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테크노파크 정책 연구 :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

        김상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Since the mid-1990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has been supporting technoparks to realize the success of Silicon Valley in Korea. Moreover, a number of related highly-funded policy programs were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appeal of hardware installation. This study analyzes 18 technoparks established nationwide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MOTIE and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Support For Technoparks’, and related policies. It will first explore the factors formulated in the period of pre-policy stage (1966-1993) and subsequently influenced the technopark policy. Next the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technopark policy in Korea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the period of technopark policy ideas formation (1994-1995), the period of concrete policy formation (1996-1998), and the period of policy implementation (1999-2012). This study on Korean technopark policy was conduct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progresses. As for the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used the framework used by Dolowitz & Marsh (1996), based on the fact that technoparks are a typical policy transfer case. In addition, this study supplemented the analysis framework by adopting a new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based on the comprehensive path-dependence described by North (1990). The main variables include (1) foreign policy sources, (2) policy situations, (3) actor variables, and (4) institutional variabl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Korean technopark policies are formulated through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variables from (1) to (4). In order to supplement previous research on technoparks, this study aimed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y did MOTIE try to take the initiative in technopark policy from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ow was it possible? Second, as Korean technopark policies are different from foreign cases, what variables influenced the policy process? Third, what are the promotional and restrictive factors of Korean technopark polic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TIE enacted the ‘Industial Development Act’ in 1986, abolishing 7 laws supporting industry and developing policies exceeding direct and discriminative measures to support industries. MOTIE highlighted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for industrial support in the late 1980s, and succeeded in converting the si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system dire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o a shared one. In 1995, WTO was launched while the technoparks were spreading globally in the period of technopark policy ideas formation (1994-1995). As technological competition intensified, enhancemen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became a large task. In addition, MOTIE was faced with a policy situation where demand for regional development was increasing as the local self-govenment system resumed in the early 1990s. However, MOTIE was no longer able to use discriminative industry support measures. Eventually MOTIE was able to lead the technopark policy transfer by securing the consensus of related ministries to comply with global norms and accepting regional development. Second, in the period of concrete policy formation (1996-1998), there was a continuous demand for high technology competition as well a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1997, the Asian Financial Crisis swept Korea, and as a response a new policy to promote startup businesses was introduced to transform the structure of domestic industry, later influencing the formulation of technopark policies. MOTIE, recognizing that foreign technoparks were also not just successes but failures as well, pursued emulation of the policies of countries such as Japan and USA, bearing in mind the domestic situations. In the process of policy transfer, the interactions between foreign policy sources, policy situations, actor variables, and institutional variables was analyzed as following: First, the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technoparks in Korea would take the form of a third-sector foundation corporation. This was largely due to MOTIE’s desire to mobilize and rally policy actors such as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Next, most of the domestic technoparks would take the form of small complexes, mainly due to policy competition wit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budget constraints from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complexes include university campus type, industrial complex type, and mixed type. This was also the result of the policy allowing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giving them the rights to choose and apply the complexes. It was also not possible to adopt a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search institutes of foreign enterprises based on the Hsinchu Science Park in Taiwan due to lukewarm responses from policy actors. On the other hand, support measures not found in Japan or other countries were included. A typical case can be found in the enforcement of the foundation system for the technopark corporation, large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MOTIE. Third, 18 technoparks have been established nationwide in the period of policy implementation (1999-2012) with about 1,700 companies in operation, and technoparks rising to the region’s central organization. This shows the technopark policy in Korea has achieved successful results from MOTIE’s policy support and the local participants’ commitment. However, the technopark in Korea has gradually become bureacratic causing limitations in autonomy and creativity, the essential figures of a technopark. The policy legacy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foundation corporation system is a fundamental cause of the tendency of the Korean technopark towards becoming bureacratic and path dependence still in the present da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olicy transfer through emulation of foreign policies affects the policy performance positively. Policy competition among ministries can serve as a motivation for new ideas. It is pointed out that the merits of a particular policy can turn into a great obstacle over time. On the other hand, policy actors tend to pursue change only within exist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Furthermore, policy makers should be aware that as the number of stakeholders in a specific policy increases due to path-dependence, it makes policy innovation more difficul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Korean technopark policy process can be successfully explained through an analysis framework applying a policy transfer framework and new institutionalism. The analysis framework u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future for studying policy transfer cases through emulation of foreign policies. 산업자원부는 1990년대 중반부터 실리콘밸리의 성공을 국내에 재현하기 위하여 테크노파크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더욱이 하드웨어 설치가 주는 정치적인 매력에 따라 유사정책프로그램이 다수 개발되어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고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에 따라 산업자원부의 지정을 받아 설립된 전국 18개의 테크노파크와 관련 정책이다. 이 연구는 먼저 선행정책단계 시기(1966∼1993)에 만들어져 테크노파크정책에 영향을 준 요인을 탐구한다. 다음으로 테크노파크 정책과정 시기(1994∼2012)의 한국테크노파크 정책과정에 대하여 테크노파크 정책아이디어 형성기(1994∼1995), 구체적인 정책형성기(1996∼1998)와 정책집행기(1999∼2012)로 구분하여 탐구한다. 이 연구는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에 대하여 질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분석틀은 테크노파크가 대표적인 정책이전사례임을 감안하여 Dolowitz & Marsh(1996)가 제시한 정책이전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이에 더하여 North(1990)가 설명하는 포괄적 경로의존성 개념을 포함하는 신제도주의 시각을 도입하여 보완하였다. 주요 변수는 (1) 해외의 정책원천, (2) 정책상황, (3) 행위자변수, (4) 제도변수 등이다. (1)에서 (4)까지의 변수들의 복잡한 교호작용으로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설명된다. 이 연구는 테크노파크 선행연구를 보완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산업자원부는 왜 과학기술부 영역인 테크노파크 정책을 주도하려고 나섰고 어떻게 가능했는가? 둘째,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이 해외 사례와 다르게 만들어졌는데 정책과정에서 작용한 변수들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의 성과는 무엇이고 장애로 작용하고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자원부는 1986년 「공업발전법」을 제정하면서 7개의 개별 공업지원 법률을 폐지하여 직접적이고 선별적인 산업지원 시책을 넘어서는 정책수단을 개발하고 있었다. 이에 1980년대 후반 산업지원을 위한 응용기술 개발이라는 측면을 부각하여 과학기술부 단일의 연구개발사업 체제를 다수부처의 분담 체제로 전환하는데 성공하였다. 테크노파크 정책아이디어 형성기(1994∼1995)에 테크노파크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기업에 대한 직접 보조를 제한하는 WTO가 출범하여 첨단기술 경쟁이 심화되어 국내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가 당면과제로 부각되었다. 그리고 지방자치제가 본격 실시됨에 따라 지역개발 요구가 확대되는 정책상황에 산업자원부는 직면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산업자원부는 더 이상 선별적 산업지원시책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산업자원부는 국제규범을 준수하고 지역개발 요구에 대응하는 효과적 정책수단으로서 테크노파크에 대한 관계부처의 공감대를 확보함으로써 테크노파크 정책이전을 주도할 수 있었다. 둘째, 구체적인 정책형성기(1996∼1998)에 WTO 등 첨단기술경쟁과 지역개발 요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1997년 말에는 IMF외환위기가 발생하였고 국내 산업의 구조를 전환하기 위한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새로 도입되어 테크노파크 정책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산업자원부는 해외 테크노파크에도 성공사례만 존재하지 않고 실패사례도 많다는 점을 인식하고 국내 여건을 감안하여 일본, 미국 등의 정책에 대하여 맥락적 모방을 추구하였다. 정책이전 과정에서 해외의 정책원천과 정책상황, 행위자변수, 제도변수의 교호작용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먼저 국내에서 테크노파크의 조성·운영주체는 제3섹터 재단법인 형태로 결정되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대학 등 참여주체를 결집하려는 산업자원부의 의지가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테크노파크는 소규모 단지 형태로 조성되었다. 이는 과학기술부와의 정책경쟁과 기획재정부의 예산제약 요인이 주로 반영되었다. 입지는 대학부지형, 산업단지형, 혼합형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입지를 정하여 신청하는 방식으로 정해지면서 예정된 결과이었다. 한국테크노파크 지원제도는 1998년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이 제정됨으로써 골간이 정해졌다. 산업자원부는 일본의 「테크노폴리스법」으로부터 개별법 형식과 개발절차, 자금지원, 세제지원 등의 내용을 국내 맥락에 맞게 도입하였다. 그렇지만 일본 「테크노폴리스법」의 다수부처가 활용 체제와 입지조건 규정은 부처 간 정책경쟁 측면, 지역의 반발 우려 등으로 무시되었다. 대만의 신죽단지를 벤치마킹한 외국기업 연구소 우대 규정도 참여주체의 미온적 반응으로 도입이 좌절되었다. 반면 일본이나 외국에 없는 지원제도도 포함되었다. 대표적으로 테크노파크법인에 재단법인 체제를 강제한 것은 과학기술부의 정책유산과 산업자원부의 의지가 함께 작용한 사례이다. 셋째, 정책집행기(1999∼2012)에 전국에 18개 테크노파크가 설치되어 약 1,700개 기업이 입주하고 있고, 지역의 중추적인 거점기관으로 성장하는 등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산업자원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지역주체들이 결집하여 거둔 성과이다. 그렇지만 한국테크노파크는 점차 공공기관화되어 테크노파크 본연의 자율과 창의에 의한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한계를 갖게 되었다. 공공기관화의 근본 요인으로 작용하는 재단법인 체제는 과학기술부의 정책유산으로 산업자원부에 의해 도입되어 현재까지 유지되는 경로의존성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해외의 정책에 대하여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이 정책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부처 간의 정책경쟁이 새로운 정책아이디어의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정책의 장점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근본적인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반면 정책행위자는 기존 정책과 제도의 범위 내에서만 변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특정정책의 참여자와 수혜집단이 증가할수록 경로의존성으로 인하여 정책혁신은 어려워지므로 정책당국자는 유의해야 한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정책이전의 분석틀과 신제도주의 시각을 접목한 연구방법이 한국테크노파크 정책 과정에서 벌어진 정책원천, 정책상황, 행위자변수와 제도변수 간의 복잡한 교호작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이론적 유용성과 적실성을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틀은 앞으로 해외 정책으로부터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 사례를 연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정책이전 연구 : 정책집행과정에서 정책변형을 중심으로

        김태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Vocational training of the unemployed is being conducted to facilitate re-employ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ir ability. If the purpose of training is reached, it will bring positive change to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reduction in unemployment rates and increase in employment rates. It means that it requires high-rationality to implement policies for vocational training of the unemployed. 'Training Process' that uses voucher as the policy measure, is being executed as part of vocational training of the unemployed in Korea.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logic of voucher, 'Training Process' is expected to bring increase of employment rates, through the mechanism: the expansion of choice for the trainee who is policy consumer and the competition among institutions will bring good quality of training. But the study of experience shows the contradictory results; expansion of choice for trainee has not been appeared and competition among institutions didn't exist. Above all, re-employment rate has been insufficient for trainees. Re-employment rate through 'Training Process' is 20.5% that is lower than that of existing contracting vocational training. In summary, it is determined that 'Training Process' has not generated the originally targeted policy effects. It is considered to be policy failure that has not effect of policy implementation but output. 'Training Process' is the program that is designed through policy transfer of vaucher developed in a foreign country.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focuse the fact that the failure of 'Training Process' is due to inappropriate policy transfer; that is the idea distorti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adjust the contents for policy environment to the country(Korea). According to results of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policy transfer has occurred in the aspect of execution system, provider, and consumer during the execution process of 'Training Process'. First of all, execution system of voucher has been complicated under the influence of Korean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environment, a small government oriented. Second, restrictions on provider has been eased to secure multiple provider as opposed to the original system. Finally, in case of consumers, the regulation of subsidy limit and their charge have been added in Korea to minimize financial burden. These deteriorations of detailed policy contents reduced outcome and produced side effects. Absence of cooperation among implementation agencies and lack of implemental capacity have led to the distress of suppliers estimation. In addition deregulation on the provider have made a result of inappropriate providers scrambled. The limitation of subsidy that is 2 Million won per person was not enough to complete the vocational training for the consumers. It made consumers loose their motivation. Addition, self-charge that is designed to make consumers assume their own responsibility, is acting as a barrier to entry of consumers who need real training. The unemployed who are not capable of tuition are giving up the training, and housewives who are relatively economically free are participating in it. Eventually, the deterioration which was made during policy implementation has distorted logic of voucher. The competition between providers has been useless because of poor screening of provider as inappropriate providers has scrambled. Specifically, diversification of training courses was replaced by simple division of training courses; by a temporary trainer. The standard of course; expenses, period and etc. that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s coming from the lack of implementation capacity, has suppressed the competition among providers. Target group of training policy has been decomposed by the lack of training period and self-charge, which is due to limitation of subsidy. It is results in failing to choose right consumer. Eventually, the result of political effect of 'Training Process' was below expectations, and has the low quality of production and poor service of vocational training, due to little motivation and meaningless competition among providers. This research presents that transformation through the policy transfer can cause policy fail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difference of policy environment between original country and its country which imports the policy. If there is a difference in important part of policy environment between two countries, it is needed to have firm determination to cancel the policy import. For the policy transfer, it is required to inspect idea of policy and specific information more closely, need to examine the problems that policy transformation can bring in specific parts. Implemented field consists of the network of several stakeholders. So there can be an unexpected trouble among them.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gradually expand a business through a social experimen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Range of Interviewee was limited to the Daegu-Gyeongbuk area. Also, the study did not control the various parameters that occur in the process changing policy to the effective one. If more data is accumulated and the scope of investigation is broaden, the more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can be drawn out. Keywords : Policy transfer, Policy failure, Voucher, Policy implementation, Policy instrument, Vocational training Student Number : 2008-22286 실업자 직업훈련은 신규·전직 실업자의 능력개발을 통해 그들의 재취업을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실시되는 훈련이다. 실업자 훈련이 본래 목적을 달성할 경우, 실업률 감소와 고용율의 증가차원에서 노동시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실업자 직업훈련정책에 있어, 높은 합리성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의 실업자 직업훈련정책은 바우처를 정책수단으로 하여 ‘직업능력개발계좌제(내일배움카드제)’라는 명칭으로 집행되고 있다. 바우처의 이론적 논리에 따르면 직업능력개발계좌제는 ‘정책수요자인 훈련생의 선택권 확대와 훈련기관 간 경쟁통한 양질의 훈련제공’이라는 매커니즘을 통해 ‘취업율 제고’라는 정책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그러나 경험적 연구는 이와는 상반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훈련생의 선택권 증가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공급자간 경쟁도 형식적이다. 무엇보다도 훈련이수자의 재취업이 미미하다. 직업능력개발계좌제를 통한 취업률은 20.5%로 이는 기존 민간위탁 형태의 실업자 훈련의 취업률보다 저조하다. 이들을 종합해보면 직업능력개발계좌제가 본래 목표한 정책효과를 발생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책집행의 산출물은 있으나 정책집행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정책실패(policy failure)에 해당한다. 직업능력개발계좌제가 정책수단의 정책이전을 통해 설계된 프로그램인 만큼 본 연구는 바우처가 본래 의도한 효과를 달성하지 못한 원인이 정책이전으로부터 기인할 수 있음에 초점을 맞춘다. 정책이전이 정책실패로 연결되는 여러 경로 중, 이전하는 정책수단이 이전대상국의 정책 환경에 맞도록 세부내용을 변형하는 과정에서의 아이디어 왜곡에 집중한다. 면접과 참여관찰 결과에 따르면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집행과정 중 집행체제·공급자·수요자 측면에서 정책변형이 일어났다. 먼저 작은정부를 지향하는 한국 정치·행정적 환경의 영향으로 바우처 집행체제가 복잡화 되었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다수의 공급자 확보를 위해 원천국들과는 반대로 공급자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였다. 수요자를 대상으로는 재정부담 최소화를 위해 계좌지원한도와 자비부담이라는 규제를 추가하였다. 정책이전 시 이러한 세부적 정책내용 변형은 기대효과를 반감시키고, 부작용을 산출했다. 집행체제의 복잡화에 따른 집행기관 간 협조부재와 수탁기관의 역량부족은 공급자 심사업무의 부실화를 낳았다. 이는 공급기관에 대한 진입규제 완화와 결합해 부적절한 공급자들이 난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수요자측면에서 일인당 200만원의 계좌지원액 한도는 재취업에 필요한 교육을 충분히 이수하기에 부족했다. 이는 수요자들의 취업의욕 상실을 야기했다. 또한 수요자의 책무성 확보를 위해 고안된 자비부담제도는 직업훈련이 필요한 실업자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자비부담능력이 없는 실업자는 직업훈련을 포기하고,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비경제활동인구(ex. 전업주부)들이 취미활동을 위해 직업훈련에 참가하게 된 것이다. 정책집행 상의 내용변형으로 바우처의 논리가 왜곡되었다. 부적절한 공급기관이 난립하는 상태에서 부실한 공급자 심사는 공급자간 경쟁을 형식화시켰다. 구체적으로 훈련과정 다양화는 동일 훈련과정의 단순 쪼개기로, 훈련인력들은 계약직으로 대체되었다. 집행주체의 행정역량 부족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한 표준훈련비·표준훈련기간 등의 기준들이 공급자 간 경쟁을 더욱 억제하고 있었다. 수요자측면에서 계좌지원한도에 따른 훈련기간 부족과 자비부담은 직업훈련정책의 수혜집단을 변질시켰다. 취업의지 없는 수요자의 증대와 부실한 공급기관 간 형식적 경쟁은 결국 직업훈련서비스의 질 저하를 가져왔다. 여기에 훈련직종 편중이라는 부작용까지 더해져 정책효과인 재취업률이 기존 민간위탁과 비교할 때 더욱 낮아졌다. 이 연구는 정책이전 시 집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내용변형이 정책실패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정책이전을 할 때에는 정책의 원천국과 자국의 정책 환경의 차이를 파악해야 한다. 중요한 부분에서 두 국가의 정책 환경이 상이할 경우에는 해당 정책의 수입을 무효화하는 결단도 요구된다. 이전하고자 한다면 정책의 아이디어와 구체적인 내용을 꼼꼼히 살피고, 특정 부분의 정책변형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또한 집행현장은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상호작용 속에서 예상하지 못한 집행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회실험을 거쳐 점진적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의 경우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조사대상자 범위를 대구·경북지역에 한정하여 진행한 것이 아쉽다. 또한 정책구현을 통해 정책효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영향변수들을 통제하지 못했다. 조사범위를 넓히고, 더 많은 자료가 축적될 경우 보다 유의미한 정책 함의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바우처, 정책이전, 정책실패, 정책집행, 정책수단, 직업훈련 학번: 2008-22286

      • 이전된 정책의 경험시차 발생 요인 연구 : 주소 정책을 중심으로

        전영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에 도로명주소가 전면 시행된 지 7년째에 접어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목적지를 찾거나 자신의 위치를 설명할 때 도로명주소보다는 지번주소나 건물명, 아파트명 등 시설물명을 더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소 정책의 도입 과정을 Dolowitz and Marsh(2000)의 불완전한 정책이전(incomplete policy transfer) 과정으로 이해하고, 주소 정책에 있어서 김태승(2015)이 제안한 개념인 경험시차가 발생하는 요인을 설명하였다. 먼저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도로명주소에 관한 서울시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도로명주소의 식별 및 위치찾기(identification and location) 기능에 대한 경험시차가 발생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문헌 조사, 인터뷰, 공간정보 분석 등 과정추적법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주소 사용환경의 구축 실태를 도로명판 및 도로명 안내표지 등 오프라인 환경과 모바일 지도 및 내비게이션 등 온라인 환경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앙정부와 지자체간 인식 차이로 인하여 오프라인 주소 사용환경 구축이 지연되고 있었으며, 정부와 민간의 인식 차이로 인하여 온라인 주소 사용환경이 불완전하게 구현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주소 정책의 경험시차를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주소의 식별 및 위치찾기 기능을 명확히 정의하여야 하며, 특히 온라인 주소 사용환경을 구현하는 민간 업계와의 협력이 중요함을 제언한다. It has been 7 years since Korea's full implementation of the Road Name Address. However, why do so many citizens still prefer land-lot addresses or the names of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and apartments in situations where one needs to search for or describe a certain location?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reviews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address policy in Korea as an 'incomplete policy transfer', presented by Dolowitz and Marsh (2000), and describes the factors that cause the time difference of policy experience, a concept proposed by Kim (2015), in address policy.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survey on the public opinion on Road Name Address conducted between 2017 and 2019. Study 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time difference of policy experience in the location and identification function of the Road Name Address. Next, through process tracing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s, and spatial analysis, the creation of the address usage environment has been analyzed over time in two parts: an offline environment such as road name signs for pedestrians and drivers, and an online environment such as mobile maps and navig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offline address usage environment was being delayed due to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online address usage environment was being incompletely implemented due to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difference of policy experience in address policy, the location and identification function of address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in particular,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s that implements the online address usage environment is important.

      • 지방정부의 청년수당 도입에 대한 연구 : 정책이전(policy transfer)의 사례로서의 광주광역시와 대구광역시

        김다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2015년 서울시와 성남시가 청년수당과 청년배당을 추진한다는 발표를 한 이후로 전국의 지방정부들이 서울시의 청년수당 형태의 정책을 도입한 현상을 정책이전(policy transfer)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여러 지방정부들 중 광주시와 대구시를 대상으로 청년수당 도입과정을 정책이전 이론과 인과과정추적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두 지역 모두 정책이전의 상호의존성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광주시는 동류화(emulation), 동형화(isomorphism) 메커니즘으로, 대구시는 경쟁(competition) 메커니즘으로 판별됐다. 이후 이 분석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과 두 지역의 정책 도입 과정에서의 정책이전 분석에서 도출된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는 내부요인들을 정리해 정치적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의 가설을 도출했다. 반사실적 추론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광주시의 경우 단체장이라는 정치적 요인보다는 정책이전 요인이 더 주요했고 대구시는 선거요인도 물론 있었지만 이보다는 경쟁 지방정부에 대한 대응이라는 정책이전 요인이 더 중요한 영향이 있었다고 분석됐다. 또한 지역사회요인인 청년인구 유출은 두 지역 모두에서 물론 그러한 문제가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지방정부의 정책입안자들이 가장 신경 쓰고 경계하는 경쟁 지방정부인 서울과 같은 곳에서 지역의 구성원들에게 인기를 끄는 정책을 도입한다면 충분히 그에 대한 대응으로 비슷한 정책을 도입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따라서 두 지방정부 모두에서 지역사회 요인보다는 정책이전이라는 외부요인이 더 주요했다고 볼 수 있다.

      • 全羅南道 道廳移轉 政策決定에 관한 實證的 分析

        이윤석 慶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2

        The matter of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Transfer is always rais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o-political problems to the areas involved. Since the provincial assembly was organized in May, 1991, the policy agenda has been highlighted as the most significant policy, whereas the matter had been considerably regulated on governmental level. The policy of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Transfer has been the main policy concern among the residents since Gwang-Ju was off Jeollanamdo Province as a city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government. Since the local autonomy act was revised in 1988, Korea has been changed from the centralized government system to the decentralized government system. In particular, governors or mayors elected from voting of residents have rapidly changed the operational system of local government from bureaucratic government to customer-oriented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in Korea since 1995, have existed to serve the public under the local autonomy system. A recent local government focuses on establishing a variety of close links with citizens who are served by the local government. Excellent local governments welcome the public contact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The provincial office transfer policy has been influenced by the public in the regions. The regional policy making-process in Korea has been almost always made in indirect and unintended manner until the mid-1990s. The provincial office transfer in JeollaNamdo had been initiated by the President Kim, Young Sam in 1995 under the central-oriented government system. This study not only analyzes how the policy have changed about the move of the provincial office, how other province handle this problem. It also studies the conflicts of the areas involved, and describes and analyze the local government's dynamic conditions under which the parties involved try to solve their problems of dilemma. This thesis collected data from literatures, newpapers,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e author had served the local council and chairman of Jeon-Nam council. Therefore, this experience and observation helped to analyze and implicate the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transfer policy. Under the local decentralized government system, formal groups included as elected mayor, assemblymen, civil servants and informal groups included as local press, interest group, local expert form the political dynamic, and that happened in the process of Provincial Office Transfer. The Provincial Office Transfer has been done by four steps: candidate local area selection, Provincial Office Transfer, integration of city and province, and again Provincial Office Transfer. It has political and economic effects on the central election and local election. This study's analysis of the policy of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Transfer tells us that under the local decentralized system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the elected leader of self-governing communities and a local assemblies increase more than under the centralized system. And constituents of the central and local politic,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have made various conditions such as conflicts, compromise, tension, confronting, and negotiation. It is also analyzed that the elite of each political unit have sometimes tried, so called, the formation of their regime, for the sake of their own and local economy. And it appeared that the economic elite have a high interest in the growth of their localities. Especi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 the system of decentraliz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elite have the priority on the economic growth. From a view point of Gwang-Ju, first, Gwang-Ju has constantly tried to integrate Gwang-Ju and Jeollanamdo in order to stop the policy, only to fail, leaving a big wound on both the sides. Second, economically Gwang-Ju, as a nucleus city in Ho-Nam Provincial areas, has the advantageous stance on the security of budget and the attraction of national enterprises. From a view point of Jeollanamdo, first its official swift of the policy to propel the move of the provincial office led to the success in their policy of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Transfer. The unanimous agreement on the regulations as to the transfer of the office site, as well as their firm will for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Transfer, made it possible to achieve their goal. Second, economically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Transfer enables Jeollanamdo, which has long had the dishonor of unbalanced growth, to perform their affairs independently. However, the policy of moving the provincial office still has the aspect of conflict between Kwang-Ju and Chonnam, because the policy of integration of Kwang-Ju and Jeollanamdo should be derived from the cooperation of the two parties. The effort to change the policy-making should precede in order to alleviate the dilemma of the policy-making. We should make the culture of political compromise for the residents. But the issue of Jeollanamdo Provincial Office Transfer left us a lot of political and economical suggestions in policy-making as well as to other provinces who consider provincial office transfer. 도청이전 문제는 언제나 해당지역 어디에서나 심각한 정치.사회적 문제로 제기되었다. 과거 정부차원에서 상당히 규제해 온 사안이었으나, 1991년 7월 광역자치단체가 구성됨에 따라 도의회의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부각되었다. 1986년 11월 1일 광주시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직할시로 승격된 이래 전남도청 이전문제는 지역민의 관심사항으로 대두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청이전, 통합추진 등 정책결정의 변화과정을 분석을 통해서 전남도청과 타 지역의 사례를 검토하여 지역간의 갈등에 따른 양상을 전라남도 도청이전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청이전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딜레마 상황을 해결하는 지방정치의 동태적 상황을 정치.경제학적인 입장에서 기술하였다. 전남 도청이전 정책을 통해 살펴본 바에 의하면, 중앙집권체제보다 지방분권체제하에서 민선 자치단체의 장 및 지방의회의 역할과 기능이 증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앙정치 및 지방정치의 구성단위들은 자기들의 이해관계 및 정책내용에 따라 갈등, 타협, 긴장, 대립, 협상 등의 상황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정치단위의 엘리트들이 자기들의 이해에 따라 지역경제를 위하여 레짐의 형성 등을 시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지역단위에서 경제엘리트들은 지역경제의 성장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전남도청 이전정책은 지방 분권 하에서 정치 및 경제엘리트 들이 지역경제성장을 극대화시키는 전략에 우선을 두고 있음을 연구의 분석에서 제시하고 있다. 광주의 입장에서 보면, 첫째, 정치적으로는 광주지역에 기반을 둔 정치권을 중심으로 도청이전 중단을 이루기 위해 광주.전남 재통합 움직임 등을 끊임없이 시도하였으나, 서로에게 큰 상처만 남긴 채 실패하고, 전라남도 도청이전 사업은 더욱 탄력을 받고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경제적으로는 광주광역시는 호남의 거점도시로서 국가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규모 국책사업과 예산확보에 보다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겠다. 전라남도의 입장에서 보면, 첫째, 정치적으로는 광주광역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도 통합에 실패상황에서 도청이전을 추진하겠다는 공식적인 정책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도청이전 정책이 성공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전라남도의 도청이전에 대한 강력한 의지와 함께 도의회에서도 전라남도 사무소 소재지 변경에 관한 조례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하는 등의 적극적인 추진이 이루어낸 결과이다. 둘째, 경제적으로는 전남도청이전은 그동안 지역간에 불균형 성장의 불명예를 갖고 있던 전남이 독립적이고 자주적으로 도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전라남도 도청이전 정책은 그 동안 전라남도 주도하에 추진되어 온 광주.전남 통합 방안은 광역자치단체 상호간 수평적인 공동정책결정이 필수적이나, 이해관계의 양립이 어려운 정책갈등으로 인해 정책실패를 내재적으로 안고 있음으로서 아직까지도 광주.전남의 갈등의 씨앗으로 작용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도청이전과 같은 자치구역 개편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직면하게 되는 정책딜레마를 완화하거나 시.도간 정책갈등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 개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지역주민을 위한 정치적인 타협의 문화가 이룩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남도청의 이전문제는 타 지역의 도청이전 문제와 함께 정책결정에 있어서나 지역간 갈등에 있어서 많은 정치.경제적 시사점을 남겼다.

      • 지방정부의 유급병가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정책 이전(policy transfer) 이론을 활용하여

        박재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연구는 정책 이전 이론을 활용하여 지방정부의 유급병가 지원제도 도입 과정을 분석하였다. 상병수당이라는 개념이 낯선 2019년 서울시에서 ‘서울형 유급병가지원제도’를 시행하고 연이어 7개의 지방정부에서 유급병가 지원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시행하거나, 관련 근거가 되는 조례를 도입하였다. 제도 도입의 시기 및 내용에 비추어 정책의 확산(diffusion)을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다음 두 가지 의문이 생긴다. 첫째는,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에, 왜 지방정부는 유급병가 지원제도를 이전 하였는가 라는 것이다. 불확실성의 회피라는 정책 이전이 가지는 이점에 비추어 볼 때, 유급병가 지원제도는 정책 이전의 장점을 가질 수 없는 제도이다. 서울시의 정책 결과가 명확히 밝혀지기 전에, 또 도입하고 있는 도시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전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둘째, 2023년 현재 기준 현재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도시는 5개 지역인데 이들 중 일부는 서울시와 정책 내용이 매우 유사하지만, 어떤 지역은 대상과 지급방법에 있어서 다른 모습을 보인다. 같은 제도를 모델로 하였음에도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 것일까? 이 두 가지 연구퍼즐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제기하였다. 첫째, 정책 이전이 있었는가? 둘째, 이전의 동기, 메커니즘은 무엇은가? 셋째, 변형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Mill의 비교방법론 중 차이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최대한 구조적 요인이 유사하면서도 ‘불확실성 하의 정책 이전’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정책의 채택을 가장 빨리한 지역, 그리고 ‘변형’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도시 중 정책의 내용이 가장 유사한 지역, 가장 이질적인 지역인 대전과 성남을 연구사례로 정하여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 연구 퍼즐인 불확실성하의 정책 이전에 관해서는 동류화 메커니즘이 답을 제시하였다. 동류화 메커니즘은 선도자와 같이 보이고자 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빠른 시간 안에 모방이 일어나며, ‘행위자’를 중요시하기에 정책의 결과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대전과 성남에서 서울시의 정책 결과와 관계없이,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유급병가 지원제도가 도입되었다. 두 번째 연구퍼즐인 변형의 원인은 행위자 네트워크의 성격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전 지역’을 기반으로 한 민주당계 정치인과 시민운동가들이 주축이 되어 ‘선거캠프’팀에서 주도한 정책 이전은 선거에 유리하도록 자영업자 대상으로 정책이 변형되었다. 제도화 단계에서 역시 지역경제 활성화를 함께 고려하여 정치적 맥락에서 지역화폐 지급으로 방법이 변형되었다. 반면 성남은 노동학 전문가 집단이 주축이 되어, 노동 이념에 기반 하여 정책을 이전하고 설계하였다. 결과적으로는 서울의 제도와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그것 역시 이들의 해석 과정을 거친 결과로 확인되었다. 가장 취약한 노동집단으로 초기 대상을 설정하였고, 대상을 넓혀가는 과정에서 자영업자를 포함한 것은 ILO가 제시하는 규범과 이론을 토대로 한 것이지, 당시 지역경제를 고려한 것이 아니었다. 이 연구는 행위자와 메커니즘, 변형을 연결하여 정책 이전 과정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정책 네트워크에서 상호작용하는 행위자들을 심층 면접하여 행위자의 동기와 이전 메커니즘, 정책 내용의 변형과 그 원인을 확인하였다. 정책 이전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책 네트워크와 정책 선도가 통한 정보의 이전과 제도화, 이 과정에서 일어난 변형의 원인까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메커니즘에 따른 수렴의 정도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선행연구가 예정하는 바와 다른 결과를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는 행위자의 성격보다는 메커니즘과 정책의 내용을 직접 연결한다. 이에 따르면 동류화 메커니즘의 경우, 행위자의 가용 정보 수준에 따라서 수렴의 정도가 높거나 낮을 수 있다고 예상한다. 그러나 이 연구는 메커니즘이 아니라 ‘행위자의 성격’에 따라서 변형의 여부 및 변형의 방향이 결정된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수렴 역시 단순한 모방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행위자의 적극적 해석의 과정을 거친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 이 연구가 가지는 또 하나의 의의이다.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대한 연구 : 정책이전에 따른 정책변동을 중심으로

        윤미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0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 2007 in Korea. Previous studies explained it in terms of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focusing on the fiscal limitation or path dependence. However, they failed to explain adequately why social insurance was chosen as a financing method, or why the policy came up for discussion in the late 1990s, when the care for the elderly was not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why it was introduced in 2007 when the situation didn’t change much. To complement this limitation of the studies,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 Korea in terms of policy transfer. Japanese long-term care insurance(‘Kaigo Hoken’) offered an idea for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insurance in Korea. It was introduced in Japan as a countermeasure for the deteriorating financial health of health care insurance. In Japan, the introduction of Kaigo Hoken means marketization of the provision system for long-term care services, decentralization, and integration of health and social care. The process of placing long-term care on the policy agenda was initiated in the late 1990s by experts who were motivated by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Japan. Their efforts to make long-term care system could be succeeded, courtesy of the financial crisi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demand for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by the senior citizen association. The bureaucrats also preferred social insurance model based on the good records of Kaigo Hoken such as controlling health care expenditure for the elderly or activating the market for the elderly, because they wanted to make the financial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trong and took a welfare pluralistic attitude. Hence, the government planned to introduce long-term care insurance in 2007 considering that the elderly who receive full pension benefits will occur and then the elderly’s purchasing power will greatly increase in 2008. Thereafter the experts and the bureaucrats formed an advocacy coalition for long-term care insurance. This coalition led the whole policy-making process and had their own way because in terms of policy rationale and institutional strength, they were superior to the actors from civil society who argued that the state responsibility should increase in designing long-term care system. This had a decisive effect on introducing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in 2007. The pro-welfare government which preferred social service expansion, the government’s welfare pluralistic attitude, the policy legacy of residual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health system based on social insurance and the increase in openness of policy-making process were not decisive factors for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They just offered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introduction of the policy or altered details of the policy from Kaigo Hoken. Finally, the mechanism of policy transfer in the case was bounded learning. The experts and the bureaucrats gave great attention to the introduction of Kaigo Hoken based on availability heuristic. They regarded it as a successful policy for controlling health care expenditure for the elderly and activating the market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good performance that the policy showed only at the beginning. It means that they processed the information based on representative heuristic. Above all, the risk in terms of financial sustainability was overlooked in the policy-making process, which is a key feature of bounded learning. 본 연구는 한국의 복지제도 중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을 설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재정적 제약, 경로의존과 같은 요인들에 주목하는 이론적 관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들은 왜 재원조달방식으로서 사회보험 방식이 선택되었는지, 혹은 왜 노인돌봄이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지 않았던 1990년대 말부터 제도도입 논의가 이루어졌고, 마찬가지로 여전히 장기요양서비스의 제도화에 대한 사회적 필요가 크지 않았던 2007년에 제도가 도입되었는지에 대해 적절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제도도입의 과정을 정책이전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에 직접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한 것은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였다. 해당 제도는 일본에서 의료보험 재정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을 찾는 과정에서 도입된, 사회보험 방식의 장기요양보호제도이다. 일본에서 개호보험제도의 도입이 갖는 의미는 개호서비스 공급체계의 시장화와 분권화, 보건 및 의료, 복지의 연계 및 통합에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정책아젠다 형성과정은 위와 같은 일본의 개호보험제도 도입에 영향을 받은 학계 전문가들에 의해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다. 이들의 정책아젠다 형성 노력은 건강보험 재정위기와 노인단체의 정치계에 대한 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요구를 계기로 성공할 수 있었다. 정부관료 또한 전문가들과 마찬가지로 사회보험 방식의 장기요양보호제도 도입을 선호하였는데, 이는 일본에서 개호보험 제도가 시행 초기에 노인 의료비 억제 및 개호시장 활성화와 같은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장기적인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한편, 노인복지서비스 공급에 대해 복지다원주의적 태도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개호보험제도의 위와 같은 성과에 근거하여 개호보험제도와 유사한 제도의 도입을 지지하였다. 이에 정부는 완전노령연금 수급자가 발생함으로써 노인의 구매력이 이전보다 획기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2008년을 기준으로 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의 목표시기를 설정하였다. 이후 이들 전문가들과 관료는 사회보험 방식의 장기요양보호제도를 지지하는 옹호연합을 구성하여 제도도입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들 옹호연합은 국가책임의 확대를 주장하는 시민사회 소속 행위자들보다 우세한 정책의 논거와 제도적 힘을 바탕으로 정책결정과정을 주도함으로써 자신들의 정책선호를 관철시켰다. 이와 같이 일본으로부터의 학습을 바탕으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을 지지한 행위자들이 논의를 주도한 것은 2007년에 사회보험 방식의 장기요양보호제도가 도입되는 데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사회서비스 확대에 주력하는 친복지 정부의 집권, 정부의 복지다원주의적 태도, 잔여적인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유산, 사회보험 중심의 의료보장체계, 정책결정구조의 개방성 확대와 같은 구조적/제도적/정치적 요인들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의 결정적인 요인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다만 제도도입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거나 개호보험제도로부터의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사례에서 이루어진 정책이전의 메커니즘은 제한된 학습이었다. 즉, 당시 전문가들과 정부관료들은 가용성 휴리스틱에 기댄 정보처리로 인해 개호보험제도의 도입에 주목하였다. 또한 그들은 해당 제도가 도입 초기에 거둔 한시적인 성과를 근거로 사회보험 방식의 장기요양보호제도를 노인 의료비 억제 및 개호시장 활성화에 있어 성공적인 제도로 인식하였다. 이는 그들이 대표성 휴리스틱에 기초하여 정보를 처리했음을 의미한다. 무엇보다 제도도입을 위한 논의과정에서 사회보험 방식의 장기요양보호제도가 야기할 수 있는 재정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리스크가 완전히 간과되었는데, 이는 제한된 학습의 핵심적인 특징에 해당한다.

      • 개발도상국의 사회보호정책 도입 : 외부행위자의 정책이전 효과

        박명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87

        내부적으로 빈곤퇴치 및 경제성장이라는 과제를 안고 외부로부터 세계화의 압력이라는 유사한 환경에 직면하였지만 왜 어떤 개도국은 더 관대한 복지정책을 채택하는가. 기존 연구는 개도국 복지정책의 변화를 내부 요인 중심으로 설명하거나, 세계화와 같이 단일한 영향을 미치는 외부 영향만을 고려하여 왜 개도국간 복지정책의 선호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개도국 정책결정 과정에서 외부 행위자의 역할에 주목하고 개도국과 외부 행위자간 협력 과정에서 정책 아이디어가 개도국으로 이전된다는 이론적 틀을 제시한다. 개도국에 정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외부 행위자를 선진국, 국제금융기구, 동료국가로 구분하고, 각 행위자는 개도국과 맺고 있는 관계 유형에 따라 상이한 기제를 통해 정책을 이전하게 된다고 가정하였다. 기본적으로 정책정보 탐색의 범위는 지리적으로 인접하거나 환경이 유사한 국가로 제한적이지만, 외부로부터의 재정적 유인이 제공되면 그 범위는 쉽게 확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은 개도국과 선진 공여국간 개발협력 관계를 통한 학습 효과를 강조하며, 이 과정에서 개발재원이 결합하면 공여국의 정책 선호가 개도국의 정책 선호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논문은 개도국 사회보호정책 도입의 결정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사건사분석 방법을 적용한다. 나아가 정책 채택 이후 정부지출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을 통한 정책 이전 효과를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책의 유형에 따라 정책이전 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제도적 복잡성이 높은 보편적 복지정책의 경우 정책이전에 학습 기제가 작동하며 개발원조의 규모는 이를 촉진하는 요인이 된다. 보편적 정책을 채택한 개도국의 경우 사회보호지출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목격되어 학습 기제를 통한 정책이전 가설에 타당성을 더한다. 개도국 정부가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가 예상되는 보편적 유형의 정책을 채택하는 것은 무엇보다 국가 복지체제의 기반이 된다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빈곤퇴치와 경제성장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는 개도국이 이러한 수준의 정책 도입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국내 수요나 사회적 정당성을 넘는 큰 외부적 유인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Why do some developing countries adopt more generous welfare policies facing similar domestic challenges of poverty eradication and economic growth and globalization pressures from the outside? Existing literature has limitations in providing reasonable explanations on changes of social protection policies in developing countries. It is mainly because it emphasizes domestic political economy in explaining why welfare policy preferences differ among developing countries or it only considers external paradigm shifts such as globalization. Alternatively,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role of donor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global south. It presents a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policy ideas are transferred to developing countries from external actors: donors,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nd peer countries.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each actor transfers policies through different mechanisms depending on the type of relationship they have with developing countries. It further argues that the social protection policy difference appeared in developing countries is attributed mainly to the cross-donor social policy difference. Basically, the scope of policy information search is limited to countries that are geographically adjacent or have similar environments, but the scope can be readily expanded if financial incentives are provided from the outside.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s the learning effect through bilateral development cooperation between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and it hypothesizes that the size of development aid is highly influential on developing countries' policy decision. This dissertation empirically evaluate these arguments using panel data from 104 developing countries. Applying the event history analysis method, the dissertation identifies the external determinants of the social protection policy adoption in developing countries. Furthermore, it tries to reconfirm the effect of policy transfer through learning process, examining the changes in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 upon the policy adoption.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bilateral donors’ policy preference as well as the size of development aid matter in the policy adoption of recipients. In the case of universal welfare policies with high institutional complexity, the learning mechanism works as a major driver of policy transfer, and the size of development aid is a crucial factor that facilitates policy transfer process. Significant changes in social protection expenditures are also observed only in developing countries that adopted universal policies such as the ILO Convention 102. This adds validity to the arguments of policy transfer through learning mechanisms from bilateral donors adopting the same policy. It is meaningful move for the governments of developing countries to adopt a universal social protection policy since the introduction of ILO conventions is expected to have profound socioeconomic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developing countries pursuing poverty reduction and economic growth require proper policy information and economic incentives beyond domestic demand or social legitimacy to introduce universal social policies.

      •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지역인재채용 확대 방안 연구

        김동건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지역인재채용의 확대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공공기관 이전정책은 2003년 노무현 정부에서 시작되어, 최근 일차적으로 물리적인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되어 가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정책은 수도권의 과밀 해소와 국토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새로운 지역 혁신 동력을 형성하려는 정책이라 할 수 있다. 공공기관의 이전으로 지역차원의 다양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성과로 대표적으로 수도권의 과밀화 해소에 일정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이 85%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공공기관 이전정책을 통해 이 수치가 35%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차원의 인재 양성 시스템이 혁신적으로 변화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지역 특화산업을 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이전이 완료됨으로써 지역차원의 교육시스템 역시 경쟁력 강화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이전정책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한계도 보여주고 있다. 과연 공공기관 이전으로 인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얼마만큼 기여하는 지역 토착형 공공기관으로 변모하고 있는가에 있어서는 반론의 여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방 인재 채용에 있어서 그 동안 10% 초반에 머물렀던 지역인재채용의 비율이 2018년에 지역인재채용의무화로 인해 23.4%의 성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과는 지역인재 채용의무화에 따른 목표치 18%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준 것이다. 공공기관 이전정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지역인재 채용이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역인재 채용은 그 동안 이전정책의 후순위였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전 공공기관은 지역인재 채용할당제에 따라 목표치인 30% 를 2022년까지 달성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정성 및 역차별 논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지역인재의 역할이 지역 혁신의 핵심 세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정책적 추진동력을 지속적으로 법·제도적 장치를 활용하여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제도적 장치를 바탕으로 지역인재 채용과 관련한 지역적 기반 조성을 위한 노력 또한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인재 채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역 역량강화가 필요할 것이다. 첫째는 인력양성 시스템의 강화이다. 지방 대학의 교육역량 강화를 통해 지역기반 공공기관 인력 수요에 대응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산학협력협의체를 활용한 지역인재의 수요와 공급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공공기관의 수요와 대학의 인력공급을 매칭해주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는 이전 공공기관과 대학 간의 상호 필요성에 따른 인력양성과정을 개설 및 운영을 통해 산학협력시스템의 확대·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ways to expand local talent employment in parallel with relocation of public agencies. The policy of public agency relocation started in Noh Muhyun government, in 2003 and recently, first stage of relocation has been nearly completed. The relocation policy has been promoted in order to solve the overpopulation problem in the capital region and to equally develop the territory. It is the policy to build up momentum for regional innovation. The relocation of public agencies has brought diverse results on the regional level. One representative achievement is that it has contributed to solving the problem of overpopulation in the capital region. Public agencies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was 85% and this figure has been lowered to 35% through the relocation policy. This policy can be assessed as an opportunity to transform the system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regions. On the basis of regional industry specialization, the relo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with it, regional education system has been turning into a competitive one. In spite of these effects of the relocation policy, there has appeared some limits. It is controversial what the relocation of public agencies has contributed to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by changing them into actual regional organizations. Local talent employment policy raised its ratio from around 10% to 23.4% after it became mandatory in 2018. This is the result over the obligational target figure 18%. Though local talent employment had to be primarily actualized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public agency relocation policy, it has been down the list. In the future, relocated public agencies have to achieve the target percentage 30% by the year 2022 for local talent employment. In this process, fairness and reverse discrimination issues have been raised. As regional brains function as a pivotal power for the regional innovation, it is significant to guarantee its policy promotion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means. These systematic tools and regional efforts to establish regional foundations concerning local talent employment should be emphasized, too. Thu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talent employment, the following regional empowerment is essential. Firs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 should be reinforced. By upgrading local colleges’ educational capability, a system to cope with human resources demand from public agencies have to be created. Second, a platform of local talent demand and supply should be formed by using industry-academy cooperation council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gency to match public agencies’ demand and collegian human resources supply. Third,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industry-academy cooperation system between relocated public agencies and local colleges should be promoted by launching and manag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urses.

      • 차별금지법 국내 수용 과정의 정치 : 장애인차별금지법과 일반적 차별금지법 사례 분석

        서정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인권규범을 실현하는 차별금지법의 정책 이전 결과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정책 이전 이론의 과정에서의 정책 이전 주체와 정책 이전 반대 집단의 상호작용으로 펼쳐지는 소수자 정책 지형을 분석틀로 삼았고, 특히 정책 이전 과정에서 정책 이전 주체들의 영향력과 정책 이전 반대 집단의 저항 크기의 변화에 따라 전개되는 정책영역의 특징을 살폈다. 장애인차별금지법과 일반적 차별금지법은 모두 국제인권규범을 실현하는 중요한 법안인 동시에 법안이 담고 있는 구제 수단, 영역 등의 내용과 함께 형태에 유사성이 많으며 입법이 시도되었던 시기도 비슷하다. 반면 결정적으로 장애인차별금지법은 2007년 4월 국회를 통과하여 법률로 제정되었으나 같은 차별금지법인 일반적 차별금지법은 유사한 시기에 입법이 시도되었으나 2014년도에도 제정되지 못하고 있다. 장애인차별금지법 사례에서 1기에는 이 시기에 장애인 단체들은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조직화와 법안 연구에 몰두하였고 스스로 정책 창도가가 되어 정책 영역의 변화를 이끌 준비를 하였다. 이후 장애인차별금지법 2기에서 장추련의 조직적 영향력이 발휘되었고, 장애계 정치인들의 국회 진출, 정부의 공약 이행 등과 맞물리면서 정책 찬성 집단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반면 정책을 반대하는 집단의 저항은 약했다. 이에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정책과잉영역에서 전개되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원안을 고수하지는 못했으나 원안이 상당히 반영된 형태의 타협안으로 제정에 이른다. 일반적 차별금지법 사례에서 1기는 정책 찬성 집단의 약한 영향력과 정책 반대 집단의 약한 저항으로 정책결핍영역에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별금지법도 다른 소수자 정책들처럼 정책결핍영역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후 일반적 차별금지법은 2기에서 법무부의 안을 접하게 된 보수 기독교 단체들이 조용한 대응이 아닌 실질적 조직화와 행동에 나서면서 정책 이전을 반대하는 집단들의 저항이 강해졌다. 또 이에 대응하여 일반적 차별금지법에 대한 인식이 증가한 성적소수자 단체를 비롯한 인권, 시민단체들도 조직화에 나서면서 영향력을 발휘하여 극심한 정책갈등영역으로 전개되었다. 일반적 차별금지법은 3기에서 정책 반대 집단의 저항 크기가 유지되는 가운데 국가인권위원회의 무관심, 정부와 국회의 비일관적인 태도, 성적소수자 단체에 대한 과도한 부담 등의 영향으로 정책 찬성 주체들의 영향력은 약화되었다. 이에 일반적 차별금지법은 정책기회영역에 위치하여 입법에 성공하지 못한 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