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직 여성의 계급 경험 연구

        전현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전문직 기혼 여성의 직업-가족경험을 통해 여성계급분석을 시도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를 지나며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전 생애주기에 걸쳐 보편화되고 있으며, 노동력의 유연화라는 전세계적 노동환경은 남성가장 시스템을 더 이상 지속할 수 없는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에서는 여성의 직업을 '보조적'이거나 '부차적'인 것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강하며 가족으로부터 독립적인 여성의 지위와 계급 경험에 대한 관심이 부재해왔다. 이는 기존의 계급연구들이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가족을 분석의 단위로 삼고, 여성의 지위와 경험을 남성계급에 종속적인 것으로 치부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계급개념에서 확장된 사회계급이라는 개념을 채택하여 여성의 계급경험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전문직 기혼 여성의 계급 경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12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전문직 여성 18명에 대해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의 계급 경험으로서의 직업-가족경험은 직업지위와 직업에서의 젠더관계, 가족 내 지위와 가족에서의 젠더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문직 여성은 전체 직업위계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젠더관계에 의해 남성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요구받고 더 적은 기회를 제공받는다. 이들은 토큰(Token)으로서의 지위를 경험하고, 남성문화에의 적응을 요구받는다. 성별에 따른 업무분리나 직종의 분리는 조직 내에서의 불이익이 없고, 여성만의 승진위계를 통해 남성 다수 조직에 비해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여성직의 주변화라는 흐름도 중요한 변동의 방향이 되고 있다. 또한 이들은 비교적 높은 직업지위와 독자적인 경제력으로 가족의 계급지위에 기여하고 있으며, 가족 내에서 비교적 높은 권한을 갖는다. 그러나 한국의 사회 문화적 환경은 가사와 육아를 '여성의 일'로 보는 성별분업의식이 공고하여 이러한 여성의 교섭력이 가사의 분담이나 양육의 사회화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부담은 '가족 내 다른 여성'에 의해 대체되는데, 이 과정에서 전문직 여성의 교섭력이 다른 여성에게 가사와 양육을 대체시키는 과정에서 행사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한 가족에 종속적이지 않은 계급 주체로서의 전문직 여성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여성모델과의 차별화를 통한 두드러진 공적자아의 형성이다. 둘째, 일에 대한 몰입이다.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지는 '일-가족에의 이중몰입'은 직업에 높은 우선권을 가지며 기존의 취업여성의 가장 큰 특징이었던 이중노동을 가족전체의 변화를 통해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이다. 본인의 능력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전문직 여성들은 '능력만 있으면 인정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주의 이데올로기는 직업환경에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불이익을 개인의 문제로 해석하게 하는 함정에 빠지게 한다. 본 연구는 전문직 기혼 여성의 계급경험을 분석하며 이후 여성계급분석에 대한 접근방향으로 다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계급분석의 단위를 남성가장을 중심으로 하는 가족으로 두는 것에서 남녀 모두를 계급의 주체로 보고 그러한 개인들의 결합으로서 가족을 다루어야 한다. 둘째, 직업-가족경험의 통합적 접근이다. 이는 개인의 계급 경험은 생산관계에 국한시키지 않고 가족경험을 포괄하여 노동력의 재생산, 나아가 계급 재생산으로 연결되는 불평등의 구조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셋째, 후기산업사회에서의 계급의 여성화와 성별직종분리에 대한 고려이다. 이는 여성 노동위계를 통한 높은 지위에의 진출확장과 대규모로 진행되는 여성직의 주변화로 나타나는 여성노동의 양극화에 대한 총체적인 분석을 요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women into class analysis as through I analyze workplace and family experience of married women having a professional career. After 1990, economic life of woman through her whole life become a normal situation, and a male-bread winner system cannot be maintained in the world's market of a labor flexibleness. However, korean-society is strongly inclined to think woman's job a secondary job or a supplementary job, and used to be indifferent to woman's status and class-experience. think these results is caused by that male-bread winner family seems to be only a analysis' unit in the study of the class. As a result, woman's status and experience is determined by the man's class in class analysis. This study has expended the before class concept into the inclusive class concept, has tried to make framework analyzing woman's class experience, and has finally analyzed woman's class experience of a married woman having a professional career. Work and family experience as woman's class experience is influenced by the inner-status of the family and gender relations in the family. Women having a professional career is occupying the high level status, however, they have been asked for more efforts and have gained less opportunity than men for gender-relations. They are experiencing status as 'token', and have to fit for the culture of the oriented man. According to gender, if we divide work responsibility or separate jobs, and if we have the opportunity of promotion only for women, women can actually acquire more opportunity than man-oriented organization. However, the secondary situation of women job is appeared on the other side. and they comparatively have high authority because they have had high status and independent economic power. However, the socio-cultural surroundings of Korea make the consciousness in which housekeeping and child-caring are duties on women. On this account, the woman delegation cannot pretend to a share of housekeeping and to a socialization of child-caring. Finally, these kinds of the myth endows other women in the family with housekeepers, their delegation-power transfer the delegation-power in the family which can endow other women with the duty of housekeeping and child-caring. Characters of a professional woman is appeared like below as an independent class agent. The first, they are making their public-self through the difference of traditional woman role. The second, they are endeavoring to their business, and they think work is such a little more important than family that they want to solve the double work into the change of the family. The third, they believe meritocracy ideology. They are proud of their ability and have consciousness if they have an enough ability, then they will be recognized. but, these meritocracy ideology make the woman discrimination or handicap caused by the problem of the private. This research analyze the class-experience of the married women having a professional career, and emphasize below class-analysis. The first, the unit of class-analysis must be approached in respect of that all of the man and the woman is the agent of the class and the family is the combination of the independent individuals. The second, the unified approach is needed on the basis of work and family experience. The analysis of the private class-experience help to comprehend the structure of inequality how it influences to the family experience, the labor- reproduction structure, and the class-reproduction structure. The third, this helps to consider the problem of woman-class and work-separation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I think the whole analysis is needed about the woman's higher status caused by work-grade and the woman work's both extremities more and more.

      •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김숙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여성의 사회참여 요구 증대로 경제활동 인구 중 여성의 비율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개인적인 권리 차원에서도 여성의 취업률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직은 본질적으로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지속적인 이론 연구를 통하여 능력을 신장시켜야 하는 사회적 책임이 큰 직업으로 전문직 여성은 타 직종의 여성 근로자에 비하여 전문 직업인으로서 겪게 되는 직무스트레스가 클 수 있고 지속되는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여러 가지 육체적, 정신적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 예측된다. 그러므로 전문직 여성이 당면하는 스트레스가 무엇이며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은 전문직 여성의 건강유지 증진을 위해 중요하고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서울 소재 1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10명, 의사 20명, 약사 40명과 3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60명 총 2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 배경 3문항, 업무 특성에 관한 5문항,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22문항, 여성 건강상태에 관한 10문항, 일반적 건강상태에 관한 30문항의 총 7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PC-SPSS 1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수는 실수와 백분율로,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각 변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차이는 일원 분산분석법을 유의한 변수에 대해서는 다중비교(Duncan's method)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198명은 간호사 49.0%, 교사 22.7%, 약사 19.2%, 의사 9.1%로 구성되었고 평균 연령은 30.9세, 결혼상태는 기혼이 46.5%였다. 대상자의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8시간으로 61.6%가 주로 서서 일하였고 32.3%가 교대근무를 하였다. 대상자의 87.4%는 월 평균 100-300만원 정도의 급여를 받았다. 2.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88점 만점에 평균 54.86점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r=-.259, p=.000), 직업에 따라서는 교사 집단의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간호사, 약사, 의사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결혼 상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업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근무기간, 월 평균 급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기간이 10년 이상 군에서(F=5.118, p=.001), 월 평균 300만원 이상을 받는 군에서(F=6.118, p=.003)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과 업무형태, 교대근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3. 대상자의 여성 건강상태는 생리주기가 불규칙한 군이 19.7%, 약을 복용하거나 직장을 쉬어야 할 정도로 생리통이 심한 군이 55.1%였다. 기혼여성 92명 중 불임문제를 갖고 있는 군은 2.2%, 산부인과적 질병이나 증상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는 9.8%, 직업적인 활동이 출산력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 군은 19.6%였다. 임신 경험이 있는 75명 중 자연유산 경험이 있는 군 20.0%, 임신과 분만 시 특별한 합병증을 가진 경우는 4.0%였다. 분만 경험이 있는 65명 중 조산 경험은 7.7%, 저체중아 출산 경험은 7.7%, 사산 경험이 있는 군은 3.1%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건강상태는 평균 104.23점으로 양호한 건강상태를 나타내었다. 일반적 배경과 업무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를 살펴보면 일반적 배경에 따른 건강상태는 차이가 없었고, 업무 특성에 따라서는 월 평균 급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월 평균 급여 300만원 이상 군에서 가장 좋은 건강상태를 나타내었다(F=4.670, p=.010). 하루 평균 근무시간, 근무 형태, 교대근무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직무스트레스와 여성 건강상태의 관계는 생리통, 불임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생리통이 있는 군(F=5.760, p=.017)과, 불임의 문제를 가진 여성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F=7.225, p=.009). 그러나 표본수가 적어 이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 6. 직무스트레스와 일반적 건강상태의 관계는 직무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았다(r=-.250, p=.000). 본 연구에서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건강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직업을 가진 여성은 일반 사무직 여성과는 다르게 창의적인 일이나 독자적인 결정권이 없이 같은 일을 반복하고 업무량이 과다할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전문직 여성이 당면하고 있는 구체적인 직무스트레스가 무엇이며,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전문직 여성이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앞으로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여성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여성건강에 대한 상관성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related stress and the health condition of professional women and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with a view to develop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omen's lives. Method :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230 nurses, medical doctors, pharmacists in a general hospital and teacher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all located in Seoul. The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the PC-SPSS 11.0 tool. Results : The degree of stress of the women surveyed was high, with an average of 54.86 out of the perfect score of 88. The degree of stress was low in women who were older, had worked for longer periods of time and were in a higher income bracket. The health condition of the women surveyed was such that 55.1% had pain related to their menstrual periods that required medicine or rest; 19.6% had their pregnancies affected by their professional activity; and 20.0% experienced miscarriage. The general health condition of the women surveyed was satisfactory, with an average of 104.23; those with higher monthly income had a better health condition. Job-related stress and general health condition were inversely related: the more job-related stress a woman had, the worse her general health condition was (r = -.250, p = .000).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tress a woman experienced, the more negative effect this had on her health condition. This study also showed that professional women have more stress than women with general clerical jobs when they are overloaded with work and carry out non-creative or repetitive work without any responsibility for decision mak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type of stress professional women are faced with, to find methods to help them effectively cope with their stress and to arrange programs to help them as professional women maintain and promote their health.

      • 전문직여성자원활용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자원봉사자 모집 전략에 대한 마케팅 접근방법으로

        김윤아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여성 자원봉사활동의 확대를 위해 전문직 여성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욕구조사를 실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직 여성들을 새로운 자원봉사화동 대상자로서의 ‘표적시장(Targeting Market)'으로 상정하고 마케팅믹스 개념을 적용하여 ’제품(Product)','가격(Price)','유통경로(Place)','촉진(Promotion)' 차원에서 전문직 여성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잠재적인 욕구를 파악할 것이다. 표적시장은 특정집단을 시장으로 설정하여 그들의 서비스와 상품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여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도 표적집단을 설정하여 이들에 대한 대체적인 윤곽을 파악함으로써 표적집단의 관심, 욕구, 동기 등에 조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유성호, 1998 ).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직 여성들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에 대해 살펴 볼 것이다. 둘째, 마케팅믹스의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경로(Place), 촉진 (Promotion)의 개념에서 볼 때 전문직 여성은 어떠한 자원봉사화동의 잠재적인 욕구를 갖고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셋째, 마케팅믹스의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경로(Place) 촉진(Promotion)의 개념에서 볼 때 전문직종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의 잠재적이 욕구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넷째, 마케팅믹스의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경로(Place) 촉진(Promotion)의 개념에서 볼 때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의 잠재적인 욕구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다섯째, 마케팅믹스의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경로(Place) 촉진(Promotion)의 개념에서 볼 때 자원봉사활동 경험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의 잠재적인 욕구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 볼 것이다. 여섯째, 마케팅믹스의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경로(Place) 촉진(Promotion)의 개념에서 볼 때 전문직 여성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전략은 무엇인지 모색할 것이다. 본 연구는 마케팅믹스의 개념을 여성자원봉사활동에 적용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사회복지분야에 마케팅 개념이 도입된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자원봉사활동에 마케팅믹스 개념을 도입한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마케팅믹스의 개념을 적용한 자원봉사분야에서의 변수를 선정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전문직 여성을 조사대상으로 확보하기 위해 의도적 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대표성을 고려해 여성들이 많이 진출한 전문직종을 최대한 포괄하고자 했으나 조사여건의 제한으로 인해 의도적 표집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전문직 연성들의 지식과 경험을 자원봉사활동으로 연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한다. 그러나 사회복지분야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전문직 여성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잠재적인 욕구를 파악함에 있어서 다소 제한적인 부분으로 한정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 산업체 전문직 여성의 직무특성과 직장상황에 의한 의복선택 연구

        정은숙 숙명여자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67

        산업체 전문직 여성이란 전문기술과 특별한 재능을 필요로 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직업여성을 말한다. 현재는 컴퓨터 관련직, 정보 및 통신직, 미디어 관련직, 산업지원 서비스직, 보건 복지직, 전문 기능직 등이 유망한 산업체 전문직종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이러한 직업을 선택하고 해당되는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창의성, 독립성, 책임감과 자기 역할에 대한 정체성 확립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들은 직업특성과 근무환경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에 따른 새로운 직업 유형의 발생, 직장에서의 다양한 상황전개는 여성의 직업과 역할 수행뿐 아니라 직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여성의 의복에도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산업체 유망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의복선택시 직무특성에 따른 직장상황의 영향과 의복선택을 알아보기 위해 직무특성, 직장상황, 의복선택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며, 직무특성과 직장상황에 의한 의복선택을 연구하고, 직무특성에 따른 세분집단들의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복선택에 관련된 변수인 직무특성, 직장상황, 의복선택의 차원을 밝힌다. 둘째, 직무특성, 직장상황, 의복선택의 관계를 조사한다. 세?, 직무특성에 따른 집단별 소비자 특성을 밝힌다.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는 여성과 직업, 직업과 의복, 직무특성, 직장상황, 의복선택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며 서울을 근무지로 하는 산업체 전문직 유망직종에 종사하는 20-30대의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1999년 7월중에 시행하였으며, 총 448부를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요인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군집분석,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직무특성의 개념적 구조는 직무독립성, 직무창의성, 직무중요성, 직무피드백의 4개의 유형으로 구성되었고, 의복선택과 관련된 직장상황은 활동적 상황, 사회적 상황, 물리적 상황, 출퇴근 상황, 과업적 상황의 5개 유형으로 구성되었다. 산업체 전문직 여성의 의복선택은 편안함, 개성, 상표지향성, 조화성, 동조성, 관리성, 타인승인, 경제성, 타인권유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은 직장상황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의복선택에 영향을 주었다. 직무창의성이 높을수록 의복선택시 활동적 상황 및 과업적 상황과 연관을 가지며 활동적 상황에 영향을 받는 사람은 의복선택 중 개성 요인을 중시하였다. 또한, 과업적 상황에 영향을 받는 사람은 조화성 요인, 관리성 요인을 중시하는 반면 동조성 요인은 중요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창의적인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은 시간이나 활동의 자유로움을 중요시하여 의복선택시에는 개성적이면서도 편안한 의복을 원하며, 직장상황에 있어 과업을 수행할 때에는 직무에 합당한 의복을 선택하기 위해 조화성있고, 관리가 용이한 의복을 선택하고 있었다. 직무중요성은 특히 물리적 상황에 영향을 미쳤고, 물리적 상황은 의복선택 중 편안함 요인, 관리성 요인에 영향을 주어 의복선택시 직장의 환기나 통풍 등에 적합한 편안하고 관리가 용이한 의복을 선택하고자 하였다. 직무피드백은 사회적 상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에 대한 피드백이 원활할수록 상사나 동료, 고객과의 대인적 관계에도 민감하여 의복선택으로 상표지향성 요인, 동조성 요인, 타인승인 요인, 타인권유 요인을 중요시하였다. 의복선택요인 중 개성과 조화성은 모든 상황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20대, 30대 산업체 전문직 여성에게는 가장 중요한 의복선택 요인으로 나타나 상표지향이나 타인권유보다는 자신의 상황에 가장 적합하며,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의복을 착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원피스보다는 투피스 정장을 주로 착용하며, 재킷, 팬츠, 티셔츠 등 단품류의 의복을 조화롭게 착용하고 있었다. 직무특성에 따른 집단은 종합 직무집단, 창의적 직무집단, 독립적 직무집단, 단순 직무집단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집단은 인구통계학적 변수, 직업, 직장환경, 직장상황, 의복선택, 의복행동 및 선호브랜드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산업체 전문직 여성의 직무특성과 직장환경, 직장상황이 각각 다르고 의복을 선택하고 구매함에 있어서 직장활동에 적합한 의복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주요용어 : 직무특성, 직장상황, 의복선택 A professional woman means an independent woman in social position or economy, who is working on field that professional skill and special talent are needed. At the present now, occupation related with computer, info-communication, media, and work related with health and welfare, technical service, and so on are bright. And, originality, independence, responsibility, and identity of role shall be followed in order to perform related duties after select the above jobs. Occupation feature and work environment wer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transitions. Therefore new occupation types were appeared, and women's clothes as well as women's occupation and their role performance are required to be changed due to various situations in working place. To watch for the influence of working place and the selection of clothes in accordance with job characteristic on targeting women with a bright professional job in various field,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cept of job characteristic, working place situation and clothes selec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selection of clothes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 and working place situation and is to understand the feature of consumers in divided group according to the job characteristic. The following contents are decid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study. The first, disclose the dimension of job characteristic, working place situation, and clothes selection, which are variable on clothes selection. The second, research the relation of job characteristic, working place situation, and clothes selection. The third, disclose the feature of consumers by each group in accordance with job characteristic. In this study, theoretical study and practical study are divided. Theoretical study treats with leading study on woman and occupation, occupation and clothes, job characteristic, working place situation, and clothes selection. For practical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women in their twenties - thirties with a bright professional job, who are working at Seoul on living Seoul and Kyunggi. This survey was conducted during July, 1999, and total 448 answering sheets were available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The follows are summary of this study result. . The concept structure of job characteristic is composed by such four types as job independence, job originality, job importance, and job feedback. Working place situation related with clothes selection are consisted of such five types as activity state, social state, physical state, begin and finish work state, and duty state. Professional women selected clothes in accordance with comfort, personality, brand-oriented factor, harmony, conformity, control, consent of others, economical efficiency, and recommendation of others. job characteristic is related with working place situation and influences on clothes selection. When higher originality for duty is required, it's related with activity state and duty state as selects clothes. The persons influenced by activity state regarded personality as important when select clothes. The persons influenced by duty state regarded harmony and control as important, instead of, they ignored conformity. Therefore, the persons conduct creative work wanted remarkable and comfortable clothes, and the persons conduct important duty regarded harmony as important when select clothes, and they selected clothes, which they can control easily and aren't polluted and wrinkled. The importance of duty gave an effect to physical state in particular, and physical state influenced on comfort and control in clothes selection, thus the persons conduct important duty wanted the clothes, which are comfortable and can control easily, suitable for ventilation. The feedback of duty gives an effect to social situation, so in case of the person has a smooth feedback on duty, it's sensitive about the personal relations with superior, colleague, customers, and regards brand-oriented factor, conformity, consent of others, and recommendation of others as important. When professional women of their twenties∼thirties select clothes, they regard personality and harmony as the primary selection factor. And, in case of the persons influenced by the time to begin and finish work, they consider the comfort to act and the suitability for personal relation. In accordance with job characteristic, groups are divided as general duty group, creative duty group, independent duty group, and simple duty group. Each group shows a difference in terms of population statistics variable, occupation, working place environment, working place situation, clothes selection, clothes action, and preferred brand. People select occup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feature, so the feature of consumers, working place environment, working place situation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job characteristic, as a result we can find differences in clothes selection suitable for working place and purchasing. key words : job characteristic, working place situation,clothes selection

      • 여성PD의 젠더의식과 지상파 방송사의 젠더시스템(gender system)에 관한 연구

        김지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35

        미디어는 총체적인 관점에서 미디어의 생산, 순환, 배포, 소비 그리고 재생산의 통합적인 담론으로서 사회의 다양한 맥락과 함께 읽어내야 한다. 따라서 나는 텔레비전의 생산영역을 능동적으로 의미를 만들어 내는 공간으로서 인식하고, ‘능동적인 행위자’로서 생산자들의 생산문화(culture of production)에 대해 연구하였다. PD는 생산과정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관리자’로서 생산영역에서 일어나는 계급, 젠더, 세대, 직업, 지역 등의 차이가 첨예하게 대립하거나 교차되는 중심에 서 있다. 따라서 사회구조적인 요인들 아래 PD가 어떠한 의식으로 생산과정에 참여하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나는 특히 남성 중심적인 문화와 성차별적인 관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공간인 미디어에서 여성PD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들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여전히 존재하는 젠더문제가 무엇인지 여성PD들은 이러한 젠더시스템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젠더시스템(gender system)은 사회문화적으로 구축된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이 남녀 모두가 남성 중심적이고 가부장적인 문화적 힘과 그 의미를 유지하기 위해 참여를 요구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 지상파 방송사는 여성PD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PD의 직업이 남성적 직업이라는 인식에서는 어느 정도 변화하였으며, 여성PD의 변혁적인 리더십은 생산과정에서 매우 필요한 리더십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성PD들은 여전히 여성PD에게 적합한 장르가 있다고 여기며, 프로그램의 연성화를 우려하고 ‘결혼’과 ‘육아’를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열등한 노동력으로 보았다. 남성PD들의 편견은 여성PD들에게 미묘하고 복잡하게 젠더시스템으로 작동하였다. 하지만 여성PD들은 이러한 편견들에 대해 대부분 자신의 ‘능력’으로 이겨낼 수 있다고 여겼으며, 다양한 젠더문제들을 ‘개인의 선택’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여겼다. 이는 1990년대 ‘개인의 능력’을 통한 경쟁력과 적응이 강조되는 신자유주의 담론의 확산과 여성의 문제들이 이미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에 가부장적 가치와 구조적인 문제들에 대한 비판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는다는 ‘포스트-페미니즘’의 인식 때문이다. 여성PD들은 젠더구조에 대한 문제보다는 자신의 직업의식을 강화하고 조직에서 능력을 통해 조직원으로서 인정받고자 하였다. 그러나 남성들은 여전히 여성에 대한 신뢰가 적었으며, 동일한 경력의 남성 집단을 관리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편견들은 여성PD들에게 남성과의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를 주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 ‘가정’과 ‘일’의 병행에 따른 ‘이중노동’에 대한 부담감을 가져야 하는 존재로 불안정한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 때문에 이들은 젠더문제에 관해서 침묵함에 따라 문제를 회피하게 되고, 안정적인 성과를 위하여 남성 중심적인 관행 속에서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를 내재화하여 생산과정을 거치게 된다. 젠더구조가 이렇듯 본질적인 변화보다는 표면적인 측면만 변화하게 된다면, 결국 여성PD는 명목적인 지위만 지닌 토큰(token)으로만 머무르게 될 것이다. 이 연구가 갖는 의의는 텔레비전의 생산영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PD들의 생산문화를 살펴보고, 그 안에서 젠더구조가 미치는 영향력을 다양한 사회맥락과 함께 분석했다는 데에 있다. 따라서 나는 이 연구를 통해서 조직 내 인력구조의 성비가 단순히 양적 증가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젠더의식과 정책에 대해 더욱 치열하게 논의되어지길 바란다.

      • 전문직 여성의 피부 건강관리와 화장행위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20, 30대 전문직 여성을 중심으로

        金錦姬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has been done on the skin health care and make-up for professional women in 20, 30years in Daegu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rofessional women recognize themselves not healthy from stress and health in the performing their duty. So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self-care plans for solving the stress properly and abstaining from drinking are in need. Secondly, in the skin type, dry skin types are showed mostly and the worry for liver spot·freckles in the skin condition are the most. For this reason, the unified skin care plan are requested so much. Thirdly, as the respondents are showed doing wrong treatment for skin trouble, proper treatment in the professional medical center are demanded. Finally, in the questionnaire for the make-up, the response are on the whole showed that make-up has been done for satisfaction after make-up and upgrade a refined and esthetic image. Therefore, women in modern days are showed that they are in trust for the image effect for make-up.

      • Human resources utilization among Korean professional working women : role changes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박주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97 해외박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how professional Korean working mothers feel about assuming the nontraditional roles of employer/worker, and the effect of their multiple roles; (b) what factors influence the sex-role ideology and strain of professional working mothers; (c) how they perceive the effect of their employment on the well-being of their family members; (d) what they perceive the attitudes of their immediate family members to be about their being employed outside the home; and (e) how cultural experiences of living outside their home country influence their attitudes, and their gratification and strain of being professional working mothe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Korean Survey Gallup Poll Institution in Seoul, Korea, in 1996. The sample consisted of 100 female academic professors who are married and have children, and a sample of 105 housewives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and wives of professors in a university or wives of researchers in National Science Institution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distribution, Ordinary Least Square (OLS) regression analysis, comparing mean scores, and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that are appropriate for research questions.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Research Question 1: Women professors experienced a greater role gratification and more strain from their dual roles compared to housewives. Research Question 2: Socio-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not strongly related to produce gratification and modify sex-role attitudes of Korean women in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3 and 4: The findings indicate that most of the women professors perceive their work in outside provides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ren. They also perceive that husband and families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roles. Research Question 5: Women professors who had an opportunity to live overseas experienced more gratification from their roles than did housewives or professors who had no opportunity to live overseas. In conclusion, Korean professional working women have higher gratification and more strain than do housewives. Other cultural experiences of the sample may have influenced ideologies that modified sex-role attitudes and gratification and strain from performing sex-ro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