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영어의 시제 및 시상 지도방안 : 과거, 현재완료와 과거완료를 중심으로

        이미희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n English tense and aspect, especially the three forms such as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Korean students feel much difficulty in learning English tense and aspect system. Particularly, it is difficult to learn the usage of the three forms such as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because the forms all deal with the past event and state and they are not formally distinguished in Korean. Recently English education in Korea focuses on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fluency and accuracy. Due to this trend, the values of English grammar education are underestimated in schools. However, grammar still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glish acquisition and learning. Among the various grammatical categories, tense and aspect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difficult topics for Korean students,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tense and aspect systems. Furthermore, teachers' teaching stresses on the verbal forms of different tenses or aspects. This study deals with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only, which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forms and meanings. An English writing test was conducted with 100 highschool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well Korean students recognize the concepts of English tense and aspect and how correctly they use the forms of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The results and the analyses of the test are given in Chapter 3. In Chapter 4 some effective teaching methods on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test result. M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learn the different usages of various English tenses and aspects on the whole. In English classes, however, students are taught to just memorize the verbal forms of different tenses and aspects without understanding of their meanings and concepts, and to treat tense and aspect as the same grammatical categories. It makes them confused in distinguishing the forms. Second, it is necessary to take a semantic approach in teaching tenses and aspects rather than to emphasize their grammatical usage. For example, the form of hypothetical past shows past tense form, but it expresses what is contrary to the belief or expectation of the speaker in the present. Meaning and form should be distinguished in teaching and learning tenses and aspects. Third, to satisfy the purpose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o cultivate students' well-balanced 4 language skills,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class activities on English tense and aspect, using the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Such activities as writing a diary or writing about some topics in English are recommendable in classes. Teachers should also try to develop their own teaching skills to help students to distinguish English tenses and aspects and to elevate their production ability on past, present perfect and past perfect. Although the recent English education aims at develop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built on the foundation of grammar.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의 시제와 시상에서 한국의 학생들이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과거, 현재완료 및 과거완료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요즈음 영어 교육은 유창성과 정확성을 바탕으로 한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문법 교육의 가치를 낮아지게 하지만 영어를 습득하고 학습하는데 있어 문법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문법은 한국인 학생들에게 중요하면서도 역시 어려운 부분이다. 그 중에서 시제나 시상은 우리 학생들이 제대로 학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크다. 그 이유는 영어의 시제와 시상체계가 우리말과는 다르고, 교사들 역시 상황이나 의미보다는 형태에 주로 의존하는 설명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형태와 의미가 비슷하여 학생들이 자주 혼동하는 과거, 현재완료 및 과거완료로 연구 범위를 제한하였다. 우리 학생들이 영어의 시제와 시상의 개념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과거, 현재완료 및 과거완료를 사용하는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 보기 위해서 경상남도 마산시에 있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영어 작문 능력을 조사하였다.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과거, 현재완료 및 과거완료에 관한 지도방안을 각각 3장과 4장에서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영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 사항인 시제와 시상을 상호 구분하여 그 개념을 먼저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시제와 시상에 대한 이해 없이 학생들에게 동사의 굴절형태만을 암기하게 하고 시제와 시상을 같은 문법 범주로 다루어 지도하고 있다. 이것은 학생들에게 혼동을 가져다 줄뿐이다. 그래서 영어의 시제와 시상의 개념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시제와 시상을 지도하는데 있어 형태 중심으로 문법적인 접근을 하기보다는 상황이나 의미에 바탕을 둔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가설적 과거(hypothetical past)는 과거시제의 형태를 보여주지만 현재 화자의 믿음이나 기대와는 반대되는 것을 표현한다. 셋째, 시제나 시상 문제와 함께, 제 7차 교육과정의 목적에 부합하고 언어의 4기능을 균형 있게 지도하기 위해서 듣기와 말하기를 위한 시청각 자료, 일기 쓰기나 적절한 주제를 통한 영작, 그리고 소설이나 신문기사를 이용한 읽기 등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여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부여를 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영어 교육이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목적을 두고 있지만, 의사소통은 문법을 밑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문법 사항에 대해서는 잘 이해를 하도록 교육을 해야 한다. 이 본문에서 다룬 것처럼 시제와 시상을 구별하고 과거, 현재완료 및 과거완료에 관한 사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영어사용능력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 Franz Peter Schubert의 「Arpeggione Sonata in a minor, D.821」반주 연구

        이미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슈베르트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는 초기 낭만파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가곡뿐만 아니라 실내악에 있어서도 음악사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그는 19세기 실내악의 최고 작품들의 작곡가들 중 고전적 전통의 작곡가로서 두드러진다. 어릴 적 그의 다양한 악기에 대한 습득과 중, 저음 악기에 대한 선호는 실내악 분야에 수작을 낳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하려고 하는 곡은 지금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기타와 첼로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 악기로써, '아르페지오네(Arpeggione)'라는 고(古)악기를 위해 Schubert가 1824년에 작곡한 「아르페지오 소나타 a단조 (Arpeggione Sonata in a minor, D.821」이다. 이 작품은 1824년 11월에 쓰여졌으나, 첫 번째 출판은 그의 사후인 1871년에 이루어졌다. 이 곡은 오늘날에는 바이올린, 비올라, 클라리넷, 첼로, 또는 플륫 등으로 아르페지오네 대신 편곡되어 연주되고 있다. 지금은 현존하지 않은 이 아르페지오네라는 악기는 첼로 크기의 활로 연주하는 중·저음 악기였고, 악기의 크기로 보아 이 작품은 비교적 첼로 또는 비올라로 연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 곡은 전체 3악장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제1악장은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제 2악장은 복합 2부 형식, 제 3악장은 론도 소나타 형식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소나타는 고전주의 형식을 바탕으로 하여 초기 낭만주의적 요소(낭만적 화음과 선율)를 잘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르페지오네 소나타에서 나타난 슈베르트의 생애와 작품경향, 아르페지오 소나타의 이론적 배경을 위해서 그 당시의 시대 상황과 악기로써의 아르페지오네, 악장별 분석 등을 고찰하여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작품의 화성적 분석이나 구성적인 면보다는 이 소나타가 표출하고자 하는 슈베르트의 음악적인 특징과 함께 솔로 파트와 피아노의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오늘날 연주되고 있는 대체 악기들과 피아노 반주의 실질적인 연주에 반영되고자 한다.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as an exponent of the Romantic period, he composed not only more than 600 songs, but also significant chamber masterpieces. In particular of all 19th century prominent chamber composers he exploited the classical tradition. His chamber masterpieces reflect early studies on a variety of instruments, including piano, violin, and viola, and penchant for low-register instruments. In this thesis, of all the chamber works, Sonata in A minor D.821, "Arpeggione Sonata" is focused on. Schubert composed this sonata for the Arpeggione in 1824 which is not in existence at present. Although this was written in November 1824, it was first published in 1871 posthumously, with an optional cello part. After short appearance, this instrument was vanished. With a freer transcription, violin, cello, viola, flute, and clarinet can play this sonata as alternative to arpeggione. The arpeggione is bowed and mid-low register instrument. Compared with the size, cello or viola would be suitable to arpeggione's alternative. This sonata exploited three-movement scheme. The first movement is sonata form with its tuneful melody, and the second movement is binary form. Lastly, the third movement is sonata-rondo form. Such as, this sonata represents both the classical sonata form and romantic lyricism. This thesis discusses on the style of this composition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rpeggione. Furthermore, analyz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iano and various alternative instruments presents appropriate interpretations in performance.

      • 실종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 디자인 개발

        이미희 동덕여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Development of New Child Safety Harness Bag Designs for the Prevention of Missing Children and Safety Accidents in Korea Advisor : Prof. Hyon-sook Choy, Ph.D Mi-hee Lee Fashion Design Major The immaturity of children within the age bracket of 1 to 6 years old in many aspects prompts immediate real-time support and attention, and thus primary responsibility for the prevention of children from going missing or falling into accidents is upon the primary caregivers. These toddlers and pre-schoolers, being in a transitional period of developing their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linguistic capabilities whilst cultivating independency from their caregivers,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getting lost and being accident-prone. These toddlers and pre-schoolers who are 1 to 6 years old are referred to as "young children" in this study as a focus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stipulated in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missing children and cold cases have seen a sharp increase. These incidents of disappearance incur social costs and psychological trauma for caregivers and the missing children, and the community as a whole. To prevent such accidents, systematic measures at the national level such as a precautionary fingerprint registration system are being devised, and various missing child prevention products are on the market. Accidents involving young children are on the rise as well. This is due to the exposure of children to hazardous environments, gross negligence on the part of caretakers, and other such related factors. Preventive care for young children against accidents must be realized by improving the outdoor environment, strengthening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and utilizing various safety products for young children. In this context, "Child Harness" products are being used by caregivers in developed nations to guard against disappearances and accidents; these items are marketed in Korea under the name of “Lost Child Prevention Straps.” Despite the advantages of having control over young children and heightened safety, by keeping the children close by to their caretakers and away from dangerous situations, many Koreans still hold the negative view that using such straps gives the appearance of young children being treated as mere pets. To address this cultural bias issue, "Missing Child Prevention Bags" have been marketed. Although they are more fashionable and free from prejudicial views than harnesses, in terms of functionality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low reliability in contingencies since these bags do not stay close to the body. However, these two products do have significance as preventive risk management, compared to ex post facto countermeasures to accident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develop “New Child Safety Harness Bag Designs for Korean Caregivers” which synthesizes the pros of both safety harnesses and bags, and supplementing their cons by combining the designs of both products.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consists of literature research and related surveys, along with the firsthand 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subsequent designs. The proposed “New Child Safety Harness Bag Designs for Korean Caregivers” utilize a child safety strap passed through a fashionable bag, and unlike ordinary bags the shoulder straps are not attached to the bag itself but are connected and fastened to the child’s body. Furthermore, snap buttons on the back of the fashion bag provides easier connection between the bag and the harness strap. In terms of functionality, the new designs feature similar performance levels in providing sufficient proximity to young children compared to conventional harnesses. In terms of design, the proposed designs are similar to typical lost child prevention bags, and therefore can be used without appearing to be “leashing” young children. Also, the straps and fashion bag can be interchangeable and customized according to taste. The strength of the proposed designs and their various aspects lie in their marketability; they target the maternity and child-care market, which is a profitable growth segment. Also, the flexibility of customized designs give a sense of personal satisfaction to users, concerning the growing popularity of "Do/Design-It-Yourself", or DIY products. A survey was conducted both to reconfirm the need for the proposed “New Child Safety Harness Bag Designs for Korean Caregivers” and to determine caregivers’ preference for details in desig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caregivers are wary of possible child disappearance and accidents and they likewise expressed great interest in prevention, thus generating considerably large demand for related products. As expected, however, a number of respondents showed the negative bias that such products treat children like pets. In this sense, utilization preference for the proposed new designs have a bigger ratio than those of the existing strap harnesses and bags. For design functionality, Korean caregivers showed the strongest preference for the “two strap type” in terms of wearable form, the “buckle type” method for fixed wearing, and “elastic straps” for strap type. For design detail, “popular character designs” and “animal figure designs” on a background of primary colors were preferred, while natural fibers were the material of choice. By synthetically applying all of the survey results, it was decided that the prototype for the “Korean-style Bag Design for Preventing Missing Children” was to be a fashionable bag with "two elastic straps", which could be fixed with "buckles". After consultation with industry experts in bag manufacture, the final details for realizing both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in the second research designs were implemented; First, the holes for the bag straps were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consider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young children and caregivers. Second, strategically placed shoulder pads would both improve functional wearing sensations and lessen the "child-on-a-leash" image for the bag. Based on the second research designs, eight sets of “New Child Safety Harness Bag Designs for Korean Caregivers” were developed and manufactured for this study. The overall concept of these designs was expressed as “DodamDodam,” which is Korean for “grow up healthy and well without any troubles.” Caregivers aged 30 to 39 years were selected as the main target, while those in their 20s and 40s and in the “Eight Pockets” segment were chosen as sub-targets. An active, trendy, and casual style, which utilized the colors shown to be preferred by both caregivers and young children, was selected to approach the target groups effectively. Based on survey results and market research on children's toy sales, the main design themes of the fashionable bags utilized four sets of popular characters and four types of animals; Elsa, To-Bot, Tayo, and Larva were selected for character design, while the four sets of animal figures consist of lion, bear, tiger, and rabbit. These designs were projected on the material of choice, natural cotton. For Design I “Frozen” and Design II “Larva,” egg-shaped bags were created with an emphasis on the characters, while Design III “Tayo” and Design IV “To-Bot” expressed trendy, casual, and active emotions through pattered designs. Design V “Lion” and Design VI “Asian Black Bear” were developed based on animal figure imagery, and the focus was placed on expressing cute and kind-looking characters with which young children could feel comfortable intimacy. Design VII “Tiger” and Design VIII “Rabbit”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imal; vivid jungle stripes for the tiger, pointy ears and fluffy tail for the rabbi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within its expected contributions to the prevention of young children going missing and getting involved in accidents. It is also anticipated to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in the development of fashionable safety products for young children. 실종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한국형 미아방지가방 디자인 개발 지도교수 최 현 숙 패션디자인 전공 이 미 희 영유아는 아직 미숙한 점이 많아 양육자의 돌봄과 관심이 필수적이며, 영유아의 실종 및 안전사고는 양육자에게 일차적인 책임이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를 「영유아보육법」에서의 정의를 차용하여 만 1세〜만 6세의 아동으로 규정하였다. 영유아는 운동·인지·정서·언어 등의 발달특성상 양육자에게 의존하는 존재에서 독립적인 존재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실종 및 안전사고에 매우 취약한 시기이다. 실제로, 실종사고 발생건수와 실종 후 미 발견 건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실종사고는 실종아동 자신 뿐 아니라 양육자, 사회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을 야기한다. 이러한 실종사고에 대처하기 위해 지문사전 등록제 등 국가차원의 제도적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미아방지용품들이 유통되고 있다. 안전사고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영유아 안전사고는 영유아를 둘러싼 환경이 안전사고에 취약하거나 안전불감증 및 양육자 부주의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외환경을 개선하고 안전교육을 강화해야 하며, 다양한 영유아 안전용품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선진국의 양육자들은 실종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차일드 하네스(Child Harness)’라는 용품을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미아방지 끈’으로 불리며 일부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아이의 몸에 밀착되어 위험상황에서 양육자가 아이를 충분히 제어할 수 있고 높은 안전성을 갖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이를 애완견 취급한다는 부정적 시선 때문에 우리나라 정서상 맞지 않다는 결정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미아방지 가방은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패션성을 높일 수 있는 반면, 가방이 몸에 밀착 되지 않아 돌발상황에서 제어력이 불완전해 안전사고 예방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제품은 사고 이후 대처가 아닌 예방수단이라는 중요한 기능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미아방지 끈과 미아방지 가방의 디자인을 결합하여 각각의 장점은 모두 유지하면서 단점은 보완한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디자인을 직접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제안한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 디자인’은 미아방지 끈을 패션가방에 통과시킨 형태의 디자인으로, 여기서 사용되는 패션가방은 일반적인 가방과 달리 그 자체에 어깨끈이 부착되지 않고 미아방지 끈 부분의 등 패드를 통해 아이의 몸에 연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패션가방 뒷부분에 스냅단추를 달아 패션 가방과 미아방지 끈 부분과의 연결이 용이하다.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은 기능적 측면에서 미아방지 끈과 같이 우수하고 충분한 밀착력을 가진다.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마치 일반적인 미아방지 가방을 사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정서 속에서도 부담감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패션액세서리로 사용가능할 뿐 아니라, 기호에 따라 패션가방과 미아방지 끈 부분을 분리하여 자유로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케팅적 측면에서는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육아용품’ 중에서도 ‘아이의 안전’을 위한 제품이라는 측면에서 강점을 가지며, 미아방지 끈 부분과 패션가방을 사용자 기호에 맞게 직접 코디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한 것과 같은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마케팅 전략이 가능하다. 제안한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 디자인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세부 디자인에 대한 양육자들의 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양육자들은 실종 및 안전사고의 발생에 대한 불안감을 매우 크게 느끼고 있었으며, 예방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았다. 이에 따라 미아방지 끈과 미아방지 가방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예상했던 바와 같이 미아방지 끈에 대해서는 ‘애완동물 같아서’ 부정적이라는 의견도 상당수 제시되었다. 특히,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에 대해서는 기존의 미아방지 끈 및 가방보다 활용 희망도가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세부디자인에 대해 양육자들은 착용형태는 ‘두줄형’을, 착용 시 고정방식은 ‘버클형’을, 끈 종류는 ‘탄력끈’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패션가방 디자인에 대해서는 ‘인기 캐릭터 디자인’과 ‘동물형상화 디자인’을 선호하였으며, 패션가방의 색상은 ‘옐로우’, 색상계열별로는 ‘레드계열’, ‘옐로우계열’, ‘블루계열’을 선호하였다. 패션가방의 소재는 천연섬유가 가장 선호되었다. 이러한 양육자 선호조사 결과를 모두 반영하여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의 착용형태는 ‘두줄형’, 착용 시 고정방식은 ‘버클형’, 끈 종류는 ‘탄력끈’으로 결정하였으며, 가방제작 전문가와 토의하여 양육자와 영유아의 신장차이를 감안하여 끈이 가방을 통과해서 나오는 구멍의 위치를 가방 위쪽으로 결정하였다. 또한, 착용감을 제고하고, 심미적으로도 미아방지 끈의 느낌이 적게 나도록 착용부에 어깨패드를 추가하여 2차 연구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2차 연구 디자인을 바탕으로 총 8세트의 ‘한국형 미아방지 가방’ 디자인을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한국형 미아방지가방 디자인’의 콘셉트는 ‘별 탈 없이 건강하게 잘 자라나라’는 뜻의 순 우리말인 ‘Dodam Dodam’으로 하였으며, 30세〜39세의 양육자들을 메인타깃으로 선정하고 20대, 40대, 에잇포켓을 서브타깃으로 선정하였다. 타깃층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 액티브하고 트렌디하며 캐주얼한 스타일을 구현하기로 하였으며, 컬러는 설문조사에서 양육자들이 선호한 컬러와 자료 조사를 통해 확인한 영유아가 선호하는 컬러를 조합하여 구성하였다. 소재는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면으로 선정하였으며, 패션가방 디자인 주제는 어린이 캐릭터 완구 판매량 등을 분석하여 엘사, 또봇, 타요, 라바 등 인기캐릭터 디자인 4세트와 사자, 곰, 호랑이, 토끼 등 동물형상화 디자인 4세트를 선정하였다. 디자인 Ⅰ ‘겨울왕국’과 디자인 Ⅱ ‘라바’의 경우 캐릭터를 포인트로 주어 계란형 가방을 디자인 하였으며, 디자인 Ⅲ ‘타요’와 디자인 Ⅳ ‘또봇’의 경우 캐릭터를 패턴화하여 트렌디하면서도 캐주얼하고 액티브한 감성을 표현하였다. 동물형상화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을 한 디자인 Ⅴ ‘사자’와 디자인 Ⅵ ‘반달가슴곰’의 경우, 영유아가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착하고 귀엽게 디자인하는데 중점을 두었고, 디자인 Ⅶ ‘호랑이’와 디자인 Ⅷ ‘토끼’의 경우 호랑이 무늬와 토끼 귀·꼬리를 포인트로 하여 디자인을 완성하고 제작하였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 영유아 실종 및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영유아 패션산업 및 안전용품 발전에 있어서도 가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Channel layer로서 IZO를 이용한 Thin Film Transistors의 제작과 동작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미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투명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층으로서 투명 산화물반도체를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투명 산화물반도체는 넓은 에너지 밴드갭을 갖기 때문에 가시광 영역에서 우수한 투과도를 나타내며, 주위 환경에 대해 안정적이고 기존의 실리콘 채널층보다 높은 전계효과 이동도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산화물반도체 중의 하나인 Indium Zinc Oxide (IZO)를 채널층으로 적용하여 상온에서 RF magnetron sputtering 방법으로 성장한 후, 투명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작하고, 그 동작특성을 평가하였다. RF magnetron Sputtering으로 성장된 IZO 박막의 표면거칠기는 ~3 Å, 비저항은 ~103 Ω·㎝로써 박막트랜지스터에서 채널층으로 적용하기에 우수한 특성을 얻었다. IZO 박막트랜지스터는 SiO2/Si 기판을 이용하여 채널층의 박막 두께와 폭/너비 비율 (W/L ratio)에 변화를 주어 제작하였다. IZO 박막트랜지스터는 공핍형 모드 특성을 나타냈다. 이 박막트랜지스터를 분석한 결과, W/L ratio가 320/20이고, 채널층의 두께가 150 nm일 때, 전계효과 이동도와 Vth, on/off 전류비는 각각 2.5 cm2/V·s, (-) 8 V, 2.43 x 106으로 채널층의 두께가 50 nm에 비해 우수한 동작 특성을 나타냈다. 채널층의 두께가 50 nm에서 150nm로 증가할수록 on/off 전류비는 ~ 105 에서 ~ 106 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산화물반도체의 전하농도가 산소공공에 의해 결정되고, 박막 두께에 따라 전체 전하량이 결정되어 문턱 전압, on/off 전류비등이 소자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설명 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IZO를 채널층으로 이용한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고,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로 더욱더 우수한 특성을 갖는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ransparent oxide semiconductors (TOS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to apply it to a channel layer of transparent thin film transistors (TTFTs). TOSs have many advantages compared to silicon or organic semiconductors. TOSs are transparent in the region of visible wavelength due to their large energy bandgap and have environmental stability with a high field-effect mobility compared to the polycrystalline silicon.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realize a high - mobility IZO TFT using RF magnetron sputtering at room-temperature.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he film thickness, width/length (W/L) ratio, and annealing treat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IZO TFTs. According to the film thickness and W/L ratio, the fabricated IZO-TFTs exhibit depletion-mode behavior. The IZO-TFT exhibits a field - effect mobility of 2.5 cm²/V·s, a threshold voltage of (-)8 V, and the on/off current ratio of 2.43 x 10^(6), when the W/L ratio was 320/20 and the channel thickness was 150 nm. The on/off ratio was increased from 10^(5) to 10^(6) with the increase in the channel layer thickness from 50 nm to 150nm. In conclusions, we successfully fabricated the TFTs by using IZO expecting the improvement in the device performances with further researches.

      • 포항시 피부관리실 이용고객의 피부관리 부위와 재이용에 관한 연구

        이미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포항지역 피부 관리실 이용 고객의 피부 관리 부위와 재이용에 관한 연구로서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객들로 하여금 효율적인 피부관리실 이용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피부관리실의 일반적분석을 통하여 피부관리실 이용고객의 피부 관리 부위와 재이용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포항시내에 분포하는 피부관리실을 다니고 있는 고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고객의 연령대는 40대의 연령이 25.7%로 가장 많았으며, 고졸 35.2% 여성이 88.3% 가장 압도적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향후 피부관리실의 고객마케팅과 관리운영에 있어 특정한 연령대와 성별에 기초한 서비스제공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경우 특히 관련 정보의 획득은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되는 정보취득방법과는 달리 지인의 권유가 43.8%로 나타났으며 지인을 통하여 피부관리실을 선택하고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피부관리실의 고객들에 대한 정보제공에 있어서 시사점이 있다. 셋째, 피부관리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일반적인 이용형태와 피부관리 특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대체로 특정한 부위의 피부관리를 위하여 일반적인 관리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거주지와 가까운 주변지역의 피부관리실을 이용한다가 39.1%로 나타나고 또한 몇 가지 경우에서는 개인별 성향과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실 이용형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고객마케팅에 있어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피부관리실 선호에 대한 차이검증의 경우 직업을 제외한 성별, 연령, 학력, 결혼여부, 월소득에 따라 선호하는 피부관리실의 위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인구사회학적인 변수에 따라 정보획득경로의 차이에 있어서 연령, 학력, 결혼여부, 월소득, 직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bout skin care parts and reuse intentions of skin care shop users in Poha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efficient plan for use of skin care shops, and some ways to figure out skin care parts of the skin care shop using customers and seek some measures to induce their intention to reuse the shops based on general analysis of skin care shops. The survey was taken to the customers who went to skin care shops distributed in Pohang, and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ere conducted for each i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ge groups that use skin care shops, the 40s accounted for 25.7% and registering the greatest weight, high-school graduates were 35.2%, and women were 88.3%, which was overwhelm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service should be provided based on certain ages and genders when preparing customer marketing and management operation in the future. Second, among the customers who use skin care shops, 43.8% of them obtained the related information not b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s which were largely applied but by the advice of acquaintances; they chose and used skin care shops through acquaintances. Such results also have implications in providing information on customers of skin care shops in the future. Third, in the result of the general use patterns and skin car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using skin care shops, it was found that they mostly prefer general method to care specific parts body parts, and especially 39.1% of the customers used the shops located surrounding area close to their residences. Also in a several case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use patterns of skin care shops regarding personal orientations and characteristics, implying that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is needed in the future customer marketing. Fourth, in testing the differences on preference of skin care sho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difference of locations of skin care shops regarding genders, ages, education, marriage status and monthly income, except for occupation. Fifth, in the difference of the route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demographic variables, ages, education, marriage status, monthly incomes and occupa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체험 영역 지도를 위한 Worksheet 제안

        이미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체험 영역의 지도는 학습자가 주변 세계에서 체험을 통해 지각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것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자신과 주변 세계에 대한 지각과 소통의 과정은 학습자의 미적 감수성을 풍부하게 해준다. 따라서 미술의 시작이라고도 할 수 있는 주변 환경과 시각문화에 대한 관심과 미적 안목을 학습자에게 길러주는 것은 초등학교 미술 지도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07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거쳐 오면서 이전에 비해 미적 체험 및 체험 영역의 지도를 위한 안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험 활동을 통해 학생의 미적 감수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수·학습 역량을 모든 교사가 지녔다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또한 학교 밖에서 체험 활동을 할 경우 시간적 제약으로 생략되는 경우도 있으며, 교재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생략되거나, 표현 또는 감상 영역에서 잠깐 소개하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보다 확실한 체험 영역의 지도를 위하여, 또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과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배포되기 전 지금의 이 시점에서 국가 교육과정의 체험 영역에서 강조하는 학습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에서는 Worksheet 형태로 이를 제시하였다. 교수자와 학습자의 양방향 학습을 쉽게 도와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수업 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Worksheet라고 할 수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초등학교 5, 6학년용 미술과 교과서가 검정 체제로 개발됨에 따라 교사는 총 6종의 교과서 속에서 자신만의 교수·학습에 적합한 Worksheet를 확보하는 것에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미술과 지도에 어려움을 부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체험 영역의 지도를 돕기 위하여 2007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체험 영역의 Worksheet를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또한 지각과 소통으로 구성된 체험 영역의 지도를 위하여 고학년에 Worksheet가 상대적으로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5, 6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개발된 Worksheet는 교사가 체험 영역의 지도를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적인 교재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이 현장에 실시되기 전 보다 풍부한 교육 내용을 제공해줄 수 있는 하나의 자료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혼성적 관계 탐색을 통한 전략연구

        이미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혼성적 관계에서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교육 거버넌스의 역할과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중점요소 및 실행 전략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미술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으로 교육방식이 이동하면서 생기는 현실적이고 관계적인 문제들을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짚어보고,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는 다채로운 보편예술교육 실현을 위해 필요한 중점요소와 실행 전략을 교육 거버넌스의 혼성적 관계 속에서 탐색하였다. 먼저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학교 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관련한 개념들의 사전적 의미 탐색과 더불어 Ulbricht(2005), 김준희(2008), 강주희(2017a), 정민룡(2014), Marche(1998)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의미를 제안하였는데, 그 의미는 ‘학교와 지역사회를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으로 열린 공동체로써 필요한 모두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민주적인 방식으로 사회변화를 위해 참여함으로써 공동체 의식과 삶을 영위하는 방식을 배워나가는 미술교육’으로 정리하였다. 특히 연구의 핵심 개념으로 ‘혼성성’과 ‘복잡계’에 주목하고, 이를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연계하여 그 의미와 원리를 탐색하였다. 혼성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로써 혼성’, ‘새로운 사회질서의 특징으로써 혼성’, ‘사회적 구성 원리로써 혼성’, ‘유연한 틈의 속성으로써 혼성’의 네 가지 측면에서 특성을 제안하였고, 혼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드러내는 복잡계 원리로 ‘자기조직화 원리’, ‘공진화의 원리’, ‘창발의 원리’, ‘순환 고리의 원리’의 네 가지 특성을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관련하여 탐색하였다. 이러한 혼성의 의미와 복잡계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교육 거버넌스 주체인 교육청, 학교, 지역사회, 지자체의 핵심 주체들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로 교육청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장학사 1명과 교육청과 지자체의 거점센터에서 지역사회 연계 교육을 기획하고 총괄하는 장학사 1명을 면담하였다. 두 번째로 학교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한 교사 2명과 지역사회 연계 교육 관련 협의체에 참여하고 지역자원자료제작을 이끌어 온 관리자 1명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세 번째로 지역사회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교육 협의체에 소속되어 활동 중이고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을 학생들과 진행한 경험이 있는 지역사회 예술가 1명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지역사회 학교에 파견하고 지역사회 연계 미술 수업을 진행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예술 강사 1명을 면담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자체에서는 지자체 유관기관에서 교육청과 지자체의 행정업무를 진행하고 지역사회 연계 교육 업무를 기획 및 총괄하고 있는 기관 센터장 1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면담 이외에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과 관련하여 협력의 단계에서 각 주체들이 고려하는 것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교사, 장학사, 문화예술재단 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 회의에 1회 참여 관찰하였고, 지역의 학부모, 교사, 장학사, 시청 업무 담당자로 구성된 교육혁신지구 마을교육자치회의에 1회 참여 관찰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의 예술가와 지역사회 학생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학교 밖 미술교육의 현장을 직접 관찰하기 위해 지역 예술가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1회 참여관찰 하였다. 이 밖에 연구 참여자와 관련된 사진자료, 보고서, 자료집 및 선행연구 등이 연구에 추가적으로 활용되었다. 혼성적 관계탐색을 위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결과, 교육 거버넌스 주체들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실행 시 고려하고 기대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고, 교육 거버넌스의 주요 역할을 비롯하여 주체 간 불협화음, 엇갈린 목표, 행정적 문제, 혼성된 역할 등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장애물도 파악되었다. 또한 교육 거버넌스 주체들의 접촉 단계에서 서로 대등하지 못한 주체들의 결합과 이해관계의 얽힘으로 인해 교육 거버넌스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특히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을 움직이는 교육 거버넌스의 혼성적 관계에 주목하며, 혼성적 관계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실행을 위한 중점요소를 도출하고 주체들의 역할과 기능 및 문제점 등을 탐색하여 교육 거버넌스를 위한 실행전략을 제안하였다. 혼성적 관계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중점요소는 개인이나 조직의 잦은 변화에 덜 민감할 수 있는 ‘행정표준과 지원’, 능동적 참여와 협력을 위한 ‘역량과 행위주체성’,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유의미한 교육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과정 구성’, 소외 없는 협력의 과정과 일방적이지 않은 소통을 위한 ‘대등한 협력’, 서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감수성’의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탐색한 전략은 세 가지 측면에서 모색하였는데 첫 번째로 행정적·물리적 지원과 관련한 제도적 측면의 전략, 두 번째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과정 전략, 세 번째로 혼성적 관계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협업과 협력을 위한 환경 조성 전략으로 제안하였다. 중점요소 탐색에서 교육 거버넌스 주체들은 주로 관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요소인 행정표준과 지원, 역량과 행위주체성, 대등한 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한 반면, 교육과정 구성과 지역사회 감수성에 대한 인식은 다른 요소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에 모든 주체들은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순환적 생태를 위해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지역사회 감수성에 대한 정서적, 심리적 기반을 확립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도출된 혼성적 관계 탐색을 통해 보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중점요소는 실제적 운영에 필요한 기본요소로 적용 가능하고, 실행전략은 전략과 관련한 사례중심의 후속연구와 정책입안 및 제도정비의 기초자료로써 적용 가능하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이 교육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원활한 관계와 소통 및 참여의 방향으로 진화하고 효율적 실행 구조로 재정비되어 지속성과 가능성을 겸비한 실질적 미술 교육으로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