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창을 통한 즉흥 연주 활동 지도 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유경성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는 변화의 세기이며, 정보의 세기이다. 급격하게 변화하고, 계속해서 생겨나는 정보 홍수의 시대 속에서 현대 사회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가지고 있는 정보를 창의적으로 이용하여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이렇게 정보를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강조되면서 음악 교육에서도 창의적 활동에 중점을 둔 창작 영역이 강조 되어야 할 중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창작 영역 중 즉흥 연주는 창작 영역 중에서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자발적이며 창의적인 음악 활동 할 수 있으며 음악 학습에 있어서 어떠한 활동보다도 학생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표현이 허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에서의 음악 교육과정에서는 즉흥 연주에 대한 지도 내용과 음악적 활동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즉흥 연주를 통한 창작 지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학습으로서의 즉흥 연주 활동이 매 차시마다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즉흥 연주 활동 중심의 음악활동 방안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특성과 음악적 감각에 맞는 학습 방법을 고찰하여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 나오는 제재곡(題材曲)을 중심으로 리듬, 가락, 화성의 세 요소를 가지고 각각 독립적이면서 필요에 따라 상호관련적인 즉흥 연주 활동을 제시하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명지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음악선생님께 미리 양해를 얻어, 실습 기간(2009년 04월 27일∼05월 22일)동안에 실시하였으며, 세광음악 출판사의 제재곡 3곡을 선정하여 각각 3단계(리듬, 가락, 화성)로 즉흥 연주를 하도록 지도안을 새로 보완하여 구안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학생들은 하나의 제재곡에서 한가지의 유형의 즉흥연주를 해보는 데에서 많은 어려움과 수준차이를 보였으나 몇 번의 반복을 통해 충분히 익히고 연습한 결과 다른 제재곡을 할 때에도 어렵지 않게 즉흥연주하게 되었고, 앞에서 익힌 다양한 리듬, 가락, 화성 패턴 이상의 창의적인 음악이 소극적으로나마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써 리듬, 가락, 화성은 서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즉흥 연주를 익히면서 자신의 음악적 표현 욕구를 다양한 도구와 방법을 이용하여 나타내려는 의욕적인 모습을 보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력을 꺼내 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야말로 살아있는 창작교육이며 즉흥 연주의 진정한 의미이다.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hange and information. Since a lot of change are made every second, this era requires one who uses information with creativity to actively deal with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rather than who just holds all the information. Thus, the importance of ability to be creative for using information should be employed to the music education. Among creativity areas, improvisation exceptionally stimulates not only the interest of students to spontaneously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but also, in particular, their own choices and free expressions among others. However, teaching creation through improvisation is not fully performed because teaching methods and music activities on improvisation are not introduced in the high school music curriculum. Teachers have realized the necessity of musical activities methods based on step-by-step improvisation activities so the students learn how to play spontaneously by experience every clas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musical senses of 10^(th) graders. We introduced improvisation activities that are independent and interactive for needs, using three elements, rhythm, melody and harmony with theme songs mostly in the current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first grade students of Myongji High School from Apr 27 to May 22, 2009 using their music practice hours under the prior consent and permission of their music teacher. The teaching plan on improvisation was newly designed for the students to perform three theme songs published by Sekwang Music through the three steps: rhythm, melody, and harmony. At first, students had a hard time performing a type of improvisation on a theme song. Students' abilities of performance was shown different respectively. However, they were getting familiar with improvisation through repeated practices. Later on, it was not difficult for students to perform new theme songs at all. Rather. they did perform more creative music, not just express various patterns of rhythm, melody and harmony. Thus, we were able to infer that those three elements were correlated each other. We also found that students tried to express themselves on music enthusiastically with a variety of materials and methods.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practical creativity education including improvisation is to help students fully express their inner potentials.

      • 집단 즉흥연주를 통한 성인의 내재적 동기에 관한 연구 : 창조적 음악치료를 중심으로

        최수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성인기에는 내적 욕구에 의해 계속적으로 발달하고 변화하려는 특성을 가지며, 내재적이고 자발적인 동기에 의해 행동하여 능동적으로 발달하고 변화하려는 욕구가 있다. 성인들은 자율적인 선택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및 여가활동을 통해 흥미, 도전, 가치, 만족감의 내재적 동기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내재적 동기의 경험은 활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성인들의 자아 발달과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양한 음악적 경험은 인간의 생리적, 사회적, 심리적 정서반응에 영향을 미쳐 인간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어, 대상자의 신체 재활, 정서적 안정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치료적 목적을 가진다. 인간은 음악을 통해 쾌락적 가치와 미적인 경험을 하게 되고, 이러한 심미적 경험과 내적 가치들은 인간 내부의 음악적 행동을 일으키는 내재적 동기를 활성화시켜 그들의 정서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적 행동에서의 내재적 동기를 관찰하기 위해 집단 즉흥연주를 통한 내재적 동기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즉흥연주의 모델은 인본주의 심리학을 배경으로 하는 창조적 음악치료로서 인간이 추구하는 심미적인 욕구와 창조적인 욕구, 자기만족과 표현의 욕구 및 자아실현의 욕구를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은 네 명으로 구성된 한 집단이 총 8회 60분 이상의 즉흥연주에 참여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즉흥연주를 통한 대상자들의 작업성향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즉흥연주의 사전과 사후에 작업 선호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 즉흥연주를 마친 직후 활동지각질문지를 작성하여 즉흥연주에 대한 내재적 동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내재적 동기와 관련한 음악적 요소의 분석을 위해 음악적 반응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t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사례별 질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집단 즉흥연주는 흥미, 가치, 지각된 선택의 세 가지 내재적 동기를 모두 증가시켰으며, 대상자들의 정서적·신체적 상태에 따라 즉흥연주에 대한 내재적 동기화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즉흥연주의 회기가 진행될수록 집단의 내재적 동기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대상자들이 즉흥연주를 통해 지속적으로 내재적 동기의 경험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집단 즉흥연주는 대상자들의 작업성향에 있어 외적동기보다 내적동기의 요인을 증가시켰는데, 이는 대상자들이 즉흥연주활동에 대해 자율성과 흥미 및 가치감을 느꼈으며 즉흥연주활동이 그들의 내재적 동기성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했음을 암시한다. 선택한 악기의 종류와 음악적 반응 척도의 각 변수 간에 교차분석 및 독립성검정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선택한 악기의 종류에 따라 박자가 비슷하거나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고, 즉흥연주에서 불규칙적 박일 때에 집단의 흥미, 가치, 지각된 선택이 모두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총 8회에 걸친 즉흥연주를 통해 대상자들이 높은 내재적 동기를 경험하였던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 즉흥연주가 대상자들에게 흥미롭고 자율적이면서 창조적인 가치 있는 활동이며, 정서의 변화를 통한 정신건강과 자아인식을 통한 성격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치료적인 도구로서 임상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adult period, there are feature of continuous development and change by the internal desire of human beings, also they have the want of active development and change with the activity by intrinsic and voluntary motivation. Adults tend to experience intrinsic motivation of interest, challenge, value and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and leisure activities done by their voluntary choice. Such experience of intrinsic motivation will maximize the effect of the activity as well as have the positive effect upon sound development and spiritual health in their adult period. Musical activities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medical treatment such as raising self-respect, decreasing stress or increasing social personality etc. and various kind of musical experience can change people's behavior by influencing on their physiolog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emotional response. Accordingly in this treatise, I intend to study the change of internal motivation through group improvisation,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the medical purpose improvisations upon adults' intrinsic motivation among musical activities. The model of improvisation in this treatise is the Creative Music Therapy with the background of humanistic psychology, and it aims to focus on the aesthetic, creative and self-satisfactory needs, also needs of expression and self-realization. The method used in the study was: one group consisted of 4 persons participated in the 8 improvisations with the duration of more than 60 minutes. To check the change of participants' working propensity, we carried out working preference tests before and after each improvisation. After each improvisation we made the participants to fill up the questionnaires of activity perception and measured the change of internal motivation after the each performance. For the analysis on the musical factors related to the intrinsic motivation, we used musical response scale.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ly using t-verification and included qualitative analysis. As the result, group improvisation increased 3 factors such as enjoyment of intrinsic motivation, value and perceived choice. And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eing intrinsically motivated towards improvisation depending on the each participant's emotional or physical status. Also we found that the group's intrinsic motivation grows significantly as the period of impromptu performance progress, which imply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 to experience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improvisation. Also the group improvisation increased the factor of intrinsic motivation rather than extrinsic motivation in terms of participants' working propensity. Such fact suggests that the participants will have the autonomy, interest and feeling of value in the improvisation and the performance played the role of increasing their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 of cross analysis and independence verification between the kind of selected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al response scale shows that the rhythm come out differently or similarly depending on the kind of selected instruments. Also you can see that the group's interest, value and perceived choice will increase if the rhythm is irregular in the improvisation, which is significant in statistically.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where we experienced continuously high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8 times of impromptu performances, we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improvisation is the autonomous, interesting, creative and valuable activity, which suggest that improvisation can be used as valuable medical treatment tool being clinically put to practical use showing positive effect on the spiritual health and sound development of personality of adults.

      • 재즈(Jazz)의 특징적 음악 요소를 활용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연구

        이지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생이 음악의 주체자, 창조자가 되어 능동적인 음악활동을 도모할 수 있는 즉흥연주는 작곡과 연주가 결합된 형태로 음악적 아이디어가 악보를 통하지 않고 바로 악기나 목소리, 신체 등의 표현수단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 자신만의 음악적 의도에 따른 독창적인 음악 창조 활동을 함으로 음악적 성취감을 맞보게 한다는 점에서 음악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다. 최근 고시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음악과 선택 과목인 '음악 실기'에서는 음악 연주 능력의 증진을 원하는 학생을 그 대상으로 다양한 악기, 매체, 장르 등의 '다양한 음악적 소재를 활용한 즉흥표현'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고등학교 10학년부터 '대중음악'이 그 교육과정 내용에 포함된 것으로 보아 앞으로의 음악교육은 대중음악의 음악 사회적, 음악 교육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인정하고 보다 다양한 장르와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들을 폭넓게 수용하고 이를 교육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점차 적용하려는 노력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양한 음악적 소재를 활용한 즉흥연주 지도 방안'을 위해 대중음악적 특징을 갖으면서도, 그 나름대로의 음악적, 예술적 토대와 체계를 갖춘 음악 장르를 물색한 결과 재즈(Jazz)를 본 연구에서 추구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장르로서 판단하였다. 재즈는 연주자의 창조성에 의한 '즉흥연주'가 주된 음악적 특징이며, 서구 유럽의 음악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점에서 그 뿌리가 예술음악에 있고 예술음악의 체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반면, 나름대로의 음악적 개성과 심미, 예술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예술음악을 비롯하여 대중음악의 전반에 재즈의 특징적 음악 요소가 차용되어 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의 귀에 익숙한 리듬과 선율을 중심으로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구안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쉽게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즈의 특징적 음악요소를 활용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첫째, 즉흥연주 및 재즈에 관련된 문헌과 자료를 통해 재즈의 특징 및 역사에 관해 조사하고, 기존 교과서 및 2007 개정 교육과정 분석과 재즈의 음악 교육적 중요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재즈의 특징적 음악요소를 크게 블루스, 리듬, 화성, 즉흥성의 4가지로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음악실기' 수업을 통해 음악에 흥미와 재능이 있으며 음악 연주능력의 증진을 원하는 고등학교 11, 12 학년을 대상으로 '재즈의 특징적 음악 요소를 활용한 피아노 즉흥연주 지도'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적용할 교사와 학습자들을 위한 실제적이며 단계적인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단계적이며 연계적인 지도를 모색하고자 즉흥연주 과정을 크게 리듬중심, 선율중심, 화성중심 즉흥연주의 3 과정으로 나누어 '탐색-안내된 모방-변형-즉흥연주-재적용'의 5 단계에 따른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구안하였으며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단계는 중심개념의 특성을 반영하는 악곡을 선정하여 감상을 통해 중심요소를 인식하는 활동 및 재즈의 특징적 음악요소를 어떠한 원리에 의해 표현하는가를 탐색하는 단계이다. 둘째, 안내된 모방단계는 중심개념 학습 및 모방연주과정을 통해 중심개념을 음악적으로 구성, 조직하는 원리를 학습하는 단계이다. 셋째, 변형단계는 탐색과 안내된 모방단계의 학습을 토대로 학습자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최초로 반영하여 짧은 악구를 변형해보는 단계이다. 넷째, 즉흥연주 단계는 교사가 제시하는 일련의 절차에 따라 8마디의 기존의 악곡을 탐색 - 모방 - 변형의 과정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즉흥연주 하도록 한다. 다섯째, 재적용 단계는 4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이해하고 학습한 음악 경험에 비추어 다른 악곡에 그대로 적용해 보는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가 체계적이며 계열적인 즉흥연주 학습단계를 거쳐 재즈의 특징적 음악요소를 자신의 음악어법으로 활용함으로 능동적이며 창의적인 즉흥연주를 도모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가 앞으로의 음악교육에서 대중음악이나 재즈의 음악적 요소를 즉흥연주 및 창작 수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음악교사를 위한 실제적이며 체계적인 지도방안이 되길 바란다. Improvisation is a combined form of composition and performance, which puts students in a more active and creative position when doing musical activities. It means direct expression of ideas by voice, instrument, body, or other methods, without the mediation of score. Improvisation is highly educational in that it encourages students to create unique music with their own intention, leading to a better sense of achievement. 'Practical Technique of Music,' an optional music education course in recently revised 2007 National Curriculum, includes 'improvised expression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instrument, medium, and genre)' for those who want to improve performance capacity. Furthermore, since 10th grade high school curriculum now includes 'popular music,' we can expect ongoing efforts to admit social and educational influence of popular music, cover wider selection of genres from various culture, and gradually apply these in a desired way. Therefore, I looked for a genre that has some traits of popular music while also maintaining artistic fundamentals with an organized system. Jazz seem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genre. Jazz is well known for its 'improvisation' which depends on the performer's creativeness. It is rooted in art music and stays in the boundary of art music because it is chiefly influenced by European musical culture. However, jazz also shows distinctive individuality and aesthetic value in its own way. Furthermore, since popular music as well as art music in many cases borrows several characteristics of jazz style, it would be easier to arouse student's interest, if familiar melodies or rhythms are used in the guiding plan for improvisation learning. Therefore, to serve the objective of suggesting a guiding method for learning how to improvis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jazz include several factors. First,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jazz are investiga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s and other resources. Also, existing textbooks as well as the new National Curriculum are analyzed, and the importance of jazz in music education is measured. Second, five distinctive factors of jazz are presented: blues, rhythm, melody, harmony, and improvisation. Third, I searched for an actual and gradual guiding method that will help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11th or 12th grade who show talents and genuine interest in music and want to enhance their capacity through the 'Practical Technique of Music' class, focusing on 'piano improvisation guide using unique factors of jazz.' To build a gradual and interconnected guidance, the process of improvisation is divided into rhythm focused, melody focused, harmony focused steps, and guidance method. These are then devised according to five steps: searching, guided imitation, transformation, improvisation, and reapplication. Each step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step of searching, Students have to select a piece that reflects a central idea and listen to it to identify the main factor and to perceive the way the piece expresses the distinctive factors of jazz. Second, the guided imitation step involves learning of the central idea and playing after the original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organizing ideas. Third, the transformation step is where the students applies their own musical ideas and modify a short phrase for the first time. Fourth, in the improvisation step, students perform an improvisation of an eight measure piece according to a series of procedure, based on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 preceding steps. Fifth, the reapplication step is where the students use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from the former step to repeat the same process with another piece. Therefore, I searched for a strategy which encourages students to make use of musical factors of jazz as their own musical diction by going through a systemic and gradual learning process, thus promoting training of active and creative improvisations. I hope this study will provide an practical and organized guiding method for those teachers who wish to employ properties of jazz or popular music in their improvisation or composition classes.

      • 칼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즉흥연주 수업 지도안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이은숙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칼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즉흥연주 수업 지도안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이 은 숙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 도 교 수 김 영 숙 음악은 태고로부터 존재해 왔고 현대 사회에 까지 다양한 형태로 우리의 삶에 존재해 왔다. 음악은 우리에게 윤택하고 평화로운 삶을 주며 그 외에 많은 도움을 준다. 현대 사회가 더욱 빠르고 크게 발전 할수록 음악 교육의 필요성은 증가 되며 우리 학생들의 도덕적 인간, 사회적 인간, 건강한 인간의 전인적 인격 성장을 위해 음악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 중심의 수업에서 벗어나 칼 오르프의 즉흥연주를 통하여 우리의 학생들이 음악을 느끼고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마음껏 표현함으로 교사와 학생이 소통하는 수업이 될 수 있는 수업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감상을 통한 즉흥연주 (제재곡: 생상스의 동물의 사육제), 국악을 통한 즉흥연주 (제재곡: 진도아리랑), 가창을 통한 즉흥연주 (제재곡: 평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오르프 악기를 통한 즉흥연주 (엘가의 사랑의 인사)의 수업을 각각 2차시의 수업으로 총 8회 수업 지도안을 작성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르프의 즉흥연주 수업은 말 리듬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즉흥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수업이다. 둘째, 오르프의 즉흥연주 수업은 감상, 국악, 가창, 기악 부분의 어느 영역이든지 가능하며 응용하여 진행 할 수 있는 수업이며 신체 타악기 인 발 구르기, 손뼉 치기, 무릎 치기, 손가락 튕기기는 장구의 장단과 전환하여 즉흥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이 우리나라 국악에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수업이다. 셋째, 오르프의 즉흥연주 수업은 음악의 이론적 지식이나 악기 연주의 기술이 없는 음악적 배경이 다른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업이다. 넷째, 오르프의 악기를 통하여 즉흥 연주함으로 서로 협동하는 사회성을 기르고 보르둔 반주를 통하여 화음을 구성하고 화음을느낄 수 있다. 다섯째, 오르프의 즉흥연주 수업이 잘 진행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즉흥성이 아닌 계획되어진 수업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음악을 느끼고 자기 자신을 마음껏 표현하여 자신감을 갖는 수업이 되기를 바라며 교사들의 변함없는 꾸준한 수업 지도안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기악 즉흥연주가 지적장애인의 직업적응 훈련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자발성과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신창훈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악 즉흥연주가 지적장애인의 직업적응 훈련 요소 중 자발성과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생활시설 ‘M’에서 거주하는 지적장애인 6명으로 하여 6주간 총 12회기(주 2회, 60분간 진행)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사전 사후 디자인으로 구성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기악 즉흥연주를 통한 자발성과 관계 형성 향상을 위해 새로운 악기를 능동적으로 악기를 다룰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자신의 감정 및 자신의 리듬을 즉흥적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룹 즉흥연주를 통하여 대상자들 간의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매 회기 중재 후 비디오로 녹화한 자료를 검사자 3명이 체크리스트에 체크를 하였다. 또한 작업 생활 영역에서 담당 지도교사의 도움을 받아 비디오 분석을 한 체크리스트와 동일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작업 활동 후 나타나는 반응에 대해서 측정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연구자가 재구성한 체크리스트의 평가 결과를 Microsoft Excel 2007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자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PSS 12.0 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환경 내에서 대인관계 향상 점수는 사전 사후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음악치료 환경 내에서 자발성 향상 점수는 사전 사후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의 작업생활 영역에서의 대인관계는 전반적으로 사전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지 않았다. 넷째,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의 작업생활 영역의 자발성 향상 점수는 실험집단이 다소 향상되거나 유지되는 점수 분포를 보이는 반면 통제집단은 대체적으로 점수가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행된 기악 즉흥연주 프로그램은 대상자간의 자발성과 관계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비디오 분석 검사자들의 평가에서도 동일하게 검증되었다. 이러한 음악치료의 영향력은 치료환경 뿐만 아니라 작업 환경 내에서 역시 향상되거나 유지되는 점수를 보여주었다. 이는 본 연구가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 분야에서의 하나의 적용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후속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작업 환경 내에서의 접근과 자발성과 대인관계라는 심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포괄적이고 실질적인 작업 수행 능력에서의 연구도 시행되기를 기대한다.

      • Chet Baker의 즉흥연주기법 연구 : <It Could Happen To You>앨범의 보컬 및 트럼펫 즉흥연주를 중심으로

        박라온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즉흥연주는 재즈 음악을 다른 음악과 구분하여 주는 상징적이고 대표적인 음악적 요소로써 재즈 음악의 성장과 함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개개인의 역량과 음악적 스타일을 구축하기 위하여 많은 재즈 음악인들이 여러 가지 접근 방식으로 즉흥연주를 해석하고 시도하였으며 그 중 어떤 재즈 보컬리스트들은 그들의 즉흥연주에 관악기의 연주 기법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이에 논자는 보컬리스트이자 트럼펫 연주자인 쳇 베이커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그의 보컬 및 트럼펫 즉흥연주를 분석함으로써 이 둘의 상관관계와 그의 연주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쳇 베이커는 ‘트럼펫을 연주하듯 노래하며, 노래를 부르듯 트럼펫을 연주하였다’라는 평을 들으며 평론가의 인정과 대중의 사랑을 받은 음악인으로 70개의 보컬 앨범을 포함 총 194개의 앨범을 발매하였다. 그 중 1958년 발매된 그의 보컬 앨범 <It Could Happen To You>는 그의 보컬리스트로써의 역량이 단연 최고조일 때 녹음되어진 작품으로 평가되어지며 또한 그의 보컬 즉흥연주와 트럼펫 즉흥연주를 함께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쳇 베이커가 같은 시기, 같은 상황에서 연주한 보컬 및 트럼펫 즉흥연주를 연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이 앨범에 수록된 12개의 곡 중 보컬 즉흥연주 4곡, 트럼펫 즉흥연주 4곡의 총 8개의 곡을 본 논문의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선정 기준을 중간 템포의 스윙곡으로 하였다. 이는 8곡 모두를 중간 템포의 스윙곡으로 선정함으로써 같은 리듬적 요소 안에서 행해진 즉흥연주를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즉흥연주 분석은 프레이즈 분석과 투-파이브 화성진행(Two-Five Chord Progression)상에서의 즉흥연주 분석의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이루어졌으며, 쳇 베이커의 보컬 즉흥연주와 트럼펫 즉흥연주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한 부분에서는 투-파이브 화성진행상에서의 즉흥연주 분석부분을 사용하였다. 이는 곡 선정의 기준과 마찬가지 이유로, 같은 화성진행상의 즉흥연주를 분석함으로써 같은 리듬적 요소와 더불어 같은 화성적 요소 안에서 행해진 즉흥연주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쳇 베이커의 보컬 및 트럼펫 즉흥연주의 분석 연구를 통하여 그의 보컬 즉흥연주 기법과 트럼펫 즉흥연주 기법이 서로의 연주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서로에의 영향이 그만의 특징적인 연주스타일을 만들게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관악기와 보컬이 상대방의 연주 기법을 이해하고 습득함으로써 서로의 연주에 발전을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관악기와 보컬은 호흡을 사용하여 연주하는 악기로 한정된 음역대 안에서 단선율로 표현하여 연주한다는 점에서 그 운용체계가 유사한데 이러한 이 둘의 유사점이 서로의 연주 요소를 도용하여 습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재즈 음악에서 즉흥연주는 중요한 음악적 요소이며 보다 나은 즉흥연주를 향한 재즈 음악인의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다른 기악 연주자들에 비해 즉흥연주를 함에 있어 취약점을 보여 왔던 보컬리스트들이 관악기의 연주 기법을 이해하고 습득하여 그들의 즉흥연주에 발전을 가져 올 수 있으며 이는 관악기 연주자에게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보컬과 관악기 연주자가 상대방의 연주 기법을 습득하는 것이 보다 나은 즉흥연주를 향한 하나의 접근 방법이 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Improvisation is a musical technique found in many genres of music and has dramatically evolved within the context of jazz music. Many jazz musicians have attempted to interpret improvisations in different ways in order to develop personalized methods and musical styles. Throughout history, jazz vocalists introduced the performance techniques and styles of brass instruments into their improvisational vocabulary. An in depth study of Chet Baker, jazz trumpeter and vocalist, provides a clear understanding of his improvisational featur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is vocal and trumpet improvisations. Baker, throughout his career, was know as an equally gifted improviser on both trumpet and voice. Baker received critical acclaim, public love and issued 194 albums including 70 vocal albums. <It Could Happen To You>, Baker’s vocal album issued in 1958, received significant recognition as Baker’s best work and could therefore be compared with other vocal and trumpet masterpieces of this time period. 4 vocal and 4 trumpet improvisations are analyzed below in medium swing tempo in order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rumpet and vocal improvisations. The improvisations were examined based on two types of phrases and II-V chord progressions. Improvisation-analysis parts on II-V chord progressions wer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Chet Baker's approach to vocal and trumpet improvisation. The following study of Baker’s approach to harmonic and rhythmic ideas within various II-V progressions using either trumpet or vocal improvisation clearly reveals Baker’s methodology with regards to the two instrumental approaches. The following study makes possible the realization that Baker's vocal improvisations influenced his trumpet improvisations and in turn influenced his performance style. Therefore, each technique influenced the other and made possible the innovations experienced on Baker’s recordings and live performances. It is also important to clarify that both brass instruments and vocalists are monophonic and rely on movement of air to produce sound and therefore are limited to phrase lengths bas on the amount of air available for each breath. Improvisation in jazz music is the key feature and jazz musicians constantly strive for improvisations that tell a story and captivate the audience. Compared with other instrumentalists, vocalists improvise at a lower level due to physical restrictions, but they seek to understand performance techniques of brass players and develop their own sound while improvising.

      • 창의적 표현능력 신장을 위한 즉흥연주 지도방안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윤진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화, 정보화, 다원화로 대변되는 21세기 교육은 강한 창의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음악교육에서 이러한 창의적인 음악성의 발달을 위해 학생들이 음악 속에서 상상력을 키우도록 하는 기회를 주고, 또한 학생들이 상상한 것, 생각하는 것, 느끼는 것 등을 음악적인 표현 수단을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해보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즉흥연주는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음악에 대하여 미리 계획을 하지 않고 즉흥적으로 만드는 것으로, 자신의 음악적 아이디어가 매개체(악보)를 통하지 않고 바로 악기나 목소리로 표현되는 것으로 어떠한 활동보다도 어린이들 음악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창조적인 표현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스스로 음악적 개념들을 탐색하고 발견하며 이를 음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통하여 창의적인 표현능력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실제 음악 수업에 활용 가능한 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즉흥연주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육에서의 창의성의 중요성을 여러 문헌들을 통해 살펴보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즉흥연주의 의의, 필요성, 교육적 가치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현대 음악교육에서 즉흥연주와 관련된 제 논의를 오르프, 달크로즈,코다이, MMCP, CMP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7차 교육과정에 명시된 즉흥연주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초등학교 5학년 음악과 교재분석을 통해 즉흥연주 관련 지도 내용을 조사해 보고 이를 근거로 실제 음악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즉흥연주 지도방안과 수업안을 구안하였다. 수업안의 주요내용으로는 리듬문답하기, 노랫말에 어울리는 리듬과 가락만들어 연주하기, 가락패턴을 모방·변형하기, 리듬과 가락 오스티나토 및 보르둔을 이용한 즉흥반주하기, 4/4 박자 겹리듬 만들어 연주하기, 장단을 즉흥적으로 변화시켜 이어치기, 이야기 즉흥극 만들기, 계속되는 느낌의 가락과 끝나는 느낌의 가락을 즉흥적으로 표현하기 등이다. 즉흥연주는 어떠한 활동보다도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선택과 표현이 허용될 수 있고, 악보에 얽매이지 않음으로써 기보 능력이 부족한 어린이도 부담감 없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이다. 즉흥연주를 통해 학생들이 음악수업을 통해 상상력을 키우도록 기회를 주고 또한 학생들이 상상한 것, 생각하는 것, 느끼는 것 등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면 아이들의 창의적인 표현능력은 더욱 더 신장될 수 있다. 즉흥연주는 음악수업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며, 교실 수업에서 실제로 실행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계속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Due to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technology, diversity characterized in 21st century, education is reinventing itself to meet new expectations like creativity Students have a chance to expand creativity through music education by imagining, thinking, and feeling with musical tools. Improvisation performance is to improvise without any preparation. It is the most helpful for children to understand musical concepts intuitively and to enlarge expressive creativity compared to any other activities. This is primarily because improvisation is conducted through musical instruments or voice to convey musical idea without any vehicles like score. A sample of 5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iscover teaching guidelines on improvisation based on songs from music textbooks that could be applied in class environment. The research is to help children expand expressive creativity independently from the process of inquiring, finding musical concepts, and converting into musical soun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music education was examined from literatures on the subject. Importance,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s of improvising performance were studied to reach a program to improve creativity. Secondly, methods of Orff, Jaques-Dalcroze, Kodaly, 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 (MMCP), and Comprehensive Musicianship Program (CMP) related to improvising performance in contemporary music education were evaluated. Improvisation related contents list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were examined as well. Thirdly, improvising teaching guidelines and program that could be applied in class environment were devised based on existing teaching guidelines of improvising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f music textbooks for fifth grade. The music program is composed of rhythm dialogue, creating new rhythm and melody to go with a story, imitating and transforming a melody pattern, use of an ostinato pattern, the bordun, making a double-4/4 pattern, connecting within improvising up beats and down beats, music story improvisation, improvising a mode with continuous feeling with a mode of ending feeling. Freedom of choice and expression is allowed while improvising performance. It is accessible to those who have a lack of musical not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need of the score. Expressive creativity of children will expand rapidly if children have a chance to increase creativity through music classes and to express “what they imagine, think, and feel” in the class. Improvising performance is the most crucial in music classes. More applicable methods that include improvising performance in music class environment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 즉흥연주 활동을 통한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원초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발달장애 아동은 적절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여 또래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며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음악 교육적 접근으로서 즉흥연주 활동을 실시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 과정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특히 음악은 곧 사회적 행동이며, 음악적 행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볼 수 있는 행동이고 사회적 행동은 음악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행동과 유사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즉흥연주 활동을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이 자연스럽게 음악적으로 반응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즉흥연주 활동에서 나타나는 행동의 변화가 학교생활에서의 사회적 행동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즉흥연주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서울 A 초등학교 특수학급 3~4학년 발달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차시의 음악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를 적용하였고, 독립변인은 즉흥연주 활동이며 종속변인은 사회적 상호작용이다. 즉흥연주 음악 수업 시간 및 쉬는 시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평가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 아동의 담임교사 및 담당 특수교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학교생활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및 변화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즉흥연주 활동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반응과 음악적 태도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러한 음악적 행동의 변화가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흥연주 활동을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음악적 반응 및 음악적 태도가 향상되었다. 세 아동 모두 중재를 통하여 음악적 반응 및 음악적 태도의 평가 점수가 지속적으로 향상하였고, 경향선으로 확인하였을 때 경향의 방향이 상향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음악적 자극에 대하여 먼저 신체적, 언어적으로 반응하였고, 연주로 반응하면서 음악을 통해 소통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또한 즉흥연주를 통하여 집중 시간이 길어졌으며,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음악적 반응 및 음악적 태도의 변화를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이 변화하였다. 발달장애 아동은 즉흥연주 활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다른 사람의 연주를 듣고 반응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멈추고 다른 사람의 음악에 집중하며 바라보았다. 또한 음악적 반응을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을 시도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자발적으로 차례를 지키거나 순서를 기다리는 행동을 경험하게 되었고, 배려하고 양보하며 협동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다. 이처럼 즉흥연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늘어났고, 점차 자발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셋째, 즉흥연주 활동을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향상되었다. 즉흥연주 활동에서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증가하고, 부정적 상호작용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아동 모두 기초선 구간에 비하여 중재 구간에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재가 진행될수록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바라보기, 그리고 미소 및 웃음 행동이 가장 많이 향상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세 아동 모두 기초선 구간에 비하여 중재 구간에 또래와의 부정적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이 낮게 나타났으며, 중재가 진행될수록 행동 발생률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동들은 기초선 구간에서 혼자 놀기 행동을 많이 보였으나 중재와 함께 이 행동이 크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긍정적 상호작용의 증가는 혼자 놀기와 같은 부정적 상호작용 행동을 감소하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즐겁게 즉흥연주에 참여하면서 방해하기나 공격행동이 감소할 수 있었다. 넷째, 즉흥연주 활동을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향상되었다. 즉흥연주 활동에서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증가하고, 부정적 상호작용은 감소하였다. 세 아동 모두 기초선 구간에 비하여 중재 구간에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재가 진행될수록 행동 발생률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동들은 중재가 진행될수록 적극적으로 교사와 눈을 맞추었고, 손을 들거나 언어적 표현을 하며 상호작용을 시도하였다. 또한 지시 따르기 행동이 크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세 아동 모두 중재가 진행될수록 교사와의 부정적 상호작용 행동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교사와의 부정적 상호작용 중 특히 이탈 행동이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무시하기 행동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 중 하나인 지시 따르기가 증가하면서 반대로 감소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즉흥연주 활동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의 변화는 학교생활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의 변화로 이어졌다. 즉흥연주 음악 수업이 끝난 후 쉬는 시간에 발생하는 또래 간의 상호작용 행동을 관찰한 결과 즉흥연주 활동과 유사하게 긍정적 상호작용은 증가하고, 부정적 상호작용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세 아동 모두 바라보기 행동이 크게 증가하였고, 미소 및 웃음이 자유롭고 활발해졌다. 또한 혼자 놀기 및 방해, 공격 행동이 감소하여 또래와의 관계에 변화가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담임교사 및 특수교사가 실시한 사회적 상호작용 평가에서도 사전에 비해 사후에 점수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즉흥연주를 중심으로 하는 음악 수업을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 과정을 탐색하면서 즉흥연주 활동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음악교육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즉흥연주 및 음악교육이 장애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명히 하였고, 이를 통하여 특수교육에서 음악교육의 역할과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unable to form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due to inadequate social interactions, and often do not adapt well to school lif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improvisation activ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ed musical intervention based on the fact that music is social behavior, musical behavior is the behavior that can be seen in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behavior is similar to the behavior that appears in the musical environment. Through this, various musical stimuli were presented and thereb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ncouraged to response naturally and interact with peers and teachers. And the changes in behavior in improvisation activities could lead to changes in social behavior in school life. To this end, I developed an improvisation music education program and conducted 20 music lessons for 3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class of Seoul A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pplies a single subject study, independent variable is improvisation activity and dependent variables is social interaction. I observed and analyzed the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of improvisation music class and break time, and compared the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 that conducted before and after. I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homeroom teachers and the special teachers in charge of the study subjects to collect data on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and changes in school lif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musical response and musical attitude of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explored how these changes of musical behavior affect social behavioral change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al response and musical attitude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mproved through the improvisation activities. In all three children, the scores of musical response and musical attitude were continuously improved through interven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trend was upward when confirmed by the trend line. They reacted physically and verbally to the musical stimuli, and experienced communicating through music while responding by playing. Also, the concentration time has been extended through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they participated actively and voluntarily in improvisation activities. Second, the changes of musical response and musical attitude led to the changes of social interaction behavi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hibiting social skills deficiencies could experience social behavior naturally through improvisation activities. Responding to other people's performances led them to listen and look at others. They learned interaction of caring, cooperating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rough the process of active participation in improvisation activities, th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naturally increased, and spontaneous interaction gradually occurred. Third, the social interaction with the pe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mproved through improvisation activities.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increased, and negative interactions decreased. In this study, all three children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positive interaction behaviors with their peers in the intervention section than in the baseline section, and the rate of action increased as the intervention progressed. Especially looking, smiling, and laughing behavior were most improved. On the other hand, all three children showed a lower incidence of negative interaction behaviors with their peers in the intervention section than in the baseline section, and the rate of action decreased as the intervention progressed. They had a high incidence of behavior in the area of playing alone, but this behavior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tervention. Furthermore, by happily participating in improvisation, action of disturbance or attack could be reduced. Fourth, the social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mproved through improvisation activities. Positive interactions with teacher increased, and negative interactions decreased. All three children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positive interaction with teacher in the intervention section compared to the baseline section, and the rate of action increased as the intervention progressed. As the intervention progressed, the children actively made eye contact with teacher and attempted to interact by raising their hands or expressing their language. In addition, the behavior of following instruction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ll three children showed a decrease in the incidence of negative interaction behavior with teacher as intervention progressed. In particular, breakaway behaviors were reduced. In addition, the neglec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duced as behavior of following instructions increased. Fifth, the changes of social interaction behavior through improvisation activities led to the changes of social interaction behavior during school life. As a result of observing peer interaction during break time, positive interaction increased and negative interaction decreased, similar to the improvisation activities. In particular, all three children were able to observ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looking behavior, in addition smiles and laughter were free and active. There was also a chang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eers due to reduced action of disturbance or attack. Thus, this study confirmed that improvisation activit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chang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such,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approach to music education for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music educa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clarified. And through this, the role and meaning of music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could be confirmed.

      •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대중가요를 활용한 즉흥연주 지도 방안 연구

        김유경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Modern society requires creativity in almost all areas. Music education is no exception. Various ways are being explored to induce creativity and musicality for students through musical activities. Musical improvisation is one of them to inspire student's creative expre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methods for music improvisation by using popular music. Popular music can motivate students to actively take part in music classes. First, this thesis studied theories of Carl orff, 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jert(MMCP), and Kratus to devise a stepwise and systematic model for improvisation. The model is composed of four steps: searching, imitation, transformation and improvisation. Second, guidance for improvisation aimed at songs in music text books was put forward to teach rhythmic and melodic improvisation. The song chosen to teach rhythmic improvisation is 'Let's go on a journey('여행을 떠나요' in Korean title)'. The teaching points are syncopated rhythms and non syncopated rhythms. The song picked to teach melodic improvisation is 'Don't make a wry face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 in Korean title)'. The teaching point is to improvise a melody based on chords in use. When the teaching based on the devised guida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was noticeable in that the popular songs made students motivated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and the stepwise model composed of searching, imitation, transformation and impro visation provided easier access to improvisation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 즉흥연주 중심의 음악활동 지도 방안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박지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즉흥연주는 창의성과 종합적인 음악성을 기르기 위한 긴요한 음악활동으로 어린이들의 음악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작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창조적 음악활동이다. 즉흥연주의 음악 체험을 통해 음악적 감각은 물론 음악적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서의 음악 교육과정에서는 즉흥연주에 대한 지도 내용과 음악적 활동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아 즉흥연주를 통한 창작 지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학습으로서의 즉흥연주 활동이 매 차시마다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즉흥연주활동 중심의 음악활동 방안이 필요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특성과 음악적 감각에 맞는 학습 방법을 고찰하여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 나오는 제재곡을 중심으로 제재곡 안에서 리듬, 가락, 화음의 세 요소를 가지고 각각 독립적이면서 필요에 따라 상호관련적인 즉흥연주활동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즉흥연주에 관련되는 이론 및 교수법을 고찰하였고 음악 교육과정에서 즉흥연주활동을 분석하여 하나의 제재곡을 가지고 리듬중심, 가락중심, 화음중심 즉흥연주의 단계별 지도 내용 및 방법을 연구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즉흥연주활동 학습의 접근 단계를 설정하여 지도내용을 체계화하고 음악 구성 요소 중 핵심 요소인 리듬, 가락, 화음의 즉흥연주활동을 체계적으로 즉흥연주 할 수 있도록 단계별 즉흥연주활동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각 단계에서 구안된 지도 방안을 살펴보면, <기초탐색> 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패턴을 제시하고 즉흥연주 할 음악 요소와 관련 있는 악곡을 듣는 것이고, <패턴 익히기> 단계에서는 모방을 통한 패턴 익히기와 놀이를 통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즉흥연주활동이 되도록 유도하였다. <즉흥연주활동> 단계에서는 리듬, 가락, 화음의 즉흥연주를 하는데 이 때, 세 가지의 요소를 분리해서 가르쳐지는 것으로 보이나 필요에 따라서 세 가지 요소를 순수하게 배합하여 연결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구안하였다. <평가단계> 에서는 자신의 연주를 평가하고 새로운 문제점이나 아이디어가 생겨나면 다시 피드백하여 즉흥연주를 하도록 하였다. 즉흥연주활동을 통한 창작활동은 매시간 제재곡 안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때 효과적이고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하여 유발되어야 한다. 아이들은 하나의 제재곡에서 한가지의 유형의 즉흥연주를 해보면 다른 제재곡을 할 때에도 손쉽게 즉흥연주하게 되었고 앞에서 익힌 다양한 리듬, 가락, 화음 패턴 이상의 창의적인 리듬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리듬, 가락, 화성은 서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즉흥연주의 방법을 익히면서 자신의 음악적 표현 욕구를 다양한 도구와 방법을 이용하여 표현하려는 의욕적인 모습을 보면서 아이들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는 욕구를 꺼내 놓을 수 있도록 도와준 역할을 하는 것이 진정한 창작교육이며 음악성과 창의성을 동시에 계발 할 수 있는 길이라고 믿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