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사의 진성리더십이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규라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96

        ABSTRACT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Social Workers Nam, Kyu Ra Program in Project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harbors social vulnerabilities beneath the layers of competition and achievement. Efforts have been made in politics and society to support these vulnerable individuals, but discussions about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through social workers and the perceptions of the recipients continue. Social workers serve as crucial agents who help meet the needs of the recipients by providing services and interacting with them on the front lines of social work practice. However, the service delivery of these social workers has limitations as it cannot operate solely based on various variables and predefined rules for different recipi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uthentic leadership as a precursor for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required for social workers to provide services in diverse environments.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involv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nalyze how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influences th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search model, surveys were conducted with social workers working in organizations with leader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nd social work practice in South Korea. A total of 207 data poi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1,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authentic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 effect on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at authentic leadership from leaders can enhance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social workers, mediated b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oderated by proactive personality. However, this study has certain limitations. Firstly, due to its cross-sectional nature, it is challenging to clearly establish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Secondly, using self-report surveys may introduce issues related to common method bias. Therefore,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사회복지사의 진성리더십이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남 규 라 프로젝트경영학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급변하는 현대사회는 경쟁과 성취 이면에 사회적 약자가 존재하고 있다. 정치·사회적으로 이들을 위한 제도와 지원에도 열중하고 있지만, 사회복지 사를 통해 지원되는 서비스와 그 대상자들이 느끼는 서비스의 질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최일선에서 대 상자와 만나고 서비스를 실천함으로써 대상자의 욕구에 대한 실천을 돕는 중요한 인력이다. 이러한 사회복지사들의 서비스 실천은 여러 가지 변수와 각기 다른 대상자들에게 정해진 규칙에 의해서만 움직일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사회복지사 에 꼭 필요한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을 위해 선행변수로 진성리더십에 주목하였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 상관관계에서 적극적성격의 조 절효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복지관, 사회복지 실천현장 에서 리더가 있는 조직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자료 207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을 활용 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리더십과 서비스지향 조직시 민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성리더십은 서비스지향 조직시민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성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간의 영 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성리더십은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 본은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의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적극적성격 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두 변수 사이에 조절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 리더 의 진성리더십을 확산하고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적극적성격의 조절 효과를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이 촉진된다는 것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진성리더십이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사회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들에게 초점을 맞춤 으로서 특수한 환경에 있는 조직에서의 관계성을 규명하였다. 둘째, 진성 리더십과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의 직접적인 관계성을 규명하였다. 셋 째, 진성리더십과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 개효과와 적극적성격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인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횡단연구로 인해서 변 수 간 변화가 이루어지는 인과관계를 정확히 규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둘째,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조사로 인하여 동일방법편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위와 같은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 다.

      • 직장인의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 : 적극적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윤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3

        본 연구는 사회계층이 일 자유의지를 통해서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 성격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20대, 30대 성인 직장인 369명이었으며,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 경제적 제약 척도, 일 자유의지 척도, 적극적 성격 질문지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계층과 괜찮은 일의 관계를 일 자유의지(의지, 경제적 제약, 구조적 제약)가 매개할 것이다. 둘째, 일 자유의지(의지, 경제적 제약, 구조적 제약)와 괜찮은 일 간의 관계가 적극적 성격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셋째, 사회계층이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자유의지(의지, 경제적 제약, 구조적 제약)의 매개효과가 적극적 성격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 자유의지는 사회계층과 일 자유의지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성격은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계층이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를 통해서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 성격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대, 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계층이 구조적 제약에 대한 일 자유의지를 통해 괜찮은 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괜찮은 일을 얻도록 돕기 위해 적극적 성격을 증진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class, work volition and decent work. Three hundred sixty nin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age group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instruments included K-Decent Work Scale, Economic Constraints Scale, Work Volition Scale, and Proactive Personality Scale. The research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work volition(volition, economic constraints, structural constraints)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olition(volition, economic constraints, structural constraints) and decent work.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volition(volition, economic constraints, structural constraints) in the effect of social class on decent work will be moderated by the proac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 voli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olition(structural constraints) and decent work. Third, proactive personalit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volition(structural constraints)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The Finding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ork volition for structural constraints of individuals in the intervention, and that proactive personality training can be effective to improve the decent work of adult workers.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남성 상담사가 인식하는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가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 : 적극적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영지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426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상담사의 괜찮은 일에 대한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성상담사가 인식하는 경제적 제약이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 자유의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경제적 제약이 일 자유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극적 성격의 조절효과와 이러한 매개효과를 적극적 성격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전국의 남성 상담사 2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54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척도는 경제적 제약 척도(ECS), 한국판 괜찮은 일 척도(K-DWS), 일 자유의지 척도(WVS), 적극적 성격 척도(PPS)이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활용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괜찮은 일,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적극적 성격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의 관계에서 적극적 성격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지막으로, 일 자유의지의 매개를 통해 경제적 제약이 괜찮은 일로 가는 과정에서 적극적 성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상담사가 경제적 제약이 높다고 지각할 때, 자신이 상담이라는 직무와 업무를 괜찮은 일로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일 자유의지를 높이고, 상담역량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상담장면에서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적극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과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83

        본 연구의 목적은 적극적 성격이 조직시민행동(도움행동, 변화주도, 개인주도)에 미치는 영향과 과업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이와 더불어 도구적 믿음의 조절변인 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사무직에 종사하는 직장인 25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적극적 성격은 과업효능감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과업효능감 역시 조직시민행동의 각 차원들(도움행동, 변화주도, 개인주도)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극적 성격은 과업효능감을 경유하여 도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 반면, 변화주도와 개인주도에 대해서는 과업효능감을 경유하여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각각에 대해 적극적 성격이 직접적 영향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를 지니고 있었다. 도구적 믿음의 조절효과 분석에 있어, 과업효능감이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도구적 믿음의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업효능감이 도움행동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도구적 믿음이 높을수록 도움행동에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업효능감이 변화주도 및 개인주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도구적 믿음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경제적 제약, 일 자유의지,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의 관계 : 적극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정지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46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의 관계를 적극적 성격과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5.0과 Process MACRO 4.0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일 자유의지는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성격은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경제적 제약과 미래의 괜찮은 일 인식 사이에서는 조절효과가 없었지만,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 사이에서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의 세부 척도 중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voliton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s for domestic college students, and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320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5.0 and Process MACRO 4.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work volition completely mediates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s. Second, proactive personality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work volitio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s. Third,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future decent work perceptions, but it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work volition. Finally, among the detailed measures of social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 was found in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침묵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조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30

        현재까지는 대부분 연구자들은 모두 관심을 상사가 부하 직원에 대한 리더 행위의 차이와 그 효과에 있어서의 차이에 두고 있으며, 대부분 연구에서 조직 유효성을 향상하고 부하의 긍정적 업무태도나 행동을 확장해 가는 리더의 행동에 초점을 두었다. 그런데 최근에 학자들은 조직에서 리더의 부정적 행위는 조직 구성원들의 정성적 소진, 직무 태도 저하, 심리적 갈등 등 심리적 차원에서의 부정적은 결과를 초래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밝히고 있다. 이로 부터 연구자들은 리더십의 부정적 측면인 파괴적이고 공격적 리더 행위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게 되었으며 경영학 방면에서도 학자들은 리더들의 부정적 행위들로 인한 부하직원들 상사 또는 조직의 이탈 행동, 조직시민행동의 감소 등 부정적 결과에 대한 연구를 하여, 불필요한 경제적 손해와 조직 효율성의 저하 등 문제점들을 제의하였다. 리더의 부정적 행위의 유형에서, 비인격적 감독은 이미 직장에서 존재해온지 오래 되었다. 최근에 연구자들은 대부분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 직원들의 심리적 차원 측면과 행동차원 측면에 대한 연구를 많이 진행하였지만 비인격적 감독과 관련되는 조직 침묵, 이 양자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를 하지 않았었다. 왜냐하면 조직 침묵은 관찰이 어려우므로 그것이 연구에도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경험적 연구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조직 침묵의 쉽게 전염되는 특징에 따라, 한명의 구성원이 침묵을 하게 된다면 잇따라 다른 구성원들의 침묵을 쉽게 일으키게 되므로, 이렇게 되면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있어서의 견해와 생각들은 발견되기가 어려우며, 조직의 생존과 발전에 있어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은 것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서양의 비인격적 감독의 개념을 도입하며 중국의 문화배경을 바탕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침묵 관계에서 부하의 적극적 성격의 조절역할을 밝히고 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 연구는 설문조사의 방법을 통하여, 주로 중국산서지역에 사영기업의 사무관리자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사,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 통계방법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침묵에 대한 영향을 미치며 조직침묵의 3가지 유형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둘째, 비인격적 감독은 체념적 침묵, 방어적 침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친사회적 침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부하의 적극적 성격은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침묵의 3유형중의 친사회적 침묵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