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양한 준비운동이 컨벤셔널 데드리프트에 미치는 영향

        김나리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2

        다양한 준비운동이 컨벤셔널 데드리프트에 미치는 영향 김 나 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동작 시 준비운동 의 종류(스트레칭과 데피싯 데드리프트)에 따른 하지 움직임과 근활성도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여 상해의 위험성을 최소화한 적절한 준비운동 방법을 제시하 는데 있다. 본 연구는 6개월 이상 저항운동을 경험한 20~30대 남성 11명(Age: 24.8±4.8 yer, Height: 174±7 cm, Weight:78.5±8.6 kg, 1-RM:148±24.9 kg)을 선정하였다. 준비운동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모든 대상자는 1일에 준비운동으로 정적 스트레칭 4가지를 실시하였고, 2일에 준비운동으로 데피싯 데드리프트(운 동 대상자가 지면보다 5cm 높은 박스 위에 올라간 후 데드리프트 수행)를 수행 한 후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1-RM의 80% 중량으로 3회를 실시하였다.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동작 시 다양한 준비운동에 따른 운동역학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적외석 카메라(Oqus 300, Qualisys, Sweden) 8대와 무선 근전도 측정기(Ultium ESP, Noraxon, USA)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데이터 취득률은 각각 100 Hz 와 1,000 Hz로 설정하여 취득하였다. 통계처리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 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데피싯 데드리프트가 스트레칭에 비하여 Lift off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발목관절의 외번 각도가 나타났고, 무릎관절의 신전 각도가 나타났다. 둘째, 데피싯 데드리프트가 스트레칭에 비하여 phase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감소된 무릎관절의 가동범위가 나타났다. 셋째, 데피싯 데드리프트가 스트레칭에 비하여 phase 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증가된 무릎관절의 가동범위가 나타났다. 넷째, 데피싯 데드리프트가 스트레칭에 비하여 phase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감소된 무릎관절의 신전 각속도가 나타났고, 감소된 엉덩관절의 외회전 각 속도가 나타났다. 다섯째, 데피싯 데드리프트가 스트레칭에 비하여 phase 2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감소된 엉덩관절의 신전 각속도와 내전 각속도가 나타났다. 여섯째, 데피싯 데드리프트가 스트레칭에 비하여 모든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척추세움근과 큰볼기근의 근활성도의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데피싯 데드리프트가 스트레칭에 비하여 phase 1에서 감소된 무릎관절의 가동범위와 신전 각속도가 나타나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동작 시 Lift off 시점에서 무릎관절의 과도한 신전 형태로 인해 엉덩관절이 어깨보다 높 게 상승하여 허리에 부하가 가해지는 자세를 예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 서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동작 시 허리 부상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특이적 준비운동으로 데피싯 데드리프트를 수행한다면 부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주요어 :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데피싯 데드리프트, 준비운동

      • 수영시 준비 및 정리운동 실시여부가 혈액내 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원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인 수영시 준비운동여부가 피로 유발 물질로 잘 알려진 젖산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정리운동여부가 축적된 젖산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심박수에는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규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은 마포구 소재 H대학교 실내수영장에서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과거 수영경력이 2년 이상인 신체 건강한 남자 대학생 14명을 선정하여 준비 및 정리운동군(7명), 대조군(7명)으로 무선 배정하여 실시하였다.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은 각각 15분간 실시하였으며 준비운동 직후의 체온은 안정시보다 1℃ 높인 상태로 하였다. 본 운동은 5분 수영, 1분 휴식의 방법으로 20분간 실시하였다. 젖산과 심박수의 측정은 안정시, 준비운동직후, 본 운동시 5분간격(3회), 운동직후, 정리운동직후, 회복기 5분간격(3회), 정리운동후 35분에 측정하였다. 각 분석 항목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집단간의 평균치의 차이 유·무는 Independent t-test로, 집단내 차이 유·무는 paired t-test로 하였다.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준비운동에 관한 실험결과 ① 준비운동군과 대조군간에 준비운동 직후 혈액내 젖산에는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P<.05) ② 준비운동군과 대조군간의 심박수는 준비운동 직후, 본 운동 10분, 본 운 동 15분, 본 운동 20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1, p<.01, p<.05, p<.01) ③ 준비운동군, 대조군 모두 전 운동시간대에 젖산, 심박수에 있어 집단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p<.01, p<.001) 2. 정리운동에 관한 실험결과 ① 정리운동군과 대조군간에 정리운동 후 혈액내 젖산 변화에는 유의한 차 이가 없었다. ② 정리운동군과 대조군간의 심박수는 정리운동 후 5분, 정리운동 후 10분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1, p<.05) ③ 정리운동군, 대조군 모두 회복기 전구간에서 젖산, 심박수에 있어 집단 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p<.01, p<.001) The Effects of Warming up and Cooling down in Swimming on Lactate Density in Bl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warming up in swimming on Lactate Density which makes man be exhausted. And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oling down in removing Lactate and the relation with heartrate. The test was practiced in the swimming pool of H University in Mapo-gu and 14 university students, who has two years experience in swimming and are health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even students were warming up and cooling down group and seven were other group. Warming up and cooling down was done 15minutes before swimming and body temperature rose by 1。C. This exercise was done 5minutes swimming and 1minutes rest during twenty minutes. The measurement of Lactate and heartrate was conducted stable period, right after warming period and exercise period of body per 5minutes (3times). Just after exercise, cooling down and restoration period per 5minutes(3times),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And after cooling down(after 35minutes), the measurement was practic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onducted on each analysis par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The difference in group was examined by paired t-test at the p<.05 level of significant. The results as follows 1. Warming up ① Just after warming up, each group's lactate amount in blood has significant change.(P<.05) ② Just after warming up, 10minutes exercise, 15minutes exercise and 20minutes, each group's heartrate has significant change.(p<.001, p<.01, p<.05, p<.01) ③ All groups have significant change on the lactate and heartrate through exercise.(p<.05, p<.01, p<.001) 2. Cooling down ① After cooling down, each group's lactate amount in blood has no significant change. ② Each group's heartrate has significant change just after cooling down after 5minutes and 10 minutes.(p<.01, p<.05) ③ All groups have significant change on the lactate and heartrate through restoration period.(p<.05, p<.01, p<.001)

      •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을 통한 체육 수업의 효율화 방안

        박여울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한 준비운동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준비운동에 대한 인식과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존에 체육시간에 적용하던 준비운동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흥미를 끌어 동기유발이 될 만한 요소를 놀이에서 추출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로 준비운동에 임하고, 더 나아가 체육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연구자가 담당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공립 S초등학교 5학년 1개반 남·여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총 8주(기존의 준비운동 2주,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 6주)간에 걸쳐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준비운동을 구성하기 위해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하는 놀이와 ‘두근두근 운동장 놀이’(2880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준비운동의 성격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다음으로 실험 처지 후에 준비운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명철(2004)의 준비운동에 관한 성취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각 영역은 준비운동에 대한 태도, 준비운동에 대한 흥미, 본시학습과의 관계, 준비운동의 필요성으로 구분하여 조사였다. 그리고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을 적용한 후에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영근(2011)의 초등학교 수업에 대한 만족도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수업 만족도의 5가지 영역 중 수업자신감, 수업흥미도, 수업참여도와 관련된 문항으로 수정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간단한 소감문과 교사의 수업일지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놀이 활동을 중심으로 한 준비운동에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로 참여하였다. 이 점은 학생들이 놀이에 대한 호감 정도에 따라 조금씩 응답수의 폭에 변화가 있기는 했지만 준비운동에 대한 태도 문항 중 자발적인 참여와 적극적인 참여, 흥미에 관한 질문에 대한 응답에서 ‘매우 그렇다’의 응답수가 상당히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준비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기존의 준비운동은 학생들에게 체육시간을 줄이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며 상당히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준비운동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었다. 하지만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을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학생들은 준비운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즐겁게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3월 15일과 6주 후인 4월 26일의 ‘매우 그렇다’의 응답을 비교하여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을 적용한 후에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연구 후에 3월 19일과 6주 후인 4월 26일의 ‘매우 그렇다’의 응답수 백분율을 비교하여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영역별로 살펴보았다. 수업자신감, 수업흥미도, 수업참여도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상승하였고, 이는 학생들이 체육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학생들의 소감문과 교사의 수업 일지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놀이 활동 중심의 준비운동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더 재미있는 놀이로 준비운동을 하기 위해서 규칙이나 새로운 놀이에 대한 생각을 제시할 정도로 준비운동에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POP댄스 준비운동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참여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태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1

        논 문 요 약 K-POP댄스 준비운동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참여태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 태 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초등체육교육전공 ( 지도교수 이 동 규 ) 본 연구의 목적은 K-POP댄스 준비운동을 실시한 반과 실시하지 않은 반의 차이점을 연구함으로써 K-POP댄스 준비운동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 참여태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하는 S 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 4개 학급 97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36차시 간의 체육시간을 이용하여 K-POP댄스 준비운동을 이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준비운동을 이용하여 수업을 운영한 후, 연구대상자들의 체육수업 참여태도, 체육수업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여 도출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POP댄스 준비운동을 이용한 체육수업이 체육수업 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5가지 요인 중 3가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책임감 요인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사전·사후결과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내심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이 사전·사후결과 p<.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정성 요인 또한 실험집단이 사전·사후결과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적극성 요인과 준법성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POP댄스 준비운동을 이용한 체육수업이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요인 중 2가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습 성과 요인에서 실험집단은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방법 요인에서 실험집단은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욕 및 관심 요인과 운동 협력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K-POP댄스 준비운동을 이용한 체육수업은 학생들의 체육수업 참여태도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POP댄스 준비운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좋아하는 가수의 안무 동작을 직접 함으로써 발생하는 흥미와 동기가 본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K-POP댄스에서 적절한 안무 동작을 선정하여 체육시간에 준비운동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초등학생, K-POP댄스, 준비운동, 참여태도, 만족도 * 본 논문은 2014년 5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흉추 가동성 준비운동이 양궁선수의 어깨 기능에 미치는 영향

        권진경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흉추 가동성 준비운동이 양궁선수의 어깨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K대학교 및 S고등학교 양궁선수 26명을 대상으로 4주간 주 5회, 30분씩 흉추 가동성 준비운동(TMG, n=13) 및 정적 스트레칭 준비운동(SSG, n=13)을 실시하였다. 어깨 기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어깨 불안정성 조사 설문지(Western Ontario Shoulder Instability Index), 어깨 관절가동범위, 어깨위팔리듬, 어깨뼈 외측 활주 거리, 어깨 안정성 테스트(Upper quarter Y-balance Test)를 운동 전․후에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반복측정변량분석(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사후검증으로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검증의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준비운동 형태에 따른 운동 전․후 어깨 불안정성 변화를 Western Ontario Shoulder Instability Index(WOSI) 설문지를 통해 확인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준비운동 형태에 따른 운동 전․후 어깨 관절가동범위 변화를 확인한 결과 오른팔(draw arm) 안쪽돌림 시 SSG집단의 시기에 따른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며(p<.05) 상호작용 효과 또한 나타났다(p<.05). 3. 준비운동 형태에 따른 운동 전․후 어깨위팔리듬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오른팔(draw arm)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왼팔(bow arm) 120° 벌림 시 SSG집단에서 시기에 따른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p<.01) 상호작용 효과 또한 나타났다(p<.05). 4. 준비운동 형태에 따른 운동 전․후 어깨뼈 외측 활주 거리 변화를 확인한 결과 오른팔(draw arm) 90° 벌림 시 TMG집단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나(p<.01) 왼팔(bow arm)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준비운동 형태에 따른 운동 전․후 Upper Quarter Y-Balance Test(UQYBT) 변화를 확인한 결과 SSG집단의 오른팔(draw arm)(p<.01)과 왼팔(bow arm)(p<.05)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흉추 가동성 준비운동과 정적 스트레칭 준비운동이 양궁선수의 어깨 관절가동범위, 어깨뼈 외측 활주 거리, UQYBT에 시기에 따른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오른팔 어깨 안쪽돌림 가동범위에 있어서 정적 스트레칭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어깨위팔리듬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흉추 가동성 준비운동 집단에서 보다 적은 감소가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어깨 기능별 장기적인 중재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aim of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oracic mobility warm-up on the shoulder function of archery athletes. The subjects were 26 athlete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oracic Mobility warm-up Group(TMG, n=13) and Static Stretch warm-up Group(SSG, n=13). They conducted warm up program for 5 days per week, 30 minutes per day during 4 weeks and were measured Western Ontario Shoulder Instability Index(WOSI), shoulder range of motion, scapulohumeral rhythm, lateral scapula slide, Upper Quarter Y-Balance Test(UQYBT) to develop warm-up effect on the shoulder function of archery athletes.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 t-test was performed for variabl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initial data.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as set at ⍺=.05. The results of this are as follows; 1. In Western Ontario Shoulder Instability Index(WOSI) according to the warm-up method, all two groups, TMG and SSG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2. In shoulder range of motion according to the warm-up method, SSG in internal rotation of right shoulde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warm-up(p<.05). Also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ithin the group and in interaction effect(p<.05). 3. In scapulohumeral rhythm according to the warm-up method, all two groups, TMG and SSG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fter warm-up in right shoulder. However, SSG in 120° abduction of left shoulder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warm-up(p<.01). Also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ithin the group and in interaction effect(p<.05). 4. In lateral scapula slide according to the warm-up method, TMG in 90° abduction of right shoulde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warm-up(p<.01). However, left shoulder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MG and SSG. 5. In Upper Quarter Y-Balance Test(UQYBT) according to the warm-up method, SSG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right shoulder(p<.01) and left shoulder(p<.05). In conclusion, the positive effects of thoracic spine mobility warm-up and static stretching warm-up exercises on the shoulder joint range of motion, lateral shoulder glide distance, and UQYBT of archery athletes were confirmed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static stretching was more effective in the range of motion of inner rotation of the right arm. The upper arm rhythm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groups, and a smaller decrease was seen in the thoracic spine mobility warm-up group.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the long-term intervention effect by shoulder function variables.

      • 골프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특이적 준비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득수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99

        국문초록 골프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특이적 준비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 득 수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는 골프의 특성을 고려한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체력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한골프협회(KGA), 한국프로골프협회(KPGA)에 등록된 엘리트 선수 30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준비운동 프로그램 형태에 따라 동적 준비운동 집단(DWUG, n=10), PAP 준비운동 집단(PAPG, n=10), 연습 스윙 준비운동 집단(SWUG, n=10)으로 구분하였다. 체력 요인 및 경기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관절가동범위, 균형능력, 근 파워, 골프 수행력(driver & 6i performance)을 준비운동 참여 전·후에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자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의 경우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이때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준비운동에 따른 집단 간 좌측 견관절 가동범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굴곡, 외전에서 DWUG(p<.01), 외회전에서 SWUG(p<.05) 모두 준비운동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측 견관절 굴곡에서 DWUG(p<.05), SWUG(p<.01), 외전에서 DWUG(p<.01)이 준비운동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Seated rotation test with Bar-in front에 대한 결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좌측 방향에서 DWUG(p<.05), SWUG(p<.01)이 모두 준비운동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Lumbar-locked rotation test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측 방향에서 DWUG(p<.05)이 준비운동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준비운동에 따른 집단 간에 주측 발의 Y-balance test 종합점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집단 내의 전·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DWUG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그러나 집단 및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준비운동에 따른 집단 간 Seated Medicine Ball Throw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DWUG(p<.05), PAPG(p<.001) 모두 유의하게 거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에 대한 사후분석 결과 DWUG과 PAPG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Medicine Ball Hitter’s Throw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DWUG(p<.001), PAPG(p<.0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Countermovement Jump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DWUG(p<.01), PAPG(p<.0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준비운동에 따른 집단 간에 드라이버 총 비거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DWUG(p<.001), PAPG(p<.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이버 볼 비행거리(carry)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DWUG(p<.01), PAPG(p<.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이버 클럽 헤드 스피드(club head speed), 볼 스피드(ball speed), 스매쉬 팩터(smash factor), 정확도(accuracy-side)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기, 집단 및 상호작용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준비운동에 따른 집단 간에 6번 아이언 비거리(carry)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PAPG(p<.001)이 준비운동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6번 아이언 클럽 헤드 스피드(club head speed)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볼 스피드(ball speed)는 PAPG(p<.05)에서 준비운동 이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6번 아이언 스매쉬 팩터(smash factor)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6번 아이언 정확도(accuracy-side)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DWUG(p<.05)에서 준비운동 이후 오차 범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골프의 특성을 고려한 준비운동 프로그램 중 동적인 형태의 준비운동의 적용이 골프 관련 체력 요인 및 경기력 요인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PAP 준비운동은 파워와 비거리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경기력, 체력수준, 성별, 연령에 따른 개별화된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활용한다면 프로, 엘리트 선수와 아마추어, 동호인 등 많은 골퍼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는 준비운동과 관련한 부상예방 관련 인자들은 아직 그 증거가 불분명하고, 효과를 검증한 사례가 적어 이와 관련한 효과가 있는지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골프 경기력, 특이적 준비운동, 동적 준비운동, Post-activation potentiation ABSTRACT Development and Effect of Specific Warm-up Program to Improve Golf Performance Deuk Su, Park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Jae Keun, Oh (Advis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arm-up program tha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olf,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range of motion, balance ability, muscle power, and golf performance(driver & 6i)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warm-up. The participants were 30 elite athletes registered in the Korea Golf Association(KGA) and Korea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KPGA), and they were assigned randomly into Dynamic warm up group(DWUG, n=10), PAP warm-up group(PAPG, n=10), and Air swing warm-up group(SWUG, n=10).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as performed for variabl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initial data.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statistics was set at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Range of left shoulder joint movement according to the warm-up movement, both DWUG(p<.01) in flexion and abduction and SWUG(p<.05) in external rot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warm-up movement. DWUG(p<.05), SWUG(p<.01), and DWUG(p<.01) in abduc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warming up. Seated rotation test with the bar-in front among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fter the warm-up in the DWUG(p<.05) and SWUG(p<.01) in the left direction. Lumbar-locked rotation test among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DWUG(p<.05) after the warm-up in the right direction. 2. Composite score of the dominant foot's Y-balance test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warm-up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p<.05). Significantly increased(p<.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ithin the group and in interaction effects. 3. Seated medicine ball throw between groups according to warming up showed significant distance increase in DWUG(p<.05) and PAPG(p<.001). In addition, the post hoc analysis of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DWUG and PAPG(p<.05). Medicine Ball Hitter ’s Throw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DWUG(p<.001) and PAPG(p<.001). The Countermovement jump was found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in DWUG(p<.01) and PAPG(p<.001). 4. Driver's total dista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warming up, DWUG(p <.001) and PAPG(p<.01)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Driver ball carry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DWUG(p<.01) and PAPG(p<.01). Driver club head speed, ball speed, smash factor, and accuracy-sid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iming, group, and interaction effects. 6iron carry among the groups following the warm-up exercise showed that PAPG(p<.001)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warm-up exercise. 6iron club head speeds among th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nd the ball speed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warm-up in PAPG(p<.05). 6iron smash factors among the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6iron-accuracy-side among the groups showed that the DWUG(p<.05) were reduced significantly the margin of error after warm-up.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the dynamic type of warm-up exercise on golf-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 factors among the warm-up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olf. Therefore, if a scientific warm-up program is developed and utilized through individualized research according to performance, fitness level, gender, and age, it could be suggested as a warm-up program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many golfers such as professionals, elite athletes, amateurs, and recreational players. In future studies, further long term research would be required on the effects of injury prevention related factors with warming up, as the evidence is still unclear. Key words : Golf performance, Specific warm-up, Dynamic warm-up, Post-activation potentiation

      • Exploring the requirements of exercise habit and circulation structur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perspective of dual process

        이윤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antecedent factors make effect on exercise preparation habit and exercise performance habit among reward, consistency, environmental cues, and behavioral complexity. Also,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which way is most effective for intention and habit to be explained by which proces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45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willingness to take part in exercise and perform physical activities on a regular basis and expressed interest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exercise habit. The final sample consisted 114 students due to dropout or loss of communication. Complete data were analyzed after coding, using SPSS 23.0 version and AMOS 20.0 program for Windows. Analytic procedures includ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had a positive effect on development of exercise preparation habit and exercise performance habit. Second, early reward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itial exercise preparation habit. The initial consistency and development of consisten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exercise preparation habit. Initial behavioral complex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itial exercise preparation habit. However, no factors influenced exercise performance habit. Third, the initial exercise preparation habit had a positive effect on initial intention. The initial int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and the increase of physical activity. The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exercise performance habit. The initial exercise preparation habit had a positive effect on early exercise performance habit. In conclusion, exercise habits are better formed in the past as they have long been involved in exercise. In addition, forming exercise preparation habit requires fun, personal control, and repetitive behavior. Fin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physical activity takes place in a complex cycle structure of unconscious behavior and conscious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construct a program for continuous exercise participation, and require further research on habit formation to obtain more general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운동의 시작에 필요한 운동준비습관과 유지에 필요한 운동수행습관을 구분하여 각각의 습관의 형성에 보상, 일관성, 환경적 단서, 행동 복잡성 등에 기반하여 필요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습관이 형성되는데 있어 초기와 유지단계에서 어떤 요인이 그 단계에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기에 운동을 지속시킬 수 있는 intervention 계획 시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모집공고문을 통해 규칙적인 운동참여에 의지가 있으며 운동습관형성에 대한 관심을 가진 모든 대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연구 참여를 포기하거나 연락두절이 된 이들을 제외하고 최종 11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3.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도출을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운동행동변화단계만이 운동준비습관과 운동수행습관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의 보상은 초기 운동준비습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일관성과 일관성의 발달은 운동준비습관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의 행동복잡성은 초기 운동준비습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운동수행습관에는 어떠한 요인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초기 운동준비습관은 초기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의 의도는 신체활동의 초기와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의 증가는 운동수행습관의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초기의 운동준비습관은 초기의 운동수행습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운동습관은 과거에 운동에 오래 참여하였을수록 잘 형성된다. 그리고 운동준비습관을 형성하는 것에는 내적 즐거움과 행동에 대한 통제력, 그리고 반복적인 행동이 요구되었다. 마지막으로 신체활동은 무의식적인 행동과 의식적인 행동의 복합적인 순환구조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지속적인 운동참여를 위한 프로그램 구성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며, 보다 더 일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습관형성과 관련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준비운동프로그램이 표현활동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경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연구는 표현활동 특성을 고려한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고안, 적용하여 이것이 표현활동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표현활동영역의 정상적 운영 방안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두 집단간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나. 두 집단간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참여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서울시 성북구의 J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6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 비교집단은 일반적 준비운동을 적용하여 표현활동 수업을 진행하였다.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 검사도구로는 우길동(2001), 박순이(2001)가 사용한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J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한 결과 신뢰도 수준이 α=0.928로 특이한 문항이 발견되지 않아 검사도구로 확정하여 사용하였다.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참여태도 검사도구로는 일본의 高橋 & 長容川 등이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하였던 도구와 한광희(2000), 이동섭(2002), 박광렬(2007)이 사용한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J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한 결과 신뢰도 수준이 α=0.941로 특이한 문항이 발견되지 않아 검사도구로 확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실험처치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표현활동 특성에 맞게 고안된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 준비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본시 학습내용은 같고 준비운동 내용만 다르게 하여 주2회씩 6주간 총12차시를 걸쳐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두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 두 집단 간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4가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4개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 학습성과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흥미 및 관심, 협동심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평균점수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참여태도 두 집단 간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참여태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5가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5개의 하위요인 중 안정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적극성, 책임감, 협동심, 인내심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평균 점수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표현활동 특성에 맞는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표현활동 수업이 일반적 준비운동을 실시한 표현활동 수업에 비해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태도 역시 큰 향상을 나타내기에는 적용 시간 면에서 다소 부족했으나 긍정적인 향상은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warm-up program suitable for expressive activities, to examine it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expressive activities and ultimately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normalization of expressive activity education.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 with expressive activity learning between two different groups?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expressive activity participation between two different grou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students in two fourth-grade classes in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ngbook-gu, Seoul. An experiment participated in a warm-up program, and a control group got typical warm-up exercise before the two groups received instruction about expressive activities.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n a warm-up program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activities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got typical warm-up exercise. After the two groups got a different warm-up exercise, both groups received the same instruction.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in 12 sessions during a six-week period of time, twice a week, and then a posttes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making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the two group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Satisfaction Level with Expressive Activity Learning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wo groups was compar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atisfaction level with all the four subareas af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two groups in satisfaction level with two out of the four subareas in the posttest, which involved confidence and learning outcome.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other two subareas that were interest and cooperative spirits, but the intergroup ga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Participation Attitude to Expressive Activities As a result of assessing their participation in expressive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ll the five subareas after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gap in one of the five subareas in the posttest, which was st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areas involving positiveness, responsibility, cooperative spirits and endurance,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expressive activity instruction that applied the warm-up program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activities gave more satisfaction to the learners than the other kind of instruction that provided typical warm-up exercise. The former also served to improve the class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to some extent, though the experiment was not long enough to let them make a great progress in that regard.

      • 프로배구 선수들의 준비운동 유형이 스파이크 속도와 근파워 및 민첩성에 미치는 효과

        송호규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프로배구 선수들의 준비운동 유형이 스파이크 속도와 근파워 및 민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한국배구연맹(KOVO)에 선수 등록이 되어 있는 서울연고의 G프로배구단에 소속된 경력 10년 이상의 선수로써, 주당 약 8시간 배구 훈련과 약 8시간의 근력 훈련에 참가하고 있는 선수 11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연속적이지 않은 날(nonconsecutive days)에 48시간의 간격으로 동일한 피험자들이 총 4번 실시하였다. 첫 실험일에는 유산소 운동만 진행한 통제집단(Con) 실험 후 나머지 실험일에 무작위로 3가지의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3가지의 프로그램은 저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후 정적 스트레칭 (static stretching: SS), 동적 스트레칭 (dynamic stretching: DS), 저항운동 (resistance exercise: RE)으로 진행하였고, Spike Speed Test, Vertical-Jump Test 및 Agility T-test를 이용하여 스파이크 속도, 근파워 및 민첩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들은 Window용 SPSS/PC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준비운동 프로그램 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경우, Tukey를 사용하여 사후검증 하였다. 이 때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준비운동 유형에 따른 스파이크 평균 속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F=3.345, sig=.028), 사후 검증 결과 저항운동(RE) 그룹과 동적 스트레칭(DS) 그룹이 유산소성 운동만 진행한 통제(Con) 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48, p=.041). 스파이크 최대 속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파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첩성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장에서의 준비운동이 동적 스트레칭에 저항운동을 추가하게 되면 스파이크 속도를 증가시켜 경기력 향상과 부상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스포츠 현장에서의 최대 목적 중 하나는 운동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의 향상이다. 이에 Post-activation Potentiation(PAP) 개념을 적용하면 순간적인 강화작용을 통한 퍼포먼스 향상 뿐 만 아니라, 훈련의 효율성과 부상예방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던 연구 대상자의 근력 상태, 휴식 시간, 피로도 등에 대한 부분은 논의되어야 할 것이며, 경기나 훈련 전 선수에게 준비운동으로서의 저항운동은 거부감이 있기 때문에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적절한 강도와 양을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스포츠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최대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PAP와 관련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현재보다 효율적인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study the correlation among three warm-up exercises and spike speed, muscular strength and agility in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The subjects were 11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of the G volleyball team in Seoul under the Korean Volleyball Federation (KOVO), who had at least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team and they regularly spent 8 hours in performance training and another 8 hours in strength training in a week.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4 days nonconsecutively and were given 48 hours interval between the sessions.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erobic exercise only on the first day of experiment and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one of three warm-up exercises randomly on the other three days. Three warm-up programs were static stretches(SS), dynamic stretches(DS) and resistance exercises(RE) with mild aerobic exercise. After all the experimental sessions were finished, the spike speed, muscular strength and agility was measured using Spike Speed Test, Vertical-Jump Test and Agility T-Test. The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was calculated using the SPSS / PC 21.0 statistical program for Windows and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preparation programs. When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was found, post-test was performed using Turkey metho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α=.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spike average speed. The post-test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resistance group (RE) and dynamic stretching (D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pike peak speed and agility among experimental groups. In conclusion, warm-up exercises in the field including resistance exercise and dynamic stretching can improve the performance and prevent the injury by increasing the spike speed. In the sports field, one of the main purposes is to improve the power that can lead to the exercise performance. It is reported that the post-activation potential (PAP) by momentary reinforcemen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training efficiency and even the injury prevention. However, it should be discussed more about the muscular condition, resting time, fatigue of the subject, which was thought to be a limit in this experiment. Because many of the athletes are reluctant to do the resistance training as a preparation exercise just before the game or training, it is important to set the proper intensity and quantity of the exercise when planning the programs. Many following researches on PAP to improve the maximum performance in the sports field will contribute to construct more efficient preparation exercise progra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