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로 인한 스트레스와 전문직 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백승호 우석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cent welfare paradig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volves 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erving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rights conscious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mphasizing self-determination away from a viewpoint centered on the supplier to one centered on the consumer. As COVID-19 began breaking out in Korean society in early 2020, workers that provide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hugely impacted in terms of their health and role as did medical workers in the front line of preventive measures, forecasting an impact on the quality of service as well.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level of stress due to COVID-19, as well as the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for 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ttempt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by identifying the impact on service quality. To this end, the study distributed 210 surveys and collected 208 from 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in C in Chungcheongnam-do, from October 1 to 21, 2021, with ultimately 207 surveys analyzed after excluding 1 with an insincere response.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t-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with the result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stress levels due to COVID-19 and professional identity levels for 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long with an analysis of the overall trend of service quality, found stress levels due to COVID-19 at 3.134 out of a perfect score of 5, professional identity levels at 3.449, and service quality at 4.006—all scores above a normal level. A look into the subfactors of stress due to COVID-19 shows infection risk at a mean of 3.522, workload at 2.639, protective equipment at 2.994, and guidelines at 3.174. A look into the subfactors of professional identity shows the us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as a basis of behavior, at 3.432, faith in public services at 3.457, faith in self-regulation at 3.403, vocational calling at 3.368, and faith in autonomy at 3.553. A look into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found reliability at 4.021, responsiveness at 3.953, assurance at 3.958, empathy at 4.036, and tangibles at 4.062. Second, an analysis of service qualit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und that the empathy of workers in their 20s was higher than those in their 30s and 40s. A higher level of education on the part of workers led to a higher level of assurance, and workers with grade 1 social worker qualifications appeared to have a higher level of tangibles than those with grade 2 or other qualifications. Those with 1 or more years and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ppeared to have the greatest level of responsiveness, while those with 3 or more and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appeare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responsiveness. In terms of rank and position, directors had the highest level of assurance, while team members had the lowest level of assurance. In terms of monthly pay, those with 4 million KRW or more had the highest level of assurance, while those with 3 million or more and less than 4 million KRW had the lowest level of assurance. In terms of work facility type, those working in use facilities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overall service quality as well as higher levels of assurance, reliability, empathy, and responsiveness—subfactors for service quality—than workers work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Third,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stress due to COVID-19, professional identity, and service qualit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ress due to COVID-19 and service quality, and a higher level of service quality with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Fourth, a look into the results with regard to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found that a higher level of faith in public services on the part of workers in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 higher level of faith in autonomy both led to higher levels of reliability. A higher level of stress with regard to workload due to COVID-19 led to a lower level of responsiveness, while higher levels of professional organizational activities, as a basis for behavior, and faith in autonomy led to higher levels of responsiveness. Higher levels of faith in public services and autonomy led to higher levels of assurance and empathy, while a higher level of stress concerning the wearing of protective equipment due to COVID-19 and a higher level of faith in autonomy led to higher levels of tangi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stress levels for 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isaster situations like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ctive equipment—a subfactor for stress due to COVID-19—and service quality. In order to minimize stress levels for workers at thes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regular rest and a stable work environment. Second, strengthening competence and a positive work environment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workers at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led to a higher level of service quality. It is necessary to help workers participate in various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ir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It is also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practices that can offer various services. 최근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자기결정의 강조와 장애인 권리의식 향상에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2020년 초부터 한국사회에 유행이 시작되면서 방역 일선현장에 종사하는 의료진들과 마찬가지로 장애인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들의 건강과 기능에도 큰 영향을 주며 서비스 질에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스트레스와 전문직 정체성 수준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서비스 질 향상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1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충청남도 C시 소재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210부를 배포하여 208부의 설문지를 수거하고,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 1부를 제외하고 20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t-test(t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스트레스와 전문직 정체성, 서비스 질의 전반적인 경향을 분석해본 결과, 5점 만점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스트레스는 3.134점, 전문직 정체성은 3.449점, 서비스 질은 4.006점으로 모두 보통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감염의 위험성은 평균 3.522점, 업무량은 2.639점, 보호구는 2.994점, 지침은 3.174점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정체성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 활용은 3.432점,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은 3.457점, 자체규제에 대한 신념은 3.403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은 3.368점, 자율성에 대한 신념은 3.553점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질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신뢰성은 4.021점, 대응성은 3.953점, 보증성은 3.958점, 공감성은 4.036점, 유형성은 4.062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서비스 질 차이 분석에서 20대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공감성이 30대, 40대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보증성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복지사 2급, 기타 자격증보다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을 가진 종사자들의 유형성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 근무경력에는 1년 이상 ~ 3년 미만에서 대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3년 이상 ~ 5년 미만에서 대응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급 및 직위에는 사무국장에서 보증성이 가장 높게, 팀원에서 보증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월급여에는 400만원 이상에서 보증성이 가장 높게,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에서 보증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근무시설유형에는 거주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보다 이용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서비스 질 전체와 서비스 질 하위요인인 보증성, 신뢰성, 공감성, 대응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스트레스, 전문직 정체성, 서비스 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스트레스와 서비스 질 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전문직 정체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 질의 하위요인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및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신뢰성이 높아진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업무량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응성이 낮아지고, 행동의 준거로서 전문조직활동과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대응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 및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보증성과 공감성이 높아지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보호구 착용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율성에 대한 신념이 높을수록 유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한 본 연구의 제언은 아래와 같다. 첫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스트레스 최소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보호구가 서비스 질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상황 지속과 새로운 전염병 발생 시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기적인 휴식시간과 안정적인 근무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전문직 정체성을 향상하기 위한 역량강화와 긍정적인 근무환경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전문직 정체성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전문직 정체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에 종사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실천을 위한 환경이 필요하다.

      • 水原市 障碍人 福祉施設의 運營實態 硏究

        이현숙 한경대학교 전자정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operation status and problems of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in the City of Suwon and point out the improvement direction. As of April 2006, the disabled population of the City of Suwon is 2.87% of the total population, 30,286, and it is growing in annual average of 2.54%, so it will be prospected to grow to 42,938 in 2010. Expansion of investigation in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is necessary due to the growth of various demands of disabled people in the future, and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ose facilities, presentation of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through evaluation of currently operating facilities is required. The analysis of operation status was managed through written surveys and interviews of facility managers and users. Through the operation status analysis, it searched for the operational problems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in the City of Suwon and pointed out the improvement method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s, in case of facility managers, in having facilities and equipment needed for the operation of programs, regular meeting with outside supporting organizations, use of volunteers and usage by local people. In case of users, satisfying rate of the facility use is generally low and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s in satisfying rate of the programs, satisfying rate of the facilities, convenience of use and accessibility, cleanness of the environment, kindness and professionalism of employees, and satisfying rate of the programs. Factors give positive influences to the general satisfying rate of the use of facilities are in the order of the convenience of use of provided facilities(0.476) > satisfying rate of programs(0.452) > propriety of fees(0.205) > professionalism of employees(0.117) > kindness of employees(0.079) > and accessibility of facilities(0.012). Factors give positive influences to the will of referring the facilities to the people around are in the order of the cleanness of provided facilities environment(0.556) > demand satisfying rate of programs(0.527) > professionalism of employees(0.411) > and propriety of fees(0.166). There are various types of welfare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and we should g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ose facilities to be properly operated. In addition, since enormous budget is required to expand those welfare facilities, we should prepare plans to raise the fund in advance. In case of government operated facilities,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through business rationalization, and to recruit the operation manager through public promotion could be one way to do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tection system for the disabled in fragile levels and formation of environment for them to grow safely.

      •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와 체화 경험

        김용진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와 체화 경험을 살펴보는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의 장애인 자립관의 실체는 어떠하며, 자립관의 체화된 경험은 무엇인가?’로 근거이론(Strauss & Cobin, 1998)방법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를 근무경력 10년 이상의 장애인 거주시설 사무국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6년 8월 2일부터 8월 25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6일부터 2016년 11월 11일까지 2개월에 걸쳐 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방 코딩에서는 6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 개념들을 통합한 21개의 하위범주가 나왔으며, 하위범주를 추상화시킨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 패러다임의 범주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은 ‘인권문제에 대한 사회적 각성’이었고, 핵심현상은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미래의 불확실함’이었다. 결과는 ‘자립패러다임의 실천의지’, ‘삶의 다양성 찾기’로 나타났다.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미래의 불확실함에 대한 과정은 ‘자립패러다임 직면에 따른 소극적 순응’, ‘변화 모색의 단계’, ‘시도의 단계’, ‘조류에 따라감’의 4단계로 분석되었다. 첫째, ‘자립패러다임 직면에 따른 소극적 순응’은 중증장애인의 개인 신변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케어위주의 재활모델이 주가 되는 단계다. 둘째, ‘변화 모색의 단계’는 자립패러다임 및 정책의 변화를 인식하고 새로운 모색을 하게 되는 단계다. 셋째, ‘시도의 단계’는 이용인의 자립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지원하는 단계다. 넷째, ‘조류에 따라감’은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자립지원프로그램을 통해 경험을 쌓고, 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과 선택권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면서 장애인 당사자주의에 보다 더 접근하게 된 단계다. 선택 코딩에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패러다임 전환에 대해 ‘적극 추진형’, ‘현실 수용형’, ‘대처 취약형’의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적극 추진형’은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전환에 따른 과정에서 매사에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거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개선책과 자구노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는 유형을 의미한다. 적극 추진형의 장애인자립관은 모든 형태의 자립지원을 염두에 두고 장애인 자립의 가능성을 폭넓게 지지하고 실천하는 자립 모델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현실 수용형’은 전체적인 흐름의 맥락을 이해하고, 점진적인 수용을 통해 변화를 받아들이는 유형을 의미한다. 선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지는 못하지만, 주위의 변화에 반응하고 자신의 시설 안에서 수용하고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고민한다. 시설의 재활모델 기능에 대한 우호적 성향과 자립 모델의 현실적 수용이 동시에 보이는 이원화된 자립관을 나타낸 제한적 자립모델의 유형이다. 셋째, ‘대처 취약형’은 해결책과 방안을 찾아 내지 못하고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미래와 전망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실행력이 낮은 유형이다. 대처 취약형의 자립관은 재활모델의 우월성을 강조하지는 않지만, 자립모델의 경험과 실천의지가 약한 제한적 재활모델의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수행과 그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인권침해의 사회적 비판과 투명성 확보를 요구하는 사회적 개입에 종사자들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대응책을 찾아야 한다. 둘째, 자립패러다임 실천의 첫 단계로 거주시설 환경 개선과 지역사회 거주체험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셋째, 자기결정권의 보장과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지역적 한정 및 이에 따른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사무국장 유형화에 따른 분석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시설장에 대한 추가 연구 필요성과 사무국장과의 역동성에 따른 복합적인 경험들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고, 자립패러다임 실천을 선도하는 시설 종사자(시설장, 사무국장)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도 함께 제안한다.

      • 부산시 장애인복지예산 추이 및 변화 원인에 關한 硏究 :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박용민 仁濟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한국사회는 교통사고나 산업재해, 만성질환 등 이른바 후천적 요인으로 장애인이 되는 숫자가 전체 장애인인구 중, 90%에 이른다. 따라서 장애인복지에 대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정부의 책임은 지난날에 비해 갈수록 커져만 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고려하여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를 실시한 1995년부터 2006년까지 부산시 장애인복지 예산의 추이 및 변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 지방 자치단체 복지재정지출 결정이론을 토대로 각종 문헌 및 통계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했다. 그리고 부산시 및 장애인복지예산의 편성 내역을 파악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06년까지 부산시 일반회계 예산서를 사용했다. 이 연구는 첫째, 부산시 총예산 대비 장애인복지예산 변화 추이와 둘째, 장애인복지예산 분야별 비율 추이 그리고 셋째, 부산시 자체사업 대비 장애인복지사업 비율 추이와 넷째, 부산시 국고보조사업 대비 장애인복지사업 국고보조금 사업 추이 등을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부산시 장애인복지예산은 부산시의 총예산보다는 국고보조사업예산에 좀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둘째, 장애인복지 사업 예산에서 국고보조사업이 늘어난 반면, 자체 사업 예산이 갈수록 줄어들었다는 점에서 부산시가 장애인복지에 소극적 태도를 취한다는 점이다. 이는 서울시와 인천시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장애인복지예산은 전년도 대비하여 예산 증감률에 따라 증감하는 점증주의적 정책결정방식이 부산시 장애인복지예산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준다. 넷째, 장애인복지예산의 증감과는 상관없이 장애인단체에 대한 부산시의 예산 지원은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2000년 이후에는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년도 및 전년도에 비해 장애인단체 지원 예산이 좀 더 큰 폭으로 늘었다는 점에서 정치적 영향력에 따라 예산 결정이 이루어졌음을 말해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산시의 장애인복지예산 및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수록 늘어나는 장애인인구의 복지를 담당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장이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장애인복지 관련 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 기구에서 부산시 총예산 내에서 장애인복지 예산 재원을 얼마나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복지를 담당하는 공무원과 시민사회단체, 그리고 장애인단체 등이 함께 모여서 장애인복지예산 및 정책을 논의할 수 있는 기구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현재 부산시 장애인복지예산이 어디에서 어떻게 쓰이는가를 주도면밀하게 평가하여 한정된 재원을 좀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인복지에 대한 부산시의 중 · 단기적 계획을 구상하여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se days, the main cause of Korean people becoming handicapped is chronic disease. About 90 percent of the handicapped became post-natally disabled due to chronic disease or traffic accident.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welfare of the handicapped is ever increasing. Taking these social backgrounds into accoun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in Busan from 1995 to 2006. The local government's election started from 1995. In order to carry out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from various literature and statistics. This study was based on a theory that purports that local government's welfare financing is pre-determined. The Busan's general accounting budget was used to figure out the details of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ratio between Busan City's total budget and its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the changes in the ratio among the various fields of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the changes in the ratio between Busan City's total own expenditure and own welfare expenditure for the handicapped, and the changes in the ratio between welfare expenditures that were backed by the national treasury and Busan's own welfare expenditure for the handicapped that were supported by the national treasury. There ar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Busan's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is more influenced by budgets that are backed by the national treasury than Busan City's total budget. Second, national treasury-backed welfare expenditures have increased while budgets of Busan City's own welfare expenditures have decreased. This could be the result of Busan City's passive attitudes on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This trend was found in the comparison of Seoul's and Incheon City's budgets for the handicapped. Third, the ratio of budget increase and decrease turned out to have greatly affected Busan City's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Fourth, Busan City's welfare budget for supporting organizations of the handicapped have consistently increased regardless of welfare budget changes for the handicapped. Since 2000, when the local government's election was held for the first time, Busan City's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greatly increased. It means that political influence played a role in vi finalizing budgets for the handicap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could suggest some directions for Busan City's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and its policy-making. First, with the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of the handicapped there should be an organization that takes charge of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This organization has to plan how much budget they will get from Busan City for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Second, there should be an organization where public officials, civil organizations and handicapped groups can discuss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and related policies for the handicapped. They should find out where welfare budget for the handicapped is spent and try to make best use out of it. Also, they will have to make long term plans for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in Busan city and to put those plans in action.

      • 장애유형에 따른 장애인복지프로그램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 함평군을 중심으로

        박현숙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경제 구조가 다양해진 현대 사회에서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들의 복지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장애인 복지시책의 이용실태를 장애 유형에 따라 분석하고, 장애인 복지의 문제점을 지적함과 동시에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써 장애인 복지의 체계적, 합리적 발전과 효과적· 효율적인 개선· 운영을 도모하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대상자는 함평지역의 장애인시설, 장애인 이용 기관에 있는 500명의 장애인으로 하였다. 장애 유형에 따라 복지 시책의 이용실태를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 시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서 장애유형에 따라 집단간 유의 차이는 없었다. 둘째, 장애 유형에 따라 복지시책을 전반적인 활용 정도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그 중 생활 안정 정도에 대한 시책의 활용도, 세금 감면의 분야에 대한 활용도, 장애인 시설 이용에 관한 전체적인 활용도, 장애인 재활 서비스 활용도, 기타 부분에 대한 활용 등은 장애 유형에 따라 활용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용요금의 면제 및 할인에 관한 이용도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장애인 복지시책에서 혜택을 못 받거나 활용하지 않는 이유는 전체적으로 활용 방법을 몰라서, 절차가 까다롭다 등이며, 집단간 통게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장애인 복지시책은 전체적으로 부족하다(67.2%)고 하였으며, 장애유형에 따라 의견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부의 복지 시책 지원에 대한 의견에서는 직업알선이나 장애인 고용문제(38.2%), 훈련 교육기관 확대(23.2%), 경제적 원조(20.8%) 등이 해결되기를 바랐으며, 장애 유형에 따라 희망하는 시책은 다르게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할 때, 장애인에게 복지 시책이 장애 유형에 따라 장애인이 희망하는 방향대로 실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is writer attempted to point out problems and propose measures for improving welfare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y by identifying status of using welfare facilities by person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93 persons with disability at schools and facilities housing or accommodating persons with disability of city office and gu-office as will as agencies for their use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evel of understanding on welfare facilities and procedures ther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m people with different type of handicaps.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the extent of utilization of welfare facilities by different groups. Bu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utilization of such facility, level of using privilege in tax reduction and exemption, overall level of using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and level of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facilities by persons with disability there was difference. But in terms of level of utilization of exemption and discount for fee or charges for using facility there was no difference depending on types fo hancicaps. Third, the reason preventing persons with disability from using benefits of welfare facility for them was revealed as their ignorance on utilization or complexity in such procedure and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type of handicaps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espons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67.2%) said welfare measure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y are insufficient in overall terms and also two groups showed difference in their response to above mentioned questions. Regarding question on desired government's support for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y result showed some of respondents desired solution of employment question (38.2%), expansion of training and educational agencies (23.2%) and economic support (20.8%) etc, but thus depending on types of handicaps desired government's policies were also varied. On the basis of above mentioned study in can be concluded that welfare measur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shall be tailored to various wishes of persons with disability with different types of handicaps.

      • 地域 障碍人福祉館과 敎會와의 連繫에 關한 硏究 : 靑少年 自願奉事學校의 運營方案 을 中心으로

        김중국 明知大學校 地方自治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자원봉사 활동이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의 책임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단체와 기업, 그리고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생 자원봉사 활동의 제도화를 통하여 많은 봉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회복지 시설들이 자원봉사자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으며 학생들 또한 봉사점수에만 급급하여 본래 자원봉사의 순수한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와 지역장애인복지관이 연계하여 지역 청소년들에게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전교육과 적절한 봉사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청소년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업무배치 및 관리, 평가를 실시하여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을 높힌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참가학생들이 자원봉사교육과 경험을 통해 자기를 발견하고 성장시키며 사회와의 접촉을 통해 사회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더불어 사는 공동체 의식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교회는 지역청소년들에게 그리스도의 생명·사랑·섬김의 봉사를 배울 수 있는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 교회 중고등부 청소년들에게는 이웃사랑의 실천을 통한 신앙의 성숙과 지역사회를 섬기는 교회의 사명을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넷째, 지역장애인복지관은 청소년들에게 교육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바른 인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회자원을 활용하여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사랑·섬김이라는 복음의 선포와 선포된 복음의 실천이라는 교회선교의 맥락에서 청소년복지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교회와 지역사회의 통합에 중심을 두고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장애인복지관과의 연계를 통하여 청소년 자원봉사학교 운영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중·고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학기간 중에 교회의 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동기의 개발과 능력을 함양할 수 있고, 장애인에 대한 이해 및 인식을 바로 할 수 있는 교육의 실시와 장애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장애인 시설과 기관 및 지역사회에서의 봉사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여 교회사회봉사의 지역복지적 의미를 깨닫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장애이웃에 대한 봉사를 통해 복음을 실천케 하므로써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으로는 1) 배치단계에서 그들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준비하고 집단성원들 및 집단지도자와 역동적인 관계형성과 지도·감독에 장점이 있는 소집단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 교육단계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사전교육 프로그램은 물론 계속적인 재교육이 있어야 하고 3) 활동단계에서는 지원자의 동기와 욕구에 따른 업무배치와 관리자와의 친밀한 관계유지의 필요성을 들었다. 또한 보다 활성화된 청소년 자원봉사자 모임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있어야 하며, 4) 평가단계에서는 평가과정의 체계화, 평가기준의 명료화, 평가방법의 다양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들었다. 한편 교회가 장애인복지에 대한 참여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도 실시에는 소극적인 현황을 살펴보면서 보다 적극적인 참여로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교회의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사회 복지계 특히 장애인 복지계에서는 교회의 인적, 물적, 재정적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전문 사회사업 프로그램 개발 노력에 더욱 힘써야 할 필요성이 있음도 알 수 있었다. Volunteer activity in our country has its limitation for that it is carried out under the responsibility of a state or local governments, so ti is mainly performed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volunteer activity. however, still many social welfare facilities lave looked forward to the help of volunteers, and students bent on service grades have reduce the pure meaning of inherent volunteer service.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hurches and local welfare centers for the handicapped administer preliminary education to the local youth and provide the opportunity of a proper service activity, and depose the youth at the affairs fit for their aptitude and capability, conduct assessment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volunteer activity. Second, they have participant students discover and grow themselves through volunteer training and experience, elevate awareness of the society through contact with it and foster community consciousness living together. Third, churches prepare for the local youth the education scene where they learn Christ's life, love and service, and provide to the church middle and high schoolers a chance to mature faith and realize the mission of the church through the practice of loving neighbors. Fourth, local welfare centers for the challenged provide to the youth a chance to understand and rightly perceive the handicapped, and provide service based on the community of satisfy the needs of the handicapped using church resources. Thus this paper tried to devise the operation of the youth volunteer school through the ties with welfare centers for the handicapped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the indispensible church and the community and providing community based service in the context of church missionary work for propagating gospels, life, love and serving and practice of propageted gospels. In other words, it tried to invigorate the youth's volunteer activity by providing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 and experience of handicap where they can trigger the motivation of volunteer activity and cultivate their capability and rightly understand and perceive the handicapped, and providing a chance to serve the community agencies and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and having them realize the meaning of the local welfare of social service, and practice gospels through serving the handicapped neighbors in need. The effective guidance plans of the youth volunteer activity looked into here are as follows. 1) Preparation of programs fit for their needs and features at the stage of disposition and formulation of dynamic relation between groups members and leaders, 2) Steady re-training and prev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invitation of experts on each program at the stage of education, 3) Disposition to affairs with applicant's motive and needs and maintenance of close relation with managers, continuous concern and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agencies for more invigorated youth volunteers' meeting at the stage of activity, 4) systemization of assessment progress, clarification of assessment standard and diversification of assessment method at the stage of assessment are necessary. On one hand, the social welfare, specially welfare division for the handicapped has to make effort for developing social welfare programs to put together personal, material and financial resources that the church can perceive the need of participation at the welfare for the handicapped, and do its mission of practicing love for neighbors looking at the actual condition of passive status.

      • 장애인복지관의 여가서비스 질이 이용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체ㆍ뇌병변장애인을 중심으로

        노승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는 급속히 발전하면서 노동시간의 단축, 삶의 질(Quality of life) 향상, 여가활동의 확대로 인해 여가의 대중성과 보편성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주 5일제 근무제 시행 및 ‘Well-being’ 열풍 등으로 현대인은 과거에 비해 더 많은 여가시간이 주어지게 되었고 여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여가는 단순한 임의의 자유시간을 즐기는 활동이라는 의미를 넘어서 자기발전을 위한 시간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런 소중한 여가를 창의적이고 생산적이며 뜻 있게 보내는 것은 개인의 생활만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에게 있어 여가란 장애인에게 비공식적인 사회참여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역할상실로 인한 고독감을 해소하고 나아가 자아존중감과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하여 인간으로써의 행복감을 추구할 수 있다. 그러나 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제한적인 여가생활을 누리고 있어,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각 시·군·구 단위로 장애인복지관을 설치하고 다양한 여가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비추어 본 연구는 여가서비스 활성화에 대한 바람에서 시작되었으며, ‘여가서비스 활성화’라는 목적을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이용 장애인 당사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서비스 질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복지관의 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지체·뇌병변장애인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단축형 한국어판 CSI-K와 서브퍼프(SERVPERF)기법을 이용하여 만족도 현황과 서비스 질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여가서비스 질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는 연구대상자인 장애인복지관의 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지체·뇌병변장애인의 이용자 만족도였으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서비스 질의 구성차원을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의 5가지로 분류하고 이러한 서비스 질을 독립변수로 하는 연구 모형을 설정하여 연구를 하였다. 서울·경기·인천의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체·뇌병변장애인들에게 이용자 만족도와 여가서비스 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5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분석·상관관계분석·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과 연구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이용자 만족도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100점 만점에 71.62점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만족도 항목 중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만족 평균 72.69점, 서비스 결과에 대한 만족 평균 69.48점으로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만족 평균이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시설의 재이용의도’를 묻는 문항이 74.78점으로 가장 높았고, ‘직원들이 이용자의 심정을 이해하는 정도’가 68.18점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므로 서비스 제공자들은 이용자와 충분한 의사소통 및 상담을 통해 이용자의 심정을 이해하도록 하는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여가서비스 질의 수준을 측정한 결과 전체 평균은 7점 척도에서 5.15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질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5가지 구성차원 중 보증성의 평균이 5.27점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대응성 5.18점, 신뢰성 5.14점, 공감성 5.11점, 유형성 5.07점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모든 문항들에서 서비스 질 수준이 높았으나, 유형성에 속하는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형성에 있어 특히 시설의 현대화와 홍보물 강화 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서비스 질 구성차원을 분석한 결과 신뢰성, 보증성, 유형성, 대응성, 공감성의 5가지 구성차원 모두가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이 보증성보다, 보증성이 유형성보다, 유형성이 대응성보다, 대응성이 공감성보다 이용자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써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뢰성, 보증성, 유형성, 대응성, 공감성의 5가지 구성차원 모두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장애인복지관의 여가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쾌적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용자의 개개인의 요구와 욕구가 반영된 약속된 서비스를 믿을 수 있도록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지체·뇌병변장애인을 돕고 질 높은 여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 중에서 경제수준이 이용자 만족도에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수준이 낮은 이용자의 욕구와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장애인복지관의 지체·뇌병변장 Thanks to the rapid growth of modern society, people’s labor hours have become shorter, quality of life has improved and leisure time activities have grown to accelerate leisure activity popularization and generalization. Also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5-day work week scheme and broader well-being trend in South Korea has given more leisure time to people there and raised interest in leisure time activities. In this context, it can be viewed that leisure means more than any simple random free time activities. It means the time for self-development and to spend such leisure time creatively, productiv ely and constructively improves individual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For this aspect, the significance has ever grown. For the disabled, in particular, leisure time can be their unofficial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through such an opportunity, they can ease the feeling of loneliness coming from the loss of roles. They can also seek for the sense of happiness as a human being through further opportunities for self-respect and self-realization. However, the disabled enjoy only limited leisure time activities due to their physical challenge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has established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se people in each Si/Gun/Gu district unit, offering diversified leisure time activity services. Against this backdrop, the present study was inspired by the desire for more activated leisure service and the thought that we need to have an interest in the satisfaction level and service quality of the service felt by the users, the disabled, themselv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activated leisure time servi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SI-K and SERVPERF technique were utilized herein to assess the current satisfaction levels and servi ce quality,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been proven by prec eding studies on the disabl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diso rder using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Influences of leisure service quality on users’ satisfaction levels was also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is research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isabl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disorder who used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service quality composition was divided into 5 d imensions of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 athy. These service quality component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 ables for this research model. The disabl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disorder using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surveyed for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leisure service qua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people and examined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is research process and findings, the following results were produced; First, the user satisfaction level was found to be 71.62 on average out of the full score of 100. Of the user satisfaction items, satisfaction with service provider averaged 72.69, and service result, 69.48, showing a slight higher number in the service provider satisfaction level. To elaborate more, the question about any intention to use the facility again gained the highest score of 74.78 and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level of the staff’s understanding of the users scored the lowest at 68.18. So, it is deemed that service providers should take more care about understanding service users through sufficient communication and counseling. Second, the leisure service quality was assessed and the total average was 5.15 in the 7-point scale, showing a relatively high position. To elaborate more, of the 5 component dimensions, assurance averaged 5.27, the highest of all, followed by responsiveness, 5.18; reliability 5.14; empathy 5.11; and tangibles, 5.07. Overall, the service quality was high in almost all of the survey items but tangibles, in particular, showed relatively lower score. Thus, more efforts will be necessary regarding tangibles improvement such as facility modernization, PR reinforcement, etc. Third, among the leisure service quality components, all of them–rel iability, assurance, tangibles, responsiveness and empathy – were fou nd to have a favorable influence on users’ satisfaction levels. Reliability was found to have a stronger influence than assurance; assurance was stronger, than tangibles; tangibles, than responsiveness; and responsiveness, than empathy, in order.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o improve users’ satisfaction level, all of the 5 dimensions–reliability, assurance, tangibles, responsiveness and empathy–should be impor tantly treated as a whole. In this sense, the leisure service provided by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should allow a pleasant ser vice-using environment, reflect individual users’ needs and demands and be in a promi sed process in a swift and accurate manner in order to help the disabl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disorder while providing high quality leisure service. Of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economic leve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s’ satisfaction, revealing the need to work for the satisfaction of demands and needs of people in lower financial status. The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to overcome the lack of academic empirical study on leisure service practices the disable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disorder by rehabilitation centers. Also this research is timely in the shift of social welfare paradigms from supplier orientation to receiver orientation.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being an initial research trial on the leisure service of rehabilitation centers. Second, the pract

      • 시각장애인의 장애인복지시책에 대한 인지도 및 수혜실태 분석

        김선영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시책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주로 저소득 장애인의 생계를 보장하고 공공부조와 사회복지서비스를 계속 확충하여 대략적인 기본틀은 갖추고 있으나 그 기능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호응도 또한 저조한 실정이라는 점을 들어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의 장애인복지시책에 대한 인지도 및 수혜실태에 대한 조사를 함으로써 장애인복지시책의 현주소를 가늠하고, 시각장애인에게 있어서 장애인복지시책이 어느 정도 혜택을 주고 있으며 어떠한 제도로 인식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총 180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그 구성은 시각장애인 기관 3곳에서 직원 36명, 교육생 20명, 맹학교 1곳에서 학생 22명, 교사 2명 등 총 80명과 지난 10월 15일 흰지팡이의날 행사 참가자 2천여명 중 직접 면담 방식에 의해 만난 100명의 시각장애인으로 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각장애인의 장애인복지시책에 대한 인지율 측면에서 보면 경제적 부담 경감에서 요금에 관한 사항이 83.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시설 이용이 62.8%, 생활안정지원이 43.4% 순이며, 반면에 경제적 부담 경감에서 세금에 관한 사항이 20%로 가장 낮았고, 의료보호가 25.0%, 직업재활이 33.3%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수혜율 측면에서 보면 역시 경제적 부담 경감에서 요금에 관한 사항이 68.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승용자동차세에 관한 사항이 37.2% 생활안정지원이 27.8%, 시설이용이 26.7%순이며, 반면에 의료보호가 10.6%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직업재활이 11.1%, 세금에 관한 사항이 20.0%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경제적 부담 경감, 생활안정지원 등은 인지율 및 수혜율이 높은데 비해 의료보호, 직업재활 등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그동안 시각장애인에게 있어서 장애인복지시책이 어떤 제도로 작용하고 있었는지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 장애인 행동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시설은 많으나 생계에 유지를 위한 물적인 지원을 하는 시설은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장애특성을 고려한 직업의 개발 및 교육이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장애인의 생활안정 지원면에 있어서 복지시책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장애인이 많으며 특히 생계가 어려운 장애인이 많은 가운데에도 자립자금대여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장애인 의료보호면에 있어서는 보장구 의료보험 급여실시의 경우 시각장애인이 빈번히 사용하는 지팡이, 안경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나 홍보부족으로 인해 그 수혜율이 20% 선에 머물고 있다. 다섯째, 장애인의 경제적 부담 경감면에 있어서 요금 면제나 승용자동차세면제 등에 대한 수혜율이 상당히 높았다. 여섯째, 인지율과 수혜율의 현격한 차이로 인해 그동안 많은 장애인들이 정부의 복지 시책을 알고만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활용하는 장애인의 비율은 적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장애인이 필요로 하는 적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전국 장애인복지수준 비교를 통한 유형화와 영향요인 연구

        남궁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사업의 지방이양으로 쟁점이 되고 있는 지역 간의 장애인복지서비스 격차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또한 그런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이용자 욕구 충족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장애인들의 욕구가 가장 큰 소득보장정책과 보건 및 자립생활정책을 분석의 기준으로 삼았다. 또한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적 요인, 정치행정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유형을 만든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퍼지셋 이상형 분석과 퍼지셋 질적 비교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애인복지수준의 유형화 결과 첫째, 소득보장정책과 보건 및 자립생활정책 성과에 따라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욕구충족형(AB유형)’은 제주, 세종, 대전, ‘소득보장중심형(Ab유형)’은 서울, 전북, 인천, ‘보건 및 자립중심형(aB유형)’은 대구, 충남, 충북, ‘욕구미충족형(ab유형)’은 전남, 경기, 광주, 울산, 경북, 강원, 경남, 부산이다. 둘째, 유형의 소속 정도에 따라 실제형으로 구분하면 6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전형적인 Ab유형’과 ‘전형적인 aB유형’은 없었다. 다음으로 각 유형을 구분한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욕구충족형(AB유형)’은 장애인복지조례수가 많고, ‘소득보장중심형(Ab유형)’은 기초생활보장 수급 장애인비율과 자체예산 중 장애인복지예산비율이 높고, 장애인복지조례수는 적었다. ‘보건 및 자립중심형(aB유형)’은 장애인복지조례수는 많지만 재정자립도는 낮았다. ‘욕구미충족형(ab유형)’은 등록장애인구비율과 기초생활보장 수급 장애인비율이 적거나, 재정자립도와 자체예산 중 장애인복지예산 비율이 낮은 요인의 결합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17개 시·도의 지역별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는 정책대상 확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중앙정부는 지속적으로 낮은 복지수준을 보이는 지역을 견인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별로 큰 격차를 보이는 자립생활정책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중·장기적 로드맵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gap between welfare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PwD) and the factors that cause such differences, since the decentralization of its services to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examine how to respond the local governments for the needs of the users, the income security policy and the health and independent living policy with the need of PwD are set as the criteria of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searched the socioeconomic factors, financial factors, and political administrative factors. The study method used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n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attern of the welfare level for disabled, there are four main types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income security policy and the health and independent living policy. The 'needs satisfaction type(AB-type)' includes Jeju, Sejong, and Daejeon. The 'income security–centered type(Ab-type)' includes Seoul, Jeonbuk, and Incheon. The ‘health and independent living-centered type(aB-type)’ includes Daegu, Chungnam, and Chungbuk. The 'unmet needs type(ab-type)’ includes Jeonnam, Gyeonggi, Gwangju, Ulsan, Gyeongbuk, Gangwon, Gyeongnam, and Busan. Second, there are six types of membership that are classified into actual types. There were no 'typical Ab-types' and 'typical aB-types’. Next,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impact factors identified by each type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s satisfaction type(AB-type)' has a large number of local law for welfare of PwD. The 'income security– centered type(Ab-type)' has a high proportion of PwD receiving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percentage of the welfare budget for PwD among the local government's own budget, and the number of local law for welfare of PwD was fewer. The ‘health and independent living-centered type(aB-type)’ had many cases of local law for welfare of PwD, but had a low level of fiscal self-sufficiency rates. The ‘unmet needs type(ab-type)’ was divided into a combination of factors that included low percent of registered PwD and proportion of PwD receiving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was small or low fiscal self-sufficiency rates and percentage of the welfare budget for PwD among the local government's own budget. As a result, local governments should expand their policy targets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1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support to guide low levels of welfare. In addition, a mid and long term road map should be prepared by the central government for independent living policies with a large gap between local governments.

      •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갈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백혜련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조직으로서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된 조직이다. 따라서 장애인복지관이 일반 조직과 마찬가지로 갈등이 발생하여 그 갈등으로 인하여 조직의 목적에 영향을 받는다면 사회복지서비스 조직으로서의 존립을 위협받게 되고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의 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의 갈등의 원인을 개인특성 요인과 조직 특정 요인, 직무특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갈등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2004년 10월 서울시내 장애인종합복지관 6개소, 단종복지관 7개소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 190부를 회수,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내용은 갈등의 수준과 개인특성 요인, 조직특성 요인, 직무특성 요인이 있으며 SPSS 10.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은 남자가 63명, 여자가 127명이었으며 연령분포는 21세~30세가 100명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대학졸업이 133명, 전문대졸이 25명, 대학원 이상이 18명으로 장애인복지관의 종사자들의 학력수준은 매우 높은 편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전공은 사회복지나 특수교육 외에 일반 전공자가 120명으로 가장 많아 장애인복지관의 종사자들의 지식 기반이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표본의 집단별 분석을 살펴보면, 성별에 의한 갈등의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력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직종 또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현직장 근무년수도 차이가 없었다. 단, 복지관의 형태에 따라 통계적인 의미가 있었는데, 장애인종합복지관보다 단종복지관이 개인특성 요인, 조직특성 요인이 높았으나 직무특성 요인의 측정값이 낮았다. 갈등의 수준 역시 단종복지관이 더 높아 단종복지관의 갈등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셋째, 장애인복지관의 갈등 수준이 보통이상일 것이라고 가정한 가설1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복지관의 갈등 수준은 낮거나 보통 정도로 측정되어 갈등 수준은 높지 않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갈등이 없거나 미미하다는 의미는 아니며 갈등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독립변수 모두 종속변수인 갈등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넷째, 개인특성 요인들이 갈등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는 지지되었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 요인 중 성격, 성별, 지식 요인만이 갈등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조직특성 요인들이 갈등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은 지지되었다. 조직특성 요인 중 의사소통의 장애, 보상체계, 과업의 상호의존성, 공동자원이 갈등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직무특성 요인들이 갈등 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는 지지되었다. 직무특성 요인 중 과업정체성과 과업중요성은 갈등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요인들은 갈등 수준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들 요인이 높을수록 갈등의 수준을 낮아진다. 이상의 결론에서 장애인복지관의 측정된 갈등 수준은 보통 정도이나 개인특성 요인과, 조직특성 요인, 직무특성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갈등의 요인을 3가지 차원에서 측정하여 갈등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았으며 3가지 차원 중 조직특성 요인이 갈등에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애인종합복지관과 단종복지관의 갈등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내어 향후 장애인복지관의 형태와 조직의 특성에 따라 갈등 관리 방안을 모색해보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