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Identification of gut microbial marke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Koreans via machine learning

        김현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계 학습을 이용한 한국인 염증성 장 질환의 감별 진단을 위한 장내 미생물 표지자 식별 김현우 생명정보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비록 염증성 장 질환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지 만, 최근 연구들은 장내 미생물 군집의 불균형과 관련될 수 있다는 연관 성을 시사합니다. 이 연구는 한국인 IBD 환자와 건강한 개인들의 대변에 서 독특한 미생물 군집 패턴을 조사하고 질병 예측을 위한 잠재적인 장 내 미생물 표지자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전향적인 다중 센터 연구는 염증성 장 질환 환자 (CD: n = 671, UC: n = 114) 및 건강한 대조군 (HC: n = 1,46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6S rRNA 유 전 서열 분석을 사용하여 장내 미생물을 분석하였습니다. 알파 다양성 분석 결과, IBD 환자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은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 예측 모델은 IBD와 HC 를 구분하는 데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평균 정확도: 0.95 및 AUC: 0.992), CD와 UC를 구별하는 데도 우수한 정확도 (0.945)와 AUC (0.988) 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IBD 환자에서 관찰된 독특한 장내 미생물 군집 패턴을 강조하며, 잠재적인 장내 미생물 표지자에 대한 가치 있는 통찰 력을 제공합니다. Identification of gut microbial marke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Koreans via machine learning Kim, Hyeonwoo Department of Bio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Although the exact cau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has not been clearly identified yet, recent studies suggest associations with an dysbiosis in the gut microbiom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unique microbial community patterns in the feces of IBD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in Koreans and identifying potential gut microbiome markers for disease prediction.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CD: n = 671, UC: n = 114) and a healthy control group (HC: n = 1,462) for gut microbiota analysis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The α-diversity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diversity of the stool microbiome in IBD patients when compared to that of HC groups. The disease prediction model demonstrated high performance in classifying IBD from HC (mean accuracy: 0.95 and AUC: 0.992) and performed well in discriminating between CD and UC, with good accuracy (0.945) and AUC (0.988). These results highlight the distinctive gut microbial community patterns observed in Korean IBD patients and offer valuable insights into potential gut microbial markers.

      • 20세기 이후 미술에 나타난 시각예술작품과 행위의 교차성 연구 : 사례 작가 고찰과 본인 작품 해석을 중심으로

        김현우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is concerning the concept of ‘action’ in the fields of artincluding installation and sculpture since the 20th century. My work displays a communication involving the ‘artist′s action’ and the ‘viewer′s engagement.’ My work consists of deleting two-dimensional work and a performance approaching the viewer. I also present works made of everyday materials which are installed in the venue to allow viewers to walk through them or to enter them. This is intended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my work and viewers by leading them to direct involvement with my work. I ultimately do this with the intention to make art and everyday life coexist. I pursue contingency and suggest everyday life through the form of action and participatory artworks. In contemporary society, works of art are rapidly consumed through the Internet and TV. My work is based on the form of ‘action’ to allow art to communicate with viewers more directly. I concentrateon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formal features of ‘actions’ appearing in art history for an in-depth study into my own work. With this I intend to grasp the point of intersection between ‘visual artwork’ and ‘action’. ‘Action’ has been a means to express the more expanded scope of everyday life, proceeding to an anti-artistic form of established conventional art style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aily object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visual artworks. To do this, I research daily objects adopted in art in relation with the ‘collapse of aura’, the concept art philosopher Walter Benjamin argued. I have also studied ways of appreciating my installation work based on the concept of ‘visual tactility’, a way of appreciation involving viewers by Benjamin. I have chosen action painting by Jackson Pollock as an example of artworks involving ‘action’. For this study, I examine interpretations of his works by Harold Rosenberg. I have also studied minimalist′s use of things and their performative perspectives in a bid to account for modeling quality repetitively and regularly appearing in my sculpture and installation work. I have especially studied theatricality aroused from viewer ‘actions’ in L-Beams, a variable installation by Robert Morris. I research the concept of Fluxus to assimilate the amalgamative form of action and everyday objects in works of art. Allan Kaprow′s action collage involving action and happenings involving chance elements and viewer engagement has also been one of the main topics of my work. I have further studied Score by Fluxus artist George Brecht who proposed to complete a work of art with simple text involving viewer action. Another significant point in my research to interpret my own work is Robert Rauschenberg′s Erased De Kooning Drawing displaying a process of action of deleting and Decollage by Wolf Vostell who tried to shed fixed notions through an action of deleting or depriving some part of his works. I examine Robert Rauschenberg′s ‘technological combine’ to account for viewer participatory art marrying technology, engineering and art in my works, conducting comparative studies between my work and Cornelia Parker’s installation. I also study the process of how I execute my work and the process of how the viewer joins based on the artists and their works above mentioned. I criticize conventional attitudes concerning the direction art should take in contemporary society, leading viewers to their active involvement through work in my work. Moreover, I explore how to heal contemporary people′s anxiety through happenings. As a result, I have discovered a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action’ in art makes the sphere of life seep into part of an artwork in art since the 20th century, breaking away from preexisting conventional form and mode. With this, I could conduct an in-depth study on how the form of my work is associated with presented ‘action’. 본 논문은 20세기 이후 설치 조각을 포함한 미술 영역에서 ‘행위(Action)’의 개념이 교차하는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작가의 행위’와 ‘관객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소통 형식이 나타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의 일부는 평면 작업을 지우는 행위와 관객에게 다가가는 해프닝이 포함된 퍼포먼스로 구성된다. 또한 연구자는 일상성이 묻어나는 소재로 전시장의 조각적인 설치 미술을 통해 작품 사이를 걸어 다니거나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품 안으로 들어가 관객이 체험할 수 있는 형식을 제시하였다. 이는 관객이 작품에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작품과 관객 사이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이런 방식을 채택하는 궁극적인 이유는 예술과 일상적 삶을 공존시키려는 의도 때문이다. 연구자는 미술 작품의 곳곳에 나타난 행위, 참여라는 형식을 통해서 ‘우연성’을 추구하며 일상적 삶을 은유한다. 현대 사회에서 미술 작품은 미디어 매체인 인터넷과 TV를 통해 브라운관의 이미지로 빠르게 소비된다. 연구자의 작품은 이런 흐름 속에서 예술이 보다 관객과 직접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미술을 위해 ‘행위’의 형식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자는 본인 작품의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미술에서 나타난 행위의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의 영역에서 나타난 ‘시각예술작품’과 ‘행위’의 교차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행위는 기존의 전통적 미술 형식을 거부하는 반 미술적 예술 형식으로 나아가는 현상 속에 보다 확장된 일상의 영역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각예술작품의 일상적인 사물의 등장하게 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술 철학자인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이 제기한 ‘아우라의 붕괴’와 연관하여 예술에 등장하게 된 일상적 오브제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또한 벤야민의 관객 참여의 감상 행위인 ‘시각적 촉각성’의 개념으로 본인 작품에서 등장한 설치 미술의 감상 방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예술에서 ‘행위’가 결합된 미술 작품의 연구 배경으로 잭슨 폴록(Paul Jackson Pollock)의 액션 페인팅을 선정하였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비평가 헤롤드 로젠버그(Harold Rosenberg)의 폴록에 대한 해석이 고찰되었다. 그리고 본인 설치 조각 작품에 나타난 반복적이며 규칙적인 조형성을 설명하기 위해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사물을 이용한 규칙적인 수행의 관점을 연구하였다. 특히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의 가변설치 작품인 <L-Beams>을 통해 설치 작품의 연극성과 관객의 관람행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예술작품에서 행위와 일상적 오브제의 융합적인 형식을 알아보기 위해 플럭서스(Fluxus)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플럭서스 작가인 알렌 캐프로우(Allan Kaprow)의 행위가 가미된 액션 콜라주(Action Collage)와 우연적 요소로 관객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해프닝(Happening) 역시 중요한 논지였다. 아울러 간략한 텍스트를 통해 관객의 행위를 유도하여 작품을 완성시키는 것을 제안한 플럭서스 작가인 조지 브레히트(George Breeht)의 스코어(Score)를 고찰하였다. 본인 작품의 해석을 위해 지워내는 과정을 결과물로 드러낸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지워진 드쿠닝의 그림(Erased De Kooning Drawing)>과 작품을 지우거나 박탈하는 훼손 행위를 통하여 고정관념의 편견을 흔들고자 한 볼프 포스텔(Wolf Vostell)의 데콜라주(Decollage) 역시 중요한 연구의 관점이었다. 이외에 코넬리아 파커(Cornelia Parker)의 설치 작품을 통해 본인의 설치 작품과 비교 연구하였으며 본인 작품에 드러난 기술적, 공학적 예술의 결합을 통한 관객 참여 미술을 설명하기 위해 라우센버그의 공학적 컴바인(Technological Combine)을 살펴보았다. 앞서 언급한 선행 연구 작가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에서 드러난 ‘행위’의 표현 방식이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작품을 완성해 나가는데 있어서 본인의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과 관객이 참여하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작품 활동에서 행위를 통해 관객에게 작품과의 거리 좁히기를 유도하고, 현시대의 사회에서 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관성적인 태도에 머무르는 것을 비판하였다. 더불어 본인은 참여미술을 통한 현대인의 불안과 치유에 대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결과적으로 20세기 이후 미술을 통해 미술 영역에서의 ‘행위’ 개념이 기존 형식적 양식의 틀을 벗어나 삶의 영역을 작품의 일부로 스며들게 하는 과정을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자의 작품의 형식에서 제시된 ‘행위’와 연관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는지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었다.

      • (A) study on the charge trap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nitride and the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TaN-Al2O3-SiN-SiO2-Si memory structures

        김현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harge trap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nitride and the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TaN-Al2O3-SiN-SiO2-Si (TANOS) a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device’s retention characteristics as the amount of threshold voltage shift by programming operation and charge trap distribution inside nitride vary. The model for charge trap distribution is composed of exponential distribution near conduction band and two Gaussian distribution in shallow and deep energy levels. The validity of this model is confirmed by comparing simulation results from simulator we developed by numerically solving equations which deal with electron’s state in nitride layer and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device which is same as that for simulation. The first simulation for change of threshold voltage shift by programming operation reveals that the characteristic is deteriorated as the shift amount is increased because it makes more electrons located near conduction band. The other simulation for change of trap distribution inside nitride reveals that the more charge trapping dots are located near and above intrinsic Fermi-level between two Gaussian distributions, the more retention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Especially, the change of trap energy depths of both Gaussian distributions affect very much on retention characteristics, so controlling over them is very important. These results can help anticipate the device’s retention characteristics for various programming amount and control optimum amount of threshold voltage shift for multi-level operation. Also, we can anticipate the device’s retention characteristics as charge trap distribution inside nitride varies, and which types of distribution change more critically affect on the characteristics.

      • 을숙도의 습지형태에 따른 곤충 다양성 연구

        김현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Chapter Ⅰ. Insect fauna of Eulsukdo Eulsukdo, restored artificial wetland, is located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that is brackish water area. Because Eulsukdo is important and valuable natural ecosystem as well as artificial ecosystem, insect diversity was investigated to utilize obtained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wetland ecosystem. Eulsukdo was divided into 4 sections (4 wetland) and insect were surveyed from each wetland from May to October, 2011 by sweeping, brandishing, beating, direct collecting, and hearing methods. Three hundred and six species of 89 families in 11 orders were recorded from four surveyed wetlands in Eulsukdo. The highest numbers were recorded in Hemiptera with 81 species of 25 families, and followed by Coleoptera with 65 species of 18 families. Largely numbers were collected in Aphrophora maritima with 2,706 individuals, and followed by Nysius (Nysius) plebejus with 978 individuals and Paromius exiguus with 653 in turn. In Coleoptera, Ophraella communa was the highest collected insect numbering 634 individuals. The collected spec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wetland, i.e., site 1 had the most species as 182, and followed by 177 at site 2, 171 at site 4, and 142 at site 3 in turn. However, collected numbers were the highest at site 3 (3,154), and followed by site 4, site 1, and site 2 in turn. There were site-specific species. For example, site 1 had seven site-specific species including longicorn beetle, Spondylis buprestoides. Site 2 had four site- specific species including dragonfly, Epitheca marginata. The butterfly Taraka hamada was site 4 specific species. Out of collected species, there were 12 species of 6 families in 4 orders which preferred edge of the water such as riverside or seaside. Korean endemic species were 3 species of 3 families in 3 orders and species requiring admission for overseas were 20 species of 15 families in 8 orders. Red data of endangered insect in Korea, Mimela fusania was observed in the course of study. The precipitation of July influenced occurrence of insects. Occurrence of A. maritima and Austroasca (Austroasca) vittata in Hemiptera and Propylea japonica and Harmonia axyridis in Coleoptera was influenced by the long spell of rainy weather in July. Decreased species in July were P. japonica, H. axyridis, Everes argiades, and A. maritima. A. (Austroasca) vittata and Balataea octomaculata were not observed in July. The number of insect species was higher at the artificially transplanted plant site. In the analysis of insect community of Eulsukdo, dominant index was 0.32, evenness index 0.66, species diversity 3.76, and richness index 32.58 in the study. In the analysis of insect community depending on wetland, the highest dominant index was 0.44 at site 4, but not different among other sites. Diversity and evenness indices of sites were 3.8 and 0.73 at site 1, 3.8 and 0.73 at site 2, 3.36 and 0.68 at site 3, and 3.24 and 0.62 at site 4, respectively. Richness index was the lowest at site 3. In the similarity comparison, site 1 and site 4 was clustered by the transplanted plants and site 2 and site 3 was clustered. Chapter Ⅱ. Change of tiger beetle and butterfly occurrence in Elsukdo Yearly population change of three species of tiger beetle (Coleoptera: Cicindelidae) and butterflies in the five families of Lepidoptera was investigated in Eulsukdo from 2011 to 2015. Meanwhile, bare land of site 3 was reduced by paving a road in 2012. Observed numbers of tiger beetles were largely decreased as the years go by. Cicindela (Eugrapha) elisae koreanica was observed moving to other sites of studied wetland when the bare land of site 3 was disappeared. The number of C. (Eugrapha) elisae koreanica in the sites 1, 2, and 4 was variable depending on observed years even total numbers were decreased as the years go by. The number of this beetle in the sites 3 and 5 was also decreased but extremely low numbers were recorded in 2015 compared with former years, i.e. 8 and 32 in the sites 3 and 5, respectively while 96 and 247 in those sites in 2014. The number of C. (Myriochile) specularis was also variable except site 3 where had the same tendency with C. (Eugrapha) elisae koreanica. However, numbers of C. (Cicindela) transbaicalica hamifsciata was increased at site 3 numbering 5 in 2011, 10 in 2012, 29 in 2013, and 25 in 2014. Numbers of lepidopteran species in the five families were 24 at site 1, 23 at site 2, 19 at site 3, 21 at site 4, and 19 at site 5. The highest individual numbers were recorded at site 1 numbering 1,235, and followed by 581 at site 5, 552 at site 2, 543 at site 4 , and 228 at site 3 in turn.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as increased at site 1, but decreased at site 2. Numbers of individuals were gradually decreased at site 3 while increased at site 5. At site 1, one immigrant species, Anosia chrysippus was collected in 2013 and two species, Hypolimnas bolina and Curetis acuta in 2014, respectively. The bioindex species, Argyreus hyperbius, Eurema hecabe, and Lampides boeticus were observed during the study. Chapter Ⅲ. Comparison of past and present insect fauna Eulsuko Insect diversity of Eulsukdo from 1998 to 2012 were analyzed to compare yearly change of insects in Eulsukdo wetland. The insects were reviewed from recorded literatures which were intermittently surveyed insects from Eulsukdo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from 1998 to 2012. The insect data of 2011 included literature data and direct collection or observation for this work. Six hundred and eighty two insect species of 130 families in 12 orders were recorded to date. The lowest numbers of species were recorded as 57 species in 40 families in 1998 at the time of having the most disgusted installation such as sewage disposal. About fifteen species were increased from 2000 to 2005, but decreased in 2005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Myeonggi Bridge. In 2009, the number of species was increased one and a half times numbering 250 because many plants were transplanted in the wetland. Although numbers were not changed in Orthoptera, increased about two times in Hemiptera, Coleoptera, Lepidoptera, and Diptera, one and a half times in Odonata, and 5 times in Hymenoptera. There were one to three species in Ephemeroptera, Dermaptera, Blattaria, and Neuroptera. The first dominant species was Nysius (Nysius) plebejus and the second species Aphrophora maritima in all literatures. Austroasca (Austroasca) vittata, Forficula scudderi, Formica (Serviformica) japonica, and Coccinella septempunctata were often found in the literatures as the third or fourth species. However, the first dominant species was A. maritima, the second N. (Nysius) plebejus, the third Parmius exiguus and the fourth Ophraella communa in this study based on collections in 2011. The highest number of family was recorded in the literature as 95 families, Myeongji bridge impact environmental assessment support and that of species was 306 in this study based on collections in 2011. 제 1장. 을숙도의 곤충상 인공복원습지인 을숙도는 기수역으로 낙동강하구에 위치하고 있다. 인공생태계로서 뿐만 아니라 자연생태계로서도 중요하고 가치 있는 을숙도에서 습지생태계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코자 곤충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을숙도를 4개 구역(4개 습지)으로 나누어 쓸어잡기, 채어잡기, 털어잡기, 직접채집법, 그리고 청음법으로 2011년 5월에서 10월까지 곤충을 조사하였다. 을숙도 4개 습지에서 기록된 곤충은 총 11목 89과 306종이었다. 가장 많은 종수는 노린재목의 25과 81종이었고, 그 다음은 딱정벌레목으로 18과 65종이었다. 개체수에서는 갈잎거품벌레(Aphrophora maritima)가 2,706개체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애긴노린재(Nysius (Nysius) plebejus)로 978개체, 그리고 흑다리긴노린재(Paromius exiguus) 653개체 순이었다. 딱정벌레목에서는 돼지풀잎벌레(Ophraella communa)가 634개체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된 종은 습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St.1에서 가장 많은 182종, 그 다음은 St. 2에서 177종, St. 4에서 171종, St. 3에서 142종 순이었다. 그러나 개체수는 St. 3에서 3,154개체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St. 4, St. 1과 St. 2였다. 각 site 별 특정종도 있었다. 예를 들면, St. 1에서는 site 특정종으로 검정하늘소(Spondylis buprestoides)를 포함한 7종이 있었고, St. 2에서는 언저리잠자리(Epitheca marginata)를 포함한 4종이 있었다. 바둑돌부전나비(Taraka hamada)는 St. 4에서만 관찰되었다. 해안가나 강가와 같은 물가를 선호하는 4목 6과 12종의 곤충도 관찰되었다. 한국고유종 곤충은 3목 3과 3종이었고 국외반출승인종은 8목 15과 20종이었다. 그리고 적색목록 해당종으로 부산풍뎅이가 관찰되었다. 7월의 강우는 곤충의 발생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노린재목의 갈잎거품벌레와 노랑줄애매미충(Austroasca vittata), 딱정벌레목의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 japonica)와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발생이 7월의 장기간 장마에 영향을 받았다. 7월에 감소한 종은 꼬마남생이무당벌레, 무당벌레, 암먹부전나비(Everes argiades)와 갈잎거품벌레였고, 노랑줄애매미충과 여덟무늬알락나방(Balataea octomaculata)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결과, 종수는 인위적으로 수목을 식재한 지역에서 많았다. 을숙도의 곤충군집 분석에서 우점도는 0.32, 균등도는 0.66, 다양도는 3.76, 풍부도는 32.58이었다. 습지에 따른 곤충군집의 분석에서 우점도는 St. 4에서 4.4로 가장 높았다. 다른 지역들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다양도와 균등도는 각각 St. 1에서 0.29와 0,73, St. 2에서 0.25와 0.73, St. 3에서 0.28과 0.68, St. 4에서 0.44와 0.62였다. 풍부도는 St. 3에서 가장 낮았다. 유사도는 식재된 식물에 의하여 St. 1과 St. 4가 군집이 형성되었고, St. 2와 St. 3도 군집이 형성되었다. 제 2장. 을숙도에서 길앞잡이와 나비류의 동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소규모 습지의 변화에 따른 딱정벌레목 길앞잡이과의 3종과 나비목 나비류 5과의 연도별 변화를 알아보았다. 2012년 습지 내 변화는 도로포장공사로 인한 St. 3의 bare land가 감소되었다. 해가 지남에 따라 길앞잡이류의 개체수는 크게 감소하였다. 꼬마길앞잡이의 경우 St. 3에서 bare land가 사라지자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개체들이 관찰되었다. 꼬마길앞잡이의 개체수는 St. 1, 2, 4에서 매년 감소함에 따라 전체 개체수도 지속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St. 3, 5에서도 감소하였으나 2015년에는 St. 3과 St. 5에서 각각 8개체와 32개체로 이전의 관찰된 수에 비하여 아주 낮은 수가 기록되었다. 2014년에는 96개체와 247개체였다. 쇠길앞잡이의 개체수는 St. 3에서 꼬마길앞잡이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참뜰길앞잡이의 개체수는 St. 3에서 2011년에는 5개체, 2012년에는 10개체, 2013년에는 29개체, 2014년에 25개체로 증가하였다. 나비류 5개목의 종수는 St. 1에서 24종, St. 2에서 23종, St. 3에서 19종, St. 4에서 21종, St. 5에서 19종이었다. 개체수는 St. 1에서 1,235개체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St. 5에서 581개체, St. 2에서 552개체, St. 4에서 543개체, St. 3에서 228개체 순이었다. St. 1에서는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한 반면, St. 2에서는 감소하였다. St. 3에서는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였고 St. 5에서는 개체수가 점점 증가하였다. St. 1에서 미접으로 2013년에는 끝검은왕나비(Anosia chrysippus) 1종, 2014년에는 뾰족부전나비(Curetis acuta), 남방오색나비(Hypolimnas bolina) 2종이 관찰되었다.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암끝검은표범나비(Argyreus hyperbius), 남방노랑나비(Eurema hecabe), 물결부전나비(Lampides boeticus) 3종이 관찰되었다. 제 3장. 을숙도의 과거와 현재의 곤충상 비교 1998년부터 2012년까지 을숙도 습지에서 연도에 따른 곤충다양성을 비교·분석하였다. 1998년부터 2012년까지의 을숙도 환경평가자료에 기록된 곤충을 토대로 하였다. 2011년의 자료는 본 연구에서 직접 채집 또는 관찰된 결과다. 조사결과, 기록된 곤충수는 총 12목 130과 682종이었다. 환경기피시설이 많았던 1998년에 40과 57종으로 가장 적은 종수가 기록되었다. 복원이 진행되는 2000년에서 2005년까지의 종수는 15여종이 증가하였지만 명지대교 공사가 시작된 2005년에는 종수가 감소하였다. 2009년에는 많은 양의 수목이 식재된 때문인지 250여종으로 1.5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노린재목과 딱정벌레목, 나비목, 파리목에서 약 2배가량 종수가 증가하였으며 메뚜기목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잠자리목은 약 1.5배 증가하였고, 벌목에서는 약 5배의 종수 증가가 있었다. 하루살이목, 집게벌레목, 바퀴목, 풀잠자리목에서 기록된 종수는 1~3종이었다. 모든 문헌에서 제 1우점종은 애긴노린재였고 제 2우점종은 갈잎거품벌레였다. 제 3과 제 4 우점종으로는 노랑줄애매미충, 못뽑이집게벌레, 곰개미, 칠성무당벌레의 기록 횟수가 많았다. 2011년에 기록된 본 연구에서는 제 1우점종이 갈잎거품벌레, 제 2우점종은 애긴노린재였고, 제 3우점종은 흑다리긴노린재, 제 4우점종은 돼지풀잎벌레였다. 가장 많은 과(family)의 수는 2009년 명지대교 환경평가에서의 95과였고 가장 많은 종수는 2011년 본 연구의 306종이었다.

      • 사회과 목표와 실행된 수업 사이에 나타나는 괴리의 양상 : 내용교수지식(PCK)의 발현 과정을 중심으로

        김현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는 사회과의 목표와 실제 수업 사이에 괴리가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괴리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하여 사람들은 입을 모아 입시제도나 교육과정과 같은 교사 외적 요인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입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중학교의 사회과 수업 역시도 사회과의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과, 학생들의 고차사고력을 길러주기 위해 삽입된 교과서의 다양한 탐구활동들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미루어볼 때, 이러한 이유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괴리가 나타나는 원인을 교사의 내적 요인, 특히 교사의 전문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본 연구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적 배경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수업의 의미와 좋은 수업의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는 각 교과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오직 수업을 통해서만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수업이란 ‘학습자의 내적, 외적 조건을 체계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으로 학습의 목적과 의도가 담긴 계획적인 활동’이며, 이 목적과 의도를 정확히 달성할 수 있는 수업이 좋은 수업이다. 다음으로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여러 견해들 가운데, 교과의 특수성에 대해 주목한 슐만(Shulman)의 ‘교과 전문성’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과 PCK의 구성요소와 이것이 발현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과의 PCK가 사회과 목표에 대한 이해로부터 발현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회과의 목표에 대해 상세히 검토하였다. 사회과는 본질교과라는 특성으로 인해 그 탄생의 순간부터 목표를 둘러싼 대립과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사회과의 탄생 배경과 발달과정, 그리고 이러한 갈등과 대립을 종결시키기 위한 시도로서 바아(Barr) 등이 정리한 사회과의 세 가지 전통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본 연구의 주요 분석 대상인 사회과 목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현상이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설령 눈에 보이는 수업의 장면이 동일하다고하여도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닐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변수들 사이의 결과적 관계만을 추구하는 양적 방법으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의 갈래들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구적 사례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최적의 사례를 찾기 위해 우선 2018학년도에 ‘통합사회’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들로 연구 대상을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통합사회가 사회과의 본질에 가장 근접한 교과이며 입시로부터 자유롭고, 교사들의 수업 재구성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과목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통합사회를 가르치는 교사들 가운데 연구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먼저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통합사회의 취지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면서 이를 수업으로 실현하려는 열정을 가진 교사들을 추려 5명의 연구 대상을 확정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이론적 배경에서 검토하였던 사회과 PCK의 구성요소와 그것이 발현되는 과정을 참고하여 재구성한 분석틀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교사가 자신의 목표를 구체화하여 수업으로 실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 ‘구상’, ‘실행’의 세 단계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해’ 단계에서는 교사가 사회과 목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구상’ 단계에서는 사회과 목표에 대한 인식이 수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지도안과 교수학습자료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수업 계획이 얼마나 충실히 이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해당 수업을 참관녹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텍스트 자료로 변환하였고, 이를 사회과 PCK의 여섯 가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사회과의 목표를 인식하고 이것을 수업으로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괴리의 양상은 세 단계에 걸쳐 총 일곱 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먼저 이해의 단계에서는 가치전수와 가치중립 사이에서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목표 달성을 위한 적절한 방법에 대한 인식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구상 단계에서는 사회과 목표에 대한 인식이 학습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으며, 학습활동이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것과는 무관한 것으로 구성되거나, 학생들이 내용을 이해하기에 모호한 사례를 선정하여 조직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실행 단계에서는 수업 운영의 노하우가 부족하여 수업 방법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거나, 교과서의 내용에 구속되어 내용 전달에 집착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두 가지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사회과 교사들이 스스로의 수업을 성찰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사회과의 목표와 실행된 수업 사이에 나타나는 괴리의 원인을 교사의 외적 요인에서만 찾게 될 경우, 수업 성찰을 통한 교사 전문성의 신장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괴리의 원인을 사회과 PCK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사들이 스스로의 수업을 성찰해볼 수 있는 구체적인 준거를 마련해주었다. 둘째, 수업 개선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최근 수업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강해지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이 대부분 교과의 특성과 교육 환경에 대한 맥락적 이해 없이 특정 수업 방식만을 차용해온 경우가 많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교사가 교과 목표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업 방법과 내용을 조직하는 능력을 길러주는데 초점을 맞추어야할 것이다.

      • 직장인의 근로시간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김현우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로 근로시간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 이다. 연구대상은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 근로자 2,448명이었다. 인구·사회적 특성, 직업특성, 건강행태 특성, 건강상태 특성, 근로시간을 독립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남성에서는 52시간 초과 근로하는 사람이 40시간 이하 근로하는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 인지율이 1.7배 높았다. 여성에서는 52시간 초과 근로하는 사람이 40시간 이하 근로하는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 인지율이 1.8배 높았다. 근로자의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수준 향상을 위하여 기업들이 법정 근로시간을 준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적 장치와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stress by gend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48 workers aged 19 to 65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characteristics, and working hours as independent variables. In men, those who work longer than 52 hours have a 1.7 times higher stress perception than those who work less than 40 hours. In women, those who work longer than 52 hours have a 1.8 times higher stress perception than those who work less than 40 hours. Variou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supports are needed to help companies comply with statutory working hours for worker's stress management and health improvement.

      • 산업용로봇의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김현우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production technology is gradually developing due to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Recently,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en combined, and their uses are becoming more diverse. As the robot industry develop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the field of application of robots is gradually expanding as they replace human labor. As the demand for industrial robots increases, the number of injured persons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Recently, the risk of industrial robot-related accidents and deaths is very high, so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prevent robot-related accidents from occurring.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relatively safe compared to general manufacturing facilities, but in reality, when looking at the disaster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accident intensity was twice as high for robot work with 707.5 days compared to 351.7 days for general work, even when looking at the average labor loss of the injured.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for industrial robots, they still only pursue productivity and convenience, and lack of interest in various safety devices and safety measures. Therefore, in order to expand the industrial robot market and prepare for industrial accidents related to industrial robot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through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he recent accident status and risk factors related to industrial robots. A study on safety measures for industrial robot work is needed to determine how much ha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current field 10 years after the robot situation in 2011.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trengthen safety measures for robots and reduce industrial accident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a follow-up research base based on the data on the disaster risk factors and safety measures of industrial robots.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industrial field until 10 years from 2011 to 2021. As a result, in cases where there are no legal matters and safety inspections for industrial robots, there is no sense of necessity. appear. In addition, in the actual field, the distinction between machines and robots was not clear, causing confusion in some ca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definition of industrial robot terms and safety inspection items should be added, and safety awareness through safety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was studied to be strengthened. As the robot industry develops, research on safety related to robots as well as industry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 중국어 교육에 유용한 웹 콘텐츠 연구

        김현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 사회에서 중국의 위상과 우리나라와의 밀접한 관계를 생각할 때 중국어는 우리나라 외국어 교육 과정에서 반드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제 2외국어로서의 중국어의 선택 비중은 낮아지고 있다. 사회적으로 허용 가능함이 입증된 내용을 주로 학습하기 때문에 학습에 흥미를 잃기 쉬우며, 최근 한국 사회에 만연하게 퍼져있는 중국을 기피 하는 정서 또한 중국어 학습에 거부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집중하여 교수 학습에 있어 어떤 콘텐츠와 장르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을 맞출 수 있으며, 학습자로 하여금 중국어 학습에 있어 거부감을 줄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 비정질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기반의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화소 보상 회로 연구

        김현우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위한 비정질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Amorphous Indium Gallium Zinc Oxide Thin Film Transistor, a-InGaZnO TFT) 기반으로 설계된 다이오드 커넥션 방식과 소스 팔로워 방식의 화소 회로를 제안한다. 다이오드 커넥션 방식으로 보상하는 화소 회로의 경우 Driving TFT의 문턱 전압 (Threshold Voltage, VTH), 문턱 전압 이하 스윙 (Sub-threshold Swing, S·S), 공핍 모드 (Depletion Mode) 동작의 문제를 보상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하여 안정적인 전류 출력이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소스 팔로워 방식으로 보상하는 화소 회로의 경우 Driving TFT의 문턱 전압, 공핍 모드 동작의 문제를 보상할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과 결과 분석을 통해 증명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wo pixel compensation circuits employing diode connection and source follower based on a-InGaZnO TFT for AM-OLED displays. The proposed pixel circuit employing diode connection method compensates for the issues of the VTH shifts, S·S deviation, and the operation in depletion mode. Through simulation and analysis of the results, it has been substantiated that stable OLED current output is achievable. The proposed pixel circuit employing source follower method compensates for the issues of the VTH shifts, and the operation in depletion mode. This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simulation and result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