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동경제학의 시각에서 소셜 전자상거래 플랫폼 더우(得物) APP 에 대한 연구

        장명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디지털 경제 시대에 소비자들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더욱 편리하고 빠르게 자신이 선호하는 상품을 찾을 수 있다. 인터넷 경제와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소셜 전자상거래의 새로운 형태가 생겨났다. 소셜 전자상거래는 체험식 구매, 적극적인 사용자 공유 등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구매자이면서도 공유자이고 추천자이다. 소셜 전자상거래는 새로운 전자상거래 모델로서 침체된 전통적인 전자상거래 시장의 부족함을 보완하는 동시에 쇼핑 체험의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사람’을 연결 고리로 하는 소셜 전자상거래로서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상품 콘텐츠를 커뮤니케이션하고 공유하며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소비하는 행위를 하도록 유도한다. 행동경제학의 주요 연구 대상은 심리학 이론을 통해 인류의 행위 특징과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것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소셜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더우(得物)’의 경우, 독특한 ‘랜덤 할인(随心省Pro)’서비스와 다양한 혜택을 통해 소비자의 심리계좌 예산을 효과적으로 향상시켜 소비 행위의 발생을 자극한다. ‘더우’는 다양한 유형의 판매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함으로 플랫폼의 제품 유형을 크게 확장하고 소비자가 선택하는 과정에서 더욱 많은 선택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계좌 이론에서 동일 유형의 제품 소비에 대한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이 밖에 ‘더우’는 트렌드 분야에서의 선두적 지위를 바탕으로 ‘국조(国潮)’의 발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갈수록 많은 소비자들이 트렌드 문화를 좋아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트렌디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 행동경제학의 전시 효과로 인해 다른 소비자의 쇼핑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 더 많은 잠재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우’는 커뮤니티 구축을 강화하고‘국조’와 긴밀히 결합하여 자신의 사회적 속성을 강화시켰다. 또한 ‘더우’는 그 선두적 지위를 바탕으로 트렌드 브랜드를 유치하여 심리계좌의 선택을 증가시켰다.‘더우’자체의 커뮤니티 속성은 소비자의 증가로 인해 사회 그룹의 분열을 만들어 냄으로 더울 많은 소비자들이 트렌드 문화를 선호하도록 하고 소비 행동을 자극하는 폐쇄 루프를 형성하게 되었다. ‘더우’는 또한 독특한 기능 디자인을 통해 할인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와‘찜(想要)’기능 가격 변동 알림을 이용하여 앵커링 효과를 심화시켜 소비자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고, 소비자 심리에 ‘가격 앵커링(价格锚定)’를 심어 소비자의 구매 행위를 촉진시켰다. ‘더우’는 이러한 독특한 기능 디자인을 통해 더욱 많은 사용자를 유지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후속적으로 ‘더우’가 끊임없는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소비자를 끌어들였다. 행동경제학을 통해 행동경제학의 틀에서 ‘더우’자체의 마케팅 모델을 분석하고 연구하고 관련 이론을 결합하면‘더우’는 소비자의 소비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고 자신만의 마케팅 방법과 개발이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이며 효과적인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고는 행동경제학의 세 가지 이론을 활용하여 ‘더우’의 마케팅 방식과 기능 디자인을 해석하고 그것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요소를 분석하며 행동경제학의 심리계좌 이론, 전시 효과 이론, 앵커링 효과 이론의 분석을 통해‘더우’에 대해 지도적인 개선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행동경제학의 이론적 기원과 관련 이론을 소개하고 소셜 전자상거래 산업의 발전 동향을 분석한다. 두 번째 부분은 더우APP과 APP 사용자를 분석함으로써 다른 소셜 전자상거래와 비교하여 더우APP의 연구 우위를 확정한다. 세 번째 부분은 행동경제학 이론을 통해 ‘더우’플랫폼의 일부 마케팅 방식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여 소비자의 소비 행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다. 마지막으로 ‘더우’가 현재 당면한 문제에 근거하여 세 가지 서로 다른 행위심리학 이론에 따른 마케팅 전략과 발전 방향을 제안한다. 심리계좌 이론에 근거하여 심리계좌 예산을 개선하고 소비 행위의 심리적 원가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전시 효과 이론에 근거하여 모방을 통해 소비자를 끌어들여 구매를 완성하게 하고 소비자의 구매 선택 시간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앵커링 효과 이론에 근거하여 첫인상을 강화하고 가격을 최적화하여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자극해야 한 방법을 제안한다.

      • 중국 B2B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및 한국 중소기업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진이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상대국으로서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국 경제 발전 속도 늘어난 가운데 B2B전자상거래시장이 급속 발전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 B2B전자상거래 시장발전 중 여러 분제 있지만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노력을 통해 좋은 발전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B2B전자상거래시장도 확대하면서 새로운 특징을 보이다. 중국 중소기업은 B2B전자상거래시장에서 잘 발전 한 가운데 한국 중소기업이 국내 시장 발전 문제, 한중 FTA 발효 등 요인으로 중국 B2B전자상거래를 통하여, 중국 내수시장 진출할 필요성이 있다. 구체적 진출 전략은 4가지로 나뉜다. 첫째, 각기 제품 특성에 맞는 대규모 B2B플랫폼을 활용하여 중국 B2B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한다. 둘째, 세분시장 특성에 맞는 소규모 B2B플랫폼을 활용하여 중국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진출한다. 셋째, 중국 B2B플랫폼과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중국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진출한다. 넷째, 중국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있는 현지 대리상을 활용하여 중국 B2B 전자상거래 시장에 진출한다. A study on the Market Analysis of China's B2B E-Commerce and Entry Strategies of South Korean SMEs China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economy as the largest trading partner Korea. China's economic development speed increase of b2b e-commerce market has maintained rapid development. China’s b2b e-commerce market contains various stimulants during the development, but it has built a good development environment through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is working actively. b2b e-commerce market is expanding while it also showing new features. Because of narrow domestic market and the plan of between Korean and China’s FTA,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f the Korea need to enter the Chinese domestic market when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of the China have developed well in the b2b e-commerce market. Specifically, the first entry strategy is utilizing the large b2b platform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product expansion in China b2b e-commerce market. Secondly, the small platform of b2b utilized by the Chinese b2b e-commerce market will advance to meet market characteristics. Thirdly, China b2b platform and partnerships will build the b2b e-commerce market in China. Fourth, the advantage of the local distributor in china b2b e-commerce market which is utilizing the agent shall to enter the Chinese b2b e-commerce market.

      • 韓·中·日 電子商去來 協力方案에 관한 硏究

        이상준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인터넷과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은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의 출현뿐만 아니라 통신과 방송의 융합 등 일상적인 패러다임의 변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전자상거래는 분명 새로운 경제 성장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현재의 전자상거래는 특정지역이나 특정 국가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그 거래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국내 문제로만 여겨왔던 여러 가지 문제들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확대되고 있으며 점차 세계 경제가 글로벌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동북아지역이 미국, 유럽과 함께 세계의 무역중심국으로 부상하면서 동북아 지역 내 주축을 이루고 있는 한·중·일 3국의 협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동북아 지역 내 한·중·일 3국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서 3국의 전자상거래 협력 필요성을 알아보고 한·중·일 각국의 전자상거래 현황을 분석하여 한·중·일 전자상거래협력 구축에 따른 문제점과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방법을 채용했으며, 이를 근거로 한·중·일 3국의 전자상거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본 논문에서 한·중·일 3국의 전자상거래 협력방안을 정치·외교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기술·제도적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외교적 측면에서는 정치와 경제의 이원화를 통한 ‘경제의 정치화’를 해결해야 하며, 중국의 지속적인 대외개방정책과 한·중·일 3국간 다자간안보대화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서 동북아 지역 내 지역불안정 요소를 제거하고, 평화와 번영 이라는 '지역 공동선' 창출을 위해 다자간 협력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한·중·일 3국이 역사에 대한 공통인식과 공동운명체적 인식을 확대해 나갈 때 한·중·일 3국은 완전한 형태의 전자상거래협력 뿐 아니라 경제협력을 이룰 수 있다. 셋째, 기술·제도적 측면에서는 먼저 한·중·일 3국은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법률과 제도를 제정해야 하며, 한·중·일 중심의 전자상거래협력사업의 전개를 통해서 3국의 전자상거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협력경로 확보와 한·중·일 3국간에 존재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정보격차해소사업의 진행도 필요하며, 전자상거래 거래과정의 재설계를 통한 거래모델의 개발과 전자상거래 기술 관련 표준화체제구축, 전자상거래결제 모델의 개발, 전자상거래의 안전성 제고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21세기 세계경제는 정보화와 지식경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속에 글로벌리즘(Globalization)의 보편화, 지역주의(Regionalism)의 확산, 중국 경제의 부상 등 20세기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더불어 동북아시대의 도래를 말하는 논자들이 늘고 있는 시점에서 동북아 지역 내 한·중·일 3국의 전자상거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Russia E-Commerce Maturity and its Development Issues

        드미트리, 시토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러시아는 역사적으로는 오래되었지만, 현대국가로서의 면모는 아직 여러 측면에서 부족한 국가이다. 러시아 연방공화국은 수립된 지 25 년밖에 되지 않았으며 현대국가로서의 경험이 부족하여 다른 국가들에게 배워야 할 점이 많은 신생국가이다. 특히, 21 세기는 인터넷과 스마트 기기들이 발달한 정보화 시대로써 이에 맞춰 새로운 기술들을 확보하고 배워야 할 필요가 있다. 국가 경제에 있어 전자 상거래는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전자상거래는 한 국가의 경제규모가 얼만큼 발전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도 있다. 그만큼 전자 상거래의 발전은 국가 수익 확보에 도움이 되며 국민소득을 상승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정부는 상기 요소들을 이용하여 현재 전자상거래 현황과 수준을 파악하는 동시에 정부의 장·단기목표를 아우르는 인프라를 바탕으로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추진한다면 자국 내 전자상거래의 발전과 함께 수익과 국가소득도 크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 숫자의 증가에 따라 구매빈도를 바탕으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거래 활성화의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에서 다음 결과 나왔다. 아래는 러시아의 전자상거래 발전 수준과 성과를 조사하여 선진국과 비교한 결과이다. 기준 데이터에 의하면 러시아의 전자상거래는 매년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전체 GDP(국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이하이다. 2014 년 러시아 내의 인터넷 사용자 수는 8,500 만에 달했으며 독일을 제치고 유럽에서 인터넷 사용자수 1 위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전체 인터넷 사용 중 전자상거래 비중은 그와 다르게 러시아는 20%, 독일 77%를 보이고 있다. 또한 빠른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전체 상거래 대비 전자상거래의 비중은 독일의 9% 비해 훨씬 낮은 3%에 불과하다. 다만 러시아의 소비시장은 근미래에 30~40%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전자상거래 시장도 2020 년까지 소비시장의 7%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The Economics and e-commerce as well are playing big role in life of countries and to figure out on what stage is country e-commerce level we have to know what is country ecommerce maturity level. Countries continue to focus on electronic commerce as an important avenue for increased revenue and growth of GDP. To succeed in this growing and complex environment, countries face challenges in building the back-end capabilities required to support their companies' e-commerce strategies. Before deploying of capabilities, countries must first define the "maturity level" of their e-commerce. This maturity level defined by results of 5 their state factors: Political factor, Economic factor, Social factor, Technological factor, Legal factor. By identifying their national current level of e-commerce maturity, along with their nearterm and long-term e-commerce goals, countries will be able to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and capabilities required to support growth and ensure the greatest return on their investments. Countries that do not align their goals with their maturity level risk overinvesting in ecommerce assets as well as failing to realize the return necessary to maintain their initiatives' momentum. Socioeconomic subject matter of e-commerce, its features, and innovative role in the modern economy relate to new, understudied areas of economic science. This fact determines the need for an objective study of organizational and economic fou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to solve practical Here I tried to find out what is e-maturity level of Russian e-commerce and compare it with already developed country like Germany. Since economic relations on the Internet, as well as the Internet itself, are developing very fast, relevant scientific works on the subject are scarce. Studies that were carried out 5-7 years ago now are already irrelevant.

      •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 사용과 관련한 소비자문제 연구

        서은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E-commerce, there are many payment systems. Despite of the large proportion of credit cards usage, few study has dealt with the importance of it. There is not sufficient study that discusses the consumer problems related to credit cards in E-commerce with a different view from off-line transaction. This study analyzes it positively and makes political suggestions. This research is targeted the consumers who experience credit cards in e-commerce. Frequency, mean and one-way ANOVA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urvey consists of three variables including credit cards usage feature, social demography feature, and consumer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consumer attitude and behavior are classified by gender, satisfaction, the amount of usage, and the experience of cross-border transaction. Man thinks the credit card more safer than woman does in E-commerce. As the amount of usage is large, consumers dislike to input the credit card No. and ID No.. Consumers think that cross-border transactions are mo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han domestic transactions. Second, consumer problems differ with gender, satisfaction, the information about redress. Men experience the consumer problem caused by lack of information more than women do. The more satisfaction of credit cards, the less experience of consumer problems. Who thinks that the information of redress is not proper experiences frequent consumer problems. Recently, credit cards provide consumers with physical benefit. As the growth of E-commerce and the increase of the payment amount continue, consumers will be unwilling to use credit cards in E-commerce. It appears that consumers act more rationally after the payment. Entirely, the information about redress is insufficient before and after the payment. E-commerce businesses and payment gateway companies should provide the relative consumer information actively. They should open the reliable redress procedure to the public and should construct the on-line credit card network. Also they should provide the consumer education programs to raise the consciousness of consumers. 전자상거래 규모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지급결제수단 중 신용카드 사용비중이 월등히 많다. 온라인 지급수단으로서의 신용카드의 비중과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와 관련한 소비자문제의 심각성은 부각되지 않고 있다. 전자상거래라는 거래방식으로 인한 비대면성, 익명성, 개방성 등의 특성과 제3자에 의한 카드번호유출/해킹에 의한 정보유출, 국제전자상거래 시 피해구제방법이나 절차에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비자문제가 등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소비자 불만건수는 아직 적으나, 앞으로 이러한 피해는 전자상거래 규모증가, 인터넷 접속증가, 카드범죄의 증가, ID도용/사이버범죄의 증가와 관련수법의 다양화 등으로 인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상거래에서의 신용카드문제를 기존의 신용카드문제와는 다른 새로운 것으로 인식하는 연구가 불충분하여, 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자문제, 소비자태도 및 행동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소비자문제는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한 지급을 통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면서 발생하는 소비자피해 혹은 불만이라고 정의한다. 소비자문제 발생원인은 전자상거래로 인한 거래특성과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 사용에 대한 법제도의 미비이고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문제를 가격문제(수수료문제), 정보부족문제, 보안문제, 인터넷상 신용카드발급문제 등으로 분류한다. 실증분석에서는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 사용의 전체적인 특성 및 실태를 파악한 후, 관련 변수들과의 관계를 보았다. 먼저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신용카드 사용특성이 소비자관련변수(행동/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 후 다시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용특성변수, 소비자관련변수 등 3개 변수와 소비자문제(소비자피해/불만경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태도와 행동은 인구통계특성(성별)과 사용특성(만족도, 이용금액, 국제전자상거래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첫째, 여자보다 남자가 전자상거래에서 신용카드 사용을 더 안전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이용금액이 많을수록 카드번호와 주민번호를 입력하는데 거부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제 전자상거래가 국내 전자상거래보다 카드관련 피해구제절차가 더 복잡하고 까다롭다고 생각하였다. 전자상거래에서 소비자문제는 인구통계특성(성별), 이용특성(만족도), 소비자태도(피해구제관련 정보부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첫째, 남자보다 여자가 피해구제안내 부족으로 인한 불만/피해 경험 많았다. 둘째, 카드사용만족이 높을수록 피해나 불만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해구제관련 정보가 적절치 못하다고 생각할수록 소비자불만/피해경험 많았다.

      • 전자상거래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 인터넷 음반 쇼핑몰을 중심으로

        송기안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터넷은 21세기 산업발전의 원동력이며, 인류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확산된 미디어로서 현재 전자상거래는 모든 산업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지난 몇 년간 급속도로 성장해온 전자상거래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음반판매업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국내에만 해도 이미 수많은 인터넷 음반 판매몰이 치열한 판매전을 펼치는 단계에 이르렀다. 국내 대형 음반 매장들이 인터넷에 판매 채널을 확보하고 시장 점유를 위한 바쁜 걸음을 재촉하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 음반 판매 시장의 독자 영역을 구축해온 중소형 판매사들도 차별화된 이미지와 서비스 컨텐츠 등을 앞세우며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의 인터넷 음반 쇼핑몰들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새로운 마케팅 전략도 없이 무작정 이 경쟁에 뛰어들고 있는 영세한 업체들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전자상거래 기업들과 국내 전자상거래를 선도하는 기업들의 사례를 통해 국내 인터넷 음반 쇼핑몰들의 마케팅 전략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컨텐츠의 확충, 결제 수단의 다양화, mp3를 대체할 뉴 미디어의 개발, 신속하고 정확한 배송 및 환불, E-mail을 통한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쇼핑몰에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Internet is the driving force of industry development in the 21st century. It is the media that has expanded most rapidly in human history. Currently, e-commerce is expanded to all industries, and it is expected that e-commerce that has developed rapidly for years will develop continuously. The record sales industry is not an exception. Many internet record sales malls perform fierce marketing in the domestic market, too. While large domestic record malls started to occupy the market by establishing e-shops on the Internet, small and medium sales malls that have already established an original area have competed with them based on differentiated images, services and contents. Currently, most of domestic Internet record shopping malls are small companies without a new marketing strategy that responds to a new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rketing strategy of domestic Internet shopping malls through the examples of leading companies in domestic e-commerce companies, and to provide a countermeasure. According to this study, extension of contents, diversification of payment methods, development of a new media that can substitute for mp3, accurate delivery and refunds, and various marketing through e-mail will help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hopping malls.

      • 패션전자상거래를 위한 의복 치수체계 개발과 웹페이지 구축

        김선희 梨花女子大學校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the Apparel Sizing System (ASS) and establishing the Webpages to be applied to the world of fashion for activating a fashion-related E-Commerce throtugh the Internet. In this regard, a sizing system is to be developed that could be used to appreach consumers more easily and provide more fitness and accuracy in terms of size and style. Furthemore, the webpages for fashion E-Commerce were constructed with the output from the study in mind while applying it to thd Internet shopping malls. The result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 usage and sizing system in the apparels of on-line and catalog shopping, the cosumers who once purchased apparels in that manner continue doing the same. Catalog shopping was the most preferred form of shopping. Next came TV, newspapers and Internet in that order. The most dissatisfying part in apparels purchased was texture, and the second biggest problem was size. About 51.2 percent of them were returned or not worn, while the top reason was inappropriate sizes, Color and texturd came next on the list. According t the survey on the acknowledgement-rate concerning the body size of consumers, most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height and weight, and 80 percent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were aware of waist circumference. But, che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nce were recognized only by 58.4 percen and 35.6 percent, respectively. 2. According to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apparel items and their sizing systems of 10 fashion e-commerce businesses which were exhibited on the Internet pages, ond can conclude that the sizing systems of the Internet sites were not systematical, ane thus poorly organized. For example, on one e-commerce site, the sizing system even for the same item was not universal. Basides, as each of the enterprises had its own sizing system, there were many other different sizes for the same size designation. Regarding the using-rate of sizing system iv the total number of apparel goods, the sizd desinations of 85, 90 and 95 were most widely used. Next followed S, M and L and 44, 55 and 66 in that order. 3. To extract an estimation equation of body siz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ircumferences of chest and hip could be estimated by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of which most consumers were well aware. The target stuy was on a group of women eighteen to forty-nine years of age. The 3rd National Anthropometry Survey was also used in the examination. For more accurate regression equations, groupings were made in the two categories of age (81 to 29/30 to 49) and in the three body types (Type N, Type A and Type H). Then, the regression equations wrer established for three sectors, ① chest circumference not filled ② hip circumference not filled up and ③ neither filled up for chest nor for hip circumference. The final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ere presented in <table 4-25>. About 51.2 percent of them were returned or worn the top reason was inappropriate sizes. Color and texture came next on the list.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acknowledegement-rate concerning the body sizd of consumers, most of respondents were awre of waist circumference. But chest circumference and hip were recognizde only by 58.4 perent and 35.6 percent, respectively. 2. According to the research and analysis on apparel items and their sizing systems of 10 fashion e-commerce businesses which were exhibited on the Internet pages, one can conclude that the sizing systems on the Internet sites were not systematical, and thus poorly organized. For example, on one e-commerce site, the sizing system even for the same item was not universal. Besides, as each of the enterprises had its own sizing system, there were many other different sizes for the same size designation. Regarding the using-rate of sizing system in the total number of apparel goods, the sizd designations of 85, 90 and 95 were most widely used. Next followed S M and L and 44, 55 and 66 in that order. 3. To extract an estimation equation of body siz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ircumferences of chest and hip could be estimated by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of which most consumers were well aware. The target study was on a group of women eighteen to forty-nine years of age. The 3rd National Anthropometry Survey was also used in the examination. For more accurate regression equations, groupings were made in the two categories of age (18 to 29/30 to 49) and in the thred body types (Type N, Type A and Type H). Then, the regression equations were established for three sdctors, 峯 chest circumference not filled up, 峰 hip circumference not filled up, 捧 neither filled for chest nor for hip circumference. The final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ere presented in <tabld 4-25>. 4. An ASS needed in webpages for fashion E-Commerce was establised. One of the ready-to-wear enterprises were selected with algorithm drawn on two sizing systems(44,55/85,90). Using five body sizes(height, weoght and circumfereneds ov waist, chest and hip) in total including equations in the study of Chapter IV, an ASS needed for the webpages for fashion E-Commerce was yielded. Then the webpages applying the ASS were constructed, which were formed by the algorithm of <figure 4-3>. On the webpages formed in relation with this study, no matter what sizd in the ready-to-wear enterprises was selected by the consumers who once put their information in the member registration, the most appropriate sizes for them are automatically given and transferred to the order forms of chosen enterprises with aid of internal programs of the webpages. In addition, when consumers enter their body sezes in the units that are familiar to them, such as inches or centimeters, the units are automatically programed so that that can be conver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5. Based on the algorithm above, the webpages for fashion E-Commerce were established. The webpages created in relation with this study were dynamic one using Active Server Page (ASP) techniques. In the meantime, they also used Data Base (DB), Personal Web Server (PWS) and ASP as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Basides, as the webpages have a user-friendly interface, errors made at time of a consumers selectings sizes can be minimized. Even though consumers enter only sizes they are aware of, other remaining sizes are automatically estimated through the regression equations. 6. To verify the contents of the webpages, the Web-Questionnaire was also used targeting adult women of 18 to 49 years of 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many consumers chose the size 90 and 95, while the sizing system chose the sizes 85 and 90, respectively. The size 55 and 66 was selected in the sizing system 44 and 55. And the sizes M and L were chisen in the sizing S and M by many of them. In this manner, many of the consumers preferred a little bigger size to their real body size. And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aberration or errors in the sizes 44, or 88 when not well-considered, as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shap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cover-rate according to the extent ranges ( 3/ 3.5) determined by each of the ready-to wear enterprises whose sizing systems are applying the algorithm where sizes are extracted automatically. Such being the case, solutions to many problems in the sizing system of ready-to-wear entirprises are needed along with practical classifications of the body shape.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패션전자상거래의 활성화를 위한 패션전자상거래에 적용할 수 있는 의복 치수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 측면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좀 더 자신에게 적합하고 정확한 치수를 선택할 수 있는 치수 체계를 개발하여 그 결과를 인터넷 패션 쇼핑물에 적용시킨 패션전자상거래용 웹페이지를 구축해 보았다. 이를 위해 인터넷, 전자상거래 등의 국내 현황을 조사한 후 1) 온라인 및 통신판매 의류제품을 구입해 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살문조사를 통하여 의류제품 구입 및 판매현황 및 문제점, 그리고 현재 온라인 및 통신판매 의류의 치수체계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고, 2) 패션전자상거래 인터넷사이트 업체별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3) 우리나라 국민체위조사자료에 기초한 회귀분석식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특정한 신체치수를 추정하였고; 4) 패션전자상거래용 의복 치수체계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5) 패션전자상거래를 위한 치수체계를 적용한 패션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6) 인터넷 웹설문조사를 통하여 구현된 웹페이지의 의복치수체계에 대해 검증해보고, 차후 개선방안 및 연구 과제를 제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및 통신판매 의류제품 구입관련 이용현황 및 치수체계 조사 분석결과, 한번 구입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지속적으로 의류를 구입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용매체는 카탈로그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TV, 신문, 인터넷 순으로 나타났다. 구입한 의류에 대한 만족도에서 가장 불만족한 부분이 재질이었고, 두 번째가 치수였다. 그리고 구입한 의류가 불편해서 입지 않거나 반품하는 경우 51.2%나 차지하였고, 반품의 이유는 첫 번째가 치수의 부적합이었고, 그 다음으로 색상, 재질의 문제였다. 부위별로 불편정도를 살펴본 결고, 상의의 경우 소매길이와 옷길이가 짧거나 길다고 대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하의의 경우 밑위길이와 치마·바지길이가 불편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온라인 및 통신판매로 구입하는 의류종류중 여성복이 가장 많이 판매되었고, 의류품목상 셔츠·티셔츠가 가장 많이 구입하는 품목이었다. 소비자들의 신체치수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신장, 체중은 거의 대부분의 응답자가 인지하고 있었고 허리둘레로 80%의 응답자가 인지하고 있었으나, 가슴둘레는 58.4%, 엉덩이둘레는 35.6%만이 치수를 알고 있었다. 2) 인터넷에 개설중인 패션전자상거래 10개 업체별로 게재된 의류품목 및 품목별 치수체계를 조사·분석한 결과 한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도 같은 품목의 의복에 적용하는 치수체계가 여러 개인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의복을 제작하거나 납품하는 업체마다 자신들만의 치수체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같은 호칭이면서 다른 치수인 경우도 있었다. 또한 총 의류제품수에 대한 치수체계별 비율을 조사한 결과, 85,90,95 호칭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S,M,L 호칭, 44,55,66 호칭이 많았다. 3) 의복을 선택할 때 맞음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신체부위치수 중에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므로, 신장, 체중, 허리둘레를 제 3차 국민표준체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를 추정해 내었다. 대상은 만 18∼49세의 여성으로 한정하였고, 보다 정확한 회귀식 산출을 위해 연령별(만 18∼29세/만 30∼49세), 체형별(N type/ A type/ H type)로 grouping 한 후 ① 가슴둘레 미기입시, ② 엉덩이둘레 미기입시, ③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모두 미기입시, 이렇게 3경우에 대해 회귀식을 산출하였다. 최종회귀분석결과는 뒤의 <표 4-25>에 제시하였다. 4) 실제 웹페이지 구축에 필요한 패션전자상거래용 의복 치수체계를 구성하였다. 기성복 업체 중 한 곳을 선택한 후, 두 종류의 치수체계(44,55/85,90)에 대해 알고리즘을 작성하여 패션전자상거래를 위한 총 5개 항목(신장, 체중, 허리둘레, 가슴둘레, 엉덩이둘레)의 치수체계를 적용한 웹페이지를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축한 웹페이지에서는 소비자가 자신의 정보를 처음 회원 가입시 한번만 입력하면 어떤 기성복업체의 치수체계에서도 자신에게 적합한 치수가 자동으로 선택된 후 각 업체별 주문서에 기록된다. 또한 자신의 신체치수 입력시 단위를 inch, cm 중 어느 하나로 기입하더라도 자동으로 cm로 변환되도록 설계하였다. 5) 패션전자상거래를 위한 치수체계를 적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알고리즘에 따라 ASP(Active Server Page)를 이용한 동적인 홈페이지로, 데이터 베이스(DB)를 이용한 패션 웹페이지를 구현하였다. 또한 실제 인터넷 운용서버 대신 개인용 웹서버인 PWS(Personal Web Server)를 이용해 웹서버를 구성한 후 그 위에 ASP를 이용한 패션 웹페이지를 구현하였다. 6) 만 18∼49세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웹 상에서 웹 설문지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구축한 패션전자상거래를 위한 치수체계를 적용한 웹페이지의 내용을 검증하고 개선방안 및 연구과제를 도출하였다. 조사 겨과 현재 통일되지않은채 혼용되고 있는 여거 종류의 의류치수체계 중에서 가장 많이 석택하는 치수로는 치수별료 90과 95; 55와 66; M과 L; 7과 9치수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자신의 치수보다 조금 더 큰 치수를 선택하며, 44치수나 88치수의 경우 체형특성(N/A/H형)을 배제하고 5가지 기본항목(신장, 체중,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만으로 치수를 선택하는데 오류가 생길 확률이 높았다. 치수가 자동으로 추출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느 기성복 업체의 치수체계에 있어서 그 분포를 어떤 기준에 의해 잡느냐( 3/ 3.5)에 따라 커버정도가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기성복 업체의 치수체계 자체의 문제해결 및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체형분류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전자상거래에서의 국제협약 적용에 관한 연구 : UN전자계약협약을 중심으로

        고승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경 간 전자상거래 (Cross Border E-Commerce, CBEC)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국제 거래가 증가하면서 통일성 있는 국제 법규가 요구되었고, 이를 위한 노력으로 각 국가와 세계 기관들이 FTA (Free Trade Agreement, 자유 무역 협정)와 같은 양자 간 협정이나 국제기구의 모델법과 지침을 제정해 왔다. 2005년 제60차 UN 총회에서 “국제계약에 있어 전자적 의사표시의 이용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Use of Electronic Communcations in International Contracts, UN전자계약협약)”이란 공식적인 전자상거래에 적용되는 국제적 법규범을 제정하였다. UN전자계약협약은 국경 간 전자상거래와 관련한 실무적 해결책 제공과 전자적 의사표시의 원활한 이용 촉진에 그 목적이 있으며, 특히, 실무상에서 법적 명확성(legal certainty)과 실무적 예측성(predictability)을 보장하고 법적 장매물을 제거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경 간 전자상거래 당사자들의 통일된 법규법에 대한 낮은 인식과 실제 협약 적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전자계약협약을 분석하고, 국경 간 전자상거래 기업의 자료를 검토하며, UNCITRAL CLOUT Case 실사례 분석 등을 통해UN전자계약협약 실무상 적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개선방안을 통해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실무상에서의 국제법규의 인식 강화와 국가적 제도적 지원을 통해 실무진들의 업무 부담 감소, 시장에서의 기업 경쟁력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이루어 효율적인 국경 간 전자상거래 환경 조성 및 대외무역 수행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s the volume of international trade has been increased with constant growing of the Cross Border E-Commerce (CBEC), uniformed international law and rules in the market have been demanded and as an effort of countries and world organizations, bilateral agreements such as FTA (Free Trade Agreement) and model laws and conventions have been established. In 2005,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International Contracts’ (UNCUECIC), which is officially enacted and applied to E-Commerce, was established at the 60th UN General Assembly. The UNCUECIC aims to provide practical solutions and promote efficient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regarding CBEC. Also it is expected to grant legal certainty and predictability and get rid of any legal obstacles in practice. In real world, however, parties in CBEC has relatively low level of recognition of the uniformed law and there are very limited ways to solve any problems occurring from applying international conventions. In this study, with analyzing UN CUECIC, solutions to the problems occurring from applying international conventions are proposed through reviewing data and cases of current CBEC companies and analyzing UNCITRAL CLOUT cases. Therefore, proposing the solutions in the study, an efficient CBEC environment and significant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trade are hoped to be accomplished with the improvement in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law, the reduction of work-burden through systematic supports from government, and the reinforcement in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and countries.

      • 한중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편리성 요인 분석 : 타오바오와 G마켓을 중심으로

        추이위밍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십여 년 동안 인터넷의 대폭적인 보급과 함께 인터넷 업계가 급속도로 발전을 이루면서 전자상거래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소비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어 전자상거래에 새로운 편리성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 속에서 필자는 유학경험과 국제상거래에 관한 전문지식을 결합하여 편리성을 중심으로 한 한중 양국의 전자상거래 상황을 비교연구 했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 대상은 중국의 타오바오와 한국의 G마켓이다. 두 플랫폼을 대상으로 편리성 정도의 차이점과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여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했다. 전자상거래 관련 이론 및 편리성 요인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통해 양국의 전자상거래 현황을 비교분석 했다. 이를 바탕으로 타오바오와 G마켓 사례에 대해서 편리성 요인을 심층 분석했다. 본 논문의 제4장부터는 양국의 전자상거래 정책, 물류 관리 수준, 양국 대표 기업의 경영 전략의 세부적인 요소에서 편리성 차이점을 세밀하게 비교분석 했다. 마지막으로 양국 전자상거래 편리성 차이의 원인을 심층 분석한 결과를 정리함으로써 양국 전자상거래 업체가 개선해야 하는 점을 제언했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를 표명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참고할 만한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본 연구의 차별점은 타오바오와 G마켓에 대해 사례분석법을 적용하여 편리성 요인을 바탕으로 심도 있게 비교분석을 진행했다는 점이다.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 접근하며 거시적으로는 국가정책, 전자상거래 물류 수준, 미시적으로는 기업 경영전략을 분석했다.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서 양국 전자상거래의 편리성 차이를 야기하는 요인들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개선점을 제언했다. In recent decades, the widespread popularity of the internet has made the internet industry achieve rapid development, and with it, the e-commerce market has also grown rapidly. Without being limited by time and place, e-commerce websites can be accessed through wireless network or mobile network. The arrival of the e-commerce era has brought unprecedented convenience to people. Within such a big timeframe and combined with overseas experience and related professional knowledge of international business, it was finally decided that the focus would be on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facilitation of the electronic commerce of two countries. Specifically to the Chinese e-commerce, Taobao, and on behalf of the South Korean e-commerce enterprise, G-market. As an example, comparative analysis and degree of facilitation of difference between the two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are finally summarized and helpful suggestions are put forward.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relevant theories and facilitation factors of e-commerce,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e-commerce in China and South Korea, and makes a detaile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facilitation factors of e-commerce platforms in China and South Korea. The fourth chapters of this paper will respectively analyze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in e-commerce convenienc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terms of e-commerce policies, logistics management level and business strategies of the representative enterprises of the two countries. Finally, a summary of the two countries in the area of electronic commerc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will show the profound differences behind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convenience and reason, for the two countries to strengthen their construction of e-commerce, improve their own shortcomings on the advice of the advisory and at the same time showing that there are still limitations of this study, a reference will be provided for subsequent scholars to study the value further. The innovation of this study is based on Taobao and G-market as an example. The use of case analysis and a detaile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countries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e-commerce platform of the differences in convenience, and respectively from the angle of macro and micro. Big to the national macro policy, national e-commerce logistics level and small to enterprise management strategy.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insight into the cause factors of e-commerce and facilit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depth profiling, to e-commerce businesses in the two countries gives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ir deficiencies and has great referenc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