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타이타니늄 산화물 나노 튜브를 이용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와 응용

        김상모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Anodizaton(양극산화)의 시간에 따른 TiO2 nanotube(NT) arrays의 길이의 차이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 응용하였을 때 효율의 차이에 대한 결과를 report하였다. 일반적인 나노입자을 이용한 DSSC의 경우 입자와 입자 사이에 grain boundary가 존재하기 때문에 원활한 전자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TiO2 nanotube(NT) arrays의 경우 보통의 나노입자 보다grain boundary가 적기 때문에 전자의 전달이 보다 효과적이고 일정한 크기의 동공과 전해질사이의 접촉이 접촉이 좋아져 전자의 전달 속도가 빠르게된다. 기존의 TiO2 nanotube(NT) arrays을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적용한 논문의 경우 3~4%의 광전환효율을 발표하였고, 길이가 150마이크로미터의 타이타늄 산화물 튜브구조를 통해서 6~7%의 광전환효율 얻어냈다. De(diffusion coefficient)를 particle DSSc와 비교해 볼 때 비슷한 결과를 보이지만 τ(lifetime)의 경우 particle DSSc 보다 더 높다. 이는 다시 말하면 이상적인 cell의 thickness가 더 두껍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같은 면적일 때 thickness가 증가 함에 따라 pore size와 표면적도 증가 할 것 이므로 particle DSSc보다 염료 흡착량이 많을 것 이라 본다. 튜브의 길이가 증가 함에 따라 효율과 Jsc가 증가함을 증명하였으며 Voc는 감소하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여러 가지 요소들 때문에 TiO2 nanotube(NT) arrays를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 응용은 더 높은 광전환효율을 얻기 위해서 가치 있는 일이며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 돼지의 도체등급 요인 분석 및 후보유전자 탐색 : Analysis of Carcass Grade Factor and Detection of Candidated Genes in Crossbred Pigs

        김상모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출하된 실용돈의 도체 특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과 NGS 기법 중 전사체를 기반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RNA-seq법과 WES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비육돈의 도체 성적과 관련된 후보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원문 요약 참고) This present study is to provide basis for regulation and discovering molecular markers from candidate genes related to carcass weight in finishing pigs by using transcriptome and exome sequencing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ver exome information from crossbred pigs.

      • 한국테크노파크 정책 연구 :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

        김상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Since the mid-1990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has been supporting technoparks to realize the success of Silicon Valley in Korea. Moreover, a number of related highly-funded policy programs were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appeal of hardware installation. This study analyzes 18 technoparks established nationwide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of MOTIE and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Support For Technoparks’, and related policies. It will first explore the factors formulated in the period of pre-policy stage (1966-1993) and subsequently influenced the technopark policy. Next the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the technopark policy in Korea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the period of technopark policy ideas formation (1994-1995), the period of concrete policy formation (1996-1998), and the period of policy implementation (1999-2012). This study on Korean technopark policy was conduct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progresses. As for the analysis framework, this study used the framework used by Dolowitz & Marsh (1996), based on the fact that technoparks are a typical policy transfer case. In addition, this study supplemented the analysis framework by adopting a new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based on the comprehensive path-dependence described by North (1990). The main variables include (1) foreign policy sources, (2) policy situations, (3) actor variables, and (4) institutional variables.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Korean technopark policies are formulated through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variables from (1) to (4). In order to supplement previous research on technoparks, this study aimed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y did MOTIE try to take the initiative in technopark policy from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ow was it possible? Second, as Korean technopark policies are different from foreign cases, what variables influenced the policy process? Third, what are the promotional and restrictive factors of Korean technopark polic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TIE enacted the ‘Industial Development Act’ in 1986, abolishing 7 laws supporting industry and developing policies exceeding direct and discriminative measures to support industries. MOTIE highlighted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technology for industrial support in the late 1980s, and succeeded in converting the si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system dire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o a shared one. In 1995, WTO was launched while the technoparks were spreading globally in the period of technopark policy ideas formation (1994-1995). As technological competition intensified, enhancemen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became a large task. In addition, MOTIE was faced with a policy situation where demand for regional development was increasing as the local self-govenment system resumed in the early 1990s. However, MOTIE was no longer able to use discriminative industry support measures. Eventually MOTIE was able to lead the technopark policy transfer by securing the consensus of related ministries to comply with global norms and accepting regional development. Second, in the period of concrete policy formation (1996-1998), there was a continuous demand for high technology competition as well a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1997, the Asian Financial Crisis swept Korea, and as a response a new policy to promote startup businesses was introduced to transform the structure of domestic industry, later influencing the formulation of technopark policies. MOTIE, recognizing that foreign technoparks were also not just successes but failures as well, pursued emulation of the policies of countries such as Japan and USA, bearing in mind the domestic situations. In the process of policy transfer, the interactions between foreign policy sources, policy situations, actor variables, and institutional variables was analyzed as following: First, the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technoparks in Korea would take the form of a third-sector foundation corporation. This was largely due to MOTIE’s desire to mobilize and rally policy actors such as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Next, most of the domestic technoparks would take the form of small complexes, mainly due to policy competition wit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budget constraints from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complexes include university campus type, industrial complex type, and mixed type. This was also the result of the policy allowing competition among local governments, giving them the rights to choose and apply the complexes. It was also not possible to adopt a preferential treatment for research institutes of foreign enterprises based on the Hsinchu Science Park in Taiwan due to lukewarm responses from policy actors. On the other hand, support measures not found in Japan or other countries were included. A typical case can be found in the enforcement of the foundation system for the technopark corporation, large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MOTIE. Third, 18 technoparks have been established nationwide in the period of policy implementation (1999-2012) with about 1,700 companies in operation, and technoparks rising to the region’s central organization. This shows the technopark policy in Korea has achieved successful results from MOTIE’s policy support and the local participants’ commitment. However, the technopark in Korea has gradually become bureacratic causing limitations in autonomy and creativity, the essential figures of a technopark. The policy legacy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foundation corporation system is a fundamental cause of the tendency of the Korean technopark towards becoming bureacratic and path dependence still in the present da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olicy transfer through emulation of foreign policies affects the policy performance positively. Policy competition among ministries can serve as a motivation for new ideas. It is pointed out that the merits of a particular policy can turn into a great obstacle over time. On the other hand, policy actors tend to pursue change only within existing policies and institutions. Furthermore, policy makers should be aware that as the number of stakeholders in a specific policy increases due to path-dependence, it makes policy innovation more difficul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Korean technopark policy process can be successfully explained through an analysis framework applying a policy transfer framework and new institutionalism. The analysis framework u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future for studying policy transfer cases through emulation of foreign policies. 산업자원부는 1990년대 중반부터 실리콘밸리의 성공을 국내에 재현하기 위하여 테크노파크를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더욱이 하드웨어 설치가 주는 정치적인 매력에 따라 유사정책프로그램이 다수 개발되어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고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에 따라 산업자원부의 지정을 받아 설립된 전국 18개의 테크노파크와 관련 정책이다. 이 연구는 먼저 선행정책단계 시기(1966∼1993)에 만들어져 테크노파크정책에 영향을 준 요인을 탐구한다. 다음으로 테크노파크 정책과정 시기(1994∼2012)의 한국테크노파크 정책과정에 대하여 테크노파크 정책아이디어 형성기(1994∼1995), 구체적인 정책형성기(1996∼1998)와 정책집행기(1999∼2012)로 구분하여 탐구한다. 이 연구는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에 대하여 질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분석틀은 테크노파크가 대표적인 정책이전사례임을 감안하여 Dolowitz & Marsh(1996)가 제시한 정책이전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이에 더하여 North(1990)가 설명하는 포괄적 경로의존성 개념을 포함하는 신제도주의 시각을 도입하여 보완하였다. 주요 변수는 (1) 해외의 정책원천, (2) 정책상황, (3) 행위자변수, (4) 제도변수 등이다. (1)에서 (4)까지의 변수들의 복잡한 교호작용으로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설명된다. 이 연구는 테크노파크 선행연구를 보완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산업자원부는 왜 과학기술부 영역인 테크노파크 정책을 주도하려고 나섰고 어떻게 가능했는가? 둘째,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이 해외 사례와 다르게 만들어졌는데 정책과정에서 작용한 변수들은 무엇인가? 셋째,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의 성과는 무엇이고 장애로 작용하고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자원부는 1986년 「공업발전법」을 제정하면서 7개의 개별 공업지원 법률을 폐지하여 직접적이고 선별적인 산업지원 시책을 넘어서는 정책수단을 개발하고 있었다. 이에 1980년대 후반 산업지원을 위한 응용기술 개발이라는 측면을 부각하여 과학기술부 단일의 연구개발사업 체제를 다수부처의 분담 체제로 전환하는데 성공하였다. 테크노파크 정책아이디어 형성기(1994∼1995)에 테크노파크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기업에 대한 직접 보조를 제한하는 WTO가 출범하여 첨단기술 경쟁이 심화되어 국내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가 당면과제로 부각되었다. 그리고 지방자치제가 본격 실시됨에 따라 지역개발 요구가 확대되는 정책상황에 산업자원부는 직면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산업자원부는 더 이상 선별적 산업지원시책을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산업자원부는 국제규범을 준수하고 지역개발 요구에 대응하는 효과적 정책수단으로서 테크노파크에 대한 관계부처의 공감대를 확보함으로써 테크노파크 정책이전을 주도할 수 있었다. 둘째, 구체적인 정책형성기(1996∼1998)에 WTO 등 첨단기술경쟁과 지역개발 요구가 지속되는 가운데 1997년 말에는 IMF외환위기가 발생하였고 국내 산업의 구조를 전환하기 위한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새로 도입되어 테크노파크 정책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산업자원부는 해외 테크노파크에도 성공사례만 존재하지 않고 실패사례도 많다는 점을 인식하고 국내 여건을 감안하여 일본, 미국 등의 정책에 대하여 맥락적 모방을 추구하였다. 정책이전 과정에서 해외의 정책원천과 정책상황, 행위자변수, 제도변수의 교호작용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먼저 국내에서 테크노파크의 조성·운영주체는 제3섹터 재단법인 형태로 결정되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대학 등 참여주체를 결집하려는 산업자원부의 의지가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테크노파크는 소규모 단지 형태로 조성되었다. 이는 과학기술부와의 정책경쟁과 기획재정부의 예산제약 요인이 주로 반영되었다. 입지는 대학부지형, 산업단지형, 혼합형이 존재하고 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 간 경쟁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입지를 정하여 신청하는 방식으로 정해지면서 예정된 결과이었다. 한국테크노파크 지원제도는 1998년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이 제정됨으로써 골간이 정해졌다. 산업자원부는 일본의 「테크노폴리스법」으로부터 개별법 형식과 개발절차, 자금지원, 세제지원 등의 내용을 국내 맥락에 맞게 도입하였다. 그렇지만 일본 「테크노폴리스법」의 다수부처가 활용 체제와 입지조건 규정은 부처 간 정책경쟁 측면, 지역의 반발 우려 등으로 무시되었다. 대만의 신죽단지를 벤치마킹한 외국기업 연구소 우대 규정도 참여주체의 미온적 반응으로 도입이 좌절되었다. 반면 일본이나 외국에 없는 지원제도도 포함되었다. 대표적으로 테크노파크법인에 재단법인 체제를 강제한 것은 과학기술부의 정책유산과 산업자원부의 의지가 함께 작용한 사례이다. 셋째, 정책집행기(1999∼2012)에 전국에 18개 테크노파크가 설치되어 약 1,700개 기업이 입주하고 있고, 지역의 중추적인 거점기관으로 성장하는 등 한국테크노파크 정책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산업자원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지역주체들이 결집하여 거둔 성과이다. 그렇지만 한국테크노파크는 점차 공공기관화되어 테크노파크 본연의 자율과 창의에 의한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한계를 갖게 되었다. 공공기관화의 근본 요인으로 작용하는 재단법인 체제는 과학기술부의 정책유산으로 산업자원부에 의해 도입되어 현재까지 유지되는 경로의존성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해외의 정책에 대하여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이 정책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부처 간의 정책경쟁이 새로운 정책아이디어의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정책의 장점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근본적인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반면 정책행위자는 기존 정책과 제도의 범위 내에서만 변화를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특정정책의 참여자와 수혜집단이 증가할수록 경로의존성으로 인하여 정책혁신은 어려워지므로 정책당국자는 유의해야 한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정책이전의 분석틀과 신제도주의 시각을 접목한 연구방법이 한국테크노파크 정책 과정에서 벌어진 정책원천, 정책상황, 행위자변수와 제도변수 간의 복잡한 교호작용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이론적 유용성과 적실성을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틀은 앞으로 해외 정책으로부터 맥락적 모방을 통한 정책이전 사례를 연구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용 술폰화 고분자 블렌드 막의 제조 및 특성

        김상모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술폰화된 poly (ether ether ketone) (SPEEK)와 술폰화된 polysulfone (SPSf)을 블렌딩하여 새로운 PEMFC용 고분자 블렌드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PEEK와 PSf는 각각 진한 황산 (95 %)과 trimethylsilyl chlorosulfonate (TMSCS)을 이용하여 술폰화하였다. SPEEK/SPSf 블렌드 막은 술폰화된 두 고분자 (SPEEK, SPSf)를 N-methyl-2-pyrrolidone (NMP)에 녹인 후 다양한 비율로 블렌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열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TGA, DSC를 실시하였으며, 상온에서의 함수율, 수소이온전도도 등을 측정하였다. SPEEK/SPSf 블렌드 막의 함수율은 7:3의 무게 비율로 블렌딩 했을 때 62.1 %로 가장 높았고, 이 막의 수소이온 전도도는 0.011 S/cm이었다. 블렌드 전해질 막의 열적안정성 또는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도성 고분자인 polypyrrole (Ppy) 또는 친수성 무기 충진제 (inorganic filler)인 fumed silica를 도입하여 고분자 블렌드 전해질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SPEEK/SPSf/Ppy 복합막은 pyrrole monomer를 SPEEK/SPSf 고분자 블렌드에 도입한 후 블렌드 용액 내에서 중합하여 제조하였다. Pyrrole의 함량이 15 wt.%일 때 복합막의 수소이온전도도은 0.014 S/cm 까지 증가한 반면, 함수율은 산-염기 인력에 의하여 74.9 %에서 47 %로 감소하였다. Ppy의 인력의 유도에 의해서 Ppy의 양이 증가할수록 열적 안정성은 증가하였다. SPEEK/SPSf/fumed silica 복합막은 SPEEK/SPSf 고분자 블렌드에 fumed silica를 벌크 혼합 (bulk mixing)하여 제조하였다. Silica의 함량이 10 wt.%일 때 복합막의 수소이온전도도은 0.021 S/cm 까지 증가한 반면, 함수율은 산-염기 인력에 의하여 59.6 %에서 47.2 %로 감소하였다. 이 복합막은 silica의 양이 증가할수록 열적 안정성은 증가하였다. 친수성 silica에 의한 수소결합의 효과는 수소이온 전도도와 열적안정성을 향상시킨 반면 함수율의 감소를 유도한다. Novel polymer blend membranes for PEMFC, in this study, were prepared by blending two sulfonated polymer, consisted of sulf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 (SPEEK) and sulfonated polysulfone (SPSf). PEEK and PSf were sulfonated using concentrated sulfuric acid (95 %) and trimethylsilyl chlorosulfonate (TMSCS), respectively. SPEEK/SPSf blend membranes were prepared by solution blending of SPEEK and SPSf with various blending ratios. Solvent for the solution blending was N-methyl-2-pyrrolidone (NMP). The thermal properties of samples were measured by TGA and DSC. The water uptake and proton conductivity of samples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The best water uptake of SPEEK/SPSf was 62.1 % when blending ratio was 7:3, and its proton conductivity was 0.011 S/cm. In order to improve thermal property or proton conductivity for this blend membrane, the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by introducing polypyrrole (Ppy) as a conducting polymer or hydrophilic fumed silica as an inorganic filler. SPEEK/SPSf/Ppy composite membranes was prepared by polymerizing pyrrole monomer into SPEEK/SPSf solution in NMP. The proton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 membrane increased to 0.014 S/cm at 15 wt.% of pyrrole content, while the water uptake decreased from 74.9 % through 47 %, due to the effect of acid-base interaction. The thermal properties of Ppy composite membranes were improved with pyrrole content increasing owning to the interaction by Ppy. SPEEK/SPSf/silica composite membrane was prepared by introducing hydrophilic fumed silica to the solution of SPEEK/SPSf in NMP. The proton conductivity of fumed silica composite membranes increased to 0.021 S/cm at silica content of 10 wt.%, while he water uptake was decreased from 59.6 % through 47.2 %. The thermal properties of fumed silica composite membranes were improved as increase of fumed silica content. The effect of hydrogen bonding by hydrophilic silica leads to the increase of ion conductivity and thermal property, but the decreased water uptake.

      • 독일어 依存文法에 관한 硏究

        김상모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8639

        불란서의 언어학자 Lucien Tesnie`re 로부터 시작된 의존문법(Dependenzgrammatik)은 문장성분들(Satzglieder) 사이에 종속관계(Abha¨ngigkeitsrelation) 혹은 의존관계(Dependenzrelation)를 가정한다. 이와 같은 가정으로부터 우리는 지배소(Regens)와 의존소(Dependens)의 개념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문장의 구조적 중심을 이루는 동사는 지배소가 되며 그 동사에 의해 요구되는 일정한 수의 보충어는 의존소가 된다. 의존문법은 이러한 지배소와 의존소 사이의 의존관계의 기술을 그 주요 과제로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늘 문제가 되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결합가(Valenz)의 개념이다. 결합가란 문법적으로 완전한 하나의 문장을 만들기 위해 동사가 요구하는 보충어의 수를 말한다. 의존문법은 문장의 구조분석과 기술을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문장성분을 구분한다. a) 문장의 구조적 중심으로서의 동사 즉 술어(Pra¨dikat) b) 동사에 종속되어 있으며 그 종류와 수가 동사에 의해 요구되는 보충어 (Erganzung) c) 동사의 결합가와 그 수에 제한을 받지 않고 문장내에서 자유로이 생략되거나 첨가될 수 있는 상황어(freie Angabe 혹은 Angabe). 결합가 개념에 관련된 문제들 중 하나는 보충어와 상황어의 구별 특히 수의적 보충어와 상황어의 구별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생략실험(WeglaBprobe), 진술실험(Pra¨dikationstest), 강조실험(Und-Zwar-Probe), 부사문장실험(Adverbialsatztest), 발생실험(Geschehenstest), 그리고 보충의문문실험(Erga¨nzeungsfragentest) 등을 시도해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들은 나름대로 문제를 안고 있으며 아직까지 보충어와 상황어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는 일관된 기준은 정립되어 있지 않다. In der Dependenzgrammatik, die VOII Lucien Tesnie`ere eingefu¨hrt wird, wird vorausgesetzt, daB es zwischen den Satzgliedern eine Abha¨ngigkeitsrelation besteht. Auf dieser Voraussetzung beruhen die Begriffe "Regens und Dependens". Das heiBt: das Verb, das strukturelles Zentrum im Satz bildet, zeigt sich als Regens im Satz. Die Erga¨nzung, die von dem Verb gefordert wird, zeigt sich als Dependents im Satz. Die Hauptaufgabe der Dependenzhtammatik stellt die Beziehung zwischen Regens und DepenJens dar. Die Dependenzgramnatiker fassell sie auf die Valenzbeziehung. Die Valeng ist die Fa¨higkeit des Verbs, eine bestimmte Zahl von Erga¨nzungen bestimmter Art zu verlangen, damit ei11 grammatisch vollsta¨ndiger Satz entsbteht. In der Dependenzgrammatik werden die Satzglieder in drei Klasse wie folgt eingeteilt, um die Shuklur des Satzes zu analysieren und darzustell en: a) Pra¨dikat als strukturelles Zentrum im Satz b) Erga¨nzung, die von dem Verb abha¨ngig ist, das ihre bestimmte Zahl und Art fordert. c) Freie Angabe (oder kurz Angabe), die von der Valenz des Verbs und ihrer Zahl unabha¨ngig ist und die innerhalb des Satzes frei weglassen und hinzufu¨gen ko¨nnen wird. Wir ko¨nnen den Eliminierungstest, den Pra¨dikationstest, die Und Zwar-Probe, den Adverbialsatztest, den Geschehenstest, und den Erga¨nzungsfragentest gebrauchen, urn die Angabe von del Erga¨nzung zu unterscheiden. Jedoch ko¨nnen wir das klare Kriterium fur die Untercheidung von fakultativen Erga¨nzungen und Anggaben noch niicht feststell en.

      • 스퍼터링법을 이용한 박막 패시베이션 제작

        김상모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의 수명 향상을 위하여 보호막인 박막형 패시베이션(Passivation)을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박막형 패시베이션을 스퍼터링법으로 제작 시 발생되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입자들의 기판 충돌로 인한 유기물의 손상을 억제하기 위해 저손상 스퍼터링인 대향 타겟식 스퍼터링법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인 스퍼터링법은 기판과 타겟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박막을 제작하기 때문에 플라즈마 내의 높은 에너지를 갖는 입자들(산소 음이온, γ-전자, 반발 Ar 입자등)의 기판 충돌로 인해 유기물이 손상을 입는다. 그러나 대향타겟식 스퍼터링법은 2개의 마주보는 타겟과, 타겟간 중앙에서 수직한 위치에 기판이 놓이게 된다. 또한 γ-전자는 자계에 의해서 구속되며 타겟 사이를 왕복 cyclotron motion을 하여 고밀도 플라즈마를 형성 할 수 있다. 따라서 대향 타겟식 스퍼터법은 전자 및 산소 음이온 등의 고에너지 입자들에 의한 유기물 층의 손상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대향 타겟식 스퍼터링 장치의 구속 자계 분석을 통한 스퍼터링의 최적 조건과 박막 증착 공정조건의 분석을 통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보호막 제작 시 발생될 수 있는 유기물 손상을 최소화하였다. 그 결과 분산형, 타겟거리 100mm, 공정 압력 1 mTorr, 투입전력 40W에서 제작된 SiO₂ 보호막이 적용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유기물의 손상을 최소화 하고, 소자의 퇴화 현상이 억제됨으로서 수명향상에 기여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prepared the passivation film of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by Facing Targets Sputtering (FTS) method. Recently, the encapsulation technology of the OLED by metal or glass can as diffusion barrier has been widely used with excellent barrier properties. However, the high cost associated with difficult manufacturing process, the permeation of oxygen and water vapour through the sealant, the permeation of oxygen and water vapour, the impossible application to flexible display. So we proposed that SiO₂ thin film is packed as passivation films by FTS method. The facing targets sputtering (FTS) method was used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of organic layer by bombardments of high energetic particles that occurred when preparing the passivation films of OLED by sputtering method. During a conventional sputtering process, energetic particles, such as negative oxide ions, γ-electrons and reflective Ar particles, attack the organic layer because its substrate and target were faced each other. But the FTS system is consisted of the two facing targets and the substrate which is located apart from the center axis of two targets. And the high density plasma is generated by γ-electrons promote of the cyclotron and reciprocating motion resulted from confining magnetic field between two targets. Therefore, the FTS apparatus can suppress the organic layer damage by high energetic particles. In the result, we prepared SiO₂ as passivation film for OLEDs in the input power of 40W and 1 sccm of oxygen gas at the room temperature. The lifetime of the OLEDs with as-deposited SiO₂ is similar to that of glass-encapsulated OLEDs. So we could consider that SiO₂ as passivation is contributed to protect the OLED from oxygen and moisture.

      •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상모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combination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training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affects the balance and gait abilities of stroke patients. Twenty-seven stroke patient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N:14) = PNF training and combining FES during gait, control group (N:13) =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combining FES During Gait). The subjects in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for 6 weeks, with 5 sessions per week, and 60 minutes per session. In the two groups, balance was measured using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Berg Balance Scale (BBS). Gait velocity was measured using the 10 Meter Walk Test (10MWT). The gait parameter evaluation system G-Walk was used to evaluate gait cadence, stride length and symmetric index.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within each group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two group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U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due to the increase in change after the intervention (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p>.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p>.05). Second, the BB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hange after the intervention (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p>.0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arger difference in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ird, the 10 MW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p>.0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arger difference in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1). Fourth, the Cad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intervention than before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p>.0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arger difference in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intervention comparison (p<.05). Fifth, the Stride lengt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or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group comparison (p>.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p>.05). Sixth, the Symmetric index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than before the intervention (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p>.05).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bigger difference than the control group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gait training which combines PNF training and FES is thought to help improve the balance and gait ability of stroke patient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more study is needed on PNF training of various lower extremities for the activation of small muscl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functional walking along with the activation of large muscles 본 연구의 목적은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의 결합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27명을 선정하였고,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 14명, 대조군 13명을 무작위 배정한 후 6주간, 주 5회, 1일 1회, 60분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균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일어나 걷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와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보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10미터 걷기 검사(10m Walk Test; 10MWT)를 사용하여 보행 속도를 측정하였고 무선 3축 가속계(G-Walk, BTS Bioengineering, Italy)를 이용하여 보행 분속수, 한걸음거리, 보행 대칭성을 측정하였다. 종속변수들의 집단 내 중재 전·후 변화 및 집단 간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균형능력(TUG)은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변화량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5),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그룹간 전·후 비교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둘째, 균형능력(BBS)은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변화량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5),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그룹 간 중재 전·후 비교에서는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의 차이가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셋째, 10MWT는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변화량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5),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그룹 간 중재 전·후 비교에서는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의 차이가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넷째, 보행 분속수는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변화량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5), 대조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그룹 간 중재 전·후 비교에서는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의 차이가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다섯째, 한걸음거리에서는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 한걸음거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룹 간 중재 전·후 비교에서도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여섯째, 보행 대칭성은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에서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변화량이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5), 대조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그룹 간 중재 전·후 비교에서는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변화량의 차이가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보행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되고 대단위 근육군의 촉진과 더불어 기능적인 보행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소근육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운동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