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상담 :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장호용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상담: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장 호 용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병법』을 중심으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리 단서 를 파악하고 상담학적 접근을 통해 갈등관리의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탐구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1)『손자병법』을 중심으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 리 단서를 추출할 수 있는가? 2)『손자병법』에서 추출한 갈등관리 단서로 상담학 적 접근을 통해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고안할 수 있는가? 3)『손자병 법』을 통해 정리한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 이며 박성희(2008)의 ‘고전에서 상담 지식을 추출하기’ 방법을 활용하였다. 『손자병법』에서 나타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리 단서를 추출하였다. 『손자병법』에서 손자가 추구한 궁극적 목표는 ‘전승(全勝)’이다. 전승이란 온전 하게 승리한다는 뜻으로 손자는 아군과 적군이 모두 온전한 상태에서 아군이 승리 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보았다. 손자는 전승을 위해서 최소 비 용으로 최대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율성 추구’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고, 효율성 을 추구하기 위한 아군의 ‘주도권 장악’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다. 손자는 전쟁에 서 효율성을 추구하며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사전점검표의 역할인 오사칠계(五 事七計)를 활용하였다. ‘지피지기(知彼知己)’의 개념은 적군을 아는 지피와 아군을 아는 지기를 합한 것으로, 적군과 아군을 알고 준비하면 전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적이변(因敵而變)’의 개념은 적군의 상황에 따라서 아군이 적절하게 변화하면 전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자병법』에서 추출한 갈등관리의 목표와 원리를 상담학적으로 해석하여 구조 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는 ‘지피지기의 원리’를 바탕으로 내담자와 상담자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상담자는 ‘인적이변의 원리’를 바탕으로 내담자와의 변화에 집중하며 적절한 반응을 하기 위 해 노력해야 한다. ‘지피지기의 원리’의 하위 요소로는 ‘불태’, ‘지피’, ‘지기’로 구조화하였다. 연 구자가 지피지기의 원리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과의 갈등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교 교사가 위태롭지 않아야 한다는 마음가짐(불태)을 시작으로 학생을 학생 의 시선에서 바라보며(지피) 교사 자신의 성격과 가치관 등을 파악하며 객관적으로 바라보는(지기) 모습을 도출하였다. ‘인적이변의 원리’의 하위 요소로는 ‘속전속결’, ‘임기응변’으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자가 인적이변의 원리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과의 갈등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교사와 학생 모두 지치지 않게 신속하게 처리하되 학생의 변화에 맞춰 적절하 게 끝내는 ‘속전속결’ 모습과 교사가 학생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임기응변’ 모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시대와 장소, 상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갈등관리’라는 시각에 근거 하여 『손자병법』을 상담학적으로 해석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손자병법』 으로 추출한 갈등관리의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 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손자병법, 갈등관리,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 교사-학생 갈등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육이 초등학생의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조진오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육이 초등학생의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조 진 오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보․로봇전공 (지도교수 김 동 호) 과거 상상 속 창작물이었던 인공지능이 이제는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찾아서 활 용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급격한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큰 변 화가 일어나고 있다. 사진기가 발명되기 전에는 기록을 남기기 위해 화가의 정밀 묘사능력이 중요하였지만 사진기의 발명으로 인해 화가들의 묘사능력의 중요도가 떨어진 것처럼 이러한 사회 변화 속에서는 현재 중요하게 여겨지는 능력이 외면받 기도 하고, 새로운 능력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육 또한 사회 변화에 발 맞추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인공지능 교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공지능 발달의 최선두에 서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 및 적용한 후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현행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내용 요소들을 추출한 후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절차에 따라 총 16차시의 생성형 인공지 능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생성형 인 공지능 활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세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국어, 미술, 음악, 사회 교과에 활용하였다. 그리고 6학년 학생들을 상대로 교육을 실시 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공지능 리터러시 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다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 발되어 학생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확장되기를 바란다.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 지도에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과학과의 방안 연구

        구선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문요약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 지도에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과학과의 통합 방안 연구 구 선 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전공 (지도교수 황 연 주) 21세기를 흔히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공존하는 다원주의 시대라고 한다. 다원주의 시대에는 인간이 부딪치는 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하여 독특한 사고방식으로 해결하는 창의적이고 보다 다양한 능력과 개성을 지닌 인간상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주제인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통합교육은 이에 대한 하나의 교육적 대안이 될 것이다. 현행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여러 교과에 상호 횡적으로 연계된 학습 주제를 통합하여 운영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전인적인 인간의 육성을 바탕으로 하는 통합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오늘날의 교육적 흐름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통합교육은 교과목들을 분리시키는 경계가 없어지면서 특히 인지적 사고력이 미분화된 초등학교 저학년에 적절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적용하고 있는 통합교과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 󰡐즐거운 생활󰡑은 미술, 음악, 체육이 통합된 교과이며, ‘슬기로운 생활󰡑은 사회와 과학이 통합된 교과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각 통합교과를 구성하고 있는 관련 교과간의 연계성이나 통합성이 비교적 부족하고 단지 주제만 같을 뿐 기존의 교과별 수업을 그대로 진행하고 있는 경향이 많다. 즐거운 생활의 지도에서도 단원별 주제를 중심으로 미술, 음악, 체육이 통합적으로 구성이 되어 있지만, 각 교과별 수업이 따로 따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즐거운 생활‘, ’슬기로운 생활‘ 등과 같은 통합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을 실시할 수 있는 부분들도 많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통합교과 중심으로 통합교육이 실시되고 있을 뿐 다른 교과간의 통합적 접근은 거의 실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미술과 과학 또는 미술과 국어 및 수학 등과의 통합적 접근은 거의 옳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학교교육에서 미흡하게 실시되고 있는 미술과 과학과의 통합교육을 프로젝트 접근을 통하여 실시해보고자 한다. 미술과 과학은 인류 역사를 통해 다양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발전해 왔다. 이 두 분야는 서로 대립되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상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미술사에서 인상주의는 스펙트럼의 과학을 예술에 끌어들여 팔레트에서 물감을 섞지 않고 밝은 색 조각들을 병치하여 어두워지지 않는 혼색을 고안해내기도 하였고, 오늘날 Computer Art, Video Art, Laser Art, Digital Art 등 현대 미술에서 테크놀로지의 사용은 미술과 과학의 통합적 현상들을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과학 교과의 성격을 비교해 볼 때 미술과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사고 과정에 바탕을 둔 창의성 함양은 과학과에서도 󰡐단편적인 지식의 획득보다는 기본 개념의 통합적 이해의 토대 위에 일상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Ⅳ, 2008: 171) 라고 밝히며 두 교과 모두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보다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존중하며 교과에서 배운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활용하여 일상생활의 문제점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는 것도 두 교과의 성격이 매우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과학의 상호 밀접성을 바탕으로 미술 활동과 매체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원리를 학생들이 스스로 발견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통합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우선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프로젝트 수업의 이해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접근을 통한 미술과 과학의 통합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통합 방안에서는 초등학교 2학년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과를 분석하여 미술영역만 추출하고 ‘슬기로운 생활’에서 과학영역만을 추출하여 통합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백일홍 꽃󰡑을 주제로 레지오 에밀리아(Reggio Emilia) 접근법을 그리고 ‘콩’을 주제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북 지역에 소재한 P초등학교 2학년 1개 반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장 실험 연구 기간은 2010년 4월에서 11월까지 8개월 간 이루어졌다. 개발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통한 통합교육 방안에 대한 결과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은 작품 결과에 대한 교사의 관찰법과 수업 전후에 투입한 설문지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관찰법을 통하여서는 미술 표현력, 창의적인 태도 등을 알아보았으며, 설문지법을 통하여서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통합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선호도, 수업의 난이도, 미술활동에 대한 자신감, 흥미도, 협동하는 태도 등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해 수업을 한 결과 통합교과인 즐거운 생활에서 미술영역에 대한 선호도가 다소 증가되었고, 미술과 과학통합 수업에 대한 흥미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다 흥미를 느끼게 되었음을 뜻한다. 둘째,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해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의한 프로젝트 과정에서 학생들의 상호 작용이 증진되어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상징화 주기에 따라 학생의 지식의 구성이 확대되어 작품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미술활동이 보다 쉽다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세히 보고 그리는 활동에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이는 반복적인 관찰을 통해 보는 눈이 길러졌으며, 여러 번의 그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주변의 자연 환경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관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직접적인 현장 관찰 체험학습을 통하여 대상을 보다 객관적인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증진되었다. 넷째, 미술과 과학의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수업을 한 결과 두 과목이 요구하는 학습목표를 서로 연계하여 과학의 개념 습득 및 미술의 시지각적 사고 및 표현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하였다. ※ 본 논문은 2011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음악교육에서의 말리듬 활용방안 연구

        고정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문요약 음악교육에서의 말리듬 활용방안 연구 고 정 미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오르프 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연 경) 본 연구는 말리듬을 활용하여 음악수업을 전개하고자 할 때 해당 언어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적용한 말리듬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음악교육에 있어 말리듬의 활용을 강조한 오르프의 철학과 말리듬의 교육적 가치를 비롯하여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과 한국시의 운율 및 한국음악의 박자와 리듬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말리듬 활용의 예를 리듬학습 단계별로 다양한 언어적 소재를 사용하여 제시하고 이러한 말리듬이 음악영역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교수학습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그동안 말리듬의 연구는 교과서의 제재곡에서 리듬을 분석하여 말리듬을 적용하거나 가창곡의 가사분석에 국한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어로 된 텍스트로부터 자연스럽게 말리듬을 경험함으로써 음악교육의 시작으로서 말리듬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각 활용예시는 단계마다 개별단어, 동시, 속담, 수수께끼, 놀이노래, 이야기 등 언어적 소재를 선정하여 말리듬을 결정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제시 및 각각의 언어적 소재를 말리듬에 활용하는데 있어 고려해야할 언어학적 특징을 서술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각 활용예시에 적용한 한국어의 언어적 특징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적으로 개별 음절마다 자유로운 리듬 부여가 가능하나 긴 박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는 해당음절 종성의 성격을 고려한다. 둘째, 말토막의 유형 중 머리형, 복합형은 못갖춘마디나 당김음 리듬패턴에 사용될 수 있고 쉼표에 의한 당김음은 꼬리형의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당김음은 모음의 장단보다 2음절 이하 초성의 마찰과 폐쇄 정도를 먼저 고려하고 못갖춘마디의 경우는 말토막의 강세 유형과 함께 통사구조의 변화 가능성도 함께 고려한다. 넷째, 강박에 조사, 어미 등을 탄력적으로 수용한다. 다섯째, 시를 말리듬에 활용할 경우에는 음보율과 음수율을 고려하되 서양음악의 구조와 형식과 일치될 수 있는지 고려하여 박자를 선택하도록 한다. 다만, 음수율과 음보율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박자를 먼저 결정하고 낭송에 의해 분절되는 단위를 고려하여 마디를 나누고 박자에 맞게 리듬을 부여한다. 여섯째, 어문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기보다 현실발화를 먼저 고려한다. 언어를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는 리듬뿐 아니라 선율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한국어가 가진 특징과 음악과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어의 리듬으로부터 리듬을 경험하고, 한국어의 억양으로부터 선율을 배움으로써 오르프 슐베르크를 아이디어 삼아 한국에 가장 적합한 슐베르크를 만들고 이와 관련된 이론과 지도체계가 완성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어지길 기대한다. 주제어 : 언어리듬, 오르프 슐베르크, 음악교육, 말리듬, 리듬지도 ※ 본 논문은 2015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Approach Using Speech Rhythm in Music Instruction Jeongmi Ko Major in Orf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unkyung Le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opose a method to apply speaking rhythm for music instruction while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language. To achieve this, Orff’s philosophy that emphasizes application of speech rhythm and the philosophy of the educational values of speech rhythm, 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the cadence of Korean prosody, and the meter and the rhythm of Korean music were examin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examples of speech rhythm applications were proposed for each rhythm education step using various linguistic topics, and a speech rhythm teaching methodology idea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musical area was proposed. Speech rhythm research up to now analyzed the rhythm of musical text music pieces to apply music rhythm or was limited to the lyrical analysis of singing songs.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a method that applies speech rhythm to music from text that is in Korean for a natural approach to speech rhythm. In each step of the application examples, linguistics materials such as individual words, children’s poems, proverbs, riddles, play songs and tales etc. are chosen to decide the speech rhythm, and also present the linguistical characteristics that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pplying these linguistics materials to present musical activity and for applying speech rhythm to each of the linguistic materials. Through literary research, the summary of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at are applied to each appl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assign any rhythm to each syllable, but in the case where the rhythm needs to be held for a long tim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nal consonant of the syllabl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 out of the speech block types, the head type and the combination type can be used for incomplete bars and syncopation, and syncopation due to rest can use the tail type. Third, syncopation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riction and closure of the first vowel more than the length of the vowel, and first takes into consideration and friction and closure amount of the less than two syllable first syllables, and in the case of incomplete bar, the stress and the possibility of chance in the syntax structure of the speech block ar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Fourth, postposition and end of words etc. are flexibly accepted for stress. Fifth, in the case that poetry is applied to speech rhythm, foot meter and syllabic meter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whether it can be matched with the structure and form of Western music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o choose the meter. But in the case where the foot meter and syllabic meter are not consistent, the meter is chosen first and the units are divided by how they are separated during recital and the rhythm is assigned. Sixth, rather than apply strict grammatical rules, the realistic implementation is considered first. Language can be used in the application of music instruction not only as a rhythmic element but also as a melodical element. Through continuous in depth research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music, by experiencing rhythm from the rhythm of Korean language and by learning the melody from the inton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with inspiration from Orff Schulwerk, this research looks forward to the most appropriate Schulwerk for the Korean language and the foundation for the related theories and instruction system to be established. Keywords: speech rhythm, Orff Schulwerk, music instruction, language rhythm, rhythm instruc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15.

      •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VRM)를 활용한 학교-마을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종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VRM)를 활용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 종 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동 호)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보은교육지원청 마을자원지도 자료를 개발하 여 보은지역 초등학생들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기회를 넓히고 디지털 시대 의 메타버스 리터러시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를 활용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적용할 수 있는가? 둘째,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 활용 교육프로그램이 학습자의 메타버스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수 있는가? 셋째,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 활용 수업이 교사의 학생 교육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보은군 소재의 H초등학교 5~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교육지원청 소속 직원으로 학생들을 직접 지도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은지역 H초등학교 5~6 학년 담임선생님들의 협조 아래 실험집단을 선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보은지역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 플랫폼 활용 교육의 적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했을 때 메타버스 리터러시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 였다. 먼저 분석-설계-개발 단계를 거쳐 초등학생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 지도를 활용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프 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7주 동안 17차시로 학생들에게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메타버스 리터러시 검사 도구는 김연진(2022)이 개발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메타버스 리터러시를 메타버스 이해, 메타버스 접근, 메타버스 활용, 제작 및 공유, 의사소통 및 협업, 메 타버스 윤리 6개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Likert 방식의 5점 척도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 플랫폼 개발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이 가 능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의 발전적 특징을 활용하여 수업의 도구로 활용하고자 구현하였고 이를 교육프로그램으로 체계화하여 지역 연계형 학습 경험이 가능하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 계 분석 결과 메타버스 리터러시 측정 영역인 메타버스 이해, 메타버스 접근, 메타 버스 활용, 제작 및 공유, 의사소통 및 협업, 메타버스 윤리에 대한 6개 영역에서 모두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고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가 교사의 학생 교육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 었음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교사들은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 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메타버스 기반 마을자원지도를 활용한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은 어느 특정 지역의 소수 집단을 대상으로 적용한 것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서는 지역과 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인터넷 환경과 스마트 기기가 준비된 환경에서의 적용이므로 초등학교 전 학년과 디지털 교육에 준비되지 않은 환경도 고려하기 위한 방법적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 활용한 메타버스 플랫폼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프로그램 개 발로 비용적인 부담이 크다. 일부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였지만 지역 자원 전체 를 메타버스에 담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교육청-학교-지자체의 협력적 연구 및 개 발이 중요하다. 셋째, 메타버스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에듀테크 활용,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 한 이해와 교육과정 재구성 등 지역화 교육과정, 교사 교육과정이 확대되는 교육의 흐름에 따라 교사들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와 지원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주요어: 메타버스, 메타버스 리터러시, 메타버스 마을자원지도(VRM), 학교-지역 연계 교육프로그램, 학교-지역 공동교육과정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본 논문은 2023. 9. 충청북도보은교육지원청 학교지원센터 지역협력팀에서 개발팀을 구성하여 개발 및 적용함.

      •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복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 복 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이 연구는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 례연구이다. 통합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생활지도를 어떻게 하는지 그 과 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 통합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초등교사, 중등교사, 관리자 그룹으로 나누어서 총 1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 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형 소규모 통합학교 교사들은 서로 다른 생활지도 기준과 내용, 학년 별 생활지도 특성 등 통합운영학교 생활지도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경험을 가 지고 있었다. 초등교사는 활동마다 세세한 기준을 정해서 생활지도를 하는 점과 중등교사는 울타리만 쳐 주면 그 속에서 자율성이 생기면서 학생들이 관리되는 점을 통합학교 생활지도에서 색다른 경험이었다고 한다. 초·중학 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풍성한 교육 행사 결과를 보고 부정적이었던 통합운 영학교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은 학생 정보공유로 수월한 생활지도, 다양한 학생들이 서로를 통해 배우면서 성장하는 모습을 경험하고 있었다. 공동프로그램 운 영으로 학생성장을 지원하고 충분한 활동 공간을 제공하여 교사간 갈등을 줄여야 하는 점이 통합운영학교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동 생활지도의 중요성은 함께 풀어야 가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 은 학생들 생활지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단계에서 초·중 통합학교 생활지 도를 연계하여 공동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기대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바람직한 초·중 통합학교 학생생활지도를 위해서는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에 맞는 생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합학교 교사들 다양 한 상호작용에 관한 분석과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생 생활지도 경험, 질적 사례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김현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논 문 요 약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김 현 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체육교육 전공 ( 지도교수 서 예 원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인식과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고, 그 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의 반성적 태도를 유발하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내실화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정상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김길원(2003)의 ‘초등학교 표현활동수업에서 개발한 설문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연구도구를 완성하였다. 충청북도 내에 위치한 12개 초등학교의 교사 200명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취지에 동의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한 교사 4명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더욱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관과 교육적 가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작표현활동이 무용인에 의해 행해지는 전문적인 예술활동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으나, 창작표현활동을 수업하기에는 다소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표현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교사가 창작표현활동은 미래생활에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공간형성능력, 유연성 및 리듬감, 정서․창의성, 사회성, 감상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육과정, 수업 외적요인, 수업 내적요인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작표현활동영역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이 학년수준에 맞게 비교적 잘 제시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창작표현활동 영역의 수업시수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많았다. 또한, 시설․용구, 인원수와 같은 수업 외적요인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지도능력에 소극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다양한 지도 방법을 정확히 알지 못하며, 지도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기능력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여 교육과정내의 표현활동 영역을 모두 충실히 지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과정, 수업 외적요인, 수업 내적요인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표현활동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창의적 표현능력 교육’ 중심의 교육과정을 선호했으며, ‘교사의 지도능력’이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90%이상의 교사들은 수업 외적요인의 방안으로 ‘체육관 및 무용실’의 설치와 ‘15명~20명’의 학급 인원수가 가장 시급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창작활동’을 가장 선호하는 수업방법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교사의 관찰평가’에 집중된 수행평가와 수업 기준시수 보다 모자란 ‘6~10시간(보통수준)’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들의 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세미나 및 연수기회 확대’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설계 단계에서부터 현장의 교사들이 함께 참여하여 목표와 내용 그리고 수업시수와 같은 교육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함께 설계해야 하겠다. 또한, 음향장비가 구비된 체육관 및 무용실을 모든 학교에 설치하고 학급 인원수를 20명 내외로 조정하는 수업 외적 요인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창작표현활동 수업을 직접 진행하는 교사의 지도능력이다. 창작표현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이기 때문에 세미나 및 연수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다양한 수업 자료 및 방법을 현장에 제공하여 교사들의 지도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창작표현활동 수업의 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본 논문은 2011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간부사 교육 방안 연구

        까오위엔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Time adverb for the Korean Learners GaoYuan Department of Korea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Cheongju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Dong Se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korean learners on learning time adverb and to have a deep recognition on time adverb. Make sure that can be using time adverb well when have a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korean. Now there is higher position on vocabulary education in the area of the korean education. Though learners know that vocabular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ey just know a little with system knowledge on vocabulary. So there will be a introduction of time adverb on system classification and there will be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time adverb by the analysis of the present korean textbooks on class now. Because the teachers not only mentioned time adverb little in the class but also learners pay little attention on time adverb usually. And they don't appear often as new words in the korean textbooks. so in oder to pay more attention on time adverb and have a deeper system recognition on time adverb I will prepare a teaching method of korean time adverb for learners. I hope that the teaching method can help the learners when have a korean proficiency test and have questions with time adverb. and make sure that can using well when have a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korean. The teaching method will introduce significance and grammar of time adverb and the system classification of time adverb. Now let me will introduce the content of research simply. In chapter 1 it clarifies the purpose, scope, and research method and previous studies. In chapter 2 here is a research on the theory with the study. At first this chapter investigate the meaning with time and time adverb. and choose the most appropriate meaning for the study. Then investigate the system classification with many scholars' theory on korean time and time adverb. In chapter 3 the analysis of the korean textbooks that now present 6 education departments had Published. it included yonsei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konkuk university. At first I will make the contents of the korean time adverb for rank in all the textbooks and have a analysis with time adverbs that appeared in every kind of textbook and have a analysis about the similar points , different points, advantage and deficiencies among the kinds of the textbooks. And then have a analysis of practice in these textbooks. In chapter 4 it will introduce the curriculum model and the teaching method about the primary, intermediate, senior time adverb. The curriculum model include introduction, education process, practice, ending the 4 stages. In Chapter 5 sums up the above results and writes a brief summ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