과, 학생들이 모델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영어 작문에 많은 도움을 받은 사실을 인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교/대조 글과 논설문, 두 유형 글의 학습에 대한 효과만이 검증되었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유형의 글에서도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의 효과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며, 모델 텍스트를 활용한 쓰기 교수법이 대학생뿐만 아니라 중·고등학생의 작문 교육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 가축분뇨에 의한 수계영향 분석을 위한 SWAT Model 적용

        조효진 又松大學校 공학·디자인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3, 2004, 2006년의 3개년에 대하여 강우-유출 모의를 실시하였다. 3개년의 모의와 관측결과의 비교는 다음과 같다. 모의결과 2006년의 모의결과가 관측치와 비교적 잘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OC(LW)지점이 G강의 본류이기 때문에 이 지점의 상류에서 발생한 모든 유출을 대표하고 있어서 YD천에 의한 유량의 변화가 크지 않는 점을 감안할 때 ArcSWAT에 의한 적절한 모의결과로 판단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즉, 상류에서 발생한 유출의 크기에 비해 YD천만에서 발생한 유출량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OC가 위치한 지점이 G강의 본류지역이기 때문에 태생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BC천 유역은 G강의 최상류 지역이기 때문에 상류지역의 영향없이 해당 소유역의 유출을 모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모델인자 검정이 가능하고 수문인자 검정 후 수질인자 검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Untreated livestock wastes have a great effect on the water system because they include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erials and nutritive substances. The generating rate of livestock wastes is only 0.6% of all wastewater and sewage, however it is inferred that the pollution load is 25.8% because they have a much high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Therefore, the treatment of livestock wastes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in the river. Swine wastes among livestock wastes are more than 60% of the entire generating rate. The volume of resources that resolve to manure and liquid manure isexpected to influence a river environment. After fertilizing the soil, livestock wastes resources cause to increase the pollution load in the river because of the spill of rain and underground water.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n the generating and discharging livestock wastes resources indicates how much to influence water pollution of the river.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tests of the discharging patterns of livestock wastes pollutants for a long time enable to estimate the generating rate at the main points in the river waters. Moreover the various generating scenarios based on these patterns enable to simulate the changes of the pollution load in river. These data are applicable to the establishment of counterplans for the treatment of livestock wastes.

      • 고든의 이론에 의한 유아음악 교육방법이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usic play를 중심으로

        조효진 성신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든(Edwin E. 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근거한 뮤직플레이(Music Play) 활동을 함으로써 유아의 음악적성이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 뮤직플레이 활동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면, 그것의 객관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유아음악교육에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이용한 교수법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2곳의 유치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가’는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에 기초한 뮤직플레이를 중심으로 수업하는 A유치원 a반 18명으로 하였다. 통제집단 ‘나’는 전통적 음악수업을 진행하는 A유치원 b반 18명으로 하고, 통제집단 ‘다’는 음악수업이 없는 B유치원 a반 17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뮤직플레이를 바탕으로 구안한 수업지도안을 사용하여 직접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12주 동안 주 2회 40분씩 실시하였다. 사전?사후에 집단별로 고든의 음악적성검사 PMMA(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별 음감과 리듬 및 총점의 사전-사후 점수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집단간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확인하고, 보다 구체적인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음감적성과 리듬적성 및 전체음악적성에 대한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변량분석이 유의할 때 집단간 개별 비교인 Turkey의 HSD방법으로 유의차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음감적성은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43으로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음감적성의 경우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00으로 0.1% 수준 이상의 매우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며, 고든의 유아음악 교육방법과 전통적 음악 교육방법이 대상 집단의 음감발달에 확실히 효과를 가져왔다고 통계적으로 말할 수 있다. 둘째. 사전 리듬적성은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79로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리듬적성의 경우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02로 5% 수준 이상의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며, 고든의 유아음악교육방법이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은 물론이며, 전통음악 교육방법 보다도 효과적으로 리듬적성을 발달시켰다고 통계적으로 말할 수 있다. 셋째. 사전 전체음악적성은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52로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전체음악적성의 경우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도가 .00으로 0.1% 수준 이상의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며, 고든의 유아음악 교육방법과 전통적 음악 교육방법 모두 전체음악적성을 발달시켰다고 통계적으로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고든의 유아음악교육방법과 전통적 음악교육방법 모두 음감적성과 전체음악적성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듬적성발달은 고든의 유아음악교육방법이 음악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은 물론이며 전통적 음악 교육방법보다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수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진행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오디에이션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국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국 유아음악교육의 발전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whether the Music Play activities that are based on the music learning theories of Edwin E. Gordon actually enhanced the musical aptitude of young children. And in the case of observing positive effects, this study will provide objective data that can be used in enhancing the adoption of Gordon’s music learning theories in the pedagogy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of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 kindergartens in Seoul. The study group1, composed of 18 childrenin class a of Kindergarten A, was exposed to music play courses that were based on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Control group 2 was exposed to traditional music classes, comprising 18children in class b of Kindergarten A, while control group3 consisted of 17children in class a of Kindergarten B were not exposed to any music classes. The study author myself conducted the classes for the study group, with a class module I created based on Music Play. The classe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12weeks. Each class lasted 40minutes. Each group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period using Gordon’s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as the main research tool. The study was first able to roughly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by calculating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 and post study scores for tonal, rhythm and a composite score combining tonal and rhythm aptitude levels for each group. Then, the study went on to further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y conducting ANOVA analysis of each group’s tonal, rhythm and composite aptitude. When ANOVA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the HSD method of Turkey.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much significant difference for tonal aptitude between the study group and the two control groups prior to the study period, with only .43 varianc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12 weeks was 0.1%, showing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we can statistically say that both Gordon’s music education methods a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e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tonal aptitude of the study population. Secondly, for rhythm aptitude prior to the study, there wasn’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f .79. However, after the 12 week perio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tudy group, not only against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music classes but also against the group receiving traditional music classes, proving that the study group had developed rhythm aptitude much more effectively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rdly, for the composite musical aptitude, there was only a .52 difference between the study group and the two control groups prior to the study period, but the post study evaluation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variance of 0.1% between the groups, statistically showing that both the Gordon a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groups developed the composite musical aptitude in the group populations. In conclusion, both the Gord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methodology and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ethodology were effective in developing tonal aptitude and the composite aptitude, while the Gordon methodology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the rhythm aptitude compared to both the non-music education group as well as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group. To further develop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ed music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a larger group of children. Also, it is my hope that with increased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more Korean programs can be developed to foster the Audiation capability,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music educ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