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 :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의 매개효과

        신선미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와 치매예방교육요구의 관계에서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긍정적인 치매태도로 치매예방교육요구를 높이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인천직할시에 거주하고 있는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중년기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는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태도의 하위변인의 경우 인지적 요소는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행동적 요소는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가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치매태도는 노화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태도의 하위변인의 경우 정서·행동적 요소는 노화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적 요소는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치매태도는 성공적 노화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태도의 하위변인의 경우 인지적 요소는 성공적 노화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행동적 요소는 성공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이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화불안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불안의 하위변인의 경우에는 노인에 대한 두려움, 상실에 대한 두려움, 신체적 외모에 대한 걱정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리적 불안정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공적 노화인식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인식의 하위변인의 경우 심리·사회적 안녕과 자기효능감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상의 안녕은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치매태도와 치매예방교육 요구 간의 관계에서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은 전체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매개변수의 간접효과에서 노화불안은 치매태도와 치매예방교육 요구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공적 노화인식은 치매태도와 치매예방교육 요구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는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인식을 매개로 치매예방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치매에 대한 편견 및 부정적인 태도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올바른 정보제공을 통해 치매태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치매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파악할 수 있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치매태도는 사회적 분위기와 시대적 변화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그 변화의 차이를 파악하여 치매태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년기성인의 치매정책지식을 높이고, 올바른 치매지식과 긍정적인 치매태도를 확립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매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중년기성인의 치매예방교육 요구까지 반영할 수 있는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중년기성인의 치매태도와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인식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 수준에 따라 치매예방을 위한 교육의 요구를 높이는 것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중년기성인의 긍정적인 치매태도의 형성과 노화불안 감소시키고, 성공적 노화인식의 증진으로 치매예방교육 요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여, 노년으로 들어가는 생의 전환기에 있는 중년기성인들이 다가올 노년기에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empirical data to increase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with a positive dementia related attitude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awarenes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nd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of the middle-aged adul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0 middle-aged adults between the ages of 40 and under 65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data collected were verified by using the SPSSWIN 25.0 and the AMOS 25.0 program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of the middle-aged adul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cognitiv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ut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middle-aged adults' dementia related attitude on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ging anxiety.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dementia related attitud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ging anxiety, but the cognitive factors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aging anxiety. Furthermore,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the cognitiv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but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awareness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aging anxiety did not affect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the aging anxiety, fear of loss, fear of the elderly, and concerns about the physical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ut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did not affect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ful perception of ag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sub-variables of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ut the daily well-being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Fourth, in term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nd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overall double mediating effect. However, in terms of the indirect effect of each parameter, the aging anxiety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nd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had no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nd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In the study results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of the middle-aged adults operates a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affects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ased on the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awareness.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an incorrect information about dementia can lead to prejudic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dementia,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through the provision of correct information. H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ffective and continuous dementia related information and repeat studies to understand it. Second, since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can have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the social climate and changes in the times, future studies will ne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f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in the relevant change.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dementia policy knowledge of the middle-aged adults and establish the correct dementia knowledge and the positive dementia related attitude. Furthermore, by using such in various ways, an expanded study that can reflect the demand for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of the middle-aged adults will be needed. Fourth, understanding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 aging anxiety, and successful aging perception level of the middle-aged adults and raising the demand for education for dementia prev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are the socially important tasks. Hence, by presenting various models to help increase the demand for dementia preventive education by forming a positive dementia related attitude among the adults, reducing aging anxiety, and promoting successful aging awareness, it is expected that doing so will contribute to helping the middle-aged adults in the transitional period entering old age toward being healthy and happy in the coming old age.

      •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성인의 외상 후 성장을 통한 지혜 모형

        이상화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8686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성인의 외상 후 성장을 통한 지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Calhoun과 Tedeschi (2006)의 외상 후 성장의 종합 모델을 근거로 가설적 모델을 설정하고 수집된 자료와 가설적 모델의 적합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중년성인의 외상 후 성장을 통한 지혜모형의 외생변수는 고통, 내생변수는 의도적 반추, 자기 노출, 사회적 지지, 외상 후 성장, 지혜이며 가설적 모델에 설정된 직접 경로는 모두 9개였다. 자료는 2019년 11월 28일부터 2020년 1월 10일까지 D시, T시, K도, J도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년성인을 편의 표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자료 438부를 SPSS WIN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여 가설적 모델을 검증한 결과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RMSEA .08(.07∼.09), TLI .92, CFI .93, SRMR .06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변수 간의 경로 중 고통에서 의도적 반추, 고통에서 자기 노출, 의도적 반추에서 자기 노출, 의도적 반추에서 사회적 지지, 자기 노출에서 사회적 지지, 의도적 반추에서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에서 지혜로 가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고통에서 외상 후 성장으로 가는 경로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고통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 고통과 자기 노출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의 간접효과, 의도적 반추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서 자기 노출의 간접효과,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에서 사회적 지지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고통,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는 외상 후 성장 변인의 56%를 설명하였으며, 외상 후 성장은 지혜 변인의 42%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의도적 반추는 자기 노출과 사회적 지지를 촉진시키는 변인임이 밝혀졌고, 자기 노출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므로, 의도적 반추가 충분히 일어난 중년성인에서는 의도적 반추에 초점을 맞춘 간호 중재보다는 자기 노출과 사회적 지지에 초점을 맞춘 간호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에 외상사건을 경험한 중년성인에게 외상사건의 경험에 대한 자기 노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 자기 노출을 격려할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할 것이며, 자기 노출이 있는 경우라면 외상 관련 자조모임 등을 만들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외상 후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외상 후 성장을 통한 지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중년성인의 외상사건 경험이 고통을 넘어 외상 후 성장과 지혜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년을 준비하는 중년성인 대상자에게 외상 후 성장 및 지혜에 이르게 하는 전 과정에 각각 개별화된 중재를 마련하여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간호서비스를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established a hypothetical model based on A comprehensive model of PTG by Calhoun and Tedeschi (2006)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isdom through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raumatic events. It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hypothetical model. The exogenous variable was distress, and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deliberate rumination, self disclosure, social support, posttraumatic growth, wisdom and 9 paths are set in the hypothetical mode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28, 2019 to January 10, 2020, and conveniently collected middle-aged adults aged 40 to 59 living in D, T, K, and J provinces. 438 copies of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6.0 and AMOS 26.0 program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tical model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the goodness-of-fit index of the model was RMSEA .08 (.07~.09), TLI .92, CFI .93, SRMR .06. The direct path from distress to deliberate rumination, from distress to self disclosure, from deliberate rumination to self disclosure, from deliberate rumination to social support, from self disclosure to social support, from deliberate rumination to posttraumatic growth, from social support to posttraumatic growth and from posttraumatic growth to wisdo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rect path from distress to posttraumatic growt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indirect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and self disclosure, indirect effects of self discl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identified. Distress, deliberate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accounted for 56%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growth accounted for 42% of wisdom. In middle-aged adults with sufficient deliberate rumination, the need to develop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cused on self disclosure and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rather than nursing intervention focused on deliberate rumination. In addition, since the path from posttraumatic growth to wisdo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 wisdom development nursing intervention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to overcome distress and develop into posttraumatic growth and wisdom on middle-aged adults who experienced traumatic event.

      •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박현정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과 홍보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40~64세 중년 성인 230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5일부터 2023년 6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다음과 같다. Ajzen(1991)의 계획된 행위이론의 하위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는 이규은(2014)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영향요인을 연구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했다. 웰다잉 인식은 정유진(2022)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 SPSS 28.0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년 성인의 연령 평균은 46.74±6.29세이었고, 130명(56.5%)이 여자였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 185명(80.4%)으로 가장 많았다. 종교는 없음이 121명(52.6%)으로 가장 많았고, 학력은 대졸 이상이 157명(68.3%)으로 가장 많았다. 직업은 있는 사람이 180명(78.3%)이었으며, 월 소득은 500만 원 이상이 88명(38.3%)으로 가장 많았다. 여가생활을 하는 사람이 170명(73.9%)이었으며, 본인이 건강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138명(60.0%)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 3년 이내 주변인 사망을 경험한 사람이 133명(57.8%)으로 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164명(71.3%)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건강한 상태일 때 작성하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78명(33.9%)이었다. 2. 중년 성인에 대한 웰다잉 인식은 총 5점 만점에 3.82점 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는 7점 만점에 5.30점이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7점 만점에 4.80점이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만점에 5.25점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7점 만점에 5.18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나이(F=3.45, p=.033), 학력(F=7.27, p<.001), 직업(t=-2.16, p=.032),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지(t=-4.62,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시기(F=2.69, p=.047)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의도는 신체적 웰다잉 인식(r=.29, p=<.001), 심리적 웰다잉 인식(r=.34, p=<.001), 사회적 웰다잉 인식(r=.34, p=<.001), 영적 웰다잉 인식(r=.26, p=<.001), 독립적 웰다잉 인식(r=.32, p=<.001), 자율적 웰다잉 인식(r=.41,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r=.67,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r=.44,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r=.57, p=<.001)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작성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태도(β=.43,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주관적 규범(β=.23, p<.001),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β=.16, p=.020), 적절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시기 중 건강한 상태일 때(β=.12, p=.021) 순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의 설명력은 52%였다.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하여 중년 성인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다양한 연령대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40~65세를 대상으로 하여 연령별 인구 비율대로 조사하지 못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무리가 있었다. 추후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를 제언한다.

      • 치매 위험요인이 중년후기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을순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치매 위험요인이 중년후기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거주하는 50 ~ 64세의 중년후기성인 221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6월 2일부터 7월 25일까지였으며,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치매 인식도, 시각적 상사 척도(VAS), 치매예방행위, 국제신체활동설문지 단문형(IPAQ-short form), 한국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우울증 선별도구(PHQ-9) 및 Short Form-12 Health Survey Questionnaire version 2 (SF-12v2)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Chisquare-test, ANOVA, Scheffe’s test,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54.64(± 3.82)세였고, 성별은 여성이 65.6%, 결혼상태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90.0%, 교육은 대학교 졸업 이상이 63.8%, 직업은 있는 경우가 81.4%, 월평균 가구소득은 325만 원 이상이 6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나. 연구대상자의 치매지식은 11.14(± 1.82)점이었고, 치매발병불안은 3.82(± 2.61)점이었으며, 치매예방행위는 28.17(± 3.39)점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연속형 점수는 2,850.29(± 4,948.51) MET-min/week이었고, 걸으면서 보낸 시간은 58.46(± 77.43)분, 앉아서 보낸 시간은 223.48(± 177.81)분이었으며. 비활동 41.2%, 최소한의 활동 29.4%, 건강증진형 활동 29.4%였다. 수면의 질은 4.77(± 3.13)점이었으며, 좋은 경우가 87.8%였다. 우울은 2.36(± 3.15)점이었으며, 우울증상이 없는 경우가 96.4%였다.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이 301.61(± 76.42)점이었으며,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317.25(± 64.78)점이었다. 다.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성별, 직업유무, 월평균 가구소득, 기억력 감퇴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t = 3.28, p < .01; t = -2.19, p = .030; F = 14.06, p < .01; F = 9.45, p < .01, respectively), 남성, 직업이 있는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211만 원 이상 325만 원 미만인 경우, 기억력 감퇴가 없는 경우에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결혼상태, 월평균 가구소득, 기억력 감퇴 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t = -2.65, p < .01; F = 6.03, p < .01; F = 9.26, p < .01, respectively), 배우자가 있는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이 211만 원 이상 325만 원 미만인 경우, 기억력 감퇴가 없는 경우에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라. 치매 위험요인(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F = 4.12, p = .017; t = 5.01, p = .001; M = 274.00, p = .001, respectively), 치매 위험요인(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 또한 신체활동, 수면의 질, 우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 = 4.39, p = .014; t = 4.47, p = .001; M = 163.00, p = .001, respectively). 신체활동이 건강증진형 활동인 경우, 수면의 질이 좋은 경우, 우울증상이 없는 경우에 신체적,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마. 상관분석 결과, 치매발병불안, 수면의 질, 우울과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 = -.25, p < .01; r = -.32, p < .01; r = -.24, p < .01, respectively), 치매예방행위와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 = .17, p = .011). 치매발병불안, 수면의 질, 우울과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 = -.26, p < .01; r = -.29, p < .01; r = -.32, p < .01, respectively), 치매예방행위, 신체활동과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 = .24, p < .01; r = .18, p = .009, respectively). 바.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 결과,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는 월평균 가구소득(β = .31)과 기억력(β = -.22)으로 파악되었으며, 29.9%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변수는 월평균 가구소득(β = .19)과 우울(β = -.26)로 확인되었으며, 25.1%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치매 위험요인이 중년후기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중년후기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재와 관련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중년 성인의 향유신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이유진 상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향유신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도, 강원도, 경상도에 거주하고 있는 40∼50대 중년 성인 305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중년 성인의 향유신념과 낙관성의 상관관계는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와도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낙관성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이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향유신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낙관성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유신념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향유신념이 낙관성을 증가시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relations between savoring beliefs and life satisfation of middle aged adult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in these relationship. This research subjects are 305 adults in forties and fifties residing in Seoul, Kyounggi Province, Kangwon Province and Kyongsan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among savoring beliefs, optimis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 aged adults. Second, optimism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etween savoring belief and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while savoring belief directly affects life satisfaction, it also increases optimism, which affects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 자비명상집단상담이 성인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운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8

        This study researched middle aged adults and the process of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and overcoming various emotional pain through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research volunteers are who have studied mind study for at least a year and exposed to meditation but they have not practiced Loving-Kindness meditation intensively. Therefore, the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Loving-Kindness as a factor of happines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the practice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personal meditation journal, interview, and group counseling.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o the adults' self-esteem enhancement, the promotion of happiness and the spread of Positivity and Loving-Kindness under the premise that enhancement of Loving-Kindness, which is one of Buddhist idea ingrained within our national emotion, can act as a guide for solving psychological problems in mid-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hich is the experiment group, are nine students learning Mind Healing and subjects voluntarily participated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by sharing three hours per week and a total of eight times. Students who have not learned this program are classified into the controlled group and had ex-ante and ex-post survey don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research problems are set as below: Research Problem 1. Is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effective to the promotion of adults' happiness? Research Problem 2. Is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effective to the promotion of self-Loving-Kindness?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borrows 'Thank you Loving-Kindness meditation program written by Monk Maga and Joo Young Lee. The subjects practiced Loving-Kindness meditation, meditational breathing, walking meditation and meditational relaxation for fifty minutes a week. Also the subjects had practiced at home daily and had written a meditation journal for themselves. This study is to prove effectiveness of the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thus practiced a structured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o targeted mid-aged adults. Each counseling has following process: Opening meditation, Setting a goal, Program activity, Sharing(Group counseling) and Final meditation. To verify effectiveness of program, both the experiment and controlled group consists of ten persons, and are surveyed a happiness scale and a self-Loving-Kindness scale before and after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this study applied SPSS 18.0 statistics program. Consequently, on the happiness scale test, the experiment group practiced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d only social-political-cultural environment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Therefore,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iveness on the promotion of happiness part of the research problem 1.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iveness on the Self-Love part of the Research problem 2. Since the subjects has studied Mind-healing instructor course and exposed to meditation for more than a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iveness on the ex post survey after eight times of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owever, it is seen that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on the promotion of happiness by meditation journals and psychological changes through group counseling. the experiment group practiced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happiness, mindfulness, social relations and self-Loving-Kindness. Hereby Loving-Kindness meditation group counseling is verified that it has positive effects on the promotion of mid-aged adults' happiness and the quality of life by enhancing self-Loving-Kindness and social relations.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들이 자비명상집단상담 수련으로 생활사건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정서적 고통을 극복하고 자기자비심의 향상으로 행복감이 증진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1년 이상 마음공부를 해온 성인으로 명상수련의 경험이 있으나 자비명상을 집중적으로 수련하지는 않았으므로, 매 회기 수련 후 기록한 개개인의 명상일지나 수행 인터뷰, 집단상담 나누기와 자비명상 실참을 통하여 자비가 행복의 변인으로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우리 민족의 정서에 배어 있는 삶의 양식인 다양한 불교 사상 중 다른 사람의 변화에 상호 작용하는 자비심 증진이 중년기에 겪는 정신적 갈등의 자연스러운 길잡이 역할이 가능하리라는 가설 하에 성인의 자기자비심 향상으로 인한 긍정심리의 확산으로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동국대 평생교육원에 개설된 마인드힐링지도사 과정을 공부하는 사람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9명에게 주 1회 3시간 8회기 동안 자비명상 실참과 구조화된 집단상담프로그램 후 나누기룰 통한 자기자비심 증진과 행복감 증진을 연구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별도로 공부하지 않는 나머지 사람들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자비명상집단상담이 성인의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2. 자비명상집단상담이 성인의 자기자비심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집단상담프로그램은 자비명상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만든 마가스님· 이주영 공저인『고마워요 자비명상』책에 소개된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활용했다. 자비명상을 비롯한 호흡명상, 걷기명상, 이완명상 등 실참을 주 1회 만날 때마다 50분 이상씩 하고 매일 집에서 짧은 시간이라도 자비명상을 스스로 하고 명상일지를 쓰도록 지도하였다. 회기별로 수련시작 명상, 목표제시, 집단상담프로그램 활동, 나누기(집단상담), 마무리 명상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모집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행복감 척도, 자기자비 척도를 설문 검사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비명상집단상담프로그램 실시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프로그램으로 SPSS 18.0 활용했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자비명상집단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행복감 척도 사전 사후 검사에서 사회·정치·문화 환경 항목에서만 효과가 있어 연구문제 1.의 행복감 증진 항목에서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 연구문제 2.의 자기-자비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다. 마인드힐링지도사 과정을 공부하면서 명상을 1년 이상 경험한 실험집단의 한계로 측정도구인 설문조사 분석에서 행복감이라는 주관성이 강한 설문에는 통계상 유의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기자비 증진은 통계상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고, 매 회기 제출된 명상일지나 집단상담을 통하여 자비명상집단상담프로그램이 삶의 행복감을 증진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중년 성인의 분리 : 개별화, 자기분화, 자기초월 관련성

        박정숙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ssociations among separation-individuation, differentiation of self, self-transcendence and to explore whether differentiation of self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transcendence. In order to do so, 350 middle-aged adults between 40 and 64 participated by completing the Separation-Individuation Scale(SIS), the Korean Self-Differentiation Inventory(KSDI), and the Transcendental Self Scale(TSS). Furthermore, correlations and a pass model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selected variables. As a result, firstly, separation-individu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ree subscales of KSDI and self-transcendence. Secondly,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ree subscales of KSDI and self-transcendence. And only one subscale of KSDI: intrapsychic division had positive effect on self-transcendence. Thirdly, only one subscale of KSDI: intrapsychic divi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transcend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wo subscales of KSDI: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vision and emotional fus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self-transcende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분리-개별화, 자기분화 및 자기초월이 어떤 관계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분리-개별화와 자기초월과의 관계를 자기분화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40세~만64세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분리-개별화, 자기초월, 자기분화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심리내적차원, 대인관계차원, 정서적 융합을 측정하였으며, 상관관계와 경로분석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개별화는 자기분화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심리내적차원, 대인관계차원, 정서적 융합 그리고 자기초월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분리-개별화는 자기분화의 세 하위요인과 자기초월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또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심리내적차원은 자기초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반면 대인관계차원과 정서적 융합은 자기초월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분리-개별화가 자기초월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심리내적차원만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차원과 정서적 융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이 중년기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 은퇴태도의 매개효과

        정윤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the middle-aged crisi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iddle-aged men and women bas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or about a week from October 19 to October 25, 2022. The subjects conducted a survey of 380 people aged 50 to 64 and with adult children. A total of 380 copies of the data were collected. There were no non-responses and no responses were omitted in the survey. Therefore, a total of 380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cess Macro Model 4,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was as follows.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middle-aged crisis, and retirement attitude which are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as analyzed.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burde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the middle-aged cri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Ne t, the economic support burden, instrumental support burden, and emotional support burden, which are sub-factors of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l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iddle-aged crisis. In addition,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retirement attitu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the economic support burden and retirement attitude, which are sub-factors of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were not significant. The instrumental support burden and retirement attitu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emotional support burden and retirement attitude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Finally, it showed that retirement attitude and middle-aged crisi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Ne t,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middle-aged crisis, and retirement attitude. The analysis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the middle-aged crisis had a positive effect. The economic support burden, a sub-factor of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iddle-aged crisis. However, the instrumental support burde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iddle-aged crisis. The burden of emotional suppor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middle-aged crisis. Ne t,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retirement attitude had a negative effect. However, the economic support burden and instrumental support burden, which are sub-factors of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attitude. The burden of emotional support showed a negative effect on retirement attitud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ttitude and middle-aged crisis had a negative effect. Fin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the middle-aged cri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retirement attitud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situations of adult children and middle-aged parents by defining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It is also meaningful by deriving results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iddle-aged crisis and the impact of retirement attitudes. Through this study, it is e pected that basic data can be provided for the middle-aged generation e periencing crisis due to the burde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 thereby forming evid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afety net systemdue to policy development by counseling institutions and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Through this study, it is e pected that basic data can be provided for the middle-aged generation e periencing crisis due to the burde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 thereby forming evid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afety net system due to policy development by counseling institutions and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중년기위기감과의 관계에서 은퇴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소재의 중년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대상자들은 만 50세 이상 만 65세 미만이며 성인자녀가 있는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설문은 2022년 10월 19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일주일간 온라인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총 380부의 자료를 수집했다. 무응답 및 응답 누락은 없었기 때문에 총 380부의 자료를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Process Macro Model 4모델과 함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 중년기위기감, 은퇴태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선,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중년기위기감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지원부담과 도구적 지원부담, 정서적 지원부담 모두 중년기위기감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은퇴태도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지원부담과 은퇴태도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도구적 지원부담과 은퇴태도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정서적 지원부담과 은퇴태도 또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은퇴태도와 중년기위기감은 부적상관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 중년기위기감, 은퇴태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중년기위기감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지원부담은 중년기위기감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구적 지원부담은 중년기위기감과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정서적 지원부담은 중년기위기감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은퇴태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지원부담과 도구적 지원부담은 은퇴태도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정서적 지원부담은 은퇴태도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은퇴태도와 중년기위기감의 영향관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중년기위기감과의 관계에서 은퇴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은퇴태도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매개효과의 통계적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을 정의하여 성인자녀와 중년 부모의 상황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중년기위기감과의 관계 및 은퇴태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도출해냄으로써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자녀지원에 대한 부담감을 느낌에 따라 위기를 경험하는 중년세대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상담 기관 및 관련 정부부서의 정책 개발을 통한 사회적 안전망 시스템 구축에 근거자료를 형성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도시와 농촌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성과인식의 관계

        김진희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9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기회와 학습자원을 중심으로 ‘지역 평생학습 지원체제’를 만들어지고, 현대 사회 한국 중년기 성인 여성들은 가족주기의 변화와 여가시간의 증가로 평생교육의 참여를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학습자의 참여기회 확대를 위해 학습자의 학습 참여 후 성과인식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알아보고, 그들이 성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의 주거지를 기준으로 하여 도시와 농촌간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성과인식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그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편의표집법을 활용하였으며, 도시와 농촌의 중년여성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평생교육기관을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Window SPSS 20.0) 한글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타당도와 신뢰도검증을 위한 요인분석과 Cronbach a 계수분석, 기초통계분석을 위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참여동기의 하위변인 중 활동지향형 참여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인 성과인식의 하위변인 중 지적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참여동기의 하위변인과 성과인식의 하위변인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셋째, 독립변인인 참여동기는 종속변인인 성과인식의 하위변인 중 지적 영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영역과 진로 및 취업 영역 영역에 미치는 영향 또한 높게 분석되었다. 넷째, 참여동기 변인 분석결과 농촌의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가 도시의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농촌에서는 목표지향형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반면, 도시에서는 활동지향형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과인식 변인 분석결과 도시의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성과인식이 농촌의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성과인식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도시에서는 지적성과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반면, 농촌에서는 진로 및 취업 영역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 참여의 목적이 진로확대나 취업의 목적으로만 참여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의 정체성과 자아실현을 위해 배우려는 학습의 욕구가 크다고 볼 수 있고, 평생학습에서의 긍정적인 성과인식을 위해서는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정확하게 이해, 파악하여 그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그들의 성과인식 또한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 중년여성 성인학습자, 평생학습 참여동기, 성과인식

      • 중년기 성인의 세대 간 부모-자녀 관계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

        이경화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세대 간 부모-자녀 관계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로서 노부모에 대한 인식과 자녀에 대한 인식을 Q-연구방법론을 통하여 유형별로 분류하고 특징을 살펴본다. 이러한 두 가지 인식유형 연구를 연결하여 탐색함으로써 다세대적 관점을 통찰하고자 한다. 중년기 성인은 노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의 관계를 동시에 경험하므로 두 세대 사이를 연결하는 상호작용을 가지며, 세대 간 관계를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년기 성인의 노부모와의 관계 및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유형을 양방향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세대적 관점의 변화와 통찰을 주어 삶의 방향성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론적 근거는 가족체계이론 중 보웬의 다세대 모델, 사티어의 경험적 모델, 미누친의 구조적 모델을 중심으로 한다. 세 가지 이론과 모델은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이해와 개념적 분석에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세 가지 이론을 통해 부모-자녀 관계의 인식과 다양성을 탐색한다. Q-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중년기 성인의 노부모와 자녀에 대한 인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연구 대상은 40세∼65세 중년기 성인으로 노부모와 자녀가 있는 자로 목적 표집하고, 연구 절차는 구조화된 설계와 방법론을 따라 진행된다. 연구의 기본구조는 동일한 연구대상자 40명에게 두 가지 Q-연구를 각각 진행한다. ‘노부모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와 ‘자녀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를 양방향으로 진행하여 다세대적인 접근 방식으로 분석한다. Q-sorting 방식을 활용하여 4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진술문 1과 진술문 2를 각각 분류한다. 자료 분석은 Ken-Q Analysis 통계 도구를 사용하여 중년기 성인의 노부모와 자녀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한다. 연구 결과는 두 가지 연구에 대한 각각의 결과와 두 연구에 대한 탐색으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된다. 첫째 ‘노부모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에서 중년기 성인은 노부모에 대한 4가지 유형이 도출된다. 유형 1 ‘안정된 지속을 원하는 자기분화형’에서 중년기 성인은 지속적인 안정감과 긍정적인 정서적 교류를 중시하며, 이러한 인식은 유년 시절의 격려와 지지로부터 비롯된다. 유형 2 ‘친밀감에 대한 이중적 태도형’은 복잡한 감정의 교차가 특징이며, 이 유형의 중년기 성인은 노부모와의 친밀감을 가지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노부모에 대한 책임과 부담을 인식하고 있다. 유형 3 ‘노부모의 사회활동 갈망형’의 중년기 성인은 노부모의 사회적 자유와 독립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며, 노부모의 독립적 삶에 대한 지지를 보여주는 유형이다. 유형 4 ‘진정성의 소통 요구형’의 중년기 성인은 노부모와의 관계에서 진정성 있는 소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어린 시절 성장 과정에서 부모와 관계에서 현재까지 소통과 관계 변화를 원하는 유형이다. 둘째 ‘자녀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에서 중년기 성인의 자녀에 대한 4가지 유형이 도출된다. 유형 1 ‘자녀의 정서적 안정 추구형’에서 중년기 성인은 자녀와 관계에서 공감적 이해 및 연결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부모로서 자녀에게 안정감을 주는 것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유형 2 ‘파트너로서의 부모형’에서 중년기 성인은 부모로서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자녀를 격려하려는 노력과 자녀의 독립적 성장을 지원하는 비간섭적 양육 방식이 병행되는 유형이다. 유형 3 ‘경계선 재설정 필요형’의 중년기 성인은 부모-자녀 관계의 긍정적 변화를 원하며, 발달 단계에 따른 자녀와의 경계선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유형으로 자녀를 격려하고 지지하려는 인식을 가진 유형이다. 유형 4 ‘세대 간의 경청과 이해형’의 중년기 성인은 세대 간의 격차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부모와 자녀의 역할 간 명확한 경계를 정립하려고 노력하며, 부모-자녀 관계를 서로 상호존중의 관계로 인식하는 유형이다. 셋째 두 가지 연구의 다세대적 탐색에 대한 결과로서 중년기 성인의 관점으로 바라본 노부모와 자녀에 대한 관계성을 다섯 가지 세부적 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본다. 유형 간 비교 분석, 주제와 패턴 식별, 이론적 틀과의 연계와 통합, 연결성 탐색, 교차 분석적 접근 등의 방법을 통하여 노부모에 대한 인식과 자녀에 대한 인식이 서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들은 다세대 관점의 통찰을 제공할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고, 세대 간 부모-자녀 관계성에 관하여 양방향 관점을 이해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논의에서 ‘노부모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는 과거의 부모-자녀 관계성에 관한 긍정성이 높다고 하여도 현재와 미래의 관계성 유지와 개선의 노력을 통하여 노부모와 중년기 자녀의 역할과 행동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논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부모와 관계성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자녀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는 자녀와 관계에서 상호존중, 이해, 지지를 기반으로 한 균형 잡힌 상호작용을 추구해야 한다고 논한다. 이를 바탕으로 자녀 사이의 건강한 관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나가야 한다. 두 가지 연구에 대한 양방향 탐색의 관점은 노부모에 대한 인식유형과 자녀에 대한 인식유형 모두 개별적 연구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서로 연결된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년기 성인은 노부모와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자녀와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를 위하여 노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에게 각각의 관계 재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에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제시한다. 노부모에 대한 4가지 인식유형은 중년기 성인이 노부모를 바라보는 방식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반영하며, 유형별 상담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상담심리학 분야의 학술적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자녀에 대한 4가지 인식유형은 중년기 성인이 자녀를 바라보는 방식과 자녀와 관계 개선을 위한 유형별 방안들이 나타난다. 두 가지 연구의 결과를 탐색하여 중년기 성인의 세대 간 부모-자녀 관계성에 대한 세대 간 이해를 제공하고, 심리상담 임상 현장에서 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년기 성인의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보다 다양한 이해와 다세대적 통찰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를 가지며, 상담심리학 분야에서 부모-자녀 관계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상담 개입 전략과 부모 교육과 가족 상담의 기초 자료로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세대 간 부모-자녀 관계성에 대한 인식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하지만 연구대상자의 다양성과 인식과 행동 간 연결고리에 대한 제한이 있다. 후속 연구 방향으로는 표본 확장, 인식과 행동 탐구 강화, Q-연구방법론 개선, 중년기 상담 기법 개발, 다양한 연령대 및 성별 고려, 그리고 가족 전체 관계망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언은 중년기 성인의 부모-자녀 관계성에 대한 심화된 이해와 상담 분야에서의 효과적인 개입 방법을 도출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subjective exploration of the intergenera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s among middle-aged adults, categorizing and examining perceptions towards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Q-methodology. By connecting these two types of perception studies, it aims to gain insights from a multigenerational perspective. Middle-aged adults experience relationships with both the elderly parent generation and the child generation, thus playing a key role in understanding and improving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The main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types of middle-aged adults towards their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bidirectionally. Through this, the study seeks to provide insights and changes in a multigenerational perspective, aiding in life directi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is based on family systems theory, focusing on Bowen's Multigenerational Model, Satir's Experiential Model, and Minuchin's Structural Model. These three theories and models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conceptually analyz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Through these theories, the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and diversity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This study utilizes Q-methodology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middle-aged adults towards their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The research subjects are purposefully sampled individuals aged 40 to 65 years, who have both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The research procedure follows a structured design and methodology. The basic structure of the study involves conducting two separate Q-studies with the same 40 research participants. The 'Perception Types Study on Elderly Parents' and the 'Perception Types Study on Children' are conducted bidirectionally to analyze through a multigenerational approach. Utilizing the Q-sorting method, Statement 1 and Statement 2, each consisting of 40 items, are categorized. Data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the Ken-Q Analysis statistical tool to derive perception types of middle-aged adults towards their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This study is a subjective research on intergenera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s among middle-aged adults, categorizing and examining the perception types towards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two Q-methodological studies. By connecting these two perception type studies, it aims to gain insights from a multigenerational perspective. Firstly, in the 'Perception Types Study on Elderly Parents,' four types of perceptions among middle-aged adults towards their elderly parents are identified. Type 1, 'Desiring Stable Continuity - Self-Differentiation,' shows middle-aged adults valuing continuous stability and positive emotional exchange, rooted in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their childhood. Type 2, 'Ambivalence Towards Intimacy,' is characterized by complex emotional crossroads, where middle-aged adults feel close to their elderly parents but also recognize the responsibilities and burdens. Type 3, 'Desiring Social Activity for Elderly Parents,'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social freedom and independence for the elderly, showing support for their independent living. Type 4, 'Seeking Authentic Communication,' emphasizes the need for genuine communication with elderly parents, desiring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since childhood. Secondly, in the 'Perception Types Study on Children,' four types of perceptions among middle-aged adults towards their children are identified. Type 1, 'Seeking Emotional Stability for Childre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mpathetic understanding and connection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with an emphasis on providing stability as a parent. Type 2, 'Parent as a Partner,' involves middle-aged adults encouraging their children based on their parental experience and knowledge, combined with a non-interfering approach to support their independent growth. Type 3, 'Needing Boundary Reassessment,' desires positive change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recognizes the need to reset boundaries with children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maintaining an attitude of encouragement and support. Type 4, 'Generational Listening and Understanding,' aims to minimize generational gaps while establishing clear boundaries between parental and child roles, perceiv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s one of mutual respect. Thirdly, the results of the multigenerational exploration of both studies are examined through a five-part detailed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middle-aged adults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Methods such a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ypes, identification of themes and patterns, linkage and integration with theoretical frameworks, exploration of connectivity, and cross-analytical approach are used to examine how perceptions towards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are interconnected. These analyses provide insights from a multigenerational perspective, demonstrating the need to understand and apply a bidirectional approach to intergenera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discussion, the 'Perception Types Study on Elderly Parents' argues that even if the past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positive, continuous effort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relationship are necessary for both elderly parents and middle-aged children. Based on this, new approaches to the relationship with elderly parents should be explored. The 'Perception Types Study on Children' discusses the need for balanced interactions based on mutual respect, understanding, and support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Based on this, efforts should be made to build and maintain healthy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continuously seek ways to improve them. The bidirectional exploration perspective of both studies demonstrates that while the 'Perception Types Study on Elderly Parents' and the 'Perception Types Study on Children' each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s individual studies, they are interconnected through mutual interactions. Middle-aged adults form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elderly parents. This shows that for a healthy parent-child relationship, both the elderly parent generation and the child generation need to reconsider and reset their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conclusion presents the following directions: The four perception types towards elderly parents reflect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how middle-aged adults view their elderly parents. These types can be utilized as academic material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for type-specific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program development. The four perception types towards children reveal how middle-aged adults view their children and the type-specific approaches for improving relationships with them. Exploring the results of both studies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intergenera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s among middle-aged adults and offers ways to explore counseling interventions in the clinical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Therefore, the significance lies in providing a more diverse understanding and multigenerational insights in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of middle-aged adults. This holds valu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improv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as a basis for parent education and family counseling. This study demonstrates the diverse aspects of middle-aged adults' perceptions of intergenerational parent-child relationships. However, it is limited by the diversity of research subjects and the connection between perception and behavio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clude expanding the sample size, strengthening the exploration of perception and behavior, improving Q-methodology, developing counseling techniques for middle-aged individuals, considering various age groups and genders, and analyzing the entire family relationship network. These suggestions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of middle-aged adults and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in the field of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