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전체험이 지하철 이용 시민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영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안전체험이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각각의 요인들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의식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나 세월호 사고에서 보듯이 안전교육 및 안전의식의 부재가 안전 불감증으로 발전되었고, 엄청난 참사로 진행되어 아까운 목숨들을 잃었다. 전국적으로 안전체험관을 건립하는 사업들이 진행되어 국민의 안전의식을 높이는 정책이 입안되고, 철도안전법이 제정되었으며 안전의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각종 안전사고의 빈번한 발생은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 수준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고, 안전 의식 수준의 변화는 다양한 안전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그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안전체험관의 체험형 안전교육이다. 안전체험 과정이 과연 시민들의 안전의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의문점이 생겨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우고 시작하였다. 가설 : 안전체험을 받은 사람은 체험을 하지 않은 사람보다 안전의식이 높을 것이다.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국내 및 해외사례의 안전체험관 운영현황 및 체험과정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안전체험관 체험을 한 시민들의 안전의식과 체험을 하지 않은 시민들의 안전의식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로 하였고, 안전체험 체험집단과 비 체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표본 대상으로는 체험집단은 서울교통공사 디지털시민안전체험관을 체험한 시민들 중 무작위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비 체험집단은 1~8호선 지하철 이용하는 시민들 중 안전체험관 체험과정을 체험하지 않은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반적인 공통특성을 분석하여 보면 전체적으로 남자보다 여자가 안전의식에 대한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안전체험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체험관을 알게 된 계기는 언론매체가 가장 높았고, 요즘 트렌드를 반영하듯이 유튜브(홍보영상), 인터넷 등이 뒤를 이었다. 지하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안전의식 부족, 안전교육 부족, 안전홍보 부족, 법제도 미비, 관리감독 미비 순으로 조사되었는데 세월호 사건 이후로 국민의 안전의식 인식이 많이 높아진 것으로 알 수 있다. 안전체험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사회적인 분위기를 알 수 있었고, 우리사회의 시민의 안전의식 수준이 더 높아져야 한다는 것을 개개인이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지하철 안전사고 예방 요인, 지하철 이용 요인은 전반적으로 안전체험을 받은 체험군의 안전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지하철 안전사고 요인과 지하철 이용 요인은 시민안전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안전사고 예방과 지하철 이용에 관한 의식수준이 높으면 시민안전의식도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분야 중 가장 크게 평균값의 차이가 난 요인은 지하철 안전사고 예방 분야에서 상황대처에 대한 안전의식 차이였다. 체험을 받은 사람이 안전사고시 대처능력을 더 많이 고민하고 의식한다는 것이다. 이는 안전습관이 몸에 배어 있으려면 지속적인 안전체험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연구결과로 시사하는 점은 체험집단이 비 체험집단 보다 안전의식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안전체험 교육이 시민들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하였다. 추후, 장기적인 정책들을 생각해 본다면 중장기 계획을 통한 안전체험관의 활성화 및 예산 확보 방안 그리고 법제도 개선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국민들 모두가 쉽게 체험할 수 있는 안전체험관의 접근성에 대한 방안도 필요하다. 또한, 시민들의 다양한 눈높이에 적합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안전전문가의 육성으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이고, 안전체험과정이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체험과정의 표준화 방안도 필요하다. 향후에는 안전체험관의 체험과정을 온 국민이 체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가 계속된다면 좀 더 높은 안전의식 고취와 각종 재난 상황 발생 시 대처방법을 습득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aims to improve the safety awareness of subway users by examining the impact of safety experiences on the safety awareness of subway users,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s can be seen from the Daegu subway fire and the Sewol accident, the absence of safety education and consciousness developed into insensitivity to safety, leading to a disaster and killing. A nationwide safety museum was built, a policy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safety was drafted, and a railway safety law was enacted, and the safety paradigm was changed. The frequent occurrence of various types of safety accidents has given rise to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of safety, and changes in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have emerged as a substitute for the need for various types of safety education. The alternative is experienced safety training in safety experience centers. When asked whether the experience process of the safety center would affect the change in public awareness of safety, the following assumptions were made. Hypothesis : Those who have experienced safety will be more aware of safety than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it.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current situation and experience process of the operation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n Korea and overseas were summarized and the problem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afety consciousness of citizens who experienced the safety experience and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the safety consciousness of citizens who did not. The samples cover 25 citizens who have experienced the Digital Citizens' Safety Experience Center of Seoul Transportation Corp. and 25 non-experiential groups have not experienced the following safety experience process among those who have used subway lines 1 to 8. First, looking at common characteristics, we can see that women in general have a higher desire for safety consciousness than men, and are more interested in safety experiences. The mass media was the most likely person to learn about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followed by YouTube and the Internet to reflect recent trends. The biggest reason for subway safety accidents is the lack of safety awareness, lack of safety education, lack of public safety publicity, lack of legal systems, and lack of supervision. This means that each person understands the social atmosphere of a high level of interest in safety experience and thinks that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of safety in Korean society should be raised further. Second, factors that prevent subway accidents and use subway systems in general show a high level of safety awareness among experienced subway users. The safety factors of subway trains and the use of subway trains have a negative impact on public safety awareness. Public safety awareness is high as subway safety prevention and subway use are high.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the three areas was the difference in safety awareness of the situation in subway safety accident prevention areas. This means that those who have experienced this experience are more concerned and aware of their ability to deal with safety accidents. This means that there is a need for continuous safety experience education in order to have safety habits. What the research suggests is that the experiential education at the safety center has an impact on citizens' sense of safety because the experience group is more secure than the non-experience group. In the future, if long-term policies ar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way to revitalize and secure safety experience centers and budgets through medium- and long-term programs, and to improve the legal system. It is also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safety experience museums that can be easily experienced by the public. Also, as can be seen from the problems of the operation of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and the experience process,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is enhanced by developing systematic and profess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s suited to the various viewpoints of citizens, and training safety experts. From now on, if research continues on a sustainable basis to enable the entire nation to experience the experience process of the safety museum, it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safety awareness and learning how to cope with various disasters.

      • 體驗學習과 敎科의 關係

        최경희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체험학습은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체험학습의 열기에 비해 정작 체험학습이 무엇인가,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의 위치가 무엇인가에 관한 진지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한 논의 없이 체험학습 운영 실태 및 문제점, 개선 방안 등의 실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점만 보더라도 사람들은 체험학습이 무엇인지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그러나, 체험학습에 대한 정의는 명확하지 않다. 체험학습에 관한 많은 연구들에서 나름대로의 정의를 내리고 있지만 대개 '체험활동', '책가방 없이', '교육경험', '교실 밖', '생활현장에 직면' 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을 뿐이다. 체험학습의 정의에 포함되어 있는 것들은 대부분 체험학습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것이 아닌 체험을 실시하는 목적, 방법 등이다. 체험학습을 정의하는데 실마리가 될만한 것이 '체험'이라고 한다면, 체험학습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는 다른 무엇보다도 '체험'을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달려 있다. 그런데 체험학습을 분석해 보면, '교과 무관 체험학습'과 '교과 관련 체험학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유형의 체험학습이 가정하고 있는 체험의 의미가 다르다. 교과 무관 체험학습은 체험의 의미가 일상생활에서의 문제해결 내지 교과에서 배우지 못하는 구체적인 활동에 있기 때문에, 체험학습을 할 때 교과를 벗어난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교과 관련 체험학습은 체험의 의미가 교과 그 자체를 경험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체험학습을 할 때 교과와 관련지어서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교과 무관 체험과 교과 관련 체험이란 구분은 가르치는 내용을 무엇으로 보고 있느냐의 차이를 드러내 준다. 교과 무관 체험은 가르치는 내용을 체험으로 보고 있고, 교과 관련 체험은 교과로 보고 있다. 교과와 체험은 교육내용의 의미를 규정하는 말로서 마치 두 가지 상이한 실체를 가리키는 듯하다. 교과는 학생들이 공부해야 할 주제, 배워야 할 기능, 그리고 외워야 할 사실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그것들은 옛날부터 가르쳐 오던 교과라는 것 안에 담겨져 있다. 이에 반해, 체험은 대상 학생들의 필요나 흥미 등을 바탕으로 구성되는데, 학교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경험을 말한다. 교과는 체험의 내용을 가리키며, 학생들은 교육을 받는 동안에 교과 이외의 것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교과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체험학습을 교과 무관 체험학습으로 규정한다면 그것은 교과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난점을 가진다. 반면에 체험학습을 교과 관련 체험학습으로 규정하는 것은 엄밀히 말하여 교과를 가르치는 것 이외에 별도로 체험학습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하여 이 점에서 체험학습의 중요성을 올바로 드러내는데 한계를 가지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체험이 교과와 무관한 것인가, 교과와 관련된 것인가 하는 것은 구분해내기 어렵다. 체험이 그 두 가지 중의 어느 것인가 하는 것은 체험을 제시하는 사람이 어떤 의도로 그것을 사용하는가에 달려 있다. 어떤 사람이 체험을 아동의 이해를 중요시하기 위하여 제시하면서, 교육이 하는 일과는 무관하게, 또는 교육이 하는 일을 세밀하게 규정하려고 하지 않고, 체험학습에서 이루어지는 체험 그 자체를 먼저 규정하고 교육으로 인한 여러 결과가 마치 체험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면, 이 사람은 체험을 교과와 무관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교육에서 가르쳐야 할 내재적 가치의 구체적인 내용을 명시하고 체험에 그 내용이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그 사람은 교육이 하는 일을 세밀하게 조사한 뒤에 교육이 하는 일의 의미가 바로 체험에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 때 이 사람은 체험을 교과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교과와 체험이 대립되는 개념의 것이 아니라면, 교과학습과 체험학습의 관계를 표리의 관계로 파악하는 관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관점에 의하며, 적어도, 수업에서 교과학습에 투입되는 시간이 늘어나면 그만큼 체험학습에 투입할 시간이 줄어든다거나 반대로 체험학습에 투입하는 시간이 늘어나면 교과학습에 투입하는 시간이 줄어든다거나 하는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정상적인 수업이라면 교과학습이 왕성하게 이루어질수록 체험학습도 왕성해지고, 체험학습이 왕성하게 이루어질수록 교과학습도 왕성해지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 체험학습이란 이름 하에 이루어지는 활동들을 살펴보면, 교과 무관 체험학습이란 말이 무색할 정도로 교과와 관련있는 체험학습이 대부분이다. 일선 교육 현장에서 체험학습은 이미 교과와 연관지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체험학습에 교과학습이 전제 혹은 가정되어 있기 때문에서가 아니라 체험학습을 맡고 있는 교사의 존재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왜냐하면, 교육사태 속에서 교사는 이미 교과를 내면화한 사람으로서 아이들과 교육적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지식이 정보와 판단으로 구분된다는 것은, 지식에는 언어에 의한 전달만이 아닌 그 사람이 명시적으로 언어화할 수 없는 묵시적 차원이 있으며 그것은 사람을 통하지 않고는 전달받을 수 없다는 의미다. 특히 판단은 몸을 통해서 밖에 전달될 수 없는 것이므로 학생의 몸과 동일한 종류의 몸을 가진 교사의 존재는 중요하다. 교사 자신이 체험한, 세포 하나하나에까지 배인 지식이 학생의 몸을 통해 전해지기 때문이다. 많은 교육적 문제가 그러했듯이 여전히 교육현장에는 교사가 존재하기 때문에 체험학습 또한 본래의 교육적 개념에 어긋나지 않을 것을 기대한다. 오히려 교과가 내면화되어 그것이 자신의 마음과 다른 것이 아닌 정도의 깊이에 이르게 되었을 때 배움이 실천에 이르게 될 것이다. 또한, 체험학습은 이제까지의 내용의 다른 것이 아닌, 학교 교과를 통하여 전달되는 내용이, 일상 생활에서 그것을 이미 학습한 사람에 의하여 생생하게 시범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는 기회일 것이다. Personal Experience is being attempted widely in educational field. Despite high enthusiasm for Personal Experience, however, there are few sincere discussions about what Personal Experience is and what its position is in school curriculum. Studies has been done on how Personal Experience is run and what its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are, without turning their eyes into its intrinsic nature, and it seems like every people believe they already know well what Personal Experience is. However, Personal Experience has not yet been defined clearly. Even though lots of studies make definition about it in their own way, we can only find the terms, such as 'experience activity', 'without book handbag', 'educational experience', 'outside classroom', or 'encounter with living field', in their definitions. They are just saying about the goal or method of Personal Experience, not about Personal Experience itself. If 'experience' is the clue for defining Personal Experience, the explanation about Personal Experience depends essentially on how 'experience' could be interpreted. Personal Experience is divided into 'subject-unrelated one' and 'subject-related one'. And the meaning of experience is different between the two. In subject-unrelated Personal Experience, the meaning of experience lies in problem solving in daily living or undergoing any concrete activities one cannot learn from academic education, and Personal Experience means here having multiple experiences outside subject matters. On the other hand, subject-related Personal Experience sees the meaning of experience as experiencing subject matter itself. So Personal Experience is inevitably associated with education. The two kinds of Personal Experience have a different view on what to teach. The subject-unrelated one thinks of experience as what should be taught, but the subject-related one sees subject matter as what has to be educated. The subject and experience respectively define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two, as if they are two separate entity. The subject is composed of theme to learn, function to acquire, and facts to memorize, which are all packed in the longtime academic area. On the contrary, experience is built on student need or interest, and provided to students by school. The subject indicates the content of experience, and students go through subject itself from education, not things other than subject. In that case, subject and experience are not of a coordinate concept. Defining Personal Experience as being unrelated to subject is not reasonable, because the importance of subject matter is overlooked here. And the definition of Personal Experience as subject-related one also raises a question about why Personal Experience is separately needed besides education, and fails to give the right explan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Personal Experience. It'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experience is related to subject matter or not. The determination relies on one's intention to use experience. If one presents experience focusing on child comprehension, defines experience itself, regardless of what's done by education or without accurate definition of it, and argues education outcome stems from experience, he or she interpretes that experience is unrelated to subject matter. But some people accurately state the details of what has to be taught in light of internal value, and believe they are contained in experience. After making a close examination into what's done by education, they think experience shares what's done by education. Then they interpret experience as being related to subject matter. If subject and experience are not of a coordinate concept, one possible perspective i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to Personal Experience as that for inside and outside. From this perspective, increased time input for learning is not accepted as the reduction of time for Personal Experience, or increased time for Personal Experience isn't regarded as lowering time for learning. Rather, more vigorous learning should be seen to lead to more active Personal Experience, and more prosperous Personal Experience should b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more thriving learning. Nonetheless, an observation of educational field to see what activities are done in the name of Personal Experience shows that many activities are related to subject matter to such an extent that the observer wonder why there is a term of subject-unrelated Personal Experience. Indeed, Personal Experience is apparently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subject matter. It's not because learning is already or assumptively included in Personal Experience as a precondition, but seems to be caused by the existence of teacher in charge of Personal Experience, as each teacher has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experience. The fact knowledge is divided into information and judgment implies that knowledge is not always delivered just by language. It has an implicit dimension that cannot be clearly translated into language, and that can only be conveyed through person. Since there is no way to deliver judgment except through the body, the existence of teacher who has the body like students is important. The knowledge directly experienced by teacher and soaked into every single cell of his or her body is conveyed to students through their bodies. Like many educational problems, Personal Experience also is expected not to be against its substantial concept, as there are still qualified teachers in school. In case education is internalized so as to be one with one's mind, learning will convert into practice. And Personal Experience will be a good chance to vividly witness the demonstration of what's conveyed to students from education by others who already learned the same from daily living.

      • 생태체험원 경험을 통한 교사 배움의 의미

        권유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로서 성장을 위해 파견제도를 활용한 교사가 생태체험원에 근무하며 무엇을 경험하고 배웠으며, 이러한 경험이 교사의 배움으로서의 어떤 의미가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생태체험원에 근무하는 교사로서 무엇을 경험하였는가? 2. 생태체험원에서의 경험이 교사의 배움으로서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10개월간 연구자 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자서전적 연구이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자서전적 글쓰기, 연구자저널, 연구일지, 사진, 과거 자료이다. 수집된 1차적 자료는 텍스트로 전환하고 시간순으로 배열하였으며, 교사의 변화를 중심으로 타임라인을 구성하였다. 타임라인을 토대로 특별한 ‘의식의 전환’과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읽으며 주제어를 붙이고 범주화하였다. 또한 1,2차적 자료를 다시 읽으며 해석하기를 반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생태체험원에 근무하는 교사로서 생태체험활동을 진행하며 연구자의 고정관념을 깨는 다양한 성향의 유아들과, 스스로 발견하고 표현하며 해결하는 교사보다 유능한 유아들을 만났다. 연구자는 매일 처음 만나는 다채로운 유아들을 통해 유아들의 개별성과 유능함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연구자는 ‘생태체험활동’을 계획해서 가르치려다 실수를 하고, 실수를 보완하는 과정에서 내려놓기를 통해 균형을 맞춰갔다. 이 과정에서 놀이하며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유아들의 본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셋째, 생태모니터링을 통해 자연에 관심을 가지고 자연을 이해하며, 어느새 연구자도 모르게 자연에 공감하는 과정을 경험하며 자연과 관계를 맺어갔다. 위와 같이 연구자가 생태체험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가 도출되었다. 먼저 생태체험원을 오는 유아들과의 만남이 곧 배움으로 이어졌다. 연구자는 스스로 유아를 낯설어했고, 잘 모른다고 인정했기 때문에 지켜보는 과정이 유아를 이해하는 배움으로 이어진 것이다. 유아에 대한 배움은 단순히 유아와의 생태체험활동이 아닌 ‘만남’의 경험이었고, 이를 통해 연구자는 유아를 이해하게 되었다. ‘교사’는 ‘유아’라는 상대와 관계속에서 실존하는 존재자였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반복되는 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되기의 과정을 이어가고 있었다. 반복되는 경험속에서 차이가 생성되고, 그러한 차이는 곧 새로운 배움으로 이어졌다. 스스로 겸손한 태도를 가지고 끊임없이 되돌아보는 반성적 사유를 통해 유아교사되기를 실천하고 있는 교사였다. 마지막으로 배움의 즐거움은 관계로 엮어가는 것이었다. 연구자는 변화하는 자연에 놀라고, 적극적으로 감탄하며 변화되어가는 연구자 자신을 발견하였다. 이는 연구자가 자연의 일부로서 자연과 함께 공존해가는 관계적 체험이었고, 이 가운데 배움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있는 곳에 유아교사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과의 만남을 통해 교사의 배움이 이어졌는데 유치원이든, 생태체험원이든 장소는 중요하지 않았다. 유아들이 있는 곳, 유아들과의 만남을 통해 교사의 배움이 이어졌다. 따라서 유아교사는 유아들이 존재하는 곳에 유아교사가 존재한다는 정체성을 인식하고, 교육의 주체인 유아를 위해 유아교사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배움은 반복되는 경험을 통한 교사‘되기’의 과정이다. 유아가 유치원에서 일과를 반복하듯 유아교사도 교사로서의 일과를 반복한다. 유아교사는 반복되는 경험속에서 자신을 되돌아보고 고민하며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가 되어가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교사‘이기’(being)가 아닌, 끝없는 교사‘되기’(becoming)의 과정임을 인지하고 배움을 이어나가야 한다. 셋째, 유아교사도 유아와 함께 배우는 존재임을 인식해야 한다. 유아교사의 배움은 유아, 동료 교사, 학부모, 유치원 등 유아 교사를 둘러싼 모든 환경과 관계를 맺으며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계를 통해 교사의 배움은 교육현장으로 자연스럽게 환원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사도 스스로 배우는 존재임을 인식하고 유아를 잘 가르치기 위해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 한다.

      • 체험학습 활동이 민주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서연 탐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나라의 민주주의가 잘 실현되는가의 여부는 그 나라 시민들이 어느 정도의 민주시민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그 민주시민성은 저절로 함양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체험학습 활동이 민주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제주지역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실태를 실증적으로 고찰하여 체험학습 활동의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자료 수집은 제주 도내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1895명 가운데 300명을 임의 표집으로 정하고 284명을 최종 표집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분석은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각 문항별로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별로 변인들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 x²test)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제주도 초등학교 교사들은 체험 학습의 지도 방법과 교사의 역할을 바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2) 교사들 대부분이 체험학습 활동이 민주시민성 함양에 기여한다고 보고 있었다. 3) 체험학습을 통해 학생들에게 민주시민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효과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4) 체험학습 활동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교사들은 '학급당 학생수의 과다', '학생인솔에 따른 안전 문제', '경제적인 어려움' 등을 들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보다 효과적인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체험학습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한 중요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나아가 체험 학습 활동에 대한 교육적·정책적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democratic development in the society as a whole largely depends upon the entent to which the democratic citizenship has developed, thus especially coming from the educatio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elf-experiential learning and democratic citizenship among the teachers in Jeju's elementary school. Further, it is to suggest more effective ways for self-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data is collected from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ju via the selective sampling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analysis is based on so-called Chi-square test. The pivotal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Jeju'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ignificant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guiding methods and roles in the process of self-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2) It is likely that self-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are apparently critical to the democratic citizenship's promotion among most teachers of the elementary school; 3) Those hold that self-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generate exclusively positive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for the students; 4) For the teachers, some factors (i.e., outnumber of the students in class, their safety problem in the self-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economic condition of their family, etc.) are initiative to blocking the participation and expansion of self-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may be used for improving the existing problems related to self-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and democratic citizenship, and further reshaping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of self-experiential leaning activity practiced in the elementary school.

      • 진로체험학습이 진로결정 및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지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진로교육현장에 있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직업가치관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체험학습이 진로 결정과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으로는 진로체험을 통한 신중한 전공 선택과 진로 결정으로 미용인으로서의 사명감과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미용 분야의 체험학습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8년 9월부터 11월 9일까지 수도권 지역의 미용 전공 대학생(피부, 메이크업, 헤어, 네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 대상으로 328부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여성이 대부분으로 1학년이 가장 많았고 미용 전공 선택 동기는 ‘관심과 적성이 있어서’ 73.8%로 나타나 전공 선택에 있어 관심과 적성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세부전공은 피부, 메이크업, 헤어, 네일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희망 분야는 개인 숍 또는 프랜차이즈 숍이 60.7%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병원 16.5%, 순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입학 전 선행학습은 60.1%의 경험이 있었으며, 체험학습 필요 유무와 미용은 체험학습에 필요한 과목인지에 대해서는 두 문항 다 90% 이상으로 미용 전공으로의 체험학습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체험학습 시작 동기는 미용직업을 갖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고, 체험학습 교육기관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달랐으며, 체험학습 시작 시기는 고3이 가장 많았다. 체험학습 교육받은 기간은 주로 6개월 미만∼1년으로 교육받은 과목은 세부전공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체험학습을 통한 학과 수업 이해도는 70% 이상 이해가 가장 높았고 유의성은 없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이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체험학습을 통한 학과 수업 이해도에 따라서는 학과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가치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체험학습에 따른 진로결정에서는 학과 수업을 70% 이상 이해한 경우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진로체험학습에 따른 직업가치관과 자아 가치관은 두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학과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가치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은 체험학습을 통한 학과 수업 이해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보인다. 넷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 진로체험학습을 경험한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이 직업 가치관에 영향을 미친다는 방향과 일치하여 이해 타당성도 성립되는 것으로 평가되었고, 진로 결정과 취업 준비 행동은 직업가치관과 자아 가치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진로체험이 진로결정과 직업가치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검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 진로체험학습의 경험이 미용인으로의 전문성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며, 올바른 진로선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하고 실질적인 직업 체험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뚜렷한 가치관을 확립시키고 미용 진로의 다양한 교육 지도 분야가 활발하게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and career value of beauty majors in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experience learning on career decision and career valu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areer experience was intended to equip the sense of mission and professional qualities as a beauty salon through careful selection of majors and career decisions,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experience learning in the field of beauty. To conduct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18 to November 9, 2018 for beauty college students (skin, makeup, hair, nai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328 copi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one-way batch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irst, in general, most of the genders were females, and the first year was the most, and the motive for selecting beauty majors was 'interest and aptitude', with 73.8%, indicating that the ratio of interest and aptitude is high in major selection. The majors were skin, makeup, hair, and nails. n the field of job hunting, 60.7% of them were private shops or franchise shops, followed by 16.5% of hospitals. The study subjects had 60.1% of prior learning prior to enrollment, and it was found that more than 90% of the experiences of beauty majors were as important as whether beauty is a subject necessary for experiential learning. The motive for starting hands-on study was to have a beauty job, and the institute of hands-on learning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art time was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The periods of experiential learning education were mainly less than six months to one year, and subjects educated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ajors. Second, the results of major satisfaction and vocational valu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higher the understanding of the department class through experience learning, the higher the value of the subject. Third, the satisfaction with majors according to career experience learning was the highest when students understood more than 70% of the clas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ccupational values and ego values according to career experience lear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higher the understanding of the department class, the higher the value. Therefore, job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seem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lessons through experience learning. Fourth,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 validity of understanding wa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that career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areer experience learning had an effect on their occupational values. Career decision and job readiness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value and self-esteem.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s and job value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learning career path for young people helps to develop professionalism as a hairdresser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choosing the right career path. We look forward to establishing students' distinct values through diverse and practical vocational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future and actively studying various areas of education guidance in beauty course.

      • 유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김경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 및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 숲 체험 활동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요구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 중에서 실제 숲 체험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미회수 및 불성실한 답변 25부를 제외하고 , 275부를 통계처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운영 실태와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설문지로 최현정(2016)의 도구와 김현정(2013)이 구성한 설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숲 체험 활동을 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숲 체험 활동 유형으로는 ‘체험형 숲 체험 활동’형태가 가장 많고, 숲 체험활동 방문 횟수와 배정 시간은 주 1~2회’와 ‘1시간 ~ 2시간미만’이 가장 많으며, 숲 체험 활동 시 도와주는 보조 교사의 수는 ‘1명’이 가장 많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다. 셋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숲 체험 활동 운영에 대한 요구의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operation situation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which runs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infant and discover the difference of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 about infant's activity in fores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For this, 3 research questions for inquiry were established. Question 1. What is operation situation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which runs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infant? Question 2. What is the perception difference about infant's activity in forest according to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Questiont 3 What is the requirement difference about infant's activity in forest according to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For this study,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eacher who's from private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in Busan, and a total of 275 questionnaires were used except for 25 pieces which are uncollectable and include insincere answer. Hyun-jeong Choi's tool (2016) and a questionnaire made by Hyun-jeong Kim (2013) were used and edited for this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and the demand of early childhood teacher in infant’s activity in the forest. The results drawn by discussion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operation situation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which runs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infant, of all the types of forest activity, 'Experiential forest activity' turned out to be the most frequent. In addition, the most selected answer to the visit count and time assignment about forest activity are 'once or twice a week' and ' from one to less than 2 hours'. Also, in the part of the number of teaching assistant, 'one' is the most selected answer. Second, there is a perception difference about infant's activity in forest according to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ird, there is a requirement difference about infant's activity in forest according to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 체험경제이론(4Es) 관점에 따른 축제 체험이 플로우(flow) 및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 플로우 경험의 매개효과와 전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다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역경제 활성화, 관련 산업 발전 촉진, 지역 이미지 제고 등 지역에 경제적, 사회문화적 다양한 파급효과를 일으키는 지역축제는 1990년대 이후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으며 축제 관련 연구 또한 급증하게 되었다. 축제 관련 초기 연구들은 관광자원으로써 상품화에 대한 전략과 같은 기획자 관점에서 축제를 활성화시키고자 공급자적 측면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지역 활성화 이외의 축제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참여자의 행동과 심리를 이해하고자 심리학적 측면인 소비자 관점의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중에서도 축제 참여자의 행동과 심리의 심층적인 이해를 위한 연구의 하나로 플로우(flow) 개념을 적용한 연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플로우(flow)는 특정 대상, 환경에 몰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련 선행연구는 첫째, 플로우(flow)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둘째, 플로우(flow)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 번째, 단일차원으로서 플로우(flow)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플로우(flow)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첫째, 참여동기에 대한 내적 요인, 둘째, 축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외적 요인, 셋째, 축제 체험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체험요인으로 Pine and Gilmore(1998)의 체험경제이론을 통한 접근의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플로우(flow) 경험과 관련된 연구들은 축제를 경험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축제 방문객의 행동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개개인의 특성에 대한 차이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축제 방문객의 몰입하는 경험인 플로우(flow)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바라보고자 플로우(flow)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Pine and Gilmore(1998)가 주장한 체험요인을 통해 그 관계를 살펴보고, 플로우(flow) 경험의 결과로써 축제 방문객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체험요인과 전반적 만족도관계에서 플로우(flow) 경험의 매개효과와 개인 특성으로써 전문화의 체험요인과 플로우(flow) 경험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원주 다이나믹 댄싱 카니발에 참가한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19일부터 21일 동안,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 설문조사 형태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유효표본은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6.0을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로 첫째, 축제 체험의 교육적 요인을 제외한 오락적, 심미적, 일탈적 요인은 축제 방문객의 플로우(flow) 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탈적 체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순으로 영향력의 크기가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플로우(flow)를 감정적으로 완전히 빠져든 상태로 봤기 때문에 오락적, 심미적, 일탈적 체험도 정서적인 평가로써 감성적 요소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축제 체험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축제의 오락적, 일탈적 체험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오락적 체험이 일탈적 체험보다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제 방문객의 플로우(flow) 경험이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플로우(flow) 경험은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넷째, 체험경제이론의 4가지 체험요인 중 오락적 체험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플로우(flow) 경험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긍정적인 정(+)의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오락적 체험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면서 플로우(flow) 경험을 거쳐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개인의 전문화 수준은 축제 체험요인의 오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일탈적 체험이 플로우(flow) 경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 조절역할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축제 방문객들은 축제에서 오락적인 체험을 경험할수록 축제에 몰입하게 되며 몰입할수록 축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도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또한, 축제 방문객이 축제에서 오락적, 심미적, 일탈적 체험을 경험할수록 빠져드는 경험은 개인의 전문화 수준에 상관없이 이루어진다는 점도 중요한 발견점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기존 축제 관련 연구에서 다소 부진했던 전문화 수준에 따른 방문객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전문화에 따라 종속변수의 영향 차이를 검증하였던 선행연구에서 나아가 축제 방문객의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체험요인의 4가지 요인들을 플로우(flow)라는 감정적 반응과 연결하여 감성적 요소와 이성적 요소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해 다양한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전시공간의 활용과 공간체험 : 전시콘텐츠사례분석

        송혜승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시공간이 전시콘텐츠의 주제가 된 사례를 중심으로, ‘전시공간’과 ‘작품’ 그리고 관람객과의 상호적인 ‘공감체험’에 대해서 탐구한다. 문화 공간은 공간 자체가 가지는 시대적·맥락적 의미 위에 세워지고, 과거의 역사와 시대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지역문화콘텐츠로 시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그러나 회화, 조각, 사진, 영상 등 작품을 위주로 기획되던 기존 미술관의 전시콘텐츠는 그 공간과는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보는 입장이다. 본 연구는 관람객들에게 ‘전시공간’ 자체를 체험할 수 있게 다양한 시도를 선보인 《덕수궁 야외 프로젝트》, 《보이드》, 《양지앙: 서예》 그리고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해 ‘공간체험’을 통한 미적체험을 시도하고 있는 전시콘텐츠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발견하는데 목적을 둔다. 그리고 예술과 사회가 만나는 접점에서 관람객과 미술관의 상호적인 교류와 다양한 의미를 품고 있는 전시공간의 발전가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예술가에게 외부 조건(전시공간)과 작품(현장제작설치)의 결합은 미래 대안적인 전시공간의 의의와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현장제작설치는 전시공간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며 교육기관으로서 미술관과 관람객의 심리적 격차를 줄이는데 영향을 준다. 또한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뿐만 아니라 주변관광객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의 역사성’, 공간 디자인을 고려한 ‘건축적 특성’ 그리고 ‘일상 공간(야외마당)’을 활용한 전시콘텐츠의 분석을 통해 작품-공간-관람객의 상호작용을 엿본다. 그러면서 도시와 예술 그리고 관람객의 문화공간이 실현되는 과정을 발견한다. 작가의 상상력으로 구현된 다양한 의미망은 관람객들에게 미적체험과 함께 상징적 사유까지 선사한다. 관람객은 전시 기획자나 작가의 의도에 따라 예술 작품들을 관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감상의 주체가 되어 공간들의 여건에 맞춰 설치된 현대미술작품을 감상한다. 도시와 예술 그리고 관람객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문화공간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이들을 연결시키는 전시콘텐츠가 문화콘텐츠로서 지속적인 인문학적 논의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시공간을 작품이 담기는 그릇정도의 물리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의미가 더해질 수 있는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생각하기 시작한 미술관의 공간 확장에 의미를 둔다. 관람객의 작품에 대한 예술경험을 넘어선 그 공간자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하는 ‘공간체험’의 확장의 사례로서 미적체험이 일어나는 전시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전략과 연구의 필요성을 살핀다. The Use of Exhibition Space and Space Experience :Studies on the Exhibition Contents Based on the cases where exhibition spaces have become the subject of exhibition contents, this study explores 'Exhibition Space', 'Work' and interactive 'Empathy Experiences' with viewers. Cultural space is built on the meaning of time and context of space itself. Also it is a resting place for citizens with local cultural contents that contain stories of history and time. However, the exhibition contents of existing art galleries, which were mostly designed for paintings, sculptures, photographs and video clips, are not related to the space. This study is to discover a new paradigm shift in exhibition content attempting to ‘Space Experience’ through the analysis of 《Deoksugung Outdoor Project》,《VOID》, 《Yangjiang Group: Seoul Box 》 and 《Young Architects Program》. These exhibition contents offer visitors a variety of attempts to experience the exhibition space itself. For an artist, the combination of external conditions (exhibition space) and works (site-specific art project) can discover the significance and potential of alternative exhibition space in the future. Site-specific art project is based on exhibition space and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can help reduce the psychological gap between the museum and the audience. It also serves as a device that can attract not only visitors but also tourists. Through analysis of ‘History of Space’ where past and present coexis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space design, and exhibition contents using ‘Daily Space (outdoor yard)’, this study will se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rk, space, and the audience. Then, it discovers how cities, art, and cultural spaces of visitors are rea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tension of the space of an art museum, which began to think as a work of art that can be added to various meanings from the physical concepts of a bowl containing works, and ‘Space Experience’ of visitors.

      • 창의적체험활동을 위한 학습프로그램개발 : 파주시 중학교를 중심으로

        김경진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he curriculum that emphasizes student's creativity character development has been introduced aft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chool has been encouraging creative activity programs that allow students to engage in various creative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ese activities are proving to be very useful, as they are promoting self-development in students and allowing them to set career orientation. To meet these demands, currently middle schools are operating club activities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s a part of cre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regular curriculums. Howeve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middle school consisted of only simple and limited educational programs, and is operated passively centering on teachers. The original purpose of establishing early career orientation through self-development and fundamental creativity development starting from middle school has not been effectively achie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Paju middle school and present its implications through analysis.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research was made focusing on developing and presenting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hat the students can actually participate in. After examining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f middle schools in Paju area, the following problems were to be found. First, the five fields of experience activities specified in the curriculum were presented in a too comprehensive and combined way tha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engage in a specific culture/art career exploration activity. Second of all, with the exception of volunteer activities, most of the activities occurred in the school environment, and conditions were still insufficient for participating in various outdoor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community. Third, as the activities are proceeded with teachers in charge, this program lacks in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future middle school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detailed activity area of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must be subdivided into various areas related to future career orientation and reviewed and refined. Also, it is implied that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which students can autonomously improve their skills and decide on the direction of their career, should be developed.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designed and implemented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program in an audition format called "2016 Talent Discovery Festival" in conjunction with Gyeongi Cultural Foundation for middle students to break away from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and experience a stage where they can participate and enjoy. "2016 Talent Discovery Festival" has two parts, and was designed for students to share culture and art, as well as cultivate a sense of achievement and competitiveness at the same time. The first part is a celebration performance, and second part is a contest in a form of an audition where students can improve their aptitude and talents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s a result, 20 team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articipated and were able to foster sense of community and rivalry through fair competition. They were able to display their aptitude and talents, decide on the direction of their career, and continue to realize their dream. Although this festival had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give many students in all the Paju area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t was significant in that it was able to give students hopes and aspiration towards their dream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alled "2016 Talent Discovery Festival". Therefore, continuous development of programs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like this must be made.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발달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도입됨으로써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다양한 창의적인 활동과 경험들을 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권장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자율적인 자기개발과 진로방향을 설정하는 등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 요구에 부응하여 현재 중학교에서도 각각의 정규 교과 계획 외에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으로 동아리나 클럽 활동 및 진로탐구 활동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중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은 다소 단순하고 제한된 학습 프로그램과 교육교사 중심의 소극적 운영이 되고 있다. 본 취지인 중학교시절부터 근본적인 창의성 계발과 자기계발을 통한 조기 진로방향 설정 등에는 큰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파주시 중학교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중인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현황과 실태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실제 청소년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작성하였다. 이에 파주시 내 중학교들의 창의적 체험활동 실태를 확인해본 결과 다음 몇 가지의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첫째, 교과과정에 명시된 5개 체험활동 분야가 광범위하고 통합적으로 제시되어 있어 명확한 문화예술 진로탐색 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기에는 제한적이다. 둘째, 봉사활동을 제외하고는 주로 학교 내에서의 활동이 이루어지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다양한 외부활동에 참여하기에는 극히 여건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셋째, 교사중심의 활동으로 청소년 스스로의 자발적인 참여활동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과과정에 명시된 창의적 체험활동의 세부활동 분야를 향후 진로방향과 연계된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하여 검토 및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진로의 방향을 결정해 나갈 수 있는 다양한 참여활동․체험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자는 파주시 중학교 학생들이 획일화된 교과과정을 벗어나 직접 참여하여 즐기는 무대를 경험할 수 있도록 경기문화재단과 연계하여 "2016 재능발굴 페스티벌"이라는 오디션 형식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시행하게 되었다. "2016 재능발굴 페스티벌"은 총 2부로 기획하여 청소년들이 문화예술을 같이 공유하고 성취감과 경쟁의식을 동시에 기를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1부는 축하공연으로, 2부는 청소년들의 자발적 참여로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향상시키도록 오디션 형식의 경연대회를 기획하였다. 행사결과 초․중․고 20개팀이 참여하여 선의의 경쟁속에서 공동체의식과 경쟁의식을 함양하게 되었다.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발휘하고 무대를 경험함으로써 진로방향을 결정하고 꿈을 키워나갈 수 있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이번 행사가 파주시 전 지역 다수 청소년들에게 기회를 주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재능발굴 페스티벌이라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진로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계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