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라남도 협동조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하늘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Since the worldwide financial crisis in 2008, a cooperative is standing out as a main agent of economy in an alternative economic model.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 cooperative allows a stable management with interests in a long-term benefits than pursuits for short-term interest as a corporate owned by its users, and that it is operated centered on labor resources so that it contributes to creating new jobs and stabilizing employment. Also, it is necessary to seek for co-existing and embracing development of market economy that heals social conflict factors such as the social polarization an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poor; a cooperative is perceived to be an alternative in such new economic society. As there came a need to build a new social embracing economy model in our society by vitalizing cooperatives accordance to such trend of the era, the Korean government finally enacted a 'General Law on Cooperative', announced in January, 2012. Since cooperatives increased in number after execution of the 'General Law on Cooperative', it is expected that they may help in solving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polarization issue, employment unstability, economic depression, and temporary jobs; however, in reality, side effects from rapid growth of cooperatives cannot be ignored. Henc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issues investigated by researches on the status of Jeollanam-do Cooperatives established by the 'General Law on Cooperative', and to propose measures for vitalizing Jeollanam-do Cooperatives. To attain the purposes of this study, I first compared status of overseas cooperatives and arrived at implications. As a next step, I examined status of domestic cooperatives, including Jeollanam-do, derived issues of Jeollanam-do cooperatives, and proposed problem solving measures as follows. First, I recommended measures of fund-raising for cooperatives, establishing government support system, constructing a cooperative federation, and training cooperative leaders. Second, from aspect of perception, I proposed measures for cooperation and social value expansion movement and a necessity for developing a voluntary cooperative model. This study has its limits in 1) analyzing issues and proposing measures only for Jeollanam-do region because it was targeting on Jeollanam-do cooperatives to be vitalized and serve local economy; and 2) not being specific in its proposed measures.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a specific manner to realize the above measures and target for whole Korean cooperatives outside Jeollanam-do, so that they may serv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2008년 국제금융위기 이후 협동조합은 새로운 경제주체로서 대안적 경제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협동조합이 이용자 소유 기업으로서 단기적인 이윤추구보다는 장기적인 이익에 관심을 두어 안정적인 경영이 가능하고, 인적자원을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일자리 확충과 고용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사회 양극화와 빈부격차 등 사회갈등 요인을 치유하는 공생발전의 포용적인 시장경제 발전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데, 협동조합은 이 같은 새로운 경제사회 발전의 대안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대응하여 협동조합을 활성화함으로써 새로운 사회통합적 경제모델을 우리 사회에 구축할 필요성이 생기자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협동조합 기본법’ 을 제정하고 2012년 1월 공포하기에 이르렀다.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 이후 협동조합이 양적으로 증가한 만큼 우리사회가 겪고 있는 양극화 문제, 고용 불안정, 경기 침체, 비정규직 양성 등 많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협동조합의 급격한 증가만큼 부작용 또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동조합 기본법’에 의해 설립된 전라남도 협동조합의 현황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전라남도 협동조합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해외 협동조합의 현황을 비교하여 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으로 국내 및 전라남도 협동조합의 현황을 살펴 본 후 전라남도의 협동조합이 안고 있는 과제를 도출하여 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하였다. 먼저 제도적 측면으로 협동조합 기금조성, 정부지원체제 확립, 협동조합연합회 구성, 협동조합지도자 양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비제도적 측면으로는 협동의 가치와 사회적가치 확산 운동, 자발적인 협동조합 모델 발굴 필요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협동조합이 활성화 되고 지역 경제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되었으므로 전남지역만을 중심으로 과제를 도출하고 방안을 제시 하였다는 점과, 제시한 방안이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위 방안을 실현 시킬 수 있도록 조금 더 구체화시킴과 동시에 전라남도에 국한하지 않고 국내 협동조합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함으로써, 국가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전라남도 교육행정공무원 전보제도 개선 방안

        김형규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will unleash the laws of the personnel to be able to process, and expertise should be defined. In addition, providing equal opportunities for everyone, and take pride in a job for life as to allow for self-realization must be operated by transfer systems.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at the transfer, the principle of the right man in the right place is not kept. Also, they just make public promotion size and promotion ranking list partially. List of transfer ranking and transfer statistics is not disclosed. These problems have been discredited due to the morale of civil servants has also been reduced. To examine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o analyze the transfer systems to improve public Educational administrative staff of the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derived through previous research frameworks based on empiric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and the empirical investigations Mokpo, Muan, Yeongam, Shin-An HR managers and a phone survey and information disclosure, Education Code, Jeollanamdo educational autonomy Code, articles, statistics, periodicals, etc. were used throughout the data collection. Through these studies revealed how the problem is as follows for the improvement. First, Position management regulations administrative staff of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belong to Superintendent(hereafter as "position regulations") Article 4 concerned with the general principles of management majors, training, work experience, professionalism, competence and talent by adding a stipulation should be placed in the right place. Second, the position Regulations Article 6 "in late May and October to submission" shall be amended to. Third, the position regulations, Article 10 paragraph 2 and 3 "the head of administration office mounted a new appointment to the grade 9 does not place" should be codified as mandatory. Fourth, position regulations Article 11 increases the upper limit should be expanded to transfer opportunities. Fifth, the position Regulations Article 12 paragraph 4 and Article 16 (Audit officer position) to delete reference to transfer of the main office position shall be the introduction of cycling. Sixth, the position regulations Article 12 and Article 17, educational administration type, office clerk type, school facility manager type's expiration period in the same region should be applied equally. Seventh, as a way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consists of the transfer standard selection committe. Eighth, between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and National ∙ Public universities, 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form a network to enable two-way exchanges and mutual knowledge or duty should extend. Ninth, the list of promotion ranking should be released to the public. Tenth, the list of transfer ranking should be released to the public. Eleventh, Region Grade Standards should be re-organized. Twelfth,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the personnel committee, scientific oriented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personnel management, should be restored. Operating apparently the first,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personnel verification system prior to the transfer announcement practically check the list of transfer ranking and after the announcement make inspections to find the transfer system problems to be improved. Second, the actual disclosure of personnel to operate the regional, institutional (main office, affiliated organization,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shall be classified as public. Third, by surveying regional, institutional positions expiration in the public and prior to submitting a transfer to conduct consumer research is posted on the homepage. Fourth, to take the status of the transfers by region, by institution should disclose in advance. Fifth, HR person's neutrality and the integrity of the personnel is the most important commitment. <국문초록> 교육지원활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기 위해서는 인사 관련 법규들이 공정하고, 전문성 있게 규정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구성원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평생직장으로서의 자부심을 느끼며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인사 제도가 운영되어야 한다. 전라남도교육청은 전보 시 적재적소 원칙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승진 규모만 공시를 하고 승진 서열 명부는 부분 공개를 하고 있다. 그리고 전보서열명부와 전보 내신 현황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불신이 있기 때문에 원인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지방교육행정 공무원인사제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라남도교육청 및 목포, 무안, 영암, 신안 인사담당자들과 전화 설문 조사를 했다. 또한 정보 공개 청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교육법전, 전라남도교육 자치법규집, 논문, 통계 자료, 정기 간행물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드러난 문제들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제도상의 개선 방안은 첫째, 전라남도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보직관리 규정 제4조 보직관리의 일반원칙에 공무원들의 전공 분야, 훈련, 근무 경력, 전문성, 적성 등을 명기하여야 한다. 둘째, 보직관리 규정 제6조는 “4월말과 11월 말에 제출 한다”로 개정하여야 한다. 셋째, 보직관리 규정 제10조 2항 및 3항은 “신규 임용 9급 공무원을 행정실장으로 배치하지 않는다”로 규정하여야 한다. 넷째, 보직관리 규정 제11조의 전입 연령 상한을 높여 전입 기회를 확대하여야 한다. 다섯째, 보직관리 규정 제12조 4항 및 동법 제16조(감사담당관의 보직)의 본청 전입 기준을 삭제하고 보직 순환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여섯째, 보직관리 규정 제12조 및 동법 제17조는 교육행정직렬, 사무직렬, 조무직렬 만기를 동일하게 적용하여야 한다. 일곱째, 전보임용의 객관성을 담보하는 방법으로 전보기준선정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을 활성화 해야 한다. 아홉째, 전라남도 내 국∙공립 대학교 및 유관 교육기관들 간 교육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양방 교류 혹은 파견 근무를 활성화 하여 상호 견문을 넓혀야 한다. 아홉째, 승진서열명부를 공개해야 한다. 열째, 전보 서열 명부를 공개해야 한다. 열한 번째, 급지 기준을 재조정하여야 한다. 열두번째, 인사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운영상의 개선 방안은 첫째, 전라남도교육청의 인사검증시스템은 인사발령 이전에 실질적으로 전보서열명부점수 등 실무점검을 한 후 인사 발령 후에는 정기전보제도의 문제를 찾아 개선해 나가야 한다. 둘째, 인사공시제도의 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기관별(본청, 직속기관, 유, 초, 중, 고, 특수학교)로 분류 공개하여야 한다. 세 번째, 지역별, 기관별 보직 만기자 현황을 조사하여 홈페이지에 공개를 하고, 전보 내신서 제출 이전에 임지 배치 희망 수요 조사를 실시하여 홈페이지에 공개하여야 한다. 네 번째, 전보 현황을 취합하여 지역별, 기관별로 사전에 공개를 해야 한다. 다섯 번째, 인사권자가 정실주의에 빠지지 않고 청렴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 전라남도 방류용 수산종자의 병원체 검출 현황 (2015-2019) 및 질병관리에 대한 고찰

        김현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산종자방류사업은 연근해 수산자원을 회복하고 인류에 안정적인 수산물을 공급하는 관리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수산생물을 방류하려는 자는 미리 수산생물전염병 검사를 받도록 하고, 검사 결과에서 음성이 나와야 방류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수산종자의 방류를 통한 전염병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라남도에서 방류되고 있는 수산종자의 병원체 감염 현황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전라남도에서 방류한 수산종자의 현황을 조사하고, 방류용 수산종자에 대한 수산생물 병원체 검출 현황을 분석하여 방류자원의 효율적인 질병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류용 수산종자에 대한 법정전염병의 검사는 총 464회 실시되었다 (해면 품종: 413회, 내수면 품종: 51회). 검사 건수가 가장 많은 해면 및 내수면 품종은 각각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21.1% (98회/464회)과 자라 (Trionyx sinensis) (2.16%, 10회/464회)로 나타났으며, 방류 대상 품종 외 꼼치 (Liparis tanakai), 부세 (Larimichthys crocea),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칠게 (Macrophthalmus japonicus), 갑오징어 (Sepia officinalis), 낙지 (Octopus minor)에 대한 검사가 총 15회, 시범 방류 품종인 가리맛조개 (Sinonovacula constricta), 주꾸미 (Amphioctopus ocellatus), 참문어 (Octopus vulgaris)에 대한 검사가 총 4회 실시되었다. 방류용 종자는 전라남도 18개 시·군과 전라북도 1개 군에서 생산되었고, 생산지역으로는 여수시가 88회/464회로 가장 많았다. 종자를 방류한 지역으로는 전라남도가 91.3%를 차지하였고, 그 외 지역이 8.7%로 나타났다. 전라남도 중에서는 여수시가 60회/464회로 가장 많았으며 해남군, 완도군, 진도군이 각각 56회, 54회, 45회로 나타났다. 방류용 수산종자에 대한 수산생물전염병의 원인체 검사는 총 772건이 실시되었다. 검사 항목별로 분류하면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291건, Perkinsus marinus 146건, red seabream iridovirus (RSIV) 129건,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126건, taura syndrome virus (TSV) 34건, spring viraemia of carp virus (SVCV) 26건, koi herpesvirus (KHV) 15건, Aphanomyces invadans 5건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772건 중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1건 (0.13%)에서만 WSSV가 검출되어 불합격 처분되었고, 771건은 병원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전라남도에서 생산된 대부분의 방류용 수산종자는 법정전염병의 원인체에 음성인 것으로 나타나, 방류용 수산종자는 법정전염병의 원인체에 감염되지 않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WSSV 양성 1건 예외). 하지만 전라남도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방류용 수산종자의 전염병을 관리하기 위해서 다음의 사항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첫째, 전라남도에서 생산되는 주요 수산생물에 대량 폐사를 유발할 수 있는 비법정전염병에 대해서도 검사 항목에 추가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기존의 검사 방법보다 검출 감도가 높은 방법을 개발하여 활용해야 한다. 셋째, 전라남도 방류 해역의 병원체 분포, 검출 시기, 감수성 수산생물의 서식 여부 등 질병 관리와 관련된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자연수계 병원체 모니터링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Aquatic animal seed releasing service is known to be the best maintenance method to replenish the aquatic resources thereby providing a stable aquatic product to human race. In this way,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rough the release of aquatic animal seeds is prevented in advance by inpection of infectious aquatic animal disease. Till dat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infectious pathogen of fish stocks released from Jeollanam-do province.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ata on resource released and current status of aquatic pathogens detection of releasing aquatic animal seeds from Jeollanam-do during 2015 to 2019, and thought out to use them as basic information for efficient disease management of released resources. A total of 464 disease examinations were conducted on animal seeds subjected for release, with 413 marine species and 51 freshwater species. The most tested marine species was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and freshwater species was found to be soft-shelled turtle (Trionyx sinensis). In particular, abalone was tested 98 times, accounting for 21.1% of the total number of tests. In addition, 15 tests were conducted for Tanakas snailfish (Liparis tanakai), Croceine croaker (Larimichthys crocea), Filipino venus (Ruditapes philippinarum), Japanese ghost crab (Macrophthalmus japonicus), Cuttlefish (Sepia officinalis) and Whiparm octopus (Octopus minor), which are not the species actually to release, whereas a total of 4 tests were conducted on the species which may be released in the immediate future, Constricted tagelus (Sinonovacula constricta), Webfoot octopus (Amphioctopus ocellatus) and Octopus (Octopus vulgar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bmitted application for the examination, seeds for release were produced in 18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nam-do and one county in Jeollabuk-do. However, the most production area was Yeosu in Jeollan-do province accounting 88 times. Among the releasing areas of the produced species, Jeollanam-do was 91.3% and other areas were 8.7%. Among them, the most released areas were in Yeosu, Jeollanam-do (60 times), and Pohang in Gyeongsangbuk-do (10 times). A total of 772 tests were conducted for 8 pathogens.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and Perkinsus marinus were the most commonly tested with 291 and 146 numbers, respectively. Red seabream iridovirus (RSIV) and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were tested as the order of 129 and 126, taura syndrome virus (TSV) 34, spring viraemia of carp virus (SVCV) 26, koi herpesvirus (KHV) 15, and Aphanomyces invadans 5, respectively. Of the total 772 testes subjected, only one (0.13%) sample (swu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showed WSSV positive whereas other tests confirmed negative. As an outcome of the current study, most of the fishery seeds produced in Jeollanam-do area appear to be negative for the listed infectious disease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leasing fishery seeds are free from the listed infectious pathogens (except for one case of WSSV). However, in Jeollanam-do, the following points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releasing the aquatic animal seeds in order to prevent pathogen spread. First,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 unlisted pathogens that can cause mass mortalities among major aquatic organisms produced in Jeollanam-do.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a method with higher detection sensitivity than the existing inspection method. Third,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aquatic pathogen monitoring in natural water bodies to establish a robust and reliable data related to disease management, such as the distribution of pathogens in the waters discharged from Jeollanam-do, the point of detection, and the susceptible host distribution.

      • 전라남도 골프장의 브랜드자산이 고객만족 및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민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골프장의 브랜드자산이 고객만족과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최용수(2009), 하영삼(2005), 이남미(2001), 조송현(2002), Bitner(1990), 최지원(2000), 김병욱(2002) 등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골프장 브랜드자산, 고객만족, 구매 후 행동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전라남도 골프장 이용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였다. 총 430명을 표집한 후 적절하지 않는 26부를 제외하고 404부를 최종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18.0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전라남도 골프장의 브랜드자산 차이 결과 성별에서는 남, 여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연령, 월소득, 골프경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직업에서는 인지도, 이미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타수에서는 품질, 인지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전라남도 골프장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인 품질, 이미지요인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도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은 구매 후 행동인 재방문과 타인추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라남도 골프장의 브랜드자산 구성요소인 품질, 인지도, 이미지요인모두 구매 후 행동인 재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다른 구매 후 행동인 타인추천에는 품질, 이미지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도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figuring it out to the effect of the brand equity of golf courses in Jeonnam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t purchase behaviors. To make this goal, the study sets up the models of the brand equity of golf course,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t purchase behaviors, based on the existed researches like Choi, Yong Soo(2009), Ha, Young Sam(2005), Cho, Song Hyeon(2002), Kim, Byoung Wook(2002), Lee, Nam Mi(2001), Choi, Ji Won(2000), Bitner(1990), and so on. The study selects the visitors to the golf courses in Jeonnam as its population, and uses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questionaries were filled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After sampling 430 questionaries, the study uses totally 404 questionaries as its final data, excepted from 26 ones which are inappropriate to this study. The study examines the fit of models by SPSSWIN ver. 18.0, and then examines each hypothe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ifference of the brand equity of golf courses in Jeonnam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distinction of sex, and also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ge, monthly income, and golf career. For an occupation,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recognition and image, and also for the number of strokes, there i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quality and recognition.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it makes a meaningful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o the factor of quality and image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brand equity of golf courses in Jeonnam, but the factor of recognition doesn't make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it. Third, the result shows that customer satisfaction make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post purchase behaviors like revisit and recommendation to others. Finally, the results shows that it make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post purchase behavior like the intention of revisit to the components, such as the factors of quality, recognition, and image, of the brand equity of golf courses in Jeonnam, but doesn't effect on another post purchase behavior like the recommendation to others.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factor of recognition doesn't make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it.

      • 전라남도 5·18민주화운동 구술기록 수집방안

        박성용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5·18민주화운동은 법적으로 공식화된 명칭이지만 ‘광주’라는 수식어가 여전히 탈피되지 못하고 있다. 전라남도도 광주와 마찬가지로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장소라는 인식이 부재한 상태이다. 후속 연구들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시민들의 ‘5·18 정신’, 즉 공동체 정신과 희생 등을 전라남도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식의 부재는 기록의 부재로 이어져, 전라남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기록은 수집·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구술기록은 어떠한 기록보다 5·18민주화운동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기록이다. 특히 전라남도는 기록의 부재의 상황 속에서 구술기록의 역할은 더욱 커진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항쟁의 참여 주체인 ‘5·18민주유공자 나주동지회’가 자신들의 구술기록을 수집하여 책으로 발간하였다. 이 사업을 분석함으로써 분명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동시에 현 상황에서 전라남도 5·18민주화운동 구술 기록화 사업이 원활히 진행되기 어려운 한계점들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바탕으로 전라남도 5·18민주화운동에 관한 제도적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표적으로 5·18민주화운동에 관한 전라남도와 전라남도 교육청의 조례를 통해 후속 사업들을 구체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5·18민주화운동 기념사업에 대한 지원방안이 비교적 잘 정착되어있는 광주광역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은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의 지속적인 협력관계로서 5·18기록을 관리해야 함을 알 수 있다. 4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왜곡 시비가 반복되는 상황 속에서는 시민들의 인식이 법적 정의만큼 중요하게 작용하는 역사이다. 이를 위해서 시민 참여형 전라남도 5·18민주화운동 구술 기록화 사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과 시민이 함께 참여하여 5·18민주화운동 구술기록이 가지는 정동적 가치를 보다 적극적으로 경험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지역 학생들이 함께 구술기록을 수집한 ‘오성마을 인물백과사전’만들기 사업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5·18민주화운동의 맥락 속에서 탈락되어 왔던 여성 활동가들을 함께 포함하기 위한 사례 중 『광주, 여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중층기술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5·18민주화운동에서 전라남도를 함께 포함하기 위한 중층기술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s a legally formal name, but the word "Gwangju" is still not been included in there. Just like Gwangju, Jeollanamdo also has no perception that it is a historical place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rough follow-up studies, the “5.18 Spirit" of citizen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value of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at is, the community spirit and sacrifice, were also found in Jeollanamdo. The absence of awareness like this, led to absence of records. Therefore, the records of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Jeollanamdo have not been properly collected and managed untill today. The oral records are the records that can explain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more than any other records. Especilly, for Jeollanamdo, the importance of oral record gets way bigger because of the absence of awarenes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e association of 5.18 merits in Naju’, which was the participants of movement has collected their own oral records and published as a book. We could find clear significance from analyzing this project. And at the same time, we also derive some limit points that making oral records projects of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Jeollanamdo hard. Through these limit points, we will analyze the systematic problems about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Jeollanamdo. Representatively, we propose a plan for specific supporting on follow-up projects through ordinances of Jeollanamdo and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on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we’ ll check the case of Gwangju, where the supporting plan for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memorial projects are relatively better than Jeollanamdo. Tho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records of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should be managed in the continuous cooperative relationship of Jeollanamdo and Gwangju. It’s been more than 40 years later now, but the distortion on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s still continuing.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s a history, that the citizens' perceptions play an important role as much as legal definition. For this, this study proposes a plan for the oral records project of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Jeollanamdo, which is the citizen participation typ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citizens, will make the experience of affective value in the oral records of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more actively. As a basic reference for this plan, we have checked the case of ‘Oseong village character dictionary’, which is the oral record collecting project led by local students. Also, by analyzing the book 『Gwangju, women』, this study tried to include women activists who dropped out from the context of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is can be seen as attempt to make thick description for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Likewise, in this study, we want to proposes the necessity of thick description to include Jeollanamdo in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 1926년 전라남도물산공진회·조선면업공진회 연구

        최혜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글에서는 지방에서 열린 박람회 중 하나인 ‘전라남도물산공진회’와 ‘조선면업공진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박람회는 전라남도의 주최로 1926년에 ‘목포 개항 30주년’과 ‘육지면 재배 20주년’을 기념하여 목포에서 동시 개최되었다. 명칭이 2가지로 사용되었지만 실은 그것들은 같은 기간, 동일 회장에서 열린 행사이다. 박람회는 산업적인 선전의 장이지만, 식민 통치의 정당화가 이루어지는 장이기도 하다. 때문에 전라남도 목포에서 열린 박람회를 식민주의와 연결시켜 접근하였다. 우선, 박람회 개최가 결정되고 추진되는 과정과 박람회 흥행을 위한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박람회의 전시관 구성 및 출품물 그리고 시상 제도를 살펴 식민지 민중을 어떻게 훈육하고자 했는지 파악하였다.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경제 정책은 미·면·견의 증산으로 대표되는 ‘산업제일주의’였다. 이 세 가지 작물의 증산이 요구된 것은 일본의 사정 때문이었다. 미·면·견의 증산을 위해서는 이 세 작물의 최대 생산지인 전라남도를 기점으로 하여 생산력을 확대해나가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강압적인 방법으로 재배를 독려하는 방법에는 한계가 분명하였다. 때문에 전라남도물산공진회·조선면업공진회라는 2가지 메가 이벤트를 전라남도 목포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전라남도에서 전체 인구가 가장 적은데도 불구하고 박람회 개최지가 된 배경에는 목포가 가지고 있는 면화 생산지로서의 역할과 전라남도 전체를 관통하는 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이 중요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당시에 도시 인프라 구축이 일본인 거주지를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전라남도에서 일본인 인구가 제일 많은 목포에 기반 시설 구축이 잘 되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박람회 주최측은 조선총독부의 산업 정책에 식민지 민중이 발맞추어 따라오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출품과 전시 및 수상 제도를 통해 생산자들이 특정 기준의 상품들을 만들도록 훈육하였다. 특히 전시는 실제 사물을 제시하고, 한 번에 많은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비용효율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공람하면 할수록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관람자를 끌어 모으기 위해 주최측은 개최 준비 과정에서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한 선전을 했다. 그리고 박람회 진행 과정에서도 여러 가지 부대행사와 사람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볼거리들을 제공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Jeollanam-do local products Exhibition and Joseon cotton industry Exhibition, one of the exhibitions held in districts. At the same time, the exhibitions were held at Mokpo in memorial of the 13th anniversary of ‘Mokpo Port Open’ and of the 12th anniversary of ‘Land Cotton Cultivation' hosted by Jeollanam-do in 1926. The two titles were used, but in fact, they opened at the same places for the same period. A exhibition was aimed not only at the advertisement of industrial advertisement, but also at the justification of colonial rule. So,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approached the exhibition expected to be held at Mokpo, Jeollanam-do with colonialism. At first, this thesis examined the courses by which the exhibitions were determined and propelled under the colonial policy in 1920s. This thesis found out how japanese imperialism instructed the colonial publics to gasp concrete exhibition holding courses, exhibition hall compositions, display items, and award systems. Besides, this thesis found out the way to lead the exhibition to box office hit. In 1920s,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propelled the economic policy of ‘ industrial prioritization’ represented by the increase of rice, cotton, and silk. The circumstances of Japanese Empire demanded the increased production of these three crops. It was effective to develop productive capability, starting from Jeollanam-do, the maximum production site of three crops, in order to increase them. But,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reached the clear limit in the method of encouraging to cultivate crops by the oppressive way. So, it made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hold the two mega events of Jeollanam-do local products Exhibition and Joseon cotton industry Exhibition in Mokpo, Jeollanam-do. Though the least population resided at Mokpo in Jeollanam-do, the exhibition was held in Mokpo because Mokpo took the biggest role as a production site of cotton and as a trade port which went through the whole of Jeollanam-do. Furthermore, the urban infrastructures were mostly constructed at the area in which Japanese resided at that time. Infrastructures were constructed well at Mokpo in which the most Japanese resided in Jeollanam-do. The exhibition host intended to induce colonial publics to follow Th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s industrial policy. They educated manufacturers to produce specific standard goods through the systems of display, exhibition, and prize. Especially, a exhibition is uniquely efficient in cost, because participants presented real goods to many spectators. The more people watched the exhibition, the more effective the exhibition was. So, when the host prepared the exhibition, they advertised it through many media in order to gather many spectators. The host held many subsidiary events and offered interesting spectacles in the course of the process of the exhibition.

      • 전국 광역자치단체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분석 및 특성 :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이종성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2000년대 초, 국내에서 디자인이 사회적 문제해결 방안으로 인식되었고 2006년 법제화 시도와 2008년 서울특별시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으로 이어졌다. 이후 지자체별 공공디자인 수립과 재수립 등의 형태로 진화하고 하였고 학술 분야 역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국 광역지역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전국 17개의 광역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전수조사하였고 전라남도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타지역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비해 어떠한 특징을 가지며 보완점은 무엇인지 모색해 보고 전라남도 지역의 현황과 정책에 맞는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내 디자인정책의 흐름과 도시디자인과 공공디자인의 관계를 정의하고 관련 법률과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둘째, 전국 광역자치단체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구성, 정의, 목적, 대상요소, 농어촌관련 요소, 체크리스트를 비교하여 각 광역자치단체별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셋째, 전라남도 현황을 살펴보고 전라남도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 2010년과 2016의 대분류별 기본원칙과 구성체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넷째,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독립적으로 가이드라인을 수립, 시행하는 지역자치단체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전라남도, 다섯 단체로 나타났다. 2016년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경우, 일반적 분류 외에 지역유형별-4가지, 특화유형별-3가지 구분을 추가하여 총 3가지 구분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의 공공디자인 정의는 범용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범죄예방디자인, 환경디자인을 포함하고 있어 다른 지역자치단체 보다 포괄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상위분류를 살펴 보면, 공공공간, 공공시설물(도시시설물), 공공시각매체, 공공건축 순으로 가장 많은 항목을 형성하고 있었다. 공공공간은 모든 광역지역자치단체가 상위 분류 항목으로 선택되어 있었다. 공공시설물은 2010년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고 2016년 개정본부터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울산광역시), 공사용 임시시설물(대구광역시), 야간경관(대구광역시), 특화가이드라인(세종특별시), 공공이미지(전라남도 2016), 인지건강디자인(충청북도) 등은 다른 광역지역자치단체의 상위분류에 포함되지 않은 독특한 항목들이다.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010, 2016을 비교해 보면, 소분류 항목이 총 68개에서 56개로 간략해진 반면, 대분류 항목은 대상별, 지역유형별, 특화유형별 가이드라인 설정으로 복잡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본원칙 특성분류를 통해 분석한 결과, 2010년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비해 2016년 가이드라인은 공공공간(공공성, 연속성), 공공건축물(친환경성, 접근성), 공공시설물(편리성, 효율성), 옥외광고물(통일성, 심미성, 투명성)에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 전라남도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문제를 안고 있다. 관광자원이 많은 전라남도에 방문객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전라남도는 정책적으로 귀농, 귀촌 등 다양한 인구유입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전라남도의 상황에 대한 공공의 디자인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2016년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지역 유형별, 특화 유형별, 대상 요소별유형으로 세분화하고 각 동, 리 단위로 까지 나누어 분리하고 있다. 이러한 세밀하고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분류를 벗어나 새로운 분류 기준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속 항목에서 고령자를 위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판단한다. 고령자를 위한 인지건강디자인 등 공공디자인적 방안이 절실해 보인다. 전라남도는 인구수에 대비 고령인구가 많은 지역자치단체이기 때문이다. 셋째, 방문객과 정주자, 거주자를 배려한 범죄예방디자인이나 유니버설디자인 등 안전과 편리에 대한 영역으로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이 넓혀지길 기대한다. 전라남도는 지리적지역적 특성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In the early 2000s, design was recognized as a method to solve social problems in Korea, leading to attempts for legislation in 2006 and the “establishment of public design guidelines” by Seoul in 2008. Since then, it has evolved in the form of establishing and re-establishing public design by local authorities, and various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However, research on public design guidelin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blic design guidelines of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in Korea. It compared and analyzed the public design of Jeollanam-do.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compared to other regions’ public design guidelines and suggested public design guidelines that fit the status and policies of the Jeollanam-do region. The following methodology was adopt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of domestic design policy and urban design and public design was def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related laws was also summarized. Seco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metropolitan government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composition, definition, purpose, target elements, rural-related elements, and checklist of the nationwide metropolitan government public design guidelines. Third, the status of Jeollanam-do was examined, and the basic principles and composition systems for each major classification of the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2010 and 2016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urth,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e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were proposed. The five local governments that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guidelines independently were found to be in Seoul, Gyeonggi-do, Daegu, Ulsan, and Jeollanam-do. In the case of the 2016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in addition to the general classifications, there were a total of three classifications by adding four categories by region type and three categories by specialized type. The definition of public design in Chungcheongnam-do and Daejeon includes general-purpose design, universal design, crime prevention design, and environmental design. Hence, their definition is more comprehensive than other local governments. Looking at the upper classification of the public design guidelines, the most items were in the order of public spaces, public facilities (urban facilities), public visual media, and public buildings. As for public spaces, all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re selected as the top classification item. The public facilities were not included in the subject of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in 2010 and began to be included in the revised version from 2016. Universal design (Ulsan), temporary construction facilities (Daegu), nightscape (Daegu), specialized guidelines (Sejong), public image (Jeollanam-do), and cognitive health design (Chungcheongbuk-do) were the unique items not included in the top classification of other metropolitan governments. Comparing the 2010 and 2016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small category items was simplified from 68 to 56, while the large category items became complicated by setting guidelines for each target, regional type, and specialized type.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catego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principle, compared to the 2010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the 2016 guidelines had various characteristics in public spaces (publicity, continuity), public buildings (environmental-friendliness, accessibility), public facilities (convenience, efficiency), and outdoor advertisements (unification, aesthetics, and transparency). Recently, Jeollanam-do has been facing problems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The number of visitors has continued to increase in Jeollanam-do, where there are significant numbers of tourism resources, and Jeollanam-do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population inflow policies, such as returning to farming and returning to rural areas. It seems necessary to have a public design plan for the situation in Jeollanam-do. The researcher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were proposed to be subdivided into types by region type, specialized type, and target element, a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Jeollanam-do by dividing them into each Dong and Ri units.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in 2016 need new classification standards, which are not too detailed, complex, and confusing. Second, consideration for the elderly is insufficient in the items in the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Public design measures like cognitive health design for the elderly seem urgent. This is because Jeollanam-do is a local government with a large elderly population. Third, the Jeollanam-do Public Design Guidelines will be expanded to areas of safety and convenience, such as crime prevention design and universal design, which are considerate of visitors, regular residents, and residents.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tourists seeking geographic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has been increasing in Jeollanam-do.

      • 農産物 輸出 促進 方案에 關한 硏究 : 全羅南道 地域을 中心으로

        김종현 湖南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0

        WTO체제의 출범으로 인하여 농산물의 국제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세계의 모든 국가들은 농업이 처한 여건에 따라 제각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는 상황이다. 어느 나라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 우리나라도 수출을 활성화 시킬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어떠한 방법으로 활성화 시켜야 할지에 대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수출을 수출지원 제도만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에 병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출 구조적 측면을 제시하고, 생산자, 수출업체, 인프라 부문으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제1장의 서론에서는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였고, 본 연구의 접근방법과 범위를 규정하였다.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UR농산물 협정과 WTO체제하의 농산물 수출에 관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 사항으로, UR농산물 협정과 WTO의 출범과정에 따른 농산물 통상환경의 변화를 고찰하고, 이 변화가 우리나라의 농업과 농산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보았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 WTO체제하에서 우리의 농업이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지만, 국제규범 및 무역의 흐름에 맞게 농업정책의 기본 틀을 만들어 나가고, 경쟁력 있는 수출농업의 육성을 통해 국제경쟁력에 대응한다면, 수출활로를 모색해 나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제3장 농산물의 수출 현황과 문제점에서는 국내외의 관련 자료를 통해 전라남도 신선농산물과 신선채소류의 생산 및 수출현황을 알아보고, 신선채소류의 수출이 일본시장으로 집중되어있는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 일본시장의 특성과 일본시장으로의 수출확대의 가능성, 수출구조변화를 조명해 본 후, 내·외부적 수출경쟁력과 함께 수출지원제도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농산물 수출이 종래의 가공농산물 위주에서 최근에는 수출증대 정책에 힘입어 신선농산물인 채소, 과수, 화훼 등이 수출주력 품목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채소류는 오이, 토마토, 파프리카의 신장세에 따른 수출증가, 특히 채소류의 주 수출 대상국인 일본의 농업인구의 고령화에 의한 노동력의 부족 등 농업의 구조적 변화에 기인한 생산량의 감소로 수출의 호기를 맞아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할 시장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수출물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제4장에서는 전라남도 지역의 농산물 수출 촉진 방안으로서, 우선 전라남도 지역 농산물의 수출확대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전라남도 지역 농산물 수출촉진전략의 기본방향, 수출전략품목 육성방안, 해외시장 개척활동 및 행정지원체제의 강화를 위한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라남도 지역의 신선농산물의 수출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제약요인 및 문제점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요약, 기술하고 수출구조 및 수출지원제도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보았으며,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다음 몇 가지를 나열하였다. 첫째, 신선채소류의 경우, 수입국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하게 변화하므로, 외국의 생산 및 재배기술을 습득하고 경영기술을 적극 개발하여 생산 원가절감을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하며, 수출전문 생산단지의 정비·육성을 통한 수출대상 농산물의 효율적 생산체제를 마련하여야 한다. 생산시설을 현대화하고, 공동 수출협의회 등의 조직화를 통하여 경영비용과 유통비용을 저감시키며, 수출경쟁력 있는 작목으로의 재배로 전환시키고, 생산농민에게 수출대상국 소비자의 기호, 유통구조, 선호품종과 상품화 정보 등 다양한 해외시장 정보를 제공하여, 품질경쟁력을 제고시켜 생산자 스스로 수출에 관한 의식을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출전문 생산단지에 대하여는, 단지별 전문지도사를 배치하여 재배 및 상품화에 관한 기술 지도를 강화하고, 생산·유통시설 자금을 우선 지원 받도록 하며, 수출컨설팅의 실시로 정예화를 유도하여야 한다. 둘째, 수출업체는 품목별 수출업체 협의회를 구성하여 업계의 자율적인 수출관련 정보교환, 덤핑 및 과당경쟁 방지를 위한 관리체계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는 수출기관의 개입을 배제하고 업계 스스로 자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되, 협의회에 가입된 업체의 이기주의에 좌우되지 않고 수출업체 전반에 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수출업체가 계약재배의 활성화를 주도하여 수출규격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산지와 쌍방향의 생산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며, 국내 가격 상승시에도 수출계약을 포기하지 않고 수출보존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지원제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셋째, 수집·선별·포장·수송의 효율성 증대로 물류비를 절감하며, 신선농산물의 원활한 수송을 위한 수출물류개선 종합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냉장컨테이너의 탄력적 운용을 통해 경쟁상대국에 비해 과중한 물류비의 부담을 줄여 주어야 한다. 한편, WTO의 허용보조 범위 내에서 정부차원의 농산물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의 활성화와 수출보험공사의 보증대상 포함 및 수출보험제도의 개선, 총액한도 대출상의 제한 완화 등 농산물 수출업체의 전반적인 금융·신용제도의 여건을 개선해 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수출을 수출지원 제도만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전제하에 이에 병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출 구조적 측면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우리나라 신선농산물 수출의 획기적인 활성화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출 당사자 모두의 노력과 함께 상당한 재원이 요청되는 것이 사실이나, 이에 따른 투자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수출지원제도의 개선만으로도 상당부분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이의 효과적인 시행이 요구된다 하겠다. 전라남도 지역의 신선농산물 수출이 어렵긴 하지만, 끊임없는 시행착오와 노력으로 불가능하게만 보였던 품목들이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계속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외국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우수한 품질을 생산하고 수출하는 것은 무한경쟁시대에 세계의 농산물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며 유일한 길이기도 하다. 이상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자와 수출업자의 적극적인 수출의지와 함께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인 지원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 사용된 중심술어는 UR농산물 협정, WTO체제, 전라남도 신선농산물 및 신선채소류, 수출구조, 정부의 행정지원제도, 수출활성화 등이다. With the inception of the WTO, international competition to export farm produce is getting more and more intense, and so, all the countries are trying their best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to increase the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Since there are limits to accelerating the export by export support systems alone, I would like to propose some plans for solving problems of structural aspects of the export in terms of the producers, export companies and infrastructures. Especially, I have chosen, as the focus of the study, the competitive products among vegetables, fruits, flowers, processed products, and forest products of JeollaNamdo Province; analyzed their export conditions and competitiveness; searched the ways of facilitating their export. In chapter 1, I described th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lso the approaches and scope of the study. In chapter 2, I studied how the UR farm produce agreement and the WTO affect our agricultural industries and exports. It was found that the promising fields of exportable farm produce suitable for trade trends should be cultivated. In chapter 3, I studie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export and its support systems of farm produce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Export of fresh farm produce to Japan were found to be optimistic. In chapter 4, the factors and problems that hinder the export of fresh farm produce of JeollaNamdo Province and the policies that promote its export were focused on. In this chapter, It was found that the promotion policies only were not enough to increase its exports. The structural aspects and develop the new export strategies have to be improved. We have to produce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suitable for the tastes of foreign consumers in order to compete successfully with other countries. We will have to make persistent efforts to materialize the goal by combining the positive supports of government and the strong will of the producers and exporters.

      •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공무원의 교육훈련 운영실태 비교 분석연구 : 전라남도교육연수원 교육훈련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박소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99

        Initially established as Jeollanam-d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for Teachers on October, 31 in 1987, Jeollanam-d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was opened as a institute exclusively for the purpose of educational training by integrated three educational institute includingChung-eui Educational Institute, Jeollanam-do Educational Institute and Mudeung Camping Center. Since then, it has been used for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eachers and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until now.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training operation for the teachers and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in Jeollanam-d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teachers and that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in detail. Thehuman organization of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is constituted of teachers, who are national officers, and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Thus, the educational training in Jeollanam-d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which is the institute directly affiliated in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is carried out for the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dens,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s and high schools as well as the offices in the specialty positions of the administrative institute all over a year.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is also performed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working in variou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schools all the year round.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eachers and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working has been compared as followings: First, with respect to the objective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only the overall objectives for the educational training at Jeollanam-d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re is no clear discrimination between the objectives for the teachers and those of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Therefore, the comprehensive goals for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teachers and the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are not set yet, but the objectives that are not systematically organized are presented for each training course. The sixteen education training institutes in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ll over Korea have the same situation like the Jeollanam-d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The educational training is operated independently for the teachers and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even though only overallobjectives for the educational training are established, not respectively for the teachers and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Second,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training, the educationtraining for the teachers takes more part than that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since Jeollanam-d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was initially established targeting teachers rather than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While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teachers are carried out in 9 stages,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omits three of these stages, indicating that the educational training course forthe latter is a little more insufficient. Third, regarding the operationof the courses in the educational training, the period of the education training for the teachers are concentrated on the winter vacation (January - February) and summer vacation (July - August) in order not to miss classes since the teachers'main duty is to teach the students. However,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is usually performedthe period except the vacation season since they are not in charge of teaching the students. The methods for education training is divided into group training, remote training and entrusted training. For teachers, the ratio of group training is the highest as 73.8% followed by 26.2% of remote training and 2.4% of entrusted training. Only group training is carried out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not remote training and entrusted training. Fourth,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training, the courses includes the subject related to teaching by the teachers such as enhancement of specialty for each teaching subject, enhancement of teaching ability for effective learning, elevation of educational capability,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in schools and development advanced teaching ability for the subjects. The courses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consist of the subject focused on the job ability including practical accounting course, double-entry bookkeeping accounting course, and educational administrative management course. Fifth, regard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training feedback,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the teachers were 76.09% for 'High,' 22.09% for 'Middle,' and 1.82% for 'Low.' For the elementary course qualification training, which is provided the teacher who has the teaching career for 3 years or mor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 as 46.85%, while relatively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as shown for the courses in which more experienced teachers are supposed to participate. This shows that the training independentupon the teaching subjects gives more satisfaction to teachers than the training focused on the teaching subjects. In case of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they had more satisfaction from the course more closely related to their job duties. Sixth, regarding the human resourcesof the lecturing, teachers give lectures to the teachers under training for 24.1% and 0.6%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gave lecture to the teachers for 13% and to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for 0%. University professors gave lecture to the teachers for 5.8% and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for 2.9%. The professionals or administrative offices gave lecture to the teachers for 23.2% and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for 61.9%. While the ratio of professors, principals, vice-principals and teachers in lecturing was 60% for the training for teachers, the ratio of professionals or administrative offices was 61.9 for the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From the result of the suchlik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training operation, we could understand that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training for teachers and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such as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urses and others. In conclusion, since specified objectives for teachers and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are not establishedrespectively but only integrated and overall goals are available, the consistency of respective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and officers in municipal administrative positions can be guaranteed if the specified training objectives for teachers and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are set independently. This suggestion is applied not only to the Jeollanam-doEducational Training Institute but also to the sixteen education training institutes in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ll over Korea.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training conducted in all the education training institutes, the teaching system design theory should be prepared for teachers and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clearly establishing different objectives for teachers and officers in municipaladministrative positions independently. 전라남도교육연수원은 1987년 10월 13일 전라남도교원연수원으로 개원하여 1995년 9월 1일 충의교육원, 전라남도교원연수원, 무등야영장 3개 교육기관이 통합하여 교육훈련전문기관으로 개원하였다. 개원 이래 현재까지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 교육훈련을 담당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교육연수원에서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교육훈련운영의 실태를 파악 검토하고,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교육훈련 세부사항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차별화 하는 요인을 찾아내고 그 내용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전라남도교육청의 인적조직은 국가공무원인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라남도교육청 산하 직속기관인 전라남도교육연수원의 교육훈련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원 및 각급 행정기관에 근무하는 전문직을 대상으로 연중 연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교육훈련 역시 행정기관 및 각급학교에 근무하는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연중 연수를 실시하고 있다.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연수운영 실태를 비교 검토한 내용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연수목표를 살펴보면 전라남도교육연수원의 교육훈련목표는 전체적인 목표만 설정되어 있을 뿐 교원의 연수목표와 지방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연수목표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총괄적인 연수목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체계가 부족한 목표가 연수 과정별로 제시되고 있었다. 전국 16개 시·도 교육연수원도 전라남도교육연수원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연수목표만 설정되었고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에 대한 교육목표가 각각 설정되어있지 않으면서 교원과 지방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연수운영은 각각 운영되고 있다. 둘째, 교육훈련시행을 살펴보면 전라남도교육연수원은 전문교육훈련기관으로써 설립당시 교원연수원으로 개원함에 따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보다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의 비중이 높은 실정이며, 교육훈련에 따른 교육과정 개설 절차가 9단계에 걸쳐 실시되는데 행정직은 3개의 단계는 생략함으로서 전문직인 교원에 비하면 교육훈련 교육과정 편성에 약간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훈련 과정운영을 살펴보면, 교육훈련시기는 교원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수업을 주 업무로 하기 때문에 수업결손을 막기 위하여 동계방학(1~2월)과 하계방학(7~8월)에 46과정의 연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은 학생들 수업부담이 없으므로 교원의 교육훈련이 실시되는 방학을 제외한 시기에 주로 실시되고 있으며, 교육훈련 방법은 집합연수, 원격연수, 위탁연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교원의 경우 집합연수의 비율은 73.8%로 가장 높고 원격연수의 비율은 26.2%, 위탁연수의 비율은 2.4%이다.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경우 원격연수와 위탁연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집합연수로만 진행되고 있다. 넷째, 교육훈련 과정내용을 살펴보면, 교원은 교과에 대한 전문성 신장, 교과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지도 능력 신장, 교과교육 역량제고, 학교현장의 수업방법개선, 교과에 대한 심화지도 능력 배양 등 교원의 수업과 관련된 교과목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은 회계실무과정, 복식부기회계과정, 교육행정관리과정 등 직무능력신장 중심으로 과정이 편성되어 있다. 다섯째, 교육훈련 평가환류를 위한 만족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교원의 경우 평균만족도는 상이 76.09%, 중이 22.09%, 하가 1.82%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이 3년이 지나면 자격연수를 받을 수 있는데 초등 자격연수의 경우 만족도가 상의 빈도가 46.85%로 낮게 나타나있고, 반면 경력이 많은 교원들이 많이 참여하는 과정에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대체로 평균 만족도가 상이 83.67%, 중이 15.39%, 하가 0.95%로 교원에 비하여 상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원의 경우 교과중심으로 연수가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범교과적 연수에서 만족도가 높고 행정직 공무원의 경우 직무관련성이 높은 과정에 대해 높은 연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강사자원을 살펴보면 교원의 교사강사는 24.1%,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교사강사는 0.6%이며, 교원의 교장·교감강사는 13%,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교장· 교감강사는 0%이며, 교원의 대학교수강사는 5.8%,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대학교수강사는 2.9%이다. 또한 교원의 전문직·행정직강사는 23.2%이며,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직·행정직 강사는 61.9%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원의 교육강사 중 교수. 교장. 교감. 교사강사 비율이 60%를 차지한 반면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교육강사는 전문직. 행정직강사 비율이 61.9%를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육훈련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비교해본 결과로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은 교육과정 편성 및 여러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문제점에서 확인했듯이 전라남도교육연수원의 교육훈련 목표는 통합된 전체목표만이 설정되었고 하위목표인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각각의 목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각각의 하위목표를 설정하여 운영하면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과정별 연수목표에 일관성이 확보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단지 전라남도교육연수원 뿐만이 아니라 전국 16개 시·도 교육연수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문교육훈련기관으로써 모든 교육연수원에서는 교육훈련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교원과 행정직공무원에 맞는 교수체제설계이론을 개발하여 이를 토대로 차별화된 교원과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교육훈련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 전라남도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병에 대한 역학적 연구

        송현제 全南大學校 1995 국내박사

        RANK : 248687

        쯔쯔가무시병은 발진과 특징적인 가피를 동반하는 급성열성질환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토착병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가을철 우리나라 농촌지역에서 발생하는 급성열성질환의 약 40-50%를 차지하는 중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병은 1951년에 주한 UN군에서 발생한 보고가 있은 후 30년만인 1986년부터 우리나라 상주인에서 환자발생이 보고되었다. 그 후 환자에서 Rickettsia tsutsugamushi가 분리되었고, 우리나라 환자에서 분리되는 혈청형이 판명되었으며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보령주의 특성이 밝혀졌다.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이나 동물에 기생하여 조직액을 섭취할 때 R. tsutsugamushi가 사람에게 전파된다. 한편 털진드기의 체내에 R. tsutsugamushi가 감염되면 경란형 전파를 하기 때문에 계속 털진드기내에 병원체가 존속되며 보균된 유충이 조직액을 섭취할 때 병원체가 침입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수집된 털진드기는 39종으로 이 중 쯔쯔가무시병을 매개하는 털진드기는 Leptotrombidium pallidum과 L. scutellare가 알려져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R. tsutsugamushi 감염이 증명된 동물로는 들쥐인 Apodemus agrarius, Microtus fortis 및 집쥐인 Rattus norvegicus등의 설치류와 박쥐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R. tsutsugamushi에 대해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전라남도지역에서 쯔쯔가무시병의 역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첫째, 쯔쯔가무시병의 발생이 집중되는 시기에 들쥐를 채집하여 이들의 분포를 조사하고,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상을 조사하여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종으로 확인되었거나 의문시되는 주요종의 지리적 분포상을 알아보았다. 둘째, 수동혈구 응집반응법과 효소면역항체법에 의한 포획들쥐의 R. tsutsugamushi 항체 보유율을 알아보았으며, 셋째,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한 리켓치아 DNA를 검출하여 R. tsutsugamushi 감염률을 알아보았다. 넷째, 간접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하여 급성열성질환이 의심된 환자에 대해 R. tsutsugamushi 항체를 측정하여 감염양상, 지역별분포, 월별 발생실태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쯔쯔가무시병 환자발생이 많은 1993년 10월부터 12월에 걸쳐 전라남도 장흥군, 보성군, 화순군, 곡성군, 함평군, 담양군 등 6개지역에서 들쥐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중 Chemla식 814개의 wooden trap을 사용하여 총 142마리의 들쥐를 포획하였는데 그 중 A. agrarius가 131마리(92.3%)를 차지하여 절대 우점종이었고, Crocidura lasiura가 11마리로 7.7였다. 털진드기의 기생률은 포획한 들쥐 142마리중 92마리에 털진드기가 기생하여 69.0%의 기생률을 보였으며, 총 10,532마리의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74.2개체의 chigger index를 보였다. 이 중 A. agrarius는 73.3%의 기생률과 80.4개체의 chigger index를 나타냈으며, C. lasiurar의 경우는 18.2%의 기생률과 chigger index는 0.5개체이었다. 10,532개체의 채집된 털진드기는 4속 11종으로 동정되었다. 그 중에서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체로 알려진 L. pallidum과 L. scutellare가 각각 8,038개체(76.3%)와 1,359개체(12.9%)가 채집되어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대한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여 각 조사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다. 장홍군 장흥읍과 보성군 복내면에서는 L. scutellare가 8.9개체(100%)와 13.7개체(41.5%)로 절대 우점종이었고 화순군 능주면과 곡성군 삼기면은 L. pallidum이 각각 191.9개체(88.8%), 46.0개체(59.2%)로 우점종이었다. 함평군 월야면은 L. zetum이 5.1개체(77.3%)로 많았으며 담양군 담양읍은 L. palpale가 2.6개체(63.4%)로 우점종이었다. 지역별 털진드기의 밀도 비교에서 화순군 능주면이 216.2개체 (62.4%)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곡성군 삼기면이 77.7개체(22.4%)로 많았다. 199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전라남도 6개지역에서 포획한 들쥐에 대해 R. tsutsugamushi에 대한 항체를 조사하였다. 수동혈구응집반응법(passive hemagglutination assay : PHA)으로 119마리의 A. agrarius중에서 28마리에서 항체가 검출되어 항체검출률은 23.5였다. 들쥐의 채집장소에 따라 12.5%에서 29.4%까지 항체 검출률에 차이를 나타냈다. 8마리의 C. lasiura로 부터는 항체가 검출되지 않았다. 119마리의 A. agrariu 혈청 중에서 PHA법에 의한 1:80이상의 항체 역가를 나타낸 혈청은 11혈청으로 9.2%의 항체양성률을 나타냈다. PHA법에 의한 항체가 80배 이상의 혈청 11예 중에서 1예을 제외하고 ELISA법에서 흡광도 0.41이상으로 나타났으며, PHA법과 ELISA법의 양성 및 음성 판정 일치율은 89%였다. 들쥐의 쯔쯔가무시병에 대한 감염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전라남도 6개지역에서 포획한 들쥐의 혈청에 대해 capillary PCR법을 실시하여 리켓치아 DNA를 조사하였다. PCR법에 의해 127마리의 채집된 들쥐혈청 중 11예(8.7%)에서 리켓치아 DNA를 검출하였다. 119마리의 A. agrarius가운데 10마리(8.4%), 8마리의 C. lasiura 중 1마리(12.5%)에서 리켓치아 DNA를 검출하였다. 조사지역에시 포획한 127마리의 들쥐 중 PCR법에 의한 리켓치아 DNA의 검출과 PHA법에 의한 항체양성이 일치한 R. tsutsugamushi 감염률은 21마리로 16.5%였다. 지역적으로 담양군과 곡성군이 24.0%, 22.9%의 높은 감염률을 나타냈고 보성군을 제외하고 화순군, 장흥군 및 함평군에서 각각 13.3%, 12.5% 및 8.7%의 들쥐 감염률을 나타냈다. 1993년도에 전라남도에서 발생하는 쯔쯔가무시병의 발생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발열을 주증으로하는 급성열성 환자의 혈청을 각 보건소를 통하여 수집하여 간접 형광항체법에 의한 R. tsutsugamushi의 항체를 측정, 분석하였다. 총 82예중 39예인 47.6%가 항체 양성자였으며 남자가 51.3%, 여자가 48.7%의 항체양성률을 보였다. 50대가 전체 항체 양성자수의 30.8%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40대와 6O대가 전체 항체 양성자중 74.3를 차지하고 있었다. 항체 양성자수의 지역별 분포는 전라남도 27개 행정구역중 13개 시·군에서 항체 양성자를 나타냈다. 계절별로 10월과 11월의 항체 양성자는 전체의 87.2%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쯔쯔가무시병에 대해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전라남도지역에서 들쥐의 R. tsutsugamushi에 대한 감염률조사, 털진드기의 분포상 및 환자발생 상황을 알아봄으로서 전라남도지방의 쯔쯔가무시병 관리의 역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sutsugamushi disease(scrub typhus), the major cause of febrile illness in Korea, is caused by Rickettsia tsutsugamushi. Since several U.N. army patients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were first reported in 1951, the case had not been reported for more than 30 years until 1985. The first Korean tsutsugamushi patients were recognized in 1986 and the disease has been found to be prevalent in all areas of Korea. R. tsutsugamushi was also isolated in Korean residents in 1987. Thereafter, tsutsugamushi disease has been shown to be widely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Especially, the seropositive rate to R. tsutsugamushi among the patients with acute febrile episodes during October through November were 40-50%. The disease can be transmitted to the human when the chigger mites infected with R. tsutsugamushi bite accidentally the human. The trombiculid mites are known as both the vector and the reservoir host of R. tsutsugamushi because R. tsutsugamushi is transovarially transmitted to off-springs of the vector species. Among 39 species of trombiculidae collected in Korea, the mites which transmit R. tsutsugamushi have been reported to be Leptotrombidium pallidum and L. scutellare. In addition to the vector mites, many animals have been served as natural host for chiggers of the vector species. Quite a many wild mammals such as Apodemus agrarius, Microtus fortis, Rattus norvegicus, and bat have been known to be infected with R. tsutsugamushi by means of various antibody tests in Korea. R. tsutsugamushi from A. agrarius was also isolated. The author carried out an epidemiological study of tsutsugamushi disease in Chollanam-do in relation to the host rodents, such as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seroepidemiology, and infection rate with te causative agent. The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which are parasitic on these rodents was studied. Studies on the seroepidemsopogical patterns of patients sera with acute febrile episodes were also carried out. Studies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rodents collected at six localities of Chollanam-do from October to December in 1993 were carried out. Because the tsutsugamushi disease highly occured in this period, the field rodents were captured from October to December in our study. Among the total 142 field rodents trapped by the modified Chemla wooden traps, 131 rodents were A. agrarius(92.3%), the most dominant species, 11 rodents were C. lasiura(7.7%). Out of the 142 field rodents, 92 were parasitized by chiggers, showing 69.0% of the infestation rate and 74.2% of the chigger index. Infestation rate and chigger index of A. agrarius and C. lasiura were 73.3%, 80/4 and 18.2%, 0.5, respectively. From the trapped field rodents, 10,532 chiggers were obtained and identified with 11 species of 4 genera. L. pallidum,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was the dominant species, showing 8,038 chiggers(76.3%) of the total. L. scutellare was the second dominant species as 1,359 chiggers(12.9%). The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was clearly localized by the species, thus showing the different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localities. The predominant species was L. scutellare(100%) in Changhung-gun, L. scutellare(41.5%) Posong-gun, L. pallidum(88.8%) Hwasun-gun, L. pallidum(59.2%) Koksong-gun, L. zetum(77.3%) Hampyoung-gun, L. palpale(63.4%) Tamyang-gun. Regard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higger population density, the infestation rate and chigger index was most high at Hwasun-gun as 62.4% and 216.2 and next high in Koksung-gun as 22.4% and 77.7, respectively. Antibodies in the sera of field rodents against R. tsutsugamushi were investigated by PHA and ELISA. Among 142 captured field rodents, 127 sera(119 sera from A. agrarius, 8 from C. lasiura) were used in this study. Positive rate of antibody to R. tsutsugamushi in A. agrarius PHA were 9.2%(11 out of 119 mice) and the antibody against R. tsutsugamushi was not detected in all the sera of 8 C. lasiura. Among 11 sera that had higher titers than 1:80 by PHA, 10 sera showed higher ODs than 0.41 by ELISA. The consistency rate between PHA and ELISA was 89%. To understand the infective patterns against R. tsutsugamushi in the field rodents at Chollanam-do, the 127 sera of field rodents captured at 6 localities from October to December in 1993 were tested for rickettsial DNAs of R. tsutsugamushi by PCR. The rickettsial DNAs in the 11 sera of the 127 field rodents(8.7%) were detected by PCR. Detection rate of the rickettsial DNAs in the field rodents was 8.4% in A. agrarius(10 out of 119 mice) and 12.5% in C. lasiura(1 out of 8 mice). When the positive rodents' sera by both PHA and PCR were considered to be infected with R. tsutsugamushi, the infection rate in the field rodents captured at Chollanam-do was 16.5%(21 out of 127 mice). Regionally infection rate of R. tsutsugamushi was 24.0% in Tamyang-gun, 22.9% Koksong-gun, 13.3% Hwasun-gun, 12.5% Changhung-gun, and 8.7% Hampyoun-gun. To understand the seroepidemiological patterns of scrub typhus in Chollanam-do, 82 patients sera with acute febrile episodes from 27 local health centers were tested for the antibody to R. tsutsugamushi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93. Out of 82 patients, 39(47.6%) patients showed positive reaction to R. tsutsugamushi and the male outnumbered the female slightly. 30.8% of seropositives to R. tsutsugamushi was in the age of the fifties and between the forties and sixties of the age were 74.3%. Among 27 local health center. 13 showed positive reaction to R. tsutsugamushi. Scrub typhus was the most prevalent in October and November, showing 87.2% of total These results might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scrub typhus in Chollanam-do, where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n scrub typhus was not carried out enou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