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이 특발성 척주옆굽음증 여성의 Cobb's 각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태성 西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774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rrect exercise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 on Cobb’s angle, muscle activity, functional movements, breathing capacity and a satisfaction of scoliosis within the patients of idiopathic scoliosis. We examined 21 subjects who were patients of J hospital in Daejeon with idiopathic scoliosis(over Cobb's angle 10° at x-ray) during 8 weeks. They were divided into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 with 11 women and without forced breathing exercise with 10 women. We measured the data of Cobb’s angle, muscle activity, functional movements, breathing capacity and a atisfaction of scoliosis. We measured it in order at pre-intervention and every fourth weeks during 8 weeks. The result of were as follows; First, between groups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Cobb’s angle to know the change of posture(p<.05), and it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e of Cobb’s angle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 than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out forced breathing exercise(p<.05). Second, the measurement of muscle activity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left and right external oblique muscle and right erector spinea at thoracic in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p<.05), and it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e of muscle activity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 than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out forced breathing exercise(p<.05). The both groups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left and right erector spinea at lumbar(p<.05), and it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e of muscle activity in left erector spinea at lumbar at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 than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out forced breathing exercise(p<.05). Third, the measurement of function movement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movement with the both groups(p<.05). Fourth, the measurement of the change of the forced vital capacity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 group(p<.05), and it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 of the forced vital capacity at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 than the correct exercise group without forced breathing exercise(p<.05). Fifth, the SRS-22 survey showed the significant provement of satisfaction of scoliosis with the both groups(p<.05). As a result, it was more effective the correct exercise with forced breathing exercise than the correct exercise without forced breathing exercise for the decrease of Cobb’s angle, the decrease of muscle activity, the improvement of the forced vital capacity of scoliosis. 본 연구는 특발성 척주옆굽음증 환자를 대상으로 강제호흡운동을 동반한 교정운동이 Cobb's 각과 근활성도, 기능적 움직임, 폐활량, 척주옆굽음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대전에 위치한 J병원의 환자로 방사선 사진상 Cobb's 각도 10°이상인 20대 여성으로 21명을 선정하여 8주간 강제호흡운동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 11명과 교정운동 집단 10명으로 나누어서 적용하였다. 측정은 중재 전, 4주 후, 8주 후 순으로 Cobb's 각, 근활성도, 기능적 움직임, 노력성 폐활량, 척주옆굽음증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 번째, 자세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Cobb's 각 측정 결과 두 집단 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교정운동 집단보다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이 유의한 Cobb’s각의 감소를 보였다(p<.05). 두 번째, 근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왼쪽·오른쪽 배바깥빗근과 오른쪽 등부위 척주세움근에서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p<.05), 교정운동 집단보다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이 유의하게 근활성도의 감소를 보였다(p<.05). 왼쪽·오른쪽 허리부위 척주세움근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5), 왼쪽 허리부위 척주세움근에서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보다 교정운동 집단이 유의하게 근활성도의 감소를 보였다(p< .05). 세 번째, 기능적 움직임 측정을 시행한 결과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과 교정운동만을 시행한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기능적 움직임이 향상되었다(p<.05). 네 번째, 노력성 폐활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교정운동 집단보다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이 유의한 노력성 폐활량의 증가를 보였다(p<.05). 다섯 번째, 척주옆굽음증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SRS-22 설문조사 결과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 집단과 교정운동만을 시행한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만족도가 향상되었다(p<.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교정운동만 시행하는 것 보다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이 Cobb's 각의 감소, 근활성도의 감소, 노력성 폐활량 증가를 보여줌으로써 강제호흡을 동반한 교정운동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골반 운동이 척주옆굽음증 환자의 척주 정렬, 가동범위,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지현 차의과학대학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91

        Effects of Pelvic and Trunk Exercise using Virtual Reality on Spine Alignment, Range of motion, Balance in Scoliosis Patients Ji Hyun Han Department of medicine (Doctor’s degree in integrative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C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Byung-Sun K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finding out effect on spinal column alignme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by applying a virtual reality torso and pelvic exercise program and a trunk and pelvic stretching program, which performed for 8 weeks to adults with scoliosis in the thear This study was proposed to provide a variety and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for physical therapy for scoliosis. In this study, 20 adult in their 20s in the were recruited selection criteria. After informed consent authn divided 2 groups: Group 1 (torso and pelvic exercise using virtual reality) 10 people and group 2 (general stretching exercise) 1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andomiz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random numbering method used. The medical characteristic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o completed the consent form were investigated, and then an initial evaluation of spinal column alignme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was performed. After the evaluation, each group received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3 times a week, 30 minutes per session for 8 weeks, and 2 therapists (total of 4)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Each group performed the same test as the initial evaluation after 8 weeks by the same measure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fter statistical processing. As a result, there was an effect after the intervention in all variables except Trunk inclination(TIn) in the group that implemented the virtual reality torso and pelvic exercise program for postural alignme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coliosis angle(SA) and Dimple distance(DD) in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stretching. Regarding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Pelvic tilt(PTi), Surface rotation(SR) and Lateral Deviation(LD). In static balance,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factors,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Ellipse area(EA) and Standard deviation(Forward-Backward) (SD (F-B)) and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control group in Perimeter(Peri). In the dynamic balance,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factors after the intervention, and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amount of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Medial-Lateral axis stability index(MLSI). In the sitting posture,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and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MLSI.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joint range of motion, and in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sion(E), Right Rotation(Rot(R)), Right side bending(SB(R)), Pelvic anterior tilting(PT(A)), Pelvic Poster tilting (PT(P)) than the control group. appear.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exercise program of the trunk and pelvis and general stretching of the trunk and pelvis using virtual reality conducted for 8 weeks in this study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ostural alignment, joint range of motion,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lateral curvature of the spine.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the exercise program of the trunk and pelvis using virtual reality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trunk and stretching. Key words: Alignment, Balance, Pelvic, Range of Motion, Scoliosis, Stretching, Trunk, 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골반운동이 척주옆굽음증 환자의 척주 정렬, 가동범위, 균형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척주옆굽음증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8주간 실시한 가상현실 몸통 및 골반운동 프로그램과 체간 및 골반 스트레칭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척추정렬, 운동범위,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척추측만증의 물리치료를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제시 하고자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 성인 20명을 선발기준으로 모집하였다. 사전 동의 후 2개 군으로 나눴다. 1군(가상현실을 이용한 상체 및 골반운동)10명, 2군(일반스트레칭 운동)10명을 참여, 무작위 방법을 사용한 난수 배정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 되었다. 동의서 작성을 완료한 대상자들의 의학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이후 척주 정렬과 가동범위, 균형에 대한 초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이후 각 집단은 각각 해당되는 중재를 주 3회, 회당 30분 8주간 경력이 3년 이상인 치료사 2명 (총 4명)에 의해 진행되었다. 각 집단은 8주 후에 초기 평가와 동일한 검사를 동일 측정자에 의해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세정렬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골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에서 몸통기울기(Trunk inclination; TIn)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중재 후에 효과가 있었고, 스트레칭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척주 측만증 각도(Scoliosis angle; SA)와 골반의 움푹 페인 왼쪽과 오른쪽의 거리(Dimple distance; DD)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골반기울임(Pelvic tilt; PTi), 표면회전(Surface rotation; SR), 측면 편차(Lateral Deviation; LD)에서 대조군 보다 유일 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균형에서 실험군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향상 되었고, 대조군은 타원영역(Ellipse area; EA), 표준편차 전-후(Standard deviation Forward-Backward;SD(Ⓕ-Ⓑ))에서 유의하게 향상 되었으며 군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둘레(Peri)에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 균형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후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군간 변화량의 차이에서 내측-외측 안정성지수(Medial-lateral axis Stability Index; MLSI)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자세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군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MLSI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 다. 관절가동범위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군간의 변화량 차이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폄(Extension ;E), 오른쪽 회전(Rotation right; RotⓇ), 오른쪽 측면 굽힘(Side Bending; SBⓇ). 골반전방경사(Pelvic anterior tilting; PTⒶ), 골반후방경사 (Pelvic posterior tilting; PTⓅ)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8주간 실시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골반의 운동프로그램과 일반적인 몸통과 골반의 스트레칭은 척주옆굽음증 환자의 자세정렬과 관절가동범위, 균형에 있어서 효과적인 중재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가상현실을 이용한 몸통과 운동프로그램은 일반적인 몸통과 스트레칭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되는 말: 균형, 골반, 관절가동범위, 가상현실, 몸통, 스트레칭, 척주옆굽음증

      • A Study on Scapula Position Evaluation and Scapula Setting Exercise for Patients with Shoulder Dysfunction

        김수용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407

        정상적인 어깨뼈 위치 평가와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중재는 어깨 기능부전 환자에게 중요하다. 그러나, 임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어깨뼈 위치 측정 방법과 어깨뼈 설정 운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1) 봉우리 밑 충돌증후군 환자의 손상측과 비손상측의 어깨뼈 위치 비교, 2) 척주옆굽음증 대상자와 건강인의 어깨뼈 위치, 근력, 어깨 기능 차이 비교 3) 어깨뼈 설정 운동이 봉우리 돌기-위팔뼈 거리와 어깨뼈 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34명의 봉우리 밑 충돌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측과 비손상측 어깨뼈 위치 차이를 조사하였다. 어깨뼈 위치 측정을 위해 어깨뼈 가쪽 이동, 어깨뼈 봉우리-탁자 거리, 그리고 어깨뼈 봉우리 내림 검사를 사용하였다. 손상측 어깨뼈가 비손상측 어깨뼈보다 더 둥근 어깨, 내밈 어깨, 내림 어깨가 나타났다(p<0.05). 두 번째 연구에서는, 18명의 척주옆굽음증 대상자와 나이가 비슷한 18명의 건강인을 대상으로 어깨뼈 위치, 어깨뼈와 위팔뼈 근육의 근력, 그리고 어깨의 기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어깨뼈 위치 측정을 위해 봉우리-탁자 거리, 어깨뼈 봉우리 내림, 날개 어깨뼈, 어깨뼈 위쪽 돌림, 그리고 어깨뼈 앞 기울임을 측정하였고, 동력계와 장력계를 이용하여 어깨뼈와 위팔뼈 근육의 근력을 측정하였다. 척주옆굽음증 대상자의 볼록한 면은 건강인의 우세측 보다 더 둥근 어깨, 날개 어깨뼈, 어깨뼈 아래쪽 돌림, 어깨뼈 앞 기울임 되는 경향을 보였고, 오목한 면은 비우세측보다 어깨뼈 들임, 날개 어깨뼈, 어깨뼈 아래쪽 돌림, 그리고 어깨뼈 앞 기울임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p<0.05). 어깨뼈와 위팔뼈 근육의 근력과 어깨 기능은 척주옆굽음증 대상자가 건강인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척주옆굽음증 대상자의 어깨뼈 위치 검사(ICC: 0.85~0.93)와 근력(ICC: 0.86~0.97)의 신뢰도는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28명의 봉우리 밑 충돌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어깨뼈 설정 운동을 시행 하였다. 봉우리뼈-위팔뼈 간격과 어깨뼈 근육들의 근활성도를 초음파와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봉우리뼈-위팔뼈 간격은 어깨뼈 설정 운동을 하는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앞톱니근, 가운데 등세모근, 아래 등세모근은 어깨뼈 설정 운동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p<0.05), 위 등세모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상가들에게 어깨 기능부전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어깨뼈 위치를 검사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어깨 설정 운동은 특별한 도구가 필요 없고, 간단하여 임상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깨 기능부전이 있는 대상자들의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방법과 중재 방법은 어깨뼈 위치 평가와 중재 관점에서 유용한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 슈로스 기반의 정적 척주 옆굽음 운동과 비대칭성 척주 옆굽음 운동이 특발성 척주 옆굽음증 환자에 미치는 효과 비교

        공봉준 대구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3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nfluence of schroth-based scolisis exercise with that of asymmetric scholisis exercise by probing the changes of Cobb's angle, muscle strength, SEMG of back muscle and weight bearing changes in each exercise method. This subjects of this study are 9 men and 27 women with 10~20° Cobb's angle, aged 17 to 21. Among them, 31 patients had their major apex in right curve of thoracic while 5 had that in their lumbar. To compare the before and after of the exercises, I analyzed the Cobb's angle by taking their x-rays, and tested the SEMG of the patients on their right and left paraspinal muscle by having them take the isometric posture with 30 and 60 degree whole body tilting angle loaded after checking the apex of thoracic and lumbar in each patient. After conducting the whole body tilting test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 I measured the trunk muscle strength of the subjects 3 times and recorded the mean. I probed the changes of trunk muscle mass with body compositional analysis and got the mean of weight bearing in bipedal stance by using Mat Scan System.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Schroth Method Static Exercise Group(SMSEG) and Asymmetric Scolisis Exercise Group(ASEG) and I got the test results by comparing the pre-exercise with the post exercise after making them exercise 3 times a week for 12 weeks. After the experiment,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s of trunk muscle mass between pre and post exercise groups while the trunk muscle mass of all the subjects was increased. In the whole body tilting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when testing the back muscle at 0 degree, that is, ASE group could bear more loading. The loading of all the group increased in trunk tilting test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In all the group, Cobb's angle decreased at thoracic curve and lumbar curve in pre and post exercise while the Cobb's angle of thoracic and lumbar decreased more in SMSE group than in ASE group. The weight bearing of SMSE group decreased in the left forefoot while that of ASE group increased in the same part. The weight bearing in the left hindfoot decreased more in SMSE group than in ASE group while that in the right forefoot increased in both groups after the exercise. The weight bearing in the right hindfoot increased in SMSE group while it decreased in ASE group. The weight bearing moved from right to left in SMSE group while there was little movement of the weight bearing in the fore and hindfoot. The weight bearing in the right foot increased and moved from hind to forefoot in ASE group. In the result of EMG, when the moderate tilting was applied in the trun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muscle activation at the left lumbar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The muscle activation decreased more at the left lumbar in SMSE group while it decreased more at the left and right thoracic in SMSE group than in ASE group. When the high-intensive tilting was applied,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f muscle activation at both the lumbar and thoracic between two groups. Therefore, schroth-based scoliosis exercise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the asymmetric scoliosis exercise program when improving the scoliosis. Especially it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the Cobb's angle of thoracic and lumbar, the index of scoliosis. 본 연구는 척주 옆굽음증의 비수술적 치료 중재의 하나인 척추 옆굽음 운동의 여러 방법중 슈로스를 기반으로 하는 운동(SMSE)과 선행 연구에서 적용되었던 짐볼, 밴드, 유산소 운동, 척추 안정화 운동을 기반으로 한 비대칭성 척추 옆굽음 운동(ASE)을 적용하여 Cobb's 각의 변화, 몸통 근육량의 변화, 몸통의 근력 변화, 등근육의 표면 근전도 검사, 몸무게 부하의 이동을 관찰하고 척추 옆굽음 환자의 개별운동 프로그램에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7세에서 21세까지 Cobb's 각 10~20도 내외의 남자 9명 여자 27명으로, 주 정점 만곡(major Apex)이 오른쪽 가슴부 옆굽음이 31명, 허리부 주만곡이 5명을 실험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동 전후의 비교를 위해 운동 전후 대상자에게 X-ray촬영을 하여 Cobb's 각을 분석하고, 흉, 허리부의 정점 만곡(Apex)을 확인하여 몸통 기울기 30도와 60도 부하를 주면서 등척성 자세에서 좌,우 척추 주위근에 표면 근전도(SEMG)를 검사하였다. 몸통 기울기 검사(whole body tilting test)를 전후, 좌우 4방향으로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몸통 근력을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체성분 분석기를 통해 몸통의 근육량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Mat Scan System을 이용하여 두발서기 정적 몸무게 부하량(weight bearing)을 측정하고 기간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슈로스 기반의 정적 자세 조절 그룹(SMSEG)과 비대칭성 척추 옆굽음 운동 그룹(ASEG)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12주간 주 3회씩 운동을 실시 후 실험 전 검사값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몸통의 근육량 변화는 운동 전후 두 그룹의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 그룹에서 운동 전후 몸통의 근육량이 증가하였으며, 몸통 기울기 검사에서는 등근육을 검사하는 0도에서만 두 그룹에서 운동 전후 차이가 있었으며, ASE그룹이 더 큰 부하량을 견딜 수 있었다. 전체 그룹에서 운동 전후 몸통 기울기 검사의 부하량이 늘어났다. Cobb's 각의 변화는 운동 전후 전체에서 가슴뼈 만곡과 허리뼈 만곡이 감소되었으며, 두 그룹에서 가슴뼈, 허리뼈의 Cobb's 각이 SMSE그룹에서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족부의 무게 부하량의 변화는 왼쪽 전족부(LtFore)에서 SMSE그룹은 감소하였고, ASE그룹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왼쪽 후족부(LtHind)에서는 SMSE그룹보다 ASE그룹에서 더 감소하였으며, 오른쪽 전족부(RtFore)는 두 그룹 모두 운동 후 무게 부하량이 증가하였다. 오른쪽 후족부(RtHind)는 SMSE그룹에서는 증가하였고, ASE그룹에서는 몸무게 부하량이 감소하였다. 몸무게 부하량의 이동은 전체적으로 SMSE그룹에서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무게 부하가 이동하였고 전후족의 무게 부하 이동은 거의 없었다. ASE그룹은 오른쪽 발의 무게 부하량이 소폭 증가하였고, 전후족에서의 변화는 후족에서 전족으로 무게 부하가 이동하였다. 근전도의 측정 결과 중등도 부하에서 왼쪽 허리부에서 운동 전후 두 그룹에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SMSE그룹에서 더 많은 감소를 하였고, 가슴부에서는 SMSE그룹이 오른쪽과 왼쪽 둘다 ASE그룹보다 더 많은 감소를 하였다. 고강도 부하에서는 허리부에서는 두 그룹의 변화에 차이가 없었으며, 가슴부에서는 두 그룹의 근활성도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슈로스 기반의 척추 옆굽음 운동 프로그램이 비대칭성 척추 옆굽음 운동 프로그램보다 척추 옆굽음의 상태를 개선하는데 더 효과적이며, 특히 척주 옆굽음증의 지표인 가슴뼈와 허리뼈의 Cobb's각의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