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리더십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기술 및 사회.정서적 고립감에 미치는 영향

        원미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학교생활 또래관계영역을 비중 있게 다루고 아동 스스로 주인이 되어 활동을 이끌어나가고 참여하는 <서로의 성장을 돕는 우리는 친구> 자기리더십프로그램(교육인적자원부, 2004)을 적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아동들의 친사회적 행동 기술의 변화 및 아동이 지각하는 외로움과 그 외로움에 따른 고립 상태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가? <연구문제 2>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감소에 영향을 줄 것인가? 연구 대상으로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M초등학교 4학년 중 동질집단 두 집단을 선정한 후 특별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실험집단(27명)에게는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28명)은 창의발명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양윤란․오경자(2005)의 또래관계기술 척도와 허승희(1993)의 사회․정서적 고립 척도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직후 동일검사지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t-test를 통해 평균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회․정서적 고립감 수준 정도에 따라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이 아동의 고립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전-사후 평균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아동들의 차시별 활동결과지와 프로그램 종료 후 작성한 소감문을 토대로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리더십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또래관계기술 수준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래관계기술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협동/공감에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기리더십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수준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요인 정서적 외로움과 사회적 외로움 및 정서적 고립과 사회적 고립 점수에서도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집단 아동의 수준별 사회․정서적 고립감 사전-사후 평균차이를 비교한 결과 고․중 집단인 아동들에게 전체적으로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높은 집단은 정서적 외로움과 정서적 고립, 중간 집단은 사회적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하위요인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집단 간 사회․정서적 고립감 전체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는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실험집단 아동들의 사회․정서적 고립감이 높은 집단에게는 정서적 외로움과 정서적 고립을 감소시키며 중간 집단에게는 사회적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의 일반화를 위하여 다른 지역, 다른 대상으로 반복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다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가 어느 정도 지속되며 유지되었는지에 대한 추후검사도 실시하여 장기적인 효과 검증과 함께 다양한 생활영역 및 활동내용을 재구성하여 통합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접근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아동들 뿐 아니라 적용대상 범위를 넓혀 어떤 상황의 아동에게 효과적인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고은옥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자기통제시스템 및 스스로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반영하고 있는 학생들의 자기관리 및 자기리더십의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4학년의 진로성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4학년의 진로성숙과 자아존중감 및 각각의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사전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증명하였다. 그런 후에 실험집단에만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두 집단에 각각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Crites(1978)의 검사도구를 신철(1997)이 번안하여 제작한 초등학생용 진로척도 검사지와 Coopersmith(1967)의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를 번역하여 재작성한 전규혁(1999)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은 교육인적자원부(2005)의 4학년 초등학생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중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인 자아탐색과 자기개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만 1회기부터 8회기까지 주 2회(회당 50분) 4주간 실시한 후 두 집단에 각각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t검증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후 진로성숙 총점에서 실험집단은 평균108.77(10.22)로 비교집단은 평균 103.13(11.66)으로 나타났으며 차이를 t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t값이 -5.342로 p< .05수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후 자아존중감 총점에서 실험집단의 평균 115.23(16.09), 비교집단의 평균은 110.83(15.59)으로 나타났으며 차이를 t검증한 결과, 실험집단의 t값이 -2.825로 p< .05수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후 진로성숙 태도영역 하위요인인 결정성과 독립성에서 차이를 t검증한 결과 t값이 각각 -5.299와 -2.531로 p< .05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사회적, 가정적, 학업적 자아존중감 t값이 -2.030, -2.177, -1.772, -2.019로 유의수준 p< .05에서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은 초등학생 4학년의 진로성숙과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성숙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능력영역 전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능력영역 하위요인 각각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태도영역의 하위요인인 계획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rograms of self-leadership or self-care for students which reflect exercising their influence about self-control system or themselves, affect the degree of career maturity of the fourth-grade elementary students or their self-esteem. The subject of the study for this kind of purpose is whether programs of self-leadership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 careea maturity, self-esteem and each sub-primary element. To verify the study subject above, choosing two classes in fourth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bong-gu in Seoul, dividing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after those processes, with pre-test, two groups got proved of the same quality. After that, only experiment group takes effect of self-leadership program and each two group was done post-examination. The test tools for this study used the career criterion test for elementary students made by Shin-chul(1997) who changed test tools of Crites(1978) and the examination of Kyu-Hyun Chun(1999) who translated Coopersmith(1967)'s self-esteem test for children and re-made it out. Self-leadership program used self-search and self-development programs in personality building programs for four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of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2005). The study process wasafter self-leadership program carried out to the experiment group alone from the first to eighth term twice a week (fifty minutes per term) for four weeks, two groups were taken post-tests. The handling of date t-verified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by using SPSS WIN 11.0 program.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after self-leadership program put in effect, the experiment group got 108.77(10.22) as average and comparison group got 103.13(11.66) as average in the total marks of career maturity degree. After t-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t-mark in experiment group, -5.342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at significance level, p< .05. Second, after self-leadership program taken, the experiments group got 115.23(16.09) as average and comparison group 110.83(15.59) as average in the total score of self-esteem. As the result of t-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t-mark in the experiment group was -2.825, which showed a meaningful progress at significance level, p< .05. Third, after the taking of the program, self-leadership, as the result of t-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determinacy which is a sub-primary element in career maturity attitude field, and independence, each t-mark was -5.299 and -2.531, showing a meaningful advancement at significance level, p< .05. The sub-chief factor of self-esteem: t-marks of general, social, domestic and scholastic self-esteem were -2.030, -2.177, -1.772 and -2.019, which all showed a meaningful betterment at significance level, p< .05. Therefore, self-leadership program showed an affirm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for elementary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Also it was proved to affect positively upon all sub-primary factors of self-esteem. But, it made a bigger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otal ability field. However in each sub-main elements in ability lin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nd it did no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in planning, sub-main element in attitude line.

      • 자기 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 존중감 및 가족 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양선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리더십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주도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리더십을 직접 체험하게 하여, 자신이 극복해야 할 한계와 더욱더 개발해야 할 강점을 인식하도록 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또한 자신의 뿌리에 대해 자각함으로써 가족관계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게 하며, 가족 속에서 자신이 취하게 될 역할을 그려 봄으로써 자신의 책임을 자각하고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하여 가족관계 증진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의해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관계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초등학교 4학년 학생 중 24명(남자 12명, 여자 12명)을 실험집단에, 같은 학교의 학년과 성별을 실험집단에 맞추어 24명을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고 실험집단에만 총 16회기의 자기리더십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 존중감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자아 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아, 사회적 자아, 학문적 자아, 가정적 자아에서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보다 모든 하위 영역에서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가족관계 척도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또한 가족관계의 하위요인인 가족결속력, 가족 내 갈등 수준, 가족 표현력 에서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을 실시 한 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보다 모든 하위 영역에서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자기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가족 속에서 자신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하여 가족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systematical self leadership program which can help the forth grade of elementary students as follows. First, it can bring up students' self esteem by realizing their potentials to overcome their limits. Secondly, students can understand themselves as a part of their families by realizing their family origins. They can have optimistic visions for their roles in the families for improving their family relationships while imagining roles that they are going to take in families. In the program students can practice self-directed leadership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ith the will and eager. The question for this study was what effects the self-directed leadership have on the family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tudents. 12 boy students and 12 girl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wang ju city in Chonla-do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mong the rest of the students in the same school to the experimental group, 12 boys and 12 girl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With these two groups, 16 week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score of self esteem had been measured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providing this program, the average score of four 4 sub areas of self-esteem: general, social, academic and family self-concepts have respectively measured higher as wel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ly, the score of family relat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came out higher than that of in the control group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nalyzed results of this program on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 show that the average score of three sub areas of family relations: family cohesion, inner-family conflicts, family expression ability have respectively measured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ose results indicates that the self leadership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 esteems of children. Also, it suggests that it helps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by encouraging students to have visions of their roles in their own families positively.

      •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이 성인학습자의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황성용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이 성인의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고자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초기와 중기에 해당하는 33세∼65세 성인학습자들에게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첫째,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은 성인학습자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둘째, 성인학습자들은 성격유형의 심리적 기능에 따라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의 효과는 개인 특성변인(성별,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의 효과는 개인 특성변인(성별,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차 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의 종합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과 기존의 창의성 교육,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 선행연구에 기반을 두어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실험절차는 G광역시에 소재한 평생교육원에서 33세 이상 65세미만 성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 통제집단 각35명에게 사전검사로 ‘통합 창의성 검사(성인용)’, ‘성인 창의적 리더십 검사’ ‘MBTI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는 총 40시간 교육훈련을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후 프로그램 사전-사후 효과와 통제집단과의 비교검증을 위한 자료처리 및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양적연구의 보완 차원에서 추수조사(개방형 설문조사) 및 ‘창의활동 실습지’ 수집으로 질적 자료를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 교육훈련 결과 실험집단 성인학습자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리더십 모두 사전 대비 사후 결과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의 사후검사 결과와 실험집단 사후검사결과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성인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계발에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성격유형 심리적 기능에 따른 효과는 사전-사후 모두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은 성인의 성격유형과는 관계없이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개인 특성변인(성,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효과 역시 사전-사후 모두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은 성인의 개인 특성변인과는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어 성인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성인 대상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의 의의는 첫째,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계발에 정적 효과가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성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발하였다는데 있다. 둘째, 성인교육 차원에서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계발 교육이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기존의 창의적 기법(활동)과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재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성인초기 절정인생구조에 해당하는 연령층 이상 성인들(33세∼65세)의 새로운 경쟁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을 시도한 연구이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성격유형 혹은 개인특성에 맞는 실용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초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논의 점은 첫째,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에서 자기성장훈련의 과정을 기존의 상담이론만을 바탕으로 한 집단 상담과는 다르게, 다양한 창의적 기법이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활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과, 둘째, 성인학습자들은 창의성에 대한 인식으로 ‘삶의 질’ 혹은 ‘삶의 활력소’를 지적하였고, 그 변화의 과정은 교육을 통한 효과로 심리적 안녕감을 가져다주고, 그로 인해 행복감을 더해주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영역은 주로 일상(인간관계, 일, 교육, 자기성찰 등)에서 활용이나 사고의 과정에서 볼 수 있었다. 이는 창의성교육 혹은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학령기의 청소년이나 대학생들을 위해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처럼 단발적이거나 교양 또는 유행처럼 실시하는 교육이나 관련 연구에 국한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즉, 당장 일상에서 활용 가능한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하고, 또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지속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성인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을 향상시켜 자기성장을 도모하는 방법으로서의 자기성장 창의성 프로그램은 성인학습자의 성격이나 개인 특성변인에 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iveness of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on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adults through an empirical approach. Thus an experimental study had been done to examine whether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would be effective or not to adult learners between the ages of 33 and 65, or the early and middle stage of adulthood, for enhancing their creativities and creative leaderships. Following hypotheses were made and verified in this study: First,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would have effects on enhancing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adult leaners. Second, there would b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increase of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adult learners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functions of personality types. Third, the effectiveness of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would have differences by variables of personal properties(sex, 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construct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based on existing creativity educations or self-growth programs and various theories which were reviewed through relevant literatures and precedent researches. After that, hypotheses were built on the precedent studies and was tested by an experiment. Seventy adult between the ages of 33 and 65 from a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G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35 participants each took preliminary tests, which were 'Integrated Creativity Test(adult scale)', 'Creative Leadership Test for Adults', and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Test'. In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40 hours’ addi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re given. After the experiment,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ere used for the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both effectiveness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experiments and the comparison verificati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further inquiry(open type questionnaire) and qualitative data which were from ‘worksheets for creative activities’ also added in order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training, both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adult lea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the post test compared to the pre test. Thus it is demonstrated that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adults. Second, it was proved that psychological functions of adult learners’ personality types did not have meaningful differences in enhancing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in both pre and post test. Hence it was proved that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worked efficiently in enhancing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regardless of personality types of adults. Third, personal traits variables(sex, 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of adults learners also appeared that they did not affect on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in both pre and post test. With this,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were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adult learners irrespective of adults’ personal traits variables. What is important in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 for adults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grams identified positive effectivenes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Furthermore, by reconstructing existing creativity techniques(activities) and self-growth programs, it showed that how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developments could be applied to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in terms of adults educations. Also, This is the study which tried to strengthen a new kind of competitiveness of adults, especially adults in the pinnacle of their life, or in early adulthood and over(age from 33 to 65). Finally, basic data were gathered and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future practical programs appropriate for personal traits or personality types of adult learner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two points under discussion would be summarized. First, in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the training courses were more effective when they were utilized in self-growth programs with various creativity techniques than when they were used with a group counseling which was based on existing counseling theories. Next, adult learners came to think of creativity as ‘a quality of life’ or ‘an energizer for their life’ and the process of this kind of change resulted from the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brought psychological stability, by extension, a feeling of happiness to adult leaners. Areas of changes usually founded in utilizing in daily life(human relations, work, education, self-reflection). This means that creativity educations or self-growth programs should be not limited to just one-off programs only for school age children or university students or should not be confined to related educations or studies that are conducted as trends or liberal arts. Instead, it suggested that studies which are able to be adjusted in daily life right away should be done much more and developments and educations of programs also need to proceed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elf-growth creativity programs which were differentiated as a method to enhancing creativity and creative leadership of adults that led to self-growth, were effective regardless of personal traits variables of adult learners. It means that any adults can have benefits of participating the creativity educations and training. Considering that, in reality of Korea facing an aging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ies or life-long education centers need to continuously develop and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 효과

        정창숙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1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5년 03월 02일부터 05월 29일까지였으며, D시에 소재하는 4년제 간호학과 2곳의 간호대학생 82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을 임의표본 추출하여 선정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해 t-test 와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검사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t-test로 분석하였다.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프리더십은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79점, 대조군은 3.3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5.909, p< .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도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71점, 대조군은 3.1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8.054, p< .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또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57점, 대조군은 3.0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6.706, p< .001), 임파워먼트 역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58점, 대조군은 3.2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765,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증진에 효과적인 중재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applying to nursing student.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82 Nursing department school students in D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45) who participated in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and a control group(n=37) who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2 March 2015 through 29 May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WIN 21.0 with the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Results: Self-leadership was experimental group 3.79, control group 3.30(t=5.909, p<.001),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experimental group 3.71, control group 3.17(t=8.054, p<.001), Academic self-efficacy was experimental group 3.57, control group 3.01(t=6.706, p<.001), Impowerment was experimental group 3.58, control group 3.22(t=4.765, p<.001).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lf-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Impowerment in comparision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was effective in Nursing students, and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clinical practical training and increased the satisfaction Nursing department.

      •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정애란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00575

        본 연구는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리더십 생활기술 인식 척도 검사지와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사용하여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반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실험집단과 사전 검사 점수가 비슷한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주일에 3회씩 3주간 총 10회기의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회기가 모두 끝난 후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권영웅(2004)의 리더십 생활기술 인식 척도 검사지와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표현으로 번안한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검사의 결과 처리 및 가설 검증은 SPSSwin 11.0을 이용하여 양적 분석을 하였고, 회기별 소감문 분석 및 연구자의 관찰과 소감, 전체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설문지를 통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리더십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리더십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자기리더십에 관한 올바른 인식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자신이 속한 집단에서 올바른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셀프 리더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자신의 정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표현하여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발휘하여 인생의 장기적인 비젼을 세우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것이다. 앞으로 자기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을 좀 더 일반화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활용, 적용 기간과 대상, 검사 도구의 개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단기 프로그램 개발, 추후 처치 효과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on the students' leadership and self-esteem for this puropse, the reseach questions as follows were established. <Question 1> Does the self-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have an effect on leadership? <Question 2> Does the self-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have an effect on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00 5th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ased on their original classes. The measurements of this study were the Cognitive scale of leadership daily living skill that was developed by Keon Young Uong(2004) and the Self-esteem Inventory developed by Jeon Gui-Yeon & Choi Bo Gah(1993). The pretest and the post test were given to the subjects of both groups. The the self-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was treated 3 times a week, 10 times over 4 weeks for experimental group, but not for control group. The quantitative results were analysed by SPSSwin 11.0 and also, the qualitativ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of the students's appraisal over opinion in each of times, researcher's observation and the entir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he self-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the leadership. Second, the the self-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the self-esteem. In conclusion, the self-leadership improvement program was enabled the students to be a leader who properly and rightly exert a power of influence in a group by improving leadership and self-esteem at school. Therefore, this program in an elementary school on the correct recognition of his self-leadership and to improve self-esteem from their peers based on a self-correct self-understanding has self-leadership qualities,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appreciation of their emotional and By expressing the potential and ability to exercise their life, establish long-term vision will improve the ability to realize them. ? It was suggested that the further studies for promote the positive use of the program, application extended period and different graders and the development of test tools, to maximize short-term program development, and subsequent treatment effects were conducted.

      •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류연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00575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 및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 학교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고문헌과 선행된 연구를 배경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능력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질 것이다 가설2.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성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 아동들은 Y시에 위치한 M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1개 반 24명이다. Y시 5학년 1학급 아동 24명(남 12명, 여 12명)을 대상으로 담임교사의 도움을 받아 자기표현능력 검사 및 사회성 검사를 실시한 후 자기표현 능력과 사회성 발달에 관심이 많은 학생을 중심으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고 방과 후 활동이 가능한 12명의 아동을 선정해 실험집단에 나머지 12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아동들에게는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을 매주 2회(총 10회기), 매회기 40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은 최지선(2005), 정성혜(2006), 박영미(2010), 정애란(2011)의 프로그램을 참고로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집단(실험, 통제집단)과 시간(사전, 사후점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자기표현능력에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하위 영역인 내용적 자기표현능력과 음성적 자기표현능력 2개 영역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언어적 자기표현능력 영역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사회성에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사회성 발달의 하위 영역 중 의사소통, 신뢰감, 이해력 영역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친근감, 개방성 영역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전반적으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 및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effects a leadership training program ha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 of self-expression abilities and sociality, and to see if there would be a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applied to school environments in rea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hypothes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receded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The hypotheses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xpression abilities of the group in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The second,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increase in sociality of the conducted group in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self-expression abilities and sociality tests were taken on 24 students (female 12, male 12) of 1 class in the 5th grade, M elementary school in Y city. The selected 12 students were made up of those who wanted to partake in a leadership training program and were interested in self-expression abilities and sociality development. The other 12 students were the controlled group. 40 minute long leadership training program sessions were conducted on the 12 selected students 2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0 times. Contrary to the conducted group, the controlled group were not given sessions. The detailed conducted program were reorganized under examination of experts with reference to the research done by Choi Ji-sun(2005), Jung Seong-hye(2006), Park Young-mi(2010), Jung Ae-ran(2011). This results verified the interaction effects and produc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groups (conducted and controlled) and the periods (pre-, post-test)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of T - verificat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dership training program(p<.05) between the conducted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a general way. In addition, The two fields of the textual self-expression abilities and lingual self-expression abilitie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non verval self-expression abilities didn't. But the conducted group had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in general. Second,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ity (p<.05) between the conducted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general. The friendly relations and openness of the students had improved towards a mutual understanding and a belief in each other in the development of sociality. However, the conducted group had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in general. Similarly, according to the study, the conducted group had enhanced in such other aspects as diligence, responsibility, cooperation, the spirit of law-and-order -abiding and independence. As a result,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on the elementary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enhancement of self-expression abilities and sociality.

      •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영재학생의 리더십기술, 행복감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박경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4191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영재학생의 리더십기술과 행복감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U시에 소재하고 있는 N중학교 영재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훈련 프로그램 모집공고를 하여 프로그램 참가 희망을 밝힌 24명 중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11회기 중 10회기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2012년 8월 20일 부터 9월 13일까지 주 1회 120분으로 실시하였고, 1회기는 프로그램을 마친 20일 후 타임캡슐 작업과 플래너 검사를 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를 가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리더십기술과 행복감 및 자기주도학습 능력 검사를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직후, 그리고 20일 후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19.0을 사용하여 각 척도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실험-통제 집단 간의 사전 동질성 검사를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우, 이에 대한 사후검증을 위하여 단순주효과 및 LSD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초기 중기 종결과 추후에 작성한 경험보고서와 소감문을 바탕으로 집단원들의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리더십기술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행복감이 더 향상되었다. 셋째,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더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은 영재학생의 리더십기술과 행복감 및 자기주도학습을 증진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영재학생들에게 학교생활이나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관리 능력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능력과 대처능력을 키움으로써 행복한 리더로서의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청소년기에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정체성 확립과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진로의 방향과 목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끊임없는 질문을 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그것은 영재학생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 나아가 인류를 위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 초등학생의 자기리더십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양귀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4190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리더십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리더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리더십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안할 것인가? 둘째, 초등학생의 자기리더십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리더십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초등학생의 자기리더십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초등학생의 자기리더십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및 전문가의 자문과 예비 적용의 과정을 거쳐 총 12회기로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양천구에 소재한 G초등학교의 4학년 한 학급 학생들 중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를 원하고 담임선생님이 추천한 학생 중에서 학부모가 동의한 1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실험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 10명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자기리더십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여 9월 8일부터 10월 13일까지 주 2회 방과 후에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Manz와 Sims(1987), Sims와 Lorenz(1992)의 연구를 참고로 김진수(2009)가 수정·보완해 개발한 자기리더십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자기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자기관찰 6문항, 목표설정 6문항, 자기강화 5문항, 자기비판 5문항, 자기연습 6문항, 자연적보상 3문항, 총 3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2.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사용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리더십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리더십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리더십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자기관찰, 목표설정, 자기비판, 자기연습, 자연적보상의 6개 하위 요소 중 5개 요소가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반면에 자기강화 영역에서 프로그램 참가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이 프로그램은 자기리더십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으로 자기리더십 발달단계에 따른 요구조사 및 자기리더십 검사에 의해 구안한 자기리더십 향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신의 내면의 변화를 통한 잠재력을 개발하여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이끌어가는 개인적 존재와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능력향상을 위한 자기리더십을 향상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자기리더십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은 정규 수업 시간이나 특별활동 혹은 방과후학교 등을 이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교사와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구성되어 있다. 셋째, 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교사와 학습자 및 학습자 상호 간에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맺음과 동시에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자기개방을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서의 교육적 의미가 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일 남녀에 따라 자기리더십에 차이가 있다면 성별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안할 필요가 있다. 둘째, 6개 하위 요소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하위 요소들 중 서로 간섭하거나 촉진하는 것들을 밝혀낸다면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6개의 하위 요소들 중 어떤 요소가 프로그램의 효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고 어떤 요소가 미미한 효과를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했는데 후속 연구에서 이 점을 밝혀낸다면 프로그램을 적용함에 있어서 어느 측면에 강조점을 더 둬야 할지 판단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