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즉흥극을 활용한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초등학교 3학년 동화 제재를 대상으로

        박미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this study is to find teaching method that can raise learner's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fairy tale education. It is tried to design a fairy tale teaching method focusing on learners' initiative activities using improvisation,one ofthe educational theater techniques. Educational theater is a way of teaching that is done throug learner's direct activity. Learners express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Therefore, appreciation fairy tale using educational theater method stimulates learners' aesthetic imagination, gives chance to share feelings ofcharacters in fairy tale and raises insightinto life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Among various methods of educational theater, improvisation is a play consists ofimprovisatory expression activities of participants. Creative expression based on variety of thoughts is the basis for fairy tale education using improvisation which isvery effectivein raising variety of expression sand class participation. This study adapted teaching method using improvisation tofairy tale classin the Korean text book of Grade 3. First of all, this study looked into theories on fairy tale education and improvis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fairy tale education and improvisation. This study set teaching principle of improvisation based on those theories as well as activities necessary for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fairy tale teaching for each level of studying thatcan be used in fairy tale education. Based on the preceding discussions, this study designed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improvisation that can be adapted to Grade 3 fairy tale education and adapted four level teaching-learning model,'searching-forming-sharing-iternalization'. In conclusion, fairy tale education using improvisation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lead learner initiative activity. Learners can experience, feel and think content of fairy tale through improvisation. This century isa creative thinking focused era. Fairy tale education using improvisation that respect learners' various ways. Therefore, fairy tal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s education that can fulfill students, intellectual desire as well as aesthetic imagination. Fairy tale teaching met- hod using improvisation should be used to develop student's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fairy tale education. 문학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개별 문학 작품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그 결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창조적 학습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 연극은 활동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상상력과 창의력이 바탕이 된 세계를 만들 수 있다. 교육 연극적 방법으로 문학 영역의 동화를 감상하는 활동은 학습자의 심미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등장인물에 대해 공감하는 기회를 주며 그 과정을 통해 삶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줄 수 있다. 특히 어린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교육적 효용성이 높아 국어과 읽기 교재로 많이 쓰이는 동화제재는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말이나 인물의 행동을 뚜렷하게 묘사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극화하기가 쉽다. 따라서 교육 연극적 방법으로 동화를 감상하는 활동은 학습자의 심미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등장인물에 대해 공감하는 기회를 주며 그 과정을 통해 삶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 줄 수 있다. 교육연극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 즉흥극은 극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즉흥적인 표현활동으로 이루어지는 극이다. 즉흥극을 활용한 동화교육은 다양한 사고에 근거한 창의적 표현이 근간이 되며 표현의 다양성과 수업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국어 교과의 동화 수업 시간에 즉흥극을 활용한 지도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동화교육과 즉흥극의 관계를 살펴보고 동화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즉흥극 활동과 동화지도를 위한 단계별 활동을 설정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 동화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즉흥극을 활용한 ‘이해하기-구성하기-체험하기-공감하기’의 4단계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실제 수업에서 적용하였다. 이해하기 단계에서는 동화를 읽고 내용을 파악하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구성하기 단계에서는 학습목표에 맞는 즉흥극을 만드는 단계이다. 체험하기 단계에서는 구성하기 단계에서 만들어진 즉흥극을 발표하는 단계이다. 공감하기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발표한 내용을 정리하고 의미를 재구성하며 동화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단계이다. 동화교육에서 즉흥극을 활용한 지도방법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은 즉흥극을 활용한 동화 수업에서 동화 이해능력이 신장될 수 있다. 학생들은 동화 속의 내용을 직접 몸으로 표현하고, 인물이 되어서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면서 동화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인물의 삶이나 동화의 주제에 대해서도 깊이 이해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둘째, 학생들은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언어와 행동으로 표현하는 활동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더 나아가 자신의 생각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동화교육에서 즉흥극을 활용한 지도 방법은 학습자의 주도적인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학생들은 즉흥극을 통해 동화 속의 내용을 직접 체험하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다. 창의적 사고가 중심이 되는 현시대에 학습자들의 다양한 반응을 존중하는 즉흥극을 활용한 동화지도는 학생들에게 다양하게 사고하고 체험하는 기회를 줄 수 있다. 따라서 동화교육은 보다 다양한 시도를 통해 학생들의 지적 욕구와 심미적 상상력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이에 즉흥극을 활용한 동화지도 방법이 동화교육에서 학생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수업의 지도방안이 되길 바란다.

      • 재즈(Jazz)의 특징적 음악 요소를 활용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연구

        이지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생이 음악의 주체자, 창조자가 되어 능동적인 음악활동을 도모할 수 있는 즉흥연주는 작곡과 연주가 결합된 형태로 음악적 아이디어가 악보를 통하지 않고 바로 악기나 목소리, 신체 등의 표현수단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 자신만의 음악적 의도에 따른 독창적인 음악 창조 활동을 함으로 음악적 성취감을 맞보게 한다는 점에서 음악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다. 최근 고시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음악과 선택 과목인 '음악 실기'에서는 음악 연주 능력의 증진을 원하는 학생을 그 대상으로 다양한 악기, 매체, 장르 등의 '다양한 음악적 소재를 활용한 즉흥표현'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고등학교 10학년부터 '대중음악'이 그 교육과정 내용에 포함된 것으로 보아 앞으로의 음악교육은 대중음악의 음악 사회적, 음악 교육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고 보다 다양한 장르와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들을 폭넓게 수용하고 이를 교육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점차 적용하려는 노력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양한 음악적 소재를 활용한 즉흥연주 지도 방안'을 위해 대중음악적 특징을 갖으면서도, 그 나름대로의 음악적, 예술적 토대와 체계를 갖춘 음악 장르를 물색한 결과 재즈(Jazz)를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장르로서 판단하였다. 재즈는 연주자의 창조성에 의한 '즉흥연주'가 주된 음악적 특징이며, 서구 유럽의 음악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점에서 그 뿌리가 예술음악에 있고 예술음악의 체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반면, 나름대로의 음악적 개성과 심미, 예술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예술음악을 비롯하여 대중음악의 전반에 재즈의 특징적 음악 요소가 차용되어 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의 귀에 익숙한 리듬과 선율을 중심으로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구안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쉽게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즈의 특징적 음악요소를 활용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첫째, 즉흥연주 및 재즈에 관련된 문헌과 자료를 통해 재즈의 특징 및 역사에 관해 조사하고, 기존 교과서 및 2007 개정 교육과정 분석과 재즈의 음악 교육적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재즈의 특징적 음악요소를 크게 블루스, 리듬, 화성, 즉흥성의 4가지로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음악실기' 수업을 통해 음악에 흥미와 재능이 있으며 음악 연주능력의 증진을 원하는 고등학교 11, 12 학년을 대상으로 '재즈의 특징적 음악 요소를 활용한 피아노 즉흥연주 지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적용할 교사와 학습자들을 위한 실제적이며 단계적인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단계적이며 연계적인 지도를 모색하고자 즉흥연주 과정을 크게 리듬중심, 선율중심, 화성중심 즉흥연주의 3 과정으로 나누어 '탐색-안내된 모방-변형-즉흥연주-재적용'의 5 단계에 따른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구안하였으며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단계는 중심개념의 특성을 반영하는 악곡을 선정하여 감상을 통해 중심요소를 인식하는 활동 및 재즈의 특징적 음악요소를 어떠한 원리에 의해 표현하는가를 탐색하는 단계이다. 둘째, 안내된 모방단계는 중심개념 학습 및 모방연주과정을 통해 중심개념을 음악적으로 구성, 조직하는 원리를 학습하는 단계이다. 셋째, 변형단계는 탐색과 안내된 모방단계의 학습을 토대로 학습자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최초로 반영하여 짧은 악구를 변형해보는 단계이다. 넷째, 즉흥연주 단계는 교사가 제시하는 일련의 절차에 따라 8마디의 기존의 악곡을 탐색 - 모방 - 변형의 과정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즉흥연주 하도록 한다. 다섯째, 재적용 단계는 4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이해하고 학습한 음악 경험에 비추어 다른 악곡에 그대로 적용해 보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체계적이며 계열적인 즉흥연주 학습단계를 거쳐 재즈의 특징적 음악요소를 자신의 음악어법으로 활용함으로 능동적이며 창의적인 즉흥연주를 도모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가 앞으로의 음악교육에서 대중음악이나 재즈의 음악적 요소를 즉흥연주 및 창작 수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음악교사를 위한 실제적이며 체계적인 지도방안이 되길 바란다. Improvisation is a combined form of composition and performance, which puts students in a more active and creative position when doing musical activities. It means direct expression of ideas by voice, instrument, body, or other methods, without the mediation of score. Improvisation is highly educational in that it encourages students to create unique music with their own intention, leading to a better sense of achievement. 'Practical Technique of Music,' an optional music education course in recently revised 2007 National Curriculum, includes 'improvised expression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instrument, medium, and genre)' for those who want to improve performance capacity. Furthermore, since 10th grade high school curriculum now includes 'popular music,' we can expect ongoing efforts to admit social and educational influence of popular music, cover wider selection of genres from various culture, and gradually apply these in a desired way. Therefore, I looked for a genre that has some traits of popular music while also maintaining artistic fundamentals with an organized system. Jazz seem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genre. Jazz is well known for its 'improvisation' which depends on the performer's creativeness. It is rooted in art music and stays in the boundary of art music because it is chiefly influenced by European musical culture. However, jazz also shows distinctive individuality and aesthetic value in its own way. Furthermore, since popular music as well as art music in many cases borrows several characteristics of jazz style, it would be easier to arouse student's interest, if familiar melodies or rhythms are used in the guiding plan for improvisation learning. Therefore, to serve the objective of suggesting a guiding method for learning how to improvis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jazz include several factors. First,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jazz are investiga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s and other resources. Also, existing textbooks as well as the new National Curriculum are analyzed, and the importance of jazz in music education is measured. Second, five distinctive factors of jazz are presented: blues, rhythm, melody, harmony, and improvisation. Third, I searched for an actual and gradual guiding method that will help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11th or 12th grade who show talents and genuine interest in music and want to enhance their capacity through the 'Practical Technique of Music' class, focusing on 'piano improvisation guide using unique factors of jazz.' To build a gradual and interconnected guidance, the process of improvisation is divided into rhythm focused, melody focused, harmony focused steps, and guidance method. These are then devised according to five steps: searching, guided imitation, transformation, improvisation, and reapplication. Each step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step of searching, Students have to select a piece that reflects a central idea and listen to it to identify the main factor and to perceive the way the piece expresses the distinctive factors of jazz. Second, the guided imitation step involves learning of the central idea and playing after the original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organizing ideas. Third, the transformation step is where the students applies their own musical ideas and modify a short phrase for the first time. Fourth, in the improvisation step, students perform an improvisation of an eight measure piece according to a series of procedure,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 preceding steps. Fifth, the reapplication step is where the students use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from the former step to repeat the same process with another piece. Therefore, I searched for a strategy which encourages students to make use of musical factors of jazz as their own musical diction by going through a systemic and gradual learning process, thus promoting training of active and creative improvisations. I hope this study will provide an practical and organized guiding method for those teachers who wish to employ properties of jazz or popular music in their improvisation or composition classes.

      • 즉흥극을 활용한 초등학습자 발표 불안 감소 방안 연구

        정지수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연구자가 맡은 초등 저학년 학생들이 발표 불안을 겪고 있는 것과 즉흥극 활동 때에는 적극적으로 발표하는 대조적인 모습에 의문을 제기하며 시작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학생들이 발표를 힘들어하는 까닭을 발표 불안 요인과 연관 지어 분석하고, 발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써 즉흥극을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즉흥극이 갖는 특성들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표 불안 해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수립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흥극을 활용한 발표 불안 감소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둘째, 즉흥극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습자 발표 불안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연극과 즉흥극의 개념 및 발표 불안의 개념과 원인, 해소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후 발표 불안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즉흥극의 특성을 적용하여 16차시 즉흥극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발표 불안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설문을 양적 분석하였으며 교사의 참여 관찰 일지, 매 차시 활동지, 면담 자료를 활용해 질적 분석을 진행했다. 발표 불안 감소를 위한 즉흥극 프로그램 실행 후,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즉흥극은 발표 불안이 높은 학생들에게서 더 큰 효과가 있다. 연구 초 발표 불안이 높았던 상위 8명 학생의 발표 불안 감소 정도가 발표 불안(중),(하)인 학생들보다 컸으며, 이는 즉흥극이 발표 불안이 높은 학생들에게 적용되었을 때 더 큰 변화를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즉흥극은 학생들의 친밀도를 높여준다. 학생들은 함께 몸을 움직이고, 이야기를 만들고, 미션을 수행하면서 함께 하는 공동체 의식과 안정감을 느끼게 된다. 셋째, 즉흥극은 학생들에게 발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준다. 발표는 어렵고 힘든 것이 아니라 놀이처럼 재미있게 할 수 있다는 인식을 즉흥극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넷째, 즉흥극은 자신감을 향상한다. 꾸준한 발표, 내 발표에 반응해주는 친구들,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친구들의 칭찬과 격려는 자기가 가치 있는 존재이며 나도 잘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준다.

      •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선호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 것이다. 프로그램을 위한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에 소재한 S대학교 현대무용 전공자 1학년으로 즉흥무용경험이 적은 학생 1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 프로그램을 6주에 걸쳐 주 2회씩 90분간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무용표현능력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업 중 느끼는 변화에 대한 세밀한 탐색을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자기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 대한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의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를 비교 분석 한 결과, 하위요인인 독창성, 구성력, 유창성, 다양성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무용표현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창작활동을 하고 있는 안무가와 무용수들에게 청각적 자극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활용된다면, 주제에 맞는 표현과 독창적이고, 다양한 움직임 발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창작에 대한 두려움과 표현능력의 소극적인 태도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연극연출에 있어서 즉흥연기의 활용방안 연구

        최영재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극을 무대에 올리기 위한 여러 과정 중에서 연습은 그 어떤 과정보다도 중요한 과정이다. 연습을 통해 연출자는 배우들이 자신의 역할에 더욱 빠져들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날그날의 연습에서 공연을 위한 장면을 창조해야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출가는 주어져있는 한정된 연습시간동안 배우들의 능력을 최대한 키워야한다. 이를 위해 연출가는 다양한 방법들로 연습의 계획을 세밀하게 세워야 한다. 연출자는 연습과정 중 한계에 부딪히는 또는, 자신의 표현력에 대해 답답해하는 연기자들에게 적절한 지시를 주어야한다. 연기자 역시 자신의 역할을 소화하기 위해 상상력, 창의력, 집중력 등이 발달되어 있어야 하고, 깨어있어야 한다. 또한, 연기자는 대본에 제시된 대사나 상황뿐 아니라, 연출자가 던져주는 지시를 표현해야한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은 강압적이거나, 일방적이어서는 안 된다. 연기는 무엇보다 하나의 복합적인 활동이므로, 일상에서 극단적 중압감에 시달리고 있을지라도 일상적 문제들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이렇게 연출과 배우가 서로 신뢰를 바탕으로 맞닿아 있게 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즉흥이다. 본 연구자는 즉흥연기가 연출자에게는 자신의 의도를 정확히 배우들에게 인식시키고, 장면을 연출하는데 있어 거부감 없이 자유롭게 하고, 배우에게는 인물 구축을 하는데 있어 효율적으로 접근시키고, 다양한 표현을 하도록 하는데 있어 그 활용성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본고에서 즉흥연기에 대해 연구된 대표적인 이론을 고찰하고, 즉흥연기의 다양한 훈련법들을 활용해 연출한 워크숍작품들을 제시하였다. 우선, 이론의 고찰에서는 즉흥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즉흥연기의 훈련을 체계화한 스타니슬랍스키의 ‘에뛰드’, 리 스트라스버그의 ‘감각훈련’, 비올라 스폴린의 ‘연극게임’의 이론들을 설명하였고, 이들이 제시한 다양한 훈련들 중 본 연구자가 실제 연출에 활용한 것들을 본고에서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출자는 워크숍을 통해 즉흥연기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강력발기당>에서는 리허설과정에서 인물구축을 위한 즉흥연기의 활용성을 제시하였고,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서는 즉흥연기를 활용해 문학을 희곡으로 각색하였으며, 이렇게 각색된 대본을 텍스트로 하여 장면연출을 위해 오브제와 음악들을 이용한 즉흥연기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즉흥연기는 연출자와 연기자 모두에게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었다. 연출자에게는 배우들에게 빠른 시간 안에 연출의 의도를 설명할 수 있었고, 창의적인 표현을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었으며, 배우들의 개성을 빠른 시간 안에 끌어 낼 수 있었다. 나아가 하나의 텍스트를 가지고 다양하게 각색하고 이를 창의적인 공연으로 재창조할 수 있었다. 연기자에게는 자신의 주변상황에 대한 관찰력을 높이고, 작품을 빠른 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었고, 집중력을 향상시켰으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 생동감 있는 캐릭터를 창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출자가 연극을 무대에 올리는데 필요한 다양한 과정들 중 극히 일부분에 한정되는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연극을 연출하는데 있어서는 본 연구외의 다른 환경적 부분들로 크게 좌우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대한 기계가 작은 나사하나의 불량으로 작동이 멈추어지는 것처럼, 본 연구에서 연구한 즉흥연기의 활용방안은 비록 작은 부분에 속하지만, 그 위력은 작품전체에 미치게 될 것이다. 아무쪼록 본연구가 연극이라는 예술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Among the various processes to perform a play on a stage, practice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The director need to hep actors to fall more deep into their characters because scenes for the performance need to be created in the practice of each day. In addition, the director needs to improve the ability of actors in maximum within the limited practice time. For this, the director needs to establish a practice plan in detail with various methods. The directors need to provide adequate directions to actors who encounter their limits or are worried about their expression ability during practice. Actors also have to have developed imagination, creativity and concentration and need to be open-minded in order to digest their role. In addition, actors need to express not only the lines or situations presented in the script but also need to express orders given by the director. However, such process must not be forcible or in one way. Since acting is most of all a composite activity, although an actor might be suffering from extreme circumstances he/she needs to get free from those everyday problems. Improvisation is a method which enables directing and actors to be com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ased on trust. Thus the researcher has focused on the utilization ability of improvision namely enabling improvision to make actors accurately recognize the intention of directors and make directors feel free when directing a scene from a director's point of view. From an actor's point of view, the researcher concentrates on enabling improvision to make actors approach the characters efficiently and show various expressions. For such objective the researcher has studied the representative theories researched on improvision and suggested workshop plays directed through various improvision training methods. First of all, in studying theories,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improvision and explains Stanislavski's "Etude", Lee Strasberg's "Training sense' and Viola Spolin's "Play game" which systemizes training of improvision. In addition, among the various training suggested by them, the training which was actually used in directing were researched in the research.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uggests various utilization methods of improvision through a work shop. In <Ganglyukbalgidang> the researcher suggests the utilization ability of improvision in establishing a character during a rehearsal and in <Sorrows of Young Werther> the researcher suggests utilization methods of improvision using obese and music for scene directing having adapted literature as a play using improvision and using such play as a text. As a result, improvision can be utilized by both the director and actors in various ways. The Director was able to explain their intention to actors in a short time, suggest in various ways creative expressions and pull o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ctors in a short time. In addition, with one text, the director was able to adapt it in various ways and recreate them to a creative play. Actors were able to increase their observation capacity about their surroundings, understand the work in a short time, improve concentration and create a lively character by developing imagination and creativity. It it true that this research is limited to a very small part of the many processes required for a director to put a play on a stage because directing plays are dependant on other environmental aspects other than this research. However, as a large machine stops operating due to a default in a small nut, improvision utilization method studied in this research will have an influence on the whole work despite that it forms only a small part. By all means, the researchers hopes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broadly in the creation process of art, a play.

      • 창의적 표현능력 신장을 위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윤진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로 대변되는 21세기 교육은 강한 창의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음악교육에서 이러한 창의적인 음악성의 발달을 위해 학생들이 음악 속에서 상상력을 키우도록 하는 기회를 주고, 또한 학생들이 상상한 것, 생각하는 것, 느끼는 것 등을 음악적인 표현 수단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해보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즉흥연주는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음악에 대하여 미리 계획을 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자신의 음악적 아이디어가 매개체(악보)를 통하지 않고 바로 악기나 목소리로 표현되는 것으로 어떠한 활동보다도 어린이들 음악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창조적인 표현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스스로 음악적 개념들을 탐색하고 발견하며 이를 음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창의적인 표현능력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실제 음악 수업에 활용 가능한 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육에서의 창의성의 중요성을 여러 문헌들을 통해 살펴보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즉흥연주의 의의, 필요성, 교육적 가치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현대 음악교육에서 즉흥연주와 관련된 제 논의를 오르프, 달크로즈,코다이, MMCP, CMP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7차 교육과정에 명시된 즉흥연주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초등학교 5학년 음악과 교재분석을 통해 즉흥연주 관련 지도 내용을 조사해 보고 이를 근거로 실제 음악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즉흥연주 지도방안과 수업안을 구안하였다. 수업안의 주요내용으로는 리듬문답하기, 노랫말에 어울리는 리듬과 가락만들어 연주하기, 가락패턴을 모방·변형하기, 리듬과 가락 오스티나토 및 보르둔을 이용한 즉흥반주하기, 4/4 박자 겹리듬 만들어 연주하기, 장단을 즉흥적으로 변화시켜 이어치기, 이야기 즉흥극 만들기, 계속되는 느낌의 가락과 끝나는 느낌의 가락을 즉흥적으로 표현하기 등이다. 즉흥연주는 어떠한 활동보다도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표현이 허용될 수 있고, 악보에 얽매이지 않음으로써 기보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도 부담감 없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다. 즉흥연주를 통해 학생들이 음악수업을 통해 상상력을 키우도록 기회를 주고 또한 학생들이 상상한 것, 생각하는 것, 느끼는 것 등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면 아이들의 창의적인 표현능력은 더욱 더 신장될 수 있다. 즉흥연주는 음악수업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며, 교실 수업에서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계속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Due to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technology, diversity characterized in 21st century, education is reinventing itself to meet new expectations like creativity Students have a chance to expand creativity through music education by imagining, thinking, and feeling with musical tools. Improvisation performance is to improvise without any preparation. It is the most helpful for children to understand musical concepts intuitively and to enlarge expressive creativity compared to any other activities. This is primarily because improvisation is conducted through musical instruments or voice to convey musical idea without any vehicles like score. A sample of 5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iscover teaching guidelines on improvisation based on songs from music textbooks that could be applied in class environment. The research is to help children expand expressive creativity independently from the process of inquiring, finding musical concepts, and converting into musical sou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music education was examined from literatures on the subject. Importance,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s of improvising performance were studied to reach a program to improve creativity. Secondly, methods of Orff, Jaques-Dalcroze, Kodaly, 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 (MMCP), and Comprehensive Musicianship Program (CMP) related to improvising performance in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were evaluated. Improvisation related contents lis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were examined as well. Thirdly, improvising teaching guidelines and program that could be applied in class environment were devised based on existing teaching guidelines of improvising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f music textbooks for fifth grade. The music program is composed of rhythm dialogue, creating new rhythm and melody to go with a story, imitating and transforming a melody pattern, use of an ostinato pattern, the bordun, making a double-4/4 pattern, connecting within improvising up beats and down beats, music story improvisation, improvising a mode with continuous feeling with a mode of ending feeling. Freedom of choice and expression is allowed while improvising performance. It is accessible to those who have a lack of musical not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need of the score. Expressive creativity of children will expand rapidly if children have a chance to increase creativity through music classes and to express “what they imagine, think, and feel” in the class. Improvising performance is the most crucial in music classes. More applicable methods that include improvising performance in music class environment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즉흥을 통한 초등 저학년 감정 표현 학습 지도 방안 연구

        민혜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tudy initiated from the following necessity: 1) It is difficult for the elementary lower graders to express their feelings in their daily lives and 2) the emphasis of emotional expression-related elemen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made and 3) is important to educate through acting and conducting. Therefore, the study is aimed at using improvisation to improve students' emotional expressions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Chapter 2 reveal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mo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selected nine categories of emotional expression meaning. ‘Emotion’ was defined as ‘The mind or mood of a person arising from something’ and ‘Emotional expression’ as ‘Representing feelings in the shape of language or body language,’ and divided the expressions into ‘Direct and indirect expressions’. Based on this, nine emotional groups of 'Happy, Love, Sadness, Fear, Madness, Hate, Pain, Shame, Surprise' were selected as the semantic categories of emotional express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motion groups presented in the prior study and the curriculum for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t then reveal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mprovisation’ and mentio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of emotion expression of lower-grade learners and improvisation. Defining 'Improvisation' as 'To experience a hypothetical situation while setting a role and performing on the spot without a set script or premeditated appointment', it stat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theory of Piaget, Kohlberg and Vygotsky that improvisation i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al stage of lower-grade learners. Based on Bruner's knowledge representation theory and Heathcote's teaching perspective, it also revealed the need for lower-grade learners to learn contextually by coming up with their own experiences and improvising them. Finally, I confirmed that improvisation is effective as a tool for learning emotional expressions on the basis that linguistic messages of emotional expressions cannot be separated from anti-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n the other hand, Chapter 3 examined how emotional expression was being taught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ype and number of expressions of emotion displayed in the students' topic writing and 37 days' diary, I found out the status of the learners.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related to expression of emotion in the curriculum of Korean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have appeared in all areas, and the descrip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suggests direct expression centered on activities, and expressing emotions freely and diversely beyond limited expression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ual textbooks only dealt with limited expressions of emotion and sometimes used emotional expression that was not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Based on this discussion, in Chapter 4, I devised a method of teaching emotion expression using improvisation. In order to establish a more effective teaching plan, I developed an ‘Improvisation Integrated Study Model’, and presented integrated professors and learning models by applying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and ‘Creativity enlightenment learning model’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method of expressing emotions using improvis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10th period. The flow of the class knows what is good to use emotional expression in expressing emotions, and knows various kinds of emotional expression, students learn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basic emotional group selected earlier through various improvisations. Through improvisation presented in several ways in class techniques such as creating scenes, story drama, process drama, etc, students express their feelings and relate them to verbal expressions. Furthermore, they read stories and guess other people's minds, know that different people can feel different even in the same situation, and conduct deep and practical learning to properly express their feelings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structing actual students has confirmed that students have improved their ability to use emotional expressions effectively and in a variety of way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forms the necessity and effect of using improvisation of Korean emotional expression learning for elementary lower graders. And the fact that the Korean emotional expression has been stylized so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ites, and it presented an ‘Improvisation Integrated Study Model’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improvisation are valuable too.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is study will help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ir feelings to know the words that express their feelings, to use them to guess other people's feelings, and to express their emotions effectively. In addition, the ‘Improvisation Integrated Study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is a generalization of the flow of professors and learning programs that utilize improvisation, and not only can it be used effectively for teaching elementary lower grades to express emotion, but it can also be reorganized and used in other subject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xpressing feelings in the Korean language for the elementary lower graders will be developed and discussions will be actively conducted to utilize improvisation in various fields of teaching and learning.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감정 표현 관련 요소가 강조되었다는 것, 행위, 행함, 배움을 통한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생을 대상으로 즉흥(Improvisation)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감정 표현을 향상시키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것을 위하여 2장에서는 감정 및 감정 표현의 개념과 특징을 밝히고 9개의 감정 표현 의미 범주를 선정하였다. ‘감정’은 ‘어떤 일로 인해 생겨나는 사람의 마음이나 기분’으로 정의하고, ‘감정 표현’은 ‘감정을 언어나 몸짓 따위의 형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하면서, 감정 표현을 ‘직접적 표현’과 ‘간접적 표현’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선행연구와 초등 2학년 교육과정에 제시된 감정군을 비교 분석하여 ‘기쁨, 사랑, 슬픔, 두려움, 화, 미움, 괴로움, 부끄러움, 놀람’의 9개 감정군을 감정 표현의 의미 범주로 선정하였다. 이어서 즉흥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초등 저학년 학습자의 감정 표현 학습과 즉흥의 상관성을 언급하였다. ‘즉흥’을 ‘정해진 대본이나 미리 계획된 약속 없이 즉석에서 역할을 정하고 행하면서 가상의 상황을 경험해 보는 것’으로 정의 내리고, 초등 저학년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즉흥이 적합하다는 것을 피아제, 브루너, 비고츠키의 발달 이론의 관점에서 밝혔다. 또한 브루너의 지식 표상 이론과 헤스컷의 교육 관점을 토대로 초등 저학년 학습자들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즉흥으로 표현함으로써 맥락에 맞게 학습하는 것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 표현 학습의 도구로 즉흥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감정 표현의 언어적 메시지가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과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근거로 확인하였다. 한편, 3장에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국어 감정 표현 학습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학생들의 주제 글쓰기 두 편과 37일분의 일기 속에 나타난 감정 표현 유형 및 횟수 분석을 토대로 학습자 실태를 파악하였다. 초등학교 1-2학년군 국어과 교육과정에 감정 표현과 관련된 성취기준은 모든 영역에 걸쳐 나타났다. 그리고 성취기준 해설에서 활동 중심의 직접 표현을 권장하고, 한정된 표현을 넘어 자유롭고 다양하게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제 교과서상에서는 활동 중심의 표현이 적고, 한정된 감정 표현만 다루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4장에서 즉흥을 활용한 감정 표현 지도 방안을 고안하였다. 더 효과적인 지도 방안 마련을 위해 즉흥 통합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제 해결 학습 모형, 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에 적용하여 통합적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즉흥을 활용한 감정 표현 지도 방안은 총 10차시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안적 단원 구성의 내적 체계를 활용하여 재구성하였다. 수업의 흐름은 감정 표현을 활용하면 좋은 점을 알고, 감정 표현의 종류를 다양하게 알아본 뒤, 앞서 선정한 기본 감정군의 감정 표현들을 다양한 즉흥을 통해 학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수업 과정 속에서 장면 만들기, 스토리 드라마, 과정 드라마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시된 즉흥을 통해 학생들이 감정을 표현하고 그것을 언어적 표현과 연관시켜보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야기를 읽고 다른 사람의 마음을 짐작하기도 하고, 같은 상황에도 사람마다 다르게 느낄 수 있음을 알며, 상황에 따라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심화·실천 학습을 진행한다.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도한 결과, 학생들이 감정 표현을 효과적이고 다양하게 사용하는 능력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초등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국어 감정 표현 지도에 즉흥을 활용하는 것의 필요성과 그 효과를 알리고 국어 감정 표현을 유형화하여 초등학교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 즉흥 통합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그에 따라 감정 표현과 즉흥의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교수·학습 방안은 실제 교육 현장에서 감정 표현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마음을 나타내는 말을 알고, 이를 활용하여 다른 사람의 마음을 짐작하며,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즉흥 통합 학습 모형은 즉흥을 활용하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흐름을 일반화시켜 정리한 것으로 초등 저학년 국어 감정 표현 지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교과에서도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토대로 초등 저학년 학생들을 위한 국어 감정 표현의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안 개발 및 다양한 교수·학습 분야에서 즉흥을 활용하는 논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즉흥연기훈련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연기훈련생을 대상으로

        강민정 同德女子大學校 公演藝術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에서 대중매체가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연극은 물론 영화, TV에서 활동하는 배우의 영역과 역할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배우가 한 인물의 역할을 창조하고 생명력 있는 연기로 표현해 내기 위한 자기계발의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훈련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의 연극, 영화, 드라마 제작시스템의 대부분은 충분한 연습 및 토론과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으로 배우들은 쉽게 매너리즘에 빠지게 되고, 획일화된 고정관념의 틀에서 벗어나기가 힘들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위와 같은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는 방법 중 한가지로서 즉흥연기훈련이 가지는 효율성에 주목하였다. 일반적으로 즉흥연기는 기초훈련과정에 있어 배우의 다양한 감정과 성격화 작업, 신체적인 리얼리티에 의한 움직임을 향상시키고, 성격창조에 효과적으로 이바지한다. 또한 다양한 자극과 상상으로 배우의 고정관념을 깨고 역할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주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이유로 즉흥연기훈련은 이전부터 배우의 연기훈련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오랜 시간이 지난 현대에 이르러서도 이러한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즉흥연기에 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한 고찰과 즉흥연기훈련이 가지는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을 통하여 배우의 역량 개발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훈련 방식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즉흥연기에 대한 다양한 정의 및 기존의 연기 이론가들의 문헌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토대로 즉흥연기의 효율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실제 즉흥연기훈련을 통해 연기훈련생들의 상상력, 순발력, 집중력, 창의력의 향상 여부를 측정하였다. 사례 연구는 연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8명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2005년 9월5일부터 9월26일까지 매주 3회 2시간씩 총 10회에 걸쳐 즉흥연기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후 테스트를 통해 학생들의 상상력, 순발력, 집중력, 창의력 발달 정도를 평가하였다. 즉흥연기훈련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결과, 연기훈련생들은 즉흥연기훈련 이후 앞서 언급된 네 가지 역랑이 상당부분 발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연기훈련생들의 즉흥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능동적이고, 복합적으로 변화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으며, 연기훈련 이전에 비해 자신감이 커진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자 역시 본 연구를 통해 즉흥연기의 실제적 효과를 직접 경험하면서 연기훈련에 있어 즉흥연기가 가지는 효율성에 대하여 강한 확신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성 연기자 또는 연기훈련생들에게 있어 즉흥연기가 중요한 연기훈련방법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미비하게나마 국내 연기훈련의 발전에 밑거름이 되기를 기원한다. With today's rapid development of mass media, the territory and role of actors who perform in theaters, movies and TV programs has gradually expanded. Accordingly, systematic training courses are essential due to the fact that the necessity of self-development is emphasized for an actors to create a role or character and express it through his or her performance with reality. However, actors often become stereotyped and have difficulties in overcoming fixed and standardized ideas due to the reality that most production systems of domestic play, movie and soap operas lack enough practice and discussion. This study was execut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owards this phenomenon and is focused on the efficiency of improvised acting training as one of the measures that can be efficiently us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mentioned above. In general, improvised acting is significantly beneficial in basic training courses by improving various emotions of an actors, characterization work, movement by physical reality, and even produces an effective contribution to character creation. In addition, it is very effective in breaking the fixed idea of actors and inspires brand new energy into the characters using various stimulations and imagination. For this reason, improvised acting training has been used actively in training courses for actors for a long time, and the importance is still continuously emphasized today even after so much time has passed.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at improvised acting training is a very useful training tool in developing the ability of an actors, by inquiring into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training as well as asystematic verific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A theoretical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based on various definitions of improvised acting training and through collecting materials through existing literatures of performance theorists. A case study that consisted of a total of 10 times of improvised acting training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with each one of the training sessions lasting two hours. The training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5th to the 26th, 2005.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eenagers who were interested in acting and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imagination, swiftness, concentration and creativeness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tests took plac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mprovised acting training show that the four abilities of acting trainees mentioned above are developed to a certain extent after completing the improvised acting training course. It proved to be quite obvious that the subjects had developed a self-confident ability to cope with an improvised situation in an active and complicated matter. Personal training experience has also resulted in acknowledging the practical effect of improvised acting training and as well as firm belief that improvised acting training is effective when it comes to acting training. In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incerely hope that improvised acting can occupy key position in acting training courses of acting trainees as well as existing actors and that this study can prove to be a humble foundation to the growth of the nations acting training.

      • 청소년 기초연기교육을 위한 즉흥과 놀이의 활용 : 자유롭고 창의적인 배우로 나아가기

        김도희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연극놀이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자유롭고 창의적인 놀이성과 즉흥성을 어떻게 청소년들의 전문적인 기초연기교육 과정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배경의 근간에는 필자의 청소년기 연기교육경험에 대한 아쉬움과 수년째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있는 연기 지도자로서 현장에서 느끼고 있는 청소년 연기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 매년 점점 더 많은 청소년들이 배우라는 꿈을 찾기 위해 연기에 도전하며 과거에 비해 빠르게 전문화된 연기교육을 시작하고 있지만, 여전히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에게 적합한 ‘건강한 기초연기교육 과정’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논의가 마련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현 청소년 연기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은 공연이나 입시를 비롯한 ‘결과물’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으며, 과정 자체의 즐거움과 기본적인 연기적 과제를 생략한 채, 빠르게 인물을 맡아 연기하고, 기술적인 훈련들을 강조함으로써 연기교육의 중요한본질과 기초를 놓치고 있다고 판단했다. 필자는 청소년 기초연기교육의 첫 시작은 모든 인간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연극적 본능과 놀이 본능이 발현될 수 있도록, 먼저 다양한 놀이를 통해 몸과 마음을 깨워 자유롭게 하고, 자신의 다양한 호기심과 충동을 따라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다채로운 상상과 직관, 즉흥성을 따라가며, 자신 안에 내재되어 있는 창작 욕구와 열정, 이 분야에 대한 스스로의 흥미와 재미를 발견하고 경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바라보았다. 이를 위해, 필자가 경험하고 발견한 연극놀이의 다양한 장점들을 기본으로 기존의 연기훈련법들과 연결하고 확장해, ‘즉흥과 놀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활용방안과 가능성을 모색하며 ‘청소년을 위한 즉흥과 놀이로 시작하는 기초 연기 워크샵’을 진행했다. 또 즉흥과 놀이를 통해 연기를 시작할 때 얻어질 수 있는 핵심적 요소를 ‘자유로움’, ‘창의성’, ‘나로부터의 출발’에 두고 프로그램을 설계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연극놀이를 활용한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해 배우의 가장 큰 적인 내적, 외적 긴장을 유발하는 장애물들을 빠르고, 쉽게 제거하고, 각 놀이가 요구하는 목표에 따라 배우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다양한 감각과 역량을 발견, 인식하는 계기를 얻다. 또 다양한 ‘즉흥 활동’을 통해 자신 안에서 떠오르는 다양한 이미지들을 자유롭게 상상하고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만의 새로운 인물과 이야기가 구축되고 생성되는 ‘창조적 과정의 출발점’을 경험할 수 있었다. 과정 중 또 하나의 유의미한 발견은 기존의 대사 분석을 통한 접근방식에 비해 훨씬 더 빠르게 ‘깊이 있는 연기적 몰입’의 단계로 들어갈 수 있었다는 점이며, 자신의 생각과 경험, 상상을 바탕으로 시작하는 ‘나로부터 출발’하는 연기로 인해 자연스럽고 개성 있는 연기의 시작점이 마련된다는 점이었다. 또 본인이 직접 상상하고 만들어낸 상황과 역할은 작가와 배우의 먼 심리적 거리감을 단숨에 줄여, 분석과 해석의 어려움을 건너뛴 채 곧바로 상황과 인물의 핵심에 접근하게 해주었다. 청소년들과 함께하는 놀이와 즉흥을 기반으로 하는 작업을 위해, 우선 리더이자 연기 지도자 스스로가 자유롭고 창의적인 즉흥성과 놀이성의 흐름과 감각을 깨우고, 끊임없이 참여자들과 함께 에너지와 호흡을 공유하고 나눌 수 있는 열정과 집중력, 그룹의 흐름을 형성,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기술적 역량과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과 호기심,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태도를 지닌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또 이를 위해 눈에 보이지 않은 감각, 정서, 에너지, 흐름 등을 인지할 수 있는 배우와 같은 열린 감각, 전체 구성과 변화의 흐름을 조절하고 이끌 수 있는 연출가와 같은 예리한 판단력, 그리고 뛰어난 미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종합 예술가적인 관점 역시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지속적이고 원활한 청소년들과의 소통과 교류를 위해, 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소재, 주제 및 접근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역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How can free and creative play and improvisation naturally occurring in the drama process be actively utilized in the professional basic acting education process of teenagers?' At the root of this background lies the regret of my experience in acting education in adolescence and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acting education for youth, which I feel in the field as an acting leader who has been teaching youth for years.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teenagers are challenged by acting to find their dream of becoming an actor and start specialized acting education at an earlier age than ever before, but they have recognized that there is no sufficient research or discussion on a 'healthy basic acting curriculum' suitable for teenagers. Additionally, the current youth acting programs are too focused on results, which include performances and entrance exams, and the essential foundation and purpose of acting education are omitted by rushing into characters and emphasizing technical training, omitting the joy and basic tasks of acting itself.  I wished that the beginning of basic acting education for teenagers would begin with waking up the body and mind with various games, following the colorful imagination, intuition, and improvisation that comes to mind with various impulses, and discovering and experiencing their own interest and fun in this field.  To this end, based on the various advantages of drama I experienced and discovered, I connected and expanded with existing acting training methods to explore various ways and possibilities, focusing on "improvisation and play" and conducted a "basic acting workshop that starts with improvisation and play for teenagers." In addition, the program was designed with the key elements that can be obtained when starting acting through improvisation and play in 'freedom', 'creativity', and 'starting from me', and various approaches were attempted.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quickly and easily removed obstacles that cause internal and external tension, the actor's biggest enemy, through various  "play activities" using drama,  and discovered and recognized various senses and capabilities that actors must have according to the goals required by each play.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of freely imagining and newly organizing various images emerging from within oneself through various “improvisation activities", you could experience the "starting point of the creative process" in which your own new characters and stories were built and created.  During the process, I also discovered that the "deep concentration of acting immersion" stage was much faster than the method previously used, and acting "starting from me" based on my thoughts, experiences, and imagination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natural and unique acting. In addition, the situations and roles he imagined and created himself reduced the distant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 writer and the actor at once, allowing  him to immediately approach the core of the situation and character while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n play and improvisation with teenagers, leaders and acting leaders need to demonstrate their own free and creative improvisation, playfulness, passion, and concentration to constantly share energy and breathing, technical skills to establish and maintain group flow, and creative attitudes to challenge new concepts and ideas.  It was also found that this requires an open sense, such as that of an actor who can recognize invisible senses, emotions, energy, and flows, a keen judgment, such as that of a director who can direct a composition's transformation, and a comprehensive artist's perspective to lead an outstanding aesthetic experience. For continuous and smooth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adolescents, continuous interest and research on materials, topics, and approaches that they can relate to will also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