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方財政의 確保方案에 關한 硏究 : 淸州市를 中心으로

        황선욱 淸州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8655

        Bad financial situations of Korea's local cities are not today's problems but accumulated problems so far. Especially, demand of local administration has been enlarged with the increase of public services such as legional development and inhabitant welfare owing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which has been made since 1960s. But, the finances of small-medium cities such as "cheongju" increasingly tend to rely on the central Government because of the tendency of financial centralization and eoncentration of finance on some big cities as well as lacks of their own financial ability. The more the local finance relies upon the central finance, the more local government loses its autonomy. As the local goverment loses its autonomy, it has the difficulty in meeting the demand of local administration and loses the local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for small-medium cities such as cheongju city which is weak in finance to practice self autonomy, even though the constitution of the Fifth Republic had a little possibility in practicing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ose cities to secure their statle finance. Henc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plans for securing local finance and indicates the problems for the finance of local governments of Korea, focusing cheongju city. The followings are the problems indicated in this study. First, while the rate of financial independence of big cities such as Busan and Taejeon were relatively high in 1981; 93.4% and 73.1% respectively, cheongju city's rate of it was 62.3%, which is a little over nation-wide average. This is a common phenomenon in most small-medium cities in Korea. Second, the reason why small-medium cities like cheongju have relatively low rate of financial independence is that sources of revenue with high elasticity mainly concentrated on the national taxes. And, local taxes consists of taxes which have little income elasticity like property tax. And, the fact that local sources of revenue was much too concentrated on big cities shows the unbalance in the sources of revenue between the regions. Third, because small-medium cities like cheongju are in financial difficulties, the share of general administrative expence in their annual expenditure came out to be higher than investment expence.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se cities to secure enough sources of tax, for they still remain as comsuming cities, with them not to be industrialized. Fourth, those cities have irrational finance supportion system. In case of cheongju city, the share of legal subsidy in overall revenue is 13.27%. Furthermore, the other smaller cities are less than that. The following plan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o secure enough local finance. First, it is necessary to transfer a few national taxes and Value Added Taxes, which have characteristics of local taxes, into local taxes in order to avoid the poverty of local finance. Second, the rate of local tax has to be readjusted in terms of the economic growth and inflation within the limits not to increase the tax burdens of local inhabitants. And, it is necessary to give the local governments the right to adjust the tax rate in order to regulate themselves more efficently. Third, it is required to find the new potential sources of revenue. That is, it is necessary to secure stable local finance by introducing new tax systems such as regional development tax, invironment preserration tax and tobacco comsumption tax. Fourth, Current rate of local subsidy "13.27%" is not enough to meet the local inhabitants' financial demand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aise the local subsidy rate up to 17.6%, which is the level prior to "August 3 Measurment". Particulary, small-medium cities like cheongju have relatively heavy burden of local taxes, clear-cut lines of business have to be established between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nd it is also necessary for national government to grant the national subsidy on the basis of current price, not the former year's unit price. This study has investigated problems on the finance of local governments and improving plans for the problems, but it is im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revenue guarantee without reasonal expenditure. Therefore, to save annual budget can be regarded as a device to secure local finance. And, it is possible to save expenses by transferring some projects to private enterprises and placin some public service sections under private management. It is also possible to save budget and make the efficient utilization and distribution of national resources possible by establishing post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In conclusion, it is urgent to make the local autonomy system, which has not been practiced on the ground of weak financial situation of local governments, be practiced as soon as possible by securing the finance of local government. Thus, these approaches ar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litics, economy, public administration, and culture of local community.

      • 행정구역통합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 : 동해·삼척시를 중심으로

        윤명기 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최근 전국적으로 행정구역 개편이 친행 중에 있고, 동일권역 내에서 인접한 지방자치단체가 앞 다투어 도시 간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도시 구성 요소의 효율적인 통합을 통해 지자체 운영의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자립적이고 안정적인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지방자치시대로 접어들면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나름대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는 있으나, 각종 정책적·제도적 장치가 미비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에 도시 운영은 물론 지역경제까지 위임해 놓게 되면서 기존의 행정구역을 고수하는 현 자치체제로는 지역경제 개발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과거 선진국에서도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광역 행정협의회, 지방자치단체 조합 결성 등 도시 간 협력체제 구축 방안을 여러모로 모색해 왔으며, 그에 따른 실효성을 거두어 온 것을 볼 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경제 분석과 정책이 뒤따라야 할 상황인 것이다. 지역경제가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고 나아가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필요하다면 도시체제의 재정비와 통합 방안이 고려되어 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 동안 조심스럽게 논의되어 오던 동해·삼척시의 통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론 두 도시가 통합을 위해 그동안 지역혁신협의회 구성을 통해 경제권역 통합을 위한 노력을 해 오고는 있지만, 그 이면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과연 지방정부가 스스로 경제 개발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인구나 산업기반 등 기초적인 경쟁력 부족으로 발전이 저해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립적 지역 발전을 위한 적정 공간 단위란 존재하는 것인지 등을 심층 깊게 살펴보고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역경제 성장과 지역경제 경쟁력 향상에 필요한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동해시와 삼척시를 중심으로 통합방안이 과연 어떤 효과를 가져 올 것인지 또 그것의 구체적 경제적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지역의 산업 구조와 동해시와 삼척시의 지역경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두 도시의 경제활동 인구, 산업별 구조, 지방재정 능력, 지역경제 생산액 등을 통한 문제점과 한계 등 경제적인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이 되었을 때의 효과를 행정적·경제적 편익 두 가지로 나누고 이에 대한 사례 제시를 위하여 최근에 지역 구분을 개편하였거나 논의 중에 있는 도시를 함께 병행 분석하였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분석을 위하여 자료 포락 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통한 시의 효율적 분석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효율성을 결정짓는 여러 요인을 도출하여 동해 삼척시의 특성과 효율성을 소개하였다. 또한 DEA 분석을 통하여 통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와 이를 위해 필요한 조건을 도출하여 동해·삼척시의 통합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 개발을 통한 외자 유치 지역개발, 경쟁력 강화, 행정낭비방지, 주민의 생활편익 도모, 지역 이미지 게선 등의 효과가 상당 수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생산하는데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고 있어 생산비용 측면을 고려해 정부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면, 일정 정도 규모의 경제 확보와 달성을 위한 행정구역 개편논의는 바람직하다고 보여지며, 이는 상당한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단, 두 개의 시가 통합된 이후 통합 체제가 완전 정착되어 효율성이 높아지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는 등의 가시적인 성과는 다소 지연되거나 연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안목에서 다양한 실질적인 정책과 방향으로 통합을 추진해 나아간다면, 이는 대표적이고 성공적인 도시 통합 및 개편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cently the government proceeds on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steadily carrys out various projects to integrate among near cities. This moving is getting the competitiveness by effective integration and driving the independent steady local economy development. The past, advanced nations tried to slve the problem by city integration like many different types of local government association. And it is true that the plan caused many effectiveness. So we should analyze the overall plan and policy. To achieve the global local competitiveness, the reorganization and integration of cit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ituation, the Dong-hae · Samcheok city integration could be look around. Two cites tried to economic range integration by RIS(Region Innovation System), but the other side this system holds many problems. We should consider the what cause this trouble whether fundamental incompetence like population, SOC or insufficient area for independent local economy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o get the solution to achieve local competitiveness which could reduce the social and economic difference between cities, I show the effects of the integration of Dong-hae, Samcheok, and what specific economic influence is. So I analyze the local economic situation of Dong-hae, Samcheok city and industry structure like population infrastructure, capability of public finance and amount of products. And I divede the effects of integration in to economic one and administrative one and that are supported specific examples. To get the economic effects, I use the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bring the elements that deter mine the effectiveness of city. And I find out the synergic effects of Dong-hae · Samcheok city and the conditions to get these effects. The results the integration could cause the invitation foreign capital, the strength of competitiveness and the improvement local brand image. Specially I find out there is a scale economies in government public service which could maximize the efficiency of government's cost efficiency. Even though we could think that the visible result take a time to settle down, in the long respect various real policy to the integration could lead the representative example of administrative reorganization.

      • 재정분권이 정부지출규모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ECD 회원 국가를 대상으로

        홍근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지출규모와 경제성장에 대한 재정분권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재정분권이 정부지출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중앙정부로의 과세권 집중과 정부 간 이전재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정부 간 담합 형태의 재정분권이 정부지출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셋째, 재정분권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 넷째, 재정분권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과 이러한 영향들 사이의 잠재적 상충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재정분권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위한 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OECD 국가의 재정분권 사례를 통해 양적연구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7개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패널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여 이론적 분석모형을 검증하였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재정분권과 경제성장 사이의 직․간접적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세입분권은 정부지출규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세출분권은 정부지출규모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Collusion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정부 간 이전재원은 정부지출규모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경제발전 정도가 높은 국가들의 경우에는 정부 간 이전재원이 정부지출규모를 감소시키는 반면에, 경제발전 정도가 낮은 국가들의 경우 정부 간 이전재원이 정부지출규모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정부 간 이전재원의 형태로 나타나는 정부 간 담합이 정부지출규모를 증가시킨다는 Collusion 가설과 일치하는 것이며, 경제발전 정도가 낮은 국가일수록 정부 간 담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정분권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입분권은 소비자물가상승률로 측정된 거시경제안정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세출분권은 거시경제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재정분권과 경제성장의 직접적인 관계에 관한 분석에서 재정분권은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정분권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있는 경로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입분권의 경우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 모두 경제성장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세출분권의 경우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고는 있지만, 세출분권의 간접적 효과는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세출분권은 거시경제안정성을 촉진하고 정부지출규모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재정분권의 잠재적 효과는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government expenditures and economic growth.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four effects: first, the effect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government expenditures; second, the effect of intergovernmental collusion, concentrating a tax power 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transferring revenues to lower level governments, on government expenditures; third, the direct effect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macroeconomic stability and economic growth; fourth, the indirect effects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economic growth and the potential tradeoff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the empirical analyses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s on the effects of fiscal decentralization. It also analyses the case of fiscal decentralization in OECD countries to compensate for the gaps in quantitative research. Finally, it verifies the model by analyzing a panel data collected from twenty seven OECD countries, and examines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the fiscal decentr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rough path analysis. The result of the first analysis shows that revenue decentralizatio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cale of government expenditures, but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causes a decrease in government expenditures. The result of the second analysis shows that the revenues transferred between governmental levels were found to be a factor which increases government expenditure. The transferred revenues are likely to decrease government expenditure in the case of the economically developed countries; whereas they are likely to increase government expenditures in the case of the economically less developed countrie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collusion hypothesis, which posits that intergovernmental collusion through transferred revenues positively affect the size of government expenditure, and implies that intergovernmental collusion is more likely to occur in the economically less developed countries. The result of the third analysis shows that revenue decentralization increases macroeconomic stability, measured as the rate of consumer price inflation, while the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macroeconomic stability. Also, the other result of the third analysis shows that the fiscal decentralization negatively affects economic growth. Finally,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es, which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between the fiscal decentr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are as follows: the revenue decentralization was found to impede economic growth in the light of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the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to economic growth is positive even though the direct effect to economic growth is negative. Thus, expenditure decentralization is a factor that can promote macroeconomic stability, restrict the size of government expenditures, and potentially foster economic growth.

      • 우리나라 예산규모의 결정과 재정환상

        이상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2303

        1. The Concept Definition of Fiscal Illusion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fiscal illusion as a thesis. Fiscal illusion means the differences between facts and subjective perceptions concerning tax burden or governmental expenditure benefits. For example, some people feel the under-estimation of tax burden. The others feel the over-estimation than the objective tax burden. Therefore, fiscal illusion is similar to wishes, conjectures, fears. And all people like ordinary citizens, bureaucrats, and politician feel the fiscal illusion as cognitive process. In particular, ordinary citizens often feel the illusion that underestimates their tax burden. That factor is explained by four types. The first, they are constrained by imperfect information and computational incapacity. Individuals concentrate on their business, and then is out of the national budgeting. Because ordinary citizens are only the passive spectator of fiscal operation. The second, the institutional structures of budgeting give rise to individual's fiscal illusion. They are described by the general account budget, the executive budget, the tax administration cost. The third, the public figures like politician and bureaucrats induce fiscal illusion, because of their self-interested utilities. The politician seeks the vote maximization, and the bureaucrats want the budget maximization. It is obtained by that ordinary citizens feel the under-estimation of their tax burden. Besides interest groups, mass media, and social trends work on individual's fiscal illusion. 2. Is the Budget Policy that makes the Ordinary Citizens Considering Under-Estimation about Tax Burden? Fiscal illusion is only not regarded of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limitation. The under-estimation of tax burden makes ordinary citizens demanding for more public services. The supply of public services is out of equilibrium. Therefore, the budget amounts excessively increase.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structures and operation method of budget receipts that cause the under-estimation of tax burden. They are indirect taxes, complexity of taxation, national debts by deficit budget, inflation tax. Moreover the off-budget accelerates a fiscal illusion. In this study I examine relations between national budget amounts and budget receipts of fiscal illusion in korea. The indirect taxes make individual's tax burden obscured because tax -bearing capacity reveal indirectly by spending. And the complex taxation lay individuals on varieties of rate schedule. Then, ordinary citizens are thrown into confusion. They don't know what is the actual tax rates. For example, deductions and exemptions increases the complexity of taxation. National debts by deficit budget delays tax burden into future generations. This is the name for debt illusion. And inflation tax obtains by debasement of the currency. Inflation transfer a purchasing power from public debt holders to government. Besides the bracket creep accelerates revenue elasticity. The tax burden of ordinary citizens automatically increase. Finally, budget receipts of fiscal illusion is frequently used at the off-budget as backdoor spending. 3. Empirical Findings of the Stud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nalysis operates into empirical test of the multi-regression model. The proxy variables are ln(general account budget), ln(specific account budget), ln(integrated finance amounts), indirect ratios, ln(amounts of deductions and exemptions), ln(central government debts), consumer price index change ratios. The empirical results of testable hypothesis(1~5) suggest that hypothesis 3 and 5 are accepted. But hypothesis 2 is rejected, hypothesis 1 and 4 are additionally analyzed. Hypothesis 1 : Relations between indirectness of taxation and national budget amounts is positive in korea Hypothesis 2 : Relations between complexity of taxation and national budget amounts is positive in korea Hypothesis3:Relations between national debts by deficit budget and national budget amounts is positive in korea Hypothesis 4 : Relations between inflation tax and national budget amounts is positive in korea Hypothesis 5 : The budget receipts of fiscal illusion is frequently used at the off-budget than the official budget in korea

      • 수원국의 변용재정지출이 원조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00

        OECD CRS 데이터 상 1995년부터 2014년까지 약 20여년 동안 전 세계의 총 원조 지원액은 2조 달러가 넘어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조 지원국들과 원조 수혜국인 개도국 간의 경제 수준의 갭은 쉽사리 줄어들지 않았고, 빈곤 상황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Arndt and Trap, 2009). 이를 바탕으로 원조의 효과성에 대한 회의가 점점 늘어났고, 수원국으로 향했던 대규모 투자자금이 실제로 기대 효과에 미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기 시작했다(Bourguignon & Sundberg, 2007). 원조규모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효과성이 그만큼 나타나지 않는 원조의 딜레마를 다룬 실증연구들에 따르면, 수원국의 굿 거버넌스 문제 및 수원국 정부의 제도/정책이나 정치적 불안정성 문제 등이 원조효과성의 장애요인으로 지적된다(Gomanee et al., 2005; Loxley & Sackey, 2008). 이에 따르면 원조를 통한 국제적 이전자본 유입이 수원국의 투자의 근간으로 작용하여 수원국의 경제성장 및 자본 불균형을 해소하는 등의 원조 효과성 증진의 원동력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수원국 정부의 환경적 리스크 및 정책적 요인 때문이라는 것이다. 공여국의 입장에서 원조는 자국 국민의 세금으로 타국을 지원하는 것이므로 원조금액만큼의 효과를 보기위해 이미 다양한 전략을 연구 및 실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수원국의 빈곤상황에 개선이 없다면 이제는 공여국의 입장이 아닌 수원국의 원조효과성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사실상 앞서 언급된 수원국의 환경적 요인을 ‘빈곤의 늪(Poverty trap)’에 빠진 수원국 스스로가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수원국 자체가 자국 내 원조효과성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정부의 정책적 측면일 것이다. 즉, 굿 거버넌스 구축은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가변성이 낮은 환경적 요인들은 차치하고서, 수원국의 정책적 전략이 원조효과성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원조효과성을 제고하는 방법 중에서도 수원국 정책과 원조효과성의 관계에 방점을 두었다. 특히 수원국 정책 중에서도 재정 정책은 Michaelowa(2004) 등의 연구에서 원조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제기되고 있는 바, 다양한 정책적 변수 중에서도 수원국 정부의 재정정책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원조가 수원국 국내의 이전 재원 등의 형태로 유입되었을 때 수원국의 재정지출 전략이 자국 원조효과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혹은 그 수준은 어느 정도 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원조가 수원국의 재정지출을 통해서 원조효과성까지 연결되는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개효과로서, 원조규모와 원조효과성 사이를 수원국 재정지출이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앞선 분야에서는 원조자금이 재정지출을 통해 원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면, 두 번째와 세 번째 분석에서는 수원국에서 자국으로 유입된 원조자금을 원래 목표했던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로 변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서 원조효과성이 감소하는 것은 아닌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원조변용성(Fungibility)이란 원조금액이 공여국과 수원국의 합의한 대로 목적된 섹터에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수원국 정부가 임의적으로 공공지출을 변경하여 다른 분야로 전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World Bank,1998). 즉, 동 파트에서는 수원국 정부가 원래 의도대로 원조를 재정지출에 반영하지 않고 재정분배를 달리 하는 것을 뜻한다. 이와 같은 변용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Pack and Pack(1990)이 고안한 변용성 모델을 현실에 보다 적합하게 수정 적용하여 각 국가별 원조변용성 수치를 도출하였고, 국가별로 도출된 원조 변용성 수치가 원조효과성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가장 원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사회 인프라 분야 중에서도 규모가 큰 보건과 교육 분야를 선택하였고, 데이터가 수집가능한 모든 수원국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특히 아프리카 국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아프리카와 이에 대비되는 남아시아 국가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를 각 파트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파트를 살펴보면, 보건 분야에서는 남아시아 대륙을 제외하고 전체국가를 대상으로 한 분석과 아프리카 지역은 모두 재정지출이 매개변인으로서 원조규모와 원조효과를 유효하게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이러한 재정지출의 경로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원조자금을 제대로 자국 재정지출에 반영하는지 변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국가별로 보건과 교육분야의 원조 변용 수준을 측정하였다. 변용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변용성 모델 식을 차용하였으나, 기존 모델 식에 존재하는 문제점이(예산 반영 주기에 대한 고려 미비; 점증적 예산결정이론에 대한 간과 등) 존재하여 이를 수정 보완하여서, 보건/교육 분야에 각각 맞추어 새로운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각 국가마다 원조 변용수치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 평균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원조자금을 일부 변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륙별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지역을 살펴보았을 때에도 이러한 구성에 차이가 존재할 뿐 변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는 상기에서 도출한 변용성 수치를 바탕으로 이것이 원조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전반적으로 원조변용성이 원조효과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보건 분야와 교육 분야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절효과와 관련하여서 아프리카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교육과 보건 분야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보건분야의 경우에는 변용성이 높아질수록 원조 규모가 원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분야의 경우에는 원조변용성이 커질수록 원조규모가 원조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아져서, 결국은 원조규모가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정(+)의 방향에서 부(-)의 방향으로 기울기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상기의 분석들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원조에 있어서 수원국의 재정지출정책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보건분야의 경우에는 재정지출정책에 원조규모와 원조효과성을 매개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재정지출정책에서 변용이 대부분의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이 원조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분야에서는 재정지출정책의 매개효과는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재정지출정책 상의 원조 변용이 결과적으로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분석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수원국의 원조유입에 대응하는 재정지출행태와 원조효과성과의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제로 원조효과성을 좌우하는 요소 중 원조를 받아들이는 수원국의 재정운영행태, 변용적 이용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원조의 변용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원조효과성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거나 혹은 간접적으로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실증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원조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원조 변용성을 낮출 수 있는 원조전략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OECD CRS dataset, despite the explosive increase in global aid in volume exceeding $2 trillion from 1995 to 2014, the gap in economic level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has not narrowed, generating criticisms of aid effectiveness. Although the inflow of international capital transfers through aid should serve as the basis for investment in recipient countries and the driving force for improving aid effectiveness, such as resolving economic growth and capital imbalanc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not witnessed the expected such effect due to environmental risks and policy factors of recipient countr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fiscal policy of recipient countries and the aid effectiveness. In detail,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recipient countries utilized and distributed aid funds, which inflows as a form of domestic transfers. The study also aims to prove how this pattern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the aid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study is conducted in three analyses: 1) the effect of recipient countries' fiscal expenditure was identified, which mediates aid volume and aid effectiveness; 2) the “aid fungibility” model devised by Pack and Pack (1990) was modified and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flow of aid funds was converted into the other sectors; and finally, 3) the effect of the level of aid fungibility by country directly or indirectly on aid effectiveness was analyzed. In the first analysis, it was found that fiscal expendi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as a mediating variable for aid volume and aid effectiveness in all countries except the South Asian continent in the health field. The second analysis modeled and calculated aid fungibility at country level, in the health and education sectors, to discover whether aid funds were properly reflected in their own fiscal expenditures. The “aid fungibility” model devised by Pack and Pack (1990) was modified for inconsideration of budget reflection cycles and overlooking incremental budget decision theory. Based on this new model,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level of aid fungibility for each recipient country. The results show that, on average, aid funds are partly fungible for the most countries. The third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level of fungibility for each country calculated above indeed affects the aid effectiveness. The direct effects of aid fungibility on aid effectiveness were significant in the health and education sectors. For the indirect effects, the moder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both education and health fields. which shows that the higher the fungibility level is, the lower the effect of aid volume on aid effectiveness, especially in the education sector, resulting in a shift in the effect from positive (+) to negative (-). Through the analysis above, it was found that both the financial policies and the fungible usages of aid fund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id effectivenes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id effectiveness, an aid strategy that can lower the level of aid fungibility should be intensively considered.

      • 정부규모가 부패에 미치는 영향

        蘇菲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87

        국 문 초 록 정부의 근본적인 역할은 국가를 다스리고 국민들의 안보를 유지하는 것이다. 신공공관리론을 등장한 후에 ‘큰 정부, 작은 정부’에 관련된 논의를 계속 진행해 오며 정부규모에 대한 토론도 시작하였다. 정부규모의 크기는 각 국가의 실제 상황에 의해 많이 다를 수 있으니 통일한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정부규모가 크다, 작다 에 대해서 논하는 것 보다 정부규모가 해당 국가의 현 상황과 부합하는지, 실제로 정부 크기가 국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의 31개 성(省)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중국정부의 규모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지금 중국 국내에서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부패문제와 결합하여 중국의 정부규모가 부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자 한다. 정부규모가 부패수준에 양(+)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고 음(-)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Pooled OLS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정부규모를 측정하는 재정지출이 부패수준을 측정하는 부패 사건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종합적인 재정지출과 세분적인 기능별 재정지출 두 방면으로 정부규모를 측정한다. 먼저 city별로 cluster 처리하여 시간적인 더미변수를 추가한 결과를 따르면, 종합적인 재정지출을 측정하는 정부규모가 커질 수록 부패수준이 떨어진다는 것으로 나온다. 세분적인 정부규모의 구성을 고려하였을 때 일반행정 지출의 비중이 커질 수록 부패수준이 높아진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지리적인 더미변수를 추가한 후의 결과를 의하면, 모든 지역에서 전반적인 정부규모가 커질 수록 부패수준이 떨어진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세부적인 정부규모의 결과는 동부직역에서만 일반행정 지출 비중이 커질 수록 부패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나온다. 그리고 마지막에 정부규모와 부패 양 변수간의 내생성 문제로 인해 독립변수 정부규모를 1년의 시차를 넣고 Lag모델을 활용하여 이 문제를 통제하려고 시도하였다. Lag모델의 결과는 앞에 있는 회귀분석 결과와 모두 일치한 방향의 영향으로 나온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보면, 정부규모를 감소시키려는 일반적인 의견과 달리, 전반적으로 정부규모를 증가하여 세부적으로 정부규모의 구성 중에는 일반행정 지출비중을 줄여 다른 기능의 지출로 전이하면 부패수준을 줄인다는 것을 본 연구의 실증결과이다. 이 분석결과의 실제 정책적인 함의는 반부패 정책을 세울 때 정부규모를 줄이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전반적인 정부규모를 감소하는 것보다 세부적인 정부규모의 구성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더 중요하다. 주요어: 정부규모, 부패, 재정지출, 지출비중, 중국 학번: 2012-2407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