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교회의 역할

        진민현 단국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의 한국사회는 지역사회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또한 여기에 따르는 모든 民間 機構들의 사회봉사도 절실히 要求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연재 한국교회의 자기 중심적 활동에 대한 批判의 소리가 높은 이때에 교회의 자체활동에 대한 제반 문제점을 分析 비판하고 교회가 지역사회개발 사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推進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야 된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을 한국교회가 지역사회개발에 어떻게 參與해야 할 것인가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1) 지역사회개발과 교회와의 役割 관계를 이론적으로 살피되, 특히 성경상에 나타난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교회의 역할과 使命을 규명한다. 2) 지역사회개발에 교회가 어떻게 참여하였는지의 實態를 분석하고, 지역사회개발에 얼마나 많은 影響을 끼쳤는가를 밝혀본다. 3)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한국교회의 諸問題를 지적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교회가 사회봉사에 참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는 當爲性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範圍를 서론과 결론을 합쳐 5장으로 구분하였다. 1) 2장에서는 지역사회개발과 교회와의 바른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이론적인 背景을 살폈다. 2) 3장에서는 지역사회개발에 교회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기 위하여 개화기 이후의 교회가 어떻게 지역사회개발에 참여했으며, 또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실태를 분석했다. 3) 4장에서는 앞으로의 한국교회가 지역사회개발 事業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활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문제점들을 지적했으며, 또한 改善方案도 제시를 했다. 지역사회개발에 따르는 교회의 역할을 硏究하는 가운데 몇가지 문제점들이 도출되었는데, 1) 지역사회의 諸般 문제에 대한 교회 지도자들의 인식부족이 지적되며, 2) 지역사회에 대할 理解와 주민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지도자의 姿質을 지적할 수 있고, 3) 또한 지역사회 봉사에 따르는 교회의 풍부한 자원의 활용을 못하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문제점에 따르는 改善策은, 1) 지역사회의 諸問題에 대한 교회지도자들의 의식교육 등을 통한 認識을 전환하는 것이며, 2) 지역사회 주민들과의 관계를 새롭게 하므로 지역사회의 여러가지 문제를 이해하고 교회가 이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앞서야 할 것이며, 3) 또한 교회의 資源을 사회봉사 사업에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사회 주민의 欲求에 따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 유관단체들과 협력하여 활동을 전개하므로 주민들의 협동 단결을 誘導하는 것이다. 앞으로의 바램은 지역사회개발을 위하여 교회가 좀 더 바람직한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보다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調査 연구와 事例 연구들을 통하여 지역교회의 특성에 맞는 실천 模型들이 개발되어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교회의 역할을 활발하게 展開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of the present time put spurs to the community developments and also the social services of all the civilian organizations being concerned with this are urgently demanded. Here up on it is my view that at the time when they highly criticize about egotistic activities of the present korean churches we should analyze and criticize all the matters for the itself-activities of korean churches, and also we should prepare the foundations that the community development affairs can be effectively propelled by the churches.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how the korean churches will take part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refore, 1. We should take a good look upon the role and the miss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church in theory, but specially I will examine the role and the mission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showing in the Bible. 2. I have to analyze the actual states how the church has taken part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and I will clarify clearly how much the community development was influenced by the church. 3. I will suggest the development plan as well as I will indicate all the problmes of the korean churches for the community plan, and also I set up the purpose on showing the propriety which it is right that the churches take part in the social services. Therefore this range of study was classified into the 5 chapters with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1) In the chapter 2, I looked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 may clarify the right relations between the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church. 2) In the chapter 3, I have analyzed the realities how the churches had taken part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after the enlightment age of the churches in order to show what kind of the role the churches have to do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and what influence had been given by the churches. 3) In the chapter 4, I had pointed out the problems in order that the future korean churches may be active more positively with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development affairs and also I presented the improvemet plan. It is my desire that the practial models which are suitable to the peculiarity of the regional churche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study of the scientifie and positive research and instance that may be capable of the more neccessary roles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by the churches and acconding to that the church's roles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should be evolvedactively.

      • 지역사회정신보건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실태 조사 : 대전광역시 정신보건관련기관을 중심으로

        박인아 大田大學校 經營行政·社會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정신장애인의 치료가 입원과 수용격리 위주에서 탈시설화, 탈수용화 정책으로 바뀌어 지역사회 복귀 통합으로 전환되면서 정신장애인들은 병원이나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그 위치를 옮기게 되었다. 특히 정신장애인의 인권적인 측면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 정신재활 부분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재 적응을 돕고, 탈수용화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역사회 내 정신보건시설의 확충과 그 역할 그 역할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1995년에는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정신보건법이 제정되어 서울시와 경기도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이 시행되었으며, 대전은 현재 4개의 정신보건센터와 8개의 사회복귀시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 속에 시설확충과 인력양성을 위한 노력이 꾸준히 지속되고는 있지만, 정부의 저 예산 정책과,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련시간이 필요하다는 어려움으로 인해 아직도 사회복귀시설이나 정신보건센터와 같은 지역사회 정신보건시설에서는 소수의 전문가들만이 근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부족한 전문 인력만으로 지역사회정신보건을 활성화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고,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충분한 정신보건전문 인력을 확보하는 것도 불가능하므로 최대한 지역 내에서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점점 높아지는데 비해 복지재원은 한정된 상황에서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효율적이라는 분위기이다. 정신보건센터나 사회복귀시설에서 자원봉사자를 충분히 활용한다면, 현재 지역에 방치되고 있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관리와 치료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가 있고, 의료와 사회복지를 연결시킬 수도 있게 된다. 또 지역주민들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정신장애인은 위험한 사람'이라는 편견을 해소하게 되며, 정신장애인들은 다양한 삶을 살고 있는 많은 자원봉사자들을 접하게 되면서 긍정적 대인관계형성의 기회를 가질 수도 있어 그들의 사회복귀에 좋은 영향을 끼치므로, 사회통합 및 정신장애인들의 자립생활의 촉진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정신보건기관에서 자원봉사 동기, 경험, 교육, 자조모임, 전문인력이 원하는 보상, 자원봉사자들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정도 등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있는 4개의 정신보건센터와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등 정신보건관련기관에서 봉사하는 150명의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 활동 현황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대부분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고, 반 이상이 정신보건관련 기관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대부분이 전공분야 활동과 관련하여 자원봉사에 참여하였거나 이웃에 봉사하기 위하여 자원봉사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의 전문인력 활용현황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전문인력을 활용함과 관련하여 제일 우선 순위로 자원봉사자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응답한 조사대상자의 비율이 약1/3, 전문관리자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항목에 응답한 조사대상자의 비율이 1/3을 차지하였다. 그러므로 응답자의 약 2/3이상이 자원봉사자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관리자를 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의 전문인력 참여현황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많은 수가 봉사활동과 관련한 최소의 지원 및 봉사활동기간의 경력 인정, 봉사활동을 취업과 연계 또는 포상에 반영시켜 주는 데는 매우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봉사활동 시 보험 가입하는 것에 대해서도 대체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유상 자원봉사 제도를 도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선뜻 긍정하지도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봉사활동 시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주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넷째, 자원봉사자의 정신장애인 인식내용과 관련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은 정신치료를 경험한 사람을 친구로 여기고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정상인처럼 신뢰하고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정신병원에 입원한 것을 인생의 실패자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았으며 정신과치료를 받은 사람이 자녀를 돌볼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긍정도 부정도 아닌 식으로 대답하였다. 정신병원에 입원했던 사람들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았으며 정신과 치료를 받은 사람들도 직장을 가질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정신과 치료를 받은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대해 차별을 두고 있지 않았다. 정신과 입원치료 사실을 안 후에도 긍정적으로 존중하고 있었으며 정신질환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약 50%정도만 자원봉사활동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자원봉사자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강구하여야 한다. 둘째, 응답자 중 대부분이 정신보건센터나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시설 등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원봉사자들이 정신보건과 관련된 다양한 기관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원봉사자가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계기를 살펴보면, 기존의 자원봉사자가 소개를 하거나, 친구가 소개하는 경우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더 많은 사람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존의 자원봉사자들에 대해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자원봉사활동의 긍정적인 부분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자원봉사 교육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한번 이하로 교육을 받은 사람의 비율이 60% 이상이었다. 그리고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자원봉사자 교육이 도움이 된다고 한 것을 볼 때, 자원봉사자들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자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섯째, 자원봉사자들이 능력과 적성에 맞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과 자원봉사자 전문 관리자를 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자들은 꼽고 있다. 그러므로 자원봉사자들이 자신의 능력과 적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하여 이에 따른 프로그램에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원봉사자들을 전문적이고 조직적으로 관리하는 사람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조사대상자들은 자원봉사활동에 대해서 최소한의 지원을 해주고 봉사활동 기간을 경력으로 인정해 주며 봉사활동을 취업과 연계시켜 주는 것, 또한 봉사활동을 각종 포상제도에 반영하는 것 등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에 대해서 아주 찬성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하는데 있어서 보상과 관련한 부분을 반영하도록 강구하여야 하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기관 및 시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전국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유의하여야 한다.

      •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혼성적 관계 탐색을 통한 전략연구

        이미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혼성적 관계에서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교육 거버넌스의 역할과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중점요소 및 실행 전략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미술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으로 교육방식이 이동하면서 생기는 현실적이고 관계적인 문제들을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짚어보고,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는 다채로운 보편예술교육 실현을 위해 필요한 중점요소와 실행 전략을 교육 거버넌스의 혼성적 관계 속에서 탐색하였다. 먼저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학교 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관련한 개념들의 사전적 의미 탐색과 더불어 Ulbricht(2005), 김준희(2008), 강주희(2017a), 정민룡(2014), Marche(1998)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의미를 제안하였는데, 그 의미는 ‘학교와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으로 열린 공동체로써 필요한 모두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민주적인 방식으로 사회변화를 위해 참여함으로써 공동체 의식과 삶을 영위하는 방식을 배워나가는 미술교육’으로 정리하였다. 특히 연구의 핵심 개념으로 ‘혼성성’과 ‘복잡계’에 주목하고, 이를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연계하여 그 의미와 원리를 탐색하였다. 혼성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로써 혼성’, ‘새로운 사회질서의 특징으로써 혼성’, ‘사회적 구성 원리로써 혼성’, ‘유연한 틈의 속성으로써 혼성’의 네 가지 측면에서 특성을 제안하였고, 혼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드러내는 복잡계 원리로 ‘자기조직화 원리’, ‘공진화의 원리’, ‘창발의 원리’, ‘순환 고리의 원리’의 네 가지 특성을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관련하여 탐색하였다. 이러한 혼성의 의미와 복잡계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교육 거버넌스 주체인 교육청, 학교, 지역사회, 지자체의 핵심 주체들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교육청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장학사 1명과 교육청과 지자체의 거점센터에서 지역사회 연계 교육을 기획하고 총괄하는 장학사 1명을 면담하였다. 두 번째로 학교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한 교사 2명과 지역사회 연계 교육 관련 협의체에 참여하고 지역자원자료제작을 이끌어 온 관리자 1명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세 번째로 지역사회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교육 협의체에 소속되어 활동 중이고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을 학생들과 진행한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예술가 1명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지역사회 학교에 파견하고 지역사회 연계 미술 수업을 진행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예술 강사 1명을 면담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자체에서는 지자체 유관기관에서 교육청과 지자체의 행정업무를 진행하고 지역사회 연계 교육 업무를 기획 및 총괄하고 있는 기관 센터장 1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면담 이외에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관련하여 협력의 단계에서 각 주체들이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교사, 장학사, 문화예술재단 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 회의에 1회 참여 관찰하였고, 지역의 학부모, 교사, 장학사, 시청 업무 담당자로 구성된 교육혁신지구 마을교육자치회의에 1회 참여 관찰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의 예술가와 지역사회 학생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학교 밖 미술교육의 현장을 직접 관찰하기 위해 지역 예술가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1회 참여관찰 하였다. 이 밖에 연구 참여자와 관련된 사진자료, 보고서, 자료집 및 선행연구 등이 연구에 추가적으로 활용되었다. 혼성적 관계탐색을 위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결과, 교육 거버넌스 주체들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실행 시 고려하고 기대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고, 교육 거버넌스의 주요 역할을 비롯하여 주체 간 불협화음, 엇갈린 목표, 행정적 문제, 혼성된 역할 등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장애물도 파악되었다. 또한 교육 거버넌스 주체들의 접촉 단계에서 서로 대등하지 못한 주체들의 결합과 이해관계의 얽힘으로 인해 교육 거버넌스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히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을 움직이는 교육 거버넌스의 혼성적 관계에 주목하며, 혼성적 관계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실행을 위한 중점요소를 도출하고 주체들의 역할과 기능 및 문제점 등을 탐색하여 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혼성적 관계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중점요소는 개인이나 조직의 잦은 변화에 덜 민감할 수 있는 ‘행정표준과 지원’, 능동적 참여와 협력을 위한 ‘역량과 행위주체성’,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유의미한 교육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과정 구성’, 소외 없는 협력의 과정과 일방적이지 않은 소통을 위한 ‘대등한 협력’, 서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감수성’의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탐색한 전략은 세 가지 측면에서 모색하였는데 첫 번째로 행정적·물리적 지원과 관련한 제도적 측면의 전략, 두 번째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과정 전략, 세 번째로 혼성적 관계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협업과 협력을 위한 환경 조성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중점요소 탐색에서 교육 거버넌스 주체들은 주로 관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요소인 행정표준과 지원, 역량과 행위주체성, 대등한 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한 반면, 교육과정 구성과 지역사회 감수성에 대한 인식은 다른 요소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에 모든 주체들은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순환적 생태를 위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지역사회 감수성에 대한 정서적, 심리적 기반을 확립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도출된 혼성적 관계 탐색을 통해 보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중점요소는 실제적 운영에 필요한 기본요소로 적용 가능하고, 실행전략은 전략과 관련한 사례중심의 후속연구와 정책입안 및 제도정비의 기초자료로써 적용 가능하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이 교육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원활한 관계와 소통 및 참여의 방향으로 진화하고 효율적 실행 구조로 재정비되어 지속성과 가능성을 겸비한 실질적 미술 교육으로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 1920년대 청주의 有志와 지역사회

        이대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청주에서 벌어진 다양한 사회운동을 지역사적 맥락에 따라 살펴보고, 당대 청주의 지역사회운동을 이끌었던 청주 有志의 연원과 활동을 밝히는 것이다. 청주는 한말 도청이 이전되고, 1920년대 경부선을 잇는 청주역이 개통되자 각종 시설과 자원이 밀집되어 충청북도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였다. 이에 따라 발생한 정치·문화·경제적 역량을 토대로 일제시기 청주에서는 지역의 유지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운동이 전개되었다. 당대 지역사회운동을 이끌었던 청주의 유지들은‘전통과 근대의 변용’속에서 나타났다. 조선 후기 청주의 재지 사족과 한말 근대교육‧관직의 경험을 한 인사들이 일제시기 청주의 유지로 활동하며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1920년대 전반기 청주에서 나타난 사회운동의 중심은 교육운동이었다. 읍내에서는 유지 각자가 지향하는 바를 토대로 단체가 수립되었고 단체를 통해 집중된 역량을 토대로 교육운동이 전개되었다. 유지 각자의 성향에 따라 활동의 양상이 다르기도 했으나,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일련의 연대도 존재했다. 청주의 면 지역에서도 지역유지들을 중심으로 주민들의 의식향상과 계몽과 관련하여 교육운동이 전개되었다. 면 지역의 교육운동을 이끌었던 유지들은 대개 조선후기부터 해당 지역에서 거주하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던 세거문중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 전반기 청주 읍내와 면 지역은 단절된 양상을 보였으며 유지들도 각자의 지역에 국한된 활동만을 이어갔다. 1920년대 전반기 청주청년회에서 활동하며 민족주의 성향을 보였던 유지들은 1920년대 후반기에 들어 청주청년회 혁신체제와 신간회 청주지회를 통해 지역사회에서의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두 단체 모두 1920년대 말에 접어들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으며, 그 결과 민족주의 유지들의 역량이 크게 약화되었다. 따라서 청주 읍내는 관변 성향을 보이던 유지들이 지역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해 지역사회의 경직이 시작되었다. 1920년대 후반기 면지역에서는 고령신씨 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산동지역의 사회운동이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이 시기 귀향한 신백우를 중심으로 사회주의에 입각한 지역사회운동들이 연이어 전개되었다. 이러한 활동의 저변에는 산동지역의 특수한 지리적 요건과 전통적으로 지역에서 독자노선을 걸어온 고령신씨 문중의 역사성이 있다. 그러나 산동지역의 역동성도 1930년대에 이르러 고령신씨 문중인사들의 사회운동 이탈로 인해 소멸되었다.

      • 지역사회 노인의 외로움 중재를 위한 비대면 돌봄서비스의 컨텐츠 개발

        최희경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ntents of non-face-to-face care services on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to reduce lonelines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the analysis of perception, needs, and preferences. Methods: Relevant articles were searched from June 11 to 15, 2021 using six databases: Ovid-Medline, Ovid-EMBASE, Cochrane library, KISS, Koreamed, and RISS. Data were independently extracted and evaluated the quaity of selected studies by two authors. The survey on perception, needs, and preferences was conducted on 100 elderly people aged 65 or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from July 15 to August 31, 2021.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contents of non-face-to-face care services that analyze effects and composition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a survey on perception, needs, and preferences. The contents to reduce loneliness of the elderly consist of emotional suppor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measurement including feedback. Expert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which was found to be appropriate. Conclus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contents for developing non-face-to-face care services that reduce loneliness of the elderly and maintain the continuity of car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ervice to which the contents developed by this study is applied.

      • 대도시 인접지역사회개발을 위한 학교의 사회교육적 역할

        안규금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도시 인접 지역사회개발을 위해 각급 학교에서 어떤 사회교육을 전개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광주직할시 인접지역인 전라남도 화순지역 초·중학교 학부모와 교사들이 보는 지역사회개발을 저해하는 요인과 발전과제를 분석하고, 둘째, 화순지역 초·중학교에서 실시하는 사회교육 실태를 파악하며 이들이 요구하는 학교의 사회교육 내용은 무엇이고, 셋째, 화순지역 초·충학교 학부모와 교사들이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사회 교육 요구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넷째, 학교에서 지역사회개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지역사회개발의 저해요인과 발전과제는 빈약한 재정지원과 경제상태,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 부족을 저해요인으로 들고 있었으며, 발전과제는 교육·문화시설의 확충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둘째, 지역사회개발 교육의 실시 실태와 요구는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사회교육이 절대 필요함에 비추어 참여시의 만족도는 대체로 낮았고, 필요한 내용과 실시 시기가 적합했을 때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시기 결정이 참여율을 높이는 첩경이었다. 각급 교육기관에 사회교육 시설이 확충되어야겠으며, 교육은 대화와 토론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법 적용에 힘쓰고, 지도강사는 분야별로 능력있는 교사를 요구했으며, 사회교육 프로그램 작성시는 학부모의 의사를 수렴할 것을 요구했다. 셋째, 지역사회개발 교육의 주요 영역은 직업에 대한 지식과 기술, 교양 강좌, 사회생활 적응에 대한 교육을 요구했다. 넷째, 화순지역의 발전과제와 사회교육의 주요 영역 및 여가선용을 위한 학습내용에 학부모와 교사간에 의의있는 차가 있었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각급 학교에서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사회교육 전개시에는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를 높이도록 힘쓰고, 학부모의 의사를 충분히 반영하여, 알맞은 시기에 학부모가 선호하는 대화와 토론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 투입해야겠다. This thesis studies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s offered by various schools in a rural area which is close to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has mainly fourfold goals: First, it analyzes both the factors which obstruct the community development and targets of development by the standpoint of both teachers and school-parents of primary and middle schools of Wha-Soon area near by Kwang-Ju city. Second, it looks into realities of community education offered by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s of Wha-Soon area, and investigates the programs the schools want to offer. Third, it trie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chool-parents' expectations about community development. Finally, it tries to present the guidelines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education. METHODOLOGY This study divides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s in Wha-Soon area into four geographical region: commercial region, agricultural region, mountainous region, and mining region. Survey questions are distributed to 600 teachers and school-parents, and 546 (91.6%) returned answers are used for this study. In data processing statistical package SPSSPC+ is used. RESULTS 1. Weak financial supports, eocnomic basis of the community,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by the residents are answered as the major hindrances to the community development. Expansion of both educational and culutral facilities are answered to b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2. The degree of satisfaction from actual educations themselves is generally low compared to the eagerness of the residents requiring them, but it increases when both the timing and the subject are relevant. Thus, the timing of the education is important to increase participation rate. Community education facilities should be increased, and dicussions and debates must be used in education. Capable educator is reguired by the residents. Finally, they require their opinion is reflected in the education programs. 3. Major topics of the education asked by the most include knowledges and skills for vocations, general knowledges, adjustment to social life, and commonsenses. 4.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 problems, and both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education. In sum, opinions of community resid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presentation of of various schools to develop community. The educational programs must be offered in relevant time and consisted mainly of discussions.

      • 보육시설의 지역사회서비스 역할에 관한 연구

        이옥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70년대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취업여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사회보육의 욕구가 높아졌다. 이에 대해 정부는 각 시기에 따라 법률과 제도로써 사회보육에 대한 욕구를 아동보육에 대한 정책으로 현실화시켰다 특히 1991년 영유아보육법 제정 이후 10여 년간의 짧은 기간동안 아동보육사업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짧은 기간 동안 양적확충계획('95년∼'97년)은 민간자본의 투자로 이루어져 보육서비스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특히 98년 이후 민간재원으로 확충된 보육시설이 90% 이상을 차지하면서 유치원, 학원 등 유사기관과 아동유치 경쟁을 벌이는 등 보육사업이 시장논리에 의한 상업화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보육시설의 기본적 기능인 사회 안전망으로서 요보호아동에 대한 보육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육서비스의 질의 문제로 보고,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의 대안으로 포괄적 지역사회서비스를 수행하여야한다는 전제에서, 지역사회서비스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 내부요인(보육시설종사자나 시설과 관련된 내용)과 외부요인(주로 정책이나, 제도) 중 외부요인인 국가의 정책과 제도 측면에서 지역 사회서비스 수행과 관련하여 문헌연구를 하고, 설문지를 만들어 조사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으로 보육시설의 종사자들은 대다수가 현재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서비스 역할수행을 해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현재의 보육정책이나 제도로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서비스 역할을 하기가 어렵다고 보는 경우가 더 많으며, 따라서, 보육시설종사자들은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서비스 역할수행을 위해 국가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보육시설의 지역사회서비스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국가의 정책개입이 필요하다고 보고있다. 또한, 보육시설의 지역사회서비스 역할수행을 위해 국가의 정책적 개입이 가장 필요한 부분은 재정, 지역사회서비스 프로그램 보급, 전문 인력의 배치, 교과이수교육 내용 및 자격기준 강화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보육정책은 대부분 위의 내용이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보육시설과 관련하여 가장 큰 문제에 대한 질문에 종사자 처우의 문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시설과다 시설과 국가의 정책, 재정지원 등과 같은 정책적 문제들로 나타났다. 특히, 재정투입을 통해 영아, 장애아, 요보호아동들의 시설 이용에 대한 욕구는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조사 결과에서도 보여지듯 요보호아동 프로그램 보급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시설평가제를 도입하여 보육서비스의 질에 관한 관리 감독을 통해 시설의 난립 및 과다의 문제를 완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육시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사자들의 자격증제도의 도입 및 직급간의 기준을 만들어 조직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여야 하며, 재교육을 강화하고, 무엇보다도 열악한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처우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보육시설이 지역사회서비스 역할을 수행하는데 정책과 제도가 미흡해도 3년 이상의 경력자들의 경우 이하의 경력자들보다 재량권에 의해 지역사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나타나듯 보육전문 인력에 대한 관리 및 지원은 중요한 부분이다. 서비스전달 주체가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전문가로서의 내용과 자긍심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국가의 제도 및 정책 뒤따라야 한다고 볼 수 있다. 국가의 정책개입의 방법은 국가의 재정지원과 관리감독 하에 현재 운영되고 있는 민간재원(확대된 민간시설)을 활용하여 특수보육시설 운영(영아, 장애아, 24시간 운영시설 시간제, 휴일보육, 농어촌시설, 등)등으로 전환, 유도를 통해 보육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특히 요보호아동에게는 공보육을 실시하고 부모에 소득기준을 세분화하여 소득에 따른 아동별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도와 정책의 뒷받침과 보육시설종사자에 대한 사회인식의 변화를 통해 우리의 아이들이 보다 질 높은 보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Owing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in 1970s, women employees were increased, so the demands for the social nurture system rose, too. According to the situation, our government embodied this increasing demands, making proper legislation and the social system every year. Especially for the short period of ten years after the legislation of the Infant-child Nurture Law, our nurture system has highly developed. But the government's attempt to expand the quantity of the facilities depended mainly on a private investment, so this made various problems in the future : In 1998, nurture facilities based on a private investment amounts to 90%, so kindergartens and small academies compete each other, showing rapid commercialization following a market law. So a basic role, aiding children as a social safety device in a miserable situation has been neglected. This study wants to point out the problem of the quality of our nurture system in the above situation. Assuming that our nurture service should achieve the regional social role, I inquired into the exterior cause (we can classify the problem into two causes. First interior fact involves problems about employees or facilities in the nurture system. Second exterior fact is mainly caused by a policy or a system.) I researched exterior facts by the inquiry sheets, studied many literature on the local social role on this and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Generally, many people involved in the nurture service think that the nurture facilities should participate in the local social roles, but present nurture policy and system cannot fulfill the roles, so in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is necessary. Requisite parts of government's intervene are the financial problem, diffusion of the program on the local social rol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education about the curriculum, the strengthening of the standard of the qualification, and so on. Recent policy is very feeble to meet the demands. Many answers of the employees asked about the Current major problems in the nurture system, primarily point out the policy problems such as the overinvestment in large numbers, government's policy, and finance, except the problem of the improvement of their position. First of all, financial investments on the facilities looking after infants, handicapped children, children in special care.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s the needs of the spreading the program for the children in special car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ppraising Facility System, we could reduce the flooded or excess facilities. And for the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nurture employees, certification system is needed and job classification, for offering systematic service. We ought to reinforce the re-education, and first of all, we have to improve the teacher's inferior surroundings and positions. In the circumstances that the nurture facilities can not accomplish the local social service, employees served for three years more can give the more powerful service at their discretion than the people engaged under three years. Like this, the management and the support for th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are very essential point. When a subject carries out a service, the government should help one to fulfill the service with a professional contents and privacy, backing the national system and political policy. Government should lead the current private financial resources(enlarged private facilities), which are under the government's loan, management and supervisor, to manage a characteristic nurture facilities such as infants, handicapped children, part-time facilities during all day, facilities for holidays, for fishing villages, or for farm villages and so on, Government should lead them to achieving the public role, guiding them to convert the managing direction, especially lead them to educate children in special care. The authorities should classify the children's parents' income more precisely and should increase the support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These systems, policies backing, and changes of the perception about the employees of the nurture facilities will help our children to receive higher nurture service in our world.

      • 종합병원 의료사회복지사의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 활동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유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general hospital medical social workers, of connecting discharged patients with integrated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of communities, as the scope of medical social workers’ consultation on discharged planning is expanded into communities owing to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care. Using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medical social workers who worked for general hospitals for at least three years.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with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14 sub categories: (ⅰ)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care project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onnecting discharged patients to community; (ⅱ) the increased importance of connecting discharged patients to community led to confusion and difficulties for medical social workers; (ⅲ) success factor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patients with health, medical, and welfare institutions of communities; and (ⅳ) the objectives of medical social workers came to be reviewed. Amid a paradigm shift in health and medical environment, this study made a few suggestions about the objectives of medical social workers and the efficient connection of discharged patients to integrated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in commun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케어의 추진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퇴원계획 상담의 범위가 지역사회로 확대됨에 따라, 종합병원 의료사회복지사의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 활동에서의 보건・의료・복지 서비스를 통합 연계하는 경험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에 의도적 표집과 눈덩이 표집을 활용하여 종합병원에 최소 3년 이상 재직 중인 의료사회복지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면담의 자료는 일반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커뮤니티케어 사업의 도입으로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 활동의 중요성이 확대됨’, ‘의료사회복지사의 퇴원환자 지역사회연계 활동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혼란과 어려움이 발생함’, ‘지역사회 보건・의료・복지 기관과의 연계 경험을 통해 성공요인을 발견함’, ‘의료사회복지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시 생각하게 됨’과 같은 4개의 범주와 14개의 하위범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라는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의료사회복지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퇴원환자를 위한 원활한 지역사회의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의 통합 연계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함께 언급하였다.

      • 지역사회조직화(Community Organizing)의 실천사례에 관한 연구 : 관악사회복지의 네트�p과 소집단 활동을 중심으로

        한재랑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지역사회조직화 실천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조직화의 과정과 목표를 살펴보았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조직화는 단기적으로 '문제의 해결'과 '조직형성'목표가, 장기적으로 '개인의 역량강화'와 '지역사회 역량강화'가 달성되는 것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사례는 '주민운동'의 역사적 관점을 갖고 '복지'를 주제로 지역사회조직화전략을 활용한 것이다. 기존에 지역사회복지 실천에 관한 연구가 사회복지서비스와 기관을 평가하는 단절적인 연구인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조직화의 전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역동적인 연구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조직화 전략활용의 강점과 중요성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세가지로 구성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조직화의 단기 목표로 '문제의 해결'과 '조직형성' 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두 가지 목표는 지역사회조직화가 이루어지기 위한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목표달성 과정을 통해 조직화 전략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지역사회조직화의 장기목표로 '개인과 지역사회의 역량강화 수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역사회조직화에 참여한 주민들의 역량강화 내용과 수준을 개인과 지역사회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다. 셋째, 사례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사회복지 실천에 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조직화 실천방법과 적용의 정책적 함의를 서술하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내용을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을 통해 개별적인 문제가 아닌 공동의 문제로 이슈화될 때 효과적으로 해결된다는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 조직화는 조직형성을 통해 문제해결 구조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p과 소집단 조직형성 사례를 분석하였다. 네트�p을 통한 조직형성은 푸드뱅크운동(Food-Bank)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긴급한 문제에 개입할 때 적합하며 참여자의 다양한 욕구가 상호교환 되며 특히, 기존의 다양한 지역사회 자원활용을 통해 조직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또 소집단을 통한 조직화 사례로 청소년소집단을 분석한 결과 소집단활동은 공통의 욕구를 가진 문제와 또래 집단을 조직화 할 때 적합한 조직형성사례이다. 셋째, 지역사회조직화는 그 과정에서 개인의 잠재력이 발휘되고 지역사회 역량이 강화된다는 것이다. 조직화과정은 주민들이 이전에 발휘하지 못한 능력을 발휘하면서 조직내에서 인정과 지지를 받게되면서 자기효용감이 증가하고 가치와 태도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주민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의식이 향상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개인수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역량강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조직화 과정을 통해 조직과 구성원들을 이끌어 가는 토착지도력(local leaderships)이 개발되었으며, 주민리더 발굴과 지도력 향상은 지역사회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 지역사회조직화는 지역사회 환경변화에 영향력을 갖게되고 구성원들 또한 사회에 대한 책임감이 향상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사회정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의 목적과 부합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사례분석 결과가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함의를 살펴 보고자한다. 첫째,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조직화 전략은 문제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구조를 유지시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적극적 개입이 중단되었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자치적인 구조를 생성시키는 유용한 전략이라는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 다양한 주민들의 잠재력 개발과 참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이 활용되어야 하다는 점이다.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지역사회 주민의 문제해결능력과 역량강화는 궁극적 목적이다.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누구나 도움을 받을 뿐 아니라 도움을 줄 수 있고 이 사회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조직화는 그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역량을 개발하도록 하는 전략이라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셋째, 주민지도자 발굴 및 지도력 개발을 위해 지역사회조직화 전략이 활용되어야 한다. 주민지도자 발굴은 지역사회지도력을 향상시키며 지역사회영향력을 발휘하고 역량강화를 실현할 수 있는 토대로서 이를 통해 조직은 민주적이고 자치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process of community organizing and its objectives through a case of community organizing work of the Organization of Kwanak Community Welfare. The study showed that community organizing work achieves the goals of 'problem solving' and 'community building' at its early stage and in the long run, the goals of 'personal empowerment' and 'community empowerment'.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community organization movement' in the area, the case I have dealt with adopts the issue of 'welfare' for community organizing strategy. While other studies in this field have mainl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organizations and their services, this paper tries to analyse the dynamic process of community organizing and thus, it reveals the importance and strength of the approach.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At first, I discuss the process and objectives of 'problem solving' and 'community building' as the short-term goals of community organization. The two objectives, especially are the essential stage for community organizing work and the process to achieve these goals presents some specific methods which can be used in practice. Secondly, I examine the long-term goals of 'personal and community empowerment'. Here, I analyze the contents and levels of people's empowerment in community organizing work by distinguishing those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And finally, from the findings of my study, I derive some sugges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in practical methods and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organizing work. Through the study described above, I summarize my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problems in the community can be more effectively solved when they become an issue as a commonly-felt problem through the community organizing strategy. Second, community building works to maintain the problem solving system in the practice of community organizing. This paper analyzed the cases of networking and small groups activities. As the Food-Bank case shows, networking serves not only in handling an urgent problem but also in interacting various needs of the participants. It is more effective when the network is based on the existing community resources. The youth group activity gives the evidence that a small group is a useful method for peer-group building and for achieving common needs. Third, Individuals develop their potential and the community empowered in the process of community organizing. During the community building processes, people discovered their latent abilities. Having recognitions and supports from others, they experienced the change of value and attitude as well as the feeling of self-respect. I observed that this change in result made people more active in their problem solving.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process affected community empowerment by developing local leadership. It is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problem solving skills of the community to have local leaders and improve their leaderships. Moreover, people gain the power to influence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community as well as rais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We can conclude that this result corresponds to the ultimate goal of social welfare for social justice. I'd like to take some implications in the practice of community organizing for conclusion. First of all, community organizing strategy has its strength on maintaining the community's problem solving system. It is a useful strategy for building a self-governing community in which people can solve their problems even in the absence of active intervention of the social workers. Next, community organizing strategy should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people's potential and encouraging their participation. The ultimate goal of the community organization is the achievement of people's empowerment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people can help themselves and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society into a better place. The point that the community organizing strategy is the very method for people'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And the last, community organizing strategy should be utilized for training local leaders and their leadership. Local leaders training can improve their local leadership, their influence to the community, and through the leaderships, the community can be a democratic and autonomous society.

      • 지방정부 독거노인의 지역사회보호서비스에 관한 연구 : 충남논산시를 중심으로

        심윤무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감사의 글> “사회복지사는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 심고, 메마른 곳에 사랑을 심고, 미래가 없는 곳에 꿈을 심으며, 사람들이 인생의 길을 잃고 방황할 때 한 장의 지도가 되어 자신을 한없이 펼쳐주는 사람이다.” 2004년 4월 공직에 입문한 뒤로 “행복한 세상을 열어갈” 사회복지사의 길을 가르쳐 주었으며 인생의 선배가 되어 부족한 저를 쓸모 있는 그릇으로 만들어 나가는 과정 중에 있게 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논문의 처음부터 끝까지 세심하고 꼼꼼한 지도와 인간미 넘치는 배려로 함께 해 주신 한형수 교수님, 학부시절부터 줄곧 사회복지일꾼으로 나아가게끔 철학과 가치관을 심어주신 영원한 은사님이신 하승민 교수님, 합리적이고 통찰력 있는 안목으로 논문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주신 김주일 교수님 · 정혜숙 교수님, 강의와 연구로 바쁘신 와중에서도 여러모로 도움을 주신 유지원 선생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본 연구의 조사과정에 도움을 주신 사회복지직 선배님, 후배님들, “난 그런거 몰라”하며 설레설레 손사래를 치면서도 기꺼이 설문에 응해주신 논산시 어르신들께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도 학업을 계속 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정신적 스승이 되어주신 논산시장 임성규 시장님을 비롯하여 서울시 노원구 전병달 계장님· 전창현 선배님, 논산시 김남오 면장님· 윤여항 면장님· 이상진 면장님· 이정휘 계장님 · 이종유 계장님· 김병호 계장님· 민경일 계장님 서현희 사회복지사· 박민경 사회복지사와 저로 인한 불편한 사항들이 많았으리라 생각되는데도 이해하고 협력해 주신 동료직원 여러분들께도 감사드립니다. “사탕복지사”의 1인브랜드를 향한 열정으로 공부에 전념할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해준 우리가족, 자식으로 생각하시고 “아들아, 아들아” 하시며 저에게 많은 사랑을 주신 혜영이 부모님 그리고 사랑하는 연인 황혜영에게 표현할 수 없는 마음을 다해 고마움을 전하고 이 논문을 바칩니다. <국문초록) 지방정부 독거노인의 지역사회보호 서비스 에 관한 연구 - 충남 논산시를 중심으로 - 성 명 : 심 윤 무 지도교수 : 한 형 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와 더불어 핵가족화 및 자녀출산의 감소와 여성의 사회진출의 증가로 인해 가족내의 노인에 대한 부양기능이 축소되었으며, 노인부양에 대한 가치관도 변화하여 노인단독세대가 급증하고 있다. 논산시와 같은 농촌지역은 청장년층의 이농현상으로 자녀와 떨어져 사는 독거노인세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족의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능력의 결함이 있는 농촌노인들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는 벼랑끝에 몰리어 삶을 비관하거나, 비보호속에서 방치되어 있는 경우가 생겨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이에 지역사회보호 서비스인 사회적자원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충남 논산지역 독거노인에 대한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실태를 파악하여 독거노인이 지역사회내에서 안전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지역사회보호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독거노인들의 지역사회보호를 통해 독거노인을 보호함과 동시에 생활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연구에는, 첫째, 지방정부 노인문제와 욕구, 선진국의 지역사회보호서비스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독거노인의 생활실태와 생활환경, 그리고 독거노인들에게 실시되는 사회복지 서비스를 파악한다. 셋째, 논산시 행정자료를 기초로 하여 논산시의 지역적 특성, 노인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논산시의 독거노인 지역사회보호기관을 통한 구체적인 서비스제공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섯째, 이를 바탕으로 지방정부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논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충남 논산시 독거노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총 15개 행정동 중 읍·면·동 분포별로는 동지역 2개소 20명, 읍지역 2개소 20명, 면지역 11개소 11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조사하였고, 이중 면접도중 조사를 거부한 경우와 무성의 하거나 무응답인 경우를 제외한 16부를 제외하고 134명의 사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지방정부 독거노인의 지역사회보호서비스에 관한 연구에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통계적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처리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ver.13.0)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로 전체적인 응답경향과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ucy analysis)를 실시하여 전체항목의 빈도, 퍼센트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독거노인의 홀로된 연령 및 원인, 독거노인의 주거실태, 독거노인의 경제 및 건강상태,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서비스, 필요시 서비스 수혜 못 받은 원인 등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독거노인의 경우 초등학교이하의 무학력이 가장 많았으며 좁은 평수에서 최저생계비이하의 생계비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서비스조사에는 의료서비스, 신체적서비스, 경제·사회·심리서비스, 교육·문화·오락서비스로 나누어 조사하였는데 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도 분석에서 높은 수치가 나온 것으로 보아 어르신들의 특성상 건강상태의 불편을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의료서비스는 제일 많이 받은 서비스가 무료 암검진 서비스이며 제일 적게 받은 서비스는 치매 상담서비스이것으로 나타났다. 필요도 역시 치매상담서비스와 건강교실이 낮은 수치를 보여 상담이나 예방적 차원보다는 실질적인 의료혜택을 선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신체적서비스는 자원봉사단체가 자원봉사하고 있는 이미용서비스 및 목욕서비스의 경우가 수혜경험이 많았으며 재가보호시설 중 단기보호시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의 수혜경험이 적은 것은 소재한 지역의 일부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논산시의 경우는 가정봉사원파견시설이 1개소만 있는 것이 욕구가 표현된 클라이언트는 많으나 서비스를 제공할 기관이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경제·사회심리 서비스는 식사배달서비스, 급식서비스, 전화 안부확인서비스가 수혜경험이 많았으며 취업서비스와 부업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수혜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문화·오락서비스는 노인관광·야유회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교활동 지원서비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필요도에서 수혜경험과 비례하여 가장 필요하고 종교지원서비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필요시서비스수혜를 못 받은 원인은 전체 응답자의 많은 수가 도움을 받고 싶어도 어느 기관에서 어떠한 도움을 주고 있는지를 제대로 모르고 있어 서비스 수혜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종류는 적지만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독거노인들이 적절한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분석을 토대로 독거노인 지역사회보호서비스 개선 및 활성화방안에 대한 ??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서비스확충 및 전달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서비스내용의 다양화 및 자원의 활용이 중요하다. 셋째,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지역사회자원간 연계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서비스 제공기관간 다양한 서비스 모델의 개발과 역할 분담이 이루어 져야 한다. 이상에서 지방정부 독거노인들의 지역사회보호서비스 욕구는 높은 반면 수혜경험은 낮은 것으 로 나타났다. 홀로 가정을 꾸리고 사시는 독거노인들은 고립과 고독, 경제적 빈곤, 역할상실, 질병 등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을 위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등과 같은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전문적인 실천기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독거노인의 지역사회보호서비스에 미치는 변인들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알아내어 독거노인들에게 안전하고 문화적인 지역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다가오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독거노인의 생활욕구에 적절하고 다양한 서비스 개발과 대책들이 강구되어야 하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하여 보다 많은 독거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중심어 : 지역사회보호서비스, 독거노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