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입시전형과 교육과정별 자연계열 신입생 수학성취도 연구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미분적분학 과목 중심으로

        송민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mathematical capability is critical especially for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students to be successful in their academic life in a university. However, there has been recently marked decline i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the students majoring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in a university. In order to propose the methods to improve their ability in a college level of mathematics, we hav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mathematical ability of the freshmen in calculus classes whose major are the science and engineering in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to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curriculum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Calculus is one of required classes for the freshme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and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classes in mathematics. Therefore, we hope that these assessment in their mathematical ability focused on calculus can suggest a helpful insight for the improvement of general mathematical ability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 일반계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모습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오선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3

        In this study, the types of university ad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screening system of entrance exam and the school life of students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contents which were observed and instructed by the researcher, who was a homeroom teacher of third graders and taught them a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ethnographic study result,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The university admission procedure in this country is divided into rolling admission and regular admission policy. So, there were students who entered a university through a sophisticated management of academic reports for 3 years in high school, aiming at the rolling admission from the beginning,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had been engaged in both academic report management and SAT preparation at the same time, so that they could apply for a rolling admission procedure if they thought it was advantageous. And there were also cases where students who could enter a university through intensive work on subjects they liked and needed as the rolling admission was focused on such subjects. There were students who entered a university they wanted through self-confidence and better grades of school work by changing their academic field, from which they had suffered due to the selection without taking their aptitude and interest. So it was found out that not only scholastic performance but also a screening system of admission officer, in which freshmen were selected by taking students' potentiality of into consideration, could be also important factors. Because the SAT subjects were not fairly reflected in both rolling and regular admission policy, elective subjects were also important to students. Math is the most avoided subject among students as they regard it as difficult, except for upper-intermediate students among students who take intensive human social courses. Therefore, students who are in human study classes avoid math study as they say they would leave it in the God's hand. Even among students who are in the intensive natural science courses, there are many who take Math B, saying there is too much content to study in Math A, besides it is hard to get relatively high percentile, grade and standard score. Though they choose Math A, there are some who make the subject a discard they don't pay attention to. The biggest change in learning method is caused by adoption of Internet lectures. Though Internet lectures may not be an ultimate solution, it could be a quite necessary tool to make up for weak parts. And they also use private institutes to reinforce the subject they want to. The biggest burden of 3rd graders was entering a university. There were students who were suffering form burden related to entering university and overworking. Some of them could not describe precisely why they did what they did, saying to themselves "Just as it is", "I fee irritated", "Please, cut me some slack because I' m a 3rd grader." Some of them tried to relieve their stress by eating, exercising or playing games. What I felt during the research is that most high school 3rd graders had set up their own target and direction, and though they felt overwhelmed by university admission and school work, they knew how to release it in a healthy way. Becau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participants who were attending a coeducational academic high school in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named A, there is a limit in applying this study result to entire 3rd graders of academic high school. But, in the case of teachers in charge of 3rd graders at academic high school like mine, it might be recommended for them to use this results as empirical resources. And als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t our school, this study was focused on students who were applying for rolling admission and mainly math subjects, so it lacks the parts for regular admission and contents of other subjects. It is required that other studies on students preparing for regular admission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is said that the screening system, which was begun in earnest last year, will be more expanded in the entrance exam this year. In this study, only one example was presented, which was related to the screening system of admission officer, despite the fact that there may be many different types of admissions.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teach did not have many cases. Therefore, in-depth studies on preparation for the screening system of admission officer would be a great help for 3rd graders of high schools, including high school teachers, who take the entrance admission system into consideration now. 연구자는 으뜸고등학교에서 2학년, 3학년 학생들을 담임을 하고 교과를 가르치면서 관찰하고 지도하였던 내용들을 바탕으로 입시유형에 따라 수업활동 및 학습활동과 정규교과 수업시간 외 학생들의 생활모습을 문화기술적인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화기술적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입전형은 시기에 따라 수시와 정시로 나뉘는데 처음부터 수시를 생각하고 고교3년 동안 아주 힘들게 내신관리를 하여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도 있고, 내신관리 및 수능 준비를 하다 수시에서 승부를 거는 학생도 있고, 자기가 좋아하고 필요한 과목위주로 공부해서 그에 맞는 수시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었다. 학생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지 않은 계열선택으로 힘들어하다 계열 변경을 함으로써 성적향상과 자신감을 얻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한 학생도 있었고 학생의 잠재력을 고려하여 신입생을 선발한다는 입학사정관전형도 학생의 학업성적과 더불어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수시나 정시에서 수능시험 과목이 고루 반영되는 것이 아니기에 학생들에게 선택과목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문사회집중이수과정 학생들 특히 중상위권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공부하기 어렵고 힘들다는 이유로 수학은 기피1호 과목이다. 그러기에 인문반 학생들은 수리는 하늘의 뜻대로, 그날의 운에 맡긴다는 말로 수학공부가 어렵다는 말을 대신한다. 자연과학집중이수과정도 수리가형이 내용이 많고 어렵고 상대적으로 백분위, 등급, 표준점수 받기가 힘들다는 이유로 수리 나형을 선택하는 학생도 많고 수리 가형을 선택하더라도 공부를 하지 않는 버리는 카드로 만들어 버리는 학생도 있었다. 학생이 공부하는 방법 중에서 최근 가장 많이 변화된 모습이 인강이다. 인강이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학생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데 아주 필요한 도구였고 학원을 통해서 학생이 원하는 부분을 채워감을 알 수 있었다. 고3학생이 느끼는 가장 큰 부담이 진학이었다. 진학, 공부에 대한 부담감으로 힘들어하는 학생도 있었고 자기가 한 행동에 대해서는 왜 이런 행동을 했는지 정확하게 말하지 못하고 “그냥이요.”, “짜증나서요.”, “3학년이기에 봐줘야 하는 건 아닌가요.” 라고 인식하는 학생도 있었고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먹고 운동하며 해소하는 학생도 있고 게임에 몰두하여 해소하려 하는 학생도 있었다. 이 연구를 하면서 느낀 점은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은 목표와 방향을 정해 준비를 하고 있고, 진학과 학업에 대해 부담과 스트레스를 받으면서도 나름 건강하게 해소하고 있었다.

      •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실시 대학의 입시제도 분석

        김지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2286

        본 연구는 제도 실시 7년째를 맞고 있는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제도와 관련해서 제도상의 특징과 실시 대학 입시제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도를 실시하는 대학들의 소재지별, 설립목적별, 설립주체별 학교의 수와 모집인원을 분석하였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입학제도를 실시하는 각 대학의 입학자격, 입학전형, 입학정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20개 대학의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제도 입시담당자와의 전화면담을 통하여 각 특성에 대한 배경과 함의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방법으로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제도 입시담당자와 전화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장애인 특례입학을 실시하는 대학을 소재지별로 분석해 보면 모집인원의 비율에서는 전체대학의 소재지별 모집인원 비율과 유사한 편이다. 설립주체별로 볼 때, 국·공립대학 수나 모집인원의 비율이 사립대학보다 낮다. 제도실시 대학의 설립목적별 분석은 일반 4년제대학과 산업대학의 실시대학 수와 모집인원의 비율은 유사하나 교육대학에서 실시대학이 없다. 둘째, 입학자격을 장애유형별로 분석해 보면 지체부자유(뇌성마비 포함)가 가장 많고, 청각장애, 시각장애의 순 이었고 입학자격의 최저학력기준으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입학전형의 시기별 특성을 분석해 보면 특차전형시기에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제도실시 대학의 전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사정모형으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다. 넷째,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제도실시대학 모집인원은 해당대학 총 모집인원의 1%미만으로 뽑는 대학이 많고 모집단위는 자연계열이나 예·체능계열보다는 인문계열학과가 더 많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special features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ch implement special case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in this treatise this writer had analysis on number of schools and of students being admitted on the basis of locations, purpose of establishment, types of founders of the schools which implement such system. Also special features of qualification for admission, selection for admission and number limit of students for admission were analyz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 with staffs in charge of handling admis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above mentioned system. By means of research of available data and literature special feature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ch implement above mentioned system were analyzed. The result of conducting such telephone interview with staffs in charge for special case admis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as follows: First, when analysis was made on above mentioned colleges and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its locations in terms of proportion of number of students being registered result showed similar proportion with that of overall average of all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Additionally analysis on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ch implement special case admission for handicapped people on the basis of its type as well as on distribution of national, public colleges and universities vs. private ones showed that these colleges and universities demonstrated relatively lower proportion of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than that of overall average across the nation. Analysis on above mentioned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erms of type of specialization and number of and proportion of students being registered showed that 4-years regular and industrial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the above mentioned system have aproportion more or less same with that of overall average for colleges and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but there was no educational colleges or universities Second, when qualification for admission based on types of handicaps analyzed most numerous case was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including cerebral palsy) followed by those with handicap in hearing and seeing etc. Grade at examination to test scholastic ability for studying at college and university was most frequently used as minimum criteria for scholastic ability for qualifying admission. Third, analysis on time for admission screening showed that usually screening for selection of handicapped people for admission is being performed about the same time as admission screening for regular colleges and universities. Additionally grade at examination to test scholastic ability for studying at college and university was frequently used as model for Fourth, number of students being registered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which implement special case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mained less than 1% of total number of students being registered by schools with above mentioned system. It was found that under foregoing system more students with handicaps were admitted to cultural departments than to science or art or sports fields.

      • 韓國的 狀況에서 열린교육의 可能性과 限界

        박용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2252

        이 연구는 열린교육의 개념과 이의 교육적 원리를 정확히 파악하여 한국적 교육상황에서의 열린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주제는 ‘한국에서 열린교육이 가능한가?’이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II장에서 문헌을 통해 열린교육의 개념, 특성,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열린교육의 조건을 탐색해 보았다. III장에서는 한국교육의 상황을 분석하여 열린교육 적용상의 한계점을, IV장에서는 열린 교육의 가능성을, 교육과정·교육행정·열린교육 수용의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면에서 현행 획일적인 교육과정 체제는 열린교육의 가장 큰 한계점이다. 그러나 새로 개편되는 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과 재량시간의 신설·확대로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편성·운영하도록 하여 열린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둘째, 교육행정 측면에서 입시제도에 기초하고 있는 권위주의적 학교풍토는 열린교육의 걸림돌이다. 그러나 무시험전형제도의 도입은 열린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셋째, 교육시설의 측면에서 대규모 학교, 과밀학급은 열린교육의 한계점이다. 그러나 농어촌 지역에서 학급의 축소와 학급당 학생수의 감소, 학습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는 열린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넷째, 열린교육의 수용 면에서 입시에 연계된 평가방법은 교사, 학부모, 학생들에게 열린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하고 있다. 그러나 입시제도의 개선에 따른 수행평가의 도입은 열린교육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한국 교육의 가장 병폐가 되었던 입시제도는 대학입학 무시험 전형과 더불어 학교교육의 틀을 바꾸어 놓고 있다. 새로운 입시제도는 지식 중심, 교과서 위주의 획일적 교육을 현장 중심, 체험학습의 열린교육으로 학교의 새로운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입시제도는 학생들의 내재적 흥미에 의한 자율적 학습활동의 폭을 ��히고 창의성과 바른 인성교육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한국적 상황에서 열린교육은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현재에 있어 농촌지역의 소규모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열의있는 젊은 교사들은 열린교육의 명실상부한 선두주자가 되고 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ain the concepts and the principles of open education and to delineate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open education under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n chapter 2, the concep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national trends of open education were studied by investigating the references. The conditions of open education were researched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applications of open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3. In chapter 4, the possibility of open education was researched in light of the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 facilities, and acceptance of open education. The first biggest limitation of open education is the uniform system of the education process. However, the revised education process adopts the education process according to a student's ability, and establishes and extends new elective courses, which would make the education process flexible. The second limitation is the view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Authoritarian schools are derived from the college entrance system which is a hindrance of open education. However, the introduction of university entrance system without examinations would make open education more possible. Thirdly, large schools and crowded classrooms also limit open educatio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the students per class and the computterization of studying materials pave the way for open education in rural areas. The last limitation is the attitude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have about the grading system associated with college entrance.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s accompanied by changes to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re necessary for open education to thrive. The college entrance system has been the biggest obstacle to Korean open education.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without examination is changing this framework of education. The new college entrance system is changing the education from knowledge - and-textbook oriented to practice-and-work oriented, which would lead school to accept open education. The new college entrance system encourages voluntary study for intrinsic interests and contributes to educational creativity and morals. Taking these into account, open education would be more popular. Enthusiastic teachers, working in rural areas, are becoming the mainstream of open education.

      • 지원자의 특성에 따른 대입전형 지원유형 차이 분석

        오승용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015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는 교육정책의 가장 핵심 되는 과제로 교육개혁과 개선의 대상이 되어 왔다. 2000년 이후의 대입제도는 수능시험 성적이 주요 평가요소였던 일반전형과 정시모집의 비중이 축소되어 왔고, 학교생활기록부 내 교과학업성취도와 개별 학생의 특성이 드러나는 비교과활동 등을 평가하는 학생부위주전형 중심의 대입전형이 현재까지 발전 해 왔다. 학생부위주전형 중심의 대입전형에서 지원학생들의 성별, 지역 등 개별 특성에 따라 대입전형 지원유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었다. 학생부중심전형에서 지원학생들의 특성에 따른 대학전형 지원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해 성별, 지역(도·농, 동부·서부), 계열에 따른 연구 문제를 수립하였다. 첫째. 학생부전형(교과, 종합) 지원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학생부전형(교과, 종합) 합격자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학생부전형(교과, 종합) 등록자현황은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하여 2018학년도 G대학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한 8,411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조사된 통계 자료는지원 학생의 특성에 따라 대입전형 지원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도시·농어촌지역, 남·여 성별, 계열에 따른 지원자, 합격자, 등록자 인원에 대한 통계분석을 사용하였고, 집단 간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 교차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카이제곱 통계량을 구해서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성별에 따른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 분석결과를 보면 선호전형에 대한 지원율은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지원자 대비 합격률은 학생부교과전형에서 합격자 비율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합격자 비율도 역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만 합격자 대비 등록률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도시와 농어촌지역 소재 고교생들의 현황을 살펴보면, 도시지역이 농어촌 지역에 지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도시지역이 보다 농어촌 지역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자 대비 합격률은 학생부교과전형 농어촌 지역의 합격률이 도시지역보다 합격률이 높았으며, 학생부종합전형 역시 도시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합격자 등록률은 학생부교과전형 도시지역 등록률이 농어촌지역보다 높았으며, 학생부종합전형 도시지역 등록률이 농어촌 지역 등록률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시 소재지(경남 진주)를 기준으로 학생부교과전형에 지원한 도시동부지역이 서부도시지역의 지원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한 도시동부지역 학생은 서부도시지역보다 지원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자 대비 합격률은 동부도시지역이 서부도시지역보다 합격률이 높았으며, 학생부종합전형 역시 서부도시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합격자 대비 등록률은 서부도시지역 등록률이 동부도시지역 등록률보다 높았으며, 학생부종합전형 서부도시지역 등록률이 동부도시 지역 등록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어촌 소재지(경남 진주)를 기준으로 학생부교과전형에 지원한 동부농어촌지역이 서부농어촌지역보다 지원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부농어촌지역이 학생부종합전형에는 서부농어촌지역의 보다 지원자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자 대비 합격률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농어촌 소재지별 합격자 등록 현황은 서부·동부 농어촌지역 모두 낮게 나타났다.

      • 일반고 학생의 입학사정관전형 입시 준비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정윤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159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and responsive strategies o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order to search the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system to reflect the voices of the school. The major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etermine their occupational choice and college admission type? Second, what difficulties do they have o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hird, what educational influence does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have on the high school? Fourth, what are the obstacles that preven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rom successfully settling down? Trying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interviewing 7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3 responsive strategies o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 active, passive and no-option types. In choosing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tudents were affected by internal factors such as their desired career, aptitude and activity, as well as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Second, in comparison with students who chose the non-admission officer system, the students preparing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had a tendency to get involved in club activities, intramural contests and performance assessments with enthusiasm. However, they were likely experiencing stress as they had to devote themselves to score-based competition in order to get higher school records and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scores, which are required for college entrance qualification as well as various activities in school. Third,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made the school change in many fields. The shifts from teacher-centered to learner-centered learning have emerged. The debates and presentations in the classroom have increased and voluntary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as student-centered club activities that are designed and organized by students have been revitalized. The presentations and debates in the classrooms were extended to writing research essays and getting involved in contests. Fourth, teachers have difficulty planning a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a class where each student seeks different admissions types, which causes obstacles in class participation. The path dependency of teacher-centered instruction, which students have experienced since elementary school also plays a role as an obstacle factor for learner-centered classes. Due to its ambiguity, th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of admission officer system makes the students feel anxious and oppressed, leading them to do activities regarding college entrance as much as possible. Based on this, conclusion, proposals o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proposals on the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입학사정관제에서 일반고 학생들이 경험하는 교육적 경험과 입시 전략 및 적응 방안을 연구하여 현장에서의 목소리를 실제 정책에 반영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고 학생들은 진로선택과 대입전형선택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 둘째, 입학사정관전형을 선택한 학생들이 갖는 경험과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입학사정관제가 학교 현장에 어떤 교육적 영향을 주고 있는가? 넷째,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하여 일반고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학생들은 개인적·환경적 요소와 이에 대응행동을 통해 진로를 결정하였다. 입학사정관전형을 위한 전공적합성 관련 활동들이 입시 및 진로 관련 성취를 이루고, 이로 인해 형성된 높은 자기효능감과 긍정적 기대가 다시 진로관련 활동과 성취를 이루는 순환적 구조를 보였다. 입학사정관제가 진로선택·변경에 촉진 및 방해요소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대입전형 선택에서 입학사정관전형 능동형, 소극적 전략 선택형, 입학사정관전형 피선택형으로 대응전략을 보였다. 학생들의 입학사정관전형 선택은 진로희망, 적성과 능동성 등의 내부적인 요인과 입시 체계와 같은 외부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의 상호적 작용에 의한 영향 받았다. 둘째, 입학사정관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학생부교과전형, 논술, 정시 전형을 준비하는 학생과 비교하여 수업을 비롯하여 동아리, 교내대회, 수행평가 등 다양한 학교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높은 내신과 수능 최저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입시전형과 동일하게 기계적 문제풀이식 공부를 해야 했으며 동시에 동아리, 교내대회, 독서, 봉사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았다. 셋째,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됨에 따라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서 학생 중심의 발표, 토론 수업이 증가하였으며, 창의적 활동이 활성화 되었다. 교사가 개설하고 운영하는 정규 동아리 활동의 활성화와 더불어 학생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서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자율동아리가 활성화되었다. 수업에서의 발표와 수행평가의 내용이 수업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전문적인 형태와 내용으로 소논문이나 대회까지 확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던 교사 위주의 지식의 전달에서 학생 중심의 지식 탐구로 변화가 일어났다. 넷째, 내신과 수능 위주 전형 지원자와 입학사정관전형 지원자가 한 교실에 혼합되어있어 이로 인한 학생중심 수업의 참여도 차이와 평가를 위한 진도의 문제로 학생중심의 수업을 진행에 어려움을 보였다. 학생들이 초등학교 이후 경험해 온 강의식 수업에 대한 경로의존성도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학사정관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정성적인 입시요소로 인해 입시관련 활동의 충족감을 느끼기 어려웠고 최대한 많은 활동에 참여해야 한다는 압박감과 불안감을 느꼈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과 입학사정관제에 관한 정책적 제언과 후속 연구와 관련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대학입시 진로·진학 컨설팅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박인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15903

        Abstract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ing Park, In Oh Major in Lifelong Educatio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social mood which put priority on the career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the private consulting which is caused by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transcript(former admission officer system). This kind of study has not been fully made despite of the increasing social interest in the career & admission consulting on the college entrance and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in it. So, this study would try to find out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the career & admission consulting and how the consulting on college entrance has been made in the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targeting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the career & admission consult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would try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career & admission consulting program and to find out ways to develop the consulting program which is used in the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931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nation to collect the data. Among them, 256 students had the experience of getting the private consulting. As for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from 931 students and then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rivate consulting were obtained from 256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getting the consulting in the private education. The study was verified under the significance level of p<.05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using IBM SPSS Statistics 24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the private consulting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individuals was analyzed by the students' experience, frequency and expenses. It was found out that the students’ experience of the private consulting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school only and that the students in Chungcheon·Gangwon have more participation experiences than those in Seoul(Gangnam area). As for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 students whose schools are located in Honam·Jeju and whose academic scores in school belong to Level 1 have higher participation ratio. As for the expenses,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students attending the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having the Level 1 academic performance in the school, and Level 1 in the nationwide examination score and whose household income exceeding 10 million Won a month paid more expenses. Second, the attitude toward the college entrance, the dependency on the career & admission consulting, the satisfaction of the consulting in the school, and the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the private consult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ttitude toward college entrance was self-directedness(3.32) > anxiety(2.97) > understanding of admission system(2.83). And the average of consulting dependency was 3.14. As for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consulting, the career choice field had high point and the private consulting was high in the college entrance field in both necessity and satisfac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ach variable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background shows that male students have high satisfaction in the school consulting and that the dependency on the consulting and the necessity of the private consulting on the college entrance were higher for female students than for male students. As for the difference by the grade, the 2nd-year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of the school consulting and high necessity of the private consulting and the 3rd-year students showed high score in the self-directednes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admission system, and in the satisfaction of the private consulting.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location of school,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consulting on the career choice was higher for the students in Seoul(except Gangnam) and Chungcheong·Gangwon than for the students in Yeongnam area while the students in Seoul(including Gangnam) showed high score in the necessity of the private consulting on the college entrance. As for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attending the special purpose high school had high score in most areas. As for academic performance in the school, the students having Level 6 or below had lower satisfaction over the school consulting on the career choice and college entrance than others. As for academic performance in the nationwide, the students having Level 6 or below had higher necessity of the private consulting on the career choice than the students belonging to Level 1, who had less demand for the private consulting.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tudent’s house income was, the higher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private consulting on the college entrance was. Fourth, the analysis of elements affecting the necessity of the private consulting showed that the nationwide exam score, self-directedness on college entrance, dependency on consulting and satisfaction on the school consulting(career choice) mak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rivate consulting(career choice) while self-directedness and the dependency on the consulting mak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rivate consulting(college entrance). Lastly, the analysis of the element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ver the private consulting showed that the anxiety over the college entrance makes the negative effect on the private consulting(career choice) while self-directedness on college entrance and the dependency on the consulting make the positive effect on the private consulting(career choi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elf-directedness and the dependency on the consulting mak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private consulting(college entrance).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s a way of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ing program which is carried out in the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First, the school shall operate a customized career and admission consulting program for each student. It shall properly allocate the teachers across all grades and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structured consultation which connects the career choice with the college entrance. It shall also introduce the stage-by-stage program to improve the college entrance attitude. Second, the private education shall guarantee the education consumer’s right through the quality improvement and qualitative control over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ing. It shall tr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pportunity and reduce the related expenses through the activation of remote consulting and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college entrance consulting which can connect the career choice. It shall also introduce the lecturer certification system and organization certification system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better education service. Third, the Government shall expand the human and physical infrastructures for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ing to increase the consulting education chance and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It is required that the career and admission consulting is operated for each school in the cluster method so that the number of consulting personnel shall be increased along with the quality improvement and that the various administrative considerations are needed such as free provision of the consulting program application, and operation of local consultation hub. * Key Words : private education, private consulting, career & admission consulting, college entrance system, college entrance attitude, admission officer system,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transcript 국 문 요 약 대학입시 진로·진학 컨설팅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적인 분위기와 학생부종합전형(구, 입학사정관제)으로 인해 유발되는 컨설팅 사교육 수요의 증대에 주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대학입시 진로·진학 컨설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점증하고 있는 참여율에도 불구하고 실증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교육과 사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진학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고, 진로·진학 컨설팅의 필요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교육과 사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진학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하여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고등학생 9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중 컨설팅 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256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전체 93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와 컨설팅 사교육 참여경험이 있는 256명을 대상으로 컨설팅 사교육의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를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고,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배경에 따른 컨설팅 사교육 참여 실태는 경험, 횟수, 비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참여경험은 학교 소재지에 따라서만 차이가 있었고 충청·강원이 서울(강남권) 학생에 비해 참여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횟수는 학교 소재지가 호남·제주권인 학생과 내신 성적이 1등급인 학생의 참여 비율이 높았다. 지불비용은 특목고, 내신 성적 1등급, 모의고사 성적 1등급, 가구소득 월 1,000만원 이상에서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입시에 대한 태도, 진로·진학 컨설팅 의존도, 학교에서의 컨설팅 만족도, 컨설팅 사교육 필요성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대학입시에 대한 태도는 대학입시 주도성(3.32) > 불안감(2.97) > 전형이해도(2.83) 순이었고, 컨설팅 의존도의 평균은 3.14였다. 학교 컨설팅 만족도는 진로선택이 높았고, 컨설팅 사교육은 필요성과 만족도에서 모두 대학입시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배경에 따른 각 변인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학입시에 대한 학교 컨설팅 만족도는 남학생이 높았으며 컨설팅 의존도와 대학입시에 대한 컨설팅 사교육 필요성은 여학생이 높았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대학입시 주도성과 전형이해도는 학년이 높을수록 모두 높았고, 학교 컨설팅 만족도와 컨설팅 사교육 필요성의 경우 2학년이 높았으며, 대학입시에 대한 컨설팅 사교육 만족도는 3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에 따른 차이는 진로선택에 대한 학교 컨설팅 만족도는 서울(강남이외)과 충청·강원권이 영남권에 비해 높은 결과를 보였고, 대학입시에 대한 컨설팅 사교육 필요성은 서울(강남, 강남이외 포함)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 유형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특목고 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은 내신 성적에 따라서 진로선택과 대학입시에 대한 학교 컨설팅 만족도는 6등급 이하의 학생이 나머지 학생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모의고사 성적은 진로선택에 대한 컨설팅 사교육 필요성의 경우 6등급 이하의 학생이 1등급 학생에 비해 필요성이 높다고 하였고, 1등급 학생은 다른 등급의 학생에 비해 컨설팅 사교육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낮았다. 마지막으로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대학입시에 대한 컨설팅 사교육 만족도가 올라가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컨설팅 사교육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진로 컨설팅에는 모의고사 성적, 대학입시 주도성, 컨설팅 의존도, 학교 컨설팅 만족도(진로)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대학입시 컨설팅에는 대학입시 주도성, 컨설팅 의존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컨설팅 사교육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진로 컨설팅에는 대학입시 불안감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학입시 주도성, 컨설팅 의존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학입시 컨설팅에는 대학입시 주도성, 컨설팅 의존도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공교육과 사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진로·진학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는 개별 맞춤형 진로·진학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전 학년에 걸쳐 교사의 역할을 적절하게 배분하고, 진로와 진학이 연결되는 구조화된 상담을 하여야 하며, 대학입시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기 위해 단계별 프로그램을 도입하여야 한다. 둘째, 사교육은 진로·진학 컨설팅의 품질 향상과 질적 관리를 통해 교육소비자의 권리를 보장하여야 한다. 원격상담의 활성화로 참여기회 증대와 비용 감소를 유도하고, 진로와 연결된 대학입시 컨설팅이 이루어져야 하며, 강사인증제와 기관인증제를 도입하여 보다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진로·진학 지도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확대하여 컨설팅 교육 기회의 증대와 사교육비 경감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단위 학교별 진로·진학 컨설팅을 클러스터 방식으로 운영하여 상담인력 부족을 해소하고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며, 진로·진학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무료 제공, 지역 거점형 상담센터 운영 등 다양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 핵심어 : 사교육, 컨설팅사교육, 진로·진학 컨설팅, 대학입시제도, 대학입시태도, 입학사정관제, 학생부종합전형

      • 大學入試制度의 變遷과 改善에 관한 硏究

        이완선 建國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199487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ollege Entrance Examination(CEE) must be finished with such principles as appropriateness to objectives, effectiveness, efficiency, practicality(utility), principle of equity and impartiality. CEE has at least three functions: selectional function to choose qualified students who will be freshmen of a college according to students' aptitude and ability; educational function to control the method and contents of high school education; and social function that CEE can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sides. 2) The Korean CEE system has changed 7 times since 1945:system of college individual test→system of a nationmade test→system of college individual test→system of a qualification test for college entrance→system of college individual test→system of a pre-test for college entrance→system of a academic ability test for college entrance. College individual test and nation-made test have alternated, and the CEE system alternation has been made for prevention of unjust entrance, student quality improvement, college quality improvement and equalization, high school education normalization, and education opportunity equality, and college autonomy insurance, etc. 3) The system of CEE was after 1988 changed into the first-apply-then-test one. That system can induce students' choice of a college by aptitude, test students' advanced mental ability with subjective questions (30%), give assignment of selectional subjects to a college, and assign extra value(less than 10%) to special subjects, and does not permit double application. Thus, any college can make prominent the characteristics of a department when selecting students. 4) It is a serious problem of the current CEE system that although college education was changed from elite level to public level, the selectional criteria was not different from that elite level whose consideration is mostly taken into academic ability and selection of eligible students only with their ability. In addition we can point out other problems: college's method of selecting students; student's application method to a college; system-operation problems occurring in college' s autonomous selection of students; preference of advanced education which leads colleges to be thought to be an important way to promotion; and keen competition brought about by different pay and engagement according to one's educational background. 5) The newly revised system of CEE proposed in this paper can basically reinforce its function to select students according to excellent ability and aptitude; to make contribution to normalizing high school education; to minimize social reaction owing to the exam; and to conform to the educational necessity of country,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and to support construction of the whole-life education system to secure continuit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