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영어과 수행평가의 현황과 문제점 : 영어과를 중심으로

        이현숙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23

        수행평가가 고등학교에서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 동안 시행되었는데 처음에는 반대 여론도 많았지만 수행평가에 대한 이해가 넓혀지고 수행평가를 개선, 적용하려는 여러 노력들로 차츰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아직 문제점들이 많이 지적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2001학년도에 실시했던 수행평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선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수행평가 현황을 제대로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책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기존에 제시된 수행평가의 문제점들과 함께 새로운 문제점으로 대학입시제도가 수행평가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들에 대해 질문하였다. 설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행평가 취지와 필요성은 받아들이고 있으나 아직도 수행평가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2001학년도에 자신이 실시한 수행평가에 대해서 제대로 수행평가를 적용하지 못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를 실시하면 수행평가를 제대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가장 필요한 연수는 수행평가 방법에 대한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수행평가의 반영 비율은 과반수가 40%를 반영하였으나 일부에서는 60%나 50%를 반영한 경우도 있어서 성적부풀리기에 이용될 소지가 엿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에서 2002학년도에 전라북도 교육청에서 시달한 평가 지침에서는 일률적으로 40%만 반영하도록 못박고 있다. 주로 이용하는 수행평가 유형으로는 서술형, 논술형 문항을 가장 많이 응답했고 수시로 어휘테스트나 평가지(Quiz), 받아쓰기(dictation), 지문해석 등을 이용한다고 다수가 응답하여 여전히 단순한 지필 형태 평가가 손쉽게 수행평가로 쓰이고 있다고 보여진다. 수행평가 시행효과에 대해서는 수업태도 면에서는 예전과 같거나 더 좋아졌다고 모두가 응답했고 학업성취도 향상 면에서는 32.3%만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수행평가에 대한 반응은 학생들은 뚜렷한 찬반 의견이 없는 경우가 과반수이고 25.6%는 부정적이었으나 교사들은 수행평가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와 중간적 반응인 경우가 많았다. 이는 학생들은 수행평가를 상당히 부담스럽게 생각하지만 교사 입장에서는 학습태도 향상으로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행평가 정착을 위해서는 시행 초기부터 예상했던 문제점인 담당 학생수 과다와 교사 업무 부담 등의 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했고 그와 함께 대학입시 제도 개선도 이루어져야 함을 많은 수의 교사들이 지적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은 담당 학생수 과다와 교사 업무 부담에 관련된 것은 점진적으로 교육재정을 확보함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지만, 대학입시 제도와 관련된 문제는 그렇지 않다. 수행평가에서 개선할 문제점으로 많은 교사들이 대학입시제도를 들었고 대학입시제도가 수행평가를 제대로 실시할 수 없게 만든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성적부풀리기와 수행평가점수의 변별력 상실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원래 수행평가 도입 취지는 대학수학능력 시험이 객관식 문항으로만 치러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객관식 문항으로는 평가되지 않는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고 이것을 내신성적으로 반영하여 수능시험을 보완하려는 데 있다. 그러나 결국 수행평가가 성적부풀리기에 악용되고 과열된 입시 경쟁 때문에 수행평가의 변별력을 상실하여 본래 수행평가 의미는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고등학교 수행평가 문제점을 해결하는 중요한 열쇠는 대입제도 개선에 있다고 본다. 현재 대입제도와 같이 수학능력시험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내신 성적을 부풀리는 분위기에서는 수행평가를 제대로 하기 어렵다. 수학능력시험은 대학입학자격을 주는 정도로 약화시키고 내신성적은 중요하게 작용하되 절대 성적 부풀리기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분석에 의한 Acinetobacter baumannii 균주의 유전자형 분류

        오재영 서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A. baumannii 균주를 유전자종으로 정확하게 동정하고, 생물형과 항균제 내성양상 등의 표현형과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분석에 의한 유전자형의 특성을 비교분석하며, 국내에서 분리되는 A. baumannii 균주의 역학조사를 위한 RAPD 분석의 유용성과 최적의 실험조건을 알아보았다. A. baumannii 균종으로 분리 동정된 102주를 표현형에 의해 재동정한 결과 102주중 95주(93.1%)만이 A. baumannii로 동정되었고, amplified ribosomal DNA restriction analysis (ARDRA)에 의한 유전자종 동정에 의해서는 A. baumannii 균종이 85주(83.3%), 유전자종 3이 1주(1.0%), 유전자종 13TU가 12주(11.8%) 및 Acinetobacter 균속이 아닌 균주가 4주(3.9%) 동정되었다. A. baumannii로 확인된 85주를 대상으로 API20NE에 의한 code profile을 이용하여 표현형을 조사한 결과 16개의 생물형이 나왔으며, 그중 4개는 A. baumannii 균종이 아니었다. 분리지역에 따라 각각 다른 생물형을 가진 균주가 많았다. Imipenem에 내성을 가지는 균주는 없었으며, ampicillin에만 내성을 나타내는 것부터 18종의 항균제에 중복내성을 나타내는 것까지 모두 31가지의 내성형을 나타내었고, 균주의 분리지역에 따라 항균제 내성양상은 차이가 있었다. 염기서열이 5'-AATCGGGCTG-3'으로 구성된 OPA-4 primer를 사용한 RAPD 분석 결과에서는 분자량이 300bp에서 3kb까지 band가 4-8개까지 고루 분포하였고 균주간의 변별력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85주의 균주는 distance value 0.74에서 3개의 군으로 나눌 수 있었고, II군은 다시 4개의 소그룹 (IIa-IId)으로 나누었다. I군은 7주(8.2%), II군은 72주(84.7%) 및 III군은 6주(7.1%)로 II군에 속하는 균주가 가장 많았다. II군에서는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분리한 34주와 단국대학교 병원에서 분리한 8주 및 7주의 연세대학교 병원 분리 균주가 속하는 IIa군이 49주(57.6%)로 가장 많았다. IIa군의 전남대학교 병원 분리주 31주와 연세대학교 병원 분리주 7주는 항균제 내성양상과 생물형 및 RAPD 양상이 동일하게 나타나 동일유래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 분리되는 A. baumannii 균주는 대부분 항균제에 다약제 내성을 가지는 균주였으며, 분리 균주의 항균제 내성양상과 생물학적 표현형에 의한 역학조사는 일차적인 스크린용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나, 정확한 역학조사를 위해서는 RAPD 분석 방법에 의한 균의 유전자형 분류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 지역사회복지에 있어서 건축시설 여유자원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노인복지시설로의 활용을 중심으로

        허성제 서남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Recently, many internal social-welfare services were transferred from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It was desirable in view of community autonomy, but local government held the heavy task to replenish a lack of necessary resources. One of the important role of community organizing is to divide social-welfare resources among community members who have a shortage of those. Lately, the local university towns have been hollow because of lack of a number of students, and in result the price of houses in the town has gone down rapidly. And the elderly living in a rural community has many problems like poverty, health care, alienation, etc. On the basis of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reuse program of surplus buildings of a local university town for the elderly facilities, so to solve those problems together.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archival research, interviews, surveys, photography, questionnaires, etc. As results, the study could gained data and ideas for the reuse program with the case study, as follows: ① The scope of long-term surplus buildings in the town is 40-45% of the whole. ② The best facilities type to reuse surplus buildings in the town is the elderly complex. ③ The type of desirable main body of the development is an association of town residents, local government, university, NGO, etc. ④ The first step for the development is to establish a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town by the master plan of a local government. The second step is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of the owner of buildings, and the last step is to construct the rest of assistant facilities for the elderly. ⑤ In order to advance the reuse program, there are some necessities as education for building owners to have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ith this, the study will propose the plan to settle two difficulties occurring in the community, and point out not only good effects but some problems. 지역사회복지의 의의는 지역에서 일어난 사회복지문제를 지역에서 해결한다는데 있다. 지역의 사회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은 크게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으로 나뉜다. 본 연구는 최근 지방대학의 학생수 감소와 대학측의 기숙사 확충으로 장기적으로 발생하는 여분시설을 지역 사회복지문제의 물적 자원으로 파악하고 이를 지역노인문제 해결에 활용하기 위한 시설로 재활용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은 먼저 기초적 고찰로서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우리나라 대학의 학생수 변화추이와 대학촌의 기능, 도농지역 노인문제 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지방 대학촌의 실례로서 A시 율치마을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사례연구의 전반부는 율치마을의 현황과 대학촌으로서 특성파악, 빈방의 실태와 장기적인 여분시설의 규모추정을 하였으며, A시의 노인현황과 시설현황을 통해 장래 필요한 노인복지시설들을 추정하였다. 또한 후반부에선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활용의 범위, 개발의 주체, 개발모형의 유형, 법률검토 등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재활용이 가져다주는 효용성과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 현장조사, 인터뷰, 설문조사, 사진 및 실측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사례연구 대상 대학촌인 율치마을의 빈방규모는 33.7%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42.6%인 412원룸수(동수로 계산하면 약 30여동)의 여분시설이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A시의 노인은 현재 17%를 상회하는 정도이지만 곧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되며, 따라서 생활이 어려운 독거노인 등을 위해 복지시설들을 확충해야 할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1차적으로 시급히 필요한 시설과 2차적으로 추가로 확충해야 할 시설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사례대상 대학촌의 활용범위 및 활용계획의 기본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활용모델을 설정하여 대학촌 주민과 전문가, 행정가에게 면담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의견을 수렴할 수 있었다.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검토한 결과 아래와 같은 활용계획을 제안할 수 있었다. 첫째, 주민과 국가/지자체, 민간단체, 대학이 공동참여하는 형식으로 개발하되 각각의 주체가 지닌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그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좋다. 둘째, 장기적으로는 종합노인복지타운의 형태가 적합하며 마스터플랜을 가지고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좋다. 1차적으로는 중점 지원시설을 설치하고 2차적으로는 보조 지원시설을 설치한다. 셋째,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주민의 참여가 관건이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 지자체가 노인복지관을 1차적인 중점 지원시설로 결정하여 시급히 대학촌에 건립하여야 한다. 또한 주민에 대한 홍보와 정보제공도 사업의 촉진에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복지의 의미는 주민의 공감대 형성과 참여가 중요하므로 대학촌 주민들이 노인복지사업에 대한 정보수집과 토론, 각종 대표활동 등을 위하며 주민공동체(조합 등)를 결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활용방안은 노인복지시설을 확충해야 하는 시와 여분시설을 처리해야 하는 대학촌 건물주들에게 모두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대학촌 여분시설의 경제적 가치는 대략 90억 정도로 추정되며, 이 중 30억 정도를 리모델링 하는데 지출한다고 할지라도 시로서는 약 60억원 정도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 또한 사회복지학과를 설치하고 있는 대학의 대학촌에 노인복지시설을 둠으로써 사회복지 전문가와 시설이 쉽게 연계하여 질 좋은 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자원봉사원으로 활용함으로써 풍부한 자원봉사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대학촌의 주민들도 필요시 재교육을 통하여 본인 스스로 인적자원으로 참여함으로써 일자리창출과 취업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또 한편 예상되는 난점과 극복방법은 첫째, 건축주의 참여에 있어서 사회사업에 대한 인식부족하기 때문에 충분한 정보제공과 토론, 제 3자인 사회사업자의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리모델링에 있어서 기존의 주거시설을 활용하여 용도변경시 구조적 한계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증축 등이 유리한 시설을 선택하여 재활용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투자에 있어서 국가지원을 적극 유도해야 하며, 부분적으로 민자유치도 추진해야 한다. 넷째, 노인복지타운이 형성된 후 관리/운영에 있어서 여러 주체간의 불협화음이 있을 수 있는데, 주체간의 효율적 역할분담을 통해 이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방 대학촌 여분시설의 노인시설로의 활용은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서로 다른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유익한 방안이며, 열악한 지역사회복지의 잠재적인 자원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

        김혜수 서남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455명에게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 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자아존중감 척도,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를 기초로 허영선(2009)이 재구분한 사회적 지지척도, 문은식(2002)의 만든 척도를 최임숙(2004)이 수정 보완한 학교생활적응 척도, Diener의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WIN 19.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통계적 분석모형을 사용하여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분석 검증하였고,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관계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이 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의 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동시에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 높아지며,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존적 공허감에 빠져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직접적인 도움을 위한 상담이 개입될 때 자아존중감과 더불어 학교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아질 것이며, 이를 통해 대학생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 The study was intended to search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bout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study was analyzed from the data of 455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Jeollabuk-do. For the tools of the study, the social support scale re-categorized from the scale developed by Park Jiwon(1985), which had been standardized for Korean version from the Self Esteem Inventory by Coopersmith(1967), the scal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oi Imsuk(2004) from the scale by Mun Eunsik(2002).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SPSS/WIN 19.0 Program. By using the statistical model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bout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verified while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executed to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and among self esteem, social support,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in every correlation. As a result of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proven that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ppears positive i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hile no mediating effect appears i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elf esteem,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life satisfaction while there are partial positive correlations in their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Such results also mean that the degree of their self esteem directly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simultaneously, higher self esteem leads higher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Hence, developing practical social welfare program for the students who are in a sense of existent emptiness or consulting for intervening in direct support or aid would increase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s well as self esteem, through which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would be improved significantly. Keyword: self esteem, social support, adaptation to school life, life satisfaction.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및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주영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간호대학은 일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어 타 전공대학생보다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트레스 상황이나 어려운 환경에서 어려움을 극복하여 잘 적응할 수 있게 하는 내재된 능력이 극복력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및 극복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1년 4월 25일부터 5월 2일까지 G시와 M시 지역의 전문대 간호학과 2, 3학년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에게는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를 구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r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점수 1.88점 이었고, 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으로 대학차원 스트레스는 1.99점, 임상차원 스트레스는 1.67점이었다. 2.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반응 정도는 평균점수 1.47점 이었다. 스트레스 반응의 각 하위영역별로는 피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좌절, 신체화, 분노, 우울, 긴 장, 공격성 순으로 나타났다. 3. 간호대학생의 극복력 정도는 평균 112.61점, 평균 평점 4.51점으로 나타났다. 4. 간호대학생의 극복력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연령, 대인관 계정도, 간호학과 지원동기, 전공만족도, 학교성적, 가정의 생활정도로 나타났 다. 5.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은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갖 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반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 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에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전공에 대한 만족도였고, 그 다음으로 연령, 스트레스 반응, 가정의 생활 정도가 보통인 경우, 대인관 계 정도가 보통 이하인 경우, 성적이 하위권인 경우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 및 극복력은 관련이 있으며,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이 높을수록 극복력이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을 파악하고,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극복력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간호대학생,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 극복력 Nursing students experience stresses caused by both college-based stress and clinical-based stress. Therefore, they are likely to undergo much more stresses than students majoring in other fields. Resilience is inherent strength to adapt themselves to difficult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stress, stress response, and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and it's a descriptive survey for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334 nursing students in G and M city from April 25th to May 2nd in 2011.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participants wh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tatistics programs SPSS WIN 18.0.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are evaluated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that represents nursing students' stresses was 1.88. In the subarea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college-based stress and clinical-based stress were each 1.99 and 1.67. 2. The stress response degree of nursing students was shown the average score of 1.47. Looking at each subcategories of stress response, fatigue was the highest and frustration, somatization, anger, depression, tension, and aggression were high in order. 3. Resilience degree of nursing students was 112.61 on the average. 4. General characteristic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ere 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fessional motives, major satisfaction, academic record and family income. 5. The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tress and stress response, while stress was consider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tress response. 6. The predictive factor which most influences the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as the major satisfaction. Age, stress response, common level of family income, po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ower academic achievement turned out to be the influential factors consecutively. This study suggested that stress and stress response have relations with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was lower when the degree of stress and stress response were high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 of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nursing students and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which help to overcome the stres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resilience-enhancing programs and applying the outcomes.

      • 대학교 운동부 지도자의 리더십 역할 비교

        정해상 서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교 운동부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의 리더십을 역할별로 비교․분석하여 리더십유형을 알아보고 리더십을 구성하고 있는 6개 하위 역할 프로파일이 대학교 운동 종목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가를 조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운동부로 활동하고 있는 학생들로서 선수 등록을 필한 자들이며 종목은 사격, 씨름, 역도, 레슬링, 야구, 축구로서 6개 종목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연구 대상자는 150명이며 대상자의 자료 수집은 연구자가 직접 해당 종목 훈련장을 직접 방문하여 피험자에게 연구 취지 및 설문지 응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후 피험자 자신이 문항에 대한 답을 기입하는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으로 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검사지(competing values leadership questionnaire for coaches, 하형주, 1996)를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 검사지는 3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코치의 리더십을 대변하는 6개 역할 요인으로는 계획적 실행 역할, 창의적 연구 역할, 중재적 대변 역할, 분석적 관리 역할, 절대적 지시 역할, 정신적 지주 역할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종목에 따른 리더십 역할 요인, 종목 유형에 따른 리더십 역할 요인, 경력에 따른 리더십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 변량 분석 (One-way ANOVA)을 하였다. 사후 검증으로는 Tukey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대학교 지도자의 리더십 프로파일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참여한 운동부 학생들이 직접 소속 운동부의 코치를 평가한 6개 하위 역할 점수를 각 요인별 평균 점수와 표준 편차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들 연구 대상자에게서 수집된 리더십 자료를 종목별, 종목 유형별, 그리고 경력별에 따른 차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목에 따른 리더십 역할 요인은 계획적 실행 역할(p<.001), 창의적 연구 역할(p<.011), 중재적 대변 역할(p<.001), 분석적 관리 역할(p<.001), 절대적 지시 역할(p<.001), 정신적 지주 역할(p<.001)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종목 유형에 따른 리더십 역할 요인은 계획적 실행 역할(p<.003), 창의적 연구 역할(p<.018), 분석적 관리 역할(p<.007), 절대적 지시 역할(p<.006), 정신적 지주 역할(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경력에 따른 종목별 리더십 역할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대학생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정희 서남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두 가지로 첫 번째는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학교생활적응을 매개변수, 대학생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였고, 두 번째는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학교생활적응과 대학생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했다. 이 연구를 통해 향 후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 맞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19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 효과분해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요약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모형 적합도는 χ2값은 유의도 0.89로 나타났고, RMSEA=0.000, RMR=0.002로 나타났고, GFI=1.000, NFI=1.000, TLI=1.008 CFI=1.000으로 모두 우수한 수준인 0.90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을 매개로 하여 삶의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이 삶의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정책적으로는 교육부의 대학 평가 항목에 구체적으로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방안을 명시하여야 하고, 대학 당국은 학생처 등에 전담부서 설립과 프로그램을 지원하여야 한다. 또한 학부기초나 학과 기초 그리고 교양과목에 대학생활 만족을 높일 수 있는 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실천적으로는 첫째, 선배와의 멘토 멘티 관계프로그램 시행 둘째, 같은 학과 같은 학년 동료들과의 관계 향상 프로그램 시행 셋째, 학부나 학과 단위의 학생 상담실 운영 넷째, 학과 교수들과 상담 시간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 다섯째, 가족들이 학교와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 포지션과 경력에 따른 대학축구선수의 경기 전 경쟁 상태불안과 자신감 및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

        정해상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23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and grasp the competition state anxiety before game of college football player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nd game experiences and its relation with their state sport confidence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decisive factors for game performance). This Study targeted on the national college football players to have participated in 46th National College Sprig Football League on February 18 – March 5 2010 as the football players registered to Korea Football Associ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elf-administering method through all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 the state competition state anxiety (CSAI-2), the state sport confidence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developed by CSAI-2; Martens (1990) - and for just 10∼15 minutes and one hour before football game. The 327 questionnaires with reliability were treated with statis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through SPSS Statistics 17.0, an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n the general items of respondents and through Cronbach’s α coefficient on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in order to know the validity of each tool. And the mean (M) of experiences and positions and the standard deviation (Sd) were calculated and One-way ANOVA was also conduc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As for the variables to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the post-hoc test of Scheffe’ Method was conducted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5% (α=0.05). In this Chap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prescribed procedure regarding study assumption and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competition state anxiety of positions and experiences and its relation with self-confidence and psychological factor are as follows: 1. The competition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posi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at physical state anxiety, while defense fielder and mid-fielder showed big difference at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and the post-hoc test also did the significant meaning. 1) The physical competition state anxiety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and forwar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Goalkeeper was the highest at the physical state anxiety and was followed by forward, defense fielder and mid-fielder in order, and the team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2) The cognitive state anxiety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and forwar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Goalkeeper was the highest at the cognitive state anxiety and was followed by forward, defense fielder and mid-fielder in order, and the tea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3) The state confidence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and forwar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Mid-fielder was the highest at the state confidence and was followed by forward, mid-fielder and goalkeeper in order, and the tea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2. The sport state confidence according to positions of college football play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Mid-fielder was the highest at the sport state confidence, and was followed by defense fielder, forward and goalkeeper in order, and the team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1) The sport state confidence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and forwar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Mid-fielder was the highest at the sport state confidence and was followed by defense fielder, forward and goalkeeper in order, and the team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3. The psychological factor (a decisive factor on game performance) according to positions of college football play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ward was the highest at fundamental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forward at football intelligence, defense fielder at motive, forward at emotion and forward at mental power, and the tea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1) The fundamental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and mid-field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orward was the highest at the fundamental and was followed by mid-fielder, defense fielder and goalkeeper in order, and the team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2) The football intelligence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mid-fielder and forwar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ward was the highest at the football intelligence and was followed by defense fielder, mid-fielder and goalkeeper in order, and the tea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3) The motive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mid-fielder and forwar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fense fielder was the highest at the motive and was followed by mid-fielder, forward and goalkeeper in order, and the tea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4) The emotion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mid-fielder and forwar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Forward was the highest at the emotion and was followed by defense fielder, mid-fielder and goalkeeper in order, and the tea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5) The mental power according to positions (goalkeeper, defense fielder, mid-fielder and forwar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ward was the highest at the mental power, and mid-fielder, defense fielder and goalkeeper in order, and the team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As a result, it’s found that goalkeeper was the lowest at the mental power compared with other positions. The post-hoc test on this area showed the significant meaning. 4. The competition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f college football players show 본 연구의 목적은 포지션과 경력에 따른 대학축구선수의 경기 전 경쟁 상태불안과 자신감 및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 파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대한 축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축구선수로 제46회 전국춘계대학축구연맹전(2010년 2월18일 ~ 3월5일)에 출전한 전국 대학 축구선수들을 CSAI-2; Martens(1990)가 개발한 스포츠 경쟁 상태불안(CSAI-2) 검사지와 상태스포츠자신감(state sport confidenc) 검사지 그리고 심리적 요인 검사지의 3개 모두 자기평가기입방식(self-administering method)이며, 측정 시간은 10분에서 15분 정도밖에 소요되지 않았고 경기 전 1시간 전에 실시되었다. 검사지는 신뢰성이 있는 327부를 이용하여 SPSS V.17.0의 프로그램으로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사적 통계처리를 실시하였고,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대해 빈도 분석(frequency)을 실시하였으며, 각 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reliability)는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였다. 경력과 포지션의 평균(M) 및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으며 차이를 검증하기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에 대해서는 Scheffe' Method의 사후검증(post-hoc test)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5%(α=0.05)로 설정하였다. 본 장에서는 포지션과 경력이 경쟁 상태불안과 자신감 및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설과 방법에 소정의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포지션에 따른 경쟁 상태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학축구선수의 포지션에 따른 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학축구선수의 포지션에 따른 심리적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학축구선수의 경력에 따른 경쟁 상태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학축구선수의 경력에 따른 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학축구선수의 경력에 따른 심리적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대학축구선수의 배경변인인 포지션과 경력에 따른 경쟁 상태불안, 자신감, 심리적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대학축구선수의 독립변수인 경쟁 상태불안, 자신감, 심리적 요인은 각각 다른 분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김극명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07

        Recently, the Korean welfare system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as a result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dditional demands and responsibilities, professionalism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a large increase in competition. This study 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Dream Start program covering the engagers of the dream start center as a welfare organization of low income children.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order to be utilized as dada for checking and developing the business of children welfare and Dream Start center in future. In order to 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business of Dream Start cent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ttitude for the low income children, the attitude, the specialty an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employers with the mind of the regional leader were researched. To collect data used in this research, 510 structured questionaries were sent by mail to 95 centers and 451 questionarie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statistics of the data SPSS Windows 12.0 and Amos 5.0 were utiliz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chief study result; Firstly, with the increase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rs, the attitude for business content and object was shown as the increase of 0.319, the specialty 0.634, job satisfaction 0.688, the effectiveness 0.453. Secondly, with the increase the poverty of the employers and the attitude for the children problem, the attitude for business content and object was shown as the decrease of 0.167, the specialty 0.117, the job satisfaction 0.184. Thirdly, with the increase of the mind of the regional leader the job satisfaction was shown as the increase of 0.168, the effectiveness 0.35. Fourthly, with the increase the specialty of employers the effectiveness was shown as the increase of 0.293. 본 연구는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복지기관인 드림스타트센터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드림스타트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여 앞으로 아동복지와 드림스타트센터의 사업을 점검하고 앞으로 발전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드림스타트센터 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종사자들의 조직몰입과 저소득층아동에 대한 태도, 그리고 지역단체장의 마인드에 따라 종사자들의 사업에 대한 태도, 전문성, 직무만족도를 매개로 사업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드림스타트 사업을 실행하는 현장에서 근무하며 지역 아동복지를 담당하고 일선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의견과 견해에 따라 저소득층아동에 대한 생활지원서비스의 문제점을 담당종사자의 입장에서 파악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질적인 창구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종사자들을 통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파악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모색하기위한 기초자료가 되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드림스타트 센터의 서비스와 사업의 발전방안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드림스타트 센터 95개소에서 570부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405부가 회수되었으며,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12.0을 빈도분석을 통한 기초통계, 요인분석을 통한 요인 분류, 신뢰도분석을 통한 각 요인의 신뢰성검정, 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를 검증하였고 Amos 5.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합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종사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11.7%, 여성이 88.3%로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26세에서 35세가 전체의 4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혼인 응답자가 68.8%, 최종학력은 대학교가 5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취업형태는 전일제 임시직이 44.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정규직 전담 공무원이 36.1%로 나타났다. 근무지역별로는 경상도 28.7%, 전라도 21.3%, 충청도 18.6%, 강원도 17.7%순으로 나타났으며, 드림스타트센터의 개소기간은 2년 이하가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사자들의 근무경력은 1년 이하가 48.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년 이하가 31.3%로 나타났으며, 담당업무는 사회복지가 35.5%, 보건이 26.8%, 보육이 21.4%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가설1>인 현장종사자들의 조직몰입은 사업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에 대한 가설은 성립되었으며, 조직몰입이 사업내용, 전문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종속변수인 효과성, 필요성, 지속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변수 효과를 기대하지 않더라도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가설 2> 빈곤, 아동문제에 대한 태도가 사업내용, 전문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종속변수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설이 성립되었으며, 직무만족도와 효과성에 대하여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사업내용과 전문성의 매개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가설 3>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치단체장의 마인드가 사업내용, 전문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종속변수인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가설이 성립하였으며, 사업의 효과성에 대하여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검정하고자하는 전체가설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조직몰입은 전문성을 매개변수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면서 종속변수에 직접적인 영향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빈곤, 아동 문제는 전문성을 통해서만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단체장의 마인드의 경우는 매개효과 없이 직접적으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조모형의 계수를 통해서 본연구의 전체 가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증가하면 사업내용과 목적에 대한 태도가 0.319, 전문성이 0.634, 직무만족도가 0.688, 효과성은 0.45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사자의 빈곤, 아동문제에 대한 태도가 증가하면 사업내용과 목적에 대한 태도가 0.167, 전문성이 0.117, 직무만족도가 0.18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단체장의 마인드가 증가하면 직무만족도가 0.168, 효과성은 0.35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사자의 전문성이 증가하면 효과성은 0.293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변수를 구성하는 세부요인들의 유의 확률을 살펴보면 모두 0.05% 이하로 세부요인들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이 증가할 때 효과성은 0.639(직접효과+간접효과)증가하고, 빈곤 아동문제에 대한 태도가 증가할 때 효과성은 0.052(간접효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단체장의 마인드가 증가하면 효과성은 0.35(직접효과)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효과

        서지혜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ssess impacts of Team-Based Learning Program(“TBL”) on nursing students studying “adult nursing–neurology” subject. The study measured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knowledge achievement of the nursing students on TBL.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tilized to analyze the impact of TBL.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consisting of 62 participants was picked from the pool of final year nursing students from G college in G city. Before beginning the experimen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put through homogeneity test on dependent variables and general character which determined that the two groups were homogeneous.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BL program from August 30, 2011 to October 18, 2011 for a total of 10 sessions. The impact of TBL program was measur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was compared to control group’s learning performance in current lecture style classes. Learning performance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measured using method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2003) to measure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ults and college students. Learning attitude was measured using the method developed by KEDI(1991) and further improved and modified by Hwang(2003). 40-question multiple choice questionnaire, self-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used to measure knowledge achievemen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17.0 program. Homogeneity test o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performed using χ2-test and independent t-test. To test the hypothesis,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knowledge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failed to reject first hypothesis that stated “Experimental group that went through TBL program will have meaningful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hange in the two groups’ communication ability pre and post experiment was analyzed. Experimental group’s score of 0.15 was higher than -0.02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upported statistically(t=3.99, p<.001). 2. The results failed to reject second hypothesis that stated “Experimental group that went through TBL program will have meaningful improvement in problem-solving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hange in the two groups’ problem-solving ability pre and post experiment was analyzed. Experimental group’s score of 0.31 was higher than 0.01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upported statistically(t=5.62, p<.001). 3. The results failed to reject second hypothesis that stated “Experimental group that went through TBL program will have meaningful impro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hange in the two group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e and post experiment was analyzed. Experimental group’s score of 0.25 was higher than 0.02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upported statistically(t=3.84, p<.001). 4. The results failed to reject second hypothesis that stated “Experimental group that went through TBL program will have meaningful improvement in learning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hange in the two groups’ learning attitude pre and post experiment was analyzed. Experimental group’s score of 0.40 was higher than -0.03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upported statistically(t=7.89, p<.001). 5. The results failed to reject second hypothesis that stated “Experimental group that went through TBL program will have higher score in knowledge achie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went through lecture style classes.” Change in the two groups’ knowledge achievement scores pre and post experiment was analyzed. Experimental group’s score of 32.15 was higher than 27.05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upported statistically(t=7.62, p<.001).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BL program has positive impact i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BL program can improve learning attitude and knowledge achievement. It is expected that use of TBL program in appropriate classes and subjects in nursing education could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quality of learning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Key words : Team-based learning,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Knowledge achievement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의 신경계 영역을 중심으로 팀기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팀기반학습의 학습성과로서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인 유사실험연구이고, G시 3년제 G대학 간호과 3학년 학생을 편의표집하여 실험군 62명, 대조군 6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처치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하여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두 집단이 서로 다르지 않은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팀기반학습 프로그램은 2011년 8월 30일부터 동년 10월 18일까지 총 10차시 동안 실험군에게 적용하고, 팀기반학습의 효과를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기존의 강의식수업을 적용한 대조군의 학습성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습성과는 한국교육개발원(2003)에서 대학생/성인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였고, 학습태도는 한국교육개발원(1991)에서 개발한 학습태도 측정도구를 황선영(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객관식 40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χ2-test와 독립표본 t-test로, 가설의 검증을 위한 두 군간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수업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의사소통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과 후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점수 변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0.15점으로 대조군의 -0.02점 보다 컸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t=3.99, p<.001). 2.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수업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라는 가설 2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과 후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점수 변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0.31점으로 대조군의 0.01점 보다 컸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t=5.62, p<.001). 3.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수업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라는 가설 3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과 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점수 변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0.25점으로 대조군의 0.02점 보다 컸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t=3.84, p<.001). 4.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수업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학습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라는 가설 4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과 후의 학습태도에 대한 점수 변화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0.40점으로 대조군의 -0.03점 보다 컸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t=7.89, p<.001). 5. ‘팀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강의식수업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학업성취가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5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후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32.15점으로 대조군의 27.05점 보다 컸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t=7.62, p<.001).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통하여 간호교육에 팀기반학습의 적용은 간호대학생들의 중요한 학습성과인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태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다양한 교과목에 팀기반학습을 적용함으로써 간호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이 성취해야할 학습성과의 수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용어 : 팀기반학습,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