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내·외적 진로장벽이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 진로포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영자 경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외적 진로장벽이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진로포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4년제 대학 6곳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내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이 지각한 외적 진로장벽은 사회복지 진로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진로포부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진로지도 및 상담에서는 학생들의 진로결정을 돕기 위해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을 다루어 주는 것뿐만 아니라, 진로포부를 고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적 진로장벽과 외적 진로장벽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진로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학생들의 진로지도나 상담에서는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장벽이 내적 진로장벽인지 외적 진로장벽인지에 따라 차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of social welfare on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spirations in that process in order to present baseline data for th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vided to students of social welfare. To attain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478 undergraduate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six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3-step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ny (1986) by using SPSS 12.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of social welfare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directly negatively, and at the same time, they exert indirect effects as well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students of social welfare did not affect social welfare career decision directly; however, they showed indirect, negative effects with career aspirations as mediation. Therefore, to help students of social welfare for better career decision in career guidance or counseling,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them and also develop programs and apply counseling techniques to enhance their career aspirations. Also, as it is shown that internal and external career barriers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in different ways, career guidance or counseling provided to the students should approach to them differently according to whether the barriers perceived by them are either internal or external ones.

      •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 비교연구

        김혜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사회에서 북한이탈청소년은 남한 청소년들과 마찬가지로 능력과 소질을 개발하여 자아실현을 해야 하는 주체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또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인적자원으로서 그들이 잘 적응하고 행복한 직업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진로지도와 상담 및 직업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청소년과 남한청소년 두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청소년들의 진로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북한이탈고등학생과 남한고등학생 간에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에서차이가 있는지와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하는 것이다. 위에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고등학생으로 정하고, 경기도 소재 1개 고등학교와 서울 소재 3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총 228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진로장벽의 경우 황매향(2005)이 개발한 청소년용진로장벽척도를 사용하였고, 진로포부는 O'Brien(1992)이 개발한 진로포부척도(The Career Aspiration Scale : CAS)를 최수욱(2005)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Taylor, Betz(1983)가 개발한 진로결정가지효능감척도(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 CDMSE)를 이은경(200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진로태도성숙척도는 이기학(1997)이 개발한 진로태도성숙도검사(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WIN 18.0을 사용하여 각 척도의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상관분석, t검증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고등학생과 남한고등학생은 진로장벽, 진로포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태도성숙에서 차이를 보였다. 진로장벽 전체는 집단간 의미 있는 차이는 없고, ‘자기이해부족’, ‘미래불확실성’에서 남한고등학생이 유의미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진로포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태도성숙 전체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변인인 ‘준비성’, ‘목적성’에서는 남한고등학생이, ‘확신성’에서는 북한이탈고등학생이 유의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북한이탈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진로태도성숙의 ‘목적성’, ‘확신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각 22.7%, 34.4%를 설명해 주었다. 남한고등학생의 경우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성숙 하위 변인 모두에 영향을 주었고, 그 각각의 설명력은 준비성 16.1%, 목적성 32.6%, 확신성 39%이다. 셋째, 진로포부는 진로태도성숙의 ‘준비성’, ‘목적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준비성에 35.8%, 목적성 11.8%를 설명하였다. 남한고등학생의 경우 진로태도성숙의 준비성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8.6%이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고등학생이 남한고등학생보다 진로포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북한이탈고등학생과 남한고등학생 두 집단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가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인 ‘준비성’과 ‘확신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북한이탈고등학생의 경우 진로태도성숙의 준비성 38.6%, 확신성 11.1%를 설명해 주었고, 남한고등학생의 경우 준비성 20.4%, 확신성 23.2%로 진로태도성숙을 설명해 주었다. 이는 북한이탈고등학생과 남한고등학생 모두 진로관련 의사결정의 준비도가 높을수록, 현명한 진로선택을 위한 준비와 목적이 분명해짐을 알 수 있다. 다만, 두 집단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체가 진로태도성숙의 각 하위변인에 높은 수준의 영향을 미쳤으나, 진로결정효능감의 각 하위변인은 진로태도성숙의 ‘준비성’과 ‘확신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South Korean society, North Korean youth refugees are illustrated as main agents who are to develop their ability and talent for self-realization as South Korean youths are. Proper career guidance, counsel, and job offer are required in order that they adapt well and live happy professional life as important manpower in South Korea. Thus, this study expects to be a role as preliminary data for helping juvenile's career development through comparis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youth groups. To achieve this, subjects for inquiry of this study are whether North Korean highschool student defectors and South Korean highschool students differ in career barrier, career aspir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how career barrier, career aspir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fluence on subordinate figure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To resolve the presented study issue, the object of study is decided to be highschool students, and 228 people survey was performed at one highschool located in Kyoung-ki province and three highschool located in Seoul. Measuring devices are Hwang mae hyang(2005)'s youth career barrier scale in case of career barrier, choi soo uk(2005)'s adapted career aspiration scale from O' Brian(1992)'s in case of career aspiration, Lee eun kyoung(2001)'s adapte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cale(CDMSE) from Taylor Betz(1983) in cas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Lee ki hak(1997)'s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in cas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Process of the collected data was done by credibility verification, description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verific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each scale, using SPSS/WIN 18.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North Korean highschool student defectors and South Korean highschool student differed in career barrier, career aspir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whole career barrier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group, and South Korean students appeared to be high level in 'self-knowledge shortage', 'future uncertainty'. There wasn't distinction between groups in career aspir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alyzed wholly and partially. The whol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asn't different from each groups, but South Korean students was higher at 'readiness' 'finality', North Korean students was higher at 'conviction' in the subordinate factors. Second, career barrier recognized by North Korean students influenced significantly on 'finality', 'conviction' in career attitude maturity, showing 22.7%, 34.4% each. South Korean students' career barrier affected every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showing readiness 16.1%, finality 32.6%, conviction 39%. Third, career aspiration significantly affected 'readiness', 'finality' of career attitude maturity. It showed readiness 35.8%, finality 11.8%. It affected only on readines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in case of South Korean students, and account is 8.6%. This result explains that influence of career aspira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s bigger among North Korean students than that among South Korean students. Fourth, the who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fluenced 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readiness' and 'conviction' in both groups. It showed readiness 38.6%, conviction 11.1% of career attitude maturity in case of North Korea student defectors, readiness 20.4%, conviction 23.2% in case of South Korean students. This explains that the higher readiness of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is, the clearer preparation and purpose for wise career choice be, in both group. However, it showed that the who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ed a lot each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at each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idn't affect 'readiness' and 'conviction' of career attitude maturity.

      •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선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유형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지역의 5개 대학교 학년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장벽을 측정하기 위해 김은영(2001)이 개발한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를 사용하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Betz와 Voyten(1997)이 개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CDMSES-SF)를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번안하여 사용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진로의사결정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Harren(1984)이 개발한 진로결정 척도(ACDM)를 바탕으로 고향자(1992)가 번역, 수정하여 제작한 진로의사결정유형 척도를 사용하였고,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Osipow, Carney, Winer, Yanico 및 Koshier(1980)가 개발한 진로결정검사(CDS)를 고향자(1992)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398명의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유형은 진로결정수준과 상관이 있다.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은 부적 상관이 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은 정적 상관이 있다. 또한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은 부적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에서 직업정보 부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목표선택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의사결정유형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진로의사결정유형 중에서 의존적 유형만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유형 중에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영향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의사결정유형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데 있어 변인들을 전체적으로 볼 때보다 하위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할 때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대학에서의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에 있어 다각적인 진단과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진로장벽에 대한 잠재집단분류 및 집단별 특성탐색

        선동형 성결대학교 프라임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전공계열,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가 집단에 미치는 영향 및 집단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진로상담의 구체적인 적용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91명의 대학생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잠재계층분석, 다항로짓회귀분석(multinomial logit regression),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잠재계층은 세 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집단을 ‘진로장벽-저’, ‘진로장벽-중’, ‘진로장벽-고’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세 개의 집단은 공통적으로 진로장벽의 ‘자기명확성 부족’, ‘직업정보 부족’, ‘미래불안’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 중에 ‘성별’,‘전공만족도’,‘전공계열’은 진로장벽의 잠재계층집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여자가 ‘진로장벽-고’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전공 수업이 불만족스러울수록 진로장벽을 높게 느꼈다. 그리고 ‘기타 계열’ 학생들이 ‘사회계열’ 및 ‘교육·사범계열’ 학생들보다 ‘진로장벽-고’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의 잠재계층집단에 따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진로장벽-저’ 집단에 속하는 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나,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정도가 낮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이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에 따라 잠재계층 집단을 분류하였으며, 각 집단에 속하는 학생들이 어떤 진로장벽 요인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성별’, ‘전공만족도’, ‘전공계열’이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장벽을 낮출 수 있는 구체적인 상담에의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areer barriers potential students in college student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ajor serie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major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ce of career decision sel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pecific application of career counseling. For this, 291 college students'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methods were latent hierarchy analysis,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potential barrier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nd each group was named 'career barrier - low', 'career barrier - middle', 'career barrier - high' group. The three groups were found to have a high degree of 'lack of self-clarity', 'lack of job information', and 'future anxiety' of career barriers in common. Second,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tential group of career barriers. Specifically, women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career barriers - high" group, and the more unsatisfactory the major courses,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s. In addition, 'other affiliation'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career barrier - high' group than 'social group' and 'education · teacher group' student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potential group of career barriers. The students who belonged to the 'career barriers-low' group showed hi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he lower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by attempting to classify the subgroups of career barriers, and suggested which career barrier factors perceived the highest perceptions of students belonging to each group.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specific counseling to lower the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by revealing that 'gender', 'major satisfaction', and 'major'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barriers.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이 전공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황정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국내 대형항공사와 저비용 항공사, 외국 항공사 등 항공사 취업 기회확대와 항공사 객실 승무원에 대한 높은 선호도의 영향으로 항공서비스 전공을 원하는 학생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관련학과는 인기학과로 인식되면서 꾸준히 높은 경쟁률을 기록 하고 있다(박소연⋅박혜윤, 2007). 특히, 학생들은 항공사 객실 승무직을 목표로 항공관련 서비스학과에 진학하기 위하여 3개월에서 길게는 1년 이상 입학 준비를 하며 학과 선택에서부터 취업을 위한 노력과 비용을 소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다른 기업에 비교하여 항공사 객실승무원직의 높은 입사 경쟁률로 인해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 가운데 소수만이 항공사 취업에 성공하는 실정이다. 그로 인하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는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항공사 취업을 위한 정보탐색과 자격증취득, 외국어 공부, 면접 준비 등 취업준비행동 과정에 물질적, 시간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정민주, 2014). 그런 이유로 항공서비스 전공자의 진로장벽 요인을 파악하고 전공만족과 취업준비행동에 만족할 만한 정보를 제공 해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로부터 도출된 각 개념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개념의 하위 차원 구성을 보면, 진로장벽이 개인정보적 장벽, 직업부정적 장벽, 자아부정적 장벽으로 구성 되었으며 요인분석 결과 자아부정적 장벽, 직업부정적 장벽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전공만족도는 교과 및 수업만족, 교수관계 만족, 사회인식만족 3개 요인으로 도출 되었으며, 취업준비행동은 예비적 취업 행동, 본격적 취업행동 2개에서 요인분석 결과 적극적 준비행동, 구체적 준비행동, 예비적 준비행동, 공식적 준비행동 총 4개로 도출되어 구성차원을 설정 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이 전공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 결과 자아부정적 장벽, 직업부정적 장벽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로장벽의 요인 중 자아부정적 장벽은 전공만족도 중 수업만족에만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관계만족과 사회인식만족에는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직업부정적 장벽은 수업만족, 관계만족, 사회인식만족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결과는 일부 지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 결과 취업준비 행동의 하위요인으로 적극적 준비행동, 구체적 준비행동, 예비적 준비행동, 공식적 준비행동 4개로 구성되어졌다. 전공만족도 중 수업만족 요인이 높을수록 적극적 준비행동, 예비적 준비행동, 공식적 준비행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구체적 준비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관계만족 요인은 적극적 준비행동, 구체적 준비행동, 예비적 준비행동, 공식적 준비행동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인식만족은 적극적 준비행동에는 부의 영향, 예비적 준비행동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구체적 준비행동과 공식적 준비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이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일부 지지되었다. 진로장벽 중 자아부정적 장벽은 적극적 준비행동, 구체적 준비행동, 공식적 준비행동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예비적 준비행동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부정적 장벽은 구체적 준비행동, 예비적 준비행동, 공식적 준비행동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적극적 준비행동에는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항공서비스과 전공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은 전공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부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공만족도 역시 하위요인에 따라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취업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을 좀 더 세분화하여 연구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둘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는 자신에 대한 능력, 실력 등에 확신이 낮을수록 학과 수업을 통해 더 많은 실력을 갖추고 학과의 인지도를 높게 인식하려는 행동 등을 통해 취업을 위한 좋은 조건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더욱 활발하게 서비스분야의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개인이 지각하는 진로 장벽의 원인을 파악해서 맞춤 정보와 다양한 기회 제공을 통해 진로선택에 어려움이 없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관계만족 요인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는 지도교수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실질적으로 취업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는 내용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인 개별 취업지도와 체계적인 상담프로그램을 통해 폭 넓은 진로선택과 구체적인 정보 제공으로 준비행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전공만족도의 하위 요인 가운데 수업만족이 공식적 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는 학생들의 관심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전공과목과 자격증 취득을 위한 특강 등을 편성하여 취업준비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학과의 지속적인 지원과 효과적인 교과운영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진로장벽이 취업준비행동에 반드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학생들이 지각하는 자신의 능력이나 실력의 부족함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동기를 제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계획과 행동을 관리할 수 있는 세부적인 내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과차원에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취업 정보와 기회를 제공, 교육프로그램 편성 등을 통해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개개인의 진로장벽 요인을 파악하여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동기를 제공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담당교수와의 체계적인 진로 교육 및 상담을 통해 실질적인 정보를 제시하여 학과교육 과정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항공서비스 관련 전공 대학생들이 저학년부터 진로에 대한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낮추고 폭넓은 진로선택을 위한 다양한 취업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도움을 제공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by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ir servi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stud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In South Korea, there are growing job opportunities in large-scale airlines, low-cost airlines, foreign airlines, etc. and preference for the job of flight attendants increases. In this situatio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ant to study air service in universities. And airline service related departments are recognized as popular ones with high competition rates (So-yeon Park, Hye-yun Park; 2007). Especially to become a flight attendant, many students spend from 3 months up to over 1 year to enter an air service-related department, spending their time and money for the final employment from as early as university department selection. However, compared with other jobs, flight attendant is far more competitive due to a lot of candidates. Only a small part of them are successfully employed by airlines. Such a situation aggravates students’ anxiety and stress over employment. Students are investing a lot of their time and resources i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for airline firms such as information search, certificate acquisition, foreign language study, and interview skill improvement (Min-ju Jeong, 2014). For these reasons, it will be an essential part to identify career barrier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ir service and provide satisfactory information for their employment preparatory behaviors. The job-negative barrier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specific preparation behavior, preliminary preparation behavior and official preparation behavior but no effect on active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by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ir service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stud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lso the satisfaction with major study is deem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depending upon sub-fact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factors of career barriers and satisfaction with major study by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ir service and segmente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to sub-dimensions.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by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ir servi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study. Proper help and assistant from professors through plenty of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seem necessary for students to correctly recognize own perceived career path to build confidence and select own career path without much difficulty. Third, this study found that, of th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study, relationship satisfaction factor did not affec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is can be explained that more direct and useful information needs to be provided at the practical level via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In this sense,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vide more practical help to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specific counseling and broader career paths and information presentation. Regular individual employment counseling, systemized career path education and specific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to present broader options of career path and information Also, given the effect on official preparation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major study, diverse major subjects need to be provided for practical support of employment. To this end, continued support of school department is necessary along with effective curriculum management. Forth, this study partially supported preceding study that career barriers do not always negatively affec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o motivate students to overcome their perceived lack of ability or skills, practical action plans and specific counseling for action were found important in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findings, school departments will need to provide diversified employment information and opportunities to student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study while providing assistance to studen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consistently. Individual career barrier factors should be understood and continuously consulted. Professors’ systemized career path education and counseling need to be provided to give more practical information on more career paths to suppor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숙경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부산시, 경기도, 강원도 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12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 19.0을 이용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각된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특히 ‘노동시장에 대한 준비부족’이 진로준비행동과 상관이 높았으나 ‘차별’과 ‘다중역할로 인한 갈등’은 진로준비행동과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들은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구체적으로 ‘차별’이나 ‘역할에 대한 갈등’ 보다는 ‘개인특성의 부족’이나 ‘노동시장에 대한 준비부족’을 더 큰 장벽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은 진로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문제해결’과 ‘직업정보수집’이 상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대생들은 진로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으며 구체적으로 ‘문제해결’에 대한 효능감이나 ‘직업정보수집’에 대한 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에 대한 준비를 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인가를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을 완전 매개하며, 진로준비행동을 설명하는 효과적인 매개변수임이 검증되었다. 즉, 지각된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진로장벽 지각은 달라지며 또한 이것이 진로준비행동 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진로상담을 진행할 때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같은 긍정적 매개변인을 활용함으로써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내담자들이 원활하게 진로를 준비해나갈 수 있도록 조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여대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해봄으로써 우리나라 여자 대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상담 전략 수립 및 체계적 취업역량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Park, Sook-kyoung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312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measure each variable, Career Barrier Inventory-Revised (Lee, 2007),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Short-Revised (Lee, 2000),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ventory(Kim,1997) were used. As for statistical method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Especially, 'Lack of preparation for job-market' among career barriers' sub-factors had a grea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Sex discrimination', 'Multiple-role conflict' barely had an impact. Seco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ird,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e in building up the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programs. Moreover,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accomplish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female college students. Keyword: career barri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연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국의 무용전공 대학생 161명을 조사하였으며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총 157부를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내용은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포함하여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측정하는 질문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4.0와 PROCESS macro가 사용되었다.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변수의 단순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과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활용한 이중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은 낮아진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은 높아진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은 높아진다. 넷째,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지지는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은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명확한 초점의 단계적인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무용전공 대학생의 특성에 맞는 개별화,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무용전공 대학생들은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인식하고 각각의 변인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야 한다. 이중매개효과 분석 결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공존한다. 무용전공 대학생들은 진로준비행동을 위하여 개인 내적 요인인 회복탄력성을 강화하는 데 있어 각 개인의 능동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인의 의지로 진로준비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개인의 신념과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이행하지 못한다면 사회적지지가 높더라도 진로준비행동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회복탄력성은 고정되어있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이며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무용전공 대학생들이 겪는 진로장벽에 대한 어려움을 인식하여 이들이 사회로 나아갈 때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긍정적 자원이 진로준비행동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체계를 신속하게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volvi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o this end, 161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cross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sponses to a total of 15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luding those with insincere responses. An online questionnaire was employed as a survey tool, which comprised questions aimed at identifying the respondents’ demographic variables and measuring their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PROCESS macro.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study’s independent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ts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a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4 to identify any simple mediating effects of the study’s parameters, and a dual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6 to identify any dual mediating effects of these parameters.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career barri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 higher level of career barriers resulted in a correspondingly low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social support for the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 led to a corresponding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ird, the students’ resil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 higher level of resilience resulted in a corresponding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urth, when the students’ career barriers affecte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ocial support had a mediating effect. Fifth, when the students’ career barriers affecte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Sixth, when the students’ career barriers affecte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had dual mediating effects. These study results confirmed the need to develop a well-structured support system with a clear focus on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Accordingly, individualized and differentiated support must be prov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Moreover, these students should recognize that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have positive impac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make steady efforts to strengthen each variable. The results of the dual mediation analysis identified the coexist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should make their active efforts to increase resilience, which is an individual’s internal factor carrying out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y should prepare for their careers of their own volition. In other words, an individual’s belief and mindset are the most important requisites, and when they are not met, even high levels of social support cannot lead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ost importantly, the students should practice resilience steadily with the awareness that this variable is not fixed but changes constantly and can be strengthened through repeated trai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also recommended to recognize the difficulties that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experience regarding the career barriers and to promptly provide a system through which the positive re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can practically assist the students i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head of going out into the world.

      •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노미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 전문대학 진로 상담현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진로탄력성, 사회적지지, 진로준 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에서는 강원, 서울·경기, 영남, 충청, 호남, 제주 소재의 2·3년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을 통하여 총 371 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진로장벽 척도, 진로탄력성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와 AMO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구조모형의 타탕성과 적합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장벽은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진로탄력성, 사회적지 지, 진로준비행동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과정에서 진로탄력성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 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를 거쳐 진로탄력성에 이르는 이중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에 대한 지각은 곧바로 진로준비행동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두 변인의 관계를 이중매개한다. 이는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전문대학생이 주변의 지지적인 도움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자신의 진로관리를 해나가는 능력을 갖추도록 돕는 것이 상담 과정에서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상담자는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를 고려한 상담개입을 보다 중요하게 인식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진로준 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경로와 매개변인을 확인하였 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전문대학생에게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는데 있어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주목한 상담 개입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ays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s of career elasticity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junior college students are conscious of,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the junior college career counseling situ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elasticity,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cogniz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mediated effects of career elasticity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a total of 371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through an on-and off-line survey of the two or three-year college students. Measurement tools used a career wall scale, a career elasticity scale, a social support scale, and a career-preparatory behavior measure.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study, SPSS 21.0 was used to calculate the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factors, and AMOS 21 was used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intermediat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sions, the career barrier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elasticity, social support and career-preparatory. career elasticity,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s showed each other'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career barriers of junior college students do not directly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process, career elasticity was found to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s, and social status did no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ac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barrier and the career-preparatory behavior had double-mediating effects from social support to career elasticity.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has identified specific paths and parameters for how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process. Also, social support and career elasticity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junior college students who are highly aware of career barriers. This study will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s that focus on social support and career elasticity in promoting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for junior college students.

      •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윤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t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levels of career decision by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s in Seoul and analyzed a total of 310’s data.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a high school student has? Second, how do the sub-factors of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 their levels of career decision? Third, do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barriers on their levels of career dec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and the levels of career decision, and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and those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Second, lack of self-interest, lack of self-confidence, conflict in gender roles and gender discrimination, conflict with important others,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lack of career and job information, and lack of job information, which are th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ir levels of career decision-making, lack of self-confidence, gender, and importance. Third, the path analysis among career barri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decision levels showed that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decision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by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career decision levels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ied the pathways that lead to career-decision levels through positive 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help identify the causes of difficulties in making career decisions in school career counseling settings, while also understanding the specific difficulties of adolescents experiencing career barriers and identifying sub-factors to help raise career decision levels by lowering career barriers, thereby helping to use them in practical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settings.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 1~3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해 총 31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긍정심리자본, 진로결정수준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하위요인들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심리자본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의 하위요인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진로장벽의 하위요인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간에도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에,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과 진로결정수준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인 자기이해 부족, 자신감 부족, 성 역할 갈등 및 성차별,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과 경제적 어려움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자기이해 부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은 진로결정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 부족, 성 역할 갈등 및 성차별,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경제적 어려움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가 나왔다. 셋째, 진로장벽과 긍정심리자본, 진로결정수준 간의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장벽이 긍정심리자본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고등학생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이 긍정심리자본을 거쳐 진로결정수준에 이어지는 경로를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 진로상담 장면에서 진로 결정을 하는 데 있어 장애가 되는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진로장벽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의 구체적인 어려움을 이해하고 진로장벽을 낮추어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하위요인을 확인해봄으로써 실질적인 진로교육 현장과 상담의 장면에서 활용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