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서적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성격, 사회적 지지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서영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성격, 사회적 지지, 직무의 정서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라는 주제를 가지고 조직에서 느끼는 직무정서성에 의해서 어떠한 차별적 영향력을 보이는 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성격 5요인, 사회적 지지, 정서노동,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특성 등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실증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성격 5요인은 Costa & McCrae (1985)의 개념을 따르고, 그들의 측정도구인 Neo-Pi-R(Costa & McCrae, 1992)을 활용하였다. 성격 5요인은 5가지의 하위요소로 구성되는데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신경증, 그리고 개방성이다. 사회적 지지는 House(1981)의 개념을 활용하여 상사지지와 동료지지로 구분하고 House & Well(1978)의 문항을 활용하였다. 정서노동의 Hochschild(1983)의 정의를 이용하였고 설문으로는 Morris & Feldman(1996)의 정서노동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인용·수정 하였다. 직무만족은 Hackman & Oldham(1974)이 공동 개발한 Job Diagnostic Survey(JDS)를 활용하였고, 조직애착은 Allen & Mayer(1984)의 정감적 몰입을 사용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한 설문은 병원근무자와 일반 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총 391부의 설문이 배포되었다. 그 중 301부를 회수(회수율 78.9%)하였고, 불성실한 응답 31부를 제외한 27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SPSS Ver.12를 활용하여 기술통계량, 상관관계, 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그리고 변수의 영향력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은 직무만족과 조직애착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성격 중에서 외향성과 성실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직무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조직애착도에는 외향성과 호감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조직애착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변수가 설명하는 영향력에 있어서는 직무만족보다는 조직애착에서 약간 더 큰 설명력을 드러냈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과 조직애착도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고 있는데 동료지지는 유의하지 않았고, 상사지지가 매우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상사지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애착이 증가하였는데, 직무만족보다는 조직애착에서의 그 설명력이 더 두드러졌다. 끝으로, 조절변수로서 직무정서성의 효과를 살펴보면, 직무정서성이 높은 집단에서 호감성을 가진 사람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반면 성실성과 신경증이 높은 사람은 직무만족도가 감소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직무정서성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애착에서의 직무정서성의 조절효과는 성격과 사회적 지지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노동은 조직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요즈음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정서노동이 조직유효성인 직무만족을 설명하는데 있어 조절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정서노동을 이론적으로 좀 더 발전 시키고자하였다. 따라서 심리적 well-being의 차원에서의 직무만족이나 조직애착을 높이려는 시도는 조직이 요구하는 바람직한 개인의 특성과 조직차원의 환경에 따라 다른 접근이 요구되며 또한 인력의 채용이나 지원자의 평가하는 방식도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i.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elation to emotional job. As a moderator in this research model, I tested the effect of job emotionality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i.e.,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dependent variables(i.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ilt upon Costa & McCrae(1985)'s conceptualization, personality is constructed 5 dimensions(i.e.,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openess to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two dimensions(i.e., executive's support, colleague's support).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are adopted respectively from Costa & McCrae(1985) and House & Well(1978). For the concept of emotional labor I followed Hochschild(1983)'s definition and Morris and Feldman(1996) for the measurement. As a dependent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re adopted respectively from JDS(Job Diagnostic survey by Hackman & Oldham, 1974) and affective commitment by Allen & Mayer(1984). This these investigates three hypotheses: the main effect hypothesis of personality variables on the outcome variables((i.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 support variables on the outcome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hypothesis of above effects by the job emotionality(i.e., high versus low). For this purpose, 39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hospital workers and other organization workers. Total of 30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distributed ones. Deleting missing and unreliable responses 270 cases were finally analysed. SPSS Ver. 12 was used for various analyses. The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Specifically, extra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increase job satisfaction, whereas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n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overall, personality has a stronger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a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executive's support of social support also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howed strong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job satisfaction. But colleague's support did not showed significance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personality in the high job emotionality moderates job satisfaction. agreeableness has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ereas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has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ocial support in the high job emotionality cannot find any significance. Meanwhil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have more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above empirical findings highlights the role of job emotionality in terms of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This thesis document moderating roles of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across job emotionality. this thesis discuss these findings in more detail and their implications on developing customized personality by refl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job emotionality.

      • 정서강도,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 효과

        임현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경계선 성격장애의 주요 증상이자 핵심문제라는 이론(Linehan, 1993)을 바탕으로 정서조절의 개인차 변인과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계선 성격장애의 다양한 증상은 정서조절의 어려움(emotional dysregulation)에 의한 것으로 정서적 취약성을 가진 아동들이 자신의 정서를 충분히 자각하고 이해받을 수 없는 환경에서 성장하면서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학습하지 못하게 되어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경계선 성격장애의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Linehan, 1993).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가지는 개인은 정서를 인식하고 이해, 수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가지며 강렬한 정서를 경험하고 이를 조절하는 전략이 부족하다. 따라서 정서적 고통을 더 경험하며 이로 인해 개인적· 사회적 기능의 어려움을 가진다. 경계선 성격장애의 핵심문제가 정서조절의 어려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경계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정서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가지며 강렬한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의 개인차 변인으로서 부정적 정서강도, 정서인식의 명확성,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을 선택하였다. 분노나 우울과 같은 정서를 강하게 느끼며 자신의 정서가 무엇인지 인식하지 못할수록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사용하게 되어 정서적 불안정, 충동문제, 정체감 문제와 같은 경계선 성격특성을 더 많이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부정적 정서강도,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관계에서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정적 정서강도와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관계 :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모형 검증 결과 부정적 정서강도와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이 경계선 성격특성으로 가는 경로와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이 경계선 성격특성으로 가는 경로는 모두 유의하였다. 두 변인의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부정적 정서강도가 큰 사람이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계선 성격특성을 더 많이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과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경로에서는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경계선 성격특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강도가 경계선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하는 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이 부정적 정서강도와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정서강도가 경계선 성격특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경계선 성격특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부정적 정서를 강하게 느낄수록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을 많이 사용하게 되어 경계선 성격특성과 관련된 증상들을 더 많이 경험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이 정서적 자극에 대한 높은 민감성과 적응적이지 못한 정서조절 전략을 가진다는 Linehan(1993)의 생물사회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아동기 외상 경험을 통제한 후에도 사고억제 경향이 부정적 정서강도와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선행연구(Rosenthal, 2005)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는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의 반동효과(rebound effect)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부정적 정서를 강하게 경험하는 사람이 이러한 정서의 영향력으로부터 회피하고자 하는 전략을 사용하게 되면 일시적으로는 정서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부정적 정서를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을 학습하지 못하여 경계선 성격특성과 관련된 행동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경계선 성격특성과 관련된 행동을 계속해서 나타내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관계 :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과정은 정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전제조건이며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사람보다 불안, 우울 및 신체증상을 더 호소하는 것을 나타났다(이서정, 2005)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과 경계선 성격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경계선 성격특성으로 가는 경로와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낮을수록 경계선 성격특성과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인식을 명확하게 할수록 적응적인 대처 전략을 사용하며(박여정, 2009) 대부분의 성격장애가 자신의 정서를 있는 그대로 인식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나타내며 실제 정서와 지각된 정서간의 괴리감이 크다는 선행연구 결과(황순택, 2009)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개인일수록 회피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경계선 성격특성과 관련된 증상들을 더 많이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성격특성을 예측하는 정서적 특징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을 추가하였다는 것이다. 경계선 성격장애의 정서적 특징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들은 경계선 성격장애의 정서적 취약성으로 정서강도를 주요 변인으로 다루었다. 경계선 성격장애의 정서인식의 명확성에 대한 연구들도 차이를 다룬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신 병리와의 관계를 다룬 연구와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서조절 과정에서 선행되어야 한다는 연구들을 바탕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경계선 성격특성간의 경로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에 대한 치료적 함의를 가진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계선 성격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정서조절 기술 훈련과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이 필요할 것을 보인다. 이는 Linehan(1993)이 경계선 성격장애의 치료를 위해 제안한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의 핵심적인 치료목표와 일치한다. DBT에서는 정서를 회피하거나 억압하려는 경향이 정서적 정신 병리의 핵심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DBT에서는 환자가 경험하는 정서적 고통을 인정해줌으로서 환자가 지각하는 자신의 정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본 연구가 일부지역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경계선 성격장애로 진단 내려지지 않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경계선 성격장애로 진단받은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변인들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특히 정서와 관련된 변인을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순수한 정서적 반응보다는 정서에 대한 개인의 태도나 지각이 포함된다. 특히 정서강도의 경우 본인이 보고하는 정도와 정서강도를 나타내는 생리적 반응과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측정치를 사용하는 실험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 사용된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가 경계성 성격장애와 관련된 일부 특징들만 측정한다는 것이다. 경계선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PAI-BOR척도는 정서적 불안정, 정체감 문제, 부정적 관계, 자기 손상의 개념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요인 분석결과 정서통제, 정체감 문제, 충동 행동경향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PAI-BOR척도에서 자기 손상의 개념은 자살이나 자해위험 보다는 충동적 행동의 가능성을 더 나타낸다(김영환, 오상우, 홍상환, 박은영, 2002)는 점에서 본 연구 모형이 경계선 성격장애와 관련된 특징들을 모두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넷째, 경계선 성격장애는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홍상황, 김영환, 1998에서 재인용) 정서와 관련된 변인에 있어서도 정서강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Fujita, Diener & Sandivik, 1991) 정서인식의 명확성에서는 남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조성은, 오경자, 2007). 각 변인에 있어서 남녀차이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정서경험이 경계선 성격특성에 미치는 경로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지지된 연구모형이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has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 emotional regulating strategy in terms of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awareness clarity on borderline personal features. The participants have been aimed at 255 female university students(61.3%) and 161 male students(38.7%)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he subjects have been examined by Affect Intensity Measurement(AIM), emotional regulation style checklist,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PAI-BOR), Trait Meta-Mood Scale (TMMS). In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and borderline personal features,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study,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and avoidan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ve meaningful effects on borderline personal features. Also,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and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have meaningful affects on avoidan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addition,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and borderline personal features, avoidan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s been fully mediated, but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clarity of emotional awareness and borderline personal features, avoidant emotion regulation strategy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emotional awareness improvement and the necessity of emotional regulating training. Lastly, the limitation and further direction of this study have been discussed.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격강점 및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김희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out how much explanatory power the character strengths a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have towards school life adjustment.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like among the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how much explanatory power do the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towards school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412 6th grad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For this research, A CST questionnaire by Park Hyo-jin(2012) who modified the terms and expressions of Kwon Seok-man (2010) to match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us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tool used Mayer and Salovey’s self-report questionnaire developed by Moon Young-lin (1997)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initial model of emotional intelligence. Hwang Mae-hyang and Kim Young-eun’s test papers, which modified and supplemented of Im Jeong-soon’s test papers(1993), were used to measure school life adjustmen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o calculate technical statistics on variable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tudent character streng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In addition, to examine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we carried out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6 virtues of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chool life adapt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life adjust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haracter strengths,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dapt to the school life. If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or school life adjustment is high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remaining two variables are also high.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owards school life adjustment, it was shown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umanity, justice, wisdom & knowledg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e.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ith higher the level of humanity, justice, wisdom & knowledge virtu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djust better to schoo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meaningful for school adjustment and that variables such as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can improve their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that can develop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for upper students who are maladjusted during elementary school. 이 연구는 아동기에서 초기 청소년기로 이행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및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성격강점 및 정서지능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갖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격강점, 정서지능, 학교생활적응은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격강점, 정서지능은 학교생활적응에 어느 정도의 설명력을 갖는가? 이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412명이다. 성격강점을 측정하기 위해 CST(Character Strengths Test)(권석만, 2010)를 바탕으로 박효진(2012)이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용어와 표현을 수정한 성격강점 CST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 검사 도구는 Mayer와 Salovey의 정서지능의 초기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7)이 제작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학교생활적응 검사는 임정순(1993)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검사지’를 수정·보완한 황매향, 김영은(2007)의 학교생활적응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변인들에 대한 기술적 통계를 산출하고 학생의 성격강점과 정서지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성격강점과 정서지능이 갖는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해 6개의 성격강점 덕목과 정서지능을 독립변수로 하고 학교생활적응을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격강점, 정서지능,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변인 간의 각각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은 성격강점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은 수준을 보이고 학교생활적응을 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 변인 중 정서지능 또는 학교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으면 나머지 두 변인도 높은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성격강점과 정서지능이 학교생활적응에 갖는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히 정서지능, 인간애, 정의, 지혜와 지식 덕목이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간애, 정의, 지혜와 지식 덕목의 수준과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학생이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과 정서지능이 학교생활적응에 갖는 설명력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성격강점과 정서지능이라는 변인을 통하여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시기에 부적응을 겪고 있는 고학년 학생들에게 성격강점과 정서지능을 계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송효경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문제해결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소재 7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5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문제해결력 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는 문제해결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각각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고,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력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물론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진로결정 과정에서 정서적인 측면이 중요하게 다뤄져야함을 보여준 동시에 개인의 인지적인 변화를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감소와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진로상담,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무용전공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정서 및 신체의식의 차이

        하혜석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mood and bod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a dancing specialist (the Korean dance, the modern dance, and the ballet). For this purpose, by modifying questionnaire used in preceding studies, the test is composed of the total 155 questions (6 items in relation to the character of background for this research object; 94 questions for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character test as a parameter; 40 questions for POMS (Profile of Mood Stat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15 questions for the body awareness) After establishing the 507 dancing specialist who engaged in the high school and the university in Seoul, Kyongi, and Chonbuk as a population, the research objectives are selected using stratified sampling. In practice, the data are used for the 449 people except for the 58 people who replied insincerely to questions due to the examination or the exhibition among the 507 people. The data are inputted in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tudy. The input data is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the window SPSS 12.0.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th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wo-way ANOVA, MANOVA, and Sheffe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as a dancing specialist affects the mood as a psychological variable. That affects the chaos sensitivity and pride, especially the modern dancing specialists without winning a prize experience the negative mood due to the fear and psychological stress. 2) The students who are majored in dancing or have experiences of scholarships or winning a prize, show similar mental conditions in respect to the body consciousness. 3) In the mo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nd the major of dancing specialists, the character of SP(Sensing Perceiving) affects positively on the pride, the skilled requirements of action, and restricted expressions of a ballerina. On the other hand, the mood for a ballerina is effected negatively by the character of NT(iNuition Thinking) which has a high self-criticism and requires the perfection. Also the character of NF(iNtuition Feeling) which emphasize the creativity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vitality and the pride in relation to the freedom and the deviations of character being pursued in modern dance. While, it increases the fatigue of a ballerina. 4) The bod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a dancing specialist is similar. Especially, for the character of NT(iNuition Thinking) showing potential ability in an interested area, the variables of physical performances for the modern dance are have a high grade. This result reflects that the sensitive characters who concern the body condition as modern dancing specialists express one's body performances. Above results also show that this study can provide a way for the students who have not been adapted themselves to a previous experiences to select their major suitable to their character, and it can als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is research by analyzing the personal character of the dancing specialists. 이 연구는 무용 전공자(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의 성격특성에 따른 정서 및 신체의식의 차이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선행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하여 제작된 검사도구는 연구대상의 배경적 특성과 관련된 6문항, 매개변인인 성격특성 검사도구로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94문항, 종속변인인 정서 검사도구로 정서 상태 프로파일(Profile of Mood States: POMS) 40문항, 신체의식 15문항까지 총 15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서울, 경기, 전북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자 507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층표집법(stratified sampling)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507명 중에서 시험 및 공연으로 인해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58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실제분석에서는 44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컴퓨터에 개별 입력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wo-way ANOVA, MANOVA, Sheffee 등을 사용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의 수상경험은 심리적 변인인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수상경험에 따라 혼돈감, 자긍심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상경험이 없는 현대무용전공자들은 늘 불안과 스트레스로 인해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한다. 둘째, 무용전공자들의 학력, 전공, 수상경험 및 건강상태는 신체의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셋째, 무용전공자들의 성격특성과 전공에 따른 정서에서 SP(Sensing Perceiving : 인식과 행동양식의 감각인식형) 성격특성은 발레의 숙련된 동작 요구, 제약적인 표현방식과 맞물려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에 비해 완벽을 요구하는 자기비판 성향이 높은 NT(iNtuition Thinking :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사고형) 성격특성은 발레전공자들의 부정적인 정서와 관련이 높다. 또한 창조성을 강조하는 NF(iNtuition Feeling) :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감정형) 성격특성은 현대무용이 추구하는 성격특성에서의 자유로움과 탈피와 관련하여 활력감과 자긍심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며, 반대로 발레전공자들에게는 피로감에 영향을 준다. 넷째, 무용전공 학생들의 성격특성에 따른 신체의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영역에서 높은 실력을 갖추게 될 가능성이 높은 NT(iNtuition Thinking :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사고형)는 완벽한 외적신체를 갖추기 위한 노력을 할 것에 관련하여 NT(iNtuition Thinking :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사고형)성격특성의 현대무용전공의 외적신체 변인이 높은 점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를 사용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무용전공자들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항상 신체에 신경을 써야하는 민감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는 무용전공자의 각 개인 성격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해하여 학습의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전공을 선택할 때 본인 성격특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함으로서 기존의 방법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차이연구

        정솔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몇 개의 군집이 존재하는가? 둘째, 각 군집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및 충북, 대구·경북의 4년제 대학 5개교의 재학생 302명으로, 정서·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진로결정수준검사, 진로준비행동검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2단계 군집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3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 1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보다 낮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높은 이상적 유형, 군집 2는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보다 높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낮은 총체적 문제형, 군집 3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모두 평균보다 높은 관계유능-진로문제형이다. 둘째, 각 군집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이상적 유형이 총체적 문제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진로준비행동은 이상적 유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이 총체적 문제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진로상담의 연구와 실제에서 정서적, 성격적 특성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환기시켰으며, 진로발달과 관련있는 관계적 변인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실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함으로써 차별적 진단과 차별적 개입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대학생 또는 진로상담을 찾은 내담자를 대상으로 할 때에도 본 연구의 유형분류가 타당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군집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종속변인으로 진로성숙이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등의 변인을 추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정서신념과의 관계

        이주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과의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은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에 따라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1.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의 단일선호경향에 따라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2.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의 쌍으로 조합된 선호경향에 따라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 대상은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치원 교사 170명(공립: 94명, 사립: 76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판 MBTI GS형(김정택, 심혜숙, 1990)을 사용하였으며,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Hyson과 Lee(1996)가 개발한 정서신념 평가 척도(Caregiver's Beliefs About Feelings, CBAF)를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에 따라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성격특성의 단일선호경향에 따라 t검증하였으며, 쌍으로 조합된 선호경향에 따라 F검증과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은 MBTI의 16가지 성격유형 중 ESTJ(외향적 사고형) 유형의 분포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격특성의 단일선호경향에 따라서는 I(내향성), S(감각), T(사고), J(판단)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의 쌍으로 조합된 선호경향에 따라 살펴보면, 태도 및 지향성(E-I×J-P)의 조합은 EJ, IJ, IP, EP의 순으로, 인식 및 판단(S-N×T-F)의 조합은 ST, SF, NF, NT의 순으로, 인식 및 지향성(S-N×J-P)의 조합은 SJ, SP, NJ, NP의 순으로 나타났다. 판단 및 지향성(T-F×J-P)의 조합은 TJ, FJ, FP, TP의 순으로, 태도 및 인식(E-I×S-N)의 조합은 IS, ES, EN, IN의 순으로, 태도 및 판단(E-I×T-F)의 조합은 IF, ET, IT, EF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의 문항 평균은 4.38(SD: .33)이었다.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을 정서신념의 각 하위요소별 문항 평균으로 살펴보면, 유대관계 형성하기 4.98(SD: .54), 명명하기/이야기하기 4.66(SD: .50), 정서 표현하기 4.61(SD: .63), 직접 교수하기/모델링 4.42(SD: .63), 조절하기 4.37(SD: .78), 보호하기 2.70(SD: .78)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의 단일선호경향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을 살펴본 결과, 성격특성의 단일선호경향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E-I, S-N, T-F 선호경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J-P 선호경향에 따라 직접 교수하기/모델링(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격특성의 쌍으로 조합된 선호경향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을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의 유아에 대한 정서신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태도 및 지향성(E-I×J-P), 인식 및 판단(S-N×T-F), 태도 및 인식(E-I×S-N), 태도 및 판단(E-I×T-F)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식 및 지향성(S-N×J-P)에 따라 직접 교수하기/모델링(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단 및 지향성(T-F×J-P)의 조합에 따라서도 직접 교수하기/모델링(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and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kindergarten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2. What ar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3. What ar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types? 3-1. What ar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according to teachers' dichotomous preference? 3-2. What ar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according to teachers' preference combination of psychological types? Subjects were 170 teachers of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94 public and 76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s a measure of kindergarten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the standardized Korean version of MBTI GS (Kim & Sim, 1990) was used. And the Caregiver's Beliefs About Feelings (CBAF; Hyson & Lee, 1996) transla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was used to measure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t-test by dichotomous preference and the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test by preference combinatio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16 psychological types, ESTJ type was the most frequent one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And I, S, T, and J indices were the most frequent ones among the indices of psychological types. The most frequent preference combination of attitude and orientation (E-I×J-P) was EJ, followed by IJ, IP, and EP. The most frequent preference combination of perception and judgement (S-N×T-F) was ST, followed by SF, NF, and NT. The most frequent preference combination of perception and orientation (S-N×J-P) was SJ, followed by SP, NJ, and NP. The most frequent preference combination of judgement and orientation (T-F×J-P) was TJ, followed by FJ, FP, and TP. The most frequent preference combination of attitude and perception (E-I×S-N) was IS, followed by ES, EN, and IN. And The most frequent preference combination of attitude and judgement (E-I×T-F) was IF, followed by ET, IT, and EF. Second, the mean of total items about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was 4.38 (SD=.33). Specifically, the sub-factor which showed the highest mean was formation of emotional bond (4.98, SD=.54), followed by labeling or talking (4.66, SD=.50), emotional expression (4.61, SD=.63), emotional instruction or modeling (4.42, SD=.63), emotional regulation (4.37, SD=.78), and emotional protection (2.70, SD=.78).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according to teachers' E-I, S-N, and T-F indices of psychological types. However, J-P dichotomous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struction or modeling (p<.05).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bout young children's emotions according to teachers' preference combination of attitude and orientation (E-I×J-P), attitude and perception (E-I×S-N), and attitude and judgement (E-I×T-F). However, preference combinations of perception and orientation (S-N×J-P) and judgement and orientation (T-F×J-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struction or modeling (p<.01 and p<.05, respective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February, 2004.

      •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임미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 enhancement programs using character strength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ositive emotion promotion program using personality strengths refers to a program that focuses on promoting positive emotions suitable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positive emotions of flow, forgiveness, gratitude, love, kindness, and optimism. To this end, prior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related to character strength, positive emo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confirmed, an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is. First, how does the positive emotion promotion program using character strengths affect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problems, the class in which the researcher was the homeroom teacher among the third graders of Suwon M Elementary School was set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as the control group. After conducting a subjective well-being pre-test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positive emotion promotion program using character strengths for a total of 10 sessions over 5 weeks, and no treatment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same post-test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program effec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ogram between group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by conducting a covariance analysis (ANCOVA) on the scores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using SPSS 28.0. In add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validity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est paper, student questionnaires, session-specific impressions, and researchers' observation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ositive emotion promotion program using character strengths had significantly higher static well-being (static efficacy well-being, static emotional well-being, and static relationship well-being)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ositive emotion promotion program using personality strengths had significantly lower negative well-being (negative efficacy well-being, negative emotional well-being, and negative relationship well-being) tha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er's observations, students said that the positive emotion promotion program using character strengths helped to increase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nd positive emotions, and get along with people around them. In addition, it was said that it helped reduce negative thoughts about one's ability and negative emotions, and reduce uncomfortable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hi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ndicate that the positive emotion enhancement program using character strength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atic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negative well-being,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subjective well-being.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measures to promote positive emotions using character strength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In addition, empirical and objective futu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continuous impact of positive emotion enhancement programs using character strengths an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long-term program appl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은 몰입, 용서, 감사, 사랑, 친절, 낙관성의 긍정정서를 구성요소로 하고 성격강점을 활용하여 초등학생 수준에 맞는 긍정정서 증진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그 효과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격강점, 긍정정서,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은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원 M초등학교 3학년 중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주관적 안녕감 사전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에는 5주간 총 10회기에 걸쳐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실험을 마친 후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8.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및 사후검사 점수를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집단 간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통계 분석의 타당도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 설문지, 회기별 소감문,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정적안녕(정적 효능안녕, 정적 정서안녕, 정적 관계안녕)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부적안녕(부적 효능안녕, 부적 정서안녕, 부적 관계안녕)이 모두 유의미하게 낮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설문지, 회기별 소감문, 연구자 관찰 내용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정서를 높이고, 주변 사람과 사이좋게 지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과 부정정서를 줄이고, 타인과 불편한 관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적안녕은 증진시키고, 부적안녕을 감소시켜서 전반적으로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방안이 더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적인 프로그램 적용으로 성격강점을 활용한 긍정정서 증진 프로그램이 주는 지속적인 영향과 다양한 종속변인의 효과 검증에 대하여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외식기업 종사원의 성격유형과 정서노동이 직무만족 및 서비스제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윤동섭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9

        외식산업은 양적 성장을 이루면서 업체 간 경쟁 심화, 해외 외식브랜드의 공격적 진출, 대기업의 외식시장 참여 확대 등의 구조적 변화가 나타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고객만족경영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외식기업은 인적 서비스의 의존성이 다른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종사원들에 대한 관심과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조직의 서비스 평가 및 점에서 고객성과에 기여하는 바는 매우 높다고 보며 고객의 만족이나 불만족은 서비스 접과 외식 종사원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직 구성원의 성격에 대한 정보를 갖게 되면 자기 개발과 조직이 추구하는 목표 달성에 도움 줄 수 있고 나아가 조직 구성원들이 갖는 성격유형별 변수는 직무만족, 조직풍토, 리더십, 근무동기 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하였다. 또한 조직 구성원의 성격유형 변수가 조직의 수익성 및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구성원 자신이 지각하는 행복과도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종사원들은 강도 높은 정서노동 수행으로 인하여 정서부조화 및 정서소진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정서노동의 통제와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인적 의존도가 높은 외식기업에서 성격유형과 정서노동이 직무만족과 서비스제공수준의 관련성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 본 조사는 2010년 9월 10일부터 9월 30일까지 20일 동안 서울시내에 특급호텔 5곳과 패밀리레스토랑 3곳을 대상으로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여 총270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WIN 17.0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타당성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기업 형태에 따른 성격유형, 정서노동, 직무만족, 서비스제공 수준의 차이 검증하기위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ESTP(수완좋은 활동가형) 성격유형이 정서노동을 많이 느끼고 있으며, ENFJ(언변능숙형) 성격유형 정서노동을 다소 적게 지각하고 있고, ESFJ 성격유형(친선 도모형)이 개인적 서비스 제공수준 정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INFJ 성격유형(예언자형)이 개인적 서비스 제공수준 정도가 가장 낮고, ENFP 성격유형(스파크형)이 다른 성격유형에 비해 회사의 내부 환경 요인에 가장 높게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INTP 성격유형(아이디어 뱅크형)이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이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ENFP 성격유형이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ENFP 성격유형은 어려운 일이라도 해결을 잘하며 항상 정열적이고 활기에 넘치는 사람으로 직무에 있어서 불만족 보다는 스스로 만족하려고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어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둘째, 정서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는 정서노동의 표면행동과 심화행동 작업환경, 내부환경 요인, 직무내용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적 요인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식기업 특성상 정서노동을 많이 하면 할수록 연장수당, 야간수당이 지급되므로, 경제적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직무만족은 서비스제공수준에 관계를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이 절차적 서비스 제공수준에 작업환경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인적 서비스 제공수준은 작업환경요인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환경이 서비스제공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정서노동과 서비스 제공수준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정서노동에 표면행동, 심화행동에 절차적인 서비스는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표면행동에는 개인적 서비스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표면행동에는 서비스 제공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인적자원과 종사원의 만족도에 성격유형에 따른 정서노동과 직무만족, 서비스제공수준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는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 바,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호텔과 패밀리 레스토랑으로 연구 결과를 모든 외식기업에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의 일반화 및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지역과 다양한 수준의 외식기업을 대상으로 표본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직무만족과 서비스제공수준의 연구라는 점에서 현 근무기관의 상사와 동료의 편견을 의식하여 자신의 상황을 솔직하고 정확하게 기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런 문제를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Food industry has achieved a volume growth. But the structural changes such as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aggressive expansion of overseas brands, and the participation of large corporate in the food service market, has emerged, so it is inevitable to establish a plan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nd it constantly has been endeavoring for customer satisfaction. The dependence on human services in food service business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business, so the attention and the management for employees are very important. It contributes a lot to the service assessment of the organiz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customer's achievement at the level of store, is considered to be fairly high. It is not too much say that customers'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largely depends on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employees and the restaurants. It is claimed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s of the employees of an organization will help the achievement of the goals which an organization is targeting and furthermore, the variables by the personality type of employees direct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limate, leadership and motivation for works. Also, it explains that the variables by the personality type of employees are very importance factors that will not only determine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but also related to the happiness which is perceived by each employee. In addition, the employees perform very intensive emotional labor, so they are likely to suffer the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So,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are very important. Therefore,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type and the emotional labor, and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service in the food industry with high dependence on human, represents much. The survey, targeting 5 five star hotel and 3 family restaurants in Seoul, was conducted for 20 days from 10th Sept 2010 till 30th Sept, 2010 in a way that the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70 were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SPSS WIN 17.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 type of personality,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by the type of food business, t-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test, it is known that, ESTP (Extroverted Sensing Thinking Perceiving) personality type perceives the most the emotional labor and ENFJ(Extroverted intuitive Feeling Judging) personality type perceives the least the emotional labor, the level of individual service of ESFJ(Extroverted Sensing Feeling Judging) personality types is the highest, the level of individual service of INFJ(Introverted Intuitive Feeling Judging) personality type is the lowest and ENFP(Extroverted Intuitive Feeling Perceiving) personality type is the most satisfied with the company's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with the other personality types and in INTP(Introverted Intuitive Thinking Perceiving) personality types is the least satisfied.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analysis, the job satisfaction of ENFP personality type the highest. ENFP personality type is able to solve the challenge, and always passionate and vibrant. This type tends to try to satisfy themselves rather than being dissatisfied with the job, therefore so it seems the result has been analyzed as such. Secondly,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surface behavior of emotional labor, deepening behavior, job environment, internal environment factors and job retails did not affect, but the economic factors did affect. In terms of the features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more the emotional labor performed, the more extended allowance and night allowance paid, so the results affect economic factors. Thirdly, as for the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service provision level, in job satisfaction, the work environment of the level of the procedural service provision was the highest, and in individual service provision level, the work environment factor was the highest. As a result, the work environment affects the level of service. Fourthly,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of service provision level, the procedure service did not affect the deepen behavior and the surface behavior did not affect the emotional labor, but individual service affected the surface behavior. Like this, the level of the emoti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provision are suggested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and human resources. As this study has a few limitations i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hotel and family restaurant, s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to all the food service businesses are limited. Therefore,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s and various application of study methods, the sampling from more wider areas and the food service businesses with various levels is required. Secondly, as the study was conducted 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provision, so there were limitations to describing personal status more frankly and more accurately, because of the recognition of senior and peer colleagues in the work place. So, future studies have to consider these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