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조종사 양성 전문교육기관 제도 분석 및 개선방안연구

        김욱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부속서 1(항공종사자 면허) 국제표준 및 권고사항과 1983년 제정된 ‘Manual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viation Training Centres(ICAO Doc 9401-AN/921) 그리고 Manual on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ICAO Doc 9841.)를 근거로 운영되는 항공종사자 양성 교육제도로서 항공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는 항공종사자를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우수한 인력을 항공산업 분야에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제도이다. 우리나라는 1986년에 최초로 한국항공대학교가 조종사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을 지정받았고 그 이후 항공운항학과가 설치된 일부 대학교들이 지정받아 전문교육기관 제도를 통해 조종사를 양성해왔다. 2017년 10월에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관은 전문교육기관 제도에서만 비행훈련이 가능하도록 항공안전법 48조(전문교육기관의 지정 등)가 개정되어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받지 않은 대학교 소속 비행교육원과 사설 비행교육원 전체가 전문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이 일원화된 전문교육기관 제도로 운영됨에 따라 교육 체계 및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교육 및 실기교육에 관련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사항을 제시할 수 있도록 비교적 전문교육기관 제도가 잘 정착된 국가인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와 인접 국가인 일본과 중국과 동남아 국가를 연구 대상에 포함하여 전문교육기관 현황과 국가별 법·규정, 전문교육기관에서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수료 및 취득 조건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전문교육기관 제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해당 분야 종사자에게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전문교육기관 법·규정 및 운영과 관련된 개선사항으로 조종사 양성 훈련제도를 전문교육기관에서만 가능하도록 법·규정이 개정됨에 따라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과 교육생은 전문교육기관 제도에 따른 훈련을 진행할 수 없어 훈련에 따른 제한사항이 대두되고 있어 이를 해소할 방안이 필요하다. 두 번째, 전문교육기관 운영과 관련된 규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와 조종사 양성 훈련기관과 상호 의사소통을 강화하여 전문교육기관의 운영과 관련된 불필요한 규제를 확인하고 해소할 수 있도록 상호 노력해야 한다. 세 번째, 과도한 학과교육 시간에 관련된 개선사항으로 우리나라 전문교육기관은 자가용 및 사업용 조종사 학과교육 시간이 다른 국가에 비해 많은 교육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에 따른 필요한 학과교육 시간을 분석하여 현행 학과교육 시간을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실기교육 과목의 비행경험과 관련된 사항으로 조종사 자격증명에 따른 실기교육 과목마다 동승비행시간, 기장 또는 단독비행시간으로 구분되어 실기교육의 융통성을 저해하고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표준 및 권고 사항에서 요구하는 특정 비행경험을 충족하는 경우 전문교육기관에서 조종사 자격증명을 취득할 수 있도록 개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9개 국가의 전문교육기관 제도 및 조종사 자격증명 취득을 위한 학과 및 실기교육 등을 비교‧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최초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is an pilo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of ICAO Annex 1 and Manual on the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ICAO. Doc 9841). The purpose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ATO) is to supply excellent Airmen to the aviation industry through a relatively systematic training system for airmen who are expected to be insuffici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In Korea, Korea Aerospace University was designated as the firs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to pilots Training in 1986, and universities with Flight operation(Aeronautical Science) departments have been designated by the state since then to pilots training under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ATO) system. In October 2017, Article 48 of the Aviation Safety Act (designated as a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was revised to allow flight training only in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system, and the entire university flight Training center and private flight Training center were designated as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In this study, as the pilot training center is operated as a unified Approved Training system, it is relatively specialized in order to deriv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related to the Training system and Aviation Knowledge class and practical Training for obtaining pilot certificates. Including countries with well-established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Canada, and Australia, as well as neighboring countries Japan and China, and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current statu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and pilots i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with the pilot training system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in Korea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for completion and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Airmen in the Aviation industry field to derive the following improvements. First, As the laws and regulation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have been revised to allow the pilot training system only at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pilot training center and trainees cannot conduct training under the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system, and there is a need to resolve thi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Mutual efforts shall be made to identify and resolve unnecessary regul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by strengthening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pilot training centers. Third, as an improvement related to excessive knowledge class hours, Korean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require more knowledge class hours for private and commercial pilot courses than in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ent knowledge class hours by analyzing the knowledge hours required for aviation knowledge of trainees according to pilot certificates. Fourth, it is related to the flight experience of the practical training subject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and it is divided into dual flight time, captain, or solo flight time for each practical Training subject according to the pilot certificates, hindering the flexibility of practical training. Amendments are needed to ensure that pilot certificates are obtained from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ions when specific flight experiences are met as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If the flight experience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standards and recommendations is satisfied, improvements are needed to obtain pilot certificates from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improvements and suggested solutions for the first tim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s of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 in nine countries and knowledge class and practical training to obtain pilot certificates.

      • 우리나라 부조종사 자격증명(MPL ; Multi-crew Pilot)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김봉관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7

        초 록 우리나라 부조종사 자격증명(MPL ; Multi-crew Pilot)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부조종사 자격증명(Multi-crew Pilot License; MPL)은 2인 이상이 조종하는 운송사 업용 항공기의 부조종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격으로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에 의해 개발되어 2006년 Annex1에 정식 수록되 었다. 우리나라 또한 2009년 현재의 항공안전법의 전신인 항공법에 신설하였다. 이렇듯 제도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이 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MPL제도 활성화의 필요성을 조종사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MPL의 탄생배경과 관련이 있는 자동화 시스템이 탑재된 오늘날의 발달한 조종실 환경과 2인 이상이 조종하 는 운송사업용 항공기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Crew Resource Management(CRM) 의 6세대 특징(TEM)을 검토하고, MPL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본적인 이해 를 돕고자 하였다. 끝으로, 실증연구로서 현직 부조종사를 대상으로 현재의 자격제도가 부기장 초기 훈련에 도움이 되는지와 MPL에 대한 인식정도를 설문하였고, 결과로서 자 격증을 취득하며 훈련하는 내용들은 초기훈련 시 익혀야하는 부기장의 업무역량과 차이 가 있으며, MPL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형항공기를 사용하여 비행시간 획득에 기반을 둔 현재의 조종사 자격 시스템은 민간 운송 항공기의 부조종사를 양성하는 관점에서 효율적이지가 못하고, 이런 점에 착안한 제도가 MPL이다. MPL제도의 취지를 이해하고 정확히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 입, 실행한다면 민간 항공운송의 비행안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 한다

      •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정 학생의 Encoding(부호화) 기법을 활용한 비상상황 대처방안 학습이 상황인식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정윤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6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정 학생의 Encoding(부호화) 기법을 적용한 학습이 상황인식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종사의 비행 중 의사결정은 비행안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위한 선결 요건으로 상황인식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어왔다. 조종교육에 입과 하는 학생들이 훈련 초기단계부터 우수한 상황인식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관심과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상황인식은 인간의 정보처리 프로세스 중 장기기억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교육학 및 인지심리학 분야에서는 효율적 장기기억 방안으로 Encoding(부호화) 기법 사용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 항공운항과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Encoding(부호화) 기법을 활용한 비상상황 대처방안 교육 자료를 학습하는 것이 학생들의 상황인식 역량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2장 에서 인지적 관점에서의 상황인식과 기억체계에 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비정상 상황에서 조종사의 상황인식은 장기기억에 저장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조종사 교육, 특히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정에서 훈련내용이 장기기억에 저장되기 용이하도록 고려되어야하는데 새로운 정보가 장기기억으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깊이 있는 정보처리의 대표적인 방법은 Encoding(부호화) 이다. Encoding(부호화)의 하위전략으로 시연, 정교화, 조직화 및 심상형성 등이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정중 비정상 비행상황 대처방안 교육 자료를 구성하고, 국내 대학 항공운항학과 소속으로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정 과정에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에게만 8주간 교육 자료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교육자료 제공 전후로 실시한 두 번의 설문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실험군 학생 조종사의 상황인식 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Pre-test를 분석한 결과 Encoding(부호화) 기법을 활용한 비상상황 대처방안 교육 자료를 학습 전 두 그룹(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황인식의 3요소 모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육 자료를 제공한 이후 실시한 Post-test 분석 결과, 상황인지는 두 그룹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상황이해는 차이가 있었지만 전문가의 응답과 비교하였을 때 두 그룹 모두 전문가의 답변과는 큰 차이를 보여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상황예측에서는 Encoding(부호화) 기법을 활용한 비상상황 대처방안 교육 자료 학습 전후 두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고, 전문가의 응답과 비교하였을 때 실험군이 전문가와 유사한 답변을 한 것으로 분석되어, 긍정적인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정 과정에 있는 국내 대학 항공운항학과 학생들의 Encoding(부호화) 기법을 활용한 비상상황 대처방안 교육자료 학습이 그들의 비행중 상황예측을 잘 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상황인식 역량이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식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다양한 출신의 학생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유사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좀 더 포괄적인 자가용 조종사 자격증명과정 학생들의 상황인식 역량 향상 방법으로 Encoding(부호화) 기법의 활용성과가 검증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조종사 자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광중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4191

        최근 몇 년간 국내 항공 산업수준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였고 이에 맞추어 국내 자격증명제도 역시 발전하였으나 조종사 인적과실에 의한 항공사고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항공사고의 대부분이 인적요소(Human Factors)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항공사고의 주요 원인 역시 조종사 과실 등 인적요소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항공운송량 증가와 항공자유화 확산으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정기항공운송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항공수요의 증가와 항공자유화 등의 환경변화에 따른 저비용항공사들의 출현 등으로 세계 항공수요 연평균 증가율을 웃도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조종사가 항공 사고의 제1요인이라는 과거의 통계자료와 향후 조종사 부족에 따른 인력양성관점에서 조종사의 전문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교육 및 훈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시험제도이다. 항공종사자 자격증명은 특정업무에 있어서 자격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Privilege)을 부여하는 국가 항공종사자 자격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항공분야에 있어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권한을 부여할 필요성은 항상 있어왔다. 이 권한은 통상적으로 자격증명의 형태로 나타난다. 자격증명의 통상적인 개념은 법 또는 관습에 의해서 금지된 행위와 적절히 행동하지 않으면 항공안전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행위를 제외한 특정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인에게 공식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행위를 말한다. 자격증명 발급 전 자격증명에 의해 부여되는 업무범위와 인가된 활동을 수행하는 데 충분한 자격을 갖추도록 지원자가 경험, 지식 그리고 기량 발휘에 있어서 충분한 수준을 갖추어졌는지 반드시 확인하게 된다. 국가에서는 민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및 훈련 방법들에 대해서 지나치게 간섭하지 않지만, 항공종사자 자격증명 학과 및 실기시험의 기준을 정함으로써 응시자가 해당 자격증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에 대한 감독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민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및 훈련에 대해 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 조종사 자격증명제도, 계기비행증명 및 조종교육증명 한정심사 제도와 관련된 국내 규정이 국제민간항공협약 부속서 1의 국제 표준 및 권고방식(SARPs;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충족여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부속서 1은 항공종사자 자격증명과 관련된 국제 표준 및 권고방식을 다루고 있으며, 각 체약국들이 공통된 기준에서 자격증을 발급할 수 있도록 국제적으로 표준화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체약국은 국제민간항공협약 제37조(국제표준 및 절차의 채택)에 의거하여 항공기, 항공종사자 등과 관련된 규정, 표준, 절차, 조직 등에 있어서 또한 통일성과 항행의 안전성을 용이하게 하고 개선하는 모든 사안에 대해서 최고 수준의 실천 가능한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호 협조할 것을 약속하고 있다. 하지만 부속서 1은 자격증명제도의 실제 운영방식이나 업무요령 등 방법적 측면은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아 부속서 1을 보완하기 위해 미국 및 영국의 제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 과제를 도출하였다. 1. 조종사 응시경력(Experience) 및 비행교육(Flight Instruction) 국내 조종사 자격증명 및 한정심사 응시경력에 대한 기준은 국제기준인 ICAO, 미국 및 영국과 비교했을 때 세분화되어 있지 않으며, 인가된 비행교관으로부터 정해진 과목에 대해 항공기 종류 및 등급으로 일정시간 동승비행교육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는 미국 및 영국의 제도와 차이점이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규정하고 있는 동승비행이 필요한 과목에 대해 국제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개정해야 한다. 특히, 자가용 조종사의 경우 업무가 야간에 수행될 경우 해당 항공기 종류로 이․착륙 및 항법을 포함한 야간비행에 대한 동승교육과 다발엔진 항공기로 계기비행증명 한정자격 소지자의 업무를 수행할 경우 동승교육을 받은 후에 업무를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2. 조종사 학과시험제도 개선 모든 자격에 대한 과목별 학과시험 과목 및 범위를 세부적으로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미국(Knowledge Test Guide)과 영국(Theoretical Knowledge Examinations)의 제도처럼 학과시험 과목 및 범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참고할 수 있는 표준 교재의 편찬과 보급이 필요하다. 또한 실무와 동떨어질 수 있는 학과시험의 한계를 일정부분 보완할 수 있도록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를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차트, 도표 등을 학과시험 문제로 출제하여 이해 위주의 학습을 유도해야하며, ‘위협 및 오류관리(Threat and Error Management)를 포함한 인적요소‘에 관한 문제 출제 비중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과시험은 해당 자격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식을 측정하는 것이 목적인만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일부 과목 면제 규정은 폐지되어야 한다. 3. 조종사 실기시험제도 개선 In recent years, the level of the domestic aviation industry continues to leap forward and State's airman licensing system has also been advanced. However, accidents caused by pilot human errors are still occurring.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ajor aircraft accident results from human factors and so is the domestic one.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ICAO) predicted that scheduled air services will increase worldwi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air traffic growth and liberalization of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nd the domestic air traffic growth exceeds the average world growth rate with the advent of low cost carriers. In conclusion, as the statistical record shows that pilots are the primary causes of accidents and there will be an anticipated shortage of skilled pilots in the near future, it is essential to have the system to train the qualified and competent pilots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The airman licensing system which is operated by the State has the highest impact on those. An airman licensing system is central to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 State's airman licensing which gives official privileges to a person. The need to have a proper authorization to carry out certain functions in aviation has always been generally accepted. This authorization is normally issued in the form of a licence. In the sense in which it is used here, licensing is the process of giving official authorization to a person to perform specific activities that are otherwise prohibited either by law or by custom and which, unless performed properly, could jeopardize the safety of international aviation. Before issuing a licence, the State must make sure that the applicant meets in all respects the standards of experiences, knowledge and proficiency so as to be competent to perform the authorized activities or privileges granted by the licence. The civil administra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raining methods too much, but exercises control over privileges to perform certain functions by the standard of written and practical test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the basis for training carried by private training schools.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omestic pilot licensing, flight instrument and flight instructor rating and Annex 1 to the Convention on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Annex 1 specifies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SARPs). The aim of Annex 1 is to standardize practices and procedures so that the State can issue licences based on a common standard. Annex 1 gives a clear presentation of the broad international specifications but does not mention the specific methods to be needed to carry out the tasks, so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pilot licensing system were analyzed. The improvements for a domestic pilot licensing system were derived as follows. 1. Pilot Experience and Flight Instruction The requirements for the domestic pilot licensing and rating are not subdivided when comparing with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There are differences in regulations concerning the flight instruction that the applicant shall have received dual instruction in appropriate aircraft category, class rating sought, from an authorized flight instructor. In order to comply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set the dual flight instruction time that must be received from the flight instructor. In particular, before exercising the privileges at night, the private pilot licence holder shall have received dual instruction in aircraft within the appropriate category of aircraft in night flying, including take-off, landing and navigation. 2. Pilot Written Test Like Knowledge Test Guid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oretical Knowledge Examinations in the United Kingdom which specifies the knowledge subjects and coverages in licensing and rating, it is necessary to do that in the domestic airman licensing system.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publish the standard study materials, and then written test questions must be in accordance with those. The written test should contain the questions on charts, tables, human performance including principles of threat and error management etc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written test which may be out of touch with reality. Lastly, the regulations concerning partial or total exemption in written test should be abolished. 3. Pilot Practical Test The improvements on practical test that is the last demonstration phase for applicants to carry out the duties granted by the licence we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s concerning partial or total practical test exemption should be abolished. Written test may be far from reality and flying skills and judgement cannot be determined solely by written test. Practical test exemption loses the opportunity to verify an applicant's knowledge and proficiency. In addition, practical test could lead to the standardization in relation to pilot's qualification and thus should be more strengthened. Second, we should consider that applicants have to receive an endorsement from an authorized flight instructor before applying for the practical test. The data from those may be used as the renewal requirements for flight instructor rating. Third, when evaluating the practical test, it is better to give credits using 'Satisfactory' or 'Unsatisfactory' instead of 'A, B, C, D' for the tasks specified in the areas of operations whether the applicant is to meet the requirements or not. Fourth, the number of practical tests that can be scheduled in a year should be enough for applicants who meets the flight experiences to take the test in order to ensure that qualified and competent aviation professionals are able to undertake a personnel licensing test irrespective of time. It will cope with the high growth and a forese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