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 비교

        신미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를 비교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기대, 자녀 직업에 대한 기대, 자녀양육관련 보람 있는 일, 자녀양육에서의 애로사항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이를 사회적 지원과 부모자녀관계의 맥락에서 비교하고, 어머니 집단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240명으로서, 초등학생 어머니 163명, 중학생 어머니 44명, 고등학생 33명이었다.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는 박영신(2013)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2013년 5월에서 6월에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앞으로 어떤 사람이 되기를 기대하는지에 대해, 행복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자녀가 되고 싶은 사람, 성실한 사람, 유능한 사람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자녀가 갖기를 기대하는 직업으로는, 자녀가 원하는 직업이라는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적성에 맞는 직업, 교육자, 안정적인 직업 등의 순서를 보였다. 자녀양육에서의 보람으로는 잘 성장함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부모를 위해 줌, 가정에 화목, 성실한 태도, 학업에 충실함의 순서로 나타났다. 자녀교육을 하면서 부모로서 애로사항에 대해, 자녀이해의 어려움, 일관된 양육태도, 학업문제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부모역할을 잘 하기 위해 가장 힘든 일로 감정조절을 지적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일관된 양육태도, 자녀마음의 이해, 모범 보이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이를 사회적 지원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고, 경제적 지원에서 고등학생 어머니들이 더 높은 차이가 있었다.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부모자녀관계에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초등학생 어머니가 가장 자녀를 통한 대리적 성취 경험을 많이 하고, 통제를 하는 경향이 높았다. 그러나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들은 성취압력의 정도나 희생하는 태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초, 중, 고등학생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를 보면, 고등학생 어머니가 초등학생이나 중학생 어머니보다 학습지도효능감과 자녀와 의사소통효능감이 더 높았다. 그러나 자기조절효능감, 자녀양육효능감, 양육어려움극복효능감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

        최혜정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또한 높아지게 됨에 따라, 자녀의 양육과 교육의 가장 기초적인 사회성 발달과제인 또래 상호작용과 아버지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인식이 새롭게 재구성 되어야 한다. 그리고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발달에 효율적인 지도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좀 더 효과적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지도를 위하여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인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또래 상호작용을 위한 부모와 자녀의 관계 개선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에 관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가설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개인 배경에 따라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녀의 개인 배경과 아버지의 개인 배 경에 따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4차년도(2011) 자료를 분석하여 총 1,754명의 35〜42개월 유아와 그 자녀를 둔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 For window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양육특성의 차이와 자녀의 개인 배경,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검증을 실시하고,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에 대한 차이의 결과는 아버지가 전문직에 종사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에게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많이 보여주었다. 그리고 아버지의 연령이 낮을수록 통제적인 자녀양육태도를 적게 보였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에 대한 차이는 학력이 높은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율이 높았으며, 직업 배경에 따라서 전문직에 종사하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는 월수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개인 배경에 대한 차이의 결과는 학력이 낮은 아버지와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직업에 종사하는 아버지가 자녀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둘째, 자녀의 개인 배경과 아버지의 개인 배경에 따른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면 자녀의 성별 배경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놀이 방해 행동을 많이 하고,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을 많이 하였다. 아버지의 개인 배경과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는 아버지의 학력과 직업 배경이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중 놀이 방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개인 배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 놀이 단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 자녀양육참여, 자녀양 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중 놀이방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가 긍정적인 자녀양육태도를 많이 보이면 자녀의 놀이단절 행동이 많이 나타났고, 자녀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놀이 단절 행동이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가 자녀양육참여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친사회적 놀이 상호작용을 많이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아버지의 자녀양육특성 중에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태도가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아버지는 자녀양육특성의 중요성을 깨닫고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을 지도함에 있어서 올바른 이해를 기초로 한 방안과 자녀양육참여를 놀이와 함께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정책적으로 양육자의 자녀양육참여를 높이기 위한 자녀양육 지원제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 부모의 생태적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권선영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생태적 자녀양육방법과 자녀양육의 의미를 알아보고 기존의 양적, 일반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양육방법에 대한 견해들을 다시 생각해보며 대안적 자년양육을 실천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알아보고자 하며 유아 부모교육의 자녀양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생태적 자녀양육을 지향하는 연구 참여자 1인의 삶을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면담연구이다. 연구의 결과는 좋은 사람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마음의 폭을 가진 사람이며 생태에 대한 그 본질을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하며 자녀양육에도 적용시키는 것이다. 자녀양육은 한 쪽 부모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부간에 공통된 가치관과 일관된 태도를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지막으로 부모는 자녀가 스스로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어야 하며 부모 또한 자녀의 삶이 아닌 부모 자신의 삶을 살기를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는 1명의 연구참여자를 통해 생태적 삶과 의미를 살펴본 것으로 생태적 양육을 실천하는 많은 사람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것이 필요 할 것이며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생태적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the meaning and ways of ecological child rearing and to rethink common views on child rear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study. By presenting a specific case of alternative child rearing,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establish a new direction for parent education and child rearing. The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was the participant's general view of human nature? 2. What did ecological child rearing mean to the participant? 3.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nt's family relationships with regard to child rearing? 4.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cipant's community ties with regard to child rearing? 5. What changes in perception and practice of child rearing were needed to make a better parenting?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examined the life of one participant interested in ecological child rearing, and provid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Thus it was possible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view of human nature and beliefs about child rearing. In findings, as the most desirable human nature, the participant's idea of a 'good person' was a person who was broadminded enough to live in harmony with others. The meaning of ecological child rearing wa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cology via practicing ecological living and incorporating it in child rearing.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the family relationships, child rearing requires the efforts of both parents, who must share the same values and show consistency in their attitude towards child rearing. Furthermore, parents must help their children learn to live their own lives. The significance of the community ties was found in the fact that those families of the community have varying values and are engaged in child rearing within different child rearing environments. In such community environment, children came to realize the way that they can create harmonious lives with other families by adjusting their play patterns or behavi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family. For the participant, child rearing must be performed with parents' thorough understanding of nature and their efforts to transform their lives into the eco-based l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se parents through the conceptualized model(s) of child rearing and type(s) of parental attitudes towards child rearing, that were commonly appear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 book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creasingly diverse approaches to child rearing in our society, future studies must continue to examine various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lternative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find ways to implement them. The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will require the participation of both parents with different values and experiences and their children.

      • 중도입국자녀의 공교육 진입관련 다문화코디네이터의 현장 경험연구

        선은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Members of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have increased around the Korean society. Not only children from the general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the immig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enter Korea in their puberty are increasing continuously at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is trying to find the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 immig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lead them actively to school through the placement of the multicultural coordinator in the public prep school and special class management and Immigration office In order for that, they strengthened their admission procedure guidance However, in spite of such assistance, as to inadequate systematic system and regular admission, the entry into public education of them are not easy to the late teens’ immig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system related to the school entry for the immig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references and real cases, and is to discover the problems and the school entry reality of the immigra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depths interviews and consultation cases. Based on this, it is to propose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reliable Korea public education approach of the immigrated children. First, what is the school entry related systems and systems like for the immigrated children?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and how is reality related to the school entry of the immigrated children? Third, what are the improvements for the entry of school of the immigrated children? In order to find an answer to the problem of this study, The study has conduc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that is 49 multicultural coordinator consultation cases and five depth interviews with parents focusing on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Gyunggi zone.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and the outcome is as follows. The result of main analysis associated with the counseling ca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chool admissions system for the immigrated children was provided, parents had a problem with the formal process. Second, since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in terms of work and the role of multicultural coordinator is very scarce, it was not easy to carry out the related support related with the entry of the immigrated children effectively. Third, the government system and the field work related with the school entry of the immigrated children do not cooperate systematically. So, each institution had different voice. Fourth, in terms of visa change and issue in relation to the school admission, there were many people who are ignorant. Therefore, school admissions system and the system of immigrated children should be unified step by step. The government’s policy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Justice) should be able to realize by the Office of Education and unit school. Major findings related to in-depth interview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ntry of Korea public education for the immigrated children has been delayed as the parents do not know where the counseling place exist and who do they need to find related to the school admission for their children as to lack of promotion of government agencies ( immigration ) and the education related agencies (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the reality is that the parents of immigrated children are suffering a lot of difficulties as the complex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he school admissions related documents. Third, the parents with immigrated children are in trouble since school admission has been denied at the discretion of the school principal while they apply and visit to the close school to the residence with prepared document. Also, as to the absence of Korean education, lifestyle guidance, curriculum guidance and the course enrollment for the immigrated children who are immature in using Korean, they are facing the barriers in terms of entering public education. Fourth, parents with the immigrated children are requesting the overall orientation about education, children’s school life guidance and the procedures related to the Korean school education admission. Fifth, the students who dropped out school after entering Korean public education worries about the matters that they may not able to enter the public education again while they are attending alternative school which is not approved and systematic. Therefore, securing the exact place for counseling and pre-education about immigrated children should be offered. In addition, the Office of Education has to build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multicultural coordinators and school units. Whenever there are requests for Korean education of immigrated children, ac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However, government agencies and educators ignore the difficulties that occurs when the immigrated children tries to approach Korean public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olution for entering the Korean public education smooth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eld experience as a multicultural coordinator and the depth interview with the parents show have immigrated children. First, in order to the admission to the school of immigrated children, immigration offices and Office of Education should make the overall system work through the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department. Second, Office of Education should simplify the school transferring and enrollment for the immigrated children through directly cooperation between multicultural coordinator and school multicultural teacher Third, general schools should accept every immigrated child and to build up their gradual Korean education scholastic achievement, systematic support and aggressive attitude is needed. Fourth, through the academic and career guidance that fits immigrated children’s characteristics, regular schools should actively support so that they can grow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Fifth, the follow- up researches that associated with immigrated children should be expended to the education system,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schools so the various studies can be preceded. 한국 사회 곳곳에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구성원들이 증가하고 있다. 학교 내에서도 일반적인 다문화가정 자녀뿐만 아니라 부모의 본국에서 성장하다가 청소년기에 입국한 중도입국자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부는 다문화학생 및 중도입국자녀를 적극 발굴하여 학교 안으로 유도하기 위해 공교육 내 예비학교와 특별학급 운영 및 출입국사무소에 다문화코디네이터 배치를 통해 이들의 학교입학 절차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학교 기관에 정규입학과 체계적인 지원시스템 미비로 10대 후반 중도입국자녀들의 공교육에 진입은 많은 장애를 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학교 진입 관련 주요 제도와 시스템을 문헌과 실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중도입국자녀의 학교 진입 관련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이며 어떠한지 상담사례와 심층면접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중도입국자녀의 안정적인 한국 공교육 진입을 위한 제도와 시스템 개선을 제안하고자 다음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중도입국자녀의 학교 진입 관련 제도와 시스템은 어떠한가? 둘째, 중도입국자녀의 학교 진입 관련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이며 어떠한가? 셋째, 중도입국자녀의 학교 진입을 위한 개선책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동안 경기도 일대 중도입국자녀를 둔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다문화코디네이터 상담사례 49건, 학부모 5명 심층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그 도출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사례와 관련 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중도입국자녀의 학교 입학 관련 제도는 마련되어있으나, 학부모들은 형식적인 절차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코디네이터의 업무와 역할에 대한 시·도 교육청 및 단위학교의 인식과 이해가 매우 부족하여 중도입국자녀 학교 입학 관련 지원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없다. 셋째, 중도입국자녀의 공교육 진입관련 정부의 제도와 현장의 업무가 체계적으로 연계되지 않았으며, 각각 기관별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넷째, 학교 입학 관련하여 비자변경이나, 비자발급에 대해 무지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단계적으로 중도입국자녀 학교 입학 관련 제도와 시스템을 일원화하고 해당 정부 기관의 정책(교육부, 법무부)들이 시·도 교육청과 단위학교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심층면접 관련 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정부기관(출입국사무소) 및 교육관련 기관(교육부)의 홍보 부족으로 중도입국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자녀의 학교 입학 관련 상담 장소가 어디에 존재하는지, 누구를 찾아가야 되는지 모르는 상황으로 중도입국자녀들의 한국 공교육 진입은 지체 되고 있다. 둘째,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학교 입학 관련 서류와 행정절차의 복잡함으로 중도입국자녀 학부모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중도입국자녀를 둔 학부모는 준비 된 서류를 거주지 근거리 학교 방문으로 입학 신청을 하지만, 학교장의 재량에 의해 입학이 거절되는 난감한 상황에 처해 있다. 또한, 한국어가 미숙한 중도입국자녀들의 한국어 교육과 맞춤형 교과지도, 진로진학, 생활지도 등의 프로그램 부재로 공교육 진입 장벽에 부딪히고 있었다. 넷째, 중도입국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한국 공교육 진입과 관련된 절차와 자녀의 학교생활 안내 및 교육 관련 전반적인 오리엔테이션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섯째, 한국의 공교육 진입 후 중도탈락 한 중도입국 학생들은 체계적이지 못한 미인가 대안학교 교육과정 및 환경으로 자신의 자녀가 공교육에 진입 하지 못할 것을 염려하고 불안 해 한다. 따라서 중도입국 자녀를 둔 학부모를 위한 정확한 상담 장소 확보와 자녀 교육에 대한 사전교육이 실현되어야 한다. 또한, 시 ·도 교육청은 다문화코디네이터 및 단위학교와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단위학교에서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지원 요청 시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정부기관 및 교육관계자들은 중도입국자녀들이 한국 공교육 진입 시 발생하는 어려움을 직시하여 보지 않고 눈 감은 채 외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코디네이터로서 현장의 경험과 중도입국자녀를 둔 학부모들의 심층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이 한국의 공교육 안으로 원활히 진입하기 위한 해결책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출입국사무소와 시·도 교육청은 업무협약을 통해 출입국사무소에서부터 중도입국자녀들의 학교 입학을 위해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총체적인 시스템이 가동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시·도 교육청은 다문화코디네이터와 학교 다문화전담교사가 직접적인 연계를 통해 중도입국자녀들의 학교 편·입학절차를 간소할 필요가 있다. 셋째. 정규학교는 모든 중도입국자들을 받아 들여 단계적인 한국어교육과 학업성취능력 함양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적극적인 태도를 취해야한다. 넷째, 정규학교는 중도입국자녀들에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진학 및 진로지도를 통해 이들이 미래 한국의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앞으로 중도입국자녀와 관련 된 후속 연구들은 교육체계, 정부관계자, 학교 현장으로 그 연구 범위를 넓혀 다양한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 장애자녀의 통합캠프 참여에 대한 부모의 기대와 개선방안 연구

        전혜영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매년 여름방학 중에 해외에서 실시하는 통합캠프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장애아동의 부모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장애자녀의 캠프참여를 결정하는 요인과 장애자녀의 캠프 참여로 인해 부모가 기대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장애자녀가 캠프에 참여한 기간 동안 부모가 이러한 기대에 대해 느낀 만족감을 통해 장애아동캠프의 향후 개선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면담지를 구성하여 일대일 면대면(face-to-face)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캠프 참여를 결정할 때 부모들은 주변사람의 추천, 캠프의 전문성, 캠프 참여기간, 캠프의 장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를 캠프에 보내면서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한다. 셋째, 부모들은 자녀의 캠프참여를 통해 자녀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후 향후 몇 년간 캠프에 더 보내고 싶어 하였으며, 캠프에 다녀온 후 똑같은 기간과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국내캠프라도 자녀를 보내겠다고 생각하였으며, 다른 비장애 자녀와 함께 보냄으로써 더욱 긍정적인 만족감을 얻고자 하였다. 넷째, 부모들은 프로그램의 연령별 세분화, 통합캠프의 장점 극대화, 부모들 간의 정보 공유, 가족캠프 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아동 캠프를 실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참가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참가교사의 직무연수 등을 실시하고, 참가학생에 대한 관찰 및 부모상담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자녀의 캠프참여기간동안에 부모를 위한 휴식 및 여가프로그램, 심리치료프로그램 등 구체적인 프로그램 마련이 꼭 필요하다. 셋째, 캠프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꼭 필요하다. 넷째, 향후 시간적 할애와 참가비용 등의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국내 가족캠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based on face-to-face talks with eight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who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integrated camp overseas for disabled and normal children both which is held during summer vacation per annum. Through the talks, I tried to find out the parents' expectations and motives on participation of their children in integrated camps. And I also tried to search ways to improve integrated camps for disabled children, as analyzing parents' satisfaction on their children's camp participation. I prepared interview papers, which were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carried out face-to-face talks with parents. All results were written and then analyzed after encoding them.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parents considered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s, professionality of camps, participation period, and location, when they made decisions on participation of their children in camps. Second, they expected positive changes of their children through camp experience. Third, parents hoped to make their disabled children participation in camps for years to come, after they had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both. They were willing to put their children even into domestic camps if those camps provide similar terms and programs. They also wanted to obtain more positive satisfaction from being with other normal children. Finally, parents felt the necessities of programs divided by ages, maximized advantages of integrated camps, information sharing with other parents, and family camps. Derived from those results, follow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camps for disabled children in the future. First, in order to make participating teachers more professional, job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And then, they should observe participating students and consult their parents. Second, detailed programs are necessary including rest and leisure programs and psychological therapy programs, for parents during camps. Third, researches on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mp programs are necessary. Finally, researches on domestic family camps are necessary to minimize matters of time and cost.

      •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후 어머니의 양육불안 연구

        신수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후 어머니의 양육불안 연구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은 출산과 더불어 가족의 생활패턴 및 구성원의 역할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가족생활사건의 하나로 인식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유치원과 초등학교간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 속에서 아동과 부모는 다음 발전단계에서 요구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변화에 적응해가는 과정에서 불안과 혼란을 느끼게 된다.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경험하는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양육행동에 영향을 줌으로써 자녀의 발달 및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입학 전과 입학 후를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보고, 동일 대상에 대해 반복 조사하는 단기종단적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경험하는 어머니의 양육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타당화 하는 작업을 거쳤고 최종적으로 부모역할 불안, 교육지원 불안, 자녀발달 불안 3개 하위영역으로 양육불안 측정도구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초등학교 입학 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자녀 돌봄 지원 환경, 자녀 신념, 부모 참여 및 양육불안을 측정하였고, 292명의 어머니가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에는 모바일 설문을 통해 자녀 돌봄 지원 환경 및 양육불안을 반복 조사하였으며, 181명의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과 입학 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보통 수준에 머물렀으나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경험하면서 부모역할 불안, 자녀발달 불안 및 양육불안 전체가 유의미한 수준으로 상승하였다. 이처럼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입학을 준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입학 후에 불안이 상승하는 현상은 유-초 연계성 부족에서 파생되는 자녀의 학교생활 및 학습에 대한 부적응과, 인지발달에 집중된 초등학교로의 전이 준비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둘째,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아동의 출생순위, 어머니의 연령, 근로 상태 변경 계획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자녀 신념의 하위영역과 부모 참여의 형태인 교육정보 수집, 가정 내 학습지도, 사교육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입학 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아동의 성별, 어머니의 학력,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교육정보 수집, 가정 내 학습지도, 사교육 형태의 부모 참여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 어머니의 양육불안에는 사교육, 문화적 경험 제공, 교육정보 수집, 근로 상태 변경 계획 결정 여부, 출생순위의 순서대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교육과 교육정보 수집을 많이 할수록, 문화적 경험을 적게 제공할수록 양육불안이 높고, 근로 상태 변경에 대한 계획을 결정하지 못했거나 입학하는 아동이 첫째 자녀인 경우 양육불안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에는 입학 전 양육불안과 어머니의 취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입학 후 어머니의 양육불안은 다른 요인에 의해 갑자기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입학 전에 어머니가 느끼는 불안이 지속, 상승됨을 보여주고 취업모일 경우에 불안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경험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과 후의 자녀 돌봄 지원 환경과 입학 전에 부모가 자녀 교육 및 양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신념 및 참여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서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준비하는 현실을 파악해 보았다. 또한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전과 입학 후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양육불안 차이를 살펴보고, 각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준비의 관점에서 아동과 어머니의 순조로운 초등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 및 부모의 순조로운 전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상에 맞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예비학부모 교육과 유-초 연계 및 전이프로그램 구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초등학교로의 전이과정에서 취업모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은 어머니의 일시적인 양육불안 해소 뿐 아니라, 자녀의 학교 적응과 가족의 삶의 질을 높여주고 자녀 양육의 어려움으로 인해 야기되는 저 출산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답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매년 신학기에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는 초등학교로의 전이 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고 어머니의 양육불안을 단기종단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대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주요어: 초등학교 입학, 전이, 자녀 돌봄 지원 환경, 자녀 신념, 부모 참여, 양육불안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During the Transition to Primary School Together with childbirth,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is one of the family life events that bring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living pattern of the family and the role of the family members. At this time, the family members perform roles required in the next step and adapt to the change. However, due to inadequate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linkage, parents and children have feelings of anxiety while performing roles required in the next step and adapting to changes. Since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has an impact on the child-rearing behavior, which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hild development and child’s adapta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transi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is recognized as the critical moment in the child-rearing proces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take interest in the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Therefore, in this study, before and after child’s admission to elementary school was regarded as a as a series of continuous process and a short-term longitudinal approach of repeatedly investigating the same subjects was used. Prior to conducting this study, a tool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child-rearing anxiety of mothers experiencing their child’s transi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scale was composed of three sub-domains: parental role anxiety, educational support anxiety, and child developmental anxiety, and the data was collected twice, before and after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survey conducted before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the demographic variables, child care support environment, child belief, parent involvement child-rearing anxiety of the subjects were measured and 292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fter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child care support environment and child-rearing anxiety were repeatedly surveyed by conducting a mobile questionnaire survey and 181 mothers final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and after child’s admission to elementary school was at the normal level, but it rose significantly in parental role anxiety, child development anxiety and child-rearing anxiety when mothers experienced their child’s transi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even though they prepared for the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in their own way, which was due to the child’s maladaptation to the school and learning arising from the inadequate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and the preparation for the child’s transi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the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ild’s birth order, mother’s age, work status change plan,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domain of the child belief, the collection of education information by parent involvement, teaching at home and privat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after child’s admissi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 the final education of mother, mother’s employment, an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llec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teaching at home and parent involvement in the form of private education. Third,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was influenced by the order of private education, provision of cultural experience, collection of education information, undecided work status change, and birth order. In other words, the more the private education and teaching at home and the less the cultural experience, the higher the child-rearing anxiety was. And when the work status change was undecided and the first child was admitted to the elementary school, the child-rearing anxiety was higher. Fourth,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after child’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was influenced by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and mother’s employment before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This implies that the child-rearing anxiety after admission does not suddenly rise due to other factors, but the anxiety felt by mother before child’s admission steadily rise after admission, and that child-rearing anxiety may be higher in the employed mother. In this study, the author has examined the reality of preparing for the child-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by generally looking at the child belief before child’s admission to elementary school, parent involvement, and child care support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school admission in the mothers experiencing the child’s transition to the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 author has looked at the change in the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child’s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and sought after the plans to help smooth adaptation of mothers and children to the elementary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step-by-step preliminary parental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the subject, and implied that it is necessary to compose natural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linkage and transition programs to help children to start school life smoothly. In addition, effective policy support for all employed mother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is required. These efforts will not only relieve mother’s transient child-raring anxiety but improve the their child’s adaptation to the school and the quality of family life, and also will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to the low birth problem caused by the difficulties in rearing childr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sented objective data on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which becomes a social issue in the new semester every year and suggested alternatives by looking at the mother’s child-rearing anxiety through short-term longitudinal approach. Keyword: admission to the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child care support environment, child belief, parent involvement, child-rearing anx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