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청년실업대책에 관한 연구

        김영희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1997년 IMF 관리체제는 우리나라에 국제신인도 하락과 국가경쟁력상실 등 경제·사회적으로 크나큰 변화를 몰고 왔다. IMF는 한국의 경상수지적자 개선을 위한 강도 높은 긴축정책과 구조조정을 요구하며, 경제성장율 3%대의 저성장정책의 추진과 정리해고제의 요건완화를 강력히 요구하여 기업들의 인력감축을 위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수많은 기업들이 도산하고, 기업들은 앞다투어 정리해고제를 도입하였으며 신규인력의 축소, 영세사업장의 폐쇄 등 노동시장의 급격한 축소로 수많은 실업자가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또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임금이 높은 상용근로자들을 일용직이나 임시직으로 전환함으로써 고용구조 역시 취약하게 되었다. 1998년 10월을 기점으로 경제가 서서히 회복되고 있지만 노동시장에 신규 진입하는 청년층은 취업자 증가가 미진한 채 실업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청년실업문제는 불과 1-2년 사이에 비로소 사회문제화 되기 시작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로 고착화되어 가고 있다. 청년층이 겪는 실업 및 미취업의 고통은 다른 연령계층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 청년들이 직장을 갖지 못한다는 것은 국가산업의 원동력을 약화시키고 사회의 활기를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영국의 뉴딜프로그램(NewDeal Program)을 차용한 뉴딜 프로그램의 추진방안을 계획하는 한편, 2003년 9월 "장단기 청년 실업종합대책"을 마련하여 현재의 청년실업대책을 보완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추진체계와 예산, 사업내용과 규모 등이 상징적 수준에 그친 감이 적지 않아 시행에 있어 얼마나 현실과 현장을 반영하여 실질적인 취업을 유도 할 것인지 의문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실태를 살펴보고 선진국의 실업대책을 고찰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청년실업대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여 청년실업문제를 극복하는 데에 그 의의를 두고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청년실업현황과 정부의 대응정책, 외국의 청년고용동향 및 경과 등의 분석을 위하여 문헌연구방법을 위주로 하되 사례수집 방법을 병행하고, 노동시장정책을 위주로 시행되는 정부의 실업대책과 사례에 대하여 복지적 시각에서 이론적, 경험론적 검토를 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계청, 노동부 등 정부간행자료와 한국노동연구원, 청소년연구원 등의 청년고용 및 실업관련 선행연구와 최근의 연구 논문 등 문헌을 분석하고 우리의 청년실업대책에 시사하는 바가 있는 외국의 청년실업정책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청년실업현황을 살펴보면 2003년 7월 현재 실업률 7.5% 실업자 수 37만 9천명으로 전체실업률 3.4%의 2배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이는 3-6개월 뒤 지표가 현실로 이행함을 감안하면 졸업자가 배출되는 연말에는 더 큰 실업대란을 우려하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 청년층 실업의 원인은 본질적으로 경직된 노동시장과의 양적·질적 불일치(mismatch)현상의 심화이다. 이를 수요측면(구조적 요인)과 공급측면(제도적 요인)에서 나누어 보면 수요측면의 요인으로는 첫째, 경제성장의 둔화, 둘째, 산업구조의 변화, 셋째, 기업의 상시구조조정 등의 기업인력정책 등에서 기인한다 공급측면의 요인은 주로 제도적 요인으로 첫째, 고학력자 증가와 질적수준의 미흡, 둘째, 청년층의 직업관과 근로의식의 변화, 셋째, 노동시장 이행기간의 장기화 등 에 기인하고 있다. 우리나라 청년실업의 추이와 현황을 개관하면 첫째, 경기가 호전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취업률이 낮으며 대규모로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 둘째, 불안정한 고용상태의 지속, 셋째, 고학력화 및 이에 동반한 하향취업, 젊은 여성 실업자의 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청년실업의 실업난은 실업문제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단순한 한 계층의 문제가 아니라 중요한 하나의 사회문제이며, 또한 개인사정에 의한 '마찰적 실업'이 아닌 구조적 체계로 인해 매년 일정인원이 실업자로 전락하여야 하는 '구조적 실업'이고, 이 연계고리가 정부와 기업 그리고 대학 등 교육기관이 동시에 그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 보다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청년실업은 첫째, 첫 일자리 진입의 실패, 둘째, 교육 장기화로 인한 기회비용의 과다지출, 셋째, 국가 인력자원의 심각한 불균형과 넷째, 청년층 인력의 유휴화, 다섯째, 불안정 고용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빈번한 유출입, 여섯째, 사회 불만층의 형성 등의 사회문제를 야기 하게된다. 이미 청년실업을 경험한 선진외국의 실업대책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첫째, 실업대책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것. 둘째, 어려운 청소년의 고용 및 취업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전략이 필요하다는 것. 셋째, 청소년 고용정책은 먼 미래를 내다보는 장기적 계획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 넷째,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학교와 기업간의 연계체계의 개발과 다섯째, 청소년 특성에 맞는 직업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 여섯째, 학습과 일을 결합한 직업체험프로그램의 개발 일곱째, 고용을 유인하는 다양한 보조금 지원제도의 시행. 끝으로 상담→1취업지원→사후관리의 체계구축과 복지와 노동을 연계한 프로그램의 강화 등이다. 우리나라의 청년실업대책은 가시적 실업률 낮추기에 주안을 두어 공공근로사업, 단기직업훈련 등 단기적 처방에 치우쳤고 사회안전망 구축에 소홀한 것과 실업자 재취업훈련, 인턴제도 등 프로그램의 실효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청년실업의 구조적 해결책을 모색하지 못하고 있는 점과 거시적 경제변화에 대한 대책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점. 현재의 학교교육이 가지고 잇는 문제점에 대안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외에도 정부대책과 민간부문과의 현실괴리, 일자리 창출정책의 방향 문제 등을 지적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청년실업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청년실업정책의 기본방향을 재설정 하여야 한다. 미시적이고 단기적인 대책도 필요하지만 단기대책만으로는 청년실업의 구조적 요인을 해소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노동시장의 구조를 개선하여야 한다 경제성장삼재력을 키워 일자리를 창출하고, 국가가 복지정책과 연계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펼쳐야 하며, 노동시장 유연화를 위한 제도를 정비하여야 한다. 셋째, 교육훈련의 개혁이다. 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평생교육체제를 도입, 산업사회에 적응하도록 하고 직업교육훈련프로그램을 강화한다. 넷째, 직업훈련체계 정비와 관련 제반제도의 보완·개선이다. 훈련 서비스전달체계를 일원화하여 능률성을 제고하고, 기업의 참여를 유인하여 실업대책을 뒷받침 할 만한 제반 법적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아울러 청년실업자를 위한 사회안전망 학충과 시회복지정책이 잇어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한계로 청년실업의 양태적 분석 및 대책제시가 미흡했음과 함께 후속연구에서 인구사회학적 실증분석을 통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원인규명과 대안제시가 필요함을 말하여 둔다.

      • 기독청년 연구

        김민섭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1917년에 동경 조선 기독교 청년회가 발간한 <기독청년>을 통해 1910년대의 동경 유학생들이 사유하고 있던 기독교 인식과 그것이 서사화 된 모습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독청년>뿐 아니라 <학지광>과 <여자계> 등 동시대의 유력 유학생 단체에서 발행된 몇몇 잡지들을 참고하며 <기독청년>이 1910년대 잡지계에서 가지고 있던 위상을 함께 밝히고자 하였다. 1910년대의 동경 유학생들에게 기독교는 특별한 것이었다. 그들은 모국의 어려움을 타개할 사상적 도구가 필요함을 절감하고 있었고 기독교는 단순한 종교를 넘어 개혁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동경 유학생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종합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던 <학지광>에서도 1910년 중반부터 기독교로 사상을 통일해야 함을 주장하는 글이 나타났다. <기독청년>이 창간되는 1917년 11월 이전까지 기독교는 <학지광>에서 가장 주요한 화두 중 하나였다. 하지만 과학의 중요성을 주장하던 여러 논자들은 기독교가 단순한 종교의 역할을 넘어서서 사상적 도구로 떠오르는 것을 우호적으로 바라보지 않았다. 그들은 기독교가 지나치게 미신적이어서 과학을 기반으로 한 근대 사회의 사상적 도구로 이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았다. 기독교 청년회의 이사였으며 가장 활발한 활동을 했던 전영택 역시 기독교에 사회적 각성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이는 <기독청년> 내에서 하나의 논쟁으로 격화된다. 기독교와 과학 논쟁은 1910년대에 동경 유학생 사회에서 벌어진 여러 사상사적 논의 중에서도 가장 중심에 있었다. 1910년대 후반의 기독교 논의는 <기독청년>을 통해 확대 재생산되며 하나의 담론으로 성장했다. 단순히 기독교의 유용성을 주장한 글들도 있었지만 기독교 교역자들의 각성을 요구하는 글부터 기독교 청년회에 원색적인 비판을 가한 것까지 다양한 관점의 글이 존재했다. 그리고 <기독청년>의 여러 논자들이 개혁의 주체로 호출해 낸 것은 동경 유학생, 곧 그들 자신이었다. 그들은 지육(智育)과 덕육(德育)과 체육(體育), 삼육(三育)이 수양된 청년을 ‘기독청년’이라 지칭하며 하나의 청년 이상향을 만들어 냈다. 이는 전통적인 지·덕·체 관념과는 다른 것이었다. 덕육은 기독교의 교리를 기반으로 정신적 체계를 정립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가장 중심에 있었고, 지육은 이미 그들에게 분과 학문으로 내재화 되어 있던 과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것이었다. 체육은 지와 덕을 수양하기 위한 예비 단계로서의 의미가 있었다. 위와 같은 인식은 <기독청년>에 수록된 몇 편의 번역 작품들을 통해 서사화 되었다. 제10호부터 3회에 걸쳐 수록된 ?하나님은 眞理를 보신다 마는 기다리신다?는 기독교에 대한 사회화 요구와 관련이 있는 작품이다. 동경 조선 기독교 청년회의 이사를 맡고 있던 전영택은 기독교에 사회적 각성이 필요함을 여러 번 강조했지만 그것이 곧 세속의 권력자에 대한 패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하나님은 眞理를 보신다 마는 기다리신다?의 주인공 악시오노프가 억울한 누명을 쓴 뒤 세속의 권력자인 황제에게 구원을 요청하지만 무시당하는 것이나 아내와 아이들과 같은 세속의 관계에서도 버림받는 모습은 당시의 논쟁과 관련하여 눈여겨 볼만하다. 1910년대의 동경 유학생들은 기독교를 단순히 하나의 종교로써 맹목적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었다. 기독교에서 가능성과 유용성을 발견한 이들은 그것이 개혁을 위한 사상 통합의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인식은 1910년대 중반부터 동경 조선 기독교 청년회를 중심으로 일어난 것이며 많은 논쟁을 거치며 내재화 되어 갔다. <기독청년>은 그러한 담론들을 여과 없이 담아낸 의미있는 잡지이며 우리는 이를 통해 1910년대의 동경 유학생들이 가지고 있었던 기독교 인식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이광수와 전영택을 비롯한 여러 유학생 문인들이 1910년대의 기독교 논쟁에 참여했던 것이나 그러한 인식이 그들의 몇몇 작품에서 서사화 되었다는 사실은 문학사적 연구에서도 가치가 있다.

      • 청년 독립 가구를 위한 "제 3의 공간"에 관한 연구 : 레이 올덴버그의 이론을 기반으로

        류혜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청년 1인 가구의 증가 추세에 맞추어 이들의 주거요구 및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제 3의 공간 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태까지의 1인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 지원은 주로 양적 공급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1인 가구의 주거지 인근 환경에 대한 집중적인 고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인 가구 및 청년 가구를 주제로 한 학술 연구들에서도 대체로 주거지 계획과 정책적 지원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었다. 즉,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나 제 3의 공간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실정이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청년 1인 가구를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청년 독립 가구가 활용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 등의 대안적인 공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청년 1인 가구는 사회적인 위치나 경제적인 기반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주거약자로 분류된다. 이들을 위한 주거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주거 공간에 대한 지원 정책만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하는 제3의 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청년 독립 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제 3의 공간이 주거지 내부 및 인근 환경에 보급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제 3의 공간’은 커뮤니티 공간 및 공유 공간과는 차별화된 점을 지닌다. 특히, Ray Oldenburg의 ‘제 3의 장소' 이론에 기반하여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주거지의 인근에서 휴식이나 여가 등 다양한 활동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2장 문헌 분석'의 절에서 자세하게 다루었다. 해당 챕터에서는 기존의 커뮤니티 공간 및 공유공간의 이론과 사례 분석을 진행하고, 이와 같은 다양한 공유 공간을 아우르는 개념으로써 설정하였다. 본 연구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문헌 분석, 현장 사례조사, 설문조사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1)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장소" 이론과 제3의 공간을 주제로 한 학위 논문의 분석을 통해 제3의 공간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더불어 청년을 대상으로 한 커뮤니티 공간, 공유 공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제3의 공간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레이 올덴버그의 이론과 선행 연구 문헌 분석을 통해 제3의 공간의 핵심 특성, 기능,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년 단독 가구의 주거지 인근 환경에 제공할 수 있는 제 3의 공간에 대한 주요 기능을 검토하였다. 2) 청년 주택 인근의 거주환경에서 나타나는 제3의 공간의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현장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역세권 청년주택은 청년을 대상으로 한 주택이 추가로 공급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이다. 이에 따라 이곳에 청년들의 다양한 주거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시설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 현장 사례조사에서는 대표적인 제3의 공간의 유형들에 대한 접근성을 살펴보고, 이 공간들이 청년 가구의 다양한 주거요구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3) 설문조사는 청년 독립 가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제3의 공간의 특성 및 기능, 유형별 선호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델파이 방법을 바탕으로 작성되어, 총 2회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설문조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제3의 공간의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고, 주거지 내외의 커뮤니티 시설의 선호 및 수요의 파악, 앞서 분석한 제3의 공간의 특성, 기능, 유형에 따른 선호도, 중요도 만족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2차 설문조사는 1차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심층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 앞서 분석한 청년 독립 가구의 제3의 공간의 선호도 요인을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3의 공간의 주요 특성과 그 이유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독립 가구의 니즈를 반영한 공간의 요소를 도출하고 제3의 공간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통해 청년 독립 가구를 위한 제3의 공간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청년 독립 가구의 실질적인 수요와 특성을 반영한 제3의 공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eds and strategies for providing various types of the third places in consideration of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housing needs, and the trend of young adult households, which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 Until now, the housing policy support for young adult households has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supply.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rarely considered creating a good environment near the residence of single-person households. Meanwhile, studies on one-person households of young people generally have dealt with residential planning and policy support. Clearly, the research in services or the third plac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adult households has rarely been found. Accordingly,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welfare for young adult households, it is necessary to improve alternative spaces such as the third places that can be used by independent households. In particular, young adult households are reported to have weak residential stability with unstable social positions and economic foundations. In order to realize residential welfare for them,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support policy for residential space but also the third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ways to propose and develop the third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available to young adult households. This study included both interior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of the residence. 'The third place' mentioned here is differentiated from the community space and the shared space. In particular, based on Ray Oldenburg's "the Third Place"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pace can be analyzed and organized into the spaces that provide various activities and services for relaxation and leisure near the residence. In this thesis, it was dealt with in detail in the section of ‘Chapter 2 Literature Analysis’. In this chapter, the theory and case analysis of the existing community space and shared space were conducted, and it was set as a concept encompassing various common space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thesis were set in stages to perform various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e methods of a literature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and a second survey were used to conduct this study. In this regard,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procedure. 1) The concept of the third place was examined through an analysis of Ray Oldenburg's "the third place," and the domestic thesis on the third plac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s and shared spaces for young adult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third place, which is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were derived. Meanwhile, the core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types of the third place were analyzed through Ray Oldenburg's theory and analysis of prior research literatur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review the main functions of the third place that can be provided to the environment near the residence of young adult households. 2) An on-sit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the third place appearing in the living environment near youth housing. In particular, youth housing in the station area is an area where additional housing for young adult households is expected to be suppli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facilities that can reflect various housing needs of young adults here. In the field case study, the accessibility of representative third-party spaces was examined, and whether these spaces could support various housing needs of young adult households was identified. 3)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young adult households. The survey was composed of question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third plac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by the type. In particular,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prepared based on the Delphi metho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n the first survey,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third place of the study subjects were identified, pre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function, type, and importance satisfaction of the third place analyzed earlier were collected. Next, the second survey collected in-depth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factors of preference for the third space of young adult households analyzed earlier were categorized, and based on this, responses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place and its reason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elements of space that reflected the needs of young adult households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the Third Place.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the concept of third places for young adult households was reestablished, and the direction of the third place was proposed to reflect the actual demand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 households.

      • 청년창업가의 창업과정에 관한 경험학습 사례연구

        이은선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경제활동의 중추인 청년인력의 잠재력을 활용하지 못하는 오늘날의 사회적문제가 청년들을 창업으로 이끌었다. 창업에 대한 대학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창업에 도전하는 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창업한 모든 창업가들에게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며 사업체 운영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에 봉착할 수밖에 없는 위험성이 잠재되어 있다. 따라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창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청년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창업을 대하는 태도는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는가’ 하는 결과론적인 문제에 초점이 맞춰진 경우가 많았다. 창업의 ‘성공’이라는 결과적 측면에만 의미를 두지 않고 실패는 불필요하다는 태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청년창업가들의 창업과정에서 일어나는 경험이 학습으로 확정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청년창업가의 창업과정에서 어떠한 학습이 일어나는지 살피고 창업과정에서의 경험의 의미를 깊게 이해하고자 청년창업가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활용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창업가들은 창업기회를 마주하는 과정에서 창업가로서의 주체적인 삶의 기회를 발견하였다. 이는 창업가로서 ‘존재하기 위한 학습’을 실천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 있으며, 그 과정 안에서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등의 심리적 특성이 나타났다. 이는 창업가로서의 그들의 타고난 특성일 수도 있지만 창업과정을 통해 후천적으로 특성이 만들어진 경우도 있음을 발견하고, 이러한 특성들은 사업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청년 창업가는 ‘사람관계’에서 터득한 지혜로 ‘현명한 관계구분’을 하게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사람으로부터 경험한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구조를 만들고, 공과 사를 확실히 구분하고, 함께 일할 직원을 선택하는 등의 현명한 관계구분이 일어났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셋째, 청년창업가들은 창업과정에서 ‘실수경험’을 통해 깨달음과 지속적인 ‘배움의 확장’을 실천하고 있음이 발견된다. 실수경험은 창업과정을 충분히 경험하기 이전, 특히 창업 초기에 빈번했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실수 경험을 ‘나를 확장시키는 배움의 계기’로 의미를 간주하고 있었다. 넷째, 청년창업가들은 창업과정을 ‘자신을 발견하는 계기’로 의미를 부여한다. 정직이 가져다주는 지속성, 소심함에서 자신감으로의 태도 전환,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이해심, 사람을 대하기 전 준비성과 신뢰감의 의미를 발견하고, 창업하기 전에는 없었던 이와 같은 내적인 힘이 채워지고 있었다. 이렇게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함으로써 부족한 자신의 내면을 채워가는 노력이 청년 창업가를 더욱 성장하게 만든다. 결론적으로 청년창업가들은 창업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경험들을 곧 배움으로 확장시켰다. 연구 참여자들은 면담 전까지 자신들이 창업과정에서 겪은 모든 경험들이 배움이자 학습자원이 될 수 있음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으나 면담 후에는 배움으로 전이되는 경험의 범위를 좀 더 넓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평생에 걸쳐 학습의 본능을 발휘하는 인간에게 있어 배움 그 자체가 삶의 다양한 경험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의미를 찾아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창업가의 삶의 모습은 창업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경험에 의한 배움과 기회발견을 통해 창업가의 특성을 발견하고, 사람관계에서 터득한 지혜로 현명한 관계를 구분하고, 실수 경험을 통해 깨달음과 지속적인 배움을 확장하고, 자신을 내적인 힘을 발견한다는 특징이 있다. 지속적인 성장을 멈추지 않게 하는 청년창업가의 힘은 스스로의 인정, 타인으로부터의 인정이었고, 경험으로부터의 성찰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청년창업가들이 창업과정에서 자신들이 겪은 경험을 되짚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고 또 그것이 실제 창업활동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소망이 있다. 물론 질적 연구의 특성상 몇몇의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자료로 분석해서 얻어낸 결과를 일반화해서 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 덕분에 본 연구 속에는 청년창업가들의 창업과정에서의 삶과 경험이 녹아있음이 틀림없다. 이 연구가 청년창업가들이 창업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갖고 도전할 수 있는 하나의 시사점이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청년창업가의 경험을 교육학적 측면에서 바라본 논의가 풍성하지 않은 실정에서 이루어진 본 연구는 청년창업가들이 창업과정에서 터득한 경험이 학습으로 전이되고 그 영역을 넓혀갔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평생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청년창업멘토링이 멘토링 만족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전용창업자금 지원 기업을 대상으로

        이진혁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년창업멘토링이 멘토링만족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전용창업자금 지원 기업을 대상으로 우리 경제는 경제 성장에 비하여 일자리가 증가하지 않는 ‘고용 없는 성장’ 시대로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기업 고용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성공적인 기업 창업이 활발하여야 하며, 기업들의 고용을 통한 일자리가 창출되는 선순환 구조로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현재 우리나라 정부는 각종 창업 관련 지원제도를 마련하여 성공적인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나 지원제도 운용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창업은 ‘새로운 업을 만드는 일’로 기회를 인식하고 세부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활동이다.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적절한 자원을 투입하고 핵심가치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요소를 관리해 나가는 과정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창업자가 만 39세 이하 창업을 청년창업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경험적인 성숙도가 비교적 낮은 청년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직접적인 지원제도와 함께 창업교육, 멘토링 등 다양한 형태의 제도적 뒷받침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는 2012년부터 청년전용창업자금을 창업기업자금의 한 축으로 설정하고 매년 1천개 이상의 청년창업가에게 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사후관리 측면에서 창업멘토링을 통해 창업기업의 생존율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최근인 2015년과 2016년에 청년전용창업자금을 지원받은 기업 가운데 1회 이상 멘토링을 실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청년창업멘토링이 멘토링만족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조사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청년전용창업자금을 취급하는 중소기업진흥공단 18개 본부와 지부에서 서울, 경기 등 수도권과 경북, 대구 등 지방 본부에서 자금지원을 받은 기업 298개를 대상으로 5월 14일부터 10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142개 업체가 설문에 응답 결과를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청년창업을 지원하는 제도 중의 한 축인 청년전용창업자금의 멘토로 근무하면서 멘토링의 역할과 기능적 측면에서 멘티들의 만족도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있었으며, 직접적인 성과 창출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자금지원이라는 측정 가능한 성과지표 달성보다 중요한 창업멘토링의 목적인 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에 집중하였다. 청년창업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를 통해 창업멘토링의 실효성을 확인하고 청년창업지원제도의 보완의 틀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인 토대를 만들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발달장애청년들의 평생교육 참여에 대한 연구 : 고양시 발달장애 청년을 중심으로

        정연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promote and inhibit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investigate the lifelong education requirements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ourth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Plan has achieved qualitativ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ut the survey shows that disabled people, especially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alienated from lifelong education. Several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on all ages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research on specific age groups has not been completed, and the necessity of research has been recognized.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ctual situation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prevent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hird, what are the requirements for the participation, sustainment and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42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4 parents and 9 experts living in Goyang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a non-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Corona 19. The results of the participation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only 31 percent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after graduation. The second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nd basic civilization education. Third, lifelong education management agencies wer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day care centers, resident centers,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urth, the reasons why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re in the order of employment and hobby, enjoyment of time and learning, friendship and health promotion. Fifth, information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s obtained from organizations and acquaintances related to the disabled. Sixth,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once or twice a week. Seventh, parents said, "The reason why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is to give them a sense of belonging and to spend time independently." Eighth, the average monthly cost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is less than 200,000 won. Ninth, par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quality and number of teachers who ru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tenth reason why parents do not allow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to educational sites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mismanagement time. The motivation and inhibition factors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mong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hobby activities and friendship. Second,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ited lack of information as the main reason for hinder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nd experts said they did not participate because of lack of time and experts. The results of the lifelong education requirements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76 percent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id they needed lifelong education. Second,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swered vocational skills improvement educati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ic Munhae education, basic Munhae education, humanities and citizens' participation education. Third,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swered that they wer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daytime protection centers, resident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lifelong education centers, lifelong education centers, day protection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urth,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s prefer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nce a week. Fifth, it was found that both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s prefer afternoon hours. Sixth, the pathways to obtaining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introduction of disabled groups, promotional materials, and acquaintances. Seventh, educators who ru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expertise in educational content. Eighth, the requirements for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include diversification of programs, time management and accessibility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rst, various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Second, lifelong education for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at various facilities in the community. Third,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you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s' educational needs are different, so consultations and adjustments are needed. 본 연구는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촉진 및 저해요인을 살펴보고, 발달장애청년과 보호자의 평생교육적 요구사항을 조사함으로써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4차 평생교육진흥계획에 의하여 장애인 평생교육의 양적·질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나 장애인실태조사에서는 장애인들, 특히 발달장애인들이 평생교육에 소외되어 있다는 지표를 확인하면서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게 되었다. 여러 선행연구는 지적장애, 발달장애인의 전체 연령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특정 연령층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어 있지 않아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참여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참여를 지속하게 하는 요인 및 저해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참여지속 및 확대를 위한 요구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양시에 거주하고 있는 발달장애청년 42명, 보호자 24명, 전문가 9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코로나19 상황으로 비대면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졸업 후 평생교육에 참여한 경험 여부에 대해 발달장애 청년의 31%만이 경험이 있음을 나타냈다. 둘째, 참여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문화예술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기초문해교육의 순이었다. 셋째, 평생교육 운영기관은 장애인복지관 및 주간보호센터, 주민센터 및 평생교육원, 직업재활시설의 순이었다. 넷째, 발달장애청년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이유는 취업 및 취미를 위해, 시간활용·배움의 즐거움, 친교 및 건강 증진의 순이었다. 다섯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획득은 장애인 관련 단체와 주변 지인으로부터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발달장애청년들은 주 1~2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일곱째, 보호자는 발달장애청년을 평생교육에 참여시키는 이유를 소속감을 만들기 위해, 피보호자의 자립 및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로 응답하였다. 여덟째, 평생교육 참여를 위한 월 평균 비용은 20만원 미만이었다. 아홉째, 보호자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교사의 질·학생규모(수)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였다. 열째, 보호자가 발달장애인을 평생교육에 참여시키지 않는 이유는 정보부족과 프로그램 운영시간이 맞지 않고, 교육장소로의 이동이 어려워서였다.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 및 저해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청년이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이유는 취미활동과 친교목적이었다. 둘째,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참여 저해요인을 발달장애청년은 정보부족을 꼽았고, 전문가는 프로그램, 시설, 프로그램에 참여할 시간, 전문가가 부족하여 참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발달장애청년과 보호자의 평생교육 요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청년의 76%가 평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희망하는 평생교육의 내용에 대해 발달장애청년은 직업능력향상교육, 문화예술교육, 기초문해교육 순으로 답하였고, 보호자는 문화예술교육, 기초문해교육, 인문교양·시민참여교육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희망하는 교육장소에 대해 발달장애청년은 장애인복지관 및 주간보호센터, 주민센터 및 평생교육원, 학교부설 평생교육원으로 응답하였고, 보호자는 주민센터 및 평생교육원, 장애인복지관 및 주간보호센터, 학교 부설평생교육원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주별 횟수에 대해 발달장애청년과 보호자 모두 주 1회를 가장 선호하였다. 다섯째, 평일 프로그램의 운영 희망시간은 발달장애청년과 보호자 모두 오후시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희망 획득 경로는 장애인단체 소개, 홍보물, 주변 지인 소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자에 대한 요구사항은 교육자의 책임감과 교육내용의 전문성이었다. 여덟째, 평생교육 시설에 대한 요구사항은 프로그램의 다양화, 학습자 특성에 맞는 시간운영, 접근성 등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발달장애청년의 평생교육이 지역사회 내의 다양한 시설에서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발달장애청년의 교육적 요구와 보호자의 교육적 요구가 달라 이에 대한 협의와 조정이 필요하다.

      •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항일공연예술 활동에 관한 연구 (1939.2~1939.10)

        오은아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tility of the anti-Japanese performing arts activities performed by the Korea Liberation Front Youths Mission Corps as an anti-Japan propagation and their impact on Korean liberation movement. Moreover,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overall organizational composition of the Youths Mission Corp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explored the development of the large-scale fund raising concerts performed by the corps and their advertising effects in detail. In additi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ight at the Border>, a play by the Youths Mission Corps, was analyzed and reviewed the message the corps wanted to deliver to Chinese viewers. The Youths Mission Corps was an anti-Japan propagation group formed early February 1939 in Liuzhou, China on the premise of integration of youths on the Korea Liberation Front and resolve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Comprised of about 70 men and women of all ages in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Korea Liberation Front, the Youths Mission Corps appointed Ungi Ko as its leader, Dongsu Kim as the second in command and Hangseop Eom as the propagation chief and positioned organizations such as propagation department, theater department and youth department. The Youths Mission Corps was in charge of the a wide spectrum of activities from basic propagation operations to fund raising concerts for injured Chinese soldiers, commemoration performanc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Day and other shows. The performance of the group not only let the Chinese become aware of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Korea and China union but also allowed them to sympathize and experience the union through <The Night at the Border> depicting 'the Korean and Chinese fight on the Manchurian border'. Also, the storyline where the group bravely fight against the Japanese and won the battle on the front comforted the youths for the reality of not being able to stand against the Japanese and promoted the morale of the fighters and strengthened their unity. In addition to anti-Japan performances, the group also showed unique performances containing Korean sentiment, revealing the identity and pride of Korean before the Chinese audiences. The anti-Japanese performing arts activities by the Youths Mission Corps, later on, had positive impact on forming friendly relationship with China. When the news widely broke out on the newspaper that the corps donated its entire profit for the Chinese on their anti-Japan movement really engraved the status of corps as an international support organization to the Chinese. They also visited Chinese military hospitals offering entertainment shows and delivering funds, clearly exhibiting that Korea was a fellow soldier against the Japanese. It also drew out the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the Chinese for our independence movement and provided positive effect for the two countries to share a sense of bond. Eventually, the anti-Japanese performing arts activities by the Youths Mission Corps was handed to the Korean Youths Battlefield Mission Corps, who developed the works into 'anti-Japanese performing arts movement' with higher quality and artistic value. Also, most members of the Youths Mission Corps became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by way of the Korean Youths Battlefield Mission Corps and Korea Special Dispatch Corps. The formation of the Youths Mission Corps provided a practical human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and their activities brought new vigor for our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Korea Liberation Front in Qijiang and Chongqing who were exhausted from the long, drawn out refuge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본 논문은 韓國光復陣線靑年工作隊(이하 청년공작대)가 전개한 항일공연예술 활동이 항일선전수단으로서 어떠한 효용성을 지니며, 한국독립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청년공작대의 결성 과정과 조직구성 전반에 대해 추적하고, 청년공작대가 개최한 모금공연의 전개 과정과 공연 이후 얻게 된 구체적인 선전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청년공작대가 연출한 연극 <국경의 밤>의 내용과 그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청년공작대가 중국인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가 무엇이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청년공작대는 韓國光復運動團體聯合會(약칭 광복진선) 소속 청장년들의 통합을 전제로 1939년 2월 초 중국 柳州에서 결성되어 같은 해 10월 경 해소된 항일선전단체이다. 청년공작대는 광복진선의 청장년층이 주축을 이루고 여기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이하 임시정부) 가족이 참여하면서, 약 70여 명에 이르는 대원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대장에 고운기, 부대장에 김동수, 선전주임에 엄항섭 등을 각각 선출하고, 선전부·연극부·歌舞부·소년부·아동부 등의 기구를 배치하여 조직체계를 갖추었다. 청년공작대는 柳州에서 중국 부상병을 위한 위로금 모금공연과 삼일절 기념공연, 한중합작공연 등을 전개하였다. 청년공작대의 항일공연예술 활동은 중국 측에게 한중연대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인식시킨 것은 물론 ‘만주 국경지대 한중연합군의 연대투쟁’을 주제로 한 연극 <국경의 밤>을 통해 중국인 관객들이 진정한 한중연대를 몸소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해주었다. 아울러 최전선에서 일제와 당당히 맞서 싸워 최후의 승리를 쟁취하는 연극 무대는 당장에 대일항전을 수행하지 못하는 현실에 대한 청년 대원들의 아쉬움을 달래주는 한편 내부 단합을 공고히 하고 대원들의 사기를 진작시켜주기도 하였다. 더욱이 항일을 소재로 한 공연 외에도 한국 고유의 정서와 특색이 담긴 공연을 선보여 중국인 관객들 앞에서 한국인으로서 정체성과 자부심을 드러내 보이기도 하였다. 청년공작대의 항일공연예술 활동은 향후 중국 측과의 우호적인 관계 형성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였다. 청년공작대가 공연 수익금을 중국군에 기부한 사실이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청년공작대는 중국의 항전을 돕는 국제지원단체로서 지위와 위상을 중국 측에게 확실히 각인시킬 수 있었다. 또한 공연 이후 중국 부상병들을 직접 찾아 위문활동과 위로금을 전달함으로써 중국 민중들이 체감하는 한중연대의 실효성을 더욱 높여주었다. 이는 곧 한국독립운동에 대한 중국 측의 지지와 협력을 이끌어내고 한중 양국이 연대의식을 공유하는데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후 청년공작대의 항일공연예술 활동은 韓國靑年戰地工作隊(이하 전지공작대)로 이어져 ‘항일예술극운동’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청년공작대원들은 전지공작대와 軍事特派團을 거쳐 한국광복군으로 연결된다. 청년공작대의 결성은 한국광복군 창설의 실질적인 인적기반을 구축한 것이며, 이들의 활동은 한국독립운동전선에서 보다 효과적인 항일투쟁방략이 정립하게 되는 기반을 조성하였다. 동시에 중일전쟁 발발 이후 거듭되는 피난길에 지친 임시정부와 광복진선이 이후 綦江, 重慶 등지에서 새로운 활력을 되찾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하였다.

      • 청년창업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청년전용창업자금을 중심으로

        이연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그동안 정책자금은 거시적 분석에 치중하였다. 따라서 개별사업에 대한 한계가 있다는 문제제기가 있었다. 이에 정책자금의 특성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청년전용창업자금’에 한정하여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실용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책적 제시와 연구자료 축적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3가지 관점에서 자료를 수집·분석 하였다. 먼저 청년창업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청년창업기업의 특징은 보유자원, 기술자원의 관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외부 환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창업기업의 성과분석은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동시에 분석하고, 재무적 성과는 재무제표를 이용한 성장성, 안정성, 수익성, 활동성을 타 지원자금과 비교 방식으로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비재무적 성과에 대해서도 함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개별사업단위의 ‘청년전용창업자금’을 타 지원사업과 연계하면 지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동 자금은 경영자로서의 첫걸음을 시작하는 청년창업자에게는 창업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는 밑거름이 되고 있었다. 창업기업에게는 외부적 환경 변화에 빠르게 대응케 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지원정책 이다. 청년전용창업자금은 창업기업에게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를 근거로 수행하였다. 【주요어】: 중소기업정책자금, 정책자금, 청년전용창업자금, 청년창업자, 창업자, 창업기업, 경영성과, 중소기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