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동포에 대한 위협인식과 소셜미디어 의존이 중국동포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대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통합적 위협이론과 소셜미디어 의존 모델을 바탕으로

        박혜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uses integrated threat theory to analyze the Korean people’s prejudiced attitudes toward Korean-Chinese and their psychological mechanisms, and explores within its framework the effects of social media dependency. It first examines how four basic types of perceived threats―realistic threat, symbolic threat, negative stereotype and intergroup anxiety―affect Koreans' discriminatory attitudes (prejudice), social distance, conversational behavior (non-accommodative behavior),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oward Korean-Chinese and online and offline storytelling about them. It then examines the impacts of social media dependency on Koreans' prejudiced attitudes and conversational behaviors toward Chinese with Korean ethnicity.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media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70 threats, prejudiced attitudes and conversational behavior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of 514 respondents in Seoul was conducted, of which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four types of perceived threa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ejudiced attitudes and conversational behaviors toward Korean-Chinese. It also showed that social media dependency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rejudice toward Korean-Chinese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toward and online and offline storytelling about them. As regards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ymbolic threats and social media dependency mediated prejudice toward Korean Chinese, whereas the interaction between intergroup anxiety and social media dependency reinforced social distanc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effects of perceived threats on Koreans' attitudes toward Chinese with Korean ethnicity are related to the level of social media dependency. Based on such results, this paper discusses how perceived threats and social media dependency affect Koreans' prejudiced attitudes and conversational behaviors toward Korean-Chinese, using the integrated threat theory and social media dependency model. 본 연구는 중국동포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행동의 심리적 기제를 통합적 위협이론으 로 접근하고, 통합적 위협이론 메커니즘에서 소셜미디어 의존 효과를 탐색했다. 중국 동포에 대한 현실적 위협인식, 상징적 위협인식, 부정적 고정관념, 불안∙불확실성이 중국동포에 대한 차별적 태도(편견, 사회적 거리감)와 대화 행동(비수용적 커뮤니케 이션 행동, 정보추구 행동, 온∙오프라인 스토리텔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후, 소셜 미디어 의존이 중국동포에 대한 차별적 태도와 대화 행동 각 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했다. 더불어, 통합적 위협인식과 차별적 태도 및 대화 행동의 관계에서 소셜미디 어 의존의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거주민 5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중국동포에 대한 4가지 위협인식이 차별적 태도, 대화 행동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소셜미디어 의존은 중 국동포에 대한 편견과 부(-)적인 관계, 정보추구행동과 온∙오프라인 스토리텔링에는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상징적위협인식과 소 셜미디어 의존의 상호작용이 중국동포에 대한 편견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불 안∙불확실성과 소셜미디어 의존의 상호작용은 사회적 거리감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국동포에 대한 위협인식이 차별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소셜 미디어 의존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국동포에 대한 통합적위협인식과 소셜미디어 의존이 차별적 태도와 대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 위협이론과 소셜미디어 의존 모델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 중국동포여성의 노인돌봄노동시장 진입과 지속의 제도적 맥락에 관한 연구

        서종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반적 질적연구를 통해 중국동포여성의 노인돌봄노동시장 진입과 지속에 제도적 맥락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요양보호사 및 간병인 등 노인돌봄노동에 종사하는 중국동포여성 15명과 간병협회, 재가요양센터의 실무자 및 민간 행정사 등 중국동포여성들의 노인돌봄노동과 연관된 관계자 4명을 포함한 총 19명을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제도는 노동, 복지, 노인돌봄제도 등 다른 제도 그리고 성별, 인종(혹은 민족) 등 사회·문화적 요소와 맞물려 중국동포여성의 노동과 체류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중국동포의 주요 체류자격인 방문취업(H-2) 자격은 중국동포의 비전문·단순 서비스업으로의 진입을 유도한다. 노인돌봄노동시장 진입 이전 참여자들의 노동 역시 식당, 가사서비스, 제조업 등 2차 노동시장이 중심이었다. 참여자들의 2차 노동시장에서의 노동 경험은 저임금 및 장시간의 노동, 고용과 사회보장에서의 배제 등 불안정 노동으로 요약된다. 방문취업(H-2) 자격의 ‘느슨한 구직 규정’은 ‘시장화된 구직’을 유도하는데, ‘시장화된 구직’은 고용주의 편법 및 참여자들의 ‘정보 비대칭성’과 맞물려 사회보장과 체류의 문제를 일으킨다. 노동이 중단된 기간 동안 실업급여나 퇴직금 등 소득을 보존할 사회보험의 혜택을 받지 못하기에 일을 중단한 기간은 돈이 소비되는 시간이 된다. 그렇기에 중국에서의 단기적 체류를 포함하여 일을 중단된 기간은 참여자들에게 ‘소비되는 시간’으로 인식된다. 참여자들은 자본 축적의 어려움과 한국과 중국에서의 인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은퇴 연령이 가까워짐에도 노등을 지속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들은 기존 노동시장에서 예전과 같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기존 노동시장 참여를 제약하는 재외동포(F-4) 자격으로의 변경 역시 이러한 원인 중 하나이다. 그렇기에 참여자들은 간병 특히 병원 간병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 역시 이주제도의 영향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간병이 방문취업(H-2) 자격과 재외동포(F-4) 자격 모두 진입 가능한 업종이기 때문이다. 참여자들은 협회, 환자 및 보호사, 병원이라는 삼각고용으로 인해 악화된 처우를 경험한다. 삼각고용은 돌봄노동자로서의 노동자성을 퇴색시키며, 간병인의 처우나 교육 등에 대한 책임소재 역시 명확하지 않게 만든다. 이와 연관된 특수고용인의 지위는 참여자들의 취업이나 체류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병원과 협회, 환자와 보호자는 참여자들이 불합리한 노동 조건을 수용하리라 기대한다. 참여자들은 이처럼 불합리한 노동조건을 무조건 수용하기보다 더 나은 조건을 찾기 위해 전국 각지를 돌아다닌다. 그러나 참여자들의 간병 노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공적돌봄제도의 확충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시행은 참여자들의 노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참여자들은 노동을 지속하기 위해 요양보호사로 직종을 옮기고자 한다. 간병이 그러하듯,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역시 중국동포들이 주로 취득하는 체류자격에서의 진입을 허락하고 있다. 참여자들의 요양보호사 진입은 간병 등 기존 노동시장의 축소로 인한 경쟁력 상실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여성에게 부여되는 ‘가족 부양자’의 지위가 시간제 노동인 재가요양보호사로의 진입을 추동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참여자들은 ‘소비되는 시간’을 활용에 요양보호자 자격증을 취득한다. 이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중국동포의 진입을 허가한 것 이외에 제도적으로 후속되는 지원이 없기 때문이다. 요양보호사는 제도권의 돌봄노동으로 4대 보험, 규정된 일의 특성은 참여자들에게 큰 만족감을 준다. 그러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인종(혹은 민족) 차별에 대한 규정이 미비와 맞물린 수급자들의 수요자 선택권으로 인해 참여자들은 요양보호사로 일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참여자들은 ‘참을성’ 등 자신들이 장점을 어필한다. 하지만 제도적으로 차별 금지가 규정되지 않았기에 차별은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폄하될 우려가 있다. 시장화·민영화로 인한 재가요양보호사의 낮은 임금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참여자들은 절충안으로 입주를 선택한다. 다만 입주는 기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경계선에서 이루어지기에 수급자의 고용주화가 이루어지며, 요양보호사로의 노동은 희석된다. 그럼에도 참여자들은 입주를 지속하려 한다. 중국동포들에게 전문적 자격증의 취득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즉 참여자들과 같은 중국동포들이 진입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재가요양보호사의 경우 낮은 임금 등이 개선되지 않는 한 입주와 같은 변형된 노동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동포여성의 돌봄노동에 대한 기존 연구가 성별화 및 돌봄노동경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도적 맥락을 다룬 연구의 경우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제도적 맥락이 중국동포여성의 노인돌봄노동 진입과 지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동포 등 재외동포의 체류와 노동에 관한 제언과 노인돌봄 영역의 제도화 및 개선에 관한 제언 및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제언은 중국동포 등 재외동포의 접근에 있어 기존의 다문화 개념과 다른 접근과 변화가 필요함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nstitutional context affects Korean-Chinese women's entry and continuation of the elderly care labor market through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9 people, including 15 Korean-Chinese women engaged in elderly care labor, such as care workers and caregivers, and four people related to elderly care labor, of Korean-Chinese women such as nursing associations, home care centers, and private administrator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migration institutions affect the work and stay of Korean-Chinese women by interlocking with other institutions such as labor, welfare, elderly care, 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 gender and race (or ethnicity). Specifically, the H-2 visa, which is the main sojourn visa for Korean-Chinese, induces them to enter non‐specialized and simple service industries. The participants’ labor which was before entering the elderly care labor market was also centered on the secondary labor market, such as restaurants, housekeeping services, and manufacturing. Participants' labor experience in the secondary labor market is summarized as low‐wage and long‐term work, and precarious work such as exclusion from employment and social security. H-2's 'loose job search rules' induce 'marketized job search', and 'marketized job search', interlocking the expedients of employers with the 'information asymmetry' of participants, causes problems in their social security and sojourn. As they do not receive social insurance benefits such as unemployment benefits or severance pay during the period when work is suspended, the period when they stop working makes their money become the time of squandering. Therefore, the period of absence from work, including short‐term stay in China, is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s ‘time of squandering’. Participants intend to continue working even as they approach retirement age based on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Korea and China, as well as difficulties in accumulating capital.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m to secure the same competitiveness as before in the existing labor market. The transition to the F-4 visa, which restricts participation in the existing labor market, is also one of these reasons. Therefore, participants come to enter sick‐person‐caring, especially hospital sick‐person‐caring. This also seems to be influenced by immigration institutions. This seems to be because sick‐person‐caring can be entered by both the H-2 visa and the F-4 visa. Participants experience aggravated treatment due to triangular employment in associations, patients/guardians, and hospitals. Triangular employment fades the laborer's nature as a care worker, and also makes it unclear who is responsible for the caregiver's treatment and education. The related status of independent contractors also affects the employment or stay of the participants. Meanwhile, hospitals, associations, and patients/guardians expect participants to accept unreasonable working conditions. Participants travel all over the country to find better conditions than to unconditionally accept these absurd working conditions. However, it is the expansion of the public care system that directly affects the participants' sick‐person‐caring labor. The implementation of long‐erm care insurance and integrated nursing and sick person‐caring services directly affects the labor of participants. Participants intend to change jobs to care workers to continue working. As with sick‐person‐caring,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lso allows entry from the sojourn visa mainly acquired by Korean-Chinese. Participants' entry into care workers may include loss of competitiveness due to the shrinking of the existing labor market such as sick‐person‐caring. However, the status of 'family caregivers' granted to women is also a factor driving entry into home care workers as part‐time work. Such participants acquire nursing caregiver licenses by utilizing ‘time of squandering’. This is because there is no institutional follow‐up support other tha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ermitting Korean-Chinese to enter. The care workers are care labor of the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major insurances and prescribed work give the participants great satisfaction. However, in gear with the lack of regulations on racial (or ethnic) discrimination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due to the recipients' right to choose, participants have difficulty working as care workers. In response to this, participants appeal to their strengths, such as 'patience'. However, there is a risk that discrimination will be downgraded as a problem that individuals have to solve because there is no systematic prohibition against discrimination. Due to the low wages of home care workers due to marketization and privatization, participants who can afford to choose residential care as a compromise. However, since residential care is carried out at the boundary of existing long‐term care insurance, there is a process of the beneficiaries becoming employers, and labor as a care worker is diluted. Nevertheless, the participants are willing to continue residential care.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for Korean-Chinese to obtain professional qualifications. In other words, as long as low wages are not improved, it is highly likely that transformed labor such as residential care will continue in the case of home care workers, where Korean-Chinese like the participants have relatively easy entry. As previous studies on care labor of Korean-Chinese women are being conducted centering on gender and experience of care labor, and that in the case of studies coping with institutional contexts, they focus on literature studi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firmed how the institutional context affects Korean-Chinese women's entry into and continuation of elderly care labor. Las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provide suggestions on the sojourn and labor of overseas Koreans such as Chinese and other overseas Koreans, institutional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elderly care sector, and social welfare practices. In particular, the suggestion on social welfare practice would mean that a different approach and change from the existing multicultural concept are needed in the approach of overseas Koreans, such as Korean-Chinese.

      • 한국의 이민정책이 제도화한 이주노동자의 ‘강요된 위법성’ : 건설업에서의 중국동포 취업을 중심으로

        박미화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재외동포정책의 프레임 안에서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가 처해진 상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정부의 재외동포정책이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에게 ‘강요된 위법성’을 구조적으로 생산하였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동포가 합법적 체류자이지만 취업의 위법성이 나타나는 ‘준(準)-법준수(法遵守)’의 개념을 통해 건설노동시장의 중국동포 취업 현상과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취업의 위법성을 살펴보았다. 한국 정부의 재외동포정책은 재외국민과 외국국적동포를 보호하고 지원한다는 보편성을 바탕으로 동포의 역사적 이주배경과 거주국 내에서 처해진 환경에 따라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시행해 왔다. 그 결과 재외동포정책은 취업관리제, 방문취업제, 재외동포법 제·개정 등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고, 이러한 제도는 중국동포가 건설업과 같은 단순노무직에 집중하게 만들었다. 한국 건설 노동시장에 중국동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 노동시장 형성에 영향을 주는 정책, 수요, 공급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정책적 측면으로는 한국 정부가 재외동포정책을 통해서 중국동포가 한국에 거주하며 건설업에 종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고, 수요적 측면으로는 중국동포의 임금경쟁력, 동일한 언어와 문화적 배경, 탄력적 고용 등이 요인으로 작용했고, 공급적 측면으로는 타 업종에 비해 고소득, 네트워크에 의한 취업, 다양한 연령대 동포 진입 등이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즉, 중국동포의 건설업 집중화는 한국 정부의 동포정책, 한국 건설 노동시장의 특징 및 수요, 공급자로서의 동포의 개인적 요인이 서로 맞물린 결과로 나타났다. 중국동포의 집중화로 재편된 한국 건설노동시장은 합법과 불법의 혼재, 단순노무직부터 전문화된 노동력까지 계층화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결국 중국동포의 건설업에서의 문제는 취업의 ‘위법성’이 그 주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건설노동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중국동포의 위법성을 재외동포정책의 틀 안에서 살펴보았을 때, 재외동포정책은 중국동포에게 국내 체류 및 취업의 기회를 확대해 왔지만, 일관성 없는 제도적 변화로 동포 건설노동자의 위법성을 조장했다. 또한 현행 제도 하에서 중국동포가 체류자격 전환을 함에 따라 동일한 노동력임에도 불구하고, 체류자격별로 각기 다른 취업 규정에 의해 강요된 위법성이 나타났다. 한국정부의 재외동포정책은 동포정책과 외국인력 정책 사이의 모호한 성격을 띠면서 중국동포를 단순노무시장으로 고착화 시켜왔다. 그리고 동포에게 적용되는 비자체계와 복잡한 비자 전환 과정은 중국동포를 숙련/미숙련으로 구분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내부적 경계에 위치하게 했다. 이러한 정책적 한계는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에게 ‘강요된 위법성’을 저지르게 했다. 또한 중국동포에게 ‘강요된 위법성’을 저지르게 한 정책적 문제점은 동포정책의 일관성 부재, 동포 정책 구조의 분산, 내국인 고용시장 보호를 위한 과도한 규제 등이 있다. 중국동포에 대한 이해,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의 역할 등에 대한 이해 없이 순간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임시적 방편으로 쌓아온 정부의 일관성 없는 재외동포정책은 노동시장 내 중국동포에게 취업의 위법성을 강요해왔다.

      • 중국동포에 대한 담론 변화 : 김영삼 정부부터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사설 / 칼럼 기사를 중심으로

        신예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pinion and column articles of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since the time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in order to look into changes in discourse on the ethnic Korean-Chinese (Joseonjok). This study used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ramework of Fairclough (1995) for analysis of the articles, and the ideological quadrant theory of Van Dijk (1997) for revealing the discourse strategy for specific issues. The concrete analysis process is as follow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Korean-Chinese are referred to in article titles, informants, properties (whether cited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e location of interview quotes), repeatedly used words, and modifiers from a total of 87 opinion and column articles of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during the times from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o the current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economic, diplomatic, social and cultural policies of each administration.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the two newspaper companies have made different discourses on the Korean-Chinese, based on the policies of each administration and social events. The changes in discourse on the Korean-Chinese by regime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produced the 'identical-race' discourse under the premise of “We = Koreans = the Korean-Chinese” during the times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o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other words, a positive line of discourse prevailed, which indicates that the Korean-Chinese were embraced as the same race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homogeneity. The identical-race discourse can be attributed to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ideology of the time. In the mid-1990s,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enacted the industrial trainee system and initiated the campaign for “finding brides for rural bachelors,” to curb manpower shortages and counter the effects of Korea's aging society, inviting many Korean-Chinese to come to Korea. Also,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pursued the inflow of the Korean-Chinese as part of its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y to cope with the 1997 financial crisis.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during the two periods, both newspapers produced the positive ideology of the Korean-Chinese at the national level. The positive discourse on the Korean-Chinese saw definite change starting with the time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Hankyoreh continued the engagement discourse as it had the past, whereas the Chosun Ilbo switched to an exclusionary discourse. The conflicting discourses between the two newspapers are based on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social ideology supported by each newspaper.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of 2008,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restricted the number of foreign manpower to protect the jobs of local citizens. At this time, those who were hardest hit were the Korean-Chinese, numbering in the 90,000s, who were waiting for a visa. Also, during this period, there occurred a horrific murder case in Suwon, committed by an ethnic Korean-Chinese named Oh Won-choon, which negatively affected social perceptions of the Korean-Chinese. At that time, the Chosun Ilbo took a positive editorial position towards the Lee administration’s policies and rarely voiced negative comments on the government in its articles. Meanwhile, as for the murder case, the paper intensified revulsion against the Korean-Chinese, even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case was linked to the supply of human flesh and serial murders. On the other hand, the Hankyoreh responded negatively to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expressed its worries that the Korean-Chinese might be stigmatized as a public enemy due to the murder case. Historically, the discourse on the Korean-Chinese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diplomatic context, as well as conflict of interests caused by circumstances in Korea. In modern society, the media has come to occupy a space where public discourse takes place, independent of the political functioning of meaning. Therefore, the media should strive to make balanced reports on social phenomena and those involved, contributing to providing a field for harmony rather than ideological struggle. In this study, we have looked into how the representation and construction of meaning by the media regarding the Korean-Chinese hav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cies each administration since that of Kim Young-sam.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causes of discrimination and conflict inherent within Korea's purportedly communication and harmony-driven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as the mode of conflict between the differing discourses that take place within it. 이 연구는 중국동포(조선족)에 대한 담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김영삼 정부 이래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사설 및 칼럼 기사를 분석했다. 기사분석의 방법으로는 페어클로프(Fairclough, 1995)의 비판적 담화 분석의 틀을 이용하였으며 특정 사안에 대한 담화전략을 밝히기 위한 도구로는 반다이크(Van Dijk, 1997)의 이데올로기적 사각형 이론을 추가적으로 적용했다. 구체적인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다. 김영삼 정부부터 현 박근혜 정부까지 총 87개의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사설과 칼럼을 대상으로 기사의 제목과 기사에서 차용된 정보원, 인터뷰 속성(직/간접 인용의 여부와 인터뷰 인용시 기사 내 위치), 기사 내에서 반복되는 특정 단어와 수식어 등을 기초로 중국동포를 재현하는 방식을 정권별 정치, 경제, 외교, 사회 및 문화에 대한 정책과 연관시켜 해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결과, 양 언론사에서는 정권 별 정책과 사회적 사건에 따라 중국동포에 대한 상이한 담론이 생산되고 있었다. 정권 별 중국동포에 대한 담론의 변화기는 다음과 같다. 우선,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은 김영삼 정부부터 노무현 정부 시기까지는 동일하게 ‘우리 = 한국인 = 중국동포’라는 전제 하에 동일민족담론을 생산했다. 즉, 역사적 동질성에 비추어 한국인과 중국동포를 같은 민족으로 포용하고자 하는 긍정적 담론이 우세했다. 이러한 동일 민족 담론의 이유는 국가 차원의 경제부흥 이데올로기에 기인한다. 김영삼 정부시기인 1990년대 중반에는 인력난 해소와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국인 산업연수제와 중국동포를 주축으로 한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운동이 추진되었다. 이어, 김대중 정부시기에는 IMF 위기탈출을 위해 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동포 유입을 추진했다. 따라서 이 두 시기에는 양 신문사 모두 범국가적 차원에서 중국동포에 대한 긍정적 이데올로기를 생산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중국동포에 대한 긍정적 담론은 이명박 정부 시기부터 확연히 나뉜다. <한겨레신문>은 과거와 동일하게 포용적 담론을 이어나갔으나 <조선일보>는 배타적 담론을 생산하면서 궤를 달리했다. 이와 같은 중국동포에 대한 양 신문사의 상반된 담론은 정부정책과 사회적 사건을 바라보는 신문사의 이데올로기에 의거한다. 이명박 정부 시기에는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내국인 고용보호의 일환으로 외국인 인력 규모를 제한했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집단은 비자 발급을 기다리던 9만여 명의 중국동포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극악무도했던 오원춘 수원 토막살인 사건이 일어나 중국동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유례없이 부정적으로 변화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일보>는 이명박 정부 정책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기사 상에서도 부정적 논조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반면 오원춘 사건에 대해서는 인육공급과 연쇄살인의 가능성까지 열어두면서 중국동포에 대한 반발을 고조시켰다. 이와 반대로, <한겨레신문>은 이명박 정부 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오원춘 사건으로 인하여 중국동포 전체가 ‘사회악’이 되는 것에 우려를 표했다. 즉, <조선일보>가 내국인 고용보호와 이주민의 범죄사건에 있어서 폐쇄적인 국가주의를 택했다면 <한겨레신문>은 개방적인 범인류주의를 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동포에 대한 담론은 역사적으로 정치, 경제, 사회, 외교적 맥락에 따라, 그리고 한국의 상황에 따라 이해가 상충되면서 상이하게 변화했다. 언론은 현대사회에서 공적인 담론이 펼쳐지는 장으로서 의미 작용의 정치학에서 독립적인 위치로 부상했다. 따라서 언론은 이데올로기 투쟁의 영역보다는 화합의 영역으로서 사회적 현상과 구성원들에 대한 평등한 보도와 재현을 위해 힘써야한다. 이 연구는 김영삼 정부부터 현 정부까지 정권별 정책에 따라 중국동포에 대한 재현과 언론의 의미구성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파악했다. 이는 소통과 화합을 주창하는 한국 다문화 사회 내 내재된 차별과 갈등의 기재를 짚어보고 그 속에서 작용하는 담론 간 투쟁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판단된다.

      • 중국동포 밀집지역 가리봉동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박려정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중국동포 밀집지역 가리봉동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도시는 고정불변의 공간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도시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산업구조의 변화와 경제적 요건들로 인하여 산업중심지는 다양한 사람들로 재구성되며 변모되어 왔다. 이런 과정에서 도심은 보수 관리 소홀, 구성원들의 문화갈등 등으로 인하여 슬럼화, 게토화의 문제도 초래될 수 있다. 그동안 이러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재개발이 주로 이루어졌지만 여러 가지 시행착오 경험으로 재개발 사업과 차별되는 도시재생 개념이 등장하였다. 도시재생은 주로 산업화를 더 빨리 이룩한 영국과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 시행되어왔다. 한국 또한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고 이제는 새로운 도시계획의 핵심인 도시재생을 시행하고 있으며 발전단계에 놓여 있다. 도시는 물리적 공간을 만들기 위한 건축의 대상으로만 볼 게 아니라 실제로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는 곳이다. 즉 해당 지역의 일자리도 창출해야 하고, 사회적으로도 통합을 시켜야 하며 문화적 요소들도 도입해야 만이 도시재생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한국의 현 도시화 단계에서 필요한 도시재생은 도시 내 와해되었던 공동체를 복원하고 조성시키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해야 한다. 이 목표를 실현하려면 주민들의 공동체 회복에 우선적으로 힘입어야 할 것이다. 서울 곳곳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구로구 가리봉동은 구로공단 쇠퇴로 낙후되고, 뉴타운사업 불발로 정비가 되지 않아 슬럼화 되었고 노후한 가리봉 지역을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회복하기 위해 도시재생사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한편, 가리봉동은 수십 년의 변화를 거쳐 중국동포 밀집지역, 즉 이른 바 ‘연변거리’가 자생적으로 형성되었다. 붉은 간판들이 빽빽하게 줄지어진 우마2길과 골목 사이사이 ‘공돌이, 공순이’의 꿈의 흔적들은 쪽방으로 남아 실재하지만 인정받지 못하는 외딴 섬으로 10여년의 정체기를 겪어 왔다. 이곳이 서울인지 의문이 갈 정도로 낙후된 지역으로 전락됐지만 과거 ‘한강의 기적’을 이룩했던 수많은 젊은이들의 안식처였고 현재도 수많은 중국동포들의 보금자리로 그 역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에 자주 보도된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하여 가리봉동은 여전히 음침하고 위험한 지역으로만 인식되어 있다. 오랜 세월 동안 정체되었던 가리봉동은 열악하고 영세한 세대들이 모여 있는 낙후한 동네지만 지금은 도시재생에 대한 해법을 찾으려고 노력하며 G-Valley를 품은 마을로 새로운 도시재생의 방향을 그리고 있다. 가리봉동의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점은 주민들 간의 소통과 화합이다. 특히나 중국 동포들 자체가 지역주민이라는 의식이 낮기 때문에 그들에게 주민 의식을 심어줌으로써 주민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선주민들과의 공동체 형성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가리봉동 도시재생은 밑그림을 그리기 전에 전체 주민의 40%가 넘는 중국동포 주민들을 고려해야만 하는 실정이고 이에 관한 구체적인 과제나 내용들이 중요하게 포함되어야 한다. 재개발사업 때문에 오래 동안 방치되었던 가리봉동인 만큼 중국동포들도 정책적으로 배제되었으며 항상 사각지대에 몰려 있었다. 사실 “중국동포들은 특례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특수성을 인정해달라는 것이다.” 가리봉동에 대한 한국 정부의 의도적인 개선 정책이 펼쳐지지 않는 한 앞으로도 현재 상황에서 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때문에 가리봉 지역은 ‘이주민과 함께하는 특화 도시재생’으로서 부단한 노력과 시도가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리봉지역 도시재생에서 중국동포들의 활용가능한 문화자원과 주민참여를 고려함으로써 가리봉 도시재생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민의 과반수인 중국동포들의 참여 방안과 문화 역량의 제고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Korean-Chinese Residential District Garibong-dong’s Revitalization A city is not a fixed place, but constantly keeps changing. It keeps growing endlessly, and the hub of industry has been recomposed of various people and has been kept transforming itself, because of the changes of its industrial structures and economical requirements. During this process, slumism and ghettoism of downtown could arise, because of neglecting its maintenance, and cultural conflicts between its members. So far, redevelopment has mainly been done as a solution for these city matters, however, after experiencing many trials and errors, a new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has appeare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development projects. City regeneration has mainly been implement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like England and Japan where they achieved industrialization earlier. Korea has also experienced drastic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s begun to implement urban regeneration, a core of a new city plan, and i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now. A city should not be regarded as a subject of architecture to create a physical space, rather, it is a place which various and complicated factors actually come into. In other words, it should create jobs for the local area, unite it socially, and introduce cultural elements into it, in order to be able to call it urban regeneration. Accordingly, urban regeneration which the present urbanization stage in Korea needs is to have its ultimate goal to restore and create once collapsed community in the city. It is thought that there should be the restoration of communities of residents first to realizethis goal. There are ongoing projects of urban regeneration in many places in Seoul. Among those places, Garibong-dong in Guro-gu District lagged behind due to the decline of Guro Industrial Complex and it has become a twilight zone and were not under maintenance because of the nonoccurrence of New Town Projects. Therefore, the old Garibong-dong area is in the midst of ongoing projects of urban regeneration to restore it econom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On the other hand, after the decades’ changes, so-called ‘Yeonbyeon Street’, which is an ethnic- Koreans- from- China’s concentration district, has been formed spontaneously there. Between Uma 2 Gil, where red signboards are compacted with in a row, and the alleys, the traces of dreams as ‘a factory boy’ and as ‘a factory girl’ are left behind as dosshouses and do exist, but it went through a stagnant period for ten years as a lonely island that was not recognized. Although it looks so old and lagged behind, making them wonder as much as whether this is Seoul or not, it was once a resting place for a large number of young people who had achieved ‘the Miracle of the River Han’, and now it is performing a great role as a nest for a large number of ethnic Koreans from China. Due to the negative images that the media coverage often left, it is still recognized as a gloomy and dangerous area. Even though the stagnant Garibong-dong area lags behind as poor and small households for long years, it is drawing a direction of a new urban regeneration with G-valley in its heart, trying to seek solutions for urban regeneration now. In the case of Garibong-dong area, the most urgent matter to solve is to have communication and reuniting between the community people. Especially, ethnic Koreans from China have low awareness of being a community people. It is therefore needful to build up an infrastructure to make them perform a role as a community people by planting an awareness as a resident and form a community with the old community people smoothly. It is thought that before drawing a sketch for urban regeneration for Garibong-dong area, the fact that over 40% of its residents are ethnic Koreans from China should be first considered, and that the concrete tasks and contents of the sketch concerning it should be included as an important matter. Since it has been neglected because of redevelopment projects for a long time, the policies for ethnic Koreans from China have been excluded politically and they have been always driven into blind spot. Actually, “ethnic Koreans from China do not expect the government to make an exception for them. They just want to be recognized for their historic distinctiveness.” Unless the present Korean government would not carry out the intentional development policies for Garibong-dong area, it would not be expected to have a big change from this situation in the future. So, Garibong-dong area needs to strive continuously and try ceaselessly as ‘specialized urban regeneration along with the migrants’. Accordingly, this present research tried to discuss and propose that there should be a development of the plans for the participation of ethnic Koreans from China, who are over a majority of its residents, and cultural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regeneration project of Garibong-dong area, by considering cultural resources that they could use, and their participation.

      •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의 노동서비스 질적 개선 연구

        송인식 동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병원에서 직접 간병 노동을 제공하고 있는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의 요소와 질을 평가하고, 돌봄 서비스를 재이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양질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가설(돌봄 서비스의 질은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 유형성, 전문성)을 세우고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하는 6개 노인요양병원에서 중국동포 간병인 돌봄 서비스를 받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Sobel-test등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의 질은 간병인의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중국동포 돌봄 서비스의 대응성, 공감성, 유형성, 전문성 요인이 간병인의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의 질은 돌봄 서비스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중국동포 돌봄 서비스의 신뢰성, 공감성, 유형성, 전문성 요인이 돌봄 서비스의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의 질은 중국동포 간병인이 돌봄 서비스에 대한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중국동포 돌봄 서비스의 신뢰성, 전문성 요인이 노인요양병원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에 대한 신뢰는 중국동포 간병인이 돌봄 서비스에 대한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노인요양병원에 대한 재이용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중국동포 간병인이 돌봄 서비스에 대한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요양병원에 대한 재이용 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 질과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간병인에 대한 신뢰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국동포 돌봄 서비스의 공감성, 유형성, 전문성 요인과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간병인에 대한 신뢰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노인요양병원 중국동포 간병인의 돌봄 서비스 질과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돌봄 서비스 만족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중국동포 돌봄 서비스의 신뢰성, 유형성, 전문성 요인과 재이용의도의 관계에서 돌봄 서비스 만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병 노동에 대한 질적 분석의 결과로 제시한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노인요양병원의 간병인 대부분이 중국동포인 현실을 감안하여 제도적인 관리정책이 필요하다는 점과 둘째, 요양보호사 교육과정과 같은 표준화된 교육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셋째, 중국동포 간병인의 대부분이 재외동포나 방문취업 비자 소지자로 사업장 변경에 아무런 제약이 없는바, 이러한 법적 자격요건이 잦은 사업장 변경으로 오히려 간병 노동의 전문성이나 만족도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간병업종의 경우 사업장 변경횟수를 일정정도 제한하는 방안도 고려할 것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노인요양병원, 돌봄 서비스, 신뢰, 만족, 재이용의도, 중국동포 간병인

      • 재한 중국동포 중년 여성근로자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Piao, Zhenji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재한 중국동포 중년 여성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재한 중국동포 중년 여성근로자로 2013년 3월 17일부터 4월 21일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의 교회 및 산업장을 방문하여 연구 참여 동의를 얻고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자가보고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설문지를 응답한 351명 중 한국 국적 취득자, 불법체류자, 설문지 문항의 일부를 답하지 않은 자, 설문지의 모든 문항을 똑같게 체크한 자 등 77명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74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와 ANOVA, Kruskal-Wallis test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한 중국동포 중년 여성근로자의 의사 진단에 의한 1인당 평균 질환수는 0.7(±1.0)개이며 적어도 1개 이상 진단받은 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108명(39.4%)이었다. ICD(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10에 의하여 세부 질환을 분류한 결과, 다빈도 질환은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질환, 순환기계질환, 내분비·영양·대사질환, 소화기계질환 순이었다. 근골격계 증상 유소견율은 69.3%였으며 허리, 다리/발, 목, 손/손목/손가락, 팔/팔꿈치 순이었다. 연령이 많을수록, 한국 체류기간이 5∼6년인 경우, 직종이 간병인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다. 2) 재한 중국동포 중년 여성근로자의 28.5%가 우울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19.7%가 가벼운 우울상태, 6.2%가 중한 우울상태, 2.6%가 심한 우울상태였다. 우울수준은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1일 평균 근무시간이 길수록, 월 평균 급여가 적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직종이 간병인이나 가정도우미인 대상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3) 사회적 건강상태는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본 대상자의 평균 점수는 1.75(±0.35)점이었다. 사회적 건강 점수가 전체 대상자의 평균 점수에 2배의 표준편차를 더한 점수인 2.45점보다 클 경우 사회적 건강문제가 있다고 가늠하여 3.3%의 대상자가 사회적 건강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낮고, 비자를 연장하여 한국에 계속 체류하고 싶다고 한 대상자의 사회적 건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지 않았다. 4) 재한 중국동포 중년 여성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상태는 정 상관관계기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건강상태인 우울수준과 사회적 건강산태는 비교적 강한 정 상관관계((r=.52, p<.001)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재한 중국동포 중년 여성근로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간병인, 가정도우미 등의 직종을 가진 대상자들의 우울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직종은 중국동포 중년 여성근로자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직종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적절한 우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이 3개 영역을 함께 고려하여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 재한 중국동포단체 연구 : 중국 동포타운신문기사를 중심으로

        김우경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tudy on the Korean-Chinese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articles in [Chinese Dongpo-Town Newspaper] Generally, it is agreed that the population of korean-chineses living in South Korea now reach 700 thousands. Despite of that, the korean society has the dual perspectives about the issues regarding korean-chineses in South Korea, and the consequent negative effects according to it are rapidly emerging one by one. This research is one of the methods to fundamentally consider a viewpoint in this society that whenever an event or an incident happens, a follow-up measure is merely sought and accordingly the contradiction of the vicious circle to cause inequality due to increasement of prejudices.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consider the preposition “co-existence and harmonization” which our society need to hold by widening the room for understanding the korean-chinese community and considering the creations and the activities of korean-chinese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In the chapter 2, by analyzing 284 issues of Chinese Dongpo-Town Newspaper from the #1 - #295(until May 16 2015), except the missing 9 issues, the activities of korean-chinese organizations are examined. Since early 2000, the korean-chinese community began to get helped by korean clergies to resolve the problem around residence and human rights, and for about 15 years, various organizations have been built. Among about 100 bodies referred in the newspaper, first the major 35 bodies were examined, and then the 14 groups which have been in vigorous activities still after 2010 are used as the base to understand the korean-chinese community at present. In the chapter 3, the early activities of the groups with the objects of stabilization of residence, human rights and struggle for social services are examined. And since the entire implementation of H2 Visa and widening of F4 Visa in 2007, residences of korean-chineses in Korea began to be stabilized and the characters of the organizations began to change remarkably. As the visits by families were increased and the groups from the same hometown or the same schools were built, the sound groups were made rapidly one by one and the groups for leisure activities were created. In the chapter 4, the general factors to understand the korean-chinese community are examined, for example that specialized groups of different areas would be created and the korean-chinese community would face momentum of changes. As it is expected that the change of the korean-chinese community would appear in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s, discussion about co-existence of the major stream society in Korea and the korean-chinese living in South Korea should begin seriously. Based on that, 8 subjects were selected who are involved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and organizations for the in-depth interviews. Their opinions and experiences were respectfully heard and the necessity of constant “Social Listening” from reciprocal views as the necessary condition for co-existence was derived. Also, it is inferred that the environment at present is at the time of contact of the two cultures and dynamic changes. Now the activities of the korean-chinese organizations where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take the major stream are determined as for the stabilization phase when the korean-chineses settle in South Korea. In the future, if efforts for understanding each other by korean-chinese organizations and the korean society would be formed continuously, the framework for co-existence for the new future would be created. 재한 중국동포단체 연구: 중국 동포타운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중국동포는 70만에 이른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는 재한중국동포들의 문제들을 이중적인 잣대로 보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부작용들이 속속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국동포가 개입된 사건과 사고들이 나타나면 그에 따른 후속대책만 급급하게 해결하려는 사회적 시각과, 그로 인한 선입견의 증가로 인하여 불평등을 초래하는 악순환의 모순점을 근본적으로 고찰해보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중국동포들의 집거지인 서울 서남권에 위치한 가리봉동에서 2003년 8월부터 격 주간으로 발행되고 있는 중국동포타운신문의 기사와 중국동포단체들의 생성과 활동 고찰을 통하여 동포사회 이해의 폭을 만들어 우리사회가 가져야하는 “공생과 화합”이라는 명제를 생각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2장에서는 중국동포타운신문 창간호부터 2015년 5월16일(295호)현재까지 소실된 9호 분량의 제외한 284회분을 분석하여 동포단체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2,000년 초기부터 체류, 인권의 문제들을 해결하기위하여 내국인 목회자들의 도움을 받아 시작한 동포사회는 15여년을 지나면서 다양한 단체들을 탄생시켰다. 동포타운신문에 거론된 100여개의 단체 중 1차로 주요단체 35여 단체를 정하여 고찰하고 2차로 2010년 이후에도 왕성한 활동을 하는 14개 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현재 조선족사회 이해의 교두보로 삼았음을 밝혀둔다. 3장에서는 체류안정과 인권, 그리고 복지에 대한 투쟁이 목적이었던 초창기의 단체 활동과 2007년 (H2)취업방문제의 전면시행과 (F4)동포비자의 확대로 인하여 동포들의 체류에 대한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단체의 성격은 확연히 달라지기 시작하였음을 파악하고 동포들의 가족단위 입국, 동향, 동문들의 모임이 증가하면서 건전한 모임이 속속들이 만들어져서 문화, 예술, 스포츠 등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단체가 형성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음을 고찰하게 되었다. 4장에서는 향후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나타내는 특화된 단체들이 생성되면서 동포사회의 변혁기를 맞이하게 될 전망이라는 것 등 중국동포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요소들을 찾게 되었다. 조선족사회의 변화는 단체의 활동으로부터 보여 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향후 한국의 주류사회와 70만 재한중국동포들의 공생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이를 기초로 동포사회와 단체 관련자 8명을 심층면접대상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식견과 경험을 경청하고 상생에 대한 필요조건으로 상호적 관점의 지속적인 “사회적 경청”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의 환경은 두 문화의 접변시기이자 격동적 시간임을 추론하게 되었다. 재한중국동포의 1~2세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현재 동포단체의 활동은 중국동포들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정착기 활동시대로 파악하였다. 향후 중국동포단체와 한국사회와의 상호 이해와 노력이 지속적으로 형성된다면 새로운 미래를 위한 공존의 틀이 생성되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훙메이쑹 고려사이버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동포 초등학생에게 특화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라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하위요인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진로인식의 하위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런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진로인식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학년, 성별, 부모 동거 여부, 가정형편, 부모 학력, 부모 직업을 인구통계학적 및 사회경제적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 변인에 따른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차이 및 자아정체감이 진로인식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7년 3월 22일부터 2017년 3월 23일까지 총 2일에 걸쳐서 본 연구자가 직접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를 방문하여 446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하였다.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검사를 위한 설문지는 혹시 한국어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있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중국어 설문지도 140부 준비하여 학생들이 선택하도록 하였다. 결과 한국어 설문지 425부와 중국어 설문지 21부, 총 446부(회수율 100%)를 회수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검사는 한국고용정보원(2008) 및 어윤경, 부재율(2009)의 진로인식검사 그리고 송현옥(2008)의 자아정체감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t-검증과 일원분산 분석, 사후분석을 통해 변인에 따른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의 차이 및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자아정체감이 진로인식의 하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사회경제적 변인에 따라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하위요인은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검증결과는 성별 및 아버지 직업에 따른 자기이해, 직업세계 인식, 진로태도 등 진로인식의 모든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 따라서는 자기이해와 진로태도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아버지 학력, 어머니 직업에 따라서는 자기이해 영역에서만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 동거 여부에 따라서는 진로태도 영역만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가정형편, 어머니 학력에 따른 진로 인식의 하위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진로인식의 하위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검증결과 중국동포 초등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인식의 하위요인인 자기이해, 직업세계 인식, 진로태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림동 중국동포타운 지역활성화 연구

        김용선 韓國外國語大學敎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2

        전체 183만 명의 중국동포 중 근 80만 명이 한국에 장기체류하고 있으며 이 중 서울시에 27만 명, 서울시 서남권에 17만 명, 영등포에 5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 대림2동은 중국동포의 비율이 원주민을 초과할 정도이다. 대림동은 국내 최대 규모의 차이나타운이며 중국동포타운이다. 법적 지위의 개선 및 한중경제문화교류의 활성화와 더불어 지역경제가 많이 발전하고 하고 있다. 중국 동북3성이 한중수교 초기 한중 양국의 연결고리가 되었듯이 대림동 역시 한중교류 및 문화가 만나는 곳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서울시는 대림동의 발전을 위하여 차이나타운 건설을 계획하였으나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대림동에는 약 700소의 중국인, 중국동포가 운영하는 음식점, 상점, 문화시설, 단체, 언론사, 여행사, 행정사사무소, 학원, 은행 등이 있어 명실상부한 재한중국동포사회의 ‘수도’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장소적, 인적, 문화적, 교육적, 경제적 에스닉자원들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을 통한 대림동만의 지역적 특성을 지난 지역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문은 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중국문화, 중국동포문화와 지역문화가 어울려져 있는 대림동의 지역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대림동을 교육의 명소, 한중경제교류의 명소, 관광의 명소, 문화의 명소 등 4대 명소화 전략을 구상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서울시가 지역주민과의 소통과 화합을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연구자가 제안하고 실시한 중국동포 역량강화 사업과 앞으로 지속적으로 진행하게 될 대림동 문화거리만들기 프로젝트, 대림동 중국문화 체험프로그램, ‘대림동 한중문화주간(週間)’을 개최하여 브랜드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