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따돌림’현상에 대한 사회 교리적 고찰 : 인간소외를 중심으로

        곽병길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집단따돌림 현상에 대해 기존에 있어 왔던 많은 연구물들은 집단따돌림 현상의 사실적 파악과 그 현상이 일어나는 현장을 중심으로, 가해자와 피해자의 행동적 특성, 혹은 심리적 상태 분석에 치우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집단따돌림 현상은 '있을 수 있는 사실'을 '있는 사실'로 확인하는 사실 규명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해석적 차원에서 함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게 될때 집단따돌림에 대한 가치판단이 좀 더 명확하게 내려질 수 있으며, 이에 관련된 당사자들에 대한 설득력을 갖을 수 있고 그들의 자발성을 촉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집단따돌림이 갖는 사회ㆍ윤리적 가치의 한계는 무엇인가? 즉 집단따돌림이 우리 사회에 그렇게 만연되는 것에 대해 우리가 우려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우리는 청소년들에게 어떤 이유를 들어 집단따돌림이 정당하지 않다고 설명해 줄 수 있으며, 또한 그렇게 하지 않도록 설득할 수 있는가? 또 하나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집단따돌림은 구체적 현장 속에서 당사자들끼리의 일시적이며 충동적으로 일어나는 심리적 충돌과 갈등으로만 해석되어질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서로 따돌리고 따돌림을 당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 준비되고 예견된 상황, 즉 서로가 갖고 있는 문화적 배경의 충돌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집단따돌림 현상을 가톨릭 사회교리의 원리들이 말하는 인간소외에 비추어 살펴봄으로서 이 현상이 단순히 학교 안에서 생겨나고 또 거기에서 끝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우선 집단따돌림에 대한 개념 정의가 필요하다. 앞선 연구의 결과로 청소년 집단따돌림을 집단내 힘의 균형점에서 우위에 있는 자의 영향에 따라 형성된 패거리들로부터 지속적이고 위협적인 자극을 받음으로써 심리적인 소외감과 극도의 불안감을 겪고 있거나 신체적인 상처와 물리적인 손해를 감수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와 더불어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장애를 느끼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집단따돌림 현상의 올바른 판단을 위해 가장 먼저 인간의 존엄성을 이야기해야 한다. 인간의 존엄성은 인간의 인격이 하느님의 모상으로 하느님을 닮은 존재로 창조되었고, 지상 생활을 초월하는 초자연적 목적에로 창조 되었다는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또한 인간은 하느님이 당신의 아들을 희생 제물로 바쳐서라도 당신과의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셨다. 그만큼 인간은 창조된 만물 가운데 으뜸이며 이러한 이유로 해서 교회는 인간을 교회가 나아갈 길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세상 질서의 발견은 인간이 지닌 위대함의 소산이며 공동생활의 질서는 인간의 품위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인간은 타고난 존엄성 때문에 평등하며, 인간의 존엄성에서 직접 나타나는 권리를 각 개인에게 효과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질서 있는 생활을 위해서는 모든 인간이 인격을 갖고 있다는 원리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즉 인간은 지서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고, 인간 본성에서 직접적으로 나오는 권리와 의무를 지닌 주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권리와 의무는 불가침 적이고, 양보할 수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간의 존엄성 차원에서 본다면 청소년 집단따돌림은 가해자가 피해자의 타고난 존엄성을 무시하고, 그의 권리를 훼손시키는 행위인 것이다. 이는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산업화와 도시화, 물질만능주의가 낳은 비인격화와 이기주의 풍조에 의해 영향을 받은 청소년들에게서 생겨난 문제인 것이다. 두 번째로 사람이라면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생명, 자유, 평등 등에 관한 기본적이 권리인 인권 안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교회의 가르침은 인권이 창조주이신 하느님으로부터 인간에게 직접 주어지는 것이지, 국가나 사회나 역사 과정이나 문화 과정이나 또는 타인에 의해 부여된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있다. 즉 창조로 인해 인간은 인격으로 인권을 가지게 되는 것이므로 기본 인권은 박탈당하거나 포기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집단따돌림은 피해자가 누릴 수 있는 생명과 자유와 평등에 관한 기본적 권리를 침해하고 불의하게 대하는 잘못된 행위이다. 가톨릭 사회교리의 기본원리를 통해서 집단따돌림이 갖는 사회ㆍ윤리적 폐단임을 지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현상이 만연되어 있고 더군다나 교회의 희망이요 미래인 청소년들 안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이 우리의 앞날을 어둡게 한다. 이제 가정과 학교와 교회와 사회는 인간의 우위성과 인간의 존엄성을 청소년들에게 가르쳐야 하고 이를 통해서 청소년들이 인간, 즉 자신과 상대방에 대해 인간으로서 재평가하고 그로인해 인간성을 고양시키도록 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인간의 우위성에 대한 의식을 확립하고 이 세상의 현실적 실재의 최정점에 인간을 위치시키는데 노력을 경주하도록 해야만 한다. 이제 현실 안에서 드러나는 인간적인 요소는 결코 평가절하 되거나 무시되어서는 안 되면 그로인해 발생되는 인간의 소외 역시 더 이상 생겨나서는 안 된다. 청소년은 또한 사회적 관계 안에서 자기 자신을 올바르게 발견할 수 있어야 하고, 발견해야만 한다. 곧 청소년은 개별 인간으로서 다른 사람들과의 연대로 강하게 묶여 있으며, 가정, 국가, 인류라는 사회적 실재속에 자기 자신이 함께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만 한다. 또한 청소년은 부단한 노력으로 각각의 문화의 가치들을 받아들이면서 정의로운 사회를 만드는데 전력해야 한다. 그럼으로서 자기 자신의 인간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발적인 책임감을 가짐으로써 참으로 인간을 위한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고 인간됨을 위한 시민성을 확립하는 데에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교회는 언제나 전 세계에 만연된 정신적 문화적 위기의 첫 번째 희생자가 청소년이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더 나은 사회에 대한 모든 노력이 그들에게 희망을 거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교회는 더욱더 분발하여 용기와 창의력을 가지고 청소년 세계에 복음을 선포해야 할 것이다.

      • 집단 따돌림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연구

        박흥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현상들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분서 함으로서 아동들로 하여금 학교생활을 흥미있게 할수 있도록 도와 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전남소재학교 4, 6학년 학생 총 288명이며,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따돌림의 피해아동에 대해서는 전체 아동의 22.9%가 따돌림을 당해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집단따돌림을 당하는 이유는 그 친구가 척함 즉 잘난 척, 예쁜 척, 착한 척, 돈 많은 척, 공부 잘하는 척, 짱인 척 하기 때문이라는 학생이 전체의 39.6%로 가장 많은 답을 하였고 따돌림을 가해하는 이유로는 남학생은 별 생각 없이 여학생들은 자기 힘을 과시하려고로 나타나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4학년 학생들은 괴롭히는 것을 즐기기 위해서와 자기가 따돌림을 당할까봐 그렇다가 같은 비율로 높은 응답을 보인 반면에 6학년 학생들은 자기 힘을 과시하려고가 가장 높은 비율로 답을 하여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집단따돌림에 대한 방지 대책으로 사회성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고, 집단따돌림은 언젠가는 자기 자신도 당할 수 있음을 인식시키고 남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봉사정신과 양보정신을 길러주는 인성교육이 절실히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집단따돌림을 가하는 이유로는 남녀와 학년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둘째, 집단따돌림을 주도하는 아이들의 유형으로는 전체적으로 주로 인기가 많고 친구가 많은 아이들이 그렇다고 29.2%가 답을 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은 짖궂거나 장난이 심한 아이들이 따돌림을 주도한다고 가장 많은 답을 한 반면에 여학생들은 인기가 많고 친구가 많은 아이들이 따돌림을 주도한다고 가장 많은 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은 욕을 잘하고 목소리가 큰 아이들이 따돌림을 주도한다고 가장 많은 답을 한 반면에 6학년 학생들은 인기가 많고 친구가 많은 아이들이 따돌림을 주도한다고 답을 하여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집단따돌림을 당하고 난 뒤 나의 행동에 대한 분석결과는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말씀드린다가 29.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태연한척 행동 혹은 상대하지 않는다.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대든다, 아이들에게 더 잘해준다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들은 조용하고 소극적으로 행동한다. 태연한척 행동 혹은 상대하지 않는다, 반항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대든다. 아이들에게 전보다 더 잘해준다. 넷째, 집단따돌림을 당하는 아이를 보았을 때 자신의 행동에 대한 분석결과는 선생님께 말씀드려서 도와주도록 한다가 39.6%로 가장 높았고, 직접 나서서 따돌림 받는 아이를 도와준다, 모른 체 한다, 같이 따돌림시킨다 순이며 남학생은 직접 나서서 따돌림 받는 아이를 도와주겠다고 가장 많은 답을 한 반면에 여학생들은 선생님께 말씀드려서 도와주시도록 하겠다고 가장 많은 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돌림 유무에 따른 분석에서는 따돌림 당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직접 나서서 따돌림 받는 아이를 도와주겠다고 가장 많은 답을 한 반면에 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선생님께 말씀드려서 도와주시도록 하겠다고 가장 많은 답을 하여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집단따돌림을 해결하기 위해 아동이 학교에 바라는 것에 대한 분석결과는 신고자를 잘 보호해주고 신고하면 즉시 해결해 주어야 한다가 전체 3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업을 착실히 하고 학급 내 규칙을 철저히 지키도록 해주어야 한다, 스스로 모임을 만들어 재미있게 활동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인간관계를 돕는 교육을 자주 해주어야한다 순으로 나타났다. 4학년 학생들은 신고자를 잘 보호해주고 신고하면 즉시 해결해 주어야 한다와 수업을 착실히 하고 학급내 규칙을 철저히 지키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고른 답을 한 반면에 6학년 학생들은 신고자를 잘 보호해주고 신고하면 즉시 해결해주어야 한다고 가장 많은 답을 한 것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집단따돌림에 대한 원인과 반응, 대처 방법은 복잡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집단따돌림은 누구나 가해자 또는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일상화'된 폭력이다. 따라서 이것이 학교문화와 학생 개인의 인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어 초등학교에서의 인성교육 및 사회 적응 교육과 상담활동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ill make pupils' school life interesting and pleasant as studying the cause and situation of the pupils' group alienation and educating the solution of the problem and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The subject of study is 288 pupils, the fourth and sixth grade of 4 schools located in Chonnam.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22.9% of all pupils had the experience of the group alienation. The 39.6% pupils said that he was treated distantly by his friends because of his pretense of handsome, good, rich, well-studying, boss etc. The boys alienated his friend unconsciously and the girls to display their power. There wa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fourth grade pupils said at a high rate that they made this behavior to enjoy it and avoid being alienated. On the other hand, the sixth grade pupils at the highest rate to display their power. This suggests that the plan to prevent it needs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the pupils need to be learned that they will be treated like this someday. So they have to learn how to respect, serve and concede others. Second, the 29.2% pupils said that the pupils who were very popular and had many friends led his friends to do this behavior. As for gender, the boys who were mischievous and playful and the girls who were very popular and who had many friends led it. The fourth grade pupils said that those who spoke ill of others well and loudly led it. The sixth grade pupils said that those who were very popular and had many friends led it. So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ird, after being treated distantly by his friends the analysis of his behavior showed that telling parents and teacher it was the highest rate 29.2% and that he pretended to do calmly or paid no attention to his friends. Next it showed that he took a resistant attitude toward them or he maintained more friendly relations with them than before. Fourth, the 39.6% pupils said that when they saw one who was treated distantly by his friends, they asked a teacher to help his friend. Next they helped the alienated friends by themselves. Or they ignored it. Or they did it with his friends. Most boys said that they helped their friends by themselves and most girls asked a teacher to help them. As for the analysis of having experiences or not, most experienced pupils said that they helped their friends by themselves and most unexperienced pupils asked a teacher to help them. Fifth, the analysis of what the pupils wished the school to solve the problem was to protect the reporter well and to solve the problem immediately. This opinion was 31.3% of all, the highest rate. Next they needed the school to make them study steady, observe the class rule, do group activity by themselves, educate for improving friend-relationship.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there are diverse causes, responses and solutions of the group alienation. The group alienation is the ordinary violence which everyone will be able to be a assaulter and a sufferer. So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human education, the social adaption education and to do counsel in elementary school because this problem affects the school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pupils' personality a lot.

      •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과 해결방안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이신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의 의미와 이들의 집단따돌림 해결방안 인식에 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상담자 및 교사가 이들에게 좀 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G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으로서, 연구취지를 이해하고 허락해준 담임교사로부터 집단따돌림 방관경험이 있는 참여자를 소개받은 후, 학생과 학부모가 연구 참여에 동의한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은 2012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참여자별로 50∼60분씩 2회기씩 면담이 이루어졌다. 자료의 수집은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 질문지에 따라 실시한 심층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면담 내용을 녹음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완전 축어록으로 작성하였고 지속적인 비교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와 주제모음,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합의적 의견도출과정을 거침으로써 연구결과가 갖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따라서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은 3개의 주제모음과 7개의 주제, 집단따돌림 해결방안 인식은 2개의 주제모음과 8개의 주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방관경험에 대한 내용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또래관계갈등을 통한 타인과 나 돌아보기’이다. 이들은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관련자에 대한 여러 가지 감정을 복합적으로 느끼며, 자신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갈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전반적인 대인관계에 대한 회의감을 갖게 되는 경험을 통하여 타인과 자신을 돌아보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여중생의 집단따돌림 해결을 위한 인식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핵심범주는 ‘배려와 실천을 통한 변화를 추구하기’이다. 즉,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고 도움을 주려는 배려의 태도를 지니며,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각자의 생각을 용기 있게 실천하는 모습이 함께 이루어질 때, 집단따돌림 해결을 위해 한 발짝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집단따돌림 방관경험을 참여자의 언어로 보여주고, 맥락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방관자들의 경험을 그들의 눈으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방관자의 집단따돌림 해결방안 인식은 어떠한지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들이 진정 원하는 방식과 원하는 부분에 대한 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어 의의가 있다.

      • 또래상담이 초등학교 집단따돌림 예방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eer Counseling on the Bullying Preven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이혜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또래상담이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태도 및 방관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려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또래상담 활동이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또래상담 활동이 집단따돌림 방관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또래상담자를 선발하기 위해 의사소통적 공감 사전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공감 수준이 높은 12명의 학생을 선발하였고 이 중 또래상담 훈련에 참여할 시간적 여건이 되고 활동하기를 희망하는 남학생 3명과 여학생 3명을 또래상담자로 선정하였다. 또래상담자는 한국청소년상담원(2000)의 단계별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재구성한 훈련 프로그램으로 8회기의 또래상담 훈련을 마친 후, 의사소통적 공감 사후검사를 통해 공감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래상담 훈련을 마친 후, 6명의 또래상담자가 속한 집단은 실험집단으로 동질성이 확보된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고 또래상담자는 실험집단 내에서 또래상담 활동을 시작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최은숙(1999)이 재구성한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척도와 최춘례(2000)가 재구성한 집단따돌림에 대한 방관적 태도 측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검사결과의 자료처리는 I-STATistics(Kim & Baker, 2009)를 사용하였고 통계적 검증에 따른 양적 결과가 지닌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활동지 및 연구자의 관찰을 통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태도가 감소되었으며 가해-피해 태도의 하위요소인 소외형, 언어형, 신체형 가해-피해 태도가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또래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따돌림 방관 태도가 감소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은 집단 따돌림 가해 태도를 하는 학생들에게 가해 행동의 비겁함을 깨닫고 자신을 돌아보게 하였다. 둘째, 또래상담자의 내담자 관리 및 상담 체제는 집단따돌림 피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피해자들은 또래상담자로 하여금 바람직한 인간관계의 기술을 배웠고 피해 태도를 겪는 경험이 줄었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또래상담자의 모범적인 활동이 대다수 내담자에게 관찰 학습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 본 또래상담은 집단따돌림 가해-피해 태도 및 방관 태도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또한 또래상담이 학급 내에서 집단따돌림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를 아울러 관리함으로써 전체 학생의 긍정적인 학교생활에 유용한 교육활동이 될 것을 시사하고 있다.

      • 學校의 環境的 特性이 初等學生의 集團 따돌림 同調性向에 미치는 影響

        채진숙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집단 따돌림은 또래간 부정적 상호작용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힘의 불균형을 넘어 집단 내 다수의 구성원이 참여하는 일종의 집단과정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따돌림 구조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동조 및 방관적 성향을 가진 이들의 태도와 행동이 집단 따돌림의 발생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의 집단 따돌림 행위가 저연령화, 만성화되면서 상급학교로 이어지는 경향에 비추어 따돌림 행위가 일어나고 있는 초등학교를 기점으로 학교의 환경적 특성이 집단 따돌림 상황에서 학급 구성원들의 동조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 지역 초등학교 4·5·6학년 총 422명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학교의 교육환경, 학업스트레스, 집단 따돌림에 대한 동조성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집단 따돌림 상황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가해자 동조성향 및 방관자 성향은 높아지고, 피해자 동조성향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아에 비해 여아의 방관자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또래와의 관계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긍정적일수록 방관자 성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물리적 학교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가해자 동조성향과 방관자 성향이 낮게 나타나고, 규칙준수를 잘하는 아동일수록 가해자 동조성향은 낮게, 피해자 동조성향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행사 참여에 적극적인 아동일수록 피해자 동조성향은 높게, 방관자 성향은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해자 동조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성별, 학년, 또래와의 관계, 학교의 교육환경, 학업스트레스는 집단 따돌림 동조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와의 관계는 집단 따돌림 동조성향 중 가해자 및 피해자 동조성향, 방관자 성향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환경적 특성을 활용한 가해자 동조행동에 대한 예방 및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동조집단에 주류를 이루는 방관자들을 집단 따돌림 예방에 주요 인적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에서의 적절한 교육 및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Bullying act by group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cts of negative interaction among peers and is characterized by the group actmostof members ofthe group join beyond the imbalance in force between the wrongdoersandthevictim. The attitude and acts ofthose who have a tendency to follow and remain indifferentcomposing ofthemajorityin bullyingplaykeyrolesin causinggroupbullying. Astheseactshappeninyoungerageand aremorechroniccausingthem totakeplaceinhigher grades,thisstudyisaimed atfindingouthow the characteristicsofeach school'senvironmentaffecttheclassmates'tendency to follow bullying act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swhere those acts arehappening. Todothis, the survey was carried out of thetendency to follow bullying acts based on 4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grades are fourth, fifth and sixth in the are as of Pusan and Kyeongnam according to thegender, the grade, the relation with teachers, the relation with peer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chools,and the stress caused by studying. Asaresult,firstly,thehigher grade,thehighertendency to follow and remain indifferent and the higher grade,the less tendency to sympathize with victims. Especially, girls showed the higher tendency to remain indifferent. Secondly, the more positive recognition of the relation with peers children have,the less tendency to rema inindifferent. Lastly,the more stress children have of studying, the higher tendency to follow the bullying act.The result shows that those mentioned above including the gender,the grade,the relation with peers,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chools and stress caused by studying affectthe group's tendency to follow the bullying act meaningfully. On theotherhand,therelation with teachers didn'taffect the tendency to follow the bullying act,to sympathize with the victims and to remain indifferent meaningfully. Therefore,we need to find the proper way to prevent children from following the bullying acts us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based on this study and weneed the school-level proper education and involvement to use those who remain indifferent composing of the most of the group to follow the bullying act as the main human assetto prevent the bullying act.

      • 환대산업의 직장 내 집단따돌림이 비생산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호텔, 항공사, 여행사 직원의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와 내외통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매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환대산업 조직 내에서 직원들의 집단따돌림으로 발생되는 비생산적 업무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향,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검증 그리고 내외 통제성을 통하여 부정적 감정이 비생산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환대산업을 대표하는 호텔·항공사·여행사의 모든 부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2009년 8월~12월까지 총 6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 중 총57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 따돌림이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집단 따돌림 중 개인에 대한 위협이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업무에 대한 위협은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장 내 집단따돌림이 부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부정적 감정이 비생산적 업무행동 중 직무태만과 생산일탈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이 타인에 대한 보복과 오용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부정적 감정이 비생산적 업무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직장 내 집단따돌림 중 개인에 대한 위협은 직무태만과 생산일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장 내 집단따돌림 중 개인에 대한 위협이 조직불신과 남용, 타인에 대한 보복과 오용에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직장 내 집단따돌림 중 업무에 대한 위협이 직무태만과 생산일탈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직불신과 남용, 타인에 대한 보복과 오용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 내 집단따돌림이 비생산적 업무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집단따돌림과 비생산적 업무행동에 있어서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집단따돌림의 업무에 대한 위협이 비생산적 업무행동의 직무태만과 생산일탈, 타인에 대한 보복과 오용에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업무에 대한 위협이 직무태만과 생산일탈에 있어서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타인에 대한 보복과 오용에도 간접효과가 높게 나타나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내외통제성에 따라 부정적 감정이 비생산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부정적 감정이 비생산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내적 통제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환대산업의 경영자는 서비스 직원의 협력과 소속부서나 조직 내 단합과 단결을 증진시킬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조직 내 집단따돌림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제거하여 서로간의 신뢰의 정착에 헌신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직원의 선발과 훈련에 있어서 내적통제성향의 성격유형을 파악하여 채용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며, 교육과정에서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팀웍 훈련을 포함하여 지속적인 교육과 분위기를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to reduce employees'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caused by "bullying" occurred from the workplace in the hospitality industry. Following foci were pursued in this study. First, a relationship of concepts, bullying, negative emoti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locus of control, was explored by literature review, and then model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Second, the research respondents were selected as those who were working in the hospitality industry such as hotels, travel agencies, and airlin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09 to October, 2009. The total of 6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some of them were eliminated due to the missing values. Therefore, 57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ird, with regard to data analyse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evaluate conceptual validity and internal coherence of the concep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concept of "bullying"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such as the "threat to personal standing" and the "threat to professional status". Items measured for the concept as "negative emotion" appeared as one factor. Meanwhil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such as "intended separation and abuse", "distrust toward organization and abuse", and "retaliation against others and abuse". Since the index of Cronbach's α showed more than 0.6, the results from the reliability were satisfactory. In additio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alidate the adequacy of measurement tools. Fourth,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dequacy of the model and examining hypotheses. The results of fit index of the model were x²=51.722(df=4, p<.000), RMR= .008, GFI= .972, AGFI= .854, NFI= .976, CFI= .977.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uggested model was suitable for examining hypotheses in the study. Fifth, hypotheses were examined by conducting path analysis, multi-group analysis,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results were drawn as followings. Firstly, the case of H1 is that the bullying positively affects negative emotions. threat to personal standing of bullying positively affects negative emotions. threat to professional status positively affects negative emotions. From the result, it can be interpreted that bullying is closely related to negative emotions. Secondly,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affects the "duty of negligence" and the "career deviant" which are partial component of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In addition, negative emotions negatively affects the "retaliation against others and abus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negative emotion was partially related to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irdly, previous study mentioned that the threat to personal standing of bullying positively affects "duty of negligence" and the "career deviant". On the other hand, threat to personal standing of bullying bear no relation to "retaliation against others and abuse" and "distrust toward organization and abuse", threat to professional status of bullying negatively affects "duty of negligence" and the "career deviant" but, it has an influence on "retaliation against others and abuse" and "distrust toward organization and abuse positively. This study shows that bullying partially affects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In addit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effects in negative emtions. In bullying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reat to professional status of bullying is related to "duty of negligence" and the "career deviant"of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retaliation against others and abuse" for others as the mediate effects. threat to professional status in "duty of negligence" and the "career deviant" indicates a higher indirect effect than a direct effect and also "retaliation against others and abuse" for others shows a high indirect effect. So This study said that there is mediating of negative emotion. At last, depending on locus of control, when looking into the effects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s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indicates high internal control. In conclusion, managers in hospitality industry will need to provide employees with environment which can help staff improve cooperation, unity and solidarity within organization or division and they will have to be committed to improving trust in each other by eliminating problems in bullying. Especially, In employment and training, they will have to try to recruit the staff, after looking into the personality of internal control. When the employees train in something, they will mus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nd make an effort to continually provide training to staff who work in the hospitality and make atmosphere.

      • 자기표현이 부족한 집단따돌림 피해 청소년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신주리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집단 따돌림은 집단 내에서 다수가 특정인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행위를 일컫는다. 특히 학교에서 집단따돌림은 청소년들이면 누구나 쉽게 관련될 수 있을 정도로 흔한 현상이 되었고, 따돌림의 정도도 심해져 자살이나 범죄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개인의 자아정체성과 집단 정체성의 확립이 중요해 지는 시기로 이 시기의 집단 따돌림은 개인에게 심한 상처를 줄 뿐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까지 이어진다. 자기표현의 어려움은 기질이나 과거의 경험, 특히 양육과정에서 성격, 신념, 습관 등으로 형성되기 쉬우며, 자기표현이 어려운 청소년의 경우는 집단따돌림 피해에 취약하여 표적이 되기 쉽다. 이러한 자기표현이 부족한 청소년에게 미술치료는 불안이나 공포, 방어 없이 내면을 표현하여 타인이나 외부와의 소통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연구자는 개인미술치료가 "자기표현이 부족한 집단 따돌림 피해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어떤 효과를 가져 오는가?" 를 본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표현이 부족한 집단따돌림 피해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연구이다. 대상은 중학교 1학년 남학생으로 학교에서 집단따돌림을 당해서 힘들어 한다는 이유로 의뢰되었다. 초기면접 결과 청소년이 어릴 때부터 자기표현이 극단적으로 어려웠음을 파악하고 따돌림의 원인 중 자기표현 부족이 집단따돌림의 취약성을 제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미술작업을 통해 내담 청소년이 자기표현을 증진시키는 것을 돕고자 하였다. 미술치료과정은 20XX년 7월부터 20XX년 1월까지, 주 1회 60분(~90분) 17회기 진행하였으며, 이중 개인미술치료 14회, 집단치료3회를 비구조적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미술치료과정에서 미술작업의 표현과 언어 행동상의 변화에 대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또한 HTP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여 보조적으로 알아보았고, 치료 종료 후 엄마의 추후 생활 보고를 통해 청소년의 추후상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내담 청소년은 자기표현이 어려웠으나 미술작업을 통해 쉽게 화, 억압, 갈등, 고립감, 지친모습 등 자신의 감정과 내면을 안전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직면하였으며, 이러한 자기표현을 통해 긴장과 불안, 우울감 을 해소할 수 있었다. 압도적이었던 고통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통해 자신의 상황을 객관화하고 통찰 할 수 있어 더욱 자기표현에 도움이 되었다. 올바른 자기표현의 증가는 자기표현 부족이 가져오던 악순환을 벗어나게 되어 집단따돌림피해를 벗어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회기 중 보인 언어와 행동, 미술작품 이외에도 HTP검사와 모(母)의 평가에서도 나타난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가 자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갖고 있어 자기표현력 향상에 효율적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집단따돌림 피해 청소년이 자기표현을 적절히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Bullying is defined as a number of persons who continuously harass a specific person within a group. In particular, school bullying closely involved in the adolescent happens often, the extent of which is reaching a serious level, enough to commit a crime so that the victims even go so far as to take their own life.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during which they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role in a group. At this time, bullying not only hurts them personally but also creates social issues. An adolescent may have a psychological scar as a result of fostering. This, along with their personal disposition and experience tends to form a character who has trouble with self expression. As a result, such an adolescent person is a prime target for bullying due to one's vulnerability. To an adolescent with the lack of self-expression, an art therapy has the merit of exposing their inside personality and enables them to naturally have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without uneasiness, fear and defense. This thesis is a singl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an adolescent bully-victim with the lack of self- expression. The object was a first-year male student in middle school who requested art therapy to help with a difficulty he had at school because of bullying. From the initial interview, the reason it was very hard for him to do self-expression since childhood was discovered. It was assumed that the lack of self-expression made one vulnerable to bullying.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his self-expression, the object intended to be treated with an art therapy. In light of that, it was established that this study subject is "What effect a personal art therapy would bring to a victim of bullying from the lack of self-expression.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s follows: from the period of July 20XX to January 20XX, 17 visits in total, each for 60 minutes. This breaks down to 14 visits of personal art therapy and 3 visits of group treatment in an unstructured way. It was analyzed in terms of quality whether there were changes in expression from art works and in communicating through an art therapy. Concurrently, the HTP test was administered before/after as a supplement. After the treatment, his later situation would be observed by his mother. The results of the thesis are summarized as below: At first, it was hard for the object to express himself. However, he was getting used to express his inside feelings such as anger, depression, conflict, solitude, and weariness in a safe way using artworks. And he faced this fact. As a result, he could get rid of tension, uneasiness and the blues. He could express overwhelmed agony visually with which he could exemplify himself. Accordingly, he had the opportunity to see through his own situations. These changes were visible not only in language, actions and artworks shown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but also from the HTP test and his mother's evaluation. Now that this art treatment has shown elements to promote self-expression, it is surely the effective way to increase self-expression. Also, it clearly helps a victim of adolescent bullying to appropriately express himself.

      • 초등학교 집단따돌림 아동과 스포츠 활동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류향춘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집단따돌림 피해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스포츠 활동과의 연관성을 조사함으로써 스포츠 활동과 따돌림과의 관련성을 구명함과 동시에 일선지도자로 하여금 스포츠 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여 학교 내에서의 집단따돌림 피해를 극소화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대상으로는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8개교를 아파트 지역, 주택가, 농어촌 지역 등 3개 지역으로 국한하여 4∼6학년 학생 600명으로 하여 질문지를 배포하고 질문 내용에 대한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stration method)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 .72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P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스포츠 활동 관련특성, 따돌림 피해자의 경험분포, 학교에서 집단 따돌림을 본 경험이나 이에 관한 생각에 대한 분포는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집단따돌림의 피해 경험의 차이, 학교에서 집단따돌림을 본 경험이나 생각의 차이검정은 교차분석(x^(2)-test)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스포츠 활동 정도는 스포츠 활동을 즐기고 좋아하는 학생이 422명(73.1%), 좋아하지 않는 학생은 146명(25.7%)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주택가, 아파트, 농어촌이 대부분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스포츠 활동의 횟수에 있어서는 1주일에 1∼2일 198명(3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이 5일 이상 156명(27.8%) 다음이 3일 14.9명(26.6%) 순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활동을 시작한 기간에 대해서는 1∼2년이 190명(33.6%), 다음이 6개월 이하 178명(31.4%), 다음이 3∼4년으로 122명(21.6%)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아파트 지역, 주택가, 농어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난 1년간 집단따돌림 피해 학생은 전체 577명 중 159명(27.6%)으로 집단따돌림 학생은 10명 중 약 3명으로 상당히 심각한 문제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농어촌 64명(33.0%), 주택가 55명(28.5%), 아파트 지역 40명(21,1%) 순으로 나타났다. 따돌린 학생은 주로 같은 반 학생이 113명(73.9%)으로 가장 높았으며, 따돌리는 시간은 쉬는 시간이 102명(45.5%)으로 가장 높았고, 발생시기는 특정시기와 관계없이 287명(53.6%)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학년이 바뀔 때 136명(25.4%), 다음이 학교를 옮길 때 81명(15.1%)로 나타났다. 따돌림을 당한 후 대처 방법으로는 피한다. 80명(55.6%), 친구나 가족과 상의했다. 잘 보이려고 노력했다. 대항했다 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돌림을 당하고 숨긴 적이 있는가에 85명(54.8%)이 답하였고 그 이유는 부모님이 걱정하실까봐 48명(39.0%)으로 부모와의 대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셋째, 집단따돌림 피해자가 집단따돌림을 당한 이유라고 생각되는 항목에서 운동을 못한다가 32명(23%)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못한다고 운동시합이나 놀이에 끼워주지 않았다의 경우가 38명(24.7%)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활동을 하면서 친구들 관계에 자신감이 생겼다는 응답이 4.33명(75.7%)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 활동이 대인 관계에 자신감을 갖게 함으로써 사회성 함양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포츠활동을 함으로써 집단따돌림을 당하지 않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답변이 372명(67.9%)으로 스포츠활동이 집단따돌림의 예방과 극복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analyze the actual condition about elementary students' grouping alienation and to verify correlation with sports activities. Moreover, we attempted to announce the importance of it and minimize the victims of the grouping alien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ix hundreds students of fourth to sixth grades selected from eight elementary school of Busan Metropolitan City and were asked to make out the questionnaire(self administration metho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Cronbach's a .72.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program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ports activities, and distribution of victims's experiences were expressed frequencies and a centesimal scale. Difference of experiences and thought about the grouping alienation were described chi-square test(x^(2)-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ive perc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sports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number of students who like and enjoy sports activities is 422(73.1%), the number of who doesn't like sports activities is 146(25.7%). By regional groups, the proportion of preference tendency were showed to be mostly same among the common residential area, apartment area,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the research of the frequency of sports activities, the number of students who attend the activities for one to two days of a week is 198(35.3%), the number of who attend over five days is 156(27.8%) and that of who attend for three days is 149(26.6%). In research of the duration of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that of one to two years in 190(33.6%), that of less than six months is 178(31.4%) that of three to four years is 122(21.6%). By regional division, the length order of duration of participation showed as apartment area, common residential area, farming and fishing village. Secondly, for the last one year the number of victims of grouping alienation was 159(27.6%) among total 577 students. That is very serious problem to mean three of ten are the victims of grouping alienation. By regional division the number of the victim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s 64(33.0%), that of common residential area is 55(28.5%), that of apartment area is 40(21.1%). The assaulting student was mostly the one in the same class at the proportion of 73.9%. The most frequent time of grouping alienation is during the break time as the proportion of 45.5%. In the research of occurrence spot, responding not being related to particular time is highest as 287(53/6%) students, the point of time in changing academic year is 136(25.4%) and the point of time of moving to other school is 81(15.5%). In the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of how to face the group alienation, "avoiding" is 80(55.6%), "consulting with friends or family" is 80(55.6%) and the other reponses are "trying to be nicer" and "opposing" and so on. To the questionnaire of "Have you ever hidden the fact to be bullied?", 85(54.8%) answered "Yes", and the number of who answered that the main reason was not to worry the parents 48(39.0%). Thirdly, at the research of the reason of being alienated, the number of being poor in sports is 32(23%) and the number of who could not join in a sports matches or games because of lack of ability of sports activities is 38(24.7%). The number of students responded that doing sports activities made themselves confident is high presented as 433(75.7%). This means sports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to improving the sociality by making oneself confident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 Moreover the fact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sponded that the sports activities help not to be group-alienated is 372(67.9%) shows sports activities are effective to preventing and overcoming the group-alienation.

      • 집단따돌림과 학급응집성,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 및 불안과의 관계

        이창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교폭력 및 집단따돌림과 제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아동의 건전한 성장발달을 위한 정보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정상, 가해, 피해-가해, 피해집단으로 구분 분석하였다. 집단따돌림은 Olweus(1993)의 가해-피해설문지(Bully/victim Questionnaire)를 번안(이춘재, 곽금주, 2000)하여 사용하였으며 학교폭력은 유형에 따른 학교 안팎의 피해-가해경험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응집력은 급우들에 대한 매력을 중심으로 25개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상태-특성불안은 Spielberger, Gorsuch 및 Lushene(1970)에 의해 개발되고 한덕응, 이장호, 탁진국(1993)이 한국어판으로 표준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존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 전병제(1974)가 번안한 것을 5점척도의 Likert식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학교생활만족도는 임정순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검사지와 전호택의 학교생활 검사지를 참고하여 한국심리학회에서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학교폭력 및 집단따돌림과 학급응집력, 자아존중감, 상태-특성불안의 관계를 보면 가해-피해를 모두 경험한 아동이 응집력 자존감을 가장 낮게 지각하였으며 상태-특성불안은 가장 높게 지각하여 심리적 사회적으로 가장 위태로운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생활만족도 및 가족에 대한 지각에서는 정상집단, 가해, 피해 순 이었고 가해-피해를 모두 경험한 아동이 가장 부정적으로 지각하였다. 따라서 학교폭력 및 집단따돌림의 피해예방을 위한 폭력수준을 전반적으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태도를 개발하고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사의 적극적 개입으로 상담활동을 강화하고 가정과의 긴밀한 협조체제 구축으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찾도록 해야한다. 끝으로 지속적 관심과 심리적 요인 등에 관한 심층적 연구로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l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or group bullying and students' psychological responses and thereupon, provide for some useful data to prevent group bullying and thereby, help our children grow in a sound and healthy way.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fifth- and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thereupon, the sampl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normal, bully, victim-bully and victim groups. For the survey, Olweus' (1993) "Bully/Victim Questionnaire" developed by Lee Choon-Jae and Kwak Keum-Ju (2000) was used. The survey scale consisted of the questions regarding students' experiences of bullying and/or being bullied in or outside school. Cohesiveness of classroom was measured with 25 question items regard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lassmates, while students' psychological response or anxiety was measured with Spielberger, Gorsuch and Lushene's (1970) scale localized by Han Deok-Ung, Lee Jang-Ho and Tak Jin-Kuk (1993). On the other hand, students' self-esteem was measured with Likert's five-point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1965) and localized by Chun Byong-Je (1974).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as assessed with a scale developed by Korea Psychology Academy in reference with Lim Jeong-Soon's "Scal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Chun Ho-Taek's "Scale of Schoo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ose bully/victim group showed the lowest sense of cohesiveness of their classroom as well as the lowest self-esteem, while showing the highest anxiety. In short, this group was analyzed as most unstable in psychological and social terms. The group satisfied most with their school and family life was "normal group" followed by bullying and victim groups in their order, and the bullying/victim group was least satisfied with their school and family life. In order to prevent or reduce school violence and group bullying, it may well be necessary to help our students develop positive personality amid a humane environment. Besides, it is also required of teachers to intervene actively in students' school life through reinstatement of counselling services and construction of a clos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nd thereby, find some fundamental solutions to school violence or group bullying.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analyz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group bullying or developing some programs to prevent school violence.

      •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유발 및 억제 변인을 중심으로

        김수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초등학생 집단따돌림의 가해 및 피해와 관련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예방 방안을 탐색하여 초등학생 교육 및 상담 현장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6년 6월까지 출판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 관련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유발변인군과 억제변인군으로 구분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조사년도에 따른 연구들의 효과크기의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에 관련된 유발변인군과 억제변인군은 모두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 및 피해의 유발변인은 중간을 상회하는 수준의 효과크기, 가해 및 피해를 억제하는 변인은 중하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가해 유발변인의 효과크기는 0.263, 피해 유발변인의 효과크기는 0.260으로 중간을 상회하는 수준, 가해 억제 변인의 효과크기는 -0.173, 피해 억제 변인의 효과크기는 -0.188로 중ㆍ하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2000년부터 2016년 6월까지의 초등학생 집단따돌림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을 메타분석 하여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통합하고 각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제시함으로써 기존 선행연구들을 종합 정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집단따돌림 관련 변인들을 메타분석 하여 각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하여 보다 영향력 있는 변수를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메타분석 결과, 상관계수가 .30이상인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수는 가해 유발 변인군의 공격성, 가해 억제 변인군의 공동체의식, 피해 유발 변인군의 보복심리, 불안, 부정적 자기인식, 우울, 부정적 친구관계, 피해 억제 변인군의 적응유연성, 호감성, 타인존중의식, 친구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생 집단따돌림을 예방하고 개입함에 있어 우선순위를 제시할 수 있다. 셋째,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비슷한 연구들이 반복되는 비효율성을 감소시키고, 초등학생 집단따돌림에 관련된 예측변인의 통합적 모델 수립을 위한 기초 작업에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넷째, 초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가해 및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초등학생 집단따돌림 예방과 대처를 위해 관련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접근 방법, 정책적 대안과 연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섯째,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과거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던 연구들의 변화추이를 조사년도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지난 2000년부터 최근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