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혼합차의 역사적 전개와 건강음료로서의 전망에 관한 연구

        정지연 원광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Using tea as pharmacological function is an old story. Tea is now dependent on new taste or scent with pharmacological qualities. It is a striking trend that blending tea is more popular. The tea contains flower or Asian herbs and spice fruits that add different flavor to the tea's functionality. Blending tea is occupying more in the world market because the public are seeking beverage with optimal taste for different taste. The paper was written in order to study blending tea which has been familiar in Korea, China and Europe and record a view and a direction to blending tea in the future through the conditions of the world tea industry. The paper covered books, articles, personal records, medicine books, encyclopedic publications, diaries and recipe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o the modern times. Seo Geo Jeong's 『Sagajip』 introduced ginger, ginseng and poria cocos as the ingredients of blending tea. Kim Si Seup's 『Maewoldangjip』, Hong Hyeon Ju's 『Haeongsigo』 and Lee Yu Won's 『Gaogoryak』 referred to orange peel. Sin Wi's 『Gyeongsudangjeongo』 mentioned apricot and Lee Un Hae's 『Bupunghyangchabo』 offered chrysanthemum, cinnamon, foeniculi fructus, sandalwood, prunus mume, refined Borneo camphor, mori radicis cortex, coptis, sucrose and haw as well as orange peel. Preliminary studies for blending tea covered the change in ingredients for scent of blending tea based on Hyangpyeon tea from Kim Myeong Bae's 「About Yukdaedaryu」 and Nwaewon tea with scent of refined Borneo camphor in Goryeo dynasty and the physicochemical features of tea ingredients as well as the functionality of blending tea. Chapter 1 introduced the need, goal and the methodology of the paper. Chapter 2 referred to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definition and type of blending tea. Chapter 3 generalized theoretical reasons why blending tea was used for medicines through analysis about historical development of blending tea. The paper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use of blending tea in China and Europe, especially in ethnic minorities. The result led the paper to the direction of blending tea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Chapter 4 looked into the need and problem for learning beverage with optimal taste in Korea through the Korean Tea Blending Contest, the Hadong Tea Blending Contest and the Variation Tea Contest by knowing how contests for blending tea are now done in Korea. The paper understood the value and the prospect of blending tea in the future through tea consumption trend in the world. There were growing consumers who picked up more tea than alcoholic or soda drinks. The need of RDT(Ready-To-Drink) tea exploded, which covered Kombucha or pet-bottle beverage. The public was more interested in fermented drink. Tea franchises rapidly emerged for young consumers or those who tried bitter taste in order to experience a new taste. Chapter 5 summarized the result of the paper in order to give a direction to development of blending tea. Today, tea is behind other drinks because consumers concentrate not on its optimal taste but on its pharmacological qualities for their health. No matter what tea is cultivated, Europe made a huge tea industry because its optimal taste fascinated people in the continent. It is urgent that tea with optimal taste as well as pharmacological qualities for both human health and tea industry is developed and produced. 차를 약리로만 이용한다는 것은 이제 옛일이 되었다. 현대인들이 요구하는 차는 차의 약리성이 동반된 새로운 맛과 향에 의존한다. 특히 차의 기능성에 색다른 풍미를 느낄 수 있는 한약재나 향신료 과일이나 꽃 허브 등을 첨가해서 마시는 혼합차를 즐겨 마시는 추세다. 세계의 차 소비시장이 혼합차로 성장하는 이유도 색다른 맛을 즐기는 기호성음료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오래전부터 음용해왔던 우리나라와 중국, 유럽의 혼합차에 관한 고찰과 세계 차 소비시장 동향을 통해 미래의 혼합차에 대한 전망과 방향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는 삼국시대부터 근대까지 기록되었던 다서나 개인문집, 의서, 백과사전, 일기, 요리서 등을 살펴봤다. 서거정의 『사가집(四佳集)』에서는 혼합차의 재료로 생강, 인삼, 복령을 이용했고, 김시습의『매월당집(梅月堂集)』, 홍현주의『해옹시고(海翁詩藁)』, 이유원의『가오고략(嘉梧藁略)』에서 귤껍질을, 신위의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에서는 매화를, 이운해의 『부풍향차보(扶風香茶譜)』에서는 귤껍질을 포함하여 감국, 계피, 회향, 백단향, 오매, 용뇌, 상백피, 황련, 자당향, 산사육을 이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혼합차 관련 선행연구로는 김명배의「육대다류에 대하여」에 향편차(香片茶)를, 용뇌(龍腦)의 향기를 흡착시킨 여대(麗代)의 뇌원차(腦原茶)를 크게 혼합차의 향기성분 변화, 차성분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와 혼합차의 기능성 연구로 정리하였다. 제1장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및 방법, 제2장은 혼합차의 정의와 유형에 대한 이론적 개념, 제3장은 혼합차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통해 차를 약용으로만 의존했던 이론적 근거를 보다 구체화했다. 또 중국과 유럽의 경우 혼합차의 의미와 용도, 특히 소수민족들의 혼합차 활용상황에 대해서 살펴보고 혼합차의 현재와 미래의 방향을 가늠할 수 있었다. 제4장에는 현재 한국에서 혼합차를 주제로 하는 대회들은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대한민국티블렌딩대회, 하동티블렌딩대회, 베리에이션티 대회 등을 전개하므로 한국의 기호성음료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문제점을 알아봤다. 또한 세계의 차 소비동향을 살펴보므로 혼합차의 가치와 미래에 대한 전망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알코올이나 탄산음료 대신 차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발효음료에 대한 관심과 콤부차(Kombucha)나 페트병에 담긴 병 음료를 일컫는 RDT차(즉석차; Ready-To-Drink)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알 수 있었다. 또 새로운 맛을 경험하고 싶어 쓴 맛에 도전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젊은 소비층을 겨냥한 차 프랜차이즈가 등장하고 있었다. 제5장에는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여 향후 혼합차의 연구 발전에 관한 방향성을 제언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차가 발전되지 못했던 점을 든다면 차의 기호성보다 건강을 위해 음용했던 약리성에만 의존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차가 나지 않는 유럽이 거대한 차 산업을 일궈낼 수 있었던 것은 오직 차가 가진 기호성이 사람들을 매료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미진한 우리 차 산업의 발전을 위해 건강을 지키는 차의 약리성은 물론 맛으로 즐길 수 있는 기호성이 잘 혼합된 차의 연구가 시급하다고 본다.

      • 협동 미술 활동을 통한 시설 아동의 친 사회성 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

        정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협동 미술 제작 활동이 시설 아동의 친 사회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밝히려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서울 시내 O보육원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 11세 아동 5명(남-3명, 여-2명)을 대상으로 총 7회(주 1회 오후 4시부터 5시(30분))에 걸쳐 협동 미술 제작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이선화(1998)의 친 사회성 검사로 보육원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 외에 협동 미술 활동 프로그램 실시 때 보인 아동들의 행동을 관찰 기록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① 전체 아동의 사전-사후 친 사회성 검사 득점과 영역별 점수가 증가하여 결과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다. ② 개별 아동의 사전-사후 친 사회성 검사 득점과 영역별 점수는 전체적으로 보면 증가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U(남)는 사전-사후 친 사회성 검사 득점에서 1 감소하였고, 나누기 영역에서 2 감소를 보였다. 그리고 S(여)가 나누기 영역에서 2감소하였다. ③ 관찰 기록을 통한 전체적인 아이들의 행동 변화에서는 초기에 아이들에게서 보였던 거부 행동이 회기가 진행되면서 사라졌고, 이탈 행동이나 회피 행동이 줄어들었다. ④ 협동 미술 제작 활동을 통해 비슷한 갈등 상황이 반복되면서 자기 고집을 부리기보다는 의논하고 양보하고 나눠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시작과 종결의 규칙을 점점 지키면서 자신의 책임을 다 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협동 미술 활동 프로그램이 시설 아동의 친 사회성의 증진에 효과적이다. This study will show that the group activity in art program is effective to increase pro-sociality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To clarify this, Researcher exercised the experiment in institutio- nalized children which is located in Seoul. The test targets are 11 years old children who consist of 5 boys and 2 girls. And I put in operation this research for 7 times(one for week, 16 : 00 ~ 17 : 00(30)). The Testing tools of this program that will verify pre-post effect ,made use of "the pro-sociality(by Lee Sean Hwa)" which is modified to this study status. Briefly, results is that 1. Pro sociality scores and each part scores of all children increased, 2. Each child's scores increased generally, but the scores of U(=boy) decreased 1 in 'Pre-post test' , decreased 2 in division part. And the scores S(=girl) decreased 2 in division part. 3. In behavior change of children through observation, refusal disappeared step by step and the frequency of children's secession and evasion decreased gradually. 4. Through this the group activity in art program, we could see the children who used the goods together , and children who are obstinate disappeared gradually.

      • 조직체의 위기발생시 공중관계성이 공중의 위기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귀인이론을 중심으로

        정지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PR은 조직체와 공중간의 관계를 관리하는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조직체와 공중간에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한 실질적인 연구와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이에 최근 조직체와 공중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PR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에서 이루어지는 논의는 대부분 관계성에 대한 중요성이나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가설을 제시하거나 측정방법 개발에 대해 논의할 뿐, 이러한 논의를 검증하거나 실제에 적용하는 실천적인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체의 공중관계성이 갖는 중요성과 영향을 실질적으로 검증해 내고 실제에 적용함으로써 공중관계성 연구를 한 차원 더 과학적인 수준으로 이끌고자 했다. 이를 위해 조직체와 공중간의 관계성이 조직체의 위기 관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의 3가지와 같다. [연구문제 1] 조직체의 위기 발생시, 조직체의 공중관계성은 공중의 위기인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조직체의 위기 발생시, 공중의 귀인유형은 공중의 위기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조직체의 공중관계성은 조직체의 위기 발생시 위기에 대한 공중의 귀인유형과 공중의 위기 인식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귀인이론을 도입하였다. 특히 McAuley와 Duncan, Russell 등이 언급한 귀인의 4유형-안정성, 외부적 통제, 원인의 소재지/인적 통제-을 이용하였고, 위기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중의 위기 인식을 4가지-공중의 위기에 대한 책임소재 인식 및 심각성 인식, 공중의 조직체에 대한 위기 극복 능력 인식, 조직체의 위기 대응 방안에 대한 공중의 기대-로 구분하여 각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위기의 귀인유형에 따라 2×2×2의 요인설계방안으로 나뉘어진 8가지의 가상 위기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실험 처치하는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직체와 공중간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공중은 위기에 대한 조직체의 책임을 덜 인식하며, 조직체가 당면한 위기를 더 잘 극복해 낼 수 있으리라 인식하는 한편, 조직체가 위기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와 손해배상을 하는 수용전략을 취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중관계성의 개별 요소 중, 상호공존적 관계성이 우호적일수록 공중은 위기를 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통제의 상호성이 우호적일수록 조직체의 책임의 덜 인식하며, 순수성적 신뢰성과 만족성, 헌신성, 그리고 정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조직체가 위기를 더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조직체의 위기 발생시 공중의 귀인 유형이 외부적 통제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만 공중의 위기 인식 중, 공중의 책임소재 인식, 조직체의 위기 극복 능력에 대한 공중의 인식, 조직체의 위기 대응 전략에 대한 공중의 기대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적 통제가 있을 때, 공중은 위기에 대한 조직체의 책임을 덜 느끼고, 조직체가 위기를 더 잘 극복해 낼 수 있으리라 인식하는 한편, 외부적 통제의 유무에 관계없이 공중은 조직체가 위기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와 손해배상을 하는 수용전략을 취할 것을 강하게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중의 귀인유형에 따른 공중의 위기 인식은 조직체의 공중관계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공중관계성은 위기의 귀인유형 중 외부적 통제와 조직체의 책임에 대한 공중의 인식 및 조직체의 위기 극복 능력에 대한 공중들의 인식, 조직체의 위기 대응 전략에 대한 공중들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내부적 통제/인적 통제와 위기의 심각성 인식 및 위기 대응 전략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호적인 공중관계성이 위기의 귀인 유형 중 내부적 소재/인적통제와 위기의 심각성 정도 인식과의 관계 및 조직체의 위기 대응 전략에 대한 공중의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외부적 통제 귀인이 작용할 경우, 우호적인 공중관계성이 조직체에 대한 책임인식에, 그리고 비우호적인 공중관계성이 조직체의 위기 극복 능력 정도에 대한 공중의 인식 및 조직체의 위기 대응 방안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위기의 귀인 유형 중 외부적 통제가 공중의 위기 인식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공중관계성의 여러 가지 개별 요소 중 특히, 상호공존적 관계성과 헌신성, 그리고 순수성적 신뢰성이 공중의 위기 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조직체의 공중관계성의 중요성과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고, 귀인이론을 토대로 조직체와 공중간의 관계성이 위기 관리라는 실제 PR 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특히 공중 관계성을 이루는 특정한 개별 요소들 각각이 위기의 귀인에 따른 특정한 공중의 위기 인식과 관련이 있으며, 위기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발견은 PR적 입장에서 조직체가 부족한 공중관계성 요소를 보충함으로써 위기를 예방하고, 우호적인 공중관계성의 요소는 강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맺은 전략적 공중과의 우호적인 관계는 특히 위기 상황에서 PR의 가치를 한층 더 돋보이게 하고, 나아가 조직체의 이미지 제고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Public Relations is the management function that establishes and maintains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between an organization and the publics on whom its success or failure depends. Even though public relations focuses mainly o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there has been little practical study on relationships and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relationships rely on participant's percep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apply a relational approach to crisis managemen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Q 1. What i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the public's recognition in crisis situation? RQ 2. What is the effect of the attribution dimensions of public on the public's recognition in crisis situation? RQ 3. What is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ttribution dimensions of public and the public's recognition in crisis situation? This study is based on attribution theory. Particularly, four attribution dimensions-stability, external control, personal control, and locus of casuality-isolated by McAuley, Duncan, and Russell and four public's recognition-public's recognition on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and severity generated by a particular crisis, public's recognition on organizational ability which overcome the crisis, and public's expectation on organizational crisis response- is utilize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nswered by means of the laboratory research which experiment eight messages about imaginary crisis situation by factorial design on subjects. Three important finding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re positive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the weaker the public'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risis responsibility and the stronger the public'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risis overcome, and the stronger the public'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acceptance responsibility or acknowledge remedial action. Especially, the more positive communal relationship among precise elements or components of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the weaker the public's recognition of crisis severity. And the more positive control mutuality, the weaker the public'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risis responsibility. Moreover, the more positive trust on integrity, satisfaction, commitment, and Jeong, the stronger the public'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risis overcome. Second, just external control among four attribution dimensions effected public's recognition on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public's recognition on organizational crisis overcome, and public's expectation on organizational crisis response. More specifically, the greater the perceived external control, the weaker the public'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risis responsibility, and the stronger the public'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risis overcome. Besides, regardless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external control, the stronger a public expects the organizational acceptance responsibility or acknowledge remedial action. Lastly, it was demonstrated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ttribution dimensions of public and the public's recognition in crisis situation. Especially,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influenc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ternal control and the public's recognition on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between the external control and the public's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crisis overcome, and between the external control and public's expectation on organizational crisis response. Furthermore,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influenc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nal control/personal control and the public's recognition on organizational severity, between the internal control/personal control and the public's expectation on organizational crisis response. In summary, the results revealed that external control among four attribution dimensions is the most important. And communal relationship, trust on integrity, satisfaction, commitment among precise elements or components of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greatly effected on a public's recogni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quantitative and practical evidence on the influence and importance of th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Fu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to public relations practical affairs. For example, the low scores on the particular elements of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 need to consider ways of increasing that element. Successful public relations result in good relationships with strategic publics, which in turn makes organizations more effective by allowing them to achieve their goals. And more improved the value of public relations and organization's image.

      • 억압된 심리를 통해 표출된 자기 구원의 상징적 표현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정지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mbolic expression of self-salvation expressed through the oppressed psychology felt as a woman in one's religion. The main materials of the work are 'stone' and 'fire', and 'stone' reflects the person's condition and emotions, and 'fire' is a symbol that means the person's aspirations and magic. These symbolic images reveal the changing emotions and situations of the person through various compositions and color variations in the background of 'forest'. I felt the problem of women's rights in the religious community I belonged to for a long time, but it was not easy to get out of there. Through a series of experiences, I gradually felt oppressed, and my negative emotions became an opportunity for creation. I was able to experience the sublimation of pain through creative activities that started with suppressed psychology, and I found out that my work method was based on the theory of ‘Bal-Bun(indignation)’ of Eastern literary psychology. I continued my work based on the theory of ‘Bal-Bun(indignation)’, and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n Chapter II, I looked into religion, social and cultural causes of the oppression I experienced as a woman, and found the basis for the sublimation of oppression into art in the theory of ‘Bal-Bun(indignation)’ and 'symbolism'. I described the grounds for how pain can become an artist's creative moment in the theory of ‘Bal-Bun(indignation)’. And in Eliade and Carl Jung's 'Symbolism', I insisted on the Numinose power of symbols and gave meaning to my own symbolic images. In Chapter III, the content of the work was explained through subject and material analysis. In the subject analysis of the work,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work was analyzed based on the theories studied in Chapter II and my own personal experience. In particular, I describe th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I experienced as a woman in the church, I defined that this experience became an opportunity for creation. And I described how my intense desire to escape oppression became a symbolic image of 'fire'. Lastly, based on the theory of ‘Bal-Bun(indignation)’, I described the process of overcoming my pain and wounds through art creation. In terms of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ubject matter of major works, the content of each work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symbols of 'forest', 'stone' and 'fire'. My work may look like a landscape painting, but it is a symbolism that contains my thoughts and feelings. 'Forest' is a room of one's own, 'stone' is self-projection, and 'fire' is an icon of wish. Therefore, the work was explained focusing on the main subject matter. In Chapter IV, I analyzed composition, color and materials to explain the formal aspects of the work. First, explained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main central materials, and the connectivity of expression according to changes in composition. And colors are important to reveal one's image in the work, and this was explained by the theory of 'Cold and warm contrast' and 'symbol of color'. Lastly, also explained the study of materials to effectively express content and form. My work, which contains the process of overcoming personal pain and wounds, is based on the Eastern theory of ‘Bal-Bun(indignation)’. As I continued my creative activities, my surroundings did not change much, but I was able to speak and express my pain and oppression. And these changes allowed me to look at the world positively. Through this thesis, I hope to enhance the subjective attitude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gain the strength to continue the work. 본 논문은 본인이 종교적 배경 가운데 여성으로서 느낀 억압된 심리를 통해 표출된 자기 구원의 상징적 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작품의 주된 소재로 ‘돌’과 ‘불’이 등장하는데, ‘돌’은 본인의 상태와 감정을 반영하는 소재이고, ‘불’은 본 인의 염원과 주술을 의미하는 상징물이다. 이 상징적 이미지들은 ‘숲’이라는 배 경 속에서 다양한 구도와 색감의 변주를 통하여 본인의 변화하는 감정과 상황을 드러낸다. 본인은 오랜 시간 속해 있던 종교 공동체에서 여성 인권의 문제를 느꼈지만 그곳을 빠져나오기 쉽지 않았다. 일련의 과정들을 통하여 점차 억압을 느끼게 되었고, 이를 통해 생겨난 본인의 부정적인 감정들은 창작의 계기가 되었다. 억압을 계기로 시작한 창작 활동을 통해 고통의 승화를 경험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본 인의 작업 방식은 문예심리학 사상의 ‘발분설(發憤書)’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 을 알게 되었다. 본인은 ‘발분설(發憤書)’의 논의를 바탕으로 작업을 지속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연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II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본인이 여성으로서 겪은 억압에 대하여 종교와 사회·문화적 원인에 대해 살펴보며, 이것을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었던 근거를 ‘발분설’과 ‘상징론’을 통하여 논하였다. ‘발분설’을 통하여서는 고통이 어떻게 예술가의 창작 계기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엘리아데와 칼 융의 ‘상징론’ 연구에서는 상징이 갖는 누미노제 (Numinose)적 힘에 대하여 주장하며 본인의 상징적 이미지에 대한 의미를 부여 하였다. III장에서는 작품의 내용을 주제와 소재 분석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1. 작품의 주제 분석에서는 II장에서 연구한 이론과 본인이 실제로 겪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교회라는 공동체 속에서 본인이 여성으로서 겪은 차별과 억압에 대해 서술하며 이러한 경험이 창작의 계기가 되 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본인이 억압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는 강렬한 마음이 어떻 게 ‘불’이라는 상징적 이미지를 통하여 드러나게 되었는지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발분설을 근거로 예술 창작을 통해 본인의 고통과 상처를 극복하게 된 과정을 서술하였다. 2. 주요 작품 소재의 상징적 의미에서는 ‘숲’과 ‘돌’, ‘불’의 상징을 중심으로 한 작품 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인의 작품은 풍경화처럼 보일 수 있지만, 본인의 생각과 감정이 내포된 상징화이다. 숲은 자기만의 방으로, 돌은 자기 투영, 불은 염원의 도상으로 해석된다. 그래서 작품 안에서 부각되는 주요 소재를 중심으로 작품을 설명하였다. IV장에서는 작품의 형식적인 측면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도와 색채, 재료에 대하 여 분석하였다. 먼저 주요 중심 소재들의 크기와 위치, 그리고 전체적인 구도 변 화에 따른 표현의 연계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작품에서 본인의 심상을 드러내기 위해 색채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를 ‘한난대비’와 ‘색채의 상징’ 이 론을 통하여서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과 형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재료 연구에 대하여도 설명하였다. 개인적인 고통과 상처를 극복하는 과정을 담은 본인의 작품은 동양의 ‘발분 설’을 근거로 한 것이다. 창작 활동을 지속해 나가면서도 본인의 주변 환경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본인은 본인의 고통과 억압에 대하여 명명하고 그것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본인이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본인은 본 논문을 통해 주변의 환경과 상관없이 주체적인 태도 를 고양 시키며, 작업을 지속해나 갈 힘을 얻기를 희망한다.

      • 환자안전사고의 환류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고찰과 대표 사례에 대한 적용을 중심으로

        정지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미 발생한 사고로부터의 학습을 통해 사고의 재발을 예방하고자 외국에서는 국가 차원의 보고학습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환자안전법」의 제정에 따라 2016년 7월, 국가 차원의 보고학습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하였던 빈크리스틴 투약사고, 일회용 의료기기 재사용 관련 사고, 요양병원 화재사고 및 수혈 사고의 사례를 통해 해당 사고에 대한 국내의 조치사항과 외국 정책 및 제도, 보고학습시스템에서의 환류를 비교·고찰하여 국내 환자안전사고 보고학습시스템에서 조치하여야 할 환류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각 사례를 통하여 알아본 환류방안을 종합한 결과, 외국의 환류 및 환자안전 관련 제도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우리나라에는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안내를 하는 기전이 없어 예방 대책을 알아보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의료제공자에 대한 지원 보다는 규제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정 규제사항을 일괄적으로 준수할 것을 요구하기도 하였으며 특정 사안에 대하여 규정이 통일되어있지 않아 혼란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이에 국가 차원의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데에 있어서는 의료기관의 규모 및 수준에 따라 단계별 권고사항을 제안하여 일괄적으로 준수사항을 지킬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기관의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준수할 수 있는 사항을 제시하여야 하며, 예방대책에 대한 효과성과 비용을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단·중·장기적으로 구분하여 접근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관련 학회 및 기관, 전문가들과 협력을 하여 특정 사안에 대한 규정을 통일하고 효과적이면서 공통된 재발방지대책을 도출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유관기관에서 제안한 환자안전에 대한 권고안 및 이슈 등을 하나의 기전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환자안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노력만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환자 및 보호자와 의료제공자의 노력도 필요하다. 환자 및 보호자는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능동적인 자세를 가져야 하며, 의료인 및 의료기관은 국가 차원에서 제안한 환류 내용을 준수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환자와 의료제공자들은 국내의 안전한 보건의료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국가 차원의 노력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고, 정부는 실질적으로 안전한 의료 환경 조성하기 위한 방향으로 보건의료체계를 이끌어나가 궁극적으로 서로 신뢰를 형성하여 환자안전 문화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The Patient Safety Reporting System(PSRS) has been nationally operating in other countries in order to prevent incidents from reoccurring. In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Patient Safety Act(2015), the PSRS will be established and operated nationally. This study is to propose “feedback strategies” on the PSRS by comparing and analyzing ROK’s current preventive measures and foreign policies on the PSRS, which are related with four patient safety incidents that had occurred in Republic of Korea; Vincristine administration accident, Disposable medical device reuse accident, Medical care hospital fire and Blood transfusion accident. Every case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foreign countries’ PSRS policies however it was hard to find information on ROK’s PSRS since there were insufficient resources. According to some references, ROK’s policy seems to be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actual policy itself rather than aiding the health care providers. In addition, some of the regulations were non-specifica recommendations and confusions had happened due to lack of integrated regulations on specific issues. To achieve national efforts to improve patient safety, recommendations should not be general but practical and specific by stages depending on the size and level of hospitals and a cost-effect analysis should be executed in order to evaluate and priorities agendas for short, middle and long terms. In addition, related Societies, institutions and experts should have consensus of effective regulations on preventive measures. Lastly, establishing a mechanism that could provide information on recommendations from relevant institutions and issues on patient safety should be also done.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fety, not only national-level efforts were needed but also efforts from the patients, guardians and health care providers. They need to have a proactive attitude regarding with obeying the national-level-recommended feedbacks strategies. Pati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also should recognize the national-level efforts on building a safer environment for patients. Ultimately,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implement polices which could foster a trust and build a culture where patients are safer.

      • 응급구조사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과의 관계 연구

        정지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coping methods of 86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ith the 1st or 2nd grade qualifications who serve at 36 fire station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from Aug. 1 to Aug. 31, 2001. Data collection was done by questionnaire.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the stress measure tool developed by Cho Hee et a1.(1999) and revised and complemented by the researcher to measure firemen's stress, and coping methods instrument revised by Cho Hee et a1.(1999) based on that of Jarowiec & Power(l981) and Bell(1977).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perceived stress was 3.4. The mean score of coping methods was 2.11. 2. The levels of str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marital status(t=7.054, p=.009) and in relation with organization(t=3.989, p= .049). 3. The coping metho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ype of qualifications(t=5.750, p=.019). 4.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stress and coping methods was positively correlated(r=.446, p=.000).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stress and coping methods was supported.

      • 노인 가족 주부양자의 부양부담감 및 정신건강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지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e presen study aims at identifying how the caregiver burden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for elderly family members effect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regard to data,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2017.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en and women 50 years of age and older, with 7,455 subjects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subjects.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care-related variables, and mental health variables were tested by cross-analysis and complex-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version 25.0).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quality of life for primary caregivers was higher in male and married subjects and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age. Furthermore, quality of life was higher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and also for subjects with a job and health insurance. Quality of life by health and care-related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better subjective health, the group of current smokers, the group of nondrinkers, those who didn’t cohabit, the group with no caregiving time, and the group with no caregiver burden. Quality of life by ment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no stress, frustration, and anxiety, the group with no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drug use, and the group with sufficient sleep. The odds ratio for quality of life for primary caregivers increased for those older and those who were married or had a level of education of college graduate or higher. It also appeared to be higher for the group with health insurance, the group with better subjective health, the group with no caregiver burden, stress, and frustration, the group with no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e group with no suicidal ideation and drug use. Conclusion: These results reveal how the caregiver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for elderly family members serves as a factor negatively impacts the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In particular, managing the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requires social interest, and the sustaine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for primary caregivers also requires attention by promoting the economic stability of primary caregivers and by means of systematic devices such as welfare protections. Key words: Caregiver burden, Mental heath, Quality of life, Korea Medical Panel Surv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