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규칙적인 줄넘기 운동이 신체조성 및 하지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이선형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규칙적인 줄넘기 운동이 비만 여자 중학생의 신체조성 및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비만 여자 중학생의 비만도 개선과 균형 잡힌 발육?발달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Y중학교에 재학 중인 비만 여학생 10명으로 하였으며 모든 대상자들은 줄넘기 운동 실시 전·후 체중과 체지방률, 등속성 근력(60°/sec) 및 근지구력(180°/sec)을 측정하였다. 근력의 측정은 최대 회전력(Peak torque)으로 평가하였으며, 근 지구력은 총 일량(Total work)으로 평가하였다. 통계는 대응표본 t-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주간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신체조성 중 체중은 훈련 전과 훈련 후 간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8주간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신체조성 중 체지방률은 훈련 전과 훈련 후 간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8주간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 결과 훈련 전과 훈련 후 간에 등속성 각신 근력(60°/sec)은 좌측과 우측 모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4. 8주간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 결과 훈련 전과 훈련 후 간에 등속성 각굴 근력(60°/sec)은 좌측과 우측 모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5. 8주간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 결과 훈련 전과 훈련 후 간에 등속성 각신 근지구력(180°/sec)은 좌측과 우측 모두 유의한 증가를 나 타내었다. 6. 8주간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 결과 훈련 전과 훈련 후 간에 등 속성 각굴 근지구력(180°/sec)은 좌측과 우측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8주간의 규칙적인 줄넘기 운동이 신체조성과 등속성 각근력과 각근지구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비만 청소년을 위한 학교체육 프로그램으로서 규칙적인 줄넘기 운동이 비만 해소와 근력, 근지구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and its meaning of this Study is to furnish the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reformation the fatness degree of the fat middle school girls as well as for their balanced growth development, by clarify the influencing effect that how a regular rope-skipping exercise affects to the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the fat middle school girl student. As the subject person for this Study, the 10 fat middle school girls have been selected who are attending at Y Middle School in Seoul, and the Body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BFP), Isokinetic Muscular Strength(60°/sec) also Muscular Endurance Power(180°/sec) for all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on the basis of before & after the conduct of rope-jumping exercise. The muscular strength was evaluated by Peak Torque, the muscular endurance power was appraised by Total Work. The statistics had been conducted as the authorization of Paired-Sample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s: 1. As the result of practice of the rope-skipping exercise program for 8weeks, Body Weight among Body Compositions has appear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ope-skipping exercise. 2. As the result of practice of the rope-jumping exercise program for 8weeks, Body Fat Percentage among Body Compositions has appear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rope-jumping exercise. 3. As the result of conduct of the rope-jumping exercise program for 8weeks, Isokinetic Leg Spreading Strength(60°/sec) at before & after the rope-jumping exercise has displayed the meaningful difference at both sides of left and right. 4. As the result of conduct of the rope-jumping exercise program for 8weeks, Isokinetic Leg Bending Strength(60°/sec) at before & after the rope-jumping exercise ha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at both sides of left and right. 5. As the result of conduct of the rope-jumping exercise program for 8weeks, Isokinetic Leg Spreading Muscular Endurance(180°/sec) at before & after the rope-jumping exercise has appear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both sides of left and right. 6. As the result of conduct of the rope-jumping exercise program for 8weeks, Isokinetic Leg Bending Muscular Endurance(180°/sec) at before & after the rope-jumping exercise has not appear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both sides of left and right. As the result of the above-mentioned Research, it was known that the regular rope-skipping exercise for 8 weeks affects the positive influence to Body Composition, Isokinetic Leg Muscle Strength and Leg Muscular Endurance Power, and though this Research as the school athletics program for the fat boys and girls, it is considering that the regular rope-jumping exercise would influence the positive effect to solution for the fat matter and th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power.

      • 줄넘기 운동부하가 남자 고등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김윤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줄넘기 운동부하에 의한 남자고등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고등학교 재학중인 2학년 남학생 34명중 2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 단에 11명, 비교집단에 11명으로 나누어 4주간씩 12주간, 제3단계 처치방법으로 줄넘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 기초체력의 요인별 측정치를 통계적으로 반복 측정 변량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악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배근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순발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근지구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민첩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유연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일곱째, 평형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지속적인 줄넘기 운동 경험은 기초체력 중 악력과 배근력, 순발력, 민첩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특히, 청소년 시기의 줄넘기 운동은 효과 측면에서 기초체력 증진은 물론 건강 유지에 좋은 운동으로 인정되므로 줄넘기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줄넘기 운동을 대상에 따라 과학적인 운동 처방과 계획에 근거한 다양한 방법을 개발하여 흥미를 유발시키고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the effect of rope-skipping on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strength. 22 male students out of 34 in 2nd grade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11 students were group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Through the rope-skipping for 12 weeks (each step consisted of 4 weeks, making totally 3 steps),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physical strength were measured statistically and repeatedly between the two group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IP STRENGTH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Second, BACK STRENGTH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Third, STANDING BROAD OR LONG JUM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ourth, MUSCULAR ENDURANCE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ifth, AGILIT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Sixth, FLEXIBILITY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Finally, BALANCE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It is concluded based 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at 12 weeks' rope skipping has an important effect on strength (grip strength), back strength, and agility. Rope skipping is quite a good physical exercise to adolescence to promote physical strength and to keep good health. Jump ropping, if persistantly conducted by scientistic prescription and plan, will not only promote physical strength but maintain good health condi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a recommendation for jump skipping on a daily basis.

      •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들의 개인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최선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이 살아가는 데에는 정신적, 신체적 활동의 근원이 되는 체력뿐만 아니라 건전한 가치관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경제발전에 따르는 생활욕구에 따라 가치관은 그 규모가 방대해지고 그 기능 역시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쳐 가치 서열에 있어서 더 귀한 가치가 실질적으로는 상위에 있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인간의 삶은 끊임없는 의사결정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 순간적인 의사 결정은 그 사람의 가치관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인간의 가치관은 크게 대인 가치관과 개인 가치관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인 가치관이나 개인 가치관 모두 학습을 통하여 내면화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개인 가치관도 체육활동을 통하여 변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은 가능하며 이는 선행연구에서 운동기능이나 체력과 정신력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줄넘기 운동은 적은 비용으로 개개인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동시에 다양한 방법으로 높은 운동 효과를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생활 본능인 뛰고, 달리는 행동을 기초로 하는 운동인 줄넘기 운동은 정신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경제적 제약을 최소화하고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즐겁게 실시할 수 있는 줄넘기 운동의 집중적인 지도가 개인의 가치관 변화와의 관계를 밝히는데 두었다. 연구 결과 체육 시간을 통하여 줄넘기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 다양성, 실용성, 결단성에서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보아 개인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줄넘기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했을 때 개인 가치관의 변화는 6학년보다는 5학년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경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줄넘기 운동이 개인 가치관 형성에 미친 영향은 규칙성, 다양성, 성취성, 결단성, 실용성 등의 순서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적지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5학년은 줄넘기 운동의 지속적인 지도가 개인 가치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6학년은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3학년이나 4학년의 경우도 연구해 볼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Not only a physical strength being the origin of mental and physical activities, but a sound sense of value are required for human lives. However, the sense of values becomes enormous on its scale and diverse on its capaciti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esires to live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economy. Since the above phenomena affect the formation of values, the more precious values does not always occupy the higher rank. Life may be called to the successive decision of his intension, and a decision is determined by his value. The values of human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private value and the public values, and these are internalized by learning. From these points of views, the hypothesis was possible that the private value might vary by physical exercise, it was notified from preceeding studies that exercise capacity, physical strength, and spiritual strength were on indivisible relation. Rope jumping is highly effective to individuals and groups in the respects of exercise effectiveness, number of participants, and cost. Therefore, rope jumping may be helpful to elevate the spiritual strength because of its basis on running, the instinct of human life.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at rope jumping was hardly restricted spatially and economically, least time consuming, and pleasantly exercising, and the concentrated teaching of rope jumping was related with the variation of sense of values. After the continual exercise of rope jumping in a lesson of physical exercise, it positively affected to the respects of diversity, utility and determination, therefore, it was ascertained that rope jumping could affect the formation of value responsively. When the rope jumping was continually exercised, the variation of individual values were more affected to the 6th grade students than the 5th grade students, and more to schoolboys than schoolgirls. Rope jumping affected to the formation of individual values for the respects of regularity, diversity, achievement, decision, and utility in this order, but not for objectiveness. For the case of 5th grade schoolgirls, it was responsible to regulation and total group and was positive to diversity, while for 5th grade schoolboys, it was effective in regulation, achievement and total group, and was responsible to diversity, utility, determination and total group. From these results, the rope jumping may be effective to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 values. For 6th grade schoolgirls, it was effective in diversity and total group, but not in comparison to students not exercising rope jumping. Moreover, it was effective in determination only for schoolboys. Since the continual teaching of rope jumping was effective in the formation of values for 5th grade students but not for 6th grade students, it was worth to research for 3rd and 4th grade students.

      •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여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권민수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8주간의 지속적인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정상 및 비만 여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U시에 거주하는 Y초등학교 성장기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줄넘기 운동 실험군 A집단(정상아동) 10명, B집단(비만아동) 7명, 줄넘기 처치가 없는 대조군 C집단(정상아동) 6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대상을 실헙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실험집단에 주 5일, 매일 15분의 운동시간 동안 줄넘기 운동을 8주간 실시하도록 한 다음 훈련전, 후 체력검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집단은 체력검사 항목만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체력항목은 50m 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 윗몸 일으키기, 윗몸앞으로 굽히기, 오래달리기(1000m)의 기록을 훈련 전, 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공변량분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줄넘기운동이 각 집단별 50m 달리기의 실험 전·후 기록향상에 있어서 비만아동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좋은 결과가 있다고 할 수 없다. 둘째, 줄넘기운동이 각 집단별 제자리멀리뛰기에 4주차 측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8주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주차에서 줄넘기 정상아동이 대조군의 기록 보다 높았다. 셋째, 줄넘기운동이 각 집단별 윗몸일으키기의 기록향상에 있어서 비만아동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좋은 결과가 있다고 할 수 없다. 넷째, 줄넘기운동이 각 집단별 윗몸 앞으로 굽히기의 기록향상에 있어서 비만아동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좋은 결과가 있다고 할 수 없다. 다섯째, 줄넘기운동이 각 집단별 1000m달리기의 기록향상에 있어서 줄넘기 정상 및 비만아동 집단에서 높은 운동효과를 나타냈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좋은 결과가 있다고 할 수 없다. The research which it sees there is a place objective which rescues the effect where the continuous skipping motion of 8 weeks goes mad to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elementary school normality and the obesity schoolgirl. The object of research the Y elementary school growth period schoolgirls who dwell at U hour skipping motion test army A group (normal child) 10 people, B group (obesity child) 7 people, contrast army C group there is not skipping handling (normal child) 6 people was ticket collected goods in the object. For the research which it sees it classified the research object with thread Hub group and comparison group, week 5th, 15 minutes 8 weeks in order to execute the skipping motion during motion hour everyday, afterwords one before training, it executed a after physical examination to test group, the contrast crowd grade measured only a physical examination item. The physical strength item which it measures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ran 50m running, the proper place far, the upper body it got up, the upper body in the future it bent, long before and after training recording of running (1000m) it measured. It followed the data which is collected in research objective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process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applied a covariance quantity analysis method, with afterwords it got a same conclusion. First, the skipping motion each group star 50m were to the before - the after recording improvement testing the running and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he group for it shows the effect where the obesity child is high most there was not. The second, skipping motion ran each group star proper place far to be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from 4 parking measurements from 8 parking, the difference which considers it was not. The skipping normal child appeared more highly recording the contrast army than from 4 parking. The third, skipping motion gets up each group star upper body to be to recording improvement and the group for it shows the effect where the obesity child is high most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he fourth, skipping motion bends each group star upper body in the future to be to recording improvement and the group for it shows the effect where the obesity child is high most there was not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he fifth, skipping motion each group star 1000m was to recording improvement of running and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the group for it shows a high motion effect from the skipping normality and obesity child group but there was not.

      • 줄넘기운동 집단별 응집력과 수업재미에 관한 비교 분석

        임수경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여학생의 방과 후 과외활동으로 일반줄넘기와 음악줄넘기 두 집단으로 나누어 8주간 일주일에 1회, 2시간씩 운동을 실시하여 집단별 응집력과 수업재미의 사전·사후를 비교, 분석하고 일반 및 음악줄넘기 운동을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줄넘기의 긍정적인 효과와 재미와 흥미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K시 초등학교 4학년 여학생을 대상으로 군집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일반줄넘기 운동과 음악줄넘기 운동 참여 학생을 각각 4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집력은 GEQ(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과제에 대한 개인적 매력, 사회에 대한 개인적 매력, 과제에 대한 집단 통합, 사회에 대한 집단 통합에 따른 설문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고 수업의 재미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 도구는 총 5개 요인인 신체적·정신적 건강유지, 성취감, 수업의 용이성, 수업의 자유로움, 사회성 함양에 따른 설문을 이용하였다. 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질문지를 직접 회수한 후 SPSS for Windows 12.0을 이용해 분석하였고, 변인에 대한 집단 간 사전, 사후로 시기를 나누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줄넘기의 사전·사후 응집력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 검사에서 과제에 대한 개인적 매력 측면, 사회에 대한 개인적 매력 측면, 과제에 대한 집단통합 측면, 사회에 대한 집단 통합 측면은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검사에서는 모두 사전 검사보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고 p값은 <.001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둘째, 음악줄넘기의 사전·사후 응집력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 검사에서 과제에 대한 개인적 매력 측면, 사회에 대한 개인적 매력 측면, 과제에 대한 집단통합 측면, 사회에 대한 집단 통합 측면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검사에서는 모두 사전 검사보다는 매우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고 p값은 <.001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셋째, 일반줄넘기의 사전·사후 수업재미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 검사에서 신체적·정신적·건강유지 측면, 성취감 측면, 수업의 용이성 측면, 수업의 자유로움 측면, 사회성 함양 측면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왔지만 사후 검사에서는 신체적·정신적·건강유지 측면, 성취감 측면에서 ‘그저 그렇다'라는 반응이 나왔고 수업의 용이성 측면에서는 '재미없다'로 사전과 별 차이가 없었으며 수업의 자유로움 측면, 사회성 함양 측면에서는 사전보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고 p값은 <.001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넷째, 음악줄넘기의 사전·사후 수업재미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 검사에서 신체적·정신적·건강유지 측면에서, 성취감 측면, 수업의 용이성 측면, 수업의 자유로움 측면, 사회성 함양 측면 모두 '재미없다'로 부정적인 반응이 나왔지만 사후 검사에서는 모두 사전보다 매우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고 p값은 <.001로 유의한 차이가 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fter executing general rope-jumping, and music rope-jumping for two groups of elementary school girl in 4th grade as a after school activities once a week, 2 hours at once, for 8 week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hesion of each group, and class fun of pre and post examination, thereby to elevate positive effects and interest of everyone taking part in general or music rope-jumping exercise. 40 girls are selected for the subject group of general rope-jumping, and music rope-jumping exercise respectively, by random cluster sampling among 4th grade girls of K-si elementary school, Gyeonggi-do. In this study, GEQ(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 has been used to measure group cohesion, and executed pre and post surveys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 on personal attraction for the subject, personal attraction for the society, group unity about the subject, group unity about the society, an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lass fun, used the questionnaire on 5 factors, physical·mental health maintenance, achievement, easiness of the class, freedom of the class, fostering sociality. To demonstrate the hypothesis, I retrieved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m by using SPSS for Windows 12.0, then executed Paired Sample T-test on the variables between pre and post examination groups.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research method above and the data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mparing pre/post cohesion of general rope-jump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ersonal attraction for the subject, personal attraction for the society, group unity about the subject, group unity about the society all showed negative phase in pre-examination, but all of which showed positive reaction in post-examination compared to pre-examination, and p-value, less than .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result of comparing pre/post cohesion of music rope-jump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ersonal attraction for the subject, personal attraction for the society, group unity about the subject, group unity about the society all showed negative phase in pre-examination, but all of which showed very positive reaction in post-examination compared to pre-examination, and p-value, less than .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result of comparing pre/post class fun of general rope-jump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hysical·mental health maintenance, achievement, easiness of the class, freedom of the class, fostering sociality showed negative reaction in pre-examination, but in post-examination, the phase of physical·mental health maintenance, and achievement showed the reaction of 'So-So',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easiness of the class, of which reaction was 'not interested', and positive reaction came out from freedom of the class, and fostering sociality, and p-value, less than .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the result of comparing pre/post class fun of music rope-jump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hysical·mental health maintenance, achievement, easiness of the class, freedom of the class, fostering sociality all showed negative reaction of 'not interested' in pre-examination, but in post-examination, all of which showed very positive reaction compared to pre-examination, and p-value, less than .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 음악 줄넘기 운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최만주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음악줄넘기 운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정신지체학생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음악줄넘기 운동을 적용하여 정신지체학생들의 체력 변화를 분석하고, 음악줄넘기가 정신지체학생들의 체력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으로 적합한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하남시 D중학교에 재학중인 정신지체학생 9명을 대상으로 음악줄넘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주당 3-4회로 12주간 40회로 한정하여 스트레칭 5분, 음악줄넘기 30분, 스트레칭 5분씩 실시하였고, 전체 음악줄넘기 운동프로그램 적용 전·후에는 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체력항목은 제자리멀리뛰기(순발력), 윗몸앞으로굽히기(유연성), 외발서기(평형성), 윗몸일으키기(근지구력), 1000m달리기(전신지구력) 기록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줄넘기운동 실시 후 제자리 멀리뛰기에서 가장 큰 향상이 나타났으며 사전·사후간 유의한 차를 보여 정신지체학생의 순발력이 매우 향상되었다. 둘째, 음악줄넘기운동 실시 후 윗몸 앞으로 굽히기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사전·사후간 유연성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셋째, 음악줄넘기운동 실시 후 외발서기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사전·사후간 평형성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넷째, 음악줄넘기운동 실시 후 윗몸일으키기 회수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사전·사후간 유의한 차를 보여 정신지체학생의 근지구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음악줄넘기운동 실시 후 1000m달리기 기록이 전체적으로 단축되어 향상되었으며 유의한 차가 크게 나타나 정신지체학생의 전신지구력이 매우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간 음악줄넘기를 통해서 정신지체학생의 체력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고, 유연성·평형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미미하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순발력·근지구력·전신지구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순발력·근지구력·전신지구력에 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usic-ropeskipping on physical strength such as power, flexibility, balance, muscular endurance, body whole endurance of mentally retarded studen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9 mentally retarded students, who had IQs ranging from 40 to 75 in the middle school. The progress of this test conducted in three or four times a week for 3 months was streching for 5minute at the start of the reaction, music-ropeskipping according to music for 30 minutes, and streching for 5 minutes at the end. It was examined in their physical strength of standing long jump(power), sitting trunk foward flexion (flexibility), standing with one leg (balance), sitting trunk foward flexion(muscular edurance), 1000m running/walking(whole body edurance) before and after this test was applied. Comparing with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test, We found out the followings : There existe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music-ropeskipping and physical strength such as quickness, flexibility, muscular edurance, whole body edurance and balance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After this program was conducted that the result of measurement was increased in 30.77cm of standing long jump, 7.64cm of sitting trunk foward flexion, 21.07sec of standing with one leg, 6.4time of sitting trunk foward flexion and was decreased in 105.3sec of 1000m running/walking. In standing with one leg, balance was increased but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program showed that music-ropeskipping was very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strength of quickness, flexibility, muscular edurance, whole body edurance. we considerd to develop several programs to help mental and physical improvement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 아침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파를 활용한 학습자의 학습능력 측정

        김성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아침 줄넘기 운동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뇌파 학습능력(인지강도, 인지속도, 집중력, 작업부하도, 종합학습능력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학생・교사・학부모가 아침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천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학생 16명(남6, 여10)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전후검사 설계(One-group Pre-posttest Design)을 적용하여 6주간 아침 줄넘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수학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 1학기 기말고사 지필검사 점수와 2학기 중간고사 지필검사 점수를 활용하였으며, 학습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뇌파측정을 실시하였다. 뇌파장비는 LAXTHA의 CANS3000을 이용하여 학생의 인지강도, 인지속도, 집중력, 작업부하도, 종합학습능력수준을 측정하였다. 수학 학업성취도와 학습능력 결과는 Windows용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논의한 후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6주간의 아침 줄넘기 운동 전과 후 수학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 전과 후의 수학 학업성취도 평균은 3.68점 증가하였으나, 유의확률은 .43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뇌파를 통한 학생의 학습능력측정에서는 아침 줄넘기 운동은 인지강도, 인지속도, 집중력, 종합학습능력수준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지강도는 운동 전과 후 0.92감소하였다. 인지속도는 3.06증가하였으나, .198로서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집중력은 0.23감소하였다. 종합학습능력수준은 3.01향상되었으나, .18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작업부하도는 2.87감소하였으며, .05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6주간의 아침 줄넘기 운동은 학생의 작업부하도를 낮추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아침 줄넘기 운동은 학생들의 인지적 작업부하도를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influence of jumping rope in the morning on math academic achievement and cognitive functions (cognition strength, cognition speed, concentration, mental workload, total scor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o recognize exercise in relation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ognitive function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6 students(6 Boys, 10 Girls) at Bucheon S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6week period, they jumped rope for 30 minutes in the morning (8:30am~9:00am). The One-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o collect math academic achievement scor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first semester final-term test score and the second mid-term test score. This study used theEEG device, which was made by LAXTHA (CANS3000), to check cognitive funtion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Version for Windows, and the conclusions reach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ath academic achievement shows that jumping rope in the morning did not influence the result. Second, the analysis of cognition strength, cognition speed, concentration, total score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corelation. However the mental workload was decreased by jumping rope in the morning.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morning exercise is good for decreasing the mental workload for students. In conclusion, students' mental workload was decreased by morning jumping rope. As decreased mental workload, students can achieve better scores in math academics.

      •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업부진 학생의 체력과 스트레스 수준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희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업부진 학생 대상의 8주간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이 체력과 스트레스 수준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학교 현장에서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써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 K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총 4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업부진 학생 15명을 실험군(학업부진 운동군)으로 하여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고,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학업우수학생 15명(학업우수 통제군), 학업부진학생 15명(학업부진 통제군)을 각각 선정하여 3대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학업부진 운동군에게는 주 5회, 40분씩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포함, 개인줄넘기 동작을 활용한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체중과 근력, 순발력 및 심폐지구력, 스트레스 수준,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중은 운동 시기에 따른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근력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순발력은 학업부진 운동군에서 운동 전과 운동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학업부진 운동군의 운동 전·후 PEI를 통한 심폐지구력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국어 학업성취도는 학업우수 통제군과 학업부진 통제군, 그리고 학업우수 통제군과 학업부진 운동군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학업부진 운동군에서 운동 전과 운동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학 학업성취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운동 시기별 차이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8주간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업부진 학생의 순발력과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고, 국어와 수학 학업성취도를 개선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줄넘기 運動이 心肺機能 向上에 미치는 影響

        이병주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76 국내석사

        RANK : 248687

        앞에서 보는 結果를 가지고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다. A. 줄넘기 運動 Group 1. 줄넘기 기술은 제2주가 지나면서 급격히 發達했다. 2. 제5주가 지나면서 하바드 스텝 指數가 오르는 것으로 보아 心肺機能 向上이 이때부터 뚜렷하다. 3. 줄넘기 運動은 달리기 運動과 비슷하게 心肺機能 向上을 위해 좋은 運動이다. B. 달리기 運動 Group 1. 제3주 까지는 發達曲線이 緩慢하다가 제4주가 지나면서 하바드 스텝 指數가 增加되었다. 2. 달리기 運動도 제5주가 지나면서 效果가 크게 나타난다. 3. 달리기 運動이 心肺機能 向上에 좋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C. 體育時間만한 Group 體育時間에만 매주 3時間씩 하드라도 心肺機能 向上은 뚜렷하다. 위의 것을 綜合해 볼 때 다음과 같은 結論을 내릴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1. 줄넘기 運動은 心肺機能 向上에 도움이 된다. 2. 心肺機能 向上에 있어서 줄넘기 運動은 달리기 運動과 비슷한 結果를 가져 온다. This study was conducded to determine the offect of Rope Skipping activity upon eardiovaseular fitness of miadle school boy students. Rope skipping was performed five times a seek for six weeks. Overload prineiple was applied in the preseribed Rope Skipping program Harvard. Step Tess was administered to fifty boys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ir leves of cardievascular efficiency. Comparisons were made from the pre-exercise and post-exercise data. The conclusiors of this stedy was that 5times a week for six weeks may improve eardiovasoular officiency.

      • 훈련 빈도와 기간에 따른 줄넘기 운동이 유산소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은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훈련 빈도와 기간에 따른 줄넘기 운동이 유산소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서귀포 시내 여자고등학생 15명을 3개의 집단으로 분류(주4회 훈련집단, 주2회 훈련집단, 주0회 훈련집단)하여 12주간 훈련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생리적인 변화 1) 혈중 젖산농도에서 줄넘기 운동프로그램을 가지고 운동을 실시한 후 축적율에서 향상을 보였고, 특히 처치 빈도가 주4회, 처치 기간 12주에서 혈중 젖산농도가 감소(6%)되어 효과가 있었지만, 무산소성 역치 수준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심박수에서는 빈도와 기간에 따라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심폐지구력의 변화 1) 하바드 스텝지수에서 줄넘기 운동을 규칙적, 지속적으로 실시할 경우 전신 심폐지구력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유산소 운동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오래달리기(800m)에서 줄넘기 운동프로그램이 심폐지구력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빈도와 기간의 요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고,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The study was undertaken to grasp the effect to aerobic motor ability according to frequency & duration of rope skipping training.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sist of 3 groups(4 times training a week group, 2 times training a week group, 0 times training a week group during 12 weeks).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s follows ; 1. Physiological effects 1)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desirable effect in statistical probability, particularly shown decreased effect(6%) in 4 times training a week group, but no anaerobic threshold level statistically.. 2) Heart rate was not shown any effect by training frequency & duration statistically. 2. Cardiovascular effects 1) Rope skipping training group practiced regularly and continuously was shown desirable effect whole body endurance and anaerobic motor effect statistically. 2) Rope skipping training program was shown desirable cardiovascular effect in 800m running, and effect independently in training frequency and duration, but no interaction effect statis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