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청소년의 여가만족에 관한 질적분석

        조상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1

        1990년대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의식의 변화로 중등청소년들이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의 형태와 구조는 다양해졌지만 현행 교육과의 부조화 및 입시위주의 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여가활동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비롯된 문제들로 중등청소년의 여가선용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와 같은 분야의 연구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등청소년들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질적으로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서울 시내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11명(남학생 6명, 여학생 5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심층면담 방법(개별면담 및 집단면담)을 활용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참여관찰법을 실시하여 관련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현상학적인 연구를 수행할 때 많이 쓰이는 주제적 분석의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여가의 의미, 즐겨하는 여가활동, 학교생활과 여가, 여가만족 요인, 여가제약 요인이라는 다섯 가지 상위주제 하에 하위주제들로 나뉘어 졌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중등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여가의 의미는 연구대상자 대부분이 시간적 개념 하에서의 여가로 생각하였고, 자발적인 활동이라 생각하는 의견도 나타났다. 둘째, 즐겨하는 여가활동은 컴퓨터의 확대 보급으로 연구대상자 모두가 인터넷 서핑을 즐겨하며, 남학생들은 PC게임과 축구 등에 여학생들은 인터넷 채팅 프로그램과 쇼핑, 요리, 십자수 등을 즐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과 여가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연구 대상자들이 여가활동이 학교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었으나 학업과 성적보다는 교우관계 개선 등 학교생활에서의 즐거움 추구에 관한 의견들이 많았다. 넷째, 여가만족 요인에 관해서는 자발성과 승부욕 그리고 성취욕을 느낄 수 있는 심리적 만족이 가장 컸고, 학교 학급에서 교우관계 유지 및 신임을 얻기 위한 태도와 역할을 획득할 수 있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만족이 두 번째로 컸으며, 다음으로 남자 연구대상자들은 운동기술 습득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시도를 통한 지적자극과 PC게임을 할 때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실력 등에서 만족과 기쁨을 느끼고 있었고, 여자 연구대상자들은 주로 사회성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상식을 알게 되면서 교육적으로 만족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스트레스 해소에 관한 휴식적 만족과 건강 및 체력증진에 대한 생리적 만족 그리고 풍부한 물리적 환경에 관한 언급으로 환경적 만족에 대한 의견들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가제약에 관한 문제는 시간 부족이 여가활동을 함에 있어서 가장 방해가 된다는 의견이 많았고, 다음으로는 학업과 성적에 대한 부담, 그리고 이에 따른 부모님의 잔소리 등을 제약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음이 공통의견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보면 중등청소년들은 한정적 여가활동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교육적이고 건전한 여가활동을 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중등청소년의 여가만족에 관한 질적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1990, while forms and struc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activities have been getting more various thanks to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students haven't been served the appropriate leisure activities because of the discord in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good use of leisure activities has been required. This study aimed to the qualitativ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leisure satisfaction. The eleven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a middle school in Seoul(six boys and five girls) were selected and the method of in-depth-interview(individual interview and group interview) was chiefly used, to compensate for this method, the rel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method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The method of thematic analysis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for performing the phenomenological study is used for analyzing thes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nsidered leisure as the concept of time. Second, the most popular leisure activity was proved to be surfing the Internet. Boys enjoyed playing the computer games and soccer, and girls enjoyed the programs of Internet chatting, shopping, cooking and cross stitching. Third, as school live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concerned, most students thought that leisure activities could help them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ssociates. Fourth, the primary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was psychological satisfaction : spontaneity, the desire of winning and achievement. The secondary factor was sociological satisfaction behaviors and roles for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sociates and gaining credit from schoolmates. And the next, boys felt satisfied and happy through the intellectual stimulus and performance ability, otherwise, girls felt satisfied through getting general knowledges. Fifth, the leisure activities were restricted chiefly by time. The burden of studies and parents' interference also restrict the leisure activities. After all, middle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e limited leisure activities passively, so there were too many problems to be educational and sound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was thought to be the first step toward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eisur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중등 실무자의 프로그램 기획 경험 연구

        이하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중심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사업에서 실무자는 무엇을 고려하면서 개별 운영기관에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고, 프로그램 기획 시 공유되는 경험들은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의 현실과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화기술지적 접근을 택하였으며 심층면접과 문헌 및 기록물 검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 선정기준은 청소년 프로그램 기획 경험이 있는 경력 1년 이상의 재직 중인 부산지역 실무자로,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6명의 실무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분석은 Wolcott(1994)의 자료 분석 전략을 사용한 조영준(2017)의 분석절차를 따랐다. 연구결과 실무자들은 크게 프로그램 이용자, 제공자, 특성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기획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지만 프로그램 이용자가 지닌 욕구가 현실성이 부족하고 상충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실무자는 청소년 중심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함에도 라포 형성 및 매뉴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지막은 프로그램 특성으로 학교와는 다른 공간인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참여할 청소년을 모집하는 것을 오로지 실무자의 역량으로만 두고 있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방과후 시간의 특성상 지역사회 연계가 쉽지 않았으며, 평가지표가 매해 변경되고 늦게 공지되어 실무자들이 프로그램 기획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및 학부모 모두의 욕구를 충족시킬 있는 프로그램 기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청소년과의 활발한 소통을 기반으로 한 청소년 중심의 프로그램 기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사업 특성에서 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무자들이 끊임없이 고민하고 의견을 개진하여야 한다. 넷째, 중학생 연령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기획을 위한 매뉴얼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실무자가 지닌 전문성을 인정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사업 특성을 고려해 홍보 활성화 및 종합사업 평가의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 울산지역 중등학교 청소년단체 활동의 지도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이영선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2270

        1.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단체 활동을 지도하는 중·고등학교의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청소년단체 활동 프로그램의 계획과 실시, 평가 과정을 조사 분석하고, 칭소년단체 활동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로 이루어졌다. 문헌 연구는 우선,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와 문헌을 고찰하여, 학교 교육을 보완하는 청소년 사회교욱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청소년 단체의 현황과 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하여 울산광역시 소재 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중 청소년단체 활동을 지도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5개 행정구역 (남구, 중구, 북구, 동구, 울주군)별로 구분하여 층화 표본 추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울산광억시 청소년단체협의회 소속 15개 청소년단체의 활동 지도실태 및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3. 연구 결과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단계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하고, 지도자의 자율성을 확보하며, 청소년의 요구를 반영하고 참여를 증진시켜 효율적인 청소년단체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하여 청소년단체를 지도하고 있는 단체의 지도교사를 중심으로 한 단원, 학부모, 지역사회 후원회, 학교당국이 참여하는 청소번단체 활동 프로그램 협의체가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청소년단체 지도자들의 시간적 할애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운용을 위하여 청소년단체를 총괄하는 센터와 각 청소년단체에 프로그램과 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셋째, 지식과 정보가 급변하는 지식정보화사회와 평생교육시대에 적응할 수 있고, 자아실현 할 수 있는 청소년단체의 프로그램 연구 개발 사업이 확대될 수 있도록 관련기관 및 단체의 지원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에 처해 있고, 항상 유해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청소년 이용 시설이 보다 확충되어야 한다. 다섯째, 국민들의 청소년단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고, 형식적인 운영에서 벗어나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청소년단체 육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학교현장에서 청소년단체를 지도할 수는 지도자가 부족하고 학교교욱과 청소년 단체 활동이 접목될 수 있는 교육적인 여건이 부족한 것은 지도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지도방법, 프로그램개발 등에 대한 지원과 협조가 없기 때문이라 본다. 여섯째, 청소년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단체 활동에 창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프로그램 개발 노력이 필요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사회적 관심과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청소년 단체 활동 대부분은 학교조직을 두고 운영되는 청소년단체가 그렇지 않는 단체보다 활동성은 있으나 현직 교사에 의존하여 활동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도교사에 대한 지원체제와 인센터브 부족으로 인하여 청소년단체 지도자 역할을 꺼리는 실정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향후, 청소년단체 활동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학부모 자원봉사자, 지역사회봉사자를 포함하는 청소년 단체 활동의 모티브가 되는 지도자 양성에 대한 종합적인 보완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청소년들의 비행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활발한 활동을 위해서 정규교육 과정을 연계하는 프로그램 개발과 봉사점수 부여 등으로 활동범위와 여건을 개선해 나간다면 민주시민으로 자질을 갖추어 가는 청소년의 바람직한 활동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1.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planning, implementing, and assessing process of youth organization act vities by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responsible for guiding youth group activities, and find problems with and suggest better directions of such youth activities. 2. Method For this study,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In the literature research, first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lated with this topic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youth social education supporting school education, and performing stratified sampling and questionnaire survey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ho teach at the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Ulsan and serve as an advisor for youth organizati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s and activity programs of youth organization by five administrative regions(Namgu Jungu, Bukgu, Dongu, and Uljugu),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ose processes, we studied on the present situations of and the ways to improve fifteen youth organizations belonging to the Committee of Youth Organization in Ulsan. 3. Result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methods as mentioned above; First of all,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youth organization activities, it is needed to organize a committee of youth organization activity program consisting of youth members, parents, supporters in the community, and school authorities, with the advisor teachers playing a leading role, in order to utiliz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region, ensure autonomy of leaders, accept the request of the youth group, promote their particip tion, and help efficient youth organization activities. Second, to ensure scheduling of youth group leaders and systematic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general center for youth organizations as well as a body to provide such youth organizations with programs and information for activities. Third, support network among relat 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hould be operated in order to expand R&D projects of youth organization programs to help self-realization and survive in this era of continuous learning and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characterized as rapid chang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Fourth, current education is focused largely on preparation for examination for entrance to a higher level of education institution, with students exposed to harmful circumstances. In this regard, more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our young generation can freely use to enjoy the time. Fifth, along with growing recognition of such youth organizations among general population, practical and systematic, rather than superfi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foster youth organizations for the future of our country. Because there are no support and cooperation regar g incentives for leaders, teaching methods and program development, currently N are short of leaders to guide those youth organizations at schoo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o connect school education and youth organization activities. Sixth, together with persistent promo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o help students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more positively, growing interest and recognition shift in our society are required for our youth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cultivate ability to realize their goals. Currently, it appears that youth organizations based on schools are more active, but most of such organizations rely on teachers. However, because of lack of support and incentives for advisor teachers, teachers are unwilling to function as a leader of youth organization.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goal of youth organization activities,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on leader education, a key basis for youth organizations, should be taken in collaboration among parents, volunteers, and community workers. In addition, to effectively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and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among the young students, improvement of the condition and scope of activities through developing programs to link with curriculum and granting public service score is useful for students to acquire desirable democratic citizenship.

      • 중등학교 운동선수들의 보조식품 섭취 실태 분석

        박재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55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운동선수들의 보조식품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운동선수 250명을 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으로 선정하였고, 그들의 보조식품 섭취 실태와 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로 사용된 설문지는 조성숙(2003)의 근력 종목선수들의 영양소 및 영양보충제 섭취 실태와 영양 지식 연구, 한윤정(2011)의 체육고등학교 학생의 영양보충제 복용현황과 영양지식수준에 관한 연구, 그리고 박해용(2011)의 중학교 운동선수들의 수업참여 실태와 기대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전문가 협의를 통해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 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질문으로 성별, 학교 급별, 종목별, 체급별, 입상 실적별 총 5문항과 섭취 정도, 섭취 종류, 섭취 선호도, 섭취 필요도, 섭취 이유 등 보조식품 섭취 실태에 관한 질문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가 직접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답하도록 한 후 자료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총 300부로 응답 기록이 불충분하거나 무성의하게 반응한 것으로 판단된 자료는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50부를 처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등학교 운동선수들의 보조식품 섭취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파일분할을 통한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본 연구의 속성들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조사도구의 신뢰도 측정을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통계적 차이 분석을 위하여 χ2 (chi-square)검증,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samples t-test)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에 대한 해석은 p<.05에서 결정하였으며, 연구 결과와 논의의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보조식품 섭취는 남자가 여자보다 보조식품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섭취 여부에서 남자는 79.0%, 여자는 56.4%가 보조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조식품 섭취 개수로는 남자는 2개, 여자는 없음이 높게 나타나 성별 간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섭취 종류로는 남자는 한약, 비타민, 단백질 보충제 순으로 많았고 여자는 비타민, 홍삼, 단백질 보충제 순으로 많았다. 둘째, 중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입상 실적별에 따른 보조식품 섭취 실태는 입상 실적이 있는 운동선수들이 실적이 없는 운동선수들보다 보조식품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섭취 여부에서는 전국대회 입상실적이 있는 운동선수들 87.7%, 없는 운동선수들은 57.1%가 보조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대회 입상실적이 있는 운동선수들 90.5%, 실적이 없는 운동선수들은 67.0%가 보조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입상실적별 간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보조식품 섭취 개수에서는 전국대회 및 지역대회 입상 실적이 있는 운동선수들은 2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국대회 및 지역대회 입상 실적이 없는 운동선수들은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보조식품 섭취 종류로는 전국대회 및 지역대회 입상 실적이 있는 선수들은 단백질 보충제, 비타민, 홍삼 순으로 많았다. 반면에 전국대회 실적이 없는 운동선수들은 홍삼, 비타민, 한약 순으로 많았고 지역대회 실적이 없는 운동선수들은 비타민, 홍삼, 단백질 보충제 순으로 많았다. 셋째, 중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보조식품 섭취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보조식품을 더 선호하고 필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보조식품 섭취 선호도에서 남자 37.4%와 여자 10.9%, 보조식품 섭취 필요도에서는 남자 48.7%와 여자 20.0%로 성별 간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넷째, 중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입상 실적별에 따른 보조식품 섭취 인식은 전국대회 입상 실적이 있는 운동선수들이 입상 실적이 없는 운동선수들보다 보조식품을 더 선호하고 필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 실적에 따른 보조식품 섭취 선호도에서전국대회 입상 실적이 있는 운동선수들 40.6%와 실적이 없는 운동선수들 20.6%, 보조식품 섭취 필요도에서는 전국대회 입상 실적이 있는 운동선수들 50.0%와 실적이 없는 운동선수들 33.1%로 입상 실적별 간 유의한 차이(p<.05)를 보였다.

      • 중등학교 청소년단체 활동 지도교사의 직무만족도 분석

        김정아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2255

        This study is to aim at investigating the management's conditions of youth groups in the view of the guidance teachers, researching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s a teacher and analyzing its problems, and presenting the way of the improvement to revitalize the activities of the youth groups. According to the recent study, it is reported that the group activities of the young influence positively the development of the youths. It helps for them not only with the training of body and mind and the cultivation of emotions and the formation of peer culture, but also plays very important roles that prevent them from dropping out of school improving the suitability to the society, and that especially progress the quality of life, increasing the learning the motive and the contentment of the school life. Thus, since the activities of the youth groups are organized mainly with the students, the role of the guidance teacher in school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study of the work contentment in the guidance teachers in the youth groups is very limited and rare so far. This study it contains the survey from the guidance teachers of eight youth groups who work in the secondary schools nationwide and I have analyzed the results from 311 persons. The standard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is KTO(Korea Teacher Opinionnaire) by The Korean Federation of Education Associations(1982) and I also adjusted and replenished it. I divided it into three spheres - the recognition about the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youth group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and the improving plan in the management of the youth's organizations. The subordinate factors of job satisfactions are classified into six - human relationship, undertaken work, working environment, professional extension, recognition status and working complacency. The way of data treatment is to conduct crossing-analysis, job satisfaction, t-verification for primary factors, one way-anova, and interrelation-analysis according to background diversity by SPSS 12.0 program.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cause of becoming the director of a youth group attributes more to himself as he has more teaching career, while it attributes to others as he has lower one.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with his work being higher when he has more teaching career, it turned out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ffects positively the work satisfaction. The teachers who took part in this research answered that the activities of youth groups are beneficial to the voluntary works, the improvement of cooperation spirit, humanity education and their spare time. But they recognized that those aren't helpful to their career and higher education and that the students don't join the activities because of not having enough time for themselves. Secondly, connected with the career satisfaction, among six fields the professionalism extension is the most related to i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is the lowest to it. The general working conditions such as the budget, the arrangement of instructing time, the facilities and space are perceived to be poor. practically,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show higher as the professional career is longer, but that of compensation system such as promotion, an increase in pay, bonus and prize shows lower as it is. If the interrelation of the six factors is examined, it i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 i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the undertaken duty, working environment and compensation system is. The satisfaction of the professionalism extension and that of recognition status are brought out to affect that of compensation system. Thirdly, the scale that a guidance teacher can instruct a youth group effectively turned out to be 16 to 20 students. However, now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m a guidance teacher instruct being "more than 40", there is a striking contrast to the scale which the teachers consider as effective. And to become the teenage groups' activities active the help and understanding of the school supervisor is revealed to be a very important cause, especially to the middle school and the teacher who has lower than 5 year teaching career. The most required things in the coaching activity are the way of youth's guidance, the technique of the mutual function, the spirit of service and pat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guidance teachers and revitalize the activities of youth organization, what should be considered is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m a teacher instruct should be limited. At present a teacher instructs about forty students,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fifteen students which is thought to be efficient. This shows the difficulty from the excess number of the students and the regulation should be provided to limit the number of the students. Secondly, it is needed to formulate a plan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the school supervisor, the co-working teachers and students' parents. All things considered, the way of raising the guidance teacher's satisfaction and the achievement is the influence of the human relationship factor is the greatest. It affects especially to the middle school and the teacher who has lower than 5 year teaching career. When the principal subject is regarded as the activity of the middle students and the training of the new teachers, the help of the people concerned in school is very import medium. The usefulness of youth groups' activities being recognized not to be activated, the change of the policy and system that put the first consideration to higher education examination should be preceded. Thirdly, there is a way that raises the participation of the guidance teachers of the youths' groups and their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professionalism which showed the high satisfaction, it is demanded that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is enforced and the performance rating is reflect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which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the private facility and the space for the youths' activities should be procured, they are arranged in the curriculum to assign for the guidance hour and the budget should be secured. To increase the work satisfaction is demanded a alternative plan that phase-in compensation is prepared. The reward for the excellent supervisor of the school in the youth group's activities should be magnified and it is requested to reflect the promotion system of the teachers. Especially the concentrated investigation is needed in relation to the compensation factor that appeared for them to be more dissatisfied as they have more teaching career. Fourthly, this is the way of increasing the youths' participation. While the youth groups' activities are thought to be beneficial ones, it is very hard in reality to use the extra curricular time because of studying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In this situation the system is prepared that will reflect the activities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o the university and a policy that requires the activities should be promoted. And to limit the immoderate night class for the students to make use of their leisure and recess, the studying hours a day should be restricted, the youth groups' activities be increased in curriculum and the proper program be developed according to it. Fifthly, the groups should develop and distribute the program that can give the students the opportunity for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help for them to choose their career, and the effort is needed to increase the local activities which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inner school activity to connect the community. A politic substitute is requested through the progressed study which can reveal the actual condition of youths' practical use of time and task which they should do i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ce period. The guidance teachers perceive negatively that the youth groups' activities will be reduced in the future. particularly it gives an important implications that those who have plentiful career think their prospects for them negatively. They say that the activities could not grow no more in the situation of being only dependent on the passion and the effort of the guidance teachers. The strong supports of the people concerned in school including the principal and the policy and the system to maintain them are required. It can't be too emphasized that the school, the youth groups, the community and the country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s' lives in order to contemplate their future career, not to concern about the entrance examination. Through more versatile and sustainable researches and studies,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s should be digged out, guidance teachers' satisfaction raised to perform affirmative result for the students, and the direction presented to show the positive influence and for the students to grow up independently.

      • 장애청소년의 중등학교 이후 전환교육 전략 탐색

        김지수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15935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들이 중등학교에서 중등학교 이후 환경으로 전환할 때 필요한 전환교육과 체제 조정 전략에 대해서 탐색하고, 중등학교 이후 기관과 작업 현장에서 장애법률이 청소년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장애청소년의 전환에 있어 실질적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결과중심 전환교육이 중요한 만큼, 중등학교 이후 전환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전략과 그에 따른 과제들을 문헌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연구목적은 첫째, 중등학교 이후 교육의 참여와 프로그램을 탐색하고 둘째, 중등학교 이후 교육으로 전환할 때의 변화와 중등학교 이후 교육으로 전환전략을 밝히며 셋째, 사회 통합으로 전환하는 청소년을 위해 필요한 전략을 탐색·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이후 교육에 참여하는 장애학생들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입학 조건과 학업적 규정을 준비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 입학 후에도 필요한 서비스의 부족, 경제적인 어려움, 비협조적인 조정 등으로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졸업률이 낮고 중도에 포기하는 비율이 높다. 장애청소년들은 중등학교 이후 교육목표로 2년제, 4년제 대학, 직업전문대학 등을 선택할 수 있으나 부차적인 고려사항들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전환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서비스가 필수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중등학교 이후 고용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은 장애정도, 훈련정도에 따라 지속적, 장기적 지원이 없는 경쟁 고용이나 집중적, 확장적 지원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지원 고용, 비장애 노동자들과 분리된 환경에서 일하는 보호 고용을 선택할 수 있다. 둘째, 장애학생들의 중등학교 이후 환경에 성공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자율성, 자기규칙, 심리적 역량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이것을 통한 학생의 자아실현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또한 교육 및 전환계획 수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자기옹호 전략을 지도해야 한다. 장애학생들은 중등학교 이후 교육으로 전환을 계획할 때 기관의 입학요건, 제공되는 지원 서비스, 교육과정의 조정을 파악해야 하고, 자신의 장애를 증명하거나 필요한 조정을 스스로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 성인 서비스 기관 등 지역사회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중등 전환교육 전문가, 학교 상담가, 장애 지원 전문가, 직업 재활 전문가 등의 도움을 받아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서비스를 조정할 수 있다. 성인생활로의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독립생활기술, 학습계획, 학점에 바탕을 둔 전환프로그램, 그 외의 선택과 관련된 실질적인 문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장애청소년들의 실질적인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서 지역사회생활을 위한 기술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사회기술 중 많은 부분은 가정에서 이루어 질 수 있고, 학교에서도 지역사회 상황과 유사한 환경이나 다양한 상황에서 기술을 가르침으로써 일반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ansition education and system modification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transit from secondary education to postsecondary education setting. In addition, how the law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postsecondary education and working places.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are: 1) investigate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2) verify environmental change of transition from secondary education to postsecondary education setting and strategies of effective transition, 3) identify and suggest the needed strategies of adolescen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transitioning into societ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ttend postsecondary education have been increased continually, most of them have had difficult time for preparing entrance requirement.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needed services, economic problem, and noncollaborative modifi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tended to drop out more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dolescen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uld attend postsecondary education setting such as 2 years, 4 years college, or vocational college. However, the systematic support services are required in order to help them to solve the difficulties faced. Adolescen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uld gain their job among competitive employment, supportive employment, or sheltered employment depending on their disabilities and pertained skills. Second, in order for adolescen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postsecondary educational setting, the support to increase autonomy,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re needed. Through these, achieving self-realiz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necessary. In addition, self-advocacy skills for participating in the individualized transitional planning meeting are requir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need to identify the entrance requirement, support service, curriculum modification provided for them and ask educational modification support. Adults agency service, secondary transition experts, school counselor, rehabilitation counselor could cooperate together for providing needed modification service for successful transition of them. In order to prepare transition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o adults life, systematic planning based on independent living skills, academic planning, and academic coursework are necessary. Third, in order to help adolescen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have practical inclusion into society, functional skills for living in local community are necessary. Functional living skills in local community could be taught at home by parents.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so could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functional living skills needed for living in local community by teaching those skills at educational environment similar with real local community.

      • 청소년기 자녀와 갈등경험을 통한 중등여성교사의 전환학습

        우주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1591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을 통한 교사의 전환학습을 중등여성교사의 경험에 주목하여 살펴보면서 자녀와의 갈등 경험이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관점의 변화와 실천으로 이어지는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현재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이 진행 중인 4명의 중등여성교사를 선정하여 엄마로서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경험과 이를 통한 참여자의 학습과정, 학습내용이 학교에서 실천되는 모습에 관한 연구 문제를 갖고 기본적 질적 연구의 측면에서 접근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 참여자의 학습과정 및 내적 변화, 이를 바탕으로 한 학교현장에서의 변화와 실천의 모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청소년기 자녀와의 관계에서 갈등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불신과 불통, 그리고 맞섬 등의 형태로 부딪힘이 발현된다. 그러나 심리적 부침 가운데서 문제해결을 해보려고 하지만 갈등이 해결되지 않고 혹은 심화되는 등의 반복적 상황이 지속됨으로써 무기력한 상태에 놓이게 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의 학습 과정을 살펴보면 유사한 상황이 반복되면서 참여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의도와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됨으로써 적극적인 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보다는 유예의 거리를 두게 된다. 이러한 유예의 과정을 통해 자녀를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심리적이고 물리적 여유를 확보하게 되어 자녀에 대한 분노, 원망 등의 심리적 부침이 안타까움과 측은지심 등으로 전환되어 학습자로 하여금 내려놓음을 시작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내려놓기는 자신을 되돌아보기 위한 성찰의 모습으로 후회와 반성, 참여자 자신의 집착을 인식하고 자신에게 지속적으로 반성적 질문을 던지는 등의 과정과 시행착오를 반복 수행하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을 통한 중등여성교사의 성찰에 의한 변화가 학교현장에서 보이는 변화와 실천의 모습을 사례의 형태로 살펴보았다. 참여자들은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이 교사로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변화된 시선과 실천의 모습이 또 다른 선입견으로 작용되어 교사로서 적합한 지도에 장애를 받을 수 있을지 모른다는 우려 또한 견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을 통해 변화된 모습을 긍정적 지향점으로 두고 있었다. 드러나는 문제의 이면과 본질을 보기위한 섬세한 노력 등을 통해 학생들과의 긍정적 소통 경험이 또 다른 학습으로 이어지게 하는 연결점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드러나는 주요한 논의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등여성교사의 경험을 통한 학습은 선행된 경험이 새로운 경험을 이해하고 새로운 학습의 주요원천이 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을 통해 학교에서 청소년기 학생, 학부모 등과의 관점의 변화를 통한 실천의 모습은 학생을 새로운 관점으로 대하는 원천이 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살펴본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에 의한 전환학습의 과정은 Mezirow(2000)가 제시한 이상적인 전환학습의 과정 10단계와는 차이점을 보였다. 먼저, Mezirow의 전환학습은 충격적 사건을 접할 때 선입견과 기대가 분리되고 인지부조화를 경험함으로써 딜레마를 경험하게 되며 이것이 성찰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서는 참여자들이 갈등 대상과의 심리적·감정적 분리와 유예를 통해 성찰이 시작됨을 보이고 있다. 이어서, 중등여성교사는 자녀와의 갈등 경험을 통한 성찰·내려놓기 과정에서는 Mezirow가 제시한 7단계 새로운 행동을 실천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의 과정을 살펴볼 수 없었다. 직장 일과 가정 일을 병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간적·정신적 여유가 없으므로 기존의 삶의 테두리 안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의존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중등여성교사의 청소년기 자녀와의 갈등 경험이 교사로서 변화와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중등여성교사의 자녀와의 갈등 경험이 개인적 성장과 함께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곧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었다. 이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지향하는 한 인간의 총체적 삶의 맥락이 바탕이 되어, 교사 외적인 삶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발달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교사발달 차원에서 보다 주목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