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강신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체육수업 이외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둘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종목유형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셋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형태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넷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적응의 하위영역으로는 교사관계적응, 교우관계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규칙적응으로 구분하였다. 표본의 추출 절차는 2009년 현재 인천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남녀공학 4개 중학교를 선정하여 학교별 3개 학급(학년 당 1개 학급씩) 씩 무선 표집 하여 총 415명을 표집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박정현의(1999)의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가와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조서 설문지>를 기초로 한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로서 Cronbach's 방법을 이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 .668 ~ .841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예비검사는 본 연구의 표집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남녀 중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여 설문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이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종목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는 개인(대인) 종목에 참여하는 학생이 단체 종목에 참여하는 학생에 비해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규칙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시 지도자가 있는 학생이 지도자가 없는 학생에 비해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시 동반자 유․무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장소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에는 스포츠 활동 참여 장소가 생활체육센터(상업스포츠시설 포함)일 때 다른 장소에 비해 학교생활적응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빈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기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에는 참여 기간이 ‘6개월-1년 미만’과 ‘1년 이상’일 때 학교생활적응도가 다른 기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 강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에는 ‘30분-1시간’과 ‘1시간-2시간’인 경우 다른 강도에 비해 학교생활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주제어 : 스포츠 활동 참여, 참여 종목 유형, 참여 형태, 참여 정도, 학교생활적응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were investigated. 1) Relationship between sports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2)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sports activities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3)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the individual or the team activities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4)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the period of sports activities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Specifically, this research sets the subvariables of school life as relation with friends, teachers, study and school rule. The data of this subject was collected by the 415 students of first year to third year in 4 middl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Incheon in 2009. This study is based on the data <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youth > by Park Jung Hyun(2000). The questionnaire for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participation on students' school life. The reliability of this questionnaire is tested to be between a = .668 ~ 841. This research employs various data analysis method including t-test, one-way ANOVA by using statistical programme SPSS 15.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group which has the experience of sports activities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adjustment than the other group which doesn't have any experience of them. 2) The group of participation in individual sports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with peers and teachers and adaptation to school rules than the group of team sports. 3) The group of having a director had a higher school life adjustment compared to the other group. 4) The existence of cooperative partners differed little. 5) The places like gyms, fitness centers including commercial facilities revealed better than others. 6) There was not a wide difference on the frequency of sports participation. 7) Less than half a year or over a year is an appropriate period on the duration of sports participation. 8) Intensity of duration of less than half an hour or 1-2 hour is proper time. Keywords : sports activities participation, the individual or the team activities, types of sports activities, the period of sports activities, school life adjustment

      •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특성 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박성신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 특성 불안,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특히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특성 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충북 도내 소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척도(FMPS),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응답으로 통계처리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9부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391부의 자료를 SPSS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변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연구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었고,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특성 불안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특성 불안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고,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특성 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모두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Sobel Test에서도 부분매개의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불안장애와 높은 관련성이 있는 특성 불안에 있어 그 원인으로 그동안 주목해 온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관계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상담 및 치료적 장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함의,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한 실시간 적응형 조명 제어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및 평가

        이준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적응형 시스템은 사용자가 임의의 환경에 입장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함으로써 적응 환경이 구축되며, 시스템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이 스스로 주변의 계속적인 변화를 모니터링해 환경에 예상하지 못한 변화가 발생하게 되면 이것을 감지하고, 변화하는 실행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가 적응 시스템은 시스템 동작 중 주변 환경에 발생하는 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하며, 변화가 발생했을 때에 문제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기반을 둔 결정을 하며, 결정에 기반을 둔 동작을 진행하여 환경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자가 적응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및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이전부터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적응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다루는 시나리오가 부족하다. 또한 정의되어 있는 환경에서만 자가 적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인의 선호도 등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추어 스스로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기존에 자가 적응을 위한 테스트 베드 연구와 평가지표 관련 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IoT(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스스로 적응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대한 연구이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햇빛, 주위 조명 등의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시스템이 스스로 사용자의 조명 선호도를 고려하여 적응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시나리오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및 평가지표를 소개하며, 제안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두어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며, 평가지표를 통해 정략적 성능 평가를 수행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소프트웨어와 기존의 조명 제어 소프트웨어들의 성능을 비교 및 평가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시간으로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자가 적응 시뮬레이션 환경의 프레임워크와 평가 요소를 제안하는 데에 기여점이 있으며, 시스템 구현에 요구되는 지식 저장소를 온톨로지로 설계 및 구축하였다. 더불어 시스템을 실제 구현하기 위한 아두이노와 안드로이드 소스코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연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hope of adolescents. Four hundred and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angwo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omain-specific Assessment of Psychological Control (DAPC: Park & Lee, 2009) was used to access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he Trait Hope Scale (Snyder et al., 1991) was used to measure adolescents’ hope. The School Adjustment Scale (Lee & Kim, 2008) was used to examin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s,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multi group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adolescent’s gender. Adolescent’s hope and school work, school friends, and school lif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However, the average levels of total school adjustment and school teach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adolescents group compared to female group. 2.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adolescents’ hope and school adjustment. Adolescents’ hop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3. Adolescents’ hop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Structural mod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of adolesc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could be improved by reducing negativ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nhancing adolescents’ hope.

      • 학교부적응 학생의 특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 산악활동 중심으로

        윤주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ABSTRACT An Action Research on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 for School Maladjusted Students: Focusing on the mountain activity Ju-Seok, Yun Under the Supervision of Professor Taeho, Yu at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Major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June, 2017 In schools, situation that students are punished or giving up studies due to various problematic behaviors or maladjustment. Students receiving reprimand for violation of school regulations, delinquent behaviors, poor attitude and excessive penalty points go through a guidance process through intramural service, community service, special education, suspension of attendance, expulsion etc. Some of students who show problematic behaviors lead a successful school life through the guidance process, but there exist some students who continue to be disciplined. Such students are forced out of the school after all, becoming ones in crisis or juvenile delinquents causing social problems. Of the minor disciplinary action (intramural service, community service) and severe disciplinary action (suspension of attendance, expulsion) for student guidance process conducted in schools, there is a disciplinary action called completion of ambiguous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s a stage students must complete a special education installed・operated by the superintendent of schools, or complete education, counseling therapy or individual education at a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 where the superintendent of schools contracted for commissioned education. Educators expect that students graduate school introspecting oneself without receiving higher level disciplinary action and spending adolescent period safely. In reality, however, special education is not properly carried out secondary schools. Although schools are busy for education activities with various programs for general students, programs for minority students who violate regulations frequently are neglected. For the reason, school maladjusted or disciplined students are sent to external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designated by the superintendent of schools. Programs conducted by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designated by the superintendent of schools have some problems. First, the institutions carry out education gathering students showing problematic behaviors from different schools in a place. Second, inactive programs such as contents of education by cramming method of teaching, various tests, watching video materials etc., are taking the majority. Third, as many students participate in a program, in󰠏depth counseling for individual student is not properly provided. Fourth, because such problems occurring inside school are dealt with outside the school, it is hard to expect changes in problematic students’ school life. Some students show changes in school adaptation after participating in special educations of such external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most are unlikely to do so. Having a critical mind for the aforementioned, this study establishe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applying an appropriate special education for unit schools for students in potential crisis who are suffering from school maladjustment. First,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special education within unit schools for school maladjustment? Second, How is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students’ school adaptation when carrying out a special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mountain activity? Third, What meaning does special education carried out in unit schools grant to maladjusted students and teachers? After establishing research questions in the above, the researcher selected a qualitative action research that the researcher takes part in the research directly for obtaining results. Having a critical mind that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is working is lacking in a program for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and working out a plan for solving the problem, the researcher developed and executed a program suited to the plan. During the process of execution, the researcher observed participating students closely, and had a time for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after the program was finished, sharing with other researchers and outsiders after obtaining conclusions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materials obtained in the course of execution. And the researcher formed a new plan to solve new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executing the first program, carrying out a process of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the second program, observation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on a cyclical basis. Operating special education program through mountain activity for school maladjusted students for 2 years, the researcher obtained following study results. First, the process that participating students changed was observed when introspective activity looking back upon oneself, counseling activity, Nanta, teacher󰠏student program, voluntary activity and mountain activity were included in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 within unit schools for school maladjusted students. Second, nature󰠏friendly special education program accompanied by mountain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for behavioral modification and introspection for maladjusted students. Third, mountain activity provided school maladjusted students with experience of new discover of oneself, cultivation of challenge spirit and patience, sense of accomplishment etc., and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erms of long󰠏term personality education. Fourth, through an action research, the researcher who is a guidance teacher experienced changes in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looking at school maladjusted students. The researcher thought that maladjusted students are not objects of disciplinary action, but are the ones who need a fundamental change we have to deeply observe the cause of their problematic behaviors, becoming to have changes in educational philosophy for becoming a facilitator capable of helping the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as follows. First, teacher󰠏student program must be utilized actively for enabl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pecial education who are suffering from school maladjustment to feel love and attention of teachers. Second, counseling that is made naturally in the extracurricular experience is effective for looking deep into school maladjusted students. Third, climbing activity causes tension of participating students, inducing them to be immersed into the program and helps to understanding of duty to follow regulations. Fourth, a nature󰠏friendly mountain activity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pecial education for enabling them to create a new momentum to introspect oneself. Fifth,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inside unit schools must be composed of activities capable of enabling maladjusted students to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with patience that challenge faithfully and not give up until the end by providing them with environment that a difficult situation is made. Sixth, a program capable of giving a shocking stimulus to the students who violate school regulations frequently must be provided. Seventh, it would be better to call students who violate regulations frequent violators rather than maladjusted students, students in crisis or problematic students. Although a positive effect was obtained by applying mountain activity to the special education within unit schools for school maladjusted students through this study, mountain activity is not considered the best program for maladjusted students. School maladjusted students are adolescents who will shoulder the future of our society. Schools, office of education, local community and the government need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the situation they undergo a difficult process experiencing adolescence, and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m shall be continuously researched. Keyword: school maladjustment, special education, action research, mountain activity, frequent violators 학교부적응 학생의 특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산악활동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구자 : 윤주석 지도교수 : 류태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체육교육학 전공 2017년 6월 학교에서는 다양한 문제행동 또는 부적응으로 인해서 징계를 받거나 학업을 중단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학교 규칙위반, 비행 행동, 근태 불량, 벌점 과다 등으로 징계를 받는 학생들은 교내봉사, 사회봉사, 특별교육, 등교정지, 퇴학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선도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선도과정을 통해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들 중에는 학교생활을 잘 보내는 학생들도 있지만 오히려 계속적으로 징계를 받는 학생들이 존재하기도 한다. 그런 학생들은 결국 학교 밖으로 내몰리게 되고, 위기학생 또는 비행 청소년이 되어 사회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선도과정 중 경징계(교내봉사, 사회봉사)와 중징계(등교정지, 퇴학) 사이에는 성격이 불명확한 특별교육 이수라는 징계가 있다. 특별교육은 교육감이 설치・운영하는 특별교육 과정을 이수하게 하거나, 교육감이 위탁교육을 계약한 특별 교육기관의 교육이나 상담치료, 개별 교육을 이수해야 되는 단계이다. 교육자들은 특별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자신을 성찰하고,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면서 상위단계의 징계를 받지 않고, 무사히 청소년기를 보내면서 학교를 졸업하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중등학교에서 현실적으로 특별교육은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학교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일반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위해서 바쁘게 돌아가지만 잦은 규칙 위반을 하는 소수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은 등한 시 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부적응 학생 또는 징계를 받은 학생들은 교육감이 지정한 외부 특별교육기관으로 보내어진다. 교육감이 지정한 특별교육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여러 학교에서 문제행동을 보인 학생들을 한 곳에 모아놓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둘째, 주입식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내용과 각종 검사, 영상 시청 등 비활동적인 프로그램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여러 명의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생 개개인에 대한 심층 상담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넷째,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학교 밖에서 다루고 있어 문제 학생의 학교생활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런 외부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특별교육 프로그램을 참가한 후 학교 적응에 변화를 보인 학생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이런 문제인식을 갖고 본 연구는 학교 부적응을 겪고 있는 잠재적 위기학생들을 위한 단위학교 내 적절한 특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목적을 갖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 부적응학생을 위한 단위학교 내 특별교육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산악활동을 중심으로 특별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때, 참가 학생들의 학교 적응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단위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특별교육 프로그램은 부적응 학생과 교사에게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결과를 얻기 위해서 연구자 본인이 연구에 직접 참여하는 질적 실행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 현장에서 특별교육 대상자를 위한 프로그램의 부재라는 문제인식을 갖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계획을 세우고, 계획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실행과정에서 참여 학생들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프로그램이 완료 된 후 반성과 성찰의 시간을 갖고, 실행과정에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결론을 얻은 후 다른 연구자 또는 외부인들에게 공유하였다. 그리고 1차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발생했던 새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계획을 세웠으며 그 계획에 따라 2차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관찰, 반성 및 성찰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학교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산악활동을 통한 특별교육의 프로그램을 2년간 운영하면서 아래와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단위학교 내 특별교육 프로그램에는 자신을 되돌아보는 성찰활동, 상담활동, 난타, 사제동행 프로그램, 봉사활동, 산악활동의 내용이 포함되었을 때 참가한 학생들의 변화하는 과정이 관찰되었다. 둘째, 산악활동이 수반되는 자연친화적인 특별교육 프로그램이 부적응 학생들의 행동 수정 및 자아성찰을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산악활동은 학교부적응 학생에게 자신의 새로운 발견, 도전정신과 인내심 함양, 성취감 등의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장기적인 인성교육 차원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실행연구를 통해서 연구자인 지도교사가 학교부적응 학생을 바라보는 철학적 관점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연구자는 부적응 학생을 단순한 징계의 대상이 아니라 그들의 문제행동 원인을 깊이 있게 관찰하여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아이들이라고 생각하게 되었고, 그들을 도와줄 수 있는 조력자가 되어야한다는 교육 철학의 변화를 갖게 되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부적응을 겪고 있는 특별교육 참가 학생들에게는 교사의 사랑과 관심을 느낄 수 있도록 사제동행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둘째,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깊은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학교 밖 체험활동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상담이 효과적이다. 셋째, 등반활동은 참여 학생들의 긴장감을 유발하고, 프로그램의 몰입을 유도하며 규칙을 잘 지켜야 되는 당위성을 이해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넷째, 특별교육 참가 학생들에게는 자신을 깊이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산악활동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단위학교 내 특별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어려운 상황이 만들어지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제공하여 부적응 학생들이 아낌없이 도전하고 끝까지 포기 하지 않는 인내심으로 성취감을 맞볼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교 규칙을 자주 위반하는 학생에게 충격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일곱째, 규칙을 자주 위반하는 학생을 부적응 학생, 위기학생, 문제아 보다는 잦은 규칙 위반 학생으로 부르면 좋을 것 같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해서 단위학교 내 특별교육 프로그램에 산악활동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었지만 부적응 학생을 위한 최고의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학교부적응 학생들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청소년들이다. 그들이 사춘기를 경험하면서 힘든 과정을 겪고 있는 상황을 마음깊이 이해하고,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학교, 교육청, 지역사회, 국가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그들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계속 연구 되어야 한다. Keyword: 학교부적응, 특별교육, 실행연구, 산악활동, 잦은 규칙위반자

      • 아동의 모애착과 학교에서의 참여권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오지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assist children adapt to school in an appropriate way and this study has been looking into the child-mother attachment and the participation in class and school to see what sort of relationship do they have with school adjustments. Additionally, by disclosing the influence the participation in school has on school adjustments,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in developing programs and concrete solutions for counseling center, education and family, improving the school adjustments of children. In order to do this, the 547 copies of the survey have been distributed to the 4^(th) graders and 6^(th)graders attending 4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located on MokPo district, Jeon-La-Nam Province. The criterion employed in this research for measuring child-mother attachment was the revised version of Armsden & Greenberg’s Inventory of Parents and Peer Attachment (IPPA-R). What 田代高章 of 2002 classified as school adjustment criteria and the scale of school adjustments of the researcher Hong Sung Ae, who has been studying on the basic area of school participation in children was applied. Furthermore, to measure child school adjustments, the criteria of children school adjustments of Lim Jung Soon(1993) wa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revised criteria of children school adjustments of You Eun Hee has also been used. SPSS WIN 14.0 was used for data analysis. Moreover, to grasp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performed and to confirm the credibility of the instrument of measuring the frequency, Cronbach A was used. What is more, two-way ANOVA was put into practice to see whether child-mother attachment, school participation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s might vary among the sex and grade.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analysis was performed to see the school participation is cor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fter the analysis was done, th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observe whether what kind of influence the schoolparticipation has on school adjustments. As a result, the main outcomes of this study are like the below. First of all,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child attachment varied significantly by grades of school and the communication, credibility and alienation in attachment scale of 4^(th) graders rated higher than those of the 6^(th) graders. Secondly,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school participationvaried considerably by grades of school and the school participation of the 4^(th) graders was more intense than that of the 6^(th) grader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curriculum subjects. Thirdly, it has been found out that considering gender in school adjustment, the female children were more flexible than the males in making school adjustments. Taking grade into consideration, the 4^(th)graders adapted to school better than the 6^(th) graders, resulting peer relation at the top and then, learning attitude, and then the relation between the student and teacher, and observance of school rules. Fourthl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school participation and school adjustments, which means that the higher the school participation,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Fifthly, it suggests that the school participation represented to all subsidiary factors of school adjustments not to mention rel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peer relationship, schoolmanagement, class management. In other words, if the child participates actively in subjects in and out of curriculum, schoolmanagement and class management, it is quite likely that the child will also take an active role in making peer relationship, school classes, and observing the school rules. 본 연구는 아동이 학교 내에서 바람직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과 학교에서의 참여권이 학교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교에서의 참여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봄으로써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가정 및 교육과 상담현장에서의 실질적인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목포시에 위치한 4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47부의 자료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아동의 모애착을 측정하기 위해서 Armsden과 Greenberg(1987)가 제작한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Inventory of Parents and Peer Attachment: IPPA)를 수정한 개정본 (IPPA-R)을 사용하였고, 학교에서 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田代高章(2002)가 분류한, 학교에서 아동의 참여영역 분류를 기초로 연구한 홍승애(2004)의 학교에서 참여권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학교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임정순(1993)의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척도를 참고로 유은희(1995)가 수정· 보완한 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4.0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모애착과 학교에서의 참여권 및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학교에서의 참여권과 학교적응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학교에서의 참여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애착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4학년이 6학년보다 의사소통, 소외감, 신뢰감에서 애착의 점수가 높았다. 둘째, 아동의 학교에서 참여권은 학년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4학년이 6학년보다 학교에서의 참여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과영역에서 4학년의 참여가 높았다. 셋째, 아동의 학교적응은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년에 따라서는 4학년이 6학년보다 학교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우관계, 학교수업, 교사관계, 학교규칙의 높은 순서를 보였다. 넷째, 아동의 학교에서 참여권은 학교적응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아동의 학교에서의 참여가 높을수록 학교적응이 높았다. 다섯째, 아동의 학교에서 참여권은 학교적응의 하위변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급경영, 학교경영의 모든 하위변인에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즉, 학교에서 아동의 교과영역, 교과 외 영역, 학급경영, 학교경영의 참여가 높으면 학교에서의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의 적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부적응적 사고 및 정서적 적응의 관계

        장주연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부적응적 사고 및 정서적 적응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중학교 1,2,3학년 351명을 대상으로 정은영과 장성숙(2008)이 개발한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 이정윤(2007)이 개발한 부적응적 사고 척도(MTS-A),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행동은 청소년의 부적응적 사고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어머니의 과보호가 심할수록 완벽과 인정추구 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잉통제, 과잉기대, 과잉애정이 부적응적 사고를 잘 설명하는 요인이었다. 둘째, 어머니의 과보호 행동은 청소년의 정서적 적응과 관련된 내면화-외현화문제행동 모두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는데, 내면화문제와 더 큰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과잉통제, 과잉기대, 과잉애정이 청소년의 정서적 적응을 잘 설명하는 요인이었다. 특히 어머니의 과잉통제가 내면화문제와 외면화 문제 모두에서 가장 큰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부적응적 사고와 정서적 적응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부적응적 사고는 외현화 문제보다는 내면화 문제와 더 큰 상관을 보였다. 부적응적 사고 중 자기비하, 완벽과 인정추구, 자기비난, 문제행동과소평가가 청소년의 정서적 적응을 잘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과보호는 청소년의 부적응적 사고를 매개로 하여 정서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juvenile perception of maternal overprotection, maladaptive thoughts and emotional adjustment. Three scales(Overprotection Scale, Maladaptive Thought Scale, and Korean-Youth Self Report) were administered to 351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maternal overprotection and maladaptive thoughts. Maternal overprotection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demand for perfection and approval among other sub-factors of maladaptive thoughts. Three sub-factors of perceived maternal overprotection (excessive control, excessive expectation, excessive affection) were found to be the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maladaptive though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maternal overprotection and internalized-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related to emotional adjustment. Maternal overprotection was more correlated with internalized problem than externalized problem. Three sub-factors of perceived maternal overprotection (excessive control, excessive expectation, excessive affection) were found to be the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emotional adjustmen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ladaptive thoughts and emotional adjustment. Maladaptive thoughts were more correlated with internalized problem than externalized problem. Four sub-factors of maladaptive thoughts (self-debasing, demand for perfection and approval, self-blame, minimizing problem behaviors) were found to be the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emotional adjustment. Fourth, results showed that maladaptive thoughts played a mediator when the maternal overprotection influenced emotional adjustment.

      • 대학생의 적응유연성신념과 구직효능감의 관계 연구

        조경숙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오늘날과 같이 복잡하고 급변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제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불가피한 측면을 차지하고 있어 모든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현상이며 과거 어느 때보다도 더욱 심각해진 상황이다. 특히, 대학생은 중&#8231;고등학교와는 달리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자아정체성 확립과 같은 발달과업과 새로운 교육적 환경에 적응해야 되는 시기에 있으므로 그에 따른 스트레스와 적응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인생을 살아가면서 예기치 못한 부정적 생활사건을 경험하기도 하는데, 그러한 경험을 한 사람들 중에는 역경을 잘 이겨내고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위해 매진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반면에 이겨내지 못하고 쉽게 좌절하거나 절망에 빠지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그 영향을 조절하여 완충시키거나 적응을 도와주는 변인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중 하나가 적응유연성(resilience)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응유연성신념과 구직효능감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적응유연성신념 및 구직효능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인천광역시, 충청남도 천안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4곳을 임의로 선정하여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321부를 본 연구의 최종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유연성신념을 알아보기 위해 Jew(1991)가 개발한 도구 ‘Resilience Belief System’를 토대로 김정득(2003)이 번안한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구직효능감 척도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2001년에 개발한 구직효율성검사(Job-Seeking Efficiency Test: JET) 중에서 구직자의 효능감에 대한 하위검사인 구직동기검사와 구직기술검사 부분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한 설문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성별과 재수경험에 따른 적응유연성신념 및 구직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고, 그 밖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학년, 전공,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적응유연성신념과 구직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통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또한 적응유연성신념의 하위요인이 직접적으로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적응유연성신념은 구직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적응유연성신념과 구직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응유연성신념이 높은 대학생은 구직효능감도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대학생의 적응유연성신념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적응유연성신념은 구직효능감의 하위척도인 구직동기와 구직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적응유연성신념이 대학생의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쳐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와 취업난 등 힘든 상황에서도 통제력을 가지고 탄력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해주며, 구직에 대한 자신감 및 개인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강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적응유연성신념과 구직효능감의 변인에 있어 남녀 평균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평균 차이는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적응유연성신념과 구직효능감이 높았다. 이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에 관해 조사 한 결과,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큰 스트레스를 차지한다고 답한 내용과 관련지어 볼 수 있는데 보편적으로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학생이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에 비해 미래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직업을 구할 때 부담감이나 압박감을 덜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나온 결과라 판단된다. 그 외 학년, 전공에 따른 적응유연성신념과 구직효능감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수경험의 유무는 적응유연성신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구직효능감에서는 고용정보 관리기술에서 재수경험이 없는 학생이 재수경험 있는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적응유연성신념과 구직효능감은 성별, 가정의 경제적 수준, 재수경험에 따라 차이가 나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긍정성 강화 프로그램(적응능력 향상, 자신감 증진 등)이나 구직관련 프로그램 및 진로상담을 진행할 때 성별의 차이와 가정의 경제적 수준, 재수경험의 유무를 고려해 보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둘째, 적응유연성신념이 구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므로 취업 스트레스로 인해 고민을 하고 불편감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에게 적응유연성신념을 길러주는 프로그램, 즉 자아존중감이나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긍정성 강화 훈련 등을 통해 탄력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구직에 대한 자신감도 향상되리라 여겨진다.

      • 자기적응형 소프트웨어의 동적 재구성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분석

        백수진 경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1919

        Recently, as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software becomes increasingly complex, and, while it is being operated, unpredictable situations frequently happen, it is difficult to maintain its functions when its external environments are exceptional. Thu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lf adaptive software technology which can enhance its robustness dramatically. However, currently, researches on adaptive software focus on the adaptive mechanism about 'how' to adapt to the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there are not sufficient researches on methods to find out techniques of modeling context information which affects the software, or functions to replace for its adaptation. Though existing software analytical and design methods suggest minute activities and outputs which performs in each stage, they do the analysis on contexts to which a certain software should act and respond only for the initial stage. Therefore, in those methods, contexts for the later stages are not reflected properly. Existing researches on evaluation of external situations do not support abstraction techniques to differentiate problems, and mainly define specific problematic situations using conditions for resources of operating environment. Furthermore, since it is difficult to expand problem area which can be evaluated,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unpredicted situations that occur while it is being operated. Existing researches supporting dynamic changes also have various limits, put many limits in changing works. Since it is difficult for those types of software to search for precise value, they have difficulty searching for all the works in the business and minute process streams between works. Consequently, such models have difficulty to extract information and reconfigure dynamically responding to new demands which were not expected at the design time. This paper suggests a self adaptive software development method which analyzes external situations through goal scenario based context analytical rules, and is possible to be reconfigured dynamically through process changable information analysis evaluation and over-time adaptive strategies. External situation analysis is done through analyzing goal scenario based demand, and sets up performance index to judge adaptability following changed information analysis. And, through goal scenario based context analysis rules, it can extract context information about activity element, data function, and transaction functions, and do goal process modeling through situational information about various work-flow patterns and control data. For external situation evaluation, similarity, importance, relatedness, and appropriateness are measured to analyze changeable information between existing process model information and goal process model, and a suitable model is searched for using meta heuristic algorithm, and changed contents are analyzed. Change adaptation is judged by Process Instance KPI(PK) and Activity KPI(AK), and dynamic reconfiguration is supplied through over-time adaptive strategies and change control stream, and expresses context information using goal scenario based work-flow description language (GSWDL). This paper, through a case study of sale process model, shows reconfiguration following goal scenario based analysis and evaluation, judgement about adaptability, and strategies. And, the suggested method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a representative adaptive software method, and existing demanding elements analytical methods. The comparative analysis showed that this research, by expressing abstraction and domain knowledge, can supply stereotyped context information and expression structure, and support characteristics necessary for adaptive software development. In addition, measurement of PK for demands extracted from the methods showed that it can reduce code generation rate by 28.9% following meta model and changed contents, and,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 its PK is 32.8% higher at maximum, and error rate is 28.9% lower, showing the improvement of perfectness. Problems generated by external situations can be solved through over-time adaptive strategy and change control stream and shown by goal scenario context based work-flow description language, proper service could be selected and operated following context inform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could make it possible to reconfigure dynamically following analysis, evaluation, judgement, and strategy for self adaptive software development, suggest stereotyped expressive structure of context information including high-level context, and, by supplying goal scenario based goal modelling and context information, could supply expression for context analyzing activity,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adaptive software, and for structure for software reconfiguration and reconfiguration activities. Through this, it shows easiness of adaptive strategy plan caused by goal context analysis based expression, and possibility of expansion of prediction, search, and evaluation of problems. 최근의 소프트웨어는 실행 환경이 점차 복잡해지고, 실행 중에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외부 환경의 예외적인 상황에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강건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적응형 소프트웨어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적응형 소프트웨어에 대한 연구는 외부 환경의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적응 메커니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주는 문맥정보를 모델링하는 기법이나 적응을 위해 대체할 수 있는 기능들을 찾아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분석 및 설계 방법들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각 단계에서 수행하는 세부 활동과 산출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고 반응해야 하는 문맥에 대한 분석은 초기 단계에서만 간단히 수행되고 그 이후의 단계에서는 문맥의 변화가 적절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외부상황 평가의 기존 연구들은 문제 식별을 위한 추상화 기법을 지원하지 않으며, 주로 실행 환경의 자원에 대한 조건들을 이용해서 특정 문제 상황을 정의한다. 또한, 평가 가능한 문제 영역의 확장이 어렵기 때문에 실행 중에 발생한 예측하지 못한 상황의 평가가 불가능하다. 동적 변경을 지원하는 기존 연구들 역시 여러 제약을 가짐으로써 변경 작업에 많은 제한을 두며, 세밀한 해의 탐색이 어렵기 때문에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의 모든 업무와 업무간의 세세한 프로세스 흐름관계를 탐색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모델들은 설계 시 예측하지 못한 새로운 요구사항에 대한 정보 추출 및 동적 재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목표 시나리오 기반의 컨텍스트 분석 규칙을 통해 외부상황을 분석하고, 프로세스 가변 정보 분석 평가 및 시간에 따른 적응 전략을 통해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자기적응형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을 제안한다. 외부 상황 분석은 목표 시나리오 기반으로 요구사항을 분석하며, 변경 정보 분석에 따른 적응 판단 여부를 위한 성과지표를 설정한다. 그리고, 시나리오 목표 시나리오 기반 컨텍스트 분석 규칙을 통해 행위 요소, 데이터 기능, 트랜잭션 기능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며, 다양한 워크플로우 패턴 및 컨트롤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통해 목표 프로세스 모델링을 하도록 한다. 외부 상황 평가는 기존 프로세스 모델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목표 프로세스 모델과의 프로세스 가변 정보 분석을 위해 유사도, 중요도, 연관도, 적합도를 측정하며,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합한 모델을 찾아 변경 내용을 분석하도록 한다. 변경 적응 여부는 프로세스 성과지표(PK)와 액티비티 성과지표(AK)를 통해 판단되며, 동적 재구성은 문제 해결을 위해 시간에 따른 적응 전략 및 변경 제어 흐름을 통해 제공되며, 목표 시나리오 컨텍스트 기반 워크플로우 기술 언어(GSWDL)를 이용하여 컨텍스트 정보를 표현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매출 프로세스 모델의 사례연구를 통해 목표 시나리오 기반으로 분석 및 평가, 적응 여부 판단, 전략에 따른 재구성을 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은 대표적인 적응형 소프트웨어 방법, 기존의 요구사항 분석 방법들과 비교, 분석을 하였다. 이 결과, 본 연구에서는 추상화와 도메인에 대한 지식 표현을 함으로써, 정형화된 문맥 정보 및 표현 구조를 제공하고, 적응형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위한 관점에 따른 필요한 특징들을 지원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방법에 따라 추출된 요구사항의 성과지표를 측정한 결과, 메타 모델 및 변경 내용에 따른 코드 생성율을 45.8% 감소시켰고,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성과지표는 최고 32.8% 높았으며, 성과지표에 따른 오차율을 28.9% 감소시켜 완전성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외부 상황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는 시간에 따른 적응 전략 및 변경 제어 흐름을 통해 해결하고, 목표 시나리오 컨텍스트 기반 워크플로우 기술 언어를 사용하여 표현함으로써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가 선택되고 실행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적응형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분석, 평가, 판단, 전략에 따른 동적 재구성이 가능하며, 고수준 문맥을 포함하는 문맥 정보의 정형화된 표현 구조를 제시하고, 목표 시나리오 기반으로 목표 모델링 및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적응형 소프트웨어의 중요한 특징인 문맥을 분석하는 활동과 소프트웨어의 재구성을 위한 구조 및 재구성 행위에 대한 표현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목표 컨텍스트 분석 기반 표현으로 인한 적응 전략 계획의 용이성, 문제 발생의 예측, 탐지 및 평가 성능의 확장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 화자적응화 연속음성인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김상범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박사

        RANK : 1919

        음성은 인간적 가장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의 수단이며 이러한 음성에 의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는 속도가 빠르고 특별한 훈련이 없이도 이루어진다. 또한 컴퓨터 및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음성인식 기술은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는 HMM과 신경망에 의한 방법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의 음성인식 시스템에는 DP매칭법, HMM 및 신경회로망으로 처리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연속음성 인식에서는 HMM을 이용한 인식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화자적응화 방법을 이용하여 소량의 적응화용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학습하며 특정 환경 및 특정화자 모델에 근접한 인식률을 얻는 방법이 주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절단위의 HMM을 이용하여 발성된 한 문장에 대해 화자 적응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음절단위 HMM모델을 구축한 후 적응화 하고자 하는 환경 및 화자의 데이터(음절 및 문장)를 연결학습법과 Viterbi 알고리듬으로 음절단위의 추출을 자동화한 후 MAP(최대사후확률추정)을 이용하여 적응화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험에서는 음절 DDCHMM(지속시간제어 HMM)모델을 학습한 후 연속음성을 화자 적응화 하였다. 신문사설에 대한 인식결과에서, 적응화한 경우 인식률이 71.8%로 적응화 전보다 약 37% 향상되었다. 적응화때 사용되는 웨이트값의 변화에 따른 인식률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ML추정에 의한 파라미터의 MAP추정과 Viterbi 알고리듬에 의한 추출 프레임의 MAP추정에 의한 인식률 변화도 크게 나지 않았다. PC에서 실시간 음성인식 시스템을 구축하여 음절 또는 문장을 인식 실험하였다. 인식시스템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A/D변환하여, 환상형 버퍼에 순환적으로 저장되도록 구성하였고, 시작점과 끝점을 검출하여 무음 구간을 제거한 음성부분만을 저장용 버퍼에 저장하도록 하였다. 저장용 버퍼에 저장된 음성은 음성분석과정에서 10차 멜 켑스트럼을 구하여 학습 및 인식용 음성 파라미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속음성 인식률 향상을 위해 OPDP(One Pass DP)법을 사용하여 자동차 제어문을 실시간으로 인식실험한 결과 약 90% 이상의 인식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이미 만들어진 모델에 대하여 새로운 화자가 발성한 적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응화 된 모델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당한 인식률 향상을 가져 올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더욱 개선하면 향후 온라인 시스템, 대화시스템 및 자동통역 시스템의 실시간 처리 음성인식 시스템의 구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man-machine interface through speech has benefits in that it is fast and can be performed without special training. The establishment of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is becoming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because the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re developing rapidly. Nowadays,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s using DP matching, HMM and neural network are going on studying continuously. One of them, recognition system using HMM has been studied widely. Especially speaker adaptation methods which train models by additionally small amount of adaptation data to the special environments and speaker models get highly good recognition rate. In this study, speaker adaptation of uttered sentence using syllable unit HMM is proposed. Making data-base of syllable unit HMM model and segmentation of syllable of speaker data(syllables and sentence) for adapta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by concatenation training and viterbi algorithm. And speaker adaptation is performed by MAPE(Maximum A Posteriori Probability Estimation). In simulation test, Continuous speech data is adapted by MAPE, after training syllable unit DDCHMM model.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for newspaper editorial continuous speech, the recognition rates of adaptation of HMM was 71.8% which is approximately 37% improvement over that of unadapted HMM. There are not too much differences of recognition rates by varing adapted weight values, and by comparing MAP estimation using segmented frame sample and MAP estimation using ML estimated parameter sample. we have realized real time speech recognition system in IBM PC. Recognition system is composed so that it may detect start and end time of A/D converted speech data which is stored into circular buffer continuously and remove unvoiced data region, then so that it may calculate me1 cepstrum and recognize them by O(n)DP within real time. Using OPDP method to get better recognition rate, the recognition rates of sentences of car control command was 90% as high recognition performance. In the result of experiment, speaker adaptation method can adapt a speaker-independent models to new speaker using small amount of new speaker uttered speech data, and can achieves high recognition performance in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Henceforth, it will realize voice-online-system, dialogue system and automatic interpreter of real time speech recognition system if suggested method is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